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68938A1 - 고체연료 보일러 - Google Patents

고체연료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68938A1
WO2015068938A1 PCT/KR2014/007712 KR2014007712W WO2015068938A1 WO 2015068938 A1 WO2015068938 A1 WO 2015068938A1 KR 2014007712 W KR2014007712 W KR 2014007712W WO 2015068938 A1 WO2015068938 A1 WO 201506893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olid fuel
combustion furnace
boiler
heating water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77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대겸
Original Assignee
김대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겸 filed Critical 김대겸
Priority to US14/903,555 priority Critical patent/US9506669B2/en
Priority to CN201480039038.8A priority patent/CN105378380A/zh
Publication of WO201506893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689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063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by scattering over the fuel-suppor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using gaseous or liq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1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field or garden waste or biom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2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24H1/36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the water chamber including one or more fire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24H1/43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26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24H9/0031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with means for changing or adapting the path of the flue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70Incinerating particular products or waste
    • F23G2900/7012Incinerating rice or grain husks, hulls or br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 F24H2230/02Solid and fluid fuel fired boil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id fuel boi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lid fuel boiler that can be supplied with oil fuel and gas fuel so as not to extinguish the fire while using a solid fuel including rice straw, fallen leaves, wood, etc. will be.
  • a boiler is a means for heating a water tank circulated for hot water and heating while the burner is operated by a control system such as an electric ignition method, and the fuel mainly uses oil or gas.
  •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868985 discloses a firewood burner using a straw straw, fallen leaves, trees and the like as a heat sourc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lace the boiler using oil or gas as the main fuel, can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rice straw, fallen leaves, rice husk, wood It is to provide a solid fuel boiler that can be expected to save energy through the recycling of natural resource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iler for receiving a solid fuel from the outside and burning it to heat hot water and heating water, the top of which is open, the inlet through which the solid fuel is introduced, and the solid fuel is burned A combustion port for discharging ash generated while the ash is discharged and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to the opened upper portion; A plate part disposed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and seated with the solid fuel supplied to the inlet, and combusting the solid fuel; Two fuel supply parts for supplying an oil fuel and a gas fuel into the combustion furnace; Located at the top of the combustion furnace, provides a solid fuel boiler comprising a boiler portion in which the hot water and the heating water is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while the solid fuel is burned.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spersing means for evenly dispersing the solid fuel introduced into the inlet, wherein the dispersing means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inlet and rotatably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 the plat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is rotatably fixed to the interior of the combustion furnace,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e motor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plate.
  • the boil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bove the combustion furnace, and has a storage space therein,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penetrating the storage spa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mbustion furnace are formed, from the outside to the storage space
  • a casing to which a heating water inflow pipe into which the heating water flows and a heating water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heating water is discharged are connected;
  • cold water is introduced into one end, the cold water introduced to the other end is heated to discharge the hot w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t water pipe between the both end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 the combustion furnace and the boiler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portion,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hole is opened in the up, down direction is formed,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furnace is coupled to the inside,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hole And a water jacket having an upper portion open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wherein the water jacket is connected with a heating water inflow pipe through which the heating water flows from the outside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boiler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connection hole.
  • a redistribution outlet for drawing the ash accumulated in the plate is formed.
  • the space between the plate and the combustion furn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space for pushing the ash accumulated in the plate to be discharged to the ash tray.
  • connection hole the first connection hole is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furnace; And a second connection hol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hole and the boiler and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connection hole, wherein the water jacket has an annular ste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holes. It is characterized by.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boiler with oil or gas as a fuel,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o expect energy saving through recycling of resources such as rice straw, fallen leaves, chaff, and wood. .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lid fuel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mbustion unit in a solid fuel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iler in a solid fuel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ion in the solid fuel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olid fuel boiler 1 receives a solid fuel from the outside and burns it to heat the hot water and the heating water, and the inlet 11 into which the solid fuel is introduced. ), A combustion furnace 10 in which an outlet 12 through which ash generated while burning the solid fuel is discharged is formed, and the solid fuel supplied to the inlet 11 is located in the combustion furnace 10. It is seated, and the plate portion 20, the combustion of the solid fuel is included, and the boiler portion 30 is heated by the heat transmitt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10 and the heating water.
  • the solid fuel may be made of rice straw, fallen leaves, sawdust, rice husk, wood, etc., of course, a plurality of materials may be mixed.
  • the solid fuel is cut from another external solid fuel supply device 100 and supplied into the combustion furnace 10, and the solid fuel supply device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known forms.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solid fuel boiler 1 may further include a base portion 40 for supporting the combustion furnace 10.
  • the base portion 40 supports the combustion furnace 10 from an outdoor ground or an indoor floor,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known forms, but most preferably, the base portion 40 has an empty hexahedron shape.
  • the combustion furnace 10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opened, and combustion gas generated while the solid fuel is burned is discharged to the opened upper portion.
