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076B1 -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076B1
KR102201076B1 KR1020190022910A KR20190022910A KR102201076B1 KR 102201076 B1 KR102201076 B1 KR 102201076B1 KR 1020190022910 A KR1020190022910 A KR 1020190022910A KR 20190022910 A KR20190022910 A KR 20190022910A KR 102201076 B1 KR102201076 B1 KR 102201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rcoal
heat
charcoal fire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4517A (ko
Inventor
유정운
이제희
Original Assignee
유정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운 filed Critical 유정운
Priority to KR102019002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07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conveyors moving in a horizontal or an inclined pla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6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불을 이용하여 구이재료에 열을 가함에 있어서, 화상의 염려가 없고, 구이재료의 가열 또는 숯불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유닛과, 본체유닛에 구비되고 본체유닛에서 구이재료가 안착된 재료수용부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운반유닛 및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어 본체유닛의 양측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재료수용부를 향해 열이 전달되도록 열이 발생되는 숯불이 안착되는 숯불통유닛을 포함하고, 본체유닛에 구비되고 공기를 흡입하여 숯불통유닛에 공급하는 송풍기와, 본체유닛의 상측에 구비되고 구이재료의 가열 및 숯불의 연소에 따라 본체유닛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키는 연기배출유닛 및 본체유닛에 구비되고 운반유닛을 향해 열을 발산하는 대류가열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CHARCAOL FIRE BURNER}
본 발명은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숯불을 이용하여 구이재료에 열을 가함에 있어서, 화상의 염려가 없고, 구이재료의 가열 또는 숯불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돼지고기 삼겹살은 지방이 많고 육즙이 풍부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서민들의 식단에 자주 애용된다. 또한, 돼지고기 삼겹살은 직장인들의 회식자리 및 야외 캠핑장 등에서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음식이다.
일반적으로, 삼겹살구이기는 야외에서 숯불 등을 이용해 직화로 즐기는 무게가 가볍고 휴대가 편리한 야외용 구이기와 실내에서 테이블과 구이기가 결합되어 연탄,숯불,전기,가스 등의 열원을 이용, 영업용으로 사용되는 구이기 및 가정에서 흔하게 쓰이는 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삼겹살은 지방이 많은 식재료로 열원이 삼겹살에 직접 가열되는 직화로 조리하면 삼겹살 지방에서 생성되는 기름 성분이 숯불 등의 열원으로 떨어져 연소되는 과정에서 그을름이 발생되어 삼겹살을 오염시킨다.
삼겹살은 일반적으로 숯불에 구워야 고기에서 생기는 기름이 제거되고, 나무향과 고기가 어우러져 가장 맛있는 구이를 즐길 수 있으나 위와 같은 이유로 조리에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71682호 (발명의 명칭 : 숯불 삼겹살구이기, 2014. 06. 12. 공개)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8367호 (고안의 명칭 : 장어구이용 매연제거장치, 2001. 10. 18.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숯불을 이용하여 구이재료에 열을 가함에 있어서, 화상의 염려가 없고, 구이재료의 가열 또는 숯불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유닛에서 구이재료가 안착된 재료수용부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운반유닛; 및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본체유닛의 양측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재료수용부를 향해 열이 전달되도록 열이 발생되는 숯불이 안착되는 숯불통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유닛에 구비되고,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숯불통유닛에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본체유닛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이재료의 가열 및 상기 숯불의 연소에 따라 상기 본체유닛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키는 연기배출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운반유닛을 향해 열을 발산하는 대류가열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유닛은, 양측에 각각 상기 숯불통유닛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숯불열발생부; 상기 숯불열발생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운반유닛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재료수용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재료통과부; 상기 숯불열발생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숯불열발생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물질수용부; 상기 이물질수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이재료에 열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재료수용부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수조부재; 및 상기 연소배출유닛이 적층 지지되도록 상기 재료통과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숯불에서 발생되는 열의 대류공간을 형성하는 열보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숯불열발생부에는, 상기 제2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숯불통유닛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숯불통수용부; 및 상기 숯불통수용부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숯불통수용부의 입구로부터 상기 재료통과부를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는 열유도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숯불열발생부에는, 상기 열유도부의 단부로부터 하향 경사를 이루는 낙하유도돌부;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숯불열발생부에는, 상기 재료수용부가 진입하는 상기 재료통과부의 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수조부재를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1배출유도부; 및 상기 재료수용부가 배출되는 상기 재료통과부의 출구 측으로부터 상구 수조부재를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2배출유도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운반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재료수용부의 이동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운반모터; 상기 재료수용부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본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연동로드; 상기 운반모터의 회전력을 다수의 연동로드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다수의 연동로드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다수의 연동로드를 상호 연결하는 로드연동부;를 포함한다.
