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316U -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 - Google Patents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316U
KR20100002316U KR2020080011299U KR20080011299U KR20100002316U KR 20100002316 U KR20100002316 U KR 20100002316U KR 2020080011299 U KR2020080011299 U KR 2020080011299U KR 20080011299 U KR20080011299 U KR 20080011299U KR 20100002316 U KR20100002316 U KR 201000023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drawer
grill
roasting chamber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기
Original Assignee
김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기 filed Critical 김선기
Priority to KR2020080011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316U/ko
Publication of KR201000023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31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Abstract

본 고안은 물류공급업체에서 고기(예:통삼겹살, 등갈비 등)를 1차 쪄서 숙성시켜 수분이 빠지지 않은 상태로 살아있는 육질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음식점에서 공급받아 본 고안을 이용하여 2 ~ 5분 동안 살짝 굽기만 하면 제대로 된 맛있는 바베큐를 고객에게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구이실이 마련된 본체; 상기 구이실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층을 달리하여 수납되는 것으로, 고기를 올려놓는 그릴을 갖는 그릴서랍, 숯을 담는 숯통을 거치하는 숯통 거치서랍 및 숯의 재와 구이시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수거되는 수거서랍; 상기 구이실에서 발생된 연기와 폐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 상기 본체의 외부면 일측에 장착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이실 내부에는 수납된 그릴서랍 각각의 그릴 위를 가로질러 다수열을 이루어 전열봉이 설치되고, 상기 숯통의 아래쪽에서 가로질러 송풍관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관은 상기 본체 일측면에 내장된 송풍팬과 연결되어, 그 위에 위치하는 숯통을 향해 공기를 공급하도록 다수개의 급기공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황토벽, 숯불, 바베큐, 구이기, 그릴서랍, 숯통 거치서랍, 전열봉, 송풍관.

Description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CLAY POT FOR CHARCOAL BARBECUE}
본 고안은 물류공급업체에서 고기(예:통삼겹살, 등갈비 등)를 1차 쪄서 숙성시켜 수분이 빠지지 않은 상태로 살아있는 육질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음식점에서 공급받아 본 고안을 이용하여 2 ~ 5분 동안 살짝 굽기만 하면 제대로 된 맛있는 바베큐를 고객에게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고기를 구워먹는 방법으로는 금속재 또는 석재의 불판을 가열하여 그 불판위에 고기를 올려놓고 고기를 구워먹는 방법과 참숯이 담겨진 화로에 직접 고기를 올려놓고 구워먹는 이른바 직화구이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한 방법 중 직화구이방법이 고기가 훈제되면서 조리되므로 맛이 뛰어나서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다. 그리고 많은 음식점 업소에서는 보다 다양한 맛과 뛰어난 육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고기를 숙성시켜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참숯이 담겨진 화로에 직접 구이를 하는 경우에는 조리시간이 과도하게 소요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황토 토기를 이용하여 황토구이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숯불구이기와 황토구이기를 별도로 구입하여야 두가지의 구이가 가능하므로 소비자의 취향을 맞추기 위해서는 두가지의 구이기를 모두 구비하여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있었으며, 구이기의 설치공간을 확보하여야 하였다.