  • the outlet 12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 the inlet 11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ide of the combustion furnace 10 on the side of the combustion furnace 10, the inlet 11 and the air required for the combustion of the solid fuel with the solid fuel flows into the inlet (11) Can be.
  • An external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furnace 10, that is, a lower portion of the plate part 2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ignition device (not shown), and the combustion furnace 10 through the inlet 11 by the ignition device.
  • the solid fuel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gnition is ignited and burned.
  • the combustion furnace 10 may be provided with fuel supply units 120 and 130 for receiving oil fuel and gas fuel from the outside, respectively.
  • the fuel supply units 120 and 130 receive oil fuel and gas fuel from the outside to supply oil fuel and gas fuel to the combustion furnace 10.
  • the fuel supply units 120 and 130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known forms for receiving and supplying oil fuel and gas fuel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fire is not turned off due to lack of solid fuel in the combustion furnace 10.
  • the fuel of the oil and gas supplied from the fuel supply unit 120, 130 may be ignited and combusted by the above-described separate ignition device, of course.
  • the solid fuel boiler 1 may further include a dispersing means 50 for evenly dispersing the solid fuel flowing into the inlet 11 into the combustion furnace 10.
  • the dispersing means 5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inlet 11, and on the rotary shaft 51 and the rotary shaft 51 which are rota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furnace 10.
  • the plurality of dispersion blades 53 includes a rotating body 52 is formed radially.
  • the solid fuel supply device 100 is located above the rotary shaft 51 and supplies the solid fuel between the dispersing blades 53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rotating body 52 is the outer side of the combustion furnace 10. To rotate inward. That is, the rotary body 52 is automatically rotated by a load while the solid fuel is received between the dispersing blades 53 adjacent to each other.
  • the dispersion means 50 may further include a drive motor (not shown)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shaft 51.
  • the solid fuel boiler 1 may be evenly distributed in the plate portion 2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52.
  • the plate part 20 includes a plate 21 rota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furnace 10 and a drive motor 22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plate 21.
  • the plate 21 has a plurality of holes 21a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furnace 10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air passes from the outside into the plurality of holes 21a so that the combustion furnace Can flow into the interior of (10).
  • the driving motor 22 is formed in a general form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nd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plate 21,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late 21 is provided with a central axis 23, the central axis 23 is tooth-coupled with the drive motor 22, or belt-coupled as shown in Figures 1 and 2 And the like can be interconnected in various known forms.
  • the plate 21 may be stably rotated by a method such that the central axis 23 is rotatably fixed to the base portion 40.
  • the solid fuel boiler 1 may be evenly distributed on the plate 21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drive motor 22 is the solid fuel supplied to the combustion furnace 10 through the inlet (11). Full combustion of the solid fuel can be expected.
  • the solid fuel boiler 1 may further include a re-package 60 for collecting the ash falling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21a).
  • the tray 60 is accommodated in the base portion 40 and is preferably located below the outlet 12.
  • the combustion furnace 10 is most preferably formed in a conical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outlet 12 from the point where the plate 21 is located.
  • This may be understood as to allow the ash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21a to be introduced into the tray 60 without leaving the outside.
  • the combustion furnace 10 is provided with a redistribution opening 13 for removing ash accumulated in the plate 21 without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21a.
  • the redistribution outlet 13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of the combustion furnace 10, a separate reprocessing knife 110 is introduced into the ash accumulated in the plate 21 and the plate 21 and the combustion furnace ( 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pace 24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separation space 24 is preferably formed to the extent that ash can be discharged between the plate 21 and the combustion furnace 10.
  • the reprocessing knife 110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means for pushing the ash accumulated in the plate 21 into the redistribution outlet 13 and pushing the ash to the separation space 24.
  • the boiler unit 30 is positioned above the combustion furnace 10, and the hot water and the heating water circulated therein while being heated by a flame or a high temperature combustion gas generated while the solid fuel is burned. To form.
  • the boiler unit 30 is positioned above the combustion furnace 10 and has a storage space 31a therein, and penetrates the storage space 31a to allow the combustion furnace 10 to be disposed therein.
  •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2 ar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asing 31, the casing 31 is connected to the heating water inlet pipe 33 through which the heating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the heating water discharge pipe 34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heating water is discharged.
  • 31 is located inside the cold water is introduced into one end, and the cold water introduced to the other end is heated to include a hot water pipe 35 for discharging hot water in a high temperature state.
  • the casing 31 has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2 have a circular tube through which both ends penetrat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asing 31, and the combustion furnace 10 is inward. Combustion gas generated from) passes through.
  • the heating water inlet pipe 33 is connected to the casing 31 so that one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space 31a, and the other end of the heat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eating water discharge pipe 34 heats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It can be understood to be re-introduced by repeating the cycle to do so.
  • the heat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casing 31 may overheat the casing 31 while repeating such a circulation.