좀더 자세하게,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제1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숯불열발생부의 전방과 후방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유닛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반유닛은, 상기 유닛설치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닛설치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로킷; 상기 숯불열발생부와 상기 재료통과부의 경계 부분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본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연동로드; 상기 본체유닛의 외측에서 다수의 연동로드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연동스프로킷; 상기 연동스프로킷에서 이격되어 상기 본체유닛의 외측에서 다수의 연동로드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전달스프로킷;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전달스프로킷을 연결하는 구동체인; 및 상기 다수의 연동스프로킷을 상호 연결하는 연동체인;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운반유닛은, 상호 인접한 두 연동스프로킷 사이에서 상기 연동체인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유닛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장력축을 중심으로 아이들 회전되는 장력스프로킷;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숯불통유닛은, 상부가 개구된 중공의 숯불통바디; 상기 숯불통바디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수용되는 공기수용공간과, 상기 숯불이 수용되는 숯불수용공간으로 상기 숯불통바디의 내부를 구획하는 숯불지지망부; 및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상기 제2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유닛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상기 숯불통바디의 측면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기배출유닛은, 상기 열보강부와 연통되어 상기 연기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유로; 상기 배출유로에 구비되고, 상기 연기를 흡입하는 배출팬; 및 내부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상기 배출팬에 의해 흡입된 상기 연기를 정화시키는 연기정화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기정화부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고, 상부에는 상기 연기가 물을 통과하여 정화됨에 따라 정화기체가 배출되는 정화배출구가 구비되는 연기정화헤더; 상기 배출팬에 의해 흡입된 상기 연기가 상기 연기정화헤더의 내부에 공급되도록 상기 연기정화헤더의 바닥으로부터 직립하여 돌출되는 연기공급유로; 및 상기 연기정화헤더의 내부에서 상기 연기공급유로의 단부를 이격된 상태로 감싸되, 하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연기정화헤더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 침지되는 연기리턴캡;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기배출유닛은, 상기 배출팬이 상기 연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배출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연기가 포집되는 연기포집헤더; 및 상기 연기정화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저장된 물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는 상기 본체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구이재료에 전달되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상기 재료수용부의 이동속도와, 상기 숯불통유닛에 공급되는 공기의 송풍량과, 상기 재료수용부 주변의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에 따르면, 숯불을 이용하여 구이재료에 열을 가함에 있어서, 화상의 염려가 없고, 구이재료의 가열 또는 숯불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숯불에서 발생되는 열의 상승 작용 및 상승된 열의 대류의 대류 작용을 통해 재료수용부에 열이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고, 재료수용부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을 안정되게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유도부를 통해 숯불에서 발생되는 열을 재료수용부로 집중시킴은 물론, 재료수용부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이 숯불통유닛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숯불통유닛에서 이물질에 의해 매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재료수용부의 구이재료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낙하유도돌부를 통해 열유도부의 하면으로 액상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재료수용부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을 수조부재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배출유도부와 제2배출유도부를 통해 재료통과부의 입구 측 하부와 재료통과부의 출구 측 하부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수조부재로 유도하고, 재료통과부의 하부를 청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닛설치부를 통해 숯불에서 발생되는 열, 이물질, 연기 등으로부터 운반모터 및 송풍기를 보호하고, 숯불열발생부와 재료통과부를 단열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구버퍼부와 출구버퍼부를 통해 재료통과부의 열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재료통과부에서 열을 안정되게 보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구개폐부재와 출구개폐부재를 통해 외기가 재료통과부를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재료통과부에서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반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재료통과부에서 재료수용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이물질이 안정되게 수조유닛에 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력스프로킷의 부가 구성을 통해 연동스프로킷과 연동체인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연동스프로킷에서 연동체인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숯불통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숯불에 안정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숯불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으며, 숯불통유닛의 탈부착 과정에서 화상 등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숯불통유닛의 서랍식 결합 구조를 통해 숯의 양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기배출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열보강부로 포집되는 연기를 배출시킴에 있어서 연기의 정화를 간편하게 하고, 본체유닛의 주변으로 연기에 의한 냄새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유로를 통해 연기의 방열시켜 연기정화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기정화부 및 이의 세부 구성을 통해 열보강부로부터 전달되는 연기가 안정되게 물을 통과하도록 하고, 열보강부로 연기 또는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역류에 따른 재료수용부 및 구이재료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부의 부가 구성을 통해 연기가 물을 통과할 때, 연기와 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연기의 정화력을 향상시키고, 연기에 포함된 재와 수용성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기포집헤더 및 이의 세부 구성을 통해 열보강부로부터 전달되는 연기를 추가 방열하고, 연기의 방열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기의 부가 구성을 통해 숯불통유닛에 수용되는 숯불의 화력을 조절하고, 숯불에서 강제로 연기를 생성시켜 재료통과부에서 훈연의 효과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으며, 열보강부에서 연기의 배출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류가열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재료통과부의 온도를 조절하여 재료수용부의 구이재료에 대한 굽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센서를 통해 재료통과부의 온도를 감시할 수 있고, 제어유닛을 통해 재료통과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구이재료의 굽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에서 본체유닛의 숯불열발생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에서 송풍기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에서 연기배출유닛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에서 제어유닛에 의한 제어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는 본체유닛(10)과, 운반유닛(20)과, 숯불통유닛(30)을 포함하고, 송풍기(40)와, 연기배출유닛(50)과, 대류가열유닛(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며, 온도센서(70)와, 제어유닛(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방향은 구이재료가 안착된 재료수용부(90)가 본체유닛(10)에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앞뒤 방향을 나타내고, 제2방향은 제1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좌우 방향을 나타내며, 높이 방향은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재료수용부(90)는 삼겹살 등과 같이 숯불의 열로 구울 수 있는 구이재료가 안착되는 용기이고, 메쉬 구조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열에 의해 구이재료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은 재료수용부(90)에서 배출되도록 한다.
