KR20190075404A -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5404A KR20190075404A KR1020170176962A KR20170176962A KR20190075404A KR 20190075404 A KR20190075404 A KR 20190075404A KR 1020170176962 A KR1020170176962 A KR 1020170176962A KR 20170176962 A KR20170176962 A KR 20170176962A KR 20190075404 A KR20190075404 A KR 201900754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ipe
- cooling water
- vapor
- o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1/00—Feed-water supply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만두, 라면의 증숙기와 우동면을 삶는 솥 또는 튀김용 후라이어와 같은 식품가공기계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해서 버리지 않고 회수하여 냉각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데워지는 온수를 스팀보일러의 보충수 또는 면 삶는 솥의 보충수로 사용하며, 유증기는 회수 처리과정에서 물과 기름을 분리하여 폐기시킴으로써 에너지 절약과 아울러 환경오염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친환경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기덕트와 배기팬이 생략됨에 따라 생산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공조설비도 축소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비용과 운영비가 대폭 절감되고, 생산현장을 지나는 배기덕트가 사라짐에 따라 현장 온도의 상승 요인이 없어져서 작업자를 위한 작업환경의 개선에 도움이 되며, 천장 내부를 지나는 배기덕트가 없어짐에 따라 종래와 같이 배기덕트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로 인한 천장의 훼손이나 건물의 외부에 수증기의 응축수로 인한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건물 외관이 청결함은 물론 건물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만두, 라면의 증숙기와 우동면을 삶는 솥 또는 튀김용 후라이어와 같은 식품가공기계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해서 버리지 않고 회수하여 냉각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데워지는 온수를 스팀보일러의 보충수 또는 면 삶는 솥의 보충수로 사용하며, 유증기는 회수 처리과정에서 물과 기름을 분리하여 폐기시킴으로써 에너지 절약과 아울러 환경오염 요인이 제거되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배기덕트와 배기팬(Fan)이 생략됨에 따라 설치비용이 대폭 절감되도록 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두, 라면의 증숙기와 우동면을 삶는 솥 또는 튀김용 후라이어와 같은 식품가공기계에서 식품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많은 수증기 또는 유증기는 배기덕트와 배기팬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만두나 라면 증숙기는 섭씨 110℃ 정도의 수증기로 만두나 라면과 열교환 후(증숙온도 섭씨 95℃∼97℃) 약 섭씨 90℃ 정도의 수증기를 배기덕트와 배기팬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며, 튀김용 후라이어는 약 섭씨 120℃ 정도의 유증기를 배기덕트와 배기팬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
종래와 같이 수증기 배출을 위해 배기덕트와 배기팬을 설치할 경우는, 천장이나 벽을 뚫고 천장 내부에 배기덕트를 배관해야 하므로 천장 내부는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배관작업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증기나 유증기가 배기덕트를 지나갈 때 온도차이로 인한 응축수의 생성으로 천장에 누수현상이 발생하여 천장이 훼손되거나 심한 경우는 응축수로 인한 부식으로 건물 수명이 단축되기도 하며, 생산현장을 지나는 배기덕트에서 발산하는 열로 인한 현장 온도의 상승이 작업자에게 영향을 미치므로 공조설비를 갖추어야 함에 따른 공사비와 운영비를 별도로 부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만두, 라면의 증숙기와 우동면을 삶는 솥 또는 튀김용 후라이어와 같은 식품가공기계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버리지 않고 회수하여 냉각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데워지는 온수를 스팀보일러의 보충수 또는 면 삶는 솥의 보충수로 사용하며, 유증기는 회수 처리과정에서 물과 기름을 분리하여 폐기시킴으로써 에너지 절약과 아울러 환경오염 요인이 제거되어 친환경적이며, 배기덕트와 배기팬이 생략됨에 따라 생산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공조설비도 축소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비용과 운영비가 대폭 절감되고, 천장 내부를 지나는 배기덕트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로 인한 훼손이나 외부에 수증기의 응축수로 인한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건물 