본 고안은 물류공급업체에서 고기(예:통삼겹살, 등갈비 등)를 1차 쪄서 숙성시켜 수분이 빠지지 않은 상태로 살아있는 육질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음식점에서 공급받아 본 고안을 이용하여 2 ~ 5분 동안 살짝 굽기만 하면 제대로 된 맛있는 바베큐를 고객에게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고기를 올려놓는 그릴이 일체로 된 그릴서랍, 숯을 담는 숯통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숯통 거치서랍, 숯의 재와 구이시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수거하는 수거서랍이 모두 서랍식으로 이루어져 본체에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는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구이실 내측면에 황토벽이 형성되어 있어, 황토벽에서 열이 복사되어 원적외선을 방사시키고, 이와 같이 방사되어진 원적외선이 고기의 깊숙한 부위까지 침투하여 익혀주어, 고기의 표면에서 내부까지 전체적으로 균일한 조리상태가 되어 서 연한 육질 및 뛰어난 풍미를 가지며 숯불에 의한 고기 특유의 향과 맛을 살릴 수 있으며, 숯불 및 전열봉에 의한 직접열과 함께 황토벽에 의한 황토구이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고기를 익힐 수 있으므로 고기에 다량 함유된 수분 증발을 줄여주어 구이의 깊은 맛을 풍부하게 할 수 있는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체의 하부에 보관실이 마련되어, 구이실에서 구워진 바베큐를 넣어두고서 많은 고객에게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보관실의 상부 위치에 전열봉이 배치되어 있어 알맞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구이실이 마련된 본체; 상기 구이실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층을 달리하여 수납되는 것으로, 고기를 올려놓는 그릴을 갖는 그릴서랍, 숯을 담는 숯통을 거치하는 숯통 거치서랍 및 숯의 재와 구이시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수거되는 수거서랍; 상기 구이실에서 발생된 연기와 폐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 상기 본체의 외부면 일측에 장착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이실 내부에는 수납된 그릴서랍 각각의 그릴 위를 가로질러 다수열을 이루어 전열봉이 설치되고, 상기 숯통의 아래쪽에서 가로질러 송풍관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관은 상기 본체 일측면에 내장된 송풍팬과 연결되어, 그 위에 위치하는 숯통을 향해 공기를 공급하도록 다수개의 급기공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구이실은 내측면이 황토벽으로 이루어지고, 일정높이를 두고서 좌,우 내측면과 서로 마주보고 안내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그릴서랍, 숯통 거치서랍이 슬라이드 수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구이실의 하부 위치에 보관실이 마련되도록 격벽에 의해 구분되고, 상기 보관실은 전면에 투시창을 갖는 개폐문이 결합되고, 내측에는 전열봉이 배치되며, 상기 구이실의 전면에 손잡이를 갖는 개폐문을 설치하되, 상기 개폐문은 상기 그릴서랍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릴서랍은 사각틀을 이루는 프레임의 내측에 그릴이 결합되어, 투시창과 손잡이를 가지는 있는 전면판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숯통 거치서랍은 사각틀을 이루는 프레임에 손잡이를 갖는 전면판이 일체로 된 것이며, 상기 숯통은 사각통으로 이루어져 바닥면과 전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있고, 사각통의 좌,우측 테두리는 상기 숯통 거치서랍의 프레임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날개편이 있으며, 내부에는 바닥면과 일정높이 떨어진 위치에서 양단부가 고정된 이격봉을 가지며, 상단부 맨뒤 부위에서 앞쪽을 기울어지게 경사판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부는, 상기 구이실과 연통된 제1 배기구와, 구이실에서 전면으로 세어나오는 연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 배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배기구에는 연통이 결합되고, 상기 연통에는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조절구가 장착되며, 상기 제2 배기구는 본체의 상단부에 마련된 역삼각 내부공간을 가지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의 중심부 뒤편으로 연장되는 배기통로와 연통되며, 강제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팬이 장착되고, 상기 제2 배기구에 연결된 배기팬의 배출구에서 상기 제1 배기구에 결합된 연통과 연결관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물류공급업체에서 고기(예:통삼겹살, 등갈비 등)를 1차 쪄서 숙성시켜 수분이 빠지지 않은 상태로 살아있는 육질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음식점에서 공급받아 본 고안을 이용하여 2 ~ 5분 동안 살짝 굽기만 하면 제대로 된 맛있는 바베큐를 고객에게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 고기를 올려놓는 그릴이 일체로 된 그릴서랍, 숯을 담는 숯통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숯통 거치서랍, 숯의 재와 구이시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수거하는 수거서랍이 모두 서랍식으로 이루어져 본체에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구이실 내측면에 황토벽이 형성되어 있어, 황토벽에서 열이 복사되어 원적외선을 방사시키고, 이와 같이 방사되어진 원적외선이 고기의 깊숙한 부위까지 침투하여 익혀주어, 고기의 표면에서 내부까지 전체적으로 균일한 조리상태가 되어서 연한 육질 및 뛰어난 풍미를 가지며 숯불에 의한 고기 특유의 향과 맛을 살릴 수 있다. 