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760B1 -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 Google Patents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760B1
KR102402760B1 KR1020210191789A KR20210191789A KR102402760B1 KR 102402760 B1 KR102402760 B1 KR 102402760B1 KR 1020210191789 A KR1020210191789 A KR 1020210191789A KR 20210191789 A KR20210191789 A KR 20210191789A KR 102402760 B1 KR102402760 B1 KR 102402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duct
discharge
pot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천
Original Assignee
화신주방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신주방산업(주) filed Critical 화신주방산업(주)
Priority to KR1020210191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솥을 사용함에 있어서 조리 연소과정에 발생되는 연소가스와 함께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배출시키며 나아가 조리가스에서 배출과정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원활하게 처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발명이다.
즉 본 발명은 조리솥과 유도덕트로 구비하고, 유도덕트는 조리용솥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상부로 유도 배출할 수 있게 구비된 배기유도배출부와 배기유도배출부의 전면에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조리가스배출부, 상기 조리가스배출부의 하부에 조리가스의 배출을 포집할 수 있게 구비되는 포집덕트 및 상기 포집덕트의 하부에 결로수를 집수 배출하는 결로수배출부로 구성된 조리용솥을 제공하여 배기유도배출부의 전면에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조리가스배출부와 상기 조리가스배출부에 조리가스의 배출을 포집할 수 있게 구비되는 포집덕트 및 상기 포집덕트의 하부에 결로수를 집수 배출하는 결로수배출부로 구성함으로써, 조리 연소과정에 발생되는 연소가스와 함께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배출시켜 연소가스와 조리가스로 인한 조리작업자의 피해가 최소화하며, 조리가스를 포집시에 발생하는 결로수를 음식에 낙수되지 않게 집수하여 후방으로 배출하는 효과를 갖는 발명이다.

Description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CAULDRON}
본 발명은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솥과 유도덕트로 구성된 조리용솥에 있어서, 조리가 되는 내솥과 가열 버너가 있는 외솥, 가열 연소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배기유도배출부,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조리가스배출부, 상기 조리가스배출부에 조리가스의 배출을 포집할 수 있게 구비되는 포집덕트 및 상기 포집덕트의 하부에 결로수를 집수 배출하는 판형에 결로배출판을 갖는 결로수배출부를 구비하여서, 조리 과정중 발생하는 배출가스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하며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가 조리작업자에 작용되지 않도록 포집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조리가스에 함유된 수분이 결로되어 음식물로 낙수되는 것을 방지되는 조리용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 솥은 단체급식과 같이 대용량의 음식이 요구되는 곳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한 번에 많은 양의 음식을 조리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조리용 솥은 조리할 음식물이 담아지는 솥부와, 상기 솥부의 하부 측 외면을 감싸며 가열 및 배기 통로를 형성하는 솥하우징과, 상기 솥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어서 솥부의 바닥부를 가열하여 조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가스버너와, 상기 배기통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솥하우징에 형성한 배기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한 조리용 솥은 조리 연소과정에 배기부를 통하여 300~500℃의 고온 상태의 연소가스가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배출된 연소가스는 솥하우징의 외면을 따라 상승되어 솥부의 상단부와 접한 후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데, 이때, 방출된 연소가스는 조리용솥의 상단을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조리용솥의 뒤틀림 변형을 유발하고 주변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주변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조리용솥에서 배출된 연소가스를 청장에 구비되는 환기부 유도배출할 수 있게 한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이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이상과 같은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은 