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744B1 -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 Google Patents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744B1
KR102646744B1 KR1020230086121A KR20230086121A KR102646744B1 KR 102646744 B1 KR102646744 B1 KR 102646744B1 KR 1020230086121 A KR1020230086121 A KR 1020230086121A KR 20230086121 A KR20230086121 A KR 20230086121A KR 102646744 B1 KR102646744 B1 KR 102646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pot
duct
condensation water
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6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천
Original Assignee
화신주방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신주방산업(주) filed Critical 화신주방산업(주)
Priority to KR1020230086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7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솥에 있어서, 조리시 발생하는 조리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하며, 나아가 조리가스의 배출과정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발명이다.
즉, 본 발명은 내솥과 외솥으로 형성된 솥부, 가열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도록 형성되는 가열부와 솥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솥프레임, 솥을 기울어지게 회전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솥회전부, 조리가스와 배기가스를 배출하게 형성되는 유도덕트부, 장치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조리제어부 및 조리조작부로 구성하고, 상기 유도덕트부는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배출시키는 조리가스배출부, 조리가스의 배출을 포집할 수 있게 구비되는 포집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포집덕트는 조리가스를 포집하는 덕트홀을 갖는 포집쟁반, 상기 덕트홀에서 떨어지는 결로수를 집수하는 접시형에 결로수접시, 결로수접시가 덕트홀 하부에 위치하도록 결로수접시 중앙에 결속된 접시결속봉을 구비하여,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조리가스배출부로 배출시켜 조리가스로 인한 조리작업자의 피해가 최소화하며, 조리가스를 배출시에 발생하는 결로수가 결로수접시에 떨어지고 이를 집수함으로 결로수가 음식에 낙수되지 않고 집수된 결로수를 처리하여 위생을 지키며 조리기구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Cooking Pot with ventilation duct}
본 발명은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솥에 있어서, 조리시에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가 조리작업자에 작용되지 않도록 포집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조리가스에 함유된 수분이 결로되어 음식물로 낙수되는 것을 방지하며, 나아가 발생한 결로수를 쉽게 처리하여 조리의 효율과 위생 및 요리장치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솥을 사용하는 조리에 있어서, 가열을 위한 연소가스와 조리물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가 발생한다. 특히나 단체급식과 같은 대용량의 음식이 조리되는 조리기구는 이러한 연소가스와 조리가스의 발생량이 매우 크다.
대용량 조리용솥의 경우 조리용 솥은 조리 연소과정에 배기부를 통하여 300~500℃의 고온 상태의 연소가스가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배출된 연소가스는 솥하우징의 외면을 따라 상승되어 솥부의 상단부와 접한 후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데, 이때, 방출된 연소가스는 조리용솥의 상단을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조리용솥의 뒤틀림 변형을 유발하고 주변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주변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조리용솥에서 배출된 연소가스를 천장에 구비되는 환기부로 유도배출할 수 있게 한 환기 유도덕트가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이상과 같은 환기 유도덕트는 조리구의 배기구에서 돌출형성되는 배기유도판과 상기 배기유도판과 접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수직으로 유동시켜 환기부를 유도하는 수직유도관 및 상기 수직유도관을 지지하는 스탠드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환기 유도덕트는 조리기구에 구비된 배기유도판에 수직유도관을 근접시켜서 상기 조리기구의 배기구와 배기유도판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수직유도관을 통하여 상부로 유도하여서 연소가스가 환기부로 유도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종래 환기 유도덕트는 조리 연소과정에 발생하는 연소가스만을 배출하게 구성되어 있어 조리과정에 조리사가 조리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어, 특허 