특히, 숯불 및 전열봉에 의한 직접열과 함께 황토벽에 의한 황토구이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고기를 익힐 수 있으므로 고기에 다 량 함유된 수분 증발을 줄여주어 구이의 깊은 맛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하부에 보관실이 마련되어, 구이실에서 구워진 바베큐를 넣어두고서 많은 고객에게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보관실의 상부 위치에 전열봉이 배치되어 있어 알맞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상면에 구비된 배기부는, 구이실과 연통된 제1 배기구와, 구이실에서 전면으로 세어나오는 연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 배기구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배기구는 연통이 결합되어 구이실의 상부로 상승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기조절구에 의해 그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어, 구이실 내부의 훈연과 열기가 잔류되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구이실의 온도를 일정시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제2 배기구는 본체의 전면 상단부에 마련된 역삼각 내부공간을 가지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의 중심부 뒤편으로 연장되는 배기통로와 연통되며, 강제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배기팬이 부착되고 제1 배기구에 결합된 연통과 연결관을 연결시켜, 배기팬의 작동에 의해 강제적으로 배기덕트, 배기통로를 거쳐 제2 배기구를 통해 빠져나오는 배기의 흐름속도를 이용하여 구이실과 바로 연통된 제1 배기구를 통해 빠져나오게 되는 배기의 흐름이 합류됨에 따라 구이실 내부의 연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음식점 경영자와 고객이 모두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에는 구이실 내부온도 표시판, 전열봉 작동스위치, 송풍관에서의 공기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송풍팬의 구동력을 조절하는 숯불화력 조절기, 구이실에 위치한 전열봉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 보관실의 내부온도를 전열봉과 연결되어 제어하기 위한 온도조절기, 타이머에서 설정한 시간에 따라 구이가 다되었음을 알려주는 표시등, 구이실 및 보관실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조명을 ON/OFF하는 작동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 누구나 안전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의 본체에 수납 가능하게 결합된 그릴서랍, 숯통 거치서랍, 수거서랍을 분리하고, 구이실 및 보관실의 개폐문을 개방하여 본체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의 본체 우측면 판넬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의 본체에 수납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릴서랍, 숯통 거치서랍, 수거서랍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이실(11)이 마련된 본체(10), 상기 구이실(11)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층을 달리하여 수납되는 것으로, 고기를 올려놓는 그릴(21)을 갖는 그릴서랍(20a)(20b), 숯을 담는 숯통(34)을 거치하 는 숯통 거치서랍(30) 및 숯의 재와 구이시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수거되는 수거서랍(40)과, 상기 구이실(11)에서 발생된 연기와 폐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70)와, 상기 본체(10)의 외부면 일측에 장착된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본체(10)는 구이실(11)의 하부 위치에 보관실(12)이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구이실(11)은 본체(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보관실(12)은 본체(1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는데, 상기 구이실(11)과 보관실(12)은 그 사이를 가로막고 있는 격벽(13)에 의해 구분된다.
상기 구이실(11) 내부에는 일정높이를 두고서 좌,우 내측면에서 서로 마주보고 3쌍의 안내레일(16a)(16b)(16c)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에 위치한 2쌍의 안내레일(16a)(16b)에는 도 5에 나타나 있듯이, 고기를 올려놓는 그릴(21)을 갖는 그릴서랍(20a)(20b) 2개가 각각 슬라이드 수납된다.
그리고, 맨 아래에 위치한 안내레일(16c)에는 숯을 담는 숯통(34)을 거치하는 숯통 거치서랍(30)이 슬라이드 수납된다.
