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279B1 -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 Google Patents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279B1
KR102411279B1 KR1020220014313A KR20220014313A KR102411279B1 KR 102411279 B1 KR102411279 B1 KR 102411279B1 KR 1020220014313 A KR1020220014313 A KR 1020220014313A KR 20220014313 A KR20220014313 A KR 20220014313A KR 102411279 B1 KR102411279 B1 KR 102411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oking pot
discharge unit
exhaust
d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천
Original Assignee
화신주방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신주방산업(주) filed Critical 화신주방산업(주)
Priority to KR102022001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솥에 설치되어 조리가스를 배출하는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에 관한 것으로써,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를 포집하는 포집덕트와 포집된 조리가스를 배출하는 조리가스배출부와 더불어 포집덕트 하부에 결로수를 집수하여 배출할 수 있는 결로수배출부를 구성함으로써,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를 연소가스와 함께 배출하여 조리작업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조리가스의 포집과정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조리음식물에 낙수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Cooking Pot with Exhaust Hood}
본 발명은 조리용솥에 설치되어 조리가스를 배출하는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에 관한 것이다.
조리용솥은 단체급식과 같이 대용량의 음식을 한 번에 조리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러한 조리용솥은 일반적으로 조리할 음식물이 담아지는 솥부와, 상기 솥부의 하부 측 외면을 감싸며 가열 및 배기통로를 형성하는 솥하우징과, 상기 솥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어서 솥부의 바닥부를 가열하여 조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가스버너와, 상기 배기통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솥하우징에 형성한 배기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한 조리용솥은 조리 연소과정에 배기부를 통하여 섭씨300~500도의 고온 상태의 연소가스가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배출된 연소가스는 솥하우징의 외면을 따라 상승되어 솥부의 상단부와 접한 후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데, 이때, 방출된 연소가스는 조리용솥의 상단을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조리용솥의 뒤틀림 변형을 유발하고 주변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주변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조리용솥에서 배출된 연소가스를 청장에 구비되는 환기부로 유도배출할 수 있도록 조리용솥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을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종래 조리용솥에 사용하는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은는 조리의 연소과정에 발생하는 연소가스만을 배출하게 구성되어 있어 조리사가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특허 제10-2325015호에서 조리가스도 같이 배출할 수 있도록 조리가스배출부를 구성하여 조리가스를 상부로 배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조리가스를 포집하여 배출하는 포집덕트 및 배출구에 조리가스가 결로되어 결로수로 조리작업자 및 조리음식물에 낙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2325015호 (2021.11.11.)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로부터 조리작업자를 보호하고, 조리가스의 포집과정에서 발생한 결로수가 조리음식물로 낙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용솥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 및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솥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용솥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소가스를 상부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배기유도배출부; 상기 배기유도배출부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용솥의 조리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상기 조리가스를 배출하는 조리가스배출부; 상기 조리가스배출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가스를 포집하는 포집덕트; 및 상기 포집덕트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가스배출부 또는 포집덕트에 생긴 결로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결로수배출부; 를 포함하는,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은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를 포집하는 포집덕트와 포집된 조리가스를 배출하는 조리가스배출부와 더불어 포집덕트 하부에 결로수를 집수하여 배출할 수 있는 결로수배출부를 구성함으로써,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를 연소가스와 함께 배출하여 조리작업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조리가스의 포집과정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조리음식물에 낙수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에서 조리가스배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에서 결로수배출부를 포함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에서 결로수배출부를 포함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에서 결로수배출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에서 포집덕트가 슬라이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은 조리용솥(10)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 및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써, 배기유도배출부(100), 조리가스배출부(200), 포집덕트(200) 및 결로수배출부(400)로 구성된다.
배기유도배출부(100)는 조리용솥(10)의 하부의 배기구(11)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를 조리공간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기유도배출부(100)는 개기구(11)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를 내부로 유입하여 상승 유동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기유도배출부(100)는 조리용솥(10)의 측부에 배치되되 조리용솥(10)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도배출부(100)는 지면에 설치하여 조리용솥(10)의 측부에 배치할 수 있도록 지면에 대하여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는 지지발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리가스배출부(200)는 배기유도배출부(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조리용솥(10)의 조리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를 배출한다. 조리가스배출부(200)는 배기유도배출부(100)의 상단에서 배기유도배출부(100)의 전면에 구비된다.
