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703Y1 -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겸용 보일러 - Google Patents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겸용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703Y1
KR200208703Y1 KR2020000020128U KR20000020128U KR200208703Y1 KR 200208703 Y1 KR200208703 Y1 KR 200208703Y1 KR 2020000020128 U KR2020000020128 U KR 2020000020128U KR 20000020128 U KR20000020128 U KR 20000020128U KR 200208703 Y1 KR200208703 Y1 KR 200208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water
main body
uni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래
Original Assignee
정명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래 filed Critical 정명래
Priority to KR2020000020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7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703Y1/ko

Links

Landscapes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열풍을 취출하는 열풍기와 온수를 순환시켜 바닥면을 뜨겁게 하는 보일러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되 그 연료로써 목재 또는 석탄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겸용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목재공급용 호퍼와 석탄공급용 호퍼를 각각 구비한 착탈식 연료공급부와, 4각 관체로 되어 그 내부에 받침대를 상하 유동가능하게 삽입하고 전면에 모터로 구동되는 피니언기어 및 레크기어를 구비한 연료투입부와, 연료투입부와 본체에 각각 센서를 구비하여 그 거리감지신호에 따라 연료공급부로부터의 연료공급을 차단하는 연료공급량조절부와, 연료투입부의 받침대 저면에 버너를 장착하고 이 버너를 통해 받침대에 얹혀진 연료를 점화시키는 연소부와, 연료투입부의 받침대 저면과 바닥면 테두리 상부에 고정롤러와 가동롤러를 'Ⅹ'자로 연결하여서 구비하고 일측 가동롤러를 연결끈을 통해 본체 후면 하부와 연결하여 연료투입부의 삽탈에 따라 연소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와, 본체의 상단부에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취출관을 설치하여 송풍팬으로 취출관의 후방으로 열풍을 취출하는 송풍부와, 연소부의 화기에 의해 물을 가열하여 보일러로 순환시키는 순환부와, 연소부의 연기를 모아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부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겸용 보일러{Wood and coal burning type boiler combined with hot wind blower}
본 고안은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겸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풍을 취출하는 열풍기와 온수를 순환시켜 바닥면을 뜨겁게 하는 보일러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되 그 연료로써 목재 또는 석탄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동절기에는 기온이 저하되어 사람의 신체 근육이 수축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활발한 신진대사 작용이 이루어질 수 없어 감기와 같은 질병이 쉽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신체의 움직임이 둔화되어 사고의 우려도 있다.
따라서, 동절기에는 대부분의 장소에 난로, 히터, 열풍기 등의 난방수단을 구비하여 사람의 신체 근육을 이완시킴으로써 안전 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일의 능률을 올리도록 하고 있으며, 각 가정에는 열풍기와 같이 실내 공간에 열풍을 취출하는 장치나 보일러와 같이 실내 바닥면을 데움으로써 전체적인 실내 온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열풍기는 연료를 연소시키고, 이 연소열을 송풍팬을 통해 실내 공간으로 곧바로 취출함으로써 실내 온도를 높이는 장치로서, 등유나 LPG와 같은 연료를 사용함이 보통이며, 보일러는 물을 데워 이 물을 실내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순환파이프를 통해 순환시켜 바닥면을 데움으로써 실질적인 인체의 접촉부위인 실내 바닥면을 통해 직접적으로 인체에 따뜻함을 제공하거나 복사열에 의해 전체적인 실내 온도를 높여 난방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연탄, 등유, LPG, LNG와 같은 연료를 사용함이 보통이다.
그런데, 상기한 열풍기는 고가의 연료가 사용되므로 연료 소모에 따른 비용 부담이 크며, 특히 농가에서 비닐하우스와 같은 넓은 장소에 열풍을 공급할 때에는 연료비 부담이 더욱 가중되어 재배 야채나 과일 등을 상품화하였을 때 소비자 입장에서는 제품의 가격이 높아지게 되어 가계에 부담을 주게 되며, 농가 입장에서는 이익금이 많지 않게 되는 결점이 있었고, 보일러의 경우에도 고가의 연료가 사용되며 그 저수용량이 한정되어 있어 연료비 부담이 큼은 물론 온수의 사용량이 제한적이었다.