외관이 청결함은 물론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내관과 외관을 수직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내관을 상하로 관통되게 구성하여 수증기(유증기)의 상승 경로로 제공하되, 상승하는 수증기와 냉각수의 열교환작용을 유도하는 이중관; 식품가공/조리부에서 뿜어내는 수증기(유증기)를 회수하여 상기 이중관의 관통된 내관으로 유도하는 후드; 상기 내관의 내벽에 생성되는 응축수가 떨어져서 양측으로 흘러내리는 단면이 '∧'형인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 양측 하단으로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받아서 드레인콕을 통해 배출시키는 상기 후드의 하단 테두리에 내측으로 형성되는 응축수받이;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로 냉각수 상승 공간이 형성되도록 수직상으로 세운 다수의 배수관; 상기 외관의 외측 하방에 연결되어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로 냉각수 상승 공간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밸브; 상기 이중관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내관과 각 배수관의 연통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각 배수관의 상방 내측으로 분사수단이 하향 마련되며, 상기 각 배수관 내부로 분사되는 분사수가 상기 내관을 따라 상승하는 수증기(유증기)를 각 배수관 내로 흡입하여 분사된 분사수(냉각수)와 함께 하방으로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유도부; 상기 외관의 냉각수공급밸브의 반대쪽 상부에 3방 밸브와 배관의 연결구조를 통해 상기 이중관 사이의 냉각수 상승 공간으로 유입되는 냉각수가 수압에 의해 상승되면서 열교환을 거친 온수를 보일러의 보충수 또는 상기 분사수단을 통해 분사수로 공급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온수처리부; 상기 배수관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관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받아서 일측에 형성된 응축수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집수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배출유도부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밸브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분사수단은 분사파이프와, 상기 분사파이프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30°각도로 원형으로 분사되는 원형분사노즐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집수공간 일측의 응축수 배출관에 연결되는 유수분리장치는 내부 일측에 수위조절용 격벽이 마련된 유수분리함체; 상기 유수분리함체를 가로질러서 관통상태로 설치되는 원형의 냉각수공급관; 상기 유수분리함체의 외부 양측에 마련되는 상기 냉각수공급관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 보호커버; 상기 격벽에 의해 격리되어 저장수위를 초과하여 격벽을 넘치는 물을 수용하되, 일정 수위를 넘는 물은 외부로 배출관을 통해 배출하는 배수공간; 상기 배수공간의 반대쪽에 상기 격벽과 간격을 두고 바닥면은 연통되고 상부는 상기 격벽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물 위에 부유하는 기름을 격벽 쪽으로 넘지 못하게 차단하는 직사각형의 칸막이 겸 냉각수공급관; 상기 유수분리함체의 저장수위보다 밑바닥을 높게 설치하여 저장수위를 초과하여 수면 위에 부유하는 기름을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기름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에 의하면 식품가공기계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해서 버리지 않고 회수하여 냉각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데워지는 온수를 스팀보일러의 보충수 또는 면 삶는 솥의 보충수로 사용하며, 유증기는 회수 처리과정에서 물과 기름을 분리하여 폐기시킴으로써 에너지 절약과 아울러 환경오염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친환경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에 의하면 배기덕트와 배기팬이 생략됨에 따라 생산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공조설비도 축소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비용과 운영비가 대폭 절감되고, 생산현장을 지나는 배기덕트가 사라짐에 따라 현장 온도의 상승 요인이 없어져서 작업자를 위한 작업환경의 개선에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에 의하면 천장 내부를 지나는 배기덕트가 없어짐에 따라 종래와 같이 배기덕트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로 인한 천장의 훼손이나 건물의 외부에 수증기의 응축수로 인한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건물 외관이 청결함은 물론 건물 수명이 연장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에 수증기(유증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를 