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753B1 -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753B1
KR102332753B1 KR1020200058392A KR20200058392A KR102332753B1 KR 102332753 B1 KR102332753 B1 KR 102332753B1 KR 1020200058392 A KR1020200058392 A KR 1020200058392A KR 20200058392 A KR20200058392 A KR 20200058392A KR 102332753 B1 KR102332753 B1 KR 102332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unit
main body
dust collecting
divid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2052A (ko
Inventor
김영균
Original Assignee
김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균 filed Critical 김영균
Priority to KR1020200058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753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육류나 생선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부유기름, 비린내 등 실내 냄새의 확산을 막고, 퍼지기 전에 한 곳에 집적하여 미세먼지, 냄새, 유증기, 열기를 모아 필터 없이 외부로 자연 배출하도록 한 배기효율성을 향상시킨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 {Apparatus for ejecting the Smell from the Cooker}
본 발명은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육류나 생선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부유기름, 비린내 등 실내 냄새의 확산을 막고, 퍼지기 전에 한 곳에 집적하여 미세먼지, 냄새, 유증기, 열기를 모아 필터 없이 외부로 자연 배출하도록 한 배기효율성을 향상시킨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굽는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냄새는 주방 실내 공기를 탁하게 만들게 되므로, 환풍기를 틀거나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게 되는데 이미 확산된 상태에서는 그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주방용 후드를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기구의 상측에 설치하여 조리를 실시할 때에 발생되는 미세먼지, 냄새와 열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주방용 후드가 장착된 주방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주방의 일측 벽면(1)의 상, 하부에는 각종 음식의 조리시 필요한 각종 조미료나 조리용기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싱크대(2)(2a)가 설치되고, 싱크대(2a)의 일측에는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가열기구인 가스레인지(3)가 설치되며, 싱크대(2)의 일측에는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나 수증기 또는 냄새 등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주방용 후드(4)가 설치된다.
이러한 주방용 후드(4)는 조리 용기(5)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나 수증기 또는 냄새 등에 의해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와 연결된 덕트(미도시)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음식의 조리시 발생되는 미세먼지, 연기나 수증기 또는 냄새 등은 조리 용기(5)로부터 수직으로 상승한다기보다는 주방으로 넓게 퍼지게 됨으로써 주방용 후드(4)를 통해서는 연기나 수증기 또는 냄새가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실내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주방용 후드(4)는 싱크대(2)에 단순히 고정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주방용 후드(4)의 근처에 퍼진 오염된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할 따름이고, 주방용 후드(4)와 조리 용기(5)와의 거리가 일정이상 이격되어 있으므로 연기나 수증기 또는 냄새가 수직으로 상승하기보다는 주방으로 넓게 퍼지게 되어 조리 용기(5)로부터 넓게 확산된 오염된 공기는 전혀 외부로 배출할 수 없으며, 주방용 후드(4)를 장시간 가동하더라도 조리 용기(5)로부터 넓게 확산된 오염된 공기는 전혀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므로, 음식의 조리 후 주방은 물론, 거실 등의 실내에 항상 음식 냄새가 잔존하게 되어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리 과정 중 용기에서 발생된 냄새를 환풍기가 있는 덕트가 끌어 들여야 하는데, 설치 위치상 공간과 거리상의 문제점이 있어 그 효율성이 떨어진다. 또한, 전술한 연기나 수증기 또는 냄새와 더불어 가스레인지(3) 및 조리 용기(5)로부터 열기가 실내로 발산되므로 하절기에 주방에서 조리시 필연적으로 더위를 느끼게 되고, 거실 등에 에어컨과 같은 냉방기구를 작동시 이의 냉방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3-0096395호
본 발명은 기존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조리 기구로부터 발생되는 냄새, 가스, 미세먼지가 실내로 확산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리중 발생되는 냄새, 증기, 가스 및 열기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고, 배기되는 증기의 액화로 인한 이물질이 낙하되면, 이를 조리 기구가 아닌 부분을 통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냄새를 확산시키지 않고 환풍기나 창문으로 유도하여 환기 전 확산을 막고 작은 공간에 집약시켜 창문이나 후드를 통하여 자연배출되게 함으로써 직접 냄새를 맡지 않고 요리할 수 있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조리 용기(F)의 외측을 차단하도록 측벽부(210)가 형성되는 본체(200); 및 상기 본체(200)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200)의 내측에 위치되는 조리 용기의 상부를 덮는 덮개(1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덮개(100)의 