조리용솥의 배기구에서 돌출형성되는 배기유도판과 상기 배기유도판과 접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수직으로 유동시켜 환기부를 유도하는 수직유도관 및 상기 수직유도관을 지지하는 스탠드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은 조리용솥에 구비된 배기유도판에 수직유도관을 근접시켜서 상기 조리용솥의 배기구와 배기유도판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수직유도관을 통하여 상부로 유도하여서 연소가스가 환기부로 유도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종래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는 조리 연소과정에 발생하는 연소가스만을 배출하게 구성되어 있어 조리과정에 조리사가 조리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어, 특허 제10-232501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리용솥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상부로 유도 배출할 수 있게 구비된 배기유도배출부와 배기유도배출부의 전면에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조리가스배출부 및 상기 조리가스배출부의 하부에 조리가스의 배출을 포집할 수 있게 구비되는 포집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조리가스배출부는 배기유도배출부의 상단에서 조리솥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배출지지암과 상기 배출지지암에 조리가스를 상부로 흡입 배출하도록 형성된 배출유도송풍부로 구성하고; 상기 배출유도송풍부는 배출지지암의 상부에 안착되며 배출지지암의 전면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되어 분리가능하게 구비한 팬프레임과 조리가스를 상부로 배출하는 유도송풍수단으로 구성한 것이 개발되어 실시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된 포집덕트를 구비하여 조리가스를 상부로 배출하는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는 사용시에 조리가스가 포집덕트 및 배출유도송풍구에서 결로되어 결로수로 조리작업자 및 조리음식물에 낙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298811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이 조리 연소과정에 발생하는 연소가스만을 배출하게 구성되어 있어 조리과정에 조리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로부터 조리작업자가 보호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조리가스의 포집과정에서 결로수가 발생하여 음식물로 낙수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에 있어서, 조리솥과 유도덕트로 구비하고, 유도덕트는 조리용솥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상부로 유도 배출할 수 있게 구비된 배기유도배출부와 배기유도배출부의 전면에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조리가스배출부, 상기 조리가스배출부의 하부에 조리가스의 배출을 포집할 수 있게 구비되는 포집덕트 및 상기 포집덕트의 하부에 결로수를 집수 배출하는 결로수배출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기유도배출부의 전면에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조리가스배출부와 상기 조리가스배출부에 조리가스의 배출을 포집할 수 있게 구비되는 포집덕트 및 상기 포집덕트의 하부에 결로수를 집수 배출하는 결로수배출부로 구성함으로써, 조리 연소과정에 발생되는 연소가스와 함께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배출시켜 연소가스와 조리가스로 인한 조리작업자의 피해가 최소화하며, 조리가스를 포집시에 발생하는 결로수를 음식에 낙수되지 않게 집수하여 후방으로 배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실시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솥과 유도덕트의 결속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덕트의 하부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덕트의 상부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로배출판의 설치의 예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들림회전축부의 구비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손잡이 구조로 구비된 배출판손잡이를 보인 예시도.
도 10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결로수포집통부를 구비한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2 및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유도송풍구의 모습 및 그 결속방법을 보인 예시도.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에어토출송풍관을 구비한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기발전부의 구비한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6 및 1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집덕트와 필터판의 모습과 그 결속방법을 보인 예시도.
