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236A - 연기흡입과 숯불의 잔숯 처리 가능한 고기 굽는 화로 - Google Patents

연기흡입과 숯불의 잔숯 처리 가능한 고기 굽는 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236A
KR20230116236A KR1020220012914A KR20220012914A KR20230116236A KR 20230116236 A KR20230116236 A KR 20230116236A KR 1020220012914 A KR1020220012914 A KR 1020220012914A KR 20220012914 A KR20220012914 A KR 20220012914A KR 20230116236 A KR20230116236 A KR 20230116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pipe
blowing
hole
char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지삼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스와이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스와이푸드 filed Critical (주)제이에스와이푸드
Priority to KR1020220012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6236A/ko
Publication of KR20230116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2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37/079Charcoal igni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기흡입과 숯불의 잔숯처리가 가능한 고기구이 장치는, 상면에 받침공이 형성된 테이블에 안착되며, 연기흡입 내관이 측벽을 따라 형성된 받침대 중앙에 설치공이 형성되고 설치공의 하부에 송풍 연통관이 형성되는 화로를 결합하여 측면에 다수의 배기공이 설치된 송풍구로 빠져나가게 바람을 배출하는 송풍팬, 받침대에 안착되고 중앙에 송풍 파이프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화로통과 받침대에 안착되어 연기흡입하는 정화통 하단에 숯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는 송풍조절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송풍손잡이를 통해 화력을 조절하며 잔숯을 제거함에 있어 쾌적하게 식사를 할 수 있으며 화로구이 특성의 연기를 연기흡입 정화통으로 흡입하게 하고, 이후 냄새 및 연기를 연기흡입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함으로써 옷에 고기냄새 등이 배지 않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기흡입과 숯불의 잔숯 처리 가능한 고기 굽는 화로 {It's a grill that can absorb smoke and grill meat.}
본 발명은 연기흡입 및 숯불의 강도를 조절, 숯이 타고 남은 잔숯(재)을 제거하는 화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숯불에 구워질 육가공식품을 강한 화력과 숯이 타며 나오는 먼지 및 잔숯을 제거하며 육류가 익으며 발생하는 연기 또한 흡입하는 숯불 화로에 관한 것이다.
숯을 이용한 화로의 경우 천장에 배기장치를 설치하는 것과 환기구의 청소 및 관리가 필요하며 숯에 점화 및 재사용 숯은 긴 시간의 연소과정이 필요하며 중간마다 발생하는 먼지 및 숯의 잔숯들을 처리하는 업무에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국내 등록특허 제10-2019-0033744호는 가장 보편화된 화로의 모양을 가지고 있다. 여러 사업장에서 보편화되어 사용되는 화로들과 천장 배기덕트, 숯불착화기, 숯불연소기등 업무함에 필요한 장비를 별도 구입함과 이를 관리 수리함에 있어 불편함이 있으며 관리하는 직원들의 업무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는 바이다.
본 발명은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잔숯을 제거함에 있어 편리성과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인 화로에는 상방으로 올라가는 냄새 또는 연기를 상부에 설치된 배기장치를 통해 제거하는 것과는 다르게 본 발명은 화로가 부착된 테이블과 외부에 연결된 배기장치 및 정화통을 연기흡입 파이프와 연결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숯을 이용한 조리에 있어 청결하고 질 좋은 숯을 제공하기 위해 숯이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잔숯을 제거함에 있어 숯 청결도와 숯의 화력조절에 속도를 더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잔숯 제거를 위해 외부로 운반 후 제거하는 과정을 테이블에 연결된 배기장치를 이용하여 하단으로 잔숯을 흡입 하며 외부 정화통을 통해 처리함에 있어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쾌적한 환경에서 식사를 제공한다. 