  • the heat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heating water inlet pipe 33 is stored, and the heating water is a flame generated when the solid fuel is burned, or the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2. It is heated to high temperature while being in thermal contact with
  • the hot water pipe 35 is heated by the high temperature heating water while being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31a.
  • the hot water pipe 35 is formed of a coil pipe having a general shape, and both ends thereof are located outside the casing 31, and between both ends thereof, the inside of the casing 31 is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31 a. It is kept submerged in the heating water received.
  •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2 respectively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asing 31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furnace 10.
  •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2 are flames generated when the solid fuel is burned, or thermal contact is made while the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 the heating water stored in the casing 31 is heated by such thermal contact, while the hot water pipe 35 is heated by the heating water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state.
  • the heating water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is circulated in connection with another heating pipe (not shown) through the heating water discharge pipe 34, and then flows into the casing 31 through the heating water inlet pipe 33. And reheat.
  • the hot water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is consumed while being discharged in connection with a separate hot water pipe (not shown), and the like, while the cold water in the low temperature state in which the cold water is not heated through another external water pipe (not shown) is used. ) Is continuously supplied and heated.
  • the solid fuel boiler 1 may continuously supply the hot water and the heating water according to the combustion of the solid fuel.
  • the solid fuel boiler 1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unit 70 for discharging the combustion gas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 the exhaust unit 70 has both ends, and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xhaust pipe 71 and the casing 31 extending in both end directions thereof to cover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2 and the casing 31 and It includes an exhaust hopper 72 for connecting the exhaust pipe (71).
  • the exhaust hopper 72 preferably has a conical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is narrowed toward the exhaust pipe 71 from the casing 31.
  • the exhaust pipe 71 may be provided with a blowing fan 73 for smoothly discharging the combustion gas to the outside.
  • the solid fuel boiler 1 can smoothly discharge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while the solid fuel is burned to the outside.
  • the solid fuel boiler 1 connects the combustion furnace 10 and the boiler unit 30 as shown in FIGS. 1 and 4, and a connection unit for preventing overheating of the boiler unit 30 ( 80) may be further included.
  • connection portion 80 is formed with a connection hole 82 which is open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furnace 10 is coupled to the inside, the upper portion is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hole 82 inside It includes a water jacket 81 is formed receiving space 83.
  • the water jacket 81 has an annular ring shape, and the boiler portion 3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by welding, such as the storage space 31a, the accommodation space 83, and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2.
  • the connecting hole 82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 the heating water inlet pipe 3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80, not the casing 31. That is, the heat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31a is discharged and circulated through the heating water discharge pipe 34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83 through the heating water inlet pipe 33 to be reheat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 connection hole 82 is a first connection hole 82a to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furnace 10 is fitted, and a second connection locat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hole 82a and the boiler part 30. Ball 82b.
  • the water jacket 81 may have an annular jaw 84 formed therebetween while the first connecting hole 82a has a larger inner diameter than the second connecting hole 82b.
  • the annular jaw 84 may be stably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furnace 10 while being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furnace 10.
  • the annular jaw 84 allows an area of thermal contact with the flame or hot combustion gas transmitt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10 to be increased, while restricting the flow of the annular jaw 84 into the furnace 10. Allow time for stay to be increased. In other words, the annular jaw 84 limits the rapid discharge of the combustion gas to the outside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can be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 the accommodating space 83 is connected to the storage space 31a of the casing 31 by the heating water inflow pipe 33 so that the heating water is accommodated, and the received heating water is combusted with the solid fuel.
  • the generated flame or combustion gas is heated while being introduced into the hollow 81.
  • the solid fuel boiler 1 is connected between the combustion unit 10 and the boiler unit 30, the connection portion 80 is connected, while the heating water is stored inside the connection portion 80 due to the solid fuel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heating due to heat generated while burning.
  • connection part 80 is connected to the hollow 8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furnace 10. It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2 provided in the portion 30.
  • the solid fuel supplied into the combustion furnace 10 through the inlet 11 is evenly distributed on the plate 21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ispersing means 50 and the driving motor 22. It is ignited by another separate ignition.
  • the flame or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while the solid fuel is burned is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hole 82 through the combustion furnace 10, and the receiving space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rt 80 during the drawing process.
  • the heating water accommodated in 83 is first heated.
  • the heating water primarily he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83 flows into the storage space 31a, and the heated heating water flows into hot combustion gas, flame, or the like, which flows in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2. Secondary heating while in contact.
  • the heating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heating water discharge pipe 34 and circulated, and then flows into the receiving space 83 through the heating water inlet pipe 33 and is reheated.
  • the solid fuel boiler 1 can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heating state by continuously supplying the heating water at a high temperature stat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of the solid fuel.
  • the hot water may be replenished while the hot water pipe 35 is heated by the heating water heated in the storage space 31a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cold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outside.
  • the hot water pipe 35 is one end of the cold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e introduced cold water can be continuously discharged hot water to the other end while being heated by the heating water of the high temperature state in the storage space (31a).