일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200)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배기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부(120)는 외부와 배기관(300)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200)는 분할벽체부(250)가 상기 측벽부(210)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본체(200)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도록 하고, 상기 분할벽체부(250)에 의해 상기 본체(200)의 내측 공간은 조리부(212)와 집진부(214)로 구분되고, 상기 덮개(100)의 상기 배기부(120)는 상기 집진부(214)의 상방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벽체부(250)의 상단과 상기 본체(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덮개(100)의 사이에는 개방된 공간인 연통공간부(252)가 형성되고, 상기 조리부(212)와 상기 집진부(214)의 사이는 상기 연통공간부(252)를 통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부(214)에는 집진수거부재(400)가 착탈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수거부재(400)는: 상기 분할벽체부(250)의 상기 집진부(214) 측에 수직 형성되는 수직부(410); 상기 수직부(410)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상기 집진부(214) 내에 걸쳐 연장되는 수평부(450); 상기 수직부(410)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상기 조리부(21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할벽체부(250)의 상단을 커버하는 걸림수평부(420); 및 상기 걸림수평부(420)의 상기 조리부(212)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수직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벽부(210)의 상기 조리부(212) 측에는 조리부(212)가 상기 측벽부(210)의 하단부터 개방되어 상단에 이르지 않는 일정 높이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리시 발생되는 가스가 레인지 후드와 같은 가스흡입 장치를 통해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집안 등 실내에 미세먼지, 유해가스나 음식 냄새와 같은 불쾌한 가스의 실내 확산을 막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관의 하부 측으로 흘러 내리는 먼지, 부유물, 액상 이물질을 포집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 중 청결이 유지되고, 음식물의 오염 및 변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환풍기가 필요 없으며 자연배기로 인해, 에너지 소모가 없고, 필터가 필요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조리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부유 기름이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밀폐된 내부에 머무르도록 하여, 조리자가 냄새를 직접 맡지 않아 건강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사용 후 분해 및 청소가 용이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주방용 후드와 조리 용기가 구비되는 통상적인 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 외관을 타나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를 상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에 집진수거부재가 더 장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집진수거부재가 본체 내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집진수거부재가 본체 내에 안착된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집진수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 외관을 타나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는 본체(200)와 그 상부를 덮는 덮개(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체적인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유리 등 내화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내부는 크게 좌우로 2개의 공간으로 분리되는데, 좌측은 조리를 하는 공간이고, 우측은 수증기, 부유물, 먼지 및 냄새들을 집적시키며 배출 연결시키는 공간이다. 좌우의 공간은 각 3:1정도의 폭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100)는 덮개판(110)과 그 일측에 형성된 배기부(120)를 구비하며, 덮개(100)를 들어 올리기 쉽도록 손잡이(H)가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10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하측의 조리 용기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 예컨대 유리를 사용하도록 한다. 배기부(120)는 덮개판(110)을 관통하며 개방되는 구멍을 외부의 후드와 연결되는 배기관(300; 도 5)과 연통 접속시키는 부분이며, 덮개(100) 하측의 미세먼지, 연기, 냄새를 배기관(300)으로 배출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덮개(100)는 사각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체(2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을 것이며, 본체(200)와 분리되며 이동 및 세척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체(200)는 측벽부(210)가 폐쇄형으로 사방을 둘러싸며 기립되는 기본 형상을 갖추고, 그 내부의 공간에 화구, 불판 및 조리 용기가 배치되고, 조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측벽부(210)의 일측에는 유입구(220)가 형성되는데 유입구(220)는 측벽부(210)의 하단부터 개방되어 상방으로 일정 높이에 이르도록 내입되는 형태를 갖도록 하며, 측벽부(210)의 상단까지 관통되도록 형성하지는 않도록 한다.
또한 다른 방향으로는 개방구(230)와 이를 개폐하도록 대응되는 개폐부(240)를 구비한다. 개폐부(240)의 회동에 따라 개방구(230)는 열리거나 닫힐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개폐부(240)에는 손잡이(H)가 형성되도록 한다.