만두, 라면 증속기에 적용한 경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를 우동면 삶는 솥에 적용한 경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를 튀김용 후라이어에 적용한 경우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의 응축수 배출관에 연결하는 유수분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의 응축수 배출관에 연결하는 유수분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에 수증기(유증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를 만두, 라면 증속기에 적용한 경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를 우동면 삶는 솥에 적용한 경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를 튀김용 후라이어에 적용한 경우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의 응축수 배출관에 연결하는 유수분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의 응축수 배출관에 연결하는 유수분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10)는 만두, 라면의 증숙기와 우동면의 삶는 솥 또는 튀김용 후라이어와 같은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유증기)를 뿜어내는 부위에 설치하여 수증기를 회수 처리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10)는 내관(11a)과 외관(11b)을 수직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내관(11a)을 상하로 관통되게 구성하여 수증기(유증기)의 상승 경로로 제공하되, 상승하는 수증기와 냉각수의 열교환작용을 유도하는 이중관(11); 식품가공 과정에서 뿜어내는 수증기(유증기)를 회수하여 상기 이중관(11)의 관통된 내관(11a)으로 유도하는 후드(12); 상기 내관(11a)과 외관(11b) 사이로 냉각수 상승 공간이 형성되도록 수직상으로 세운 다수의 배수관(13); 상기 외관(11b)의 외측 하방에 연결되어 상기 내관(11a)과 외관(11b) 사이로 냉각수 상승 공간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밸브(14); 상기 이중관(11)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내관(11a)과 각 배수관(13)의 연통공간(15a)을 형성하되, 각 배수관(13)의 상방 내측으로 분사수단(15b)이 하향 마련되며, 상기 각 배수관(13) 내부로 분사되는 분사수의 전후단 사이에 발생하는 밀폐현상에 따른 수압과 중력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여 내관(11a)을 따라 상승한 수증기(유증기)를 각 배수관(13) 내로 흡입하여 분사된 분사수(냉각수)와 함께 하방으로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유도부(15); 상기 외관(11b)의 냉각수공급밸브(14)의 반대쪽 상부에 3방 밸브(16a)와 배관(16b')(16b")의 연결구조를 통해 상기 이중관(11) 사이의 냉각수 상승 공간으로 유입되는 냉각수가 수압에 의해 상승되면서 열교환을 거친 온수를 보일러의 보충수로 공급하거나 상기 분사수단(15b)을 통해 분사수로 공급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온수처리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 중 상기 이중관(11)의 길이(높이)는 식품의 가공/조리 상태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관(11a)은 후드(12)를 통해 유도되는 수증기(유증기)의 상승 통로로 제공되면서 열교환 과정에서 생성되는 응축수가 떨어지거나 내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경로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원형의 관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드(12)는 식품가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유증기)를 회수하여 상기 내관(11a)으로 유도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수증기(유증기) 유도수단으로서, 상기 내관(11a)의 내벽에 생성되는 응축수가 떨어져서 흘러내리게 하는 단축 부분의 단면이 '∧'형인 차단부재(12a) 및 상기 차단부재(12a)의 양측 하단으로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받아서 배출시키는 상기 후드(12)의 하단 테두리에 내측으로 형성한 '∪'형의 응축수받이(12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수관(13)은 내관(11a)과 외관(11b) 사이에 원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파이프체로서, 상기 분사수단(15b)의 원형분사노즐에서 30°각도로 원형으로 분사되는 분사수의 수압으로 상기 배수관(13) 내에서 노즐 측(전단)과 분사 측(후단)을 경계로 밀폐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수압과 중력에 의해 전단에 흡입력이 발생하므로 연통공간(15a)으로 상승되는 수증기(유증기)를 흡입하여 분사수와 혼합되는 상태로 열교환을 거친 후 배출된다.
상기 냉각수공급밸브(14)는 상기 외관(11b)의 하방에 설치된 것으로, 냉각수공급관을 연결하여 냉각수공급관으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개폐수단으로 사용된다.