한편, 상기 구이실(11)내에서 위와 아래에 위치된 그릴서랍(20a)(20b) 각각의 그릴(21) 바로 위쪽을 가로질러 다수열을 이루어서 전열봉(50a)이 설치되어 있고, 구이실(11)의 좌·우측면 및 배면을 이루는 내측면은 황토벽(17)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황토벽(17)은 사각틀(17a)의 내부에 철망을 배치하여 황토를 충전시켜 이루어진 것으로, 위와 아래에 위치된 그릴서랍(20a)(20b) 위치에서의 구이실(11) 좌,우측면과 배면을 둘러서 황토가 충전된 사각틀(17a)을 각각 부착한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황토벽(17)은 숯통 거치서랍(30)에 거치되는 숯통(34)에 담겨져서 연소되는 숯불의 화력을 보존함과 동시에 원적외선을 발생하도록 하여 고기가 골고루 잘 익도록 하는데, 다시 말하면 구이를 하는데에는 필요하지 않은 바깥쪽 열을 복사하게 됨에 따라 열효율을 높이는 역할도 하면서 황토에 의해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구이실(11) 내부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전열봉(50a)은 전기를 공급받아 전기저항열을 발산하는 구이실(11)의 좌,우측 폭에 맞는 길이를 가지는 "U"자 형태의 봉으로 된 저항체이며, 전열봉(50a)의 일단부는 구이실(11)의 내측면 좌측에서 브라켓(18)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부는 도 5에 나타나 있듯이 본체(10)의 우측면 내에서 병렬로 연결되어 본체(10) 외부면 일측에 장착된 제어부(80)와 연결된다.
상기 구이실(11)에서 숯통 거치서랍(30)에 거치된 숯통(34)이 위치되는 곳에서, 상기 숯통(34)의 아래쪽에서 가로질러 송풍관(60)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관(60)은 도 4에 나타나 있는 본체(10) 우측면 내에 설치된 송풍팬(62)과 연결되고, 그 위에 위치하는 숯통(34)을 향해 공기를 공급하도록 다수개의 급기공(61)이관의 윗부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송풍관(60)은 급기공(61)을 통해 불어주는 바람(공기)의 세기를 조절하여 숯불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숯통(34)에서 연소되는 숯불의 열을 구이실(11)의 상부에 있는 그릴서랍(20a)(20b)쪽을 향해 상승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풍관(60)에서 공급하는 공기는, 상기 제어부(80)에서 송풍팬(62)의 구동력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됨에 따라 숯불의 화력을 조절하게 되며, 그에 따라 구이실(11)의 내부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설정된 시간내에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수거서랍(40)은 송풍관(60)의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구이실(11)과 보관실(12)을 구분하는 격벽(13) 위에 놓여져서 수납된다.
상기 수거서랍(40)은 연소되는 숯이 타서 발생된 재와, 구워지는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 등이 떨어져서 모으는 것이다. 재와 기름이 수집된 수거서랍(40)은 빼내어서 재와 기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보관실(12)은 전면에 개폐문(14)이 결합되고, 상기 개폐문(14)에는 투시창(14a)이 구비되어 보관실(12) 내부에 넣어둔 바베큐구이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고, 개폐문(14)과 본체(10)에 잠금장치(14b)가 부착되어 보관실(12)을 확실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보관실(12)은 구이실(11)에서 발생된 열기가 격벽(13)을 통해서 전도되어 일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겠으나, 보관실(12)의 상부에 전열봉(50b)을 설치하여 구이실(11)에서 구이된 바베큐구이가 식지 않도록 하는 온장고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함이 좋다.
한편, 상기 구이실(11)의 전면에도 손잡이(15c)를 갖는 개폐문(15)을 설치함 이 적합한데, 상기 개폐문(15)은 그릴서랍(20a)(20b)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개구부(15a)(15b)가 위아래에 형성된다. 상기 개폐문(15)의 개구부(15a)(15b)를 통해 그릴서랍(20a)(20b)을 삽입하여 결합하면, 그릴서랍(20a)(20b)의 전면판(23)이 개폐문(15)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구이실(11)에서의 열이 그릴서랍(20a)(20b)의 전면판(23)에 전도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구이실(11)의 전면부를 보다 확실하게 밀폐시켜 내부에서 발생된 연기가 세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된 배기부(70)는, 구이실(11)과 연통된 제1 배기구(71)와 함께, 구이실(11)에서 전면으로 세어나오는 연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 배기구(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배기구(72)는 구이실(11)의 전면 상단부에서 돌출되게 즉, 본체(10)의 상단부에 역삼각 내부공간을 가지는 배기덕트(73)가 마련되고, 상기 배기덕트(73)의 중심부 뒤편으로 연장되는 배기통로(74)와 연통되며, 강제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 배기구(72)에는 배기팬(75)을 부착하게 된다.(도 3 및 도 4 참조.)