도 18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판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조리용솥을 사용함에 있어서 조리 연소과정에 발생되는 연소가스와 함께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는 것이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조리용솥에 있어서, 일측에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솥과 일측에 연소가스 및 조리가스를 배출시키는 유도덕트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리솥는 음식물을 담는 내솥과 상기 내솥을 감싸수용하며 후방에 배기구를 갖는 외솥, 상기 외솥 하부에서 내솥을 가열하는 버너 및 솥을 지지하는 솥지지프레임(13)으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도덕트는 외솥 후방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유도배출하는 배기유도배출부(100)와 전면에 내솥 상부 조리물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를 유도배출하는 조리가스배출부(200) 및 유도덕트를 지지하는 덕트지지프레임(21)으로 구성하고, 상기 조리가스배출부(200)의 하부에 조리가스의 배출을 포집할 수 있게 구비되는 포집덕트(300) 및 상기 포집덕트(300)의 하부에 결로수를 집수 배출하는 결로수배출부(500)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조리솥과 유도덕트의 결속거리 및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솥지지프레임(13)과 덕트지지프레임(21)을 결속하는 프레임결속부(30)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결속부(30)는 조리솥과 유도덕트의 결속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덕트지지프레임(30)는 지면에 안착되어 유도덕트를 지지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덕트지지프레임(30)는 지면에 대하여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게 구비되는 지지발과 상기 지지발의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기둥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덕트지지프레임(30)의 지지발은 지면에 고정설치되게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덕트지지프레임(30)의 지지발에는 구름이동가능하게 구름바퀴가 구비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기유도배출부(100)는 배기유입부(110)와 배기유도덕트(12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배기유입부(110)는 덕트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조리용솥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배기유입부(110)는 호형을 이루는 조리용솥의 외면에 대응하여 돌출단부를 호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배기유입부(110)는 조리용솥의 회전과정에 간섭이 방지되게 조리솥 외면 및 조리솥 배기구와의 사이에 회전공극(112)을 형성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기유입부(110)는 상기 돌축단부 측면에 상기 조리용솥의 배기구를 양측으로 감싸도록 돌출된 이탈방지구(113)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기유입부(110)는 연소가스의 유입이 공기의 상승유동에 의하여 유도유입되게 하부를 개구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유도덕트(120)는 배기유입부(110)의 조리용솥 반대 측 단부에서 연소가스를 상부로 상승 유동 배출시킬 수 있게 상부로 돌출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리가스배출부(200)는 배기유도배출부(100)의 전면에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게 조리솥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리가스배출부(200)는 배출지지암(210)과 상기 배출지지암(210)에 구비되는 배출유도송풍부(220)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배출지지암(210)은 배기유도배출부(100)의 상단에서 조리솥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지지암(210)은 배기유도배출부(100)의 양측에서 각기돌출되는 지지암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유도송풍부(220)는 팬프레임(230)과 유도송풍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팬프레임(230)은 배출지지암(210)의 상부에 안착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팬프레임(230)은 배출지지암(210)의 전면으로 슬라이딩 돌출 분리가능하게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도송풍수단은 전원공급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조리용솥에서 조리과정에 발생한 조리가스를 상부로 배출할 수 있게 구비되는 유도팬(241)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도송풍수단은 팬프레임(230)의 내측에 상부로 유도에어를 토출하여 조리용솥에서 조리과정에 발생한 조리가스를 상부로 배출할 수 있게 구비되는 유도에어토출송풍관(242)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도에어토출송풍관(242)은 다각형관체 또는 원형관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유도에어토출공(242a)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유도에어토출송풍관(242)은 