본체(200)는 측벽부(210)에 의해 측방이 막혀 있으나, 상방 및 하방은 개방되어 있도록 하고, 도면상으로는 사각 형태의 외곽 테두리로 도시되어 있으나, 원형 또는 타원형의 테두리를 갖도록 측벽부(210)를 변형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를 상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체(200)의 상방에 배치되는 덮개(100)는 본체(2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본체(200)의 내부에는 공간을 분할하며 마주보는 측벽부(210)의 사이를 연결하는 분할벽체부(250)가 구비된다. 분할벽체부(250)에 의해 분할되는 본체(200) 내부의 공간 중 일측은 유입구(220) 및 개방구(230)와 마주보게 되는데, 이 공간을 조리부(212)라 칭한다. 또한 분할벽체부(250)의 타측은 덮개(100)의 배기부(120)와 마주보게 되는데, 이 공간을 집진부(214)라 칭한다. 측벽부(210)가 화구, 불판을 감싸며 바닥에 밀착되고, 덮개(100)가 그 상단을 덮으며, 유입구(220) 및 개방구(23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밀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조리부(212)와 집진부(214)는 분할벽체부(250)에 의해 분할되는 동시에, 외측은 측벽부(210)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분할벽체부(250)는 조리부(212) 및 집진부(214) 사이의 열을 차단하며, 그 높이는 인접한 측벽부(210) 높이의 2/3 정도로 수직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리부(212)에는 하측으로는 가스레인지의 버너, 또는 인덕션 레인지의 가열부 등 화구가 위치되고, 그 상부에는 프라이팬, 냄비, 솥 등의 조리 용기(F)가 올려진다. 이 때 프라이팬과 같은 조리 용기(F)에 측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가 있는 경우에는, 손잡이가 유입구(220)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유입구(220)는 본체(20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터널 역할을 하는 동시에, 조리 용기(F)의 손잡이가 관통 배치될 수 있게 하며, 좌우의 폭보다 상하의 높이를 더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구(22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그 흐름을 따라 조리부(212)로부터 먼지, 냄새 등을 이동시켜 측방의 집진부(214)로 밀어낸다.
조리부(212)의 또 다른 방향의 측벽부(210)에는 개폐 가능한 개방구(230)가 형성되는데, 이 부분을 통해 국자, 집개, 뒤집개, 젓가락 등을 조리 용기(F)에 접근시켜 조리를 가능하게 한다. 만약 조리가 필요 없는 경우에는 개폐부(240)를 회동시켜 개방구(230)를 닫도록 한다.
개폐부(240)의 높이는 측벽부(210) 높이의 1/2 내지 그 이하로 형성하여, 개폐시 냄새가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스 형태의 직육면체는 좌우 폭이 40cm, 전후 간격이 30cm, 높이가 30cm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유입구(220)의 단면적은 배기부(120)의 단면적보다 크게 구성하여 굴뚝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다.
도 5는 도 4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분할벽체부(250)의 상측으로는 연통공간부(252)가 형성되어, 조리부(212)와 집진부(214)의 사이 공간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통공간부(252)를 형성하기 위해, 분할벽체부(250)의 높이를 측벽부(210)의 높이보다 다소 낮게 형성한다. 그리하면 분할벽체부(250)의 상단과 덮개판(110)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연통공간부(252)를 이루게 된다. 또는 분할벽체부(250)의 높이를 측벽부(210)와 동일하게 하되, 덮개판(110)의 분할벽체부(250) 상방을 상측으로 굴곡되도록, 즉, 덮개판(110)의 중앙 부분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원추 형태로 경사지도록 하거나, 상방으로 굴곡지거나, 상측을 향하여 내입되도록 형성하여 연통공간부(252)가 확보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조리 용기 내에서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미세먼지, 열기, 냄새 등은 조리부(212)의 상방으로 올라오다가 유입구(220)로부터 인입된 공기로 인해 밀려나며 연통공간부(252)를 통해 측방의 집진부(214)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는 공기의 흐름이 유입구(220)로부터 배기부(120) 및 배기관(300)을 향하게 됨에 따라 유도되는 것이다. 집진부(214)에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미세먼지, 각종 기체 중 기름입자나 수증기 등 무거운 입자는 집진부(214)의 하방으로 내려가게 되고, 가벼운 입자와 냄새 요소는 상방의 배기부(120)를 통해 배기관(300) 쪽으로 자연 배출된다.