조리가스배출부(200)는 조리가스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유도송풍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도송풍수단은 조리과정에서 조리용솥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를 상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유도팬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를 같이 참조하면, 포집덕트(300)는 조리가스배출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조리가스를 포집한다. 포집덕트(300)는 조리가스배출부(200)의 하부에서 조리가스를 포집하여 조리가스배출부(200)로 조리가스를 모이도록 한다.
포집덕트(300)는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확대되는 콘형으로 형성되어 조리가스를 조리가스배출부(200)로 모이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같이 참조하면, 결로수배출부(400)는 포집덕트(3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조리가스배출부(200) 또는 포집덕트(300)에 생긴 결로수를 집수하여 배출한다.
조리과정에서 조리용솥(10)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는 고온으로 조리가스배출부(200)로 배출되지만 조리가 끝나면 냉각되어 조리가스의 배출경로에 배치된 조리가스배출부(200) 또는 포집덕트(300)에서 결로수를 형성한다.
이러한 결로수는 일정량 이상 모이게 되면 조리용솥(10)으로 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조리대상물의 위생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결로수배출부(400)는 위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포집덕트(300)의 하부에 구성되어 결로수가 조리용솥(10)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결로수배출부(400)는 조리가스배출부(200) 또는 포집덕트(300)에서 떨어지는 결로수를 받아내는 결로수배출판(410)과 포집덕트(300)의 하부에 구비되어 결로수배출판(410)을 거치하는 거치걸이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로수배출판(410)은 포집덕트(3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거치걸이부(420)에 거치되어 설치된다.
거치걸이부(420)는 결로수배출판(410)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잔방거치걸이(421)와 결로수배출판(41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후방거치걸이(422)로 구성된다.
전방거치걸이(421)는 포집덕트(300)의 전방측에 구비된다. 전방거치걸이(421)는 포집덕트(300)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결로수배출판(410)의 전단부를 지지한다.
후방거치걸이(422)는 결로수배출판(410)의 후단부를 거치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배기유도배출부(100)의 상단에서 조리용솥(1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배출지지암(110)에 설치된다. 여기서 배출지지암(110)은 조리가스배출부(200)를 조리용솥(10)의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배기유도배출부(100)의 전면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지지대이다.
후방거치걸이(422)는 배출지지암(110)의 후방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결로수배출판(410)의 후단부를 거치하여 지지한다.
이때, 결로수배출판(410)은 결로수가 조리용솥(10)에 떨어지지 않고 결로수배출판(410)의 후방으로 모아지도록 결로수배출판(410)의 후방으로 경사(θ)를 형성한다.
후방거치걸이(422)가 전방거치걸이(421)보다 하방으로 더 길게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결로수배출판(410)이 후방으로 경사(θ)를 형성하는 것이다.
결로수배출판(410)이 형성하는 경사(θ)는 2도에서 15도일 수 있다. 이는 결로수가 결로수배출판(410)에서 결로수배출판(410) 밖으로 떨어지지 않고 결로수배출판(410)의 후방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경사(θ)가 2도 보다 작으면 결로수가 후방으로 잘 모이지 않으며, 15도보다 크면 결로수배출판(410)의 후방에서 밖으로 떨어질 수 있다.
결로수는 음식인 조리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냉각된 것으로 일반적인 수분과 다르게 일정한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결로수배출판(410)이 일정한 경사(θ)를 형성하지 않으면 결로수배출판(410)에서 배출을 위해 한곳으로 모으기가 힘들다. 또한, 경사(θ)가 너무 크면 결로수가 일정량 이상 모이기 전에 결로수배출판(410) 밖으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경사(θ)를 2도에서 15도로 형성함으로써, 결로수는 일정량 이상 후방으로 모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결로수배출판(410)은 결로수를 받아 배출할 수 있도록 사각의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로배출판(410)은 결로수가 방울지게 맺히도록 상면에 발수가공코팅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결로수배출판(410)은 상면의 양측부에 결로수가 결로수배출판(410)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결로수차단턱(411)을 구비한다.