본체유닛(10)은 외관을 형성한다.
본체유닛(10)은 숯불열발생부(11)와, 재료통과부(14)와, 이물질수용부(17)와, 수조부재(171)와, 열보강부(18)를 포함하고, 유닛설치부(12)를 더 포함하며, 배출더미부(13)를 더포함하고, 입구버퍼부(15)와, 출구버퍼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숯불열발생부(11)는 숯불통유닛(30)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숯불열발생부(11)는 숯불통유닛(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승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숯불열발생부(11)의 양측에는 각각 제2방향을 기준으로 숯불통유닛(30)이 안착되는 숯불통수용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유닛(10)에서 재료수용부(9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 숯불통수용부(111)는 숯불열발생부(11)의 양측에서 제1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숯불통수용부(111)는 본체유닛(10)의 측면을 향해 개구되어 숯불통수용부(111)의 입구를 형성하고, 숯불통유닛(30)의 탈부착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숯불통수용부(111)는 본체유닛(10)의 상부를 향해 개구되어 숯불통유닛(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안정되게 상승하도록 한다. 숯불통수용부(111)에는 송풍기(4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공급홀(11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숯불열발생부(11)에는 재료수용부(90)가 진입하는 재료통과부(14)의 입구 측으로부터 수조부재(171)를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1배출유도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배출유도부(112)는 유닛설치부(12)와 숯불열발생부(11)를 구획하고, 재료통과부(14)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을 수조부재(171)로 유도할 수 있다.
숯불열발생부(11)에는 재료수용부(90)가 배출되는 재료통과부(14)의 출구 측으로부터 수조부재(171)를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2배출유도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배출유도부(113)는 배출더미부(13)와 숯불열발생부(11)를 구획하고, 재료통과부(14)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을 수조부재(171)로 유도할 수 있다.
숯불열발생부(11)에는 숯불통수용부(111)의 입구로부터 재료통과부(14)를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는 열유도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열유도부(114)는 숯불통수용부9)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된다. 평면 상태에서 열유도부(114)는 숯불통수용부(111)를 가려 재료통과부(14)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이 숯불통유닛(30)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2방향을 기준으로 숯불통수용부(111)의 폭은 열유도부(114)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재료수용부(90)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이 숯불통수용부(111)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숯불열발생부(11)에는 열유도부(114)의 단부로부터 하향 경사를 이루는 낙하유도돌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낙하유도돌부(115)는 열유도부(114)로 낙하한 이물질을 수조부재(171)로 유도하고, 이물질이 숯불통유닛(30)을 향해 흘러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재료통과부(14)는 숯불열발생부(11)의 상부에 구비된다. 재료통과부(14)는 운반유닛(20)에 의해 이동되는 재료수용부(9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재료통과부(14)는 제1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재료통과부(14)는 숯불열발생부(11)와 연통되어 숯불열발생부(11)의 열이 전달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재료통과부(14)의 측면에는 투시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재료통과부(14)를 이동하는 재료수용부(90)의 이동 상태 및 구이재료의 구이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물질수용부(17)는 숯불열발생부(11)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물질수용부(17)는 숯불열발생부(11)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이물질수용부(17)는 숯불열발생부(11)와 연통되어 재료통과부(14)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이 숯불열발생부(11)를 통과하여 이물질수용부(17)에 전달되도록 한다.
수조부재(171)는 이물질수용부(17)에 탈부착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이재료에 열이 전달됨에 따라 구이재료로부터 이물질이 발생되고, 이물질은 재료수용부(90)로부터 낙하한다. 이때, 수조부재(171)는 재료수용부(90)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이 수용된다. 여기서, 수조부재(171)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어 이물질을 냉각시키고, 이물질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줄일 수 있다.