제10-232501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리용솥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상부로 유도 배출할 수 있게 구비된 배기유도배출부와 배기유도배출부의 전면에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조리가스배출부 및 상기 조리가스배출부의 하부에 조리가스의 배출을 포집할 수 있게 구비되는 포집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조리가스배출부는 배기유도배출부의 상단에서 조리솥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배출지지암과 상기 배출지지암에 조리가스를 상부로 흡입 배출하도록 형성된 배출유도송풍부로 구성하고; 상기 배출유도송풍부는 배출지지암의 상부에 안착되며 배출지지암의 전면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되어 분리가능하게 구비한 팬프레임과 조리가스를 상부로 배출하는 유도송풍수단으로 구성한 것이 개발되어 실시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된 포집덕트를 구비하여 조리가스를 상부로 배출하는 환기 유도덕트는 사용시에 조리가스가 포직덕트 및 배출유도송풍구에서 결로되어 결로수로 조리작업자 및 조리음식물에 낙수되어 조리물을 오염시키는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결로수를 처리에 있어서 불편함을 갖고 있는 실정이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298811호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환기유도 덕트를 이용한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새로운 구조의 조리용 환기덕트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조리용솥을 사용함에 있어서, 기존의 환기 유도덕트가 조리 연소과정에 발생하는 연소가스만을 배출하게 구성되어 있어 조리과정에 조리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로부터 조리작업자가 보호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조리가스의 포집과정에서 결로수가 발생하여 음식물로 낙수되어 발생하는 위생상의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조리솥에 있어서, 내솥과 외솥으로 형성된 솥부, 가열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도록 형성되는 가열부와 솥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솥프레임, 솥을 기울어지게 회전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솥회전부, 조리가스와 배기가스를 배출하게 형성되는 유도덕트부, 장치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조리제어부 및 조리조작부로 구성하고, 상기 유도덕트부는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배출시키는 조리가스배출부, 조리가스의 배출을 포집할 수 있게 구비되는 포집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포집덕트는 조리가스를 포집하는 덕트홀을 갖는 포집쟁반, 상기 덕트홀에서 떨어지는 결로수를 집수하는 접시형에 결로수접시, 결로수접시가 덕트홀 하부에 위치하도록 결로수접시 중앙에 결속된 접시결속봉을 구비한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배출시키는 조리가스배출부, 조리가스의 배출을 포집할 수 있게 구비되는 포집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포집덕트는 조리가스를 포집하는 포집쟁반, 포집쟁반에서 떨어지는 결로수를 집수하는 결로수접시, 결로수접시가 덕트홀 하부에 위치하도록 결속된 접시결속봉으로 구비함으로써,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조리가스배출부로 배출시켜 조리가스로 인한 조리작업자의 피해가 최소화하며, 조리가스를 배출시에 발생하는 결로수가 결로수접시에 떨어지고 이를 집수함으로 결로수가 음식에 낙수되지 않고 집수된 결로수를 처리하여 위생을 지키며 조리기구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조리가스배출부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조리가스배출부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라 배기유도배출부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라 조리가스배출부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1 및 12는 본 발명에 따라 포집쟁반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3는 본 발명에 따라 접시경사면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4 및 15는 본 발명에 따라 결로수관로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관로접점구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승하강마디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 꺾임마디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9 및 20은 본 발명에 따라 덕트회전프레임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조리솥에 있어서, 조리시 발생하는 조리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하며, 나아가 조리가스의 배출과정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즉, 본 발명은 조리용솥에 있어서, 솥부(1)와 가열부(2), 가열부(3), 솥회전부(4), 유도덕트부(5), 조리제어부(6) 및 조리조작부(7)로 구성하고, 유도덕트부를 조리가스배출부(10)와 포집덕트(30)로 구비하고, 상기 포집덕트(30)를 