상기 제1 배기구(71)는 연통(76)이 결합되어 구이실(11)의 상부로 상승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데, 그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조절구(77)를 장착하여, 구이실(11) 내부의 훈연과 열기가 잔류되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구이실(11)의 온도를 일정시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배기구(72)에 연결된 배기팬(75)의 배출구에서 상기 제1 배기구(71)에 결합된 연통(76)과 연결관(78)으로 연결시켜, 상기 배기조절구(77)를 거쳐서 연통(76)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함이 적합하다. 그 이유는 배기팬(75)의 작동에 의해 강제적으로 배기덕트(73), 배기통로(74)를 거쳐 제2 배기구(72)를 통해 빠져나오는 배기의 흐름속도를 이용하여 구이실(11)과 바로 연통된 제1 배기구(71)를 통해 빠져나오게 되는 배기의 흐름이 합류됨에 따라 구이실(11) 내부의 연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어부(80)는 전열봉(50a)(50b), 송풍팬(62), 배기팬(75)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전원스위치를 비롯하여 각종 기능 표시와, 조작이 간편하도록 ON/OFF 작동레버들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구이실(11) 내부온도 표시판, 전열봉(50a)(50b) 작동스위치, 송풍관(60)에서의 공기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송풍팬(62)의 구동력을 조절하는 조절기, 구이실(11)에 위치한 전열봉(50a)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 보관실(12)의 내부온도를 전열봉(50b)과 연결되어 제어하기 위한 온도조절기, 타이머에서 설정한 시간에 따라 구이가 다되었음을 알려주는 표시등, 전열봉 작동스위치, 구이실(11) 및 보관실(12)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조명을 ON/OFF하는 작동스위치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이실(11) 및 보관실(12)에는 내부를 밝히는 조명(도면상 미도시)이 설치되며, 각각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도면상 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온도감지센서는 제어부(80)의 온도조절기에 의해서 그 감지온도가 설정되며, 전열봉(50a)(50b) 및 송풍팬(62)과는 회로구성으로 연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온도감지센서가 감지하는 구이실(11)의 내부온도를 설정하면, 전열봉(50a)(50b) 각각의 작동과 함께 송풍팬(62)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숯불의 열기로 인해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하게 되고,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온도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전열봉(50a)(50b)과 송풍팬(62)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강/약을 조절하여 구이실(11)과 보관실(12)의 내부 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그릴서랍(20a)(20b), 숯통 거치서랍(30) 및 수거서랍(4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그릴서랍(20a)(20b)은 고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그릴(21)이 사각틀을 이루는 프레임(22)과 일체로 되어 있고, 프레임(22)이 투시창(24)이 있는 전면판(23)에 결합되어서 마치 서랍과 같은 형태를 하며, 전면판(24)에는 손잡이(2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2)은 구이실(11) 내부에 있는 안내레일(16a)(16b)에 맞는 두께를 가진다. 상기 그릴서랍(20a)(20b)의 전면판(23)에 형성된 투시창(24)을 통해 구워지고 있는 고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숯통 거치서랍(30)은 사각틀을 이루는 프레임(31)에 손잡이(33)를 갖는 전면판(32)이 일체로 된 것이다.