  • the solid fuel boiler 1 may be used by continuously heating hot water and heating water according to the combustion of the solid fuel.
  • connection 81 water ja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연료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볏짚, 낙엽, 나무 등을 포함하는 고체연료를 열원으로 하는 한편, 불이 꺼지지 않도록 기름연료와 가스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는 고체연료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체연료 보일러
본 발명은 고체연료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볏짚, 낙엽, 나무 등을 포함하는 고체연료를 열원으로 하는 한편, 불이 꺼지지 않도록 기름연료와 가스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는 고체연료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전기 점화방식 등의 제어시스템에 의하여 버너가 점화된 채 운전되면서 온수 및 난방을 위해 순환되는 물탱크를 가열시키는 수단으로서, 연료는 주로 기름이나 가스를 사용한다.
이러한 기름이나 가스 등을 주된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의 경우 연료의 구입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 유지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소득수준이 어려운 농촌 등에서는 보일러 사용에 따른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868985호에는 볏짚, 낙엽, 나무 등을 열원으로 하는 화목 버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목 버너는 볏짚, 낙엽, 나무 등을 열원으로 사용하기는 하나 보일러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름이나 가스를 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를 대체할 수 있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볏짚, 낙엽, 왕겨, 나무 등 자연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에너지의 절약을 기대할 수 있는 고체연료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고체연료를 공급받아 이를 연소시켜 온수와 난방수를 가열하는 보일러로서,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고체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고체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재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그 개구된 상부로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소로; 상기 연소로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유입구로 공급되는 상기 고체연료가 안착되며, 그 고체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플레이트부; 상기 연소로의 내부로 기름연료와 가스연료를 공급하는 두 개의 연료공급부; 상기 연소로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고체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온수와 상기 난방수가 가열되는 보일러부를 포함하는 고체연료 보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고체연료를 상기 연소로의 내부로 고르게 분산하기 위한 분산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분산수단은, 상기 유입구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연소로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끼움결합되며, 복수의 분산날개가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연소로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일러부는, 상기 연소로의 상부에 위치되며, 내측으로 저장공간이 구비되고, 그 저장공간을 관통하며 상기 연소로와 연통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저장공간으로 난방수가 유입되는 난방수유입관과, 유입된 난방수가 배출되는 난방수배출관이 연결되는 케이싱; 및 일단부로 냉수가 유입되고, 타단부로 유입된 냉수가 가열되어 온수가 배출되며, 양단부 사이가 상기 저장공간에 수용되는 온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소로와 상기 보일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연결공이 형성되어 그 내측으로 상기 연소로의 상부가 결합되며, 그 연결공의 외측으로 상부가 개구되어 내측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물재킷을 포함하며, 상기 물재킷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난방수가 유입되는 난방수유입관이 연결되고, 상기 보일러부는, 상기 연결공과 연통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저장공간이 구비되어 그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난방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상기 난방수가 배출되는 난방수배출관이 연결되는 케이싱; 및 일단부로 냉수가 유입되고, 타단부로 유입된 상기 냉수가 가열되어 상기 온수가 배출되며, 양단부 사이가 상기 저장공간에 수용되는 온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배출공을 통과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기구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배기관; 및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배출공을 덮으며, 그 케이싱과 상기 배기관을 연결하는 배기호퍼; 및 상기 배기관에 연결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다수의 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재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소로에는, 상기 플레이트에 적체되는 재를 인출하기 위한 재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연소로와의 사이로는, 상기 플레이트에 적체되는 재를 밀어 상기 재함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공은, 상기 연소로의 상부가 끼움 결합되는 제1연결공; 및 상기 제1연결공과 상기 보일러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연결공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제2연결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물재킷은, 상기 제1,2연결공 사이로 환형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름이나 가스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를 대체할 수 있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볏짚, 낙엽, 왕겨, 나무 등 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에너지의 절약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연료 보일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연료 보일러에서 연소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연료 보일러에서 보일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연료 보일러에서 연결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고체연료 보일러(1)는 외부로부터 고체연료를 공급받아 이를 연소시켜 온수와 난방수를 가열하는 보일러로서, 상기 고체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상기 고체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재가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되는 연소로(10), 상기 연소로(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유입구(11)로 공급되는 상기 고체연료가 안착되며, 그 고체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플레이트부(20), 상기 연소로(10)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상기 온수와 상기 난방수가 가열되는 보일러부(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체연료는 볏짚, 낙엽, 톱밥, 왕겨, 나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물질이 혼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체연료는 외부의 다른 고체연료 공급장치(100)로부터 절단되어 상기 연소로(10)의 내부로 공급되며, 이와 같은 고체연료 공급장치(10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고체연료 보일러(1)는 상기 연소로(1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40)는 실외 지면이나, 실내 바닥면 등으로부터 상기 연소로(10)를 떠받치며,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내부가 빈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연소로(10)는 상부가 개구되는 원통 형태를 이루며, 그 개구된 상부로 상기 고체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배출된다. 그리고,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12)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1)는 상기 연소로(10)의 측면에서 그 연소로(10)의 내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그 유입구(11)로는 상기 고체연료와 함께 그 고체연료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연소로(10)의 외부 하측 즉, 상기 플레이트부(20)의 하부에는 별도의 다른 점화장치(미도시)가 구비되며, 그 점화장치에 의해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상기 연소로(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고체연료가 점화되어 연소된다.