포집쟁반(410)과 결로수접시(420) 및 접시결속봉(430)으로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음식물이 담아져 조리가 이루어지는 내솥과 상기 내솥 외부에 형성되는 외솥으로 형성된 솥부,상기 내솥 하부에 내솥을 가열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도록 형성되는 가열부,,상기 외솥 양측에 축지하여 솥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가열부, 상기 솥프레임 일측에 조리과정에 솥을 기울어지게 회전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솥회전부, 상기 솥프레임 일측에 조리가스와 배기가스를 배출하게 형성되는 유도덕트부, 상기 솥프레임 일측에 장치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조리제어부, 상기 솥프레임 일측에 상기 조리제어부로 조작신호를 입력하도록 형성되는 조리조작부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도덕트부는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게 조리영역 상부에 배치되게 구비되는 조리가스배출부(10), 상기 조리가스배출부(10)의 하부에 조리가스의 배출을 포집할 수 있게 구비되는 포집덕트(30)를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포집덕트(30)는 조리가스를 포집하며 중앙에 덕트홀을 갖는 포집쟁반(410), 포집쟁반(410)의 중앙 하부에 상기 덕트홀에서 떨어지는 결로수를 집수하는 접시형에 결로수접시(420), 상기 결로수접시(420) 중앙에 결로수접시(420)가 덕트홀 하부에 위치하도록 결로수접시(420) 중앙에 결속된 접시결속봉(430)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도덕트부는 조리솥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상부로 유도 배출할 수 있게 조리솥의 후방에 형성되는 배기유도배출부(20), 하부에 유도덕트부를 지지하는 배기스탠드부(40)로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기유도배출부(20)는 하부에 조리솥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배기유입부(210)와 상기 배기유입부(210) 단부에서 연소가스를 상부로 상승 유동 배출시킬 수 있게 수직몸체로 형성한 배기유도덕트(220)로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도덕트부는 상기 솥프레임의 일측에 유도덕트 결속프레임(50)으로 결속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리가스배출부(10)는 상단에서 조리솥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배출지지암(110)과 상기 배출지지암(110)에 조리가스를 상부로 흡입 배출하도록 형성된 배출유도송풍부(120)로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출유도송풍부(120)는 배출지지암(110)의 상부에 안착되며 배출지지암(110)의 전면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되어 분리가능하게 구비한 팬프레임(121)과 조리가스를 상부로 배출하는 유도송풍수단(122)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덕트(30)는 상부에 팬프레임(121)의 하부에 슬라이딩 착탈가능하도록 팬프레임(121)의 하부 양측에 덕트슬라이딩결합구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슬라이딩결합구에 슬라이딩 삽입되게 포집덕트(30)의 상부에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진 덕트슬라이드판(310)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조리가스배출부(10)와 포집덕트(30) 사이에 필터삽입구(311)를 형성하고, 상기 필터삽입구(3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판(320)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시결속봉(430)와 결로수접시(420) 결속에 있어서 결로수접시(420)를 회전하여 접시 내부에 고인 결로수를 닦아내도록 결로수접시(420)를 회전하도록 형성된 접시회전베어링(431)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쟁반(410) 테두리에 포집쟁반(410)에 안측면에 맺힌 결로수가 면을 따라 포집쟁반(410) 테두리에 고이도록 테두리 안측으로 결로수 받침턱을 형성한 받침테두리(411)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테두리(411)에 고인 결로수가 받침테두리(411) 일측에 관통형성된 테두리배수홀(411a)을 통해 상기 결로수접시(420)로 이동 배수되도록 받침테두리(411)와 결로수접시(420) 사이에 결로수 유도관로를 형성하는 결로수관로(440)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로수접시(420)는 상면 내부에 고인 결로수을 닦아내기 용이하도록 떨어지는 결로수가 접시면 외측으로 고이도록 중앙에 경사지게 돌출된 접시경사면(421)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시결속봉(430)은 중간에 결로수접시(420)가 승하강되도록 접시결속봉(430)의 길이가 조절되는 승하강마디(432)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시결속봉(430) 접시회전베어링(431) 상부에 상기 결로수접시(420)를 기울이고 회전시켜 결소수접시에 고인 결로수를 닦아내도록 접시결속봉(430)이 꺾이도록 형성한 꺾임마디(433)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유입부(210)는 호형을 이루는 조리용솥의 외면에 대응하여 호형으로 형성한 돌출단부(211), 조리용솥의 회전과정에 간섭이 방지되게 조리솥 외면 및 조리솥 배기구와의 사이에 형성한 회전공극(212), 상기 돌출단부(211) 측면에 상기 조리용솥의 배기구를 양측으로 감싸도록 돌출된 이탈방지구(213)를 구비하는 거시다.