열보강부(18)는 재료통과부(14)의 상부에 구비된다. 열보강부(18)의 상측에는 연소배출유닛()이 지지된다. 열보강부(18)는 재료통과부(14)와 연통되어 숯불에서 발생되는 열을 저장한다. 열보강부(18)에는 숯불에서 발생되는 열이 공급됨에 따라 숯불에서 발생되는 열의 대류공간을 형성한다. 열보강부(18)의 상부에는 연기배출유닛(50)과의 연결을 위해 연기배출부(18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연기배출부(181)는 둘 이상이 열보강부(18)의 천장에 상호 이격되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유닛설치부(12)는 제1방향을 기준으로 숯불열발생부(11)의 전방과 후방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숯불열발생부(11)와 유닛설치부(12) 사이에는 제1배출유도부(112)와 제2배출유도부(113)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어 숯불열발생부(11)와 유닛설치부(12)를 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닛설치부(12)는 숯불열발생부(11)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배출더미부(13)는 제1방향을 기준으로 숯불열발생부(11)의 전방과 후방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다. 숯불열발생부(11)와 배출더미부(13) 사이에는 제1배출유도부(112)와 제2배출유도부(113) 중 다른 하나가 구비되어 숯불열발생부(11)와 배출더미부(13)를 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출더미부(13)는 숯불열발생부(11)의 후방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입구버퍼부(15)는 제1방향을 기준으로 재료통과부(14)의 전방에 구비된다. 입구버퍼부(15)는 재료통과부(14)와 연통되어 재료수용부(9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구버퍼부(15)는 유닛설치부(12)로부터 구획되어 유닛설치부(12)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입구버퍼부(15)에서 재료수용부(90)가 진입하는 입구는 입구개폐부재(151)에 의해 개폐된다.
출구버퍼부(16)는 제1방향을 기준으로 재료통과부(14)의 후방에 구비된다. 출구버퍼부(16)는 재료통과부(14)와 연통되어 재료수용부(9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출구버퍼부(16)는 배출더미부(13)로부터 구획되어 배출더미부(13)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배출버퍼부()에서 재료수용부(90)가 배출되는 출구는 출구개폐부재(161)에 의해 개폐된다.
운반유닛(20)은 본체유닛(10)에 구비된다. 운반유닛(20)은 본체유닛(10)에서 구이재료가 안착된 재료수용부(90)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운반유닛(20)은 본체유닛(10)에 구비되고 재료수용부(90)의 이동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운반모터(21)와, 재료수용부(90)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제1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본체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연동로드(24)와, 운반모터(21)의 회전력을 다수의 연동로드(24)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다수의 연동로드(24)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다수의 연동로드(24)를 상호 연결하는 로드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운반유닛은 운반모터(21)의 회전력 및 체인과 스프로킷의 동력전달구조를 통해 재료수용부(90)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운반유닛(20)은 운반모터(21)와, 구동스프로킷(22)과, 연동로드(24)와, 연동스프로킷(25)과, 전달스프로킷(26)과, 구동체인(23)과, 연동체인(27)을 포함하고, 장력스프로킷(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운반모터(21)는 본체유닛(10)의 유닛설치부(12)에 구비된다. 운반모터(21)는 재료수용부(90)의 이동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운반모터(21)는 본체유닛(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동축(211)을 회전시킨다. 운반모터(21)에는 구동축(211)의 감속비를 조절하는 감속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스프로킷(22)은 구동축(211)에 결합된다. 구동스프로킷(22)은 구동축(211)과 함께 회전된다.
연동로드(24)는 다수 개가 제1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본체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동로드(24)는 숯불열발생부(11)와 재료통과부(14)의 경계 부분에서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연동로드(24)에는 재료수용부(90)가 안착되고, 연동로드(24)의 회전에 따라 재료수용부(90)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연동로드(24)의 일단부는 구동축(211)에 대응하여 본체유닛(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연동스프로킷(25)은 다수 개가 본체유닛(10)의 외측에서 다수의 연동로드(24)에 각각 결합된다. 연동스프로킷(25)은 연동로드(24)와 함께 회전된다.
전달스프로킷(26)은 연동스프로킷(25)에서 이격되어 본체유닛(10)의 외측에서 다수의 연동로드(24)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전달스프로킷(26)은 연동로드(24)와 함게 회전된다. 전달스프로킷(26)은 본체유닛(10)의 외측에서 구동스프로킷(22)과 동일 평면에 구비되도록 한다.
구동체인(23)은 구동스프로킷(22)과 전달스프로킷(26)을 연결한다. 구동체인(23)은 구동스프로킷(22)의 회전에 따라 전달스프로킷(26)이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연동체인(27)은 다수의 연동스프로킷(25)을 상호 연결한다. 연동체인(27)은 전달스프로킷(26)의 회전에 따라 연동스프로킷(25)이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장력스프로킷(28)은 상호 인접한 두 연동스프로킷(25) 사이에서 연동체인(27)에 연결된다. 장력스프로킷(28)은 본체유닛(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장력축(281)에 결합된다. 장력스크로킷()은 장력축(281)을 중심으로 아이들 회전되도록 한다. 장력스프로킷(28)은 상호 인접한 두 연동스프로킷(25) 사이에서 연동체인(27)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켜 연동스프로킷(25)에서 연동체인(27)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연동체인(27)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숯불통유닛(30)은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어 본체유닛(10)의 숯불열발생부(1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숯불통수용부(11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숯불통유닛(30)의 내부에는 재료수용부(90)를 향해 열이 전달되도록 열이 발생되는 숯불이 안착된다.