결로수차단턱(411)은 결로수가 결로수배출판(410)의 외부로 나가는 것을 막도록 결로수배출판(4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결로수차단턱(411)은 결로수배출판(410)의 양측부 뿐만 아니라 후방거치걸이(422)에 걸리는 결로수배출판(410)의 후단부에도 형성할 수 있다. 즉, 결로수차단턱(411)은 전방거치걸이(421)에 걸리는 결로수배출판(410)의 전단부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같이 참조하면, 포집덕트(300)는 상부에 슬라이드판(310)을 구비하고, 배출지지암(110)은 슬라이드판(310)이 슬라이딩하여 삽입되도록 하부에 슬라이딩결합구(111)를 구비한다.
포집덕트(300)는 상부에 형성한 슬라이드판(310)이 배출지지암(110)에 형성한 슬라이딩결합구(111)에 슬라이딩하면서 삽입되어 결합한다.
이때, 결로수배출판(410)이 전방거치걸이(421)와 후방거치걸이(422) 사이에 거치되어 설치되도록 전방거치걸이(421)가 포집덕트(300)의 하부에 결속되어 함께 슬라이딩된다.
결로수배출판(410)은 전단부가 전방거치걸이(421)에 거치되는데, 전방거치걸이(421)는 포집덕트(300)의 하부에 구비되므로, 포집덕트(300)를 배출지지암(110)에 슬라이딩 삽입할 때, 결로수배출판(410)도 함께 슬라이딩되면서 거치된다.
또한, 결로수배출판(410)은 하면 후단부에 후방거치걸이(422)의 전단에 걸리는 걸림턱(412)과, 하면 전단부에 전방거치걸이의 후단에 걸리며 손잡이가 되는 걸림손잡이(413)를 구비한다.
걸림턱(412)과 걸림손잡이(413)는 경사(θ)를 형성하는 결로수배출판(410)이 전방거치걸이(421) 및 후방거치걸이(422)에 각각 걸리도록 한다. 또한, 걸림손잡이(421)는 결로수배출판(410)을 슬라이딩하여 장착하거나 탈착하는데 손잡이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은, 조리용솥에서 조리 시 발생하는 조리가스가 포집되어 결로수로 되었을 때, 음식에 떨어지지 않도록 결로수배출판에 모아 후방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10: 조리용솥
11: 배기구
100: 배기유도배출부
110: 배출지지암
111: 슬라이딩결합구
200: 조리가스배출부
300: 포집덕트
310: 슬라이드판
400: 결로수배출부
410: 결로수배출판
411: 결로수차단턱
412: 걸림턱
413: 걸림손잡이
420: 거치걸이부
421: 전방거치걸이
422: 후방거치걸이

Claims (8)

  1. 조리용솥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 및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솥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용솥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소가스를 상부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배기유도배출부;
    상기 배기유도배출부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용솥의 조리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상기 조리가스를 배출하는 조리가스배출부;
    상기 조리가스배출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가스를 포집하는 포집덕트; 및
    상기 포집덕트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가스배출부 또는 포집덕트에 생긴 결로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결로수배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로수배출부는,
    상기 조리가스배출부 또는 포집덕트에서 떨어지는 결로수를 받아내는 결로수배출판; 및
    상기 포집덕트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결로수배출판을 거치하는 거치걸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걸이부는 상기 포집덕트 전방측에 구비된 전방거치걸이와, 상기 배기유도배출부 상단에서 상기 조리용솥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리가스배출부가 설치되는 배출지지암 후방측에 구비된 후방거치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결로수배출판은 전단부는 상기 전방거치걸이에 거치되고 후단부는 상기 후방거치걸이에 거치되고,
    상기 결로수배출판은, 하면 후단부에 상기 후방거치걸이의 전단에 걸리는 걸림턱과, 하면 전단부에 상기 전방거치걸이에 걸리며 손잡이가 되는 걸림손잡이를 구비하는,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수배출판이 후방으로 경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전방거치걸이보다 상기 후방거치걸이가 하방으로 더 길게 돌출되게 형성하여, 결로수는 조리용솥에 떨어지지 않고 상기 결로수배출판의 후방으로 모아지는,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수배출판의 경사는 2도에서 15도를 형성하는,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수배출판의 경사는 10도를 형성하는,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수배출판은 상면 양측부에 결로수가 아래로 흐르지 않도록 결로수차단턱을 구비하는,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덕트는 상부에 슬라이드판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지지암은 상기 슬라이드판이 슬라이딩하여 삽입되도록 하부에 슬라이딩결합구를 구비하여,