또한, 상기 유도덕트부와 상기 솥프레임의 결속에 있어서, 유도덕트부가 솥부 상부에서 이탈하도록 유도덕트부를 이탈시키는 덕트이탈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덕트이탈수단은 유도덕트부를 솥회전부 몸체에 결속하는 결속축이 되며 상기 솥회전부의 회전손잡이를 조작하여 유도덕트부를 회전이탈 시키는 덕트회전프레임축(510)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솥회전부 일측에 기어를 변경하여 솥부를 기울이는 동작과 유도덕트부를 회전이탈시키는 동작 및 솥부와 유도덕트부를 고정하는 동작을 선택하도록 형성된 동작변경기어(520)를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덕트이탈수단은 상기 솥회전부의 회전손잡이를 조작하여 유도덕트부를 전후진하여 수평이탈시키는 덕트수평이탈구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덕트이탈수단은 상기 솥회전부의 회전손잡이를 조작하여 유도덕트부를 수직으로 세워 세움이탈시키는 덕트세움이탈구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 솥부 2: 가열부
3: 솥프레임 4: 솥회전부
5: 유도덕트부 6: 조리제어부
7: 조리조작부
10: 조리가스배출부 20: 배기유도배출부
30: 포집덕트 40: 배기스탠드부
50: 결속프레임
110: 배출지지암 120: 배출유도송풍부
121: 팬프레임 122: 유도송풍수단
210: 배기유입부
211: 돌출단부 212: 회전공극
213: 이탈방지구
220: 배기유도덕트
310: 덕트슬라이드판 311: 필터삽입구
320: 필터판
410: 포집쟁반
411: 받침테두리 411a: 테두리배수홀
420: 결로수접시 421: 접시경사면
430: 접시결속봉 431: 접시회전베어링
432: 승하강마디 432a: 승강복구탄성체
433: 꺾임마디 433a: 꺾임복구탄성체
440: 결로수관로 441: 관로접점구
510: 덕트회전프레임축 520: 동작변경기어

Claims (6)

  1. 조리용솥에 있어서,
    음식물이 담아져 조리가 이루어지는 내솥과 상기 내솥 외부에 형성되는 외솥으로 형성된 솥부
    상기 내솥 하부에 내솥을 가열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도록 형성되는 가열부,
    상기 외솥 양측에 축지하여 솥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솥프레임,
    상기 솥프레임 일측에 조리과정에 솥을 기울어지게 회전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솥회전부,
    상기 솥프레임 일측에 조리가스와 배기가스를 배출하게 형성되는 유도덕트부,
    상기 솥프레임 일측에 장치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조리제어부,
    상기 솥프레임 일측에 상기 조리제어부로 조작신호를 입력하도록 형성되는 조리조작부로 구성하고,

    상기 유도덕트부는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게 조리영역 상부에 배치되게 구비되는 조리가스배출부(10), 상기 조리가스배출부(10)의 하부에 조리가스의 배출을 포집할 수 있게 구비되는 포집덕트(30)를 구비하고,

    상기 포집덕트(30)는 조리가스를 포집하며 중앙에 덕트홀을 갖는 포집쟁반(410), 포집쟁반(410)의 중앙 하부에 상기 덕트홀에서 떨어지는 결로수를 집수하는 접시형에 결로수접시(420), 상기 결로수접시(420) 중앙에 결로수접시(420)가 덕트홀 하부에 위치하도록 결로수접시(420) 중앙에 결속된 접시결속봉(430)을 구비하고,
    상기 접시결속봉(430)와 결로수접시(420) 결속에 있어서 결로수접시(420)를 회전하여 접시 내부에 고인 결로수를 닦아내도록 결로수접시(420)를 회전하도록 형성된 접시회전베어링(4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덕트부는 상기 솥프레임의 일측에 유도덕트 결속프레임(50)으로 결속되게 구비되고,
    상기 조리가스배출부(10)는 상단에서 조리솥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배출지지암(110)과 상기 배출지지암(110)에 조리가스를 상부로 흡입 배출하도록 형성된 배출유도송풍부(120)로 구성하고;
    상기 배출유도송풍부(120)는 배출지지암(110)의 상부에 안착되며 배출지지암(110)의 전면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되어 분리가능하게 구비한 팬프레임(121)과 조리가스를 상부로 배출하는 유도송풍수단(122)으로 구성하고
    상기 포집덕트(30)는 상부에 팬프레임(121)의 하부에 슬라이딩 착탈가능하도록 팬프레임(121)의 하부 양측에 덕트슬라이딩결합구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슬라이딩결합구에 슬라이딩 삽입되게 포집덕트(30)의 상부에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진 덕트슬라이드판(310)을 구비하고,
    조리가스배출부(10)와 포집덕트(30) 사이에 필터삽입구(311)를 형성하고, 상기 필터삽입구(3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판(32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수접시(420)는 상면 내부에 떨어지는 결로수가 접시면 외측으로 고이도록 중앙에 경사지게 돌출된 접시경사면(42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쟁반(410) 테두리에 포집쟁반(410)에 안측면에 맺힌 결로수가 면을 따라 포집쟁반(410) 테두리에 고이도록 테두리 안측으로 결로수 받침턱을 형성한 받침테두리(411)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테두리(411)에 고인 결로수가 받침테두리(411) 일측에 관통형성된 테두리배수홀(411a)을 통해 상기 결로수접시(420)로 이동 배수되도록 받침테두리(411)와 결로수접시(420) 사이에 결로수 유도관로를 형성하는 결로수관로(4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결속봉(430)은 중간에 결로수접시(420)가 승하강되도록 접시결속봉(430)의 길이가 조절되는 승하강마디(432)를 구비하고,