상기 연소로(10)에는 외부로부터 기름연료와 가스연료를 공급받기 위한 연료공급부(120,13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료공급부(120,130)는 외부로부터 기름연료와 가스연료를 공급받아 상기 연소로(10)의 내부로 기름연료와 가스연료를 공급한다.
상기 연료공급부(120,130)는 외부로부터 기름연료와 가스연료를 공급받아 공급하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연소로(10)에서 고체연료의 부족 등으로 인해 불이 꺼지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공급부(120,130)로부터 공급되는 기름과 가스의 연료는 전술한 별도의 다른 점화장치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고체연료 보일러(1)는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되는 상기 고체연료를 상기 연소로(10)의 내부로 고르게 분산하기 위한 분산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수단(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1)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연소로(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51) 및 상기 회전축(51)에 끼움결합되며, 복수의 분산날개(53)가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체(52)를 포함한다.
상기 고체연료 공급장치(100)는 상기 회전축(51)보다 상측에 위치되면서 서로 인접하는 분산날개(53) 간의 사이로 상기 고체연료를 공급하여 상기 회전체(52)가 상기 연소로(1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즉, 상기 회전체(52)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분산날개(53) 간의 사이로 상기 고체연료가 수용되면서 하중에 의해 자동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분산수단(50)은 상기 회전축(51)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 인해, 상기 고체연료 보일러(1)는 상기 회전체(52)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체연료를 상기 플레이트부(20)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20)는 상기 연소로(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플레이트(21) 및 상기 플레이트(2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22)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21)는 상기 연소로(10)의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구멍(21a)이 상,하 방항으로 형성되며, 그 다수의 구멍(21a)으로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통과하여 상기 연소로(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2)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일반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21)에 직접 연결되어도 무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플레이트(21)는 중심축(23)이 구비되며, 그 중심축(23)은 상기 구동모터(22)와 치형결합되거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결합되는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체연료가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낙하되는 일정 지점에 적체될 수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플레이트(21)에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1)는 상기 중심축(23)이 상기 베이스부(4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안정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체연료 보일러(1)는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상기 연소로(10)로 공급되는 상기 고체연료가 상기 구동모터(22)의 구동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21)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고체연료의 완전연소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체연료 보일러(1)는 상기 다수의 구멍(21a)을 통과하여 낙하되는 재를 집진하기 위한 재함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함지(60)는 상기 베이스부(40)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배출구(12)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소로(10)는 상기 플레이트(21)가 위치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배출구(12)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원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다수의 구멍(21a)을 통과하는 재가 외부로 이탈됨이 없이 상기 재함지(60)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연소로(10)에는 상기 다수의 구멍(21a)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상기 플레이트(21)에 적체되는 재를 제거하기 위한 재배출구(13)가 형성된다.
상기 재배출구(13)는 상기 연소로(10)의 내부와 연통되며, 별도의 재처리칼(110)이 인입되어 상기 플레이트(21)에 적체되는 재를 상기 플레이트(21)와 상기 연소로(10)와의 이격공간(24)으로 밀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이격공간(24)은 상기 플레이트(21)와 상기 연소로(10)와의 사이로 재가 배출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재처리칼(110)은 상기 재배출구(13)로 인입되어 상기 플레이트(21)에 적체되는 재를 가압하여 상기 이격공간(24)으로 밀기 위한 수단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일러부(30)는 상기 연소로(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고체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화염이나, 고온의 연소가스 등에 의해 가열되면서 그 내부를 순환하는 상기 온수 및 상기 난방수가 가열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보일러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소로(10)의 상부에 위치되며 내측으로 저장공간(31a)이 구비되고 그 저장공간(31a)을 관통하여 상기 연소로(10)와 연통되는 복수의 배출공(32)이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난방수가 유입되는 난방수유입관(33)과 유입된 난방수가 배출되는 난방수배출관(34)이 연결되는 케이싱(31), 상기 케이싱(31)의 내측에 위치되며 일단부로 냉수가 유입되고, 타단부로 유입된 냉수가 가열되어 고온 상태의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관(35)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31)은 상,하부면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배출공(32)은 양단부가 관통되는 원형관 등이 그 케이싱(31)의 상,하부면을 관통하면서 내측으로 상기 연소로(10)로부터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통과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난방수유입관(33)은 일단부가 상기 저장공간(31a)과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싱(31)에 연결되며, 타단부로는 상기 난방수배출관(34)을 통해 배출되는 난방수가 건물 실내 등을 난방하기 위해 순환을 반복하면서 재유입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순환을 반복하면서 상기 케이싱(31)에 수용되는 난방수는 그 케이싱(31)을 과열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31a)으로는 상기 난방수유입관(33)을 통해 유입되는 난방수가 저장되며, 그 난방수는 상기 고체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화염이나,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복수의 배출공(32)과 열 접촉되면서 고온상태로 가열된다.