상기 숯통 거치서랍(30)에 거치되는 숯통(34)은 사각통으로 이루어져 바닥면 과 전면에 무수히 많은 통공(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각통의 좌,우측 테두리는 상기 숯통 거치서랍(30)의 프레임(31)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날개편(36)을 가지며, 내부에는 바닥면과 일정높이 떨어진 위치에서 양단부가 고정된 이격봉(37)을 가지고 있는데, 상기 이격봉(37)은 숯을 담았을 때 바닥면에 형성된 통공(35)을 숯이 막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숯통(34)은 상단부 맨뒤 부위에서 앞쪽을 기울어지게 경사판(38)이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경사판(38)은 숯불의 열기가 구이실(11)의 배면측으로 곧바로 전달되어 열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부로 곧바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숯통(34)에 담겨진 숯에서 발생되는 숯불의 상승열기는 앞쪽을 향해 기울어진 상기 경사판(38)에서 부딪히게 되어서 서서히 위로 상승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거서랍(40)은 숯의 재와 기름을 수집할 수 있도록 높이가 낮은 서랍형으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손잡이(42)가 형성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의 그릴서랍을 조금 빼낸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그 구성이 나타나 있는 모든 도면과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사용방법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숯통 거치서랍(30)을 빼내어서 숯통(34)에 숯을 담고서 숯통 거치서랍(30)을 다시 결합하고, 사용자가 제어부(80)를 조작하는데, 이때에는 전원스위치 를 온(ON)으로 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에서, 온도조절기를 조작하여 구이를 하는 고기에 알맞은 온도로 설정하고서 전열봉(50a) 및 송풍팬(62) 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키면, 구이실(11) 내부 온도가 올라가서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다.
이렇게 구이실(11)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릴서랍(20a)(20b)을 빼내어서 그릴(21)에 고기를 올린 후 다시 그릴서랍(20a)(20b)을 수납한다.
그릴서랍(20a)(20b)의 그릴(21)에 놓여져 있는 고기는 하부에 위치하는 숯통(34)에 담겨져서 연소되는 숯불의 화력과 함께, 그릴(21) 상부에 각각 위치하는 전열봉(50a)의 열원에 의해서 2 ~ 5분 정도만에 신속하게 타지 않고 구워지는데, 이때, 타이머와 연동된 표시등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구이가 다되었음을 알려주며, 타이머에 연계된 전열봉(50a) 및 송풍팬(62)의 작동이 정지되거나 구동력이 약하게 변화된다.
여기서, 구이실(11)에서 발생되어진 고온의 열기는 황토벽(17)에서 복사되어 원적외선을 방사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방사되어진 원적외선이 고기의 깊숙한 부위까지 침투하여 익혀주게 되므로, 고기의 표면에서 내부까지 전체적으로 균일한 조리상태가 되어서 연한 육질 및 뛰어난 풍미를 가지며 숯불에 의한 고기 특유의 향과 맛을 살릴 수 있다.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숯불 및 전열봉에 의한 직접열과 함께 황토벽에 의한 황토구이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고, 신속하게 고기를 익힐 수 있으므로 고기에 다량 함유된 수분 증발을 줄여주어 구이의 깊은 맛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돼지고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그 주성분은 60%가 수분임을 감안할 때 과다한 수분 증발은 육질이 질길 수 밖에 없고, 고기의 맛이 부드럽고 연하다고 하는 것은 수분을 충분히 머금고 있는 상태라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는 지방층의 형성 상태도 주변수로 작용하긴 하겠지만 구이시간에 따라 즉, 신속하게 익힐수록 그 맛이 좋아진다는 것은 구이요리의 기본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연통(76)에 구비된 배기조절구(77)를 조작하여 연기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데, 완전 개방시에는 구이실(11) 내부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패쇄시에는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여 일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설정된 시간동안 고기가 구워지는데에 요구되는 최적의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한꺼번에 많은 양의 고기를 신속하게 타지 않게 구울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구이실(11)에서 구워진 바베큐구이는 보관실(12)에 넣어두고 보관실(12)의 상부에 위치한 전열봉(50b)에 의해서 알맞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많은 고객에게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의 본체에 수납 가능하게 결합된 그릴서랍, 숯통 거치서랍, 수거서랍을 분리하고, 구이실 및 보관실의 개폐문을 개방하여 본체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의 본체 우측면 판넬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의 본체에 수납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릴서랍, 숯통 거치서랍, 수거서랍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의 그릴서랍을 조금 빼낸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구이실