또한 배기장치를 통해 숯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에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숯을 이용한 화로에 편의성과 청결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쾌적한 취식을 위함과 동시에 이용자의 업무량을 줄여줄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연기흡입 정화통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흡입 고기구이 장치(10)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기흡입 고기구이 장치(10)는 상면에 받침공(25)이 형성된 테이블(20); 상기 받침공(25)에 안착되며, 연기흡입 내관(130)이 측벽을 따라 형성된 받침대(100); 중앙에 설치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210)의 하부에 송풍 연통관(250)이 형성되는 구이판(200); 상기 설치공(2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측면에 다수의 배기공(232)이 상기 설치공(2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송풍 손잡이(230); 상기송풍 연통관(250)이 안착하는 송풍 파이프(350)를 통해 바람을 배출하는 송풍팬(355); 상기 받침대(100)에 안착되고 중앙에 상기 송풍 파이프(350)가 관통하는 관통공(440)이 형성된 화로통(400); 상기 구이판(200)을 둘러싸도록 상기 받침대(100)에 안착되는 연기흡입 정화통(500); 및 상기 연기흡입내관(130)의 하단(170)에 결합되는연기흡입 파이프(150)를 통해 연기를 흡입하는 흡기팬(15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기흡입 고기구이 장치(10)는 중앙에 받침공(25)이 형성된 일반적인 테이블(20)에 장착되게 된다. 상기 받침공(25)에는 연기흡입 내관(130)이 측벽을 따라 형성된 받침대(100)가 장착되게 된다. 상기 연기흡입 내관(130)의 하단(170)에는 연기흡입 파이프(150)가 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연기흡입 내관(130)의 하단(170)은 상기 연기흡입 파이프(150)가 결합되는 부분 이외에는 모두 밀봉되어 있다. 상기 연기흡입 파이프(150)의 타단에는 연기를 흡입하는 흡기팬(155)이 위치하게 된다. 후술하겠지만, 연기흡입 정화통(500)을 통해 흡입된연기는 상기 연기흡입 내관(130)으로 들어가게 되고, 연기흡입 내관(130)의 하단(170)은 연기흡입 파이프(150)와 결합된 부분 이외에는 모두 밀봉되어 있으므로, 흡기팬(155) 가동시 연기흡입 내관(130)에 머물러 있는 연기는 모두 연기흡입 파이프(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00)의 일측에는 상기 연기흡입 내관(130)을 지지하는 다수의 고정대(18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설치공(210)으로부터 바람이 올라오게 되면, 송풍 손잡이(230)의 배기공(232)을 통해 바람이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 손잡이(230)는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은 원추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데, 이렇게 되면, 상기 배기공(232)을 통해서 바람이 배출되는 경우 바람은 아래쪽 경사진 방향으로 불게 된다. 이는 상기 배기공(232)을 통해서 배출되는 바람이 후술할 연기흡입 정화통(500)의 연기흡입 통공(532)으로 직접적으로 흡입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이판(200)의 설치공(210)의 하부에는 송풍 연통관(25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송풍 연통관(250)은 송풍 파이프(350)에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 파이프(350)의 타단에는바람을 배출하는 송풍팬(355)이 위치하게 된다. 받침대(100)는 화로통(400)이 안착되는 하부 안착대(120)와 정화통(500)이 안착되는 상부 안착대(110)가 2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안착대(110)의 상부에는 고기를 구이판에 구울때 구이판에서 흐르는고기기름이 모아지는 홈(115)이 형성되어 있다. 화로통(400)은 중앙에상기 송풍파이프(350)가 관통하는 관통공(44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화로통(400)은 송풍 파이프(350)를 관통하여 받침대(100)의 하부 안착대(120)에 안착되게 된다. 화로통(400)의 내부에는 숯불 등을 넣어서 불을 지필수 있는 홈(420)이 형성되어 있다.