또한, 열풍기와 보일러는 모두 난방을 위한 것이지만 그 특징이 다르며, 이러한 열풍기와 보일러를 동시에 구비하는 것이 좋으나 열풍기와 보일러가 각각으로 되어 있어 각 장치를 구매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들게 됨은 물론 연료비가 2중으로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열풍기와 보일러를 일체로 형성하되 그 연료로 기름이나 가스에 비해 저가인 목재 또는 석탄을 사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2중 난방효과를 도모하면서도 연료비 부담 및 각 장치를 구매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겸용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른 견지로는, 보일러 본체와는 별도로 보조탱크를 구비함으로써 보일러 본체로 공급되는 물을 예비가열하여 열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저수용량 증가를 통해 가용 온수량을 증가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열풍기 겸용 보일러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열풍기 겸용 보일러의 동작도로서,
(a)는 이탈시 상태.
(b)는 삽입시 상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료공급부 상세도로서,
(a)는 목재공급용 연료공급부.
(b)는 석탄공급용 연료공급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료공급량조절부의 동작도로서,
(a)는 연료투입부 이탈시.
(b)는 연료투입부 삽입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소부의 열막음판 동작도로서,
(a)는 연료투입부 이탈시.
(b)는 연료투입부 삽입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용 밸브의 동작도로서,
(a)는 물의 온도가 설정범위를 넘었을 때.
(b)는 물의 온도가 설정범위내에 있을 때.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열풍용 밸브의 동작도로서,
(a)는 취출관이 연장되어 있는 실내의 온도가 모두 설정범위를 넘었을 때.
(b)는 취출관이 연장되어 있는 일부 실내의 온도가 설정범위를 넘었을 때.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11 : 목재공급용 호퍼 12 : 공급날개
14 : 석탄공급용 호퍼 16 : 가이드날개 22 : 4각 관체
23 : 바퀴 24 : 받침대 25,25' : 모터
26 : 피니언기어 27 : 레크기어 28 : 청소판
29 : 장공 31,31' : 센서 32 : 걸림돌기
41 : 버너 42 : 통기관 43 : 차단판
44 : 열막음판 51,51' : 고정롤러 52,52' : 가동롤러
54 : 연결끈 55 : 스프링 61 : 취출관
62 : 송풍팬 63,77a : 온도센서 64,77 : 밸브
71 : 물탱크 72 : 열교환관 73 : 순환펌프
74 : 보일러관 75 : 온수관 76 : 우회로
78 : 보조탱크 81 : 연통 82 : 도입로
이하,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을 구체화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열풍기 겸용 보일러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본 고안은 열풍기와 보일러를 겸비하여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그 연료로써 저가의 목재 또는 석탄을 이용하도록 한 것으로, 그 구성은 연료공급부, 연료투입부, 연료공급량조절부, 연소부, 승하강부, 송풍부, 순환부, 배기부로 된 것이다.
즉, 연료공급부는 도 3과 같이 본체(1)의 외벽면에 착탈되며, 모터(25')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목재(W)를 강제로 들어 공급하는 후크형 공급날개(12)를 하단부에 장착한 목재공급용 호퍼(11)와, 하단부에 개구부(15)를 형성하고 균일 투입을 위해 석탄(C)의 무게에 의해 회전하는 가이드날개(16)를 하단부에 장착한 석탄공급용 호퍼(14)를 각각 구비한 것으로, 목재공급용의 경우에는 목재(W)의 길이가 불규칙함은 물론 길게 되므로 그 하단부를 상측으로 절곡하여 목재(W)의 떨어짐 위치를 막아주며, 여기에 다수의 홈(13)을 형성하고 후크형 공급날개(12)가 이 홈(13)을 통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목재(W)를 강제로 들어올려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연료투입부는 연료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받아 수용하는 장치로서, 상방향으로는 완전 개방되고 바닥면(21)은 그 테두리부의 소정 폭을 제외한 나머지가 개방된 4각 관체(22)로 되며, 바닥면(21)의 저면에는 바퀴(23)가 고정되고, 외면에 은박지가 싸여 있는 다수의 바를 단면상 지그재그로 연결한 받침대(24)가 4각 관체(22)내에 상하 유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실질적으로 연료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받아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전면에 장착된 모터(25)의 양단으로 피니언기어(26)가 연결되어 본체(1)로부터 착탈식으로 연장되어 있는 레크기어(27)와 작용하여 본체(1)에 삽탈시키도록 되어 있고, 후면 하단부에는 절첩식으로 청소판(28)이 장착되어 탈거시 하부에 쌓인 재성분을 끌고 나오도록 되어 있다. 이때, 4각 관체(22)는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주물로써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연료공급량조절부는 연료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4각 관체(22)의 전면 상단과 본체(1)의 관체 전면 상단 대응위치에 각각 센서(31)(31')를 구비하며, 연료공급부가 목재공급용일 경우 센서(31)(31')의 거리감지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모터 제어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하고, 연료공급부가 석탄공급용일 경우 센서(31)(31')의 거리감지신호에 따라 본체(1)로부터 돌출되어 가이드날개(16)의 회전작동을 멈추어주는 걸림돌기(32)를 구비하게 된다.