숯불통유닛(30)은 숯불통바디(31)와, 숯불지지부(32)와, 손잡이(33)를 포함할 수 있다.
숯불통바디(31)는 상부가 개구된 중공의 함체이다.
숯불통바디(31)에는 공기전달홀(311)이 관통 형성된다. 공기전달홀(311)은 숯불통수용부(111)에 숯불통유닛(30)이 삽입될 때, 숯불통수용부(111)에 구비된 공기공급홀(11a)과 연통되어 공기공급홀(11a)로부터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다. 공기전달홀(311)은 제2방향을 기준으로 본체유닛(10)의 외측으로 편심 형성되어 손잡이(33)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고, 손잡이(33)를 방열할 수 있다.
숯불통바디(31)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공기전달홀(311)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수용되는 공기수용공간(312)이 구비될 수 있다.
숯불통바디(31)에는 공기수용공간(312)과 분리되어 숯불이 수용되는 숯불수용공간(313)이 구비될 수 있다.
숯불지지부(32)는 숯불통바디(31)의 내부를 구획한다. 숯불지지부(32)는 공기수용공간(312)과 숯불수용공간(313)의 경계를 형성한다. 숯불지지부(32)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송풍홀이 관통 형성되어 공기수용공간(312)의 공기가 숯불에 전달되도록 하고, 숯불에 전달되는 공기에 의해 숯불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숯불지지부(32)는 제2방향을 기준으로 공기수용공간(312)의 상부로부터 숯불수용공간(313)의 하부를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숯불열발생부(11)의 중앙을 향해 숯불의 양을 증가시키고, 숯불에서 발생되는 열의 상승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손잡이(33)는 숯불통바디(31)의 측면에 구비된다. 손잡이(33)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제2방향을 기준으로 본체유닛(10)의 외측에 노출된다. 손잡이(33)는 숯불지지부(32)를 기준으로 공기수용공간(312) 쪽에서 숯불통바디(31)의 측면에 구비된다.
송풍기(40)는 본체유닛(10)의 유닛설치부(12)에 구비된다. 송풍기(40)는 공기를 흡입하여 숯불통유닛(30)에 공급한다. 송풍기(40)와 공기공급홀(11a)은 공기의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송풍유로(41)에 의해 연결되고, 송풍기(40)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숯불통수용부(111)의 공기공급홀(11a)에 공급된다. 송풍기(40)에는 연기배출유닛(5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연기배출유닛(50)에서 배출되는 정화기체는 정화배출라인(557)을 거쳐 송풍기(40)에 전달될 수 있다.
연기배출유닛(50)은 본체유닛(10)의 상측에 구비된다. 연기배출유닛(50)은 구이재료의 가열 및 숯불의 연소에 따라 본체유닛(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킨다.
연기배출유닛(50)은 배출유로(51)와, 배출팬(53)과, 연기정화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로(51)는 본체유닛(10)의 열보강부(18)와 연통되어 열보강부(18)에 수용되는 연기의 배출 경로를 형성한다. 배출유로(51)는 열보강부(18)의 천정에 관통 형성된 연기배출부(181)에 연결된다. 배출유로(51)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방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배출팬(53)은 배출유로(51)에 구비된다. 배출팬(53)은 배출유로(51)의 연기를 흡입한다.
연기정화부(54)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배출팬(53)에 의해 흡입된 연기를 정화시킨다.
연기정화부(54)는 연기정화헤더(55)와, 연기공급유로(56)와, 연기리턴캡(57)을 포함할 수 있다.
연기정화헤더(55)는 내부에 물이 저장된다. 그러면, 배출팬(53)으로부터 전달되는 연기는 물을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정화기체를 생성한다.
연기정화헤더(55)의 측면에는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유입구(551)가 구비된다. 물유입구(551)에는 물의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물유입라인(552)이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기정화헤더(55)의 내부에는 연기정화헤더(55)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수위조절부(미도시)는 물의 수위에 따라 물유입구(551)를 개폐할 수 있다.