상기 온수관(35)은 상기 저장공간(31a)에 위치되면서 고온상태의 난방수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온수관(35)은 일반적인 형태의 코일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단부는 상기 케이싱(31)의 외측에 위치되고, 그 양단부 사이는 상기 케이싱(31)의 내부에서 상기 저장공간(31a)에 수용되는 상기 난방수에 잠긴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복수의 배출공(32)은 각각 상기 케이싱(31)의 상,하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연소로(10)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복수의 배출공(32)으로는 상기 고체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화염이나, 상기 연소가스가 배출되면서 열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열 접촉에 의해 상기 케이싱(31)의 내부에 저장되는 난방수가 가열되는 한편, 고온 상태로 가열되는 난방수에 의해 상기 온수관(35)이 가열된다.
고온으로 가열된 난방수는 상기 난방수배출관(34)을 통해 별도의 다른 난방배관(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순환된 뒤, 상기 난방수유입관(33)을 통해 상기 케이싱(31)의 내부로 유입되어 재가열된다.
그리고, 고온으로 가열된 온수는 별도의 다른 온수배관(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배출되면서 소비되는 한편, 외부의 다른 수도관(미도시) 등을 통해 비가열된 저온 상태의 냉수가 상기 온수관(35)으로 연속 공급되어 가열된다.
이와 같은 순환이 반복되면서 상기 고체연료 보일러(1)는 상기 고체연료의 연소에 따라 상기 온수와 상기 난방수를 연속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체연료 보일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배출공(3)을 통과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부(70)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배기관(71) 및 상기 케이싱(31)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배출공(32)을 덮으며 그 케이싱(31)과 상기 배기관(71)을 연결하는 배기호퍼(72)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호퍼(72)는 상기 케이싱(31)으로부터 상기 배기관(71)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원뿔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관(71)에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7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고체연료 보일러(1)는 상기 고체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고체연료 보일러(1)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소로(10)와 상기 보일러부(30)를 연결하는 한편, 상기 보일러부(30)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80)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연결공(82)이 형성되어 그 내측으로 상기 연소로(10)의 상부가 결합되며, 그 연결공(82)의 외측으로 상부가 개구되어 내측으로 수용공간(83)이 형성되는 물재킷(81)을 포함한다.
상기 물재킷(81)은 환형 링 형태를 이루며, 상부에 상기 보일러부(30)가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면서 상기 저장공간(31a)과 상기 수용공간(83) 및 상기 복수의 배출공(32)과 상기 연결공(82)이 상호 연통된다.
이때에는, 상기 난방수유입관(33)은 상기 케이싱(31)이 아닌 상기 연결부(80)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저장공간(31a)에 수용되는 난방수는 상기 난방수배출관(34)을 통해 배출되어 순환된 뒤, 상기 난방수유입관(33)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83)의 내부로 유입되어 재가열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연결공(82)은 상기 연소로(10)의 상부가 끼움 결합되는 제1연결공(82a)과, 상기 제1연결공(82a)과 상기 보일러부(30) 사이에 위치되는 제2연결공(8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물재킷(81)은 상기 제1연결공(82a)이 상기 제2연결공(82b)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되면서 그 사이로 환형턱(8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형턱(84)은 상기 연소로(10)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그 연소로(1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환형턱(84)은 상기 연소로(10)에서 전달되는 화염이나, 고온의 연소가스와의 열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하는 한편, 그 흐름을 제한하여 연소가스 등이 상기 연소로(10)로에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환형턱(84)은 연소가스 등이 외부로 빠르게 배출되는 것을 제한하여 내부 온도가 고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용공간(83)은 상기 난방수유입관(33)에 의해 상기 케이싱(31)의 저장공간(31a)과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면서 난방수가 수용되며, 그 수용되는 난방수는 상기 고체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화염이나, 연소가스가 상기 중공(81)으로 인입되면서 가열된다.
상기 고체연료 보일러(1)는 상기 연소로(10)와 상기 보일러부(30) 사이에 상기 연결부(80)가 연결되는 한편, 그 연결부(80)의 내측으로 난방수가 저장되므로 인해 상기 고체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체연료 보일러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부(80)는 상기 중공(81)이 상기 연소로(10)의 내측과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한편, 상기 보일러부(30)에 구비되는 상기 복수의 배출공(32)과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상기 연소로(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고체연료는 상기 분산수단(50) 및 상기 구동모터(22)의 구동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21)에 고르게 분산되는 한편, 별도의 다른 점화장치에 의해 점화된다.