    상기 접시결속봉(430)에 상기 결로수접시(420)를 기울이고 회전시켜 결소수접시에 고인 결로수를 닦아내도록 접시결속봉(430)이 꺾이도록 형성한 꺾임마디(4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덕트부와 상기 솥프레임의 결속에 있어서,
    유도덕트부가 솥부 상부에서 이탈하도록 유도덕트부를 이탈시키는 덕트이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덕트이탈수단은 유도덕트부를 솥회전부 몸체에 결속하는 결속축이 되며 상기 솥회전부의 회전손잡이를 조작하여 유도덕트부를 회전이탈 시키는 덕트회전프레임축(510)을 구비하고,

    상기 솥회전부 일측에 기어를 변경하여 솥부를 기울이는 동작과 유도덕트부를 회전이탈시키는 동작 및 솥부와 유도덕트부를 고정하는 동작을 선택하도록 형성된 동작변경기어(5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KR1020230086121A 2023-07-03 2023-07-03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KR102646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6121A KR102646744B1 (ko) 2023-07-03 2023-07-03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6121A KR102646744B1 (ko) 2023-07-03 2023-07-03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744B1 true KR102646744B1 (ko) 2024-03-12

Family

ID=90299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6121A KR102646744B1 (ko) 2023-07-03 2023-07-03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7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32U (ja) * 1991-07-02 1993-01-26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加熱調理器用収納庫
KR101298811B1 (ko) 2013-01-23 2013-08-22 화신주방산업(주) 배기열 차열구조를 갖는 조리용 솥
KR102402756B1 (ko) * 2021-12-29 2022-05-30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KR102403712B1 (ko) * 2021-12-29 2022-05-30 화신주방산업(주)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KR102411279B1 (ko) * 2022-02-03 2022-06-22 화신주방산업(주)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32U (ja) * 1991-07-02 1993-01-26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加熱調理器用収納庫
KR101298811B1 (ko) 2013-01-23 2013-08-22 화신주방산업(주) 배기열 차열구조를 갖는 조리용 솥
KR102402756B1 (ko) * 2021-12-29 2022-05-30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KR102403712B1 (ko) * 2021-12-29 2022-05-30 화신주방산업(주)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KR102411279B1 (ko) * 2022-02-03 2022-06-22 화신주방산업(주)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966B1 (ko) 직, 간접 열을 동시에 이용하는 복합구이기
EP3203159B1 (en) Induction ventilation system for both air supply and exhaust
CN104605756B (zh) 烤炉能排气的方法
KR101478038B1 (ko) 무연 그릴
EP2062514B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products on both sides thereof
US20100000418A1 (en)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lid with viewing window
CN105286489A (zh) 全能厨艺机
CA3129476A1 (en) Hob system
KR20170085631A (ko) 유분제거가 용이한 레인지후드
EP3916308A1 (en) Condensate collecting device usable in a household appliance and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such a device
US20040187702A1 (en) Forced Venting Fry Utensil
CN112752926A (zh) 炉灶系统和用于向下排出烹饪烟气的烟气排出装置
KR102411279B1 (ko) 배기후드를 갖는 조리용솥
CN115997085A (zh) 组合器具
KR102646744B1 (ko)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KR101720902B1 (ko) 크린기능이 개선된 에어순환식 로스터
KR102323717B1 (ko) 밀폐형 무연 자동 튀김장치
KR102662569B1 (ko) 조리용 환기유도 덕트
KR102646749B1 (ko)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부침기
US20080203095A1 (en) Vapor-guiding lid for cookware
KR20230101576A (ko)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KR20190069296A (ko) 정화 효율성을 향상시킨 구이장치
KR102467135B1 (ko) 고기 구이장치
KR20150118704A (ko) 수유 튀김기
JPH0439550A (ja) 加熱調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