연기정화헤더(55)의 측면에는 물유입구(551)로부터 이격되어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물유출구(553)가 구비된다. 물유출구(553)에는 물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물유출라인(554)이 연결된다. 물유출라인(554)에는 물배출필터(555)가 구비되어 물유출구(553)에서 배출되는 물을 여과함으로써, 물유출라인(554)의 물을 재사용할 수 있다. 물배출필터(555)에는 활성탄과 탄소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어 물유출라인(554)으로 배출되는 물에서 불순물과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물유출구(553)의 설치 높이는 물유입구(551)의 설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연기정화헤더(55)의 내부에서 물의 수위는 물유출구(553)의 설치 높이에 대응되도록 하여 연기정화헤더(55)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표면으로 부유된 이물질이 물유출구(55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연기정화헤더(55)의 상부에는 정화기체가 배출되는 정화배출구(556)가 구비된다. 정화배출구(556)에는 정화기체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정화배출라인(557)이 연결된다. 정화배출라인(557)은 송풍기(40)와 연결됨에 따라 정화기체를 회수하여 숯불통유닛(30)에 재공급하고, 불완전 연소 공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정화배출라인(557)에는 정화배출필터(558)가 구비되어 정화배출구(556)에서 배출되는 정화기체를 여과함으로써, 정화기체의 재사용시 정화기체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정화배출필터(558)에는 활성탄과 탄소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어 정화배출라인(557)으로 배출되는 정화기체에서 불순물과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연기공급유로(56)는 배출팬(53)에 의해 흡입된 연기를 연기정화헤더(55)의 내부에 공급한다. 연기공급유로(56)는 연기정화헤더(55)의 바닥으로부터 직립하여 연기정화헤더(55)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연기공급유로(56)는 복수 개로 분할되고, 각각의 연기공급유로(56)는 나선형을 나타내여 방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연기리턴캡(57)은 연기정화헤더(55)의 내부에서 연기공급유로(56)의 단부를 이격된 상태로 감싼다. 연기리턴캡(57)은 하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연기정화헤더(55)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 침지된다. 그러면, 연기정화헤더(55)의 내부에 저장된 물은 연기공급유로(56)로 역류되지 않고, 연기공급유로(56)를 통해 공급되는 연기는 연기정화헤더(55)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통과할 수 있다.
연기배출유닛(50)은 연기포집헤더(52)와, 진동부(5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기포집헤더(52)는 배출유로(51)를 통과하는 연기가 포집된다. 연기포집헤더(52)는 배출팬(53)과 배출유로(51)를 연결시켜 배출팬(53)이 연기를 안정되게 흡입하도록 한다.
연기포집헤더(52)는 포집헤더부(521)와, 수직유로부(522)와, 측면유로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헤더부(521)는 배출유로(51)로부터 전달되는 연기의 포집공간을 형성한다. 포집헤더부(521)의 상부에는 배출팬(53)이 결합된다.
수직유로부(522)는 포집헤더부(521)의 바닥으로부터 직립하여 포집헤더부(521)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수직유로부(522)는 다수의 배출유로(51) 중 연기의 송풍량이 가장 큰 배출유로(51)와 연결되어 열보강부(18) 내부의 연기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측면유로부(523)는 포집헤더부(521)의 둘레에 구비된다. 측면유로부(523)는 배출유로(51)의 개수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측면유로부(523)에서 유입되는 연기는 포집헤더부(521)의 둘레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포집헤더부(521)의 내부에서 사이클론 현상을 유도할 수 있다.
진동부(58)는 연기정화부(54)에 구비된다. 진동부(58)는 연기정화부(54)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 진동을 부여한다. 진동부(58)는 음파 또는 초음파가 발생되도록 하여 연기가 물을 통과할 때, 버블을 미세하게 분쇄시키고, 연기와 물의 접촉 면적을 극대화시켜 연기의 정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진동부(58)에는 진동의 부여 여부를 선택하는 진동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대류가열유닛(60)은 본체유닛(10)의 열보강부(18)에 구비된다. 대류가열유닛(60)은 운반유닛(20)을 향해 열을 발산한다. 대류가열유닛(60)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열이 발생되는 열선 또는 발열로드로 구성될 수 있다. 대류가열유닛(60)에는 열의 발산 여부를 선택하는 가열스위치(61)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센서(70)는 본체유닛(10)의 내부에서 구이재료에 전달되는 온도를 감지한다. 온도센서(70)는 재료통과부(14)의 상부 또는 열보강부(18)의 하부 또는 재료통과부(14)와 열보강부(18)의 경계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온도센서(70)는 재료통과부(14)의 입구 측과 출구 측 및 중앙 부분의 온도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
제어유닛(80)은 온도센서(70)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재료수용부(90)의 이동속도와, 숯불통유닛(30)에 공급되는 공기의 송풍량과, 재료수용부(90) 주변의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한다.
온도센서(7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범위보다 낮아지면, 제어유닛(80)은 운반유닛(20)의 운반모터(21)를 제어하여 재료수용부(90)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송풍기(40)를 제어하여 숯불통유닛(30)에 공급되는 공기의 송풍량을 늘리거나, 대류가열유닛(60)을 제어하여 재료수용부(90) 주변의 온도를 올릴 수 있다.
온도센서(7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범위보다 높아지면, 제어유닛(80)은 운반유닛(20)의 운반모터(21)를 제어하여 재료수용부(90)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거나, 송풍기(40)를 제어하여 숯불통유닛(30)에 공급되는 공기의 송풍량을 줄이거나, 대류가열유닛(60)을 제어하여 재료수용부(90) 주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그러면, 재료수용부(90)에 구이재료를 넣은 다음, 운반유닛(20)을 동작시키고, 재료수용부(90)를 재료통과부(14)에 투입하면, 재료수용부(90)는 재료통과부(14)를 따라 이동되고, 구이재료는 숯불에 의해 가열된다.