상기 고체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화염이나, 연소가스는 상기 연소로(10)를 통과하여 상기 연결공(82)으로 인입되며, 그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80)와 열 접촉되면서 상기 수용공간(83)에 수용되는 난방수가 1차 가열된다.
상기 수용공간(83)에서 1차 가열된 난방수는 상기 저장공간(31a)으로 유입되며, 그 유입되는 난방수는 상기 복수의 배출공(32)으로 유입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나, 화염 등과 열 접촉되면서 2차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난방수는 상기 난방수배출관(34)을 통해 배출되어 순환된 후, 상기 난방수유입관(33)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83)으로 유입되어 재가열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고체연료 보일러(1)는 상기 고체연료의 연소에 따라 난방수를 고온상태로 연속 공급할 수 있음으로써 일정온도의 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온수는 상기 온수관(35)이 상기 저장공간(31a)에서 가열되는 난방수에 의해 가열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한편, 외부로부터 냉수가 연속 공급되면서 보충될 수 있다.
상기 온수관(35)은 일단부로 외부로부터 냉수가 유입되고, 그 유입된 냉수가 상기 저장공간(31a)에서 고온상태의 난방수에 의해 가열되면서 타단부로 온수를 연속 배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고체연료 보일러(1)는 상기 고체연료의 연소에 따라 온수 및 난방수를 연속 가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연료 보일러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체연료 보일러 10 : 연소로
11 : 유입구 12 : 배출구
13 : 재배출구 20 : 플레이트부
21 : 플레이트 22 : 구동모터
23 : 중심축 24 : 이격공간
30 : 보일러부 31 : 케이싱
31a : 저장공간 32 : 배출공
33 : 난방수유입관 34 : 난방수배출관
35 : 온수관 40 : 베이스부
50 : 분산수단 52 : 회전체
60 : 재함지 70 : 배기구
80 : 연결부 81 : 물재킷
82 : 연결공 83 : 수용공간
84 : 환형단턱
100 : 고체연료 공급장치 120,130 : 연료공급부

Claims (8)

  1. 외부로부터 고체연료를 공급받아 이를 연소시켜 온수와 난방수를 가열하는 보일러로서,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고체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고체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재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그 개구된 상부로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소로;
    상기 연소로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유입구로 공급되는 상기 고체연료가 안착되며, 그 고체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플레이트부;
    상기 연소로의 내부로 기름연료와 가스연료를 공급하는 두 개의 연료공급부; 및
    상기 연소로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고체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온수와 상기 난방수가 가열되는 보일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 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고체연료를 상기 연소로의 내부로 고르게 분산하기 위한 분산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분산수단은,
    상기 유입구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연소로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끼움결합되며, 복수의 분산날개가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 보일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연소로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 보일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부는,
    상기 연소로의 상부에 위치되며, 내측으로 저장공간이 구비되고, 그 저장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연소로와 연통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저장공간으로 난방수가 유입되는 난방수유입관과, 유입된 난방수가 배출되는 난방수배출관이 연결되는 케이싱; 및
    일단부로 냉수가 유입되고, 타단부로 유입된 냉수가 가열되어 온수가 배출되며, 양단부 사이가 상기 저장공간에 수용되는 온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 보일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와 상기 보일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연결공이 형성되어 그 내측으로 상기 연소로의 상부가 결합되며, 그 연결공의 외측으로 상부가 개구되어 내측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물재킷을 포함하며,
    상기 물재킷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난방수가 유입되는 난방수유입관이 연결되고,
    상기 보일러부는,
    상기 연결공과 연통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저장공간이 구비되어 그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난방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상기 난방수가 배출되는 난방수배출관이 연결되는 케이싱; 및
    일단부로 냉수가 유입되고, 타단부로 유입된 상기 냉수가 가열되어 상기 온수가 배출되며, 양단부 사이가 상기 저장공간에 수용되는 온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 보일러.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공을 통과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기구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배기관; 및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배출공을 덮으며, 그 케이싱과 상기 배기관을 연결하는 배기호퍼; 및
    상기 배기관에 연결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 보일러.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다수의 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재를 집진하기 위한 재함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소로에는,
    상기 플레이트에 적체되는 재를 인출하기 위한 재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연소로와의 사이로는,
    상기 플레이트에 적체되는 재를 밀어 상기 재함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 보일러.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은,
    상기 연소로의 상부가 끼움 결합되는 제1연결공; 및
    상기 제1연결공과 상기 보일러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연결공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제2연결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물재킷은,
    상기 제1,2연결공 사이로 환형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 보일러.