팬프레임(230)과 배출지지암(210) 또는 배기유도배출부(100)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유도에어공급펌프(243)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동작되는 것이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팬프레임(230)에 유도전기발전부(251)를 구비하고, 배출지지암(210)에 유도발전자기장을 방사하는 유도기전패드(252)를 구비하며, 상기 유도기전패드(252) 측에 유도전기발정부의 접촉을 감지하여 유도기전패드(252)의 동작을 제어하는 유도전원제어부(253)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팬프레임(230)의 일측에 전력을 저장하는 저장배터리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덕트(300)는 조리가스배출부(200)의 하부에 조리가스의 배출을 포집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포집덕트(300)는 하부로 갈수로 외경이 확대되는 콘형으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포집덕트(300)는 팬프레임(230)의 하부에 슬라이딩 착탈가능하도록 팸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덕트슬라이딩결합구(231)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슬라이딩결합구(231)에 슬라이딩 착탁되는 포집덕트(300)의 상부에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진 덕트슬라이드판(31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포집덕트(300)의 하단 내면에는 주변의 조리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원형관체로 이루어져 포집에어를 송풍하는 포집에어관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포집에어관에의 상부에는 포집에어를 토출하는 포집에어토출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결로수배출부(500)는 상기 포집덕트(300) 하부에 결로수를 집수배출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결로수배출부(500)는 조리가스배출부(200)에서 떨어지는 결로수를 받아내는 판형에 결로배출판(510)과 상기 결로배출판(510)이 포집덕트(300) 하부에 놓이도록 거치되게 포집덕트(300) 전방측에 전방걸침걸이(520a) 및 배출지지암측 후방에 후방걸침걸이(520b)로 구비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로배출판(510)의 넓이는 상기 포집덕트(300)의 중앙상부에 덕트홀 보다 더 크게 형성하며 결로배출판(510)이 포집덕트(300)의 테두리 위치를 포용하도록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포집덕트(300)는 팬프레임(230)의 하부에 슬라이딩 착탈가능하도록 팬프레임(230)의 하부 양측에 덕트슬라이딩결합구(231)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슬라이딩결합구(231)에 슬라이딩 삽입되게 포집덕트(300)의 상부에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진 덕트슬라이드판(310)을 구비하고, 상기 결로배출판(510)이 상기 포집덕트(300)와 결속되어 함께 동작되도록 형성하여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로배출판(510)은 양측 모서리에 결로수가 넘어가지 않도록 상부로 돌출된 결로수차단면(510a)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로배출판(510) 상부는 결로수가 방울지게 맺히게하는 결로배출판(510) 상부에 발수가공코팅면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로배출판(510) 상부에 떨어지는 결로수가 튀지 않도록 결로수튐방지망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로배출판(510)은 상부에 고인 결로수를 조리공간 후방으로 배출유도하도록 결로배출판(510)의 거치모양이 후방으로 하강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구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결로배출판(510)이 후방으로 하강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후방걸침걸이(520b)가 전방걸침걸이(520a) 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로배출판(510)이 전방걸침걸이(520a)와 후방걸침걸이(520b) 사이에 걸치도록 상기 전방걸침걸이(520a)가 포집덕트(300)에 하부에 결속되어 함께 슬라이딩 동작되게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포집덕트(300)가 슬라이딩 후 전방걸침걸이(520a)와 후방걸침걸이(520b)에 결로배출판(510)이 거치되도록 상기 결로배출판(510)은 후방 하부에 상기 후방걸침걸이(520b)에 전단에 걸리는 배출판걸림턱(511)과 상기 결로배출판(510) 전방 하부에 상기 전방걸침걸이(520a) 후단에 걸리며 손잡이가 되는 배출판손잡이(512)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결로배출판(510)과 전방걸침걸이(520a) 및 후방걸침걸이(520b)는 결로배출판이 전방걸침걸이(520a)와 후방걸침걸이(520b)에 거치시에 결로배출판이 자력에 의하여 거치위치를 유도받으며 거치후 이탈하지 않도록 자력고정되도록 배출판고정자력구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로배출판(510) 후단측 배기유도배출부(100) 정방에 결로배출판(510) 후방으로 포집배출되는 결로수를 모아담도록 결로수포집통부(54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결로배출판(510) 후방에 결로수를 후방 일점포인트로 모아 