이때, 재료수용부(90)의 이동속도와, 숯불통유닛(30)에 공급되는 공기의 송풍량과, 재료수용부(90) 주변의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구이재료의 굽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에 따르면, 숯불을 이용하여 구이재료에 열을 가함에 있어서, 화상의 염려가 없고, 구이재료의 가열 또는 숯불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유닛(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숯불에서 발생되는 열의 상승 작용 및 상승된 열의 대류의 대류 작용을 통해 재료수용부(90)에 열이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고, 재료수용부(90)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을 안정되게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열유도부(114)를 통해 숯불에서 발생되는 열을 재료수용부(90)로 집중시킴은 물론, 재료수용부(90)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이 숯불통유닛(30)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숯불통유닛(30)에서 이물질에 의해 매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재료수용부(90)의 구이재료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낙하유도돌부(115)를 통해 열유도부(114)의 하면으로 액상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재료수용부(90)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을 수조부재(171)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1배출유도부(112)와 제2배출유도부(113)를 통해 재료통과부(14)의 입구 측 하부와 재료통과부(14)의 출구 측 하부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수조부재(171)로 유도하고, 재료통과부(14)의 하부를 청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유닛설치부(12)를 통해 숯불에서 발생되는 열, 이물질, 연기 등으로부터 운반모터(21) 및 송풍기(40)를 보호하고, 숯불열발생부(11)와 재료통과부(14)를 단열시킬 수 있다.
또한, 입구버퍼부(15)와 출구버퍼부(16)를 통해 재료통과부(14)의 열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재료통과부(14)에서 열을 안정되게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입구개폐부재(151)와 출구개폐부재(161)를 통해 외기가 재료통과부(14)를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재료통과부(14)에서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운반유닛(2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재료통과부(14)에서 재료수용부(9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이물질이 안정되게 수조부재(171)에 떨어지도록 한다.
또한, 장력스프로킷(28)의 부가 구성을 통해 연동스프로킷(25)과 연동체인(27)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연동스프로킷(25)에서 연동체인(27)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숯불통유닛(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숯불에 안정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숯불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손잡이(33)를 파지할 수 있으며, 숯불통유닛(30)의 탈부착 과정에서 화상 등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숯불통유닛(30)의 서랍식 결합 구조를 통해 숯의 양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연기배출유닛(5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열보강부(18)로 포집되는 연기를 배출시킴에 있어서 연기의 정화를 간편하게 하고, 본체유닛(10)의 주변으로 연기에 의한 냄새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유로(51)를 통해 연기의 방열시켜 연기정화부(54)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연기정화부(54) 및 이의 세부 구성을 통해 열보강부(18)로부터 전달되는 연기가 안정되게 물을 통과하도록 하고, 열보강부(18)로 연기 또는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역류에 따른 재료수용부(90) 및 구이재료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진동부(58)의 부가 구성을 통해 연기가 물을 통과할 때, 연기와 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연기의 정화력을 향상시키고, 연기에 포함된 재와 수용성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연기포집헤더(52) 및 이의 세부 구성을 통해 열보강부(18)로부터 전달되는 연기를 추가 방열하고, 연기의 방열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4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숯불통유닛(30)에 수용되는 숯불의 화력을 조절하고, 숯불에서 강제로 연기를 생성시켜 재료통과부에서 훈연의 효과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으며, 열보강부(18)에서 연기의 배출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대류가열유닛(6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재료통과부(14)의 온도를 조절하여 재료수용부(90)의 구이재료에 대한 굽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70)를 통해 재료통과부(14)의 온도를 감시할 수 있고, 제어유닛(80)을 통해 재료통과부(14)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구이재료의 굽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는 목적하는 적절한 굽기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초벌 구이하는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본체유닛 11: 숯불열발생부 11a: 공기공급홀
111: 숯불통수용부 112: 제1배출유도부 113: 제2배출유도부
114: 열유도부 115: 낙하유도돌부 12: 유닛설치부
13: 배출더미부 14: 재료통과부 15: 입구버퍼부
151: 입구개폐부재 16: 출구버퍼부 161: 출구개폐부재
17: 이물질수용부 171: 수조부재 18: 열보강부
181: 연기배출부 20: 운반유닛 21: 운반모터
211: 구동축 22: 구동스프로킷 23: 구동체인
24: 연동로드 25: 연동스프로킷 26: 전달스프로킷
27: 연동체인 28: 장력스프로킷 281: 장력축
30: 숯불통유닛 31: 숯불통바디 311: 공기전달홀
312: 공기수용공간 313: 숯불수용공간 32: 숯불지지부
33: 손잡이 40: 송풍기 41: 송풍유로
50: 연기배출유닛 51: 배출유로 52: 연기포집헤더
521: 포집헤더부 522: 수직유로부 523: 측면유로부
53: 배출팬 54: 연기정화부 55: 연기정화헤더
551: 물유입구 552: 물유입라인 553: 물유출구
554: 물유출라인 555: 물배출필터 556: 정화배출구
557: 정화배출라인 558: 정화배출필터 56: 연기공급유로
57: 연기리턴캡 58: 진동부 60: 대류가열유닛
61: 가열스위치 70: 온도센서 80: 제어유닛
90: 재료수용부