연기흡입 정화통(500)이 구이판(200)을 둘러싸면서 받침대(100)의 상부 안착대(11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기흡입 정화통(500)은 원통 형상의 외통체(510), 상기 외통체(510)의 내측에 이격하여 배치되며, 다수의 연기흡입 통공(532)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내통체(530), 상기 외통체(510)와 내통체(530)의 상단을 연결하는 이음부(520) 및 상기 외통체(510)와 내통체(530) 사이에 하단이 개방된 흡입관(5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관(550)의 외측부분은 연기흡입 내관(130)과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기흡입 정화통(500)의 내통체(530)에 형성된 연기흡입 통공(532)을 통하여 흡입된 연기는 상기 연기흡입 정화통(500) 하단의 개방된 흡입관(550)을 통해 받침대(100)의 내관(130)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흡기팬(155)에 의해 연기흡입 내관(130)에 머물러 있는 연기는 모두 연기흡입 파이프(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550)의 내측부분은 내통체(530)의 내측 공간(537)과도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연기흡입통공(532)을 통하여 흡입된 연기의 일부는 내통체(530)의 내측 공간(537), 즉, 화로통(400) 및 내통체(530)의 내측부분의 공간(537)에 잠시 머무르게 된다. 이는 화로통(400)에 있는 숯불 등에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여 숯불이 오래도록 지속되도록 하며, 또한 숯불에 의해 데워진 상기 공간(537)의 온도를 일정시간 유지시키는 역할 또한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기흡입 고기구이 장치(10)의 전체적인 작동방식에 대해설명한다. 우선, 화로통(400)에 숯을 채우고, 구이판에 고기를 올려서 굽게 된다. 그리고, 바람을 배출하는 송풍팬(355) 및 연기를 흡입하는 흡기팬(155)을 가동시킨다. 송풍팬(355)이 바람을 배출하면 송풍 파이프(350)를 통해 바람이 올라가게 되고, 바람은 송풍 연통관(250)을 통해 송풍 손잡이(230)에 다다르게 된다. 그리고, 송풍 손잡이(230)의 외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기공(232)을 통해 바람이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손잡이(230)는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은 원추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배기공(232)을 통해서 배출되는 바람은 아래쪽 경사진 방향으로 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람은 연기흡입 정화통(500)의 연기흡입 통공(532)으로 직접적으로 들어가게 된다. 즉, 구이판에서 고기가 구워지면서 발생하는 냄새나 연기가 송풍 손잡이(230)에서 배출되는 바람에 의해 직접적으로 연기흡입 정화통(500)의 내통체(530)에 형성된 연기흡입 통공(532)으로 흡입되는 것이다. 위 과정까지가 송풍팬(355)에 의해 배출된 바람이 고기가 구워지면서 발생하는 냄새 및 연기와 함께 상기 내통체(530)의 연기흡입 통공(532)으로 들어가게 되는 과정이고, 그 이후의 과정은 흡기팬(155)에 의해 냄새 또는 연기가 흡입되는 과정이다. 상기 연기흡입 통공(532)으로 들어온 냄새 또는 연기의일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통체(530)의 내측 공간(537)에 잠시 머무르게 되면서 화로통(400)의 숯불에 공기를공급하게 되고, 나머지 냄새 또는 연기는 받침대(100)의 내관(130)으로 들어가게 된다. 받침대(100)의 내관(130)은 하단(170)이 연기흡입 파이프(150)와 결합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밀봉되어 있고, 연기흡입 파이프(150)의 타단에 위치한 흡기팬(155)이 작동하고 있으므로, 받침대(100)의 내관(130)으로 들어온 냄새 또는 연기는 모두 연기흡입 파이프(150)로 흡입되고, 이후에는 상기 연기흡입 이프(150)의 타단으로 냄새 또는 연기가모두 배출되게 된다. 이로써, 고기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 또는 연기가 모두 외부로 배출되게된다.