분할벽체부(250)는 하단이 바닥에 부착,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집진부(214) 측으로 넘어온 수증기나 기름냄새가 다시 조리부(212) 측으로 되돌아 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집진부(214) 측에는 미세먼지, 묵은때가 집진되어 쌓이게 되므로, 본체(200)를 들어올리고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배기관(300)은 다수개를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분리 세척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에 집진수거부재가 더 장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집진수거부재가 본체 내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집진수거부재가 본체 내에 안착된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집진부(214)측에 추가적으로 착탈 가능한 집진수거부재(400)를 더 배치하도록 한다. 집진수거부재(400)는 분할벽체부(250)에 거치되면서, 집진부(214) 내에 안착된다. 집진수거부재(400) 상에는 키친타올 등을 깔아 물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집진수거부재(400)은 배기부(120)의 직하방에 설치하여, 배기부(120)로 급격히 가스, 기체가 배출되면서 상대적으로 직하방 낙하하는 먼지, 이물질을 바로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선 실시예와 달리, 집진부(214) 공간의 저면을 집진수거부재(400)가 감싸고 있으므로, 집진부(214)로 하강하는 미세먼지, 묵은때, 액체입자들은 조리 용기(F)나 가스레인지 등이 아닌 집진수거부재(400)의 상부에 안착된다.
조리가 끝나면 집진수거부재(400)를 분할벽체부(250)로부터 들어 올리며 분리시키고, 집진수거부재(400)만을 따로 세척하여 미세먼지, 묵은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집진수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집진수거부재(400)는 분할벽체부(250)를 통해 본체(200)에 거치된다. 이를 위해 집진수거부재(400)는 L자형 기본 구조를 구비하며, 그 상단부는 분할벽체부(250)의 상단에 걸리도록 형성한다.
분할벽체부(250)의 집진부(214)측 측면을 바라보는 위치로 연장되는 수직부(410)를 중심으로, 그 하단부는 측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450)를 구비한다. 수평부(450)는 집진부(214)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며, 꼭 평평하거나 수평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나, 수직부(410)에 비해 측방으로 향하므로 수평부(450)라 통칭할 수 있다. 수평부(450)의 외측 단부는 다시 상방을 향해 경사형성되는 수평경사부(460)를 구비하도록 하여, 수평부(450) 상측의 먼지, 때가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막아주는 동시에, 집진수거부재(400)를 본체(200) 내로 안착시킬 때, 측벽부(210)와 경사부분으로 접촉되도록 하여 원활한 내입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수직부(410)의 상단은 조리부(212)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걸림수평부(420)가 형성되어 분할벽체부(250)의 상단과 맞대응되도록 하고, 다시 걸림수평부(420)의 조리부(212)측 단부는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걸림수직부(430)가 형성되도록 한다. 수직부(410) 상단, 걸림수평부(420) 및 걸림수직부(430)에 의해 형성되는 ∩ 형태의 구조와, 그 내측에 안착되는 분할벽체부(250)에 의해 집진수거부재(400)는 분할벽체부(250)에 거치되거나, 분할벽체부(250)에 의해 위치가 지정되고, 이동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걸림수직부(430)는 반드시 수직 방향은 아닐 수도 있으나, 걸림수평부(420)에 비해 상당 각도 하방 절곡되는 수준을 유지하여야 제 기능을 할 것이다. 걸림수직부(430)의 하단부는 조리부(212) 방향, 즉 분할벽체부(2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방 경사되는 걸림경사부(44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분할벽체부(430)의 상단에 걸림수평부(420)가 맞대응되도록 끼워질 때, 걸림경사부(440)에 의해 경사부분으로 접촉되도록 하여 원활한 내입이 가능하도록 유도해주는 역할을 한다.