Claims (6)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유닛에서 구이재료가 안착된 재료수용부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운반유닛; 및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본체유닛의 양측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재료수용부를 향해 열이 전달되도록 열이 발생되는 숯불이 안착되는 숯불통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유닛에 구비되고,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숯불통유닛에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본체유닛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이재료의 가열 및 상기 숯불의 연소에 따라 상기 본체유닛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키는 연기배출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운반유닛을 향해 열을 발산하는 대류가열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유닛은, 양측에 각각 상기 숯불통유닛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숯불열발생부; 상기 숯불열발생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운반유닛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재료수용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재료통과부; 상기 숯불열발생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숯불열발생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물질수용부; 상기 이물질수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이재료에 열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재료수용부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수조부재; 및 상기 연기배출유닛이 적층 지지되도록 상기 재료통과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숯불에서 발생되는 열의 대류공간을 형성하는 열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숯불열발생부에는, 상기 제2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숯불통유닛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숯불통수용부; 상기 숯불통수용부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숯불통수용부의 입구로부터 상기 재료통과부를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는 열유도부; 및 상기 열유도부의 단부로부터 하향 경사를 이루는 낙하유도돌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숯불열발생부에는,
    상기 재료수용부가 진입하는 상기 재료통과부의 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수조부재를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1배출유도부; 및
    상기 재료수용부가 배출되는 상기 재료통과부의 출구 측으로부터 상구 수조부재를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2배출유도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재료수용부의 이동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운반모터;
    상기 재료수용부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본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연동로드;
    상기 운반모터의 회전력을 다수의 연동로드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다수의 연동로드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다수의 연동로드를 상호 연결하는 로드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숯불통유닛은,
    상부가 개구된 중공의 숯불통바디;
    상기 숯불통바디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수용되는 공기수용공간과, 상기 숯불이 수용되는 숯불수용공간으로 상기 숯불통바디의 내부를 구획하는 숯불지지망부; 및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상기 제2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유닛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상기 숯불통바디의 측면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
KR1020190022910A 2019-02-27 2019-02-27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 KR102201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910A KR102201076B1 (ko) 2019-02-27 2019-02-27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910A KR102201076B1 (ko) 2019-02-27 2019-02-27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517A KR20200104517A (ko) 2020-09-04
KR102201076B1 true KR102201076B1 (ko) 2021-01-11

Family

ID=7247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910A KR102201076B1 (ko) 2019-02-27 2019-02-27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0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409Y1 (ko) * 2001-11-14 2002-02-19 형 욱 강 고기구이기
KR200414389Y1 (ko) * 2005-12-29 2006-04-20 박칠규 조리 기구
KR200474981Y1 (ko) * 2013-04-22 2014-10-27 정건영 육류 구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367Y1 (ko) 2001-03-09 2001-10-18 신상욱 장어구이용 매연제거장치
KR20140071682A (ko) 2012-12-04 2014-06-12 우상범 숯불 삼겹살구이기
KR20160000039U (ko) * 2014-06-26 2016-01-06 조현수 회전식 구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409Y1 (ko) * 2001-11-14 2002-02-19 형 욱 강 고기구이기
KR200414389Y1 (ko) * 2005-12-29 2006-04-20 박칠규 조리 기구
KR200474981Y1 (ko) * 2013-04-22 2014-10-27 정건영 육류 구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517A (ko) 202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6572A (en) Turbo-charcoal barbecue
US4934260A (en) Food cooker and smoker
US6810792B1 (en) Barbecue oven having improved heat circulation
KR100628997B1 (ko) 상부에 개폐식 도어가 장착된 구이기
US20040226550A1 (en) Barbecue grill with smoke generator
KR101721368B1 (ko)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JP2007061515A (ja) 加熱調理器
US7305982B2 (en) Rapid ignition air assisted charcoal grill with waste disposal
KR101987880B1 (ko)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KR101394563B1 (ko) 휴대용 바비큐 구이 장치
KR101721805B1 (ko) 바베큐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CN1466881A (zh) 电烤炉的空气循环结构
EP1312293B1 (en) Domestic oven for barbecuing
KR102201076B1 (ko)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
KR100869071B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KR20100002316U (ko)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
KR100870582B1 (ko) 참나무 장작 만능 구이기
KR100512564B1 (ko) 숯불구이장치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KR200474981Y1 (ko) 육류 구이장치
KR102345327B1 (ko) 야외용 고기 굽는 장치
CN111839261B (zh) 一种复合式保温节能烧烤装置
KR100877590B1 (ko) 고기구이장치
KR101996013B1 (ko) 가스 점화유닛을 가지는 숯불 로스터
KR100673592B1 (ko) 바비큐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