상기 배출유도부(15)는 상기 내관(11a)과 각 배수관(13)을 연통시키는 연통공간(15a)이 형성되고, 상기 각 배수관(13)의 상단에 삽입되어 분사수를 분사하는 분사수단(15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통공간(15a)은 내관(11a)을 따라 상승한 수증기(유증기)가 적체되는 공간이며, 상기 분사수단(15b)은 각 배수관(13)의 상단에 삽입되는 분사파이프와 원형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온수처리부(16)는 상기 외관(11b)의 냉각수공급밸브(14) 반대쪽 상방 에 연결되어 보일러 보충수로 공급되는 배관(16b') 및 상기 배관(16b')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배출유도부(15)로 연결되는 배관(16b")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 배관(16b')(16b") 중 어느 한쪽 경로만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3방 밸브(16a)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를 만두, 라면 증숙기에 적용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수공급밸브(14)를 개방하고 3방 밸브(16a)에서 보일러 보충수로 공급되는 배관(16b')은 개방하고 분사수단(15b)으로 연결되는 배관(16b")은 반대로 폐쇄하며, 다음으로 냉각수공급밸브(17)를 개방하게 되면, 냉각수공급밸브(14)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가 내관(11a)과 외관(11b) 사이에서 배수관(13)을 제외한 공간으로 수압에 의해 상승하면서 후드(12)에 의해 유도되어 내관(11a)으로 유입되는 수증기와 열교환으로 온수가 되어 보일러 보충수로 공급되는 배관(16b')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한 냉각수와 수증기의 열교환 과정에서 내관(11a) 내에 생성되는 응축수는 아래로 떨어지거나 내벽을 타고 내려가서 차단부재(12a) 위로 떨어지게 되고, 차단부재(12a) 위로 떨어지는 응축수가 양측으로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리면 응축수받이(12b)가 받아서 드레인콕을 통해 배출하게 된다.
한편, 냉각수공급밸브(14)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가 내관(11a)과 외관(11b) 사이에서 상승하면서 수증기와 열교환으로 온수가 되어 보일러 보충수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이와 동시에 상방의 냉각수공급밸브(17)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가 배수관(13)의 상방 내측의 분사수단(15b)으로 공급되고, 분사수단(15b)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는 원형분사노즐에서 30°각도로 원형으로 분사되며 이때, 분사수의 수압으로 상기 배수관(13) 내에서 노즐 측(전단)과 분사 측(후단)을 경계로 밀폐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수압과 중력에 의해 전단에 흡입력이 발생하므로 연통공간(15a)으로 상승되는 수증기를 흡입하여 냉각수와 혼합되는 상태로 열교환을 거친 후 하방의 집수공간(18)으로 흘러내려서 응축수 배출관(19)을 통해 배출된다.
참고로 첨언하면, 만두나 라면의 증숙은 스팀을 사용하므로 보충수가 필요치 않아 보일러 보충수로 사용하거나 버리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를 우동면을 삶는 솥에 적용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수공급밸브(14)를 개방하고 3방 밸브(16a)에서 보일러 보충수로 공급되는 배관(16b')은 폐쇄하고 분사수단(15b)으로 연결되는 배관(16b")은 반대로 개방하는 반면에, 냉각수공급밸브(17)를 폐쇄하게 되면, 냉각수공급밸브(14)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가 내관(11a)과 외관(11b) 사이에서 배수관(13)을 제외한 공간으로 수압에 의해 상승하면서 후드(12)에 의해 유도되어 내관(11a)으로 유입되는 수증기와 열교환으로 온수가 되어 배관(16b")을 통하여 분사수단(15b)으로 공급된다.
상기한 냉각수와 수증기의 열교환 과정에서 내관(11a) 내에 생성되는 응축수는 아래로 떨어지거나 내벽을 타고 내려가서 차단부재(12a) 위로 떨어지게 되고, 차단부재(12a) 위로 떨어지는 응축수가 양측으로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리면 응축수받이(12b)가 받아서 드레인콕을 통해 배출하게 된다.