PCT/KR2014/007712 2013-11-06 2014-08-20 고체연료 보일러 WO2015068938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03,555 US9506669B2 (en) 2013-11-06 2014-08-20 Solid fuel boiler
CN201480039038.8A CN105378380A (zh) 2013-11-06 2014-08-20 固体燃料锅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294 2013-11-06
KR20130134294A KR101498821B1 (ko) 2013-11-06 2013-11-06 고체연료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8938A1 true WO2015068938A1 (ko) 2015-05-14

Family

ID=5302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7712 WO2015068938A1 (ko) 2013-11-06 2014-08-20 고체연료 보일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06669B2 (ko)
KR (1) KR101498821B1 (ko)
CN (1) CN105378380A (ko)
WO (1) WO20150689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89447B (zh) * 2016-04-04 2019-07-02 申光燮 焚烧锅炉
CN107327825B (zh) * 2017-07-31 2023-05-12 叶常青 生物质喷燃多管蒸汽锅炉
JP2021067393A (ja) * 2019-10-23 2021-04-30 株式会社エム・アイ・エス 燃焼ボイラ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380U (ko) * 1998-07-10 1998-10-26 양재규 화목,기름,전기,가스를 연료로하는 난방용 다기능 보일러
KR100267042B1 (ko) * 1998-02-09 2000-09-15 최진민 고체연료 및 기름과 가스를 연료로 하는 다목적 보일러
KR200208703Y1 (ko) * 2000-07-13 2001-01-15 정명래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겸용 보일러
KR20100069208A (ko) * 2008-12-16 2010-06-24 정윤걸 기능성 화목 보일러
KR20130077345A (ko) * 2011-12-29 2013-07-09 주식회사 원진 다목적 고체연료용 보일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3814A (en) * 1981-04-08 1983-07-19 Raymond Sievert Multi-fueled boiler
US4479605A (en) * 1981-04-23 1984-10-30 Patrick Shive Heating system
US4555993A (en) * 1984-06-11 1985-12-03 Carmelo Gallaro Water gas furnace
CN2314283Y (zh) * 1997-12-22 1999-04-14 王振平 立式转换燃烧常压热水取暖锅炉
CN2338690Y (zh) * 1998-09-16 1999-09-15 郭文彩 热风助燃消烟常压立式锅炉
KR200350607Y1 (ko) * 2004-02-27 2004-05-13 김연태 연탄겸용 화목보일러
ITCS20070034A1 (it) * 2007-07-12 2009-01-13 Ungaro S R L Scambiatore di calore per termocaldaia
US8011329B2 (en) * 2007-07-18 2011-09-06 Hardy Willie J Automatically controlled outdoor pelletized bio-fuel-burning hydronic heater
US9182115B2 (en) * 2009-03-12 2015-11-10 Kenneth A. DONGO Fluid heating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7042B1 (ko) * 1998-02-09 2000-09-15 최진민 고체연료 및 기름과 가스를 연료로 하는 다목적 보일러
KR19980059380U (ko) * 1998-07-10 1998-10-26 양재규 화목,기름,전기,가스를 연료로하는 난방용 다기능 보일러
KR200208703Y1 (ko) * 2000-07-13 2001-01-15 정명래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겸용 보일러
KR20100069208A (ko) * 2008-12-16 2010-06-24 정윤걸 기능성 화목 보일러
KR20130077345A (ko) * 2011-12-29 2013-07-09 주식회사 원진 다목적 고체연료용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69551A1 (en) 2016-06-16
KR101498821B1 (ko) 2015-03-05
CN105378380A (zh) 2016-03-02
US9506669B2 (en)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21785A1 (ko) 다층 고온 열분해 소각 장치
WO2014042363A1 (ko) 연소장치
WO2015068938A1 (ko) 고체연료 보일러
WO2021182922A1 (ko) 캠핑용 화목
WO2014077574A1 (ko) 연소 공기 흐름을 이용한 영역별 원심분리 연소장치
WO2015186866A1 (ko)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WO2011059230A2 (ko) 바이오매스 고체연료 보일러용 버너
CN102042602B (zh) 烟浓缩气化焚烧有毒废液的处理方法及装置
WO2015046902A1 (ko) 연소장치
KR20090099191A (ko) 폐기물 고형연료 연소장치
CN210197696U (zh) 一种分体式热风炉
WO2016190692A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
CN211119410U (zh) 油泥热解系统用热能利用装置
JP2014095517A (ja) 燃焼炉
KR101228792B1 (ko) 고체 연료 보일러
WO2013008983A1 (ko) 화판을 이용한 사이클론식 연소 장치
JP2004191017A (ja) 木質ペレット状燃料燃焼装置
CN201311080Y (zh) 一种具有二次风进口的热风炉
JP2013108665A (ja) 燃焼炉及びそれを備えた温風発生装置
WO2016190693A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및 연소방법
CN220287423U (zh) 一种生物质锅炉
KR100961064B1 (ko) 온풍발생장치
CN215909057U (zh) 一种垃圾焚烧锅炉炉体
CN219494120U (zh) 一种垃圾焚烧炉
WO2016024820A1 (ko) 하향배기식 연탄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600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903555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600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