12 : 보관실 13 : 격벽
14, 15 : 개폐문 14a, 24 : 투시창
14b : 잠금구 15a, 15b : 개구부
16a, 16b, 16c : 안내레일 17 : 황토벽
17a : 사각틀 18 : 브라켓
20a, 20b : 그릴서랍 21 : 그릴
22, 31 : 프레임 23, 32 : 전면판
15c, 25, 33, 42 : 손잡이 30 : 숯통 거치서랍
34 : 숯통 35 : 통공
36 : 날개편 37 : 이격봉
38 : 경사판 40 : 수거서랍
41 : 수집공간 50a, 50b : 전열봉
60 : 송풍관 61 : 급기공
62 : 송풍팬 70 : 배기부
71 : 제1 배기구 72 : 제2 배기구
73 : 배기덕트 74 : 배기통로
75 : 배기팬 76 : 연통
77 : 배기조절구 78 : 연결관
80 : 제어부

Claims (5)

  1. 구이실(11)이 마련된 본체(10);
    상기 구이실(11)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층을 달리하여 수납되는 것으로, 고기를 올려놓는 그릴(21)을 갖는 그릴서랍(20a)(20b), 숯을 담는 숯통(34)을 거치하는 숯통 거치서랍(30) 및 숯의 재와 구이시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수거되는 수거서랍(40);
    상기 구이실(11)에서 발생된 연기와 폐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70);
    상기 본체(10)의 외부면 일측에 장착된 제어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이실(11) 내부에는 수납된 그릴서랍(20a)(20b) 각각의 그릴(21) 위를 가로질러 다수열을 이루어 전열봉(50a)(50b)이 설치되고,
    상기 숯통(34)의 아래쪽에서 가로질러 송풍관(60)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관(60)은 상기 본체(10) 일측면에 내장된 송풍팬(62)과 연결되어, 그 위에 위치하는 숯통(34)을 향해 공기를 공급하도록 다수개의 급기공(61)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실(11)은 내측면이 황토벽(17)으로 이루어지고, 일정높이를 두고서 좌,우 내측면과 서로 마주보고 안내레일(16a)(16b)(16c)이 설치되며, 상기 안내레 일(16a)(16b)(16c)을 따라 그릴서랍(20a)(20b), 숯통 거치서랍(20)이 슬라이드 수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구이실(11)의 하부 위치에 보관실(12)이 마련되도록 격벽(13)에 의해 구분되고, 상기 보관실(12)은 전면에 투시창(14a)을 갖는 개폐문(14)이 결합되고, 내측에는 전열봉(50b)이 배치되며,
    상기 구이실(11)의 전면에 손잡이(15c)를 갖는 개폐문(15)을 설치하되, 상기 개폐문(15)은 상기 그릴서랍(20a)(20b)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개구부(15a)(15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서랍(20a)(20b)은 사각틀을 이루는 프레임(22)의 내측에 그릴(21)이 결합되어, 투시창(24)과 손잡이(25)를 가지는 있는 전면판(23)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숯통 거치서랍(30)은 사각틀을 이루는 프레임(31)에 손잡이(33)를 갖는 전면판(32)이 일체로 된 것이며,
    상기 숯통(34)은 사각통으로 이루어져 바닥면과 전면에 다수개의 통공(35)이 있고, 사각통의 좌,우측 테두리는 상기 숯통 거치서랍(30)의 프레임(31)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날개편(36)이 있으며, 내부에는 바닥면과 일정높이 떨어진 위치에서 양단부가 고정된 이격봉(37)을 가지며, 상단부 맨뒤 부위에서 앞쪽을 기울어지게 경사판(38)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70)는, 상기 구이실(11)과 연통된 제1 배기구(71)와, 구이실(11)에서 전면으로 세어나오는 연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 배기구(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배기구(71)에는 연통(76)이 결합되고, 상기 연통(76)에는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조절구(77)가 장착되며,
    상기 제2 배기구(72)는 본체(10)의 상단부에 마련된 역삼각 내부공간을 가지는 배기덕트(73)와, 상기 배기덕트(73)의 중심부 뒤편으로 연장되는 배기통로(74)와 연통되며, 강제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팬(75)이 장착되고,
    상기 제2 배기구(72)에 연결된 배기팬(75)의 배출구에서 상기 제1 배기구(71)에 결합된 연통(76)과 연결관(78)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