일반적인 연기흡입 고기구이 장치가 상방으로 올라가는 냄새 또는 연기를 상부에 설치된 흡입장치 등에서 흡입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연기흡입 고기구이 장치(10)는 송풍 손잡이(230)를 통해 배출되는 바람이 냄새 또는 연기와 함께 직접적으로 연기흡입 정화통(500)의 연기흡입 통공(532)으로 들어가게 하여 연기흡입 파이프(150)를 통해 냄새 또는 연기를 하방으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구조로써, 냄새 또는 연기가 실내에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기흡입 고기구이 장치(10)는 상면에 받침공(25)이 형성된 테이블(20) 또는 좌석식 상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테이블(20)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송풍 파이프(350)를 둘러싸도록 연기흡입 파이프(150)가 결합된 받침대(100)를 설치하고, 화로통(400)을 송풍 파이프(350)를 관통하여 받침대(100)의 하부 받침대(120)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받침대(100)의 상부 받침대(110)에 연기흡입 정화통(500)을설치하게 된다. 상기 상부 받침대(110)는 테이블(20)의 높이에 맞춰서 설치되고,연기흡입 정화통(500)은 테이블(20)의 상부로 돌출되게 된다. 그리고, 구이판(200)의 설치공(210) 하부에 형성된 송풍 연통관(250)을 송풍파이프(350)에 안착시킨다. 송풍 손잡이(230), 구이판(200) 및 송풍 연통관(250)은 모두 함께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송풍 손잡이(230)를 잡고 구이판(200)을 운반하기가 용이하고, 구이판을 사용한 후 세척하고,다시 구이판의 송풍 연통관(250)을 송풍 파이프(350)에 안착시켜서 재사용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연기흡입 고기구이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연기흡입 고기구이 장치 100 : 받침대
110 : 상부안착대 115 : 고기기름 홈
120 : 하부 안착대 130 : 연기흡입 내관
150 : 연기흡입 파이프 155 : 흡기팬
180 : 고정대
210 : 설치공 230 : 송풍 손잡이
232 : 배기공 234 : 마늘구이 홈
250 : 송풍 연통관 350 : 송풍 파이프
355 : 송풍팬 400 : 화로통
440 : 관통공 500 : 연기흡입 정화통
510 : 외통체 520 : 이음부
530 : 내통체 532 : 연기흡입 통공
550 : 흡입관

Claims (1)

  1. 상면에 받침공이 형성된 테이블
    상기 받침공에 안착되며, 연기흡입 내관이 측벽을 따라 형성된 받침대
    상기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의 하부에 송풍 연통관의 형성되는 화로
    상기 설치공의 상부에 결합되며, 측면에 다수의 배기공이 상기 설치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송풍 손잡이
    상기 송풍 연통관이 안착하는 송풍 파이프를 통해 바람을 배출하는 송풍팬
    상기 받침대에 안착되고 중앙에 상기 송풍파이프가 관동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화로통
    상기 구이판을 둘러싸도록 상기 받침대에 안착되는 연기흡입 정화통
    상기 연기흡입 내관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기흡입 파이프를 통해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흡입 고기구이 장치
KR1020220012914A 2022-01-28 2022-01-28 연기흡입과 숯불의 잔숯 처리 가능한 고기 굽는 화로 KR20230116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914A KR20230116236A (ko) 2022-01-28 2022-01-28 연기흡입과 숯불의 잔숯 처리 가능한 고기 굽는 화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914A KR20230116236A (ko) 2022-01-28 2022-01-28 연기흡입과 숯불의 잔숯 처리 가능한 고기 굽는 화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236A true KR20230116236A (ko) 2023-08-04

Family

ID=87568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914A KR20230116236A (ko) 2022-01-28 2022-01-28 연기흡입과 숯불의 잔숯 처리 가능한 고기 굽는 화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62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038B1 (ko) 무연 그릴
JPH0197420A (ja) バーベキュー調理装置
KR102325015B1 (ko)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GB2149495A (en) Apparatus for roasting food or other materials
KR101460243B1 (ko) 연기흡입 고기구이 장치
KR101819635B1 (ko) 이동형 스마트 불판
US20030192528A1 (en) Method of treating oily smoke, fumes, vapor or ordors
JP2869455B2 (ja) 無煙加熱調理器
KR100566386B1 (ko) 초벌구이용 화덕구이기
KR20230116236A (ko) 연기흡입과 숯불의 잔숯 처리 가능한 고기 굽는 화로
KR101670628B1 (ko) 급속 가열 및 화력 조절이 가능한 구이 화덕
KR102403712B1 (ko)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KR102250904B1 (ko)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는 개량형 전기식 로스터
KR20230101576A (ko)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KR101629604B1 (ko) 화기 조절 및 제연 기능을 구비한 구이용 테이블
KR200338454Y1 (ko) 환기기능을 가지는 구이장치
KR102208632B1 (ko)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공기 순환식 로스터
KR102152770B1 (ko) 이동식 연기 포집기
KR200298943Y1 (ko) 로스터
JP3805328B2 (ja) 排煙機能付ロースター
JP2016061480A (ja) 加熱調理装置
JP2582368Y2 (ja) 無煙ロースター
KR20170142716A (ko)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용 테이블
KR102201076B1 (ko)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
KR200254154Y1 (ko) 가스 및 숯 겸용 고기구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