한편, 냉각수공급밸브(14)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가 내관(11a)과 외관(11b) 사이에서 상승하면서 수증기와 열교환으로 온수가 되어 분사수단(15b)으로 공급되는 온수는 원형분사노즐에서 30°각도로 원형으로 분사되며 이때, 분사수의 수압으로 상기 배수관(13) 내에서 노즐 측(전단)과 분사 측(후단)을 경계로 밀폐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수압과 중력에 의해 전단에 흡입력이 발생하므로 연통공간(15a)으로 상승되는 수증기를 흡입하여 냉각수와 혼합되는 상태로 열교환을 거친 후 하방의 집수공간(18)으로 흘러내려서 응축수 배출관(19)을 통해 면을 삶는 솥의 보충수로 보내진다.
면을 삶는 솥과 같은 경우는 면을 삶을 때 면이 수분을 약 30%를 흡수하고 증발하므로 보충수를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를 튀김용 후라이어에 적용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수공급밸브(14)를 개방하고 3방 밸브(16a)에서 보일러 보충수로 공급되는 배관(16b')은 폐쇄하고 분사수단(15b)으로 연결되는 배관(16b")은 반대로 개방하는 반면에, 냉각수공급밸브(17)를 폐쇄하게 되면, 냉각수공급밸브(14)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가 내관(11a)과 외관(11b) 사이에서 배수관(13)을 제외한 공간으로 수압에 의해 상승하면서 후드(12)에 의해 유도되어 내관(11a)으로 유입되는 유증기와 열교환으로 온수가 되어 배관(16b")을 통하여 분사수단(15b)으로 공급된다.
상기한 냉각수와 유증기의 열교환 과정에서 내관(11a) 내에 생성되는 응축수는 아래로 떨어지거나 내벽을 타고 내려가서 차단부재(12a) 위로 떨어지게 되고, 차단부재(12a) 위로 떨어지는 응축수가 양측으로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리면 응축수받이(12b)가 받아서 드레인콕을 통해 배출하게 된다.
한편, 냉각수공급밸브(14)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가 내관(11a)과 외관(11b) 사이에서 상승하면서 수증기와 열교환으로 온수가 되어 분사수단(15b)으로 공급되는 온수는 원형분사노즐에서 30°각도로 원형으로 분사되며 이때, 분사수의 수압으로 상기 배수관(13) 내에서 노즐 측(전단)과 분사 측(후단)을 경계로 밀폐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수압과 중력에 의해 전단에 흡입력이 발생하므로 연통공간(15a)으로 상승되는 유증기를 흡입하여 온수와 혼합되는 상태로 열교환을 거치면서 기름과 물과 열로 혼합되는 응축수가 하방의 집수공간(18)으로 흘러내려서 응축수 배출관(19)을 통하여 유수분리장치(20)로 공급된다.
상기 유수분리장치(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응축수 배출관(19)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 배출관(19)으로부터 공급되는 기름과 물과 열로 혼합된 응축수를 유입시키면 기름과 물은 분리 배출되고, 열은 냉각수가 열교환에 의해 흡수함에 따라 온수가 되어 스팀보일러 또는 온수보일러의 보충수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유수분리장치(20)는 내부 일측에 수위조절용 격벽(21a)이 마련된 유수분리함체(21); 상기 유수분리함체(21)를 가로질러서 관통상태로 설치되는 원형의 냉각수공급관(22); 상기 유수분리함체(21)의 외부 양측에 마련되는 상기 냉각수공급관(22)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 보호커버(23); 상기 격벽(21a)에 의해 격리되어 저장수위를 초과하여 격벽(21a)을 넘치는 물을 수용하되, 일정 수위를 넘는 물은 외부로 배출관을 통해 배출하는 배수공간(24); 상기 배수공간(24)의 반대쪽에 상기 격벽(21a)과 간격을 두고 바닥면은 연통되고 상부는 상기 격벽(21a)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물 위에 부유하는 기름을 격벽(21a) 쪽으로 넘지 못하게 차단하는 직사각형의 칸막이 겸 냉각수공급관(25); 상기 유수분리함체(21)의 저장수위보다 밑바닥을 높게 설치하여 저장수위를 초과하여 수면 위에 부유하는 기름을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기름배출관(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수분리장치(20)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19)을 통해 배출되는 기름과 물과 열로 혼합된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 배출관(19)과 연결된 유수분리함체(21)로 유입되면 물보다 비중이 작은 기름은 물 위로 부유되는 상태로 수위가 점점 높아져 일측의 수위조절용 격벽(21a)의 높이보다 높아지는 물은 넘쳐서 배수공간(24)에 수용되고, 배수공간(24) 내에서 일정 수위를 넘는 물은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며, 수면 위로 부유되는 기름도 일정 높이를 초과하면 기름배출관(26)을 통하여 유출되어 기름받이 용기에 수용된다.