    상기 결로수배출판이 상기 전방거치걸이와 상기 후방거치걸이 사이에 거치되어 설치되도록 상기 전방거치걸이가 상기 포집덕트 하부에 결속되어 함께 슬라이딩되는,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손잡이는 상기 전방거치걸이 후단에 걸리는,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KR1020220014313A 2022-02-03 2022-02-03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KR102411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313A KR102411279B1 (ko) 2022-02-03 2022-02-03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313A KR102411279B1 (ko) 2022-02-03 2022-02-03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279B1 true KR102411279B1 (ko) 2022-06-22

Family

ID=8221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313A KR102411279B1 (ko) 2022-02-03 2022-02-03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2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419B1 (ko) * 2023-09-20 2023-12-27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후드형 국솥
KR102646744B1 (ko) * 2023-07-03 2024-03-12 화신주방산업(주)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32U (ja) * 1991-07-02 1993-01-26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加熱調理器用収納庫
JP2009201502A (ja) * 2008-01-31 2009-09-10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過熱水蒸気による加熱処理装置
KR20190075404A (ko) * 2017-12-21 2019-07-01 이선재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
KR102325015B1 (ko) 2021-09-07 2021-11-11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32U (ja) * 1991-07-02 1993-01-26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加熱調理器用収納庫
JP2009201502A (ja) * 2008-01-31 2009-09-10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過熱水蒸気による加熱処理装置
KR20190075404A (ko) * 2017-12-21 2019-07-01 이선재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
KR102325015B1 (ko) 2021-09-07 2021-11-11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744B1 (ko) * 2023-07-03 2024-03-12 화신주방산업(주)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KR102618419B1 (ko) * 2023-09-20 2023-12-27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후드형 국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1279B1 (ko)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US20200205610A1 (en) Grilling appliance having air jacket for smoke removal and ventilation
KR101478038B1 (ko) 무연 그릴
JP2016519993A (ja) 空気ベースのフライヤ
KR101833302B1 (ko) 솥 배기장치
KR100835756B1 (ko) 요리용 석쇠 조립체
KR20170085631A (ko) 유분제거가 용이한 레인지후드
KR20230101576A (ko)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KR100865430B1 (ko) 석쇠 조립체와 그 사용 방법
KR101599056B1 (ko) 내장형 무연 조리기
GB2086034A (en) Exhausting cooking fumes from hobs
CN116801774A (zh) 具有空气净化双循环系统的电烤炉
KR102662569B1 (ko) 조리용 환기유도 덕트
KR102646744B1 (ko)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JPS58104430A (ja) 加熱調理器の排気装置
JPS5951294B2 (ja) 焼肉用コンロに於ける冷却除煙装置
JP4462778B2 (ja) 加熱調理器
JP3718861B2 (ja) 組込型ガス調理機器
KR102402760B1 (ko)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KR102646749B1 (ko)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부침기
JPS6115965B2 (ko)
KR100447249B1 (ko) 연기가 나지 않는 석쇠 구이장치
CN214048477U (zh) 保护罩、盖体以及烹饪器具
KR20200012307A (ko) 조리기기
JP2018009752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