떨어지도록 하는 배출포인트부(513)를 구비하고, 상기 결로수포집통부(540)는 결로배출판 후방 배출포인트부(513)로 하부로 떨어지는 결로수를 받는 포집갈때기와 포집깔대기하부에 결로수가 모이는 통형의 집수통으로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로배출판(510)은 상기 후방걸침걸이(520b)에 축고정되고 결로배출판 전방부를 들어 경사를 줘서 결로배출판 상부에 응집된 결로수를 후방으로 원활하게 배출시키도록 상기 결로배출판과 후방걸침걸이(520b) 접촉부위에 회전축이 되는 들림회전축부(530)를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들림회전축부(530)는 결로배출판을 일정힘이상으로 당겼을시 분리되도록 끼움구조 형상 또는 자력포인트결속구조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로배출판(510)은 조리가스가 결로배출판하부면을 타고 원활하게 상부로 배출되도록 중앙하부로 볼목한 u자형 굽은판형으로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판손잡이(512)는 손잡이에 결로수가 응집되지 않게 손잡이가 필요따라 탈부착이되도록 탈부착손잡이구조 구비하고, 상기 탈부착손잡이구조는 결로배출판측과 배출판손잡이 결속부위에 자력에 의하여 손잡이결속포인트를 갖는 손잡이결속자력구(512a)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배기유도배출부(100)와 포집덕트(300) 사이에 필터삽입구(410)를 형성하고, 상기 필터삽입구(4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판(42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필터판(420)은 사각프레임을 성하는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망 및 필터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는 필터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실시에 따른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도배출부(100)와 조리가스배출부(200)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배기유도배출부(100)로 조리용솥에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조리가스를 조리실 천장 외부 환기 후드로 배출하며, 조리가스배출부(200)로 조리시발생하는 조리가스를 배출함으로, 조리시 발생하는 잔여가스배출을 통한 안전확보와 열기배출을 통한 조리환경을 개선, 연기와 냄새를 배출하여 위생상의 문제점을 개선하며, 특히나 상기 조리가스배출구의 배출유도송풍부(220)의 동력으로 발생한 배출기류에 상기 배기유도배출부(100)의 배기가스가 함께 딸려 후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배출 및 환기의 효율이 높아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포집덕트(300) 하부에 결로수배출부(500)를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포집덕트(300)와 배출유도송부구에서 발생하는 결로수가 결로수배출부(500)의 결로배출판(510)으로 위로 떨어져 음식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나아가 결로수배풀부의 결로배출판(510)을 후방으로 경사지게 구비하고 배출관로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경사를 따라 조리솥 후방으로 유도배출하여 조리 음식물에 결로수가 들어가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의 위생을 안정하게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집덕트(300)는 팬프레임(230)의 하부에 슬라이딩 착탈가능하도록 팬프레임(230)의 하부 양측에 덕트슬라이딩결합구(231)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슬라이딩결합구(231)에 슬라이딩 삽입되게 포집덕트(300)의 상부에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진 덕트슬라이드판(310)을 구비하고, 상기 결로배출판(510)이 포집덕트(300)에 결속되어 함께 동작되게하면 포집덕트(300)와 결로배출판(510)을 장치에서 분리하여 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위생적 효과를 갖는 것이다.
10: 조리솥
11: 내솥 12: 외솥
12a: 배기구
13: 솥지지프레임
20: 유도덕트 21: 덕트지지프레임
30: 프레임결속부
100: 배기유도배출부
110: 배기유입부
111: 돌출단부 112: 회전공극
113: 이탈방지구
120: 배기유도덕트
200: 조리가스배출부
210: 배출지지암 220: 배출유도송풍부
230: 팬프레임 231: 덕트슬라이딩결합구
241: 유도팬 242: 유도에어토출송풍관
242a: 유도에어토출공
243: 유도에어공급펌프
251: 유도전기발전부 252: 유도기전패드
253: 유도전원제어부
300: 포집덕트
310: 덕트슬라이드판
410 : 필터삽입구 420 : 필터판
500: 결로수배출부
510: 결로배출판 510a: 결로수차단면
511: 배출판걸림턱
512: 배출판손잡이 512a: 손잡이결속자력구
513: 배출포인트부
520a: 전방걸침걸이 520b: 후방걸침걸이
530: 들림회전축부 540: 결로수포집통부

Claims (5)

  1. 일측에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솥과 일측에 연소가스 및 조리가스를 배출시키는 유도덕트로 구성된 조리용솥에 있어서,
    상기 조리솥는 음식물을 담는 내솥과 상기 내솥을 감싸며 수용하는 외솥, 상기 외솥 하부에서 내솥을 가열하는 버너 및 솥을 지지하는 솥지지프레임으로 구성하고,
    상기 유도덕트는 외솥 후방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유도배출하는 배기유도배출부와 내솥 상부 조리물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를 유도배출하는 조리가스배출부 및 유도덕트를 지지하는 덕트지지프레임으로 구성하고.