KR2020080011299U 2008-08-25 2008-08-25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 KR201000023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299U KR20100002316U (ko) 2008-08-25 2008-08-25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299U KR20100002316U (ko) 2008-08-25 2008-08-25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316U true KR20100002316U (ko) 2010-03-05

Family

ID=4419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299U KR20100002316U (ko) 2008-08-25 2008-08-25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316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792B1 (ko) * 2010-07-12 2012-03-20 차영기 바비큐 장치
KR101449842B1 (ko) * 2013-04-03 2014-10-13 장정애 밀폐형 석쇠 구이기 구조
KR101464495B1 (ko) * 2013-02-27 2014-11-25 김영환 바베큐 장치
WO2017039247A1 (ko) * 2015-08-28 2017-03-09 허진우 구이용 숯불 직화 그릴
KR20170038970A (ko) * 2015-09-30 2017-04-10 장인한 구이용 불판
CN109864606A (zh) * 2019-03-04 2019-06-11 嘉兴圣斯顿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烧烤炉本体
CN109864606B (zh) * 2019-03-04 2024-05-10 嘉兴圣斯顿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烧烤炉本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7350A (ko) * 2004-04-23 2006-05-18 이익로 상부에 개폐식 도어가 장착된 구이기
KR20060057995A (ko) * 2005-07-01 2006-05-29 전봉진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KR20060061597A (ko) * 2004-12-02 2006-06-08 채영태 고기 구이기
KR100719887B1 (ko) * 2007-02-16 2007-05-18 신명수 고기 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7350A (ko) * 2004-04-23 2006-05-18 이익로 상부에 개폐식 도어가 장착된 구이기
KR20060061597A (ko) * 2004-12-02 2006-06-08 채영태 고기 구이기
KR20060057995A (ko) * 2005-07-01 2006-05-29 전봉진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KR100719887B1 (ko) * 2007-02-16 2007-05-18 신명수 고기 구이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792B1 (ko) * 2010-07-12 2012-03-20 차영기 바비큐 장치
KR101464495B1 (ko) * 2013-02-27 2014-11-25 김영환 바베큐 장치
KR101449842B1 (ko) * 2013-04-03 2014-10-13 장정애 밀폐형 석쇠 구이기 구조
WO2017039247A1 (ko) * 2015-08-28 2017-03-09 허진우 구이용 숯불 직화 그릴
KR20170038970A (ko) * 2015-09-30 2017-04-10 장인한 구이용 불판
CN109864606A (zh) * 2019-03-04 2019-06-11 嘉兴圣斯顿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烧烤炉本体
CN109864606B (zh) * 2019-03-04 2024-05-10 嘉兴圣斯顿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烧烤炉本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7234C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moker device integral to an oven
JP4654096B2 (ja) 加熱調理器
US7451691B2 (en) No waste cooking oven with multiple cooking functions
JP4416720B2 (ja) 加熱調理器
KR20100002316U (ko)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
CN208463630U (zh) 烹饪器具
US20170238761A1 (en) Forced Air Grill
KR200387043Y1 (ko) 훈제 그릴장치를 구비한 숯불 그릴장치
KR100794233B1 (ko) 직화구이기
KR100512564B1 (ko) 숯불구이장치
KR20120009813A (ko) 에어커튼이 구비된 구이 장치
KR100644973B1 (ko)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US20220007888A1 (en) Multi-functional oven with air fryer capability
KR200474981Y1 (ko) 육류 구이장치
KR101073882B1 (ko) 훈제식 고기 구이기
JP6374710B2 (ja) 加熱調理器
KR200431719Y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양면 그릴구이기
KR200321503Y1 (ko) 숯불의 화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숯불 구이기
KR20160084602A (ko) 간접화 훈제 바비큐 장치
KR101908924B1 (ko) 시간 절약형 전기 복합 훈연 다기능 조리기
KR200339468Y1 (ko) 식탁용 고기 구이장치
CN111772497B (zh) 烧烤机
US20230232846A1 (en) Food smoking device
US20220296041A1 (en) Grill
KR200372896Y1 (ko) 숯판을 이용한 서랍식 닭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