상기 유수분리장치(20)에서 기름과 물이 분리되어 각각 배출될 때 유수분리함체(21)의 외부 양측에 마련된 냉각수공급관 보호커버(23) 중 일측의 냉각수공급관 보호커버(23) 내의 공간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면 냉각수가 다수의 냉각수공급관(22)(25)을 지나면서 물속에 있는 열과 열교환에 의해 열을 흡수함에 따라 온수가 되어 반대측 냉각수공급관 보호커버(23)의 배출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스팀보일러 또는 온수보일러의 보충수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27은 칸막이 겸 열교환판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
11: 이중관
11a : 내관 11b : 외관
12 : 후드 12a : 차단부재
12b : 응축수받이 13 : 배수관
14 : 냉각수공급밸브 15 : 배출유도부
15a : 연통공간 15b : 분사수단
16 : 온수처리부 16a : 3방 밸브
16b',16b" : 배관 17 : 냉각수공급밸브
18 : 집수공간 19 : 응축수 배출관
20 : 유수분리장치 21 : 유수분리함체
21a : 격벽 22 : 냉각수공급관
23 : 냉각수공급관 보호커버 24 : 배수공간
25 : 칸막이 겸 냉각수공급관 26 : 기름배출관
11a : 내관 11b : 외관
12 : 후드 12a : 차단부재
12b : 응축수받이 13 : 배수관
14 : 냉각수공급밸브 15 : 배출유도부
15a : 연통공간 15b : 분사수단
16 : 온수처리부 16a : 3방 밸브
16b',16b" : 배관 17 : 냉각수공급밸브
18 : 집수공간 19 : 응축수 배출관
20 : 유수분리장치 21 : 유수분리함체
21a : 격벽 22 : 냉각수공급관
23 : 냉각수공급관 보호커버 24 : 배수공간
25 : 칸막이 겸 냉각수공급관 26 : 기름배출관
Claims (4)
- 내관(11a)과 외관(11b)을 수직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내관(11a)을 상하로 관통되게 구성하여 수증기(유증기)의 상승 경로로 제공하되, 상승하는 수증기와 냉각수의 열교환작용을 유도하는 이중관(11);
식품가공/조리부에서 뿜어내는 수증기(유증기)를 회수하여 상기 이중관(11)의 관통된 내관(11a)으로 유도하는 후드(12);
상기 내관(11a)의 내벽에 생성되는 응축수가 떨어져서 양측으로 흘러내리는 단면이 '∧'형인 차단부재(12a)와, 상기 차단부재(12a) 양측 하단으로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받아서 드레인콕을 통해 배출시키는 상기 후드(12)의 하단 테두리에 내측으로 형성되는 응축수받이(12b);
상기 내관(11a)과 외관(11b) 사이로 냉각수 상승 공간이 형성되도록 수직상으로 세운 다수의 배수관(13);
상기 외관(11b)의 외측 하방에 연결되어 상기 내관(11a)과 외관(11b) 사이로 냉각수 상승 공간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밸브(14);
상기 이중관(11)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내관(11a)과 각 배수관(13)의 연통공간(15a)을 형성하되, 상기 각 배수관(13)의 상방 내측으로 분사수단(15b)이 하향 마련되며, 상기 각 배수관(13) 내부로 분사되는 분사수가 상기 내관(11a)을 따라 상승하는 수증기(유증기)를 각 배수관(13) 내로 흡입하여 분사된 분사수(냉각수)와 함께 하방으로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유도부(15);
상기 외관(11b)의 냉각수공급밸브(14)의 반대쪽 상부에 3방 밸브(16a)와 배관(16b')(16b")의 연결구조를 통해 상기 이중관(11) 사이의 냉각수 상승 공간으로 유입되는 냉각수가 수압에 의해 상승되면서 열교환을 거친 온수를 보일러의 보충수 또는 상기 분사수단(15b)을 통해 분사수로 공급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온수처리부(16);