    상기 조리가스배출부의 하부에 조리가스의 배출을 포집할 수 있게 구비되는 포집덕트 및 상기 포집덕트의 하부에 결로수를 집수 배출하는 결로수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로수배출부는 조리가스배출부에서 떨어지는 결로수를 받아내는 판형에 결로배출판과 상기 결로배출판이 포집덕트 하부에 놓이도록 거치되게 포집덕트 전방측에 전방걸침걸이 및 배출지지암측 후방에 후방걸침걸이로 구비하고,

    상기 결로배출판이 후방으로 하강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후방걸침걸이가 전방걸침걸이 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구비하고,

    상기 포집덕트는 팬프레임의 하부에 슬라이딩 착탈가능하도록 팬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덕트슬라이딩결합구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슬라이딩결합구에 슬라이딩 삽입되게 포집덕트의 상부에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진 덕트슬라이드판을 구비하고,

    상기 결로배출판이 전방걸침걸이와 후방걸침걸이 사이에 걸치도록 상기 전방걸침걸이가 포집덕트에 하부에 결속되어 함께 슬라이딩 동작되며,

    상기 결로배출판은 후방 하부에 상기 후방걸침걸이에 전단에 걸리는 배출판걸림턱과 상기 결로배출판 전방 하부에 상기 전방걸침걸이 후단에 걸리며 손잡이가 되는 배출판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2. 제 1항에 있어서,
    조리솥과 유도덕트의 결속거리 및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솥지지프레임과 덕트지지프레임과 결속하는 프레임결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배출판 후단측 배기유도배출부 정방에 결로배출판 후방으로 포집배출되는 결로수를 모아담도록 결로수포집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로배출판 후방에 결로수를 후방 일점포인트로 모아 떨어지도록 하는 배출포인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로수포집통부는 결로배출판 후방 배출포인트부로 하부로 떨어지는 결로수를 받는 포집갈때기와 포집깔대기하부에 결로수가 모이는 통형의 집수통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배출판은 상기 후방걸침걸이에 축고정되고 결로배출판 전방부를 들어 경사를 줘서 결로배출판 상부에 응집된 결로수를 후방으로 원활하게 배출시키도록 상기 결로배출판과 후방걸침걸이 접촉부위에 회전축이 되는 들림회전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KR1020210191789A 2021-12-29 2021-12-29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KR102402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789A KR102402760B1 (ko) 2021-12-29 2021-12-29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789A KR102402760B1 (ko) 2021-12-29 2021-12-29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760B1 true KR102402760B1 (ko) 2022-05-30

Family

ID=8180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789A KR102402760B1 (ko) 2021-12-29 2021-12-29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7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32U (ja) * 1991-07-02 1993-01-26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加熱調理器用収納庫
JP2009201502A (ja) * 2008-01-31 2009-09-10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過熱水蒸気による加熱処理装置
KR101298811B1 (ko) 2013-01-23 2013-08-22 화신주방산업(주) 배기열 차열구조를 갖는 조리용 솥
KR20190075404A (ko) * 2017-12-21 2019-07-01 이선재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
KR102325015B1 (ko) * 2021-09-07 2021-11-11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32U (ja) * 1991-07-02 1993-01-26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加熱調理器用収納庫
JP2009201502A (ja) * 2008-01-31 2009-09-10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過熱水蒸気による加熱処理装置
KR101298811B1 (ko) 2013-01-23 2013-08-22 화신주방산업(주) 배기열 차열구조를 갖는 조리용 솥
KR20190075404A (ko) * 2017-12-21 2019-07-01 이선재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
KR102325015B1 (ko) * 2021-09-07 2021-11-11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756B1 (ko)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EP3203159B1 (en) Induction ventilation system for both air supply and exhaust
KR102325015B1 (ko)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US6158426A (en) Water circulated grill with water catching steamer
KR100823674B1 (ko) 고기 구이기의 후드 및 탈취장치
KR102403712B1 (ko)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KR100819482B1 (ko) 주방용 후드장치
KR102411279B1 (ko)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KR101460243B1 (ko) 연기흡입 고기구이 장치
KR102402760B1 (ko)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KR20230101576A (ko)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KR102402758B1 (ko)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JP2869455B2 (ja) 無煙加熱調理器
KR102152770B1 (ko) 이동식 연기 포집기
KR102303590B1 (ko)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KR102250904B1 (ko)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는 개량형 전기식 로스터
KR200408483Y1 (ko) 숯불 로스터
KR102662569B1 (ko) 조리용 환기유도 덕트
KR20230116236A (ko) 연기흡입과 숯불의 잔숯 처리 가능한 고기 굽는 화로
KR102332753B1 (ko)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
AU711120B2 (en) Exhaust apparatus for cooking and mounting method thereof
KR102641936B1 (ko) 음식물 구이기
KR200337385Y1 (ko) 구이기의 연기 흡입 장치
KR102646744B1 (ko)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KR102489504B1 (ko)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