집진수거부재(400)는 도면상 전체적으로 사각 테두리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본체(200)의 형상에 따라 원형, 타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치는 조리시에 사용되는 것 외에도, 유해 냄새나 기체를 제거하는데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용접 과정 등의 수작업 공정시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의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벽면 2, 2a: 싱크대
3: 가스레인지 4: 후드
5: 조리 용기 100: 덮개
110: 덮개판 120: 배기부
200: 본체 210: 측벽부
212: 조리부 214: 집진부
220: 유입구 230: 개방구
240: 개폐부 250: 분할벽체부
252: 연통공간부 300: 배기관
400: 집진수거부재 410: 수직부
420: 걸림수평부 430: 걸림수직부
440: 걸림경사부 450: 수평부
460: 수평경사부

Claims (6)

  1. 조리 용기(F)의 외측을 차단하도록 측벽부(210)가 형성되는 본체(200); 및
    상기 본체(200)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200)의 내측에 위치되는 조리 용기의 상부를 덮는 덮개(1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덮개(100)의 일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200)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배기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부(120)는 외부와 배기관(300)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본체(200)는 분할벽체부(250)가 상기 측벽부(210)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본체(200)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도록 하고,
    상기 분할벽체부(250)에 의해 상기 본체(200)의 내측 공간은 조리부(212)와 집진부(214)로 구분되고,
    상기 덮개(100)의 상기 배기부(120)는 상기 집진부(214)의 상방에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분할벽체부(250)의 상단과 상기 본체(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덮개(100)의 사이에는 개방된 공간인 연통공간부(252)가 형성되고,
    상기 조리부(212)와 상기 집진부(214)의 사이는 상기 연통공간부(252)를 통해 연통되고,
    상기 집진부(214)에는 집진수거부재(400)가 착탈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집진수거부재(400)는:
    상기 분할벽체부(250)의 상기 집진부(214) 측에 수직 형성되는 수직부(410);
    상기 수직부(410)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상기 집진부(214) 내에 걸쳐 연장되는 수평부(450);
    상기 수직부(410)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상기 조리부(21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할벽체부(250)의 상단을 커버하는 걸림수평부(420); 및
    상기 걸림수평부(420)의 상기 조리부(212)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수직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210)의 상기 조리부(212) 측에는 조리부(212)가 상기 측벽부(210)의 하단부터 개방되어 상단에 이르지 않는 일정 높이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
KR1020200058392A 2020-05-15 2020-05-15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 KR102332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392A KR102332753B1 (ko) 2020-05-15 2020-05-15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392A KR102332753B1 (ko) 2020-05-15 2020-05-15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052A KR20210142052A (ko) 2021-11-24
KR102332753B1 true KR102332753B1 (ko) 2021-11-30

Family

ID=7872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392A KR102332753B1 (ko) 2020-05-15 2020-05-15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7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183B1 (ko) 2005-12-28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KR101275952B1 (ko) * 2012-02-23 2013-06-17 조찬행 난로 장치
JP2017140162A (ja) * 2016-02-09 2017-08-17 倖生工業株式会社 焼物調理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395A (ko) 2012-02-22 2013-08-30 이치성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용 후드 장치
KR20130005492U (ko) * 2012-03-09 2013-09-23 류은희 조리기용 덮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183B1 (ko) 2005-12-28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KR101275952B1 (ko) * 2012-02-23 2013-06-17 조찬행 난로 장치
JP2017140162A (ja) * 2016-02-09 2017-08-17 倖生工業株式会社 焼物調理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052A (ko) 202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3159B1 (en) Induction ventilation system for both air supply and exhaust
US20120204855A1 (en) Cooking Device with Ventilation and Filtration System
KR101550261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주방용 후드
KR101614105B1 (ko) 공기정화 및 순환기능을 갖는 직화 구이장치
KR100823674B1 (ko) 고기 구이기의 후드 및 탈취장치
KR20170085631A (ko) 유분제거가 용이한 레인지후드
KR102332753B1 (ko) 조리 용기용 냄새 흡입배출장치
KR101962109B1 (ko) 실내용 집진 후드 시스템
US20080203095A1 (en) Vapor-guiding lid for cookware
KR20190069296A (ko) 정화 효율성을 향상시킨 구이장치
KR102250904B1 (ko)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는 개량형 전기식 로스터
JP2002228222A (ja) レンジフード
JPH04240317A (ja) 換気装置付調理台
CN210673011U (zh) 一种内排烟火锅系统
KR102515514B1 (ko) 흡입 유로를 구비한 전열식 조리기구
EP0045289A1 (en) Method and device for capturing cooking odours
KR102335149B1 (ko)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로스터 시스템
CN206338838U (zh) 一种集烟罩和吸油烟机
KR20140063307A (ko) 레인지후드
KR200278251Y1 (ko) 실내공기 배출용 후드
CN213882883U (zh) 防油水溅射里外阻挡沿
CN218954957U (zh) 多功能炉
CN211354954U (zh) 一种电饭锅
KR20170121349A (ko) 레인지 후드
CN218001731U (zh) 分体式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