상기 배수관(13)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관(13)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받아서 일측에 형성된 응축수 배출관(19)으로 배출시키는 집수공간(1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도부(15)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밸브(17)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15b)은 분사파이프와, 상기 분사파이프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30°각도로 원형으로 분사되는 원형분사노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공간(18) 일측의 응축수 배출관(19)에 연결되는 유수분리장치(20)는 내부 일측에 수위조절용 격벽(21a)이 마련된 유수분리함체(21); 상기 유수분리함체(21)를 가로질러서 관통상태로 설치되는 원형의 냉각수공급관(22); 상기 유수분리함체(21)의 외부 양측에 마련되는 상기 냉각수공급관(22)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 보호커버(23); 상기 격벽(21a)에 의해 격리되어 저장수위를 초과하여 격벽(21a)을 넘치는 물을 수용하되, 일정 수위를 넘는 물은 외부로 배출관을 통해 배출하는 배수공간(24); 상기 배수공간(24)의 반대쪽에 상기 격벽(21a)과 간격을 두고 바닥면은 연통되고 상부는 상기 격벽(21a)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물 위에 부유하는 기름을 격벽(21a) 쪽으로 넘지 못하게 차단하는 직사각형의 칸막이 겸 냉각수공급관(25); 상기 유수분리함체(21)의 저장수위보다 밑바닥을 높게 설치하여 저장수위를 초과하여 수면 위에 부유하는 기름을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기름배출관(26);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6962A KR20190075404A (ko) | 2017-12-21 | 2017-12-21 |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6962A KR20190075404A (ko) | 2017-12-21 | 2017-12-21 |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5404A true KR20190075404A (ko) | 2019-07-01 |
Family
ID=6725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6962A KR20190075404A (ko) | 2017-12-21 | 2017-12-21 |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75404A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8384A (ko) * | 2020-01-31 | 2021-08-10 | 이앤엠 주식회사 | 음식점용 집진시스템 |
KR102314857B1 (ko) * | 2020-07-27 | 2021-10-19 | 엄정용 | 유증기 분리형 친환경 오일회수장치 |
KR102366912B1 (ko) * | 2021-09-02 | 2022-02-23 | 박광세 | 집진 후드장치 |
KR102402760B1 (ko) * | 2021-12-29 | 2022-05-30 | 화신주방산업(주) |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
KR102403712B1 (ko) * | 2021-12-29 | 2022-05-30 | 화신주방산업(주) |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
KR102402756B1 (ko) * | 2021-12-29 | 2022-05-30 | 화신주방산업(주) |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
KR102402758B1 (ko) * | 2021-12-29 | 2022-05-30 | 화신주방산업(주) |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
KR102411279B1 (ko) * | 2022-02-03 | 2022-06-22 | 화신주방산업(주) |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
CN114912230A (zh) * | 2022-03-29 | 2022-08-16 | 青岛科技大学 | 节水清洁生产技术的持续执行路径设计方法、装置及工艺 |
KR20220128219A (ko) * | 2021-03-12 | 2022-09-20 | (주)쿠첸 | 증기 처리 장치, 및 증기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
-
2017
- 2017-12-21 KR KR1020170176962A patent/KR2019007540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8384A (ko) * | 2020-01-31 | 2021-08-10 | 이앤엠 주식회사 | 음식점용 집진시스템 |
KR102314857B1 (ko) * | 2020-07-27 | 2021-10-19 | 엄정용 | 유증기 분리형 친환경 오일회수장치 |
KR20220128219A (ko) * | 2021-03-12 | 2022-09-20 | (주)쿠첸 | 증기 처리 장치, 및 증기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
KR102366912B1 (ko) * | 2021-09-02 | 2022-02-23 | 박광세 | 집진 후드장치 |
WO2023033541A1 (ko) * | 2021-09-02 | 2023-03-09 | 박광세 | 집진 후드장치 |
KR102402760B1 (ko) * | 2021-12-29 | 2022-05-30 | 화신주방산업(주) |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
KR102403712B1 (ko) * | 2021-12-29 | 2022-05-30 | 화신주방산업(주) |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
KR102402756B1 (ko) * | 2021-12-29 | 2022-05-30 | 화신주방산업(주) |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
KR102402758B1 (ko) * | 2021-12-29 | 2022-05-30 | 화신주방산업(주) |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
KR102411279B1 (ko) * | 2022-02-03 | 2022-06-22 | 화신주방산업(주) |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
CN114912230A (zh) * | 2022-03-29 | 2022-08-16 | 青岛科技大学 | 节水清洁生产技术的持续执行路径设计方法、装置及工艺 |
CN114912230B (zh) * | 2022-03-29 | 2024-02-27 | 青岛科技大学 | 节水清洁生产技术的持续执行路径设计方法、装置及工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75404A (ko) |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 | |
CN204070288U (zh) | 烹饪装置以及用于冷凝来自烹饪室的蒸汽流的冷凝系统 | |
US6543526B2 (en) | Combination cook stove heat exchanger, filter, and recirculation assembly | |
WO2019085217A1 (zh) | 一种炒菜机油烟处理系统及炒菜机 | |
CN204379205U (zh) | 水槽式清洗机的透气、溢水保护和清洗剂添加装置 | |
ITBO20080716A1 (it) | Dispositivo per la condensazione di vapore e per il recupero energetico | |
EP3359883B1 (en) | Grilling machine | |
CN114234253A (zh) | 集成灶及控制方法 | |
CN204730293U (zh) | 一种油烟净化装置及抽油烟机 | |
US11953228B2 (en) | Table fan and method for cleaning a table fan | |
CN108325333A (zh) | 冷凝回收装置及蒸汽炉 | |
CN216769526U (zh) | 一种带清洗功能的集成灶 | |
CN115369228B (zh) | 一种紧固件感应热处理装置 | |
CN105258174B (zh) | 一种带电加热及清洗双重功能的抽油烟机 | |
JP7281219B2 (ja) | デュアル空気浄化循環システムを備えた電気ロースター{Electric Roaster Equipped Dual Air Purification and Circulation System} | |
CN216790288U (zh) | 一种空调式吸油烟机 | |
CN102430535B (zh) | 一种表面处理保护蜡清除柜 | |
JP5568656B1 (ja) | 給排気口付洗浄装置 | |
CN216307921U (zh) | 一种空调式吸油烟机 | |
CN212430990U (zh) | 一种降低油烟温度的油烟机罩 | |
CN205208525U (zh) | 一种蒸汽发生装置 | |
CN114190759B (zh) | 排放系统及具有其的烹饪装置 | |
CN113827112B (zh) | 一种带物理散热冷凝蒸汽的煮面机 | |
CN219206521U (zh) | 一种蒸烤一体机 | |
CN216790289U (zh) | 一种空调式吸油烟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