연소부는 연료투입부가 본체(1)에 삽입되면 그 연료를 점화하여 실질적인 연소작용을 이루기 위한 최초의 점화장치로서, 받침대(24)의 저면에 장착된 다수의 버너(41)와, 다수의 통기공(42a)을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형상으로 받침대(24)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접합된 통기관(42)과, 화기를 통과시키도록 무수히 많은 통공(43a)을 구비한 판상으로 되어 본체(1) 내부에 연료투입부 상단면보다 높은 위치로 장착된 차단판(43)과, 연료투입부 전면판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장공(29)을 막을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가지고 버너(41)의 연료관(41a)에 고정되며 연료투입부 전면판의 내부 장공 위치에 삽입되는 열막음판(44)으로 되어 있다.
승하강부는 연소부를 승하강시켜 그 연소열을 후술할 열교환관들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받침대(24)의 저면과 바닥면(21)의 테두리 상부에 각각 고정된 고정롤러(51)(51')를 받침대(24)의 테두리측에 소정폭으로 부착된 가이드판(24a)과 구름 접촉되게 위치하고 바닥면(24)의 테두리 상부에 얹혀진 각 가동롤러(52)(52')와 'Ⅹ'자로 연결하여서 되며, 바닥면(21) 상부의 가동롤러(52')로부터 시작하여 본체(1) 전면 하부에 설치된 릴레이 롤러(53)를 돌아 본체(1)의 후면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끈(54)과, 이 연결끈(54)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55)이 구비되어 연료투입부의 삽탈에 따라 받침대(24), 통기관(42), 버너(41) 등을 승/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송풍부는 연소부로부터 열을 얻어 외부로 열풍을 송출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의 상단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취출관(61)과, 취출관(61)의 전면에 설치된 송풍팬(62)으로 되며, 도 7과 같이 다수의 취출관(61) 각각의 출구측 단부 외측에는 온도센서(63)가 부착되고, 다수의 취출관(61) 각각의 입구측 단부에는 온도센서(63)에 의해 각 취출관(61)을 개폐하는 밸브(64)가 취부되어 화기에 의해 가열된 취출관(61)의 열기를 송풍팬(62)을 통해 선택적으로 취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부분이 열풍기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순환부는 물을 순환시키는 장치로서, 물을 저장하며 이 저장된 물의 대류를 억제하기 하기 위한 칸막이(71a)를 갖는 물탱크(71)와, 연소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물탱크(71)에서 나온 물을 그 내부로 유동시키면서 화기를 전달받아 물을 데우는 열교환관(72)과, 열교환관(72)을 나온 물을 각 관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73)와, 순환펌프(73)와 연결되고 실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열교환관(72)에서 나온 물을 그 내부로 유동시키면서 난방을 수행하는 보일러관(74)과, 순환펌프(73)에서 유입된 물을 보일러관(74), 온수관(75), 우회로(76)로 3분지시키며 물의 온도를 센서(77a)를 통해 감지하여 밸브부재(77b)를 통해 보일러관(74)과 우회로(76)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77)와, 우회로(76)와 연결되어 상기 분지된 물을 저수하면서 물탱크측으로 물을 내보내는 보조탱크(78)로 되어 있으며, 보조탱크(78)와 물탱크(71)의 사이 및 물탱크(71)와 열교환관(72)의 사이에는 각각 연결관(79)(79')이 구비되어 있다. 이 부분이 보일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배기부는 연소부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를 모아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것으로, 물탱크(71)와 본체(1)의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다수의 연통(81)과, 열기의 본체(1) 내부 머무름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연통(81)으로부터 본체측으로 연장된 2중관식의 도입로(82)로 되어 있으며, 각 연통의 단부측에는 합관(미도시)이 연결되어 연기를 모아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겸용 보일러의 작용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목재공급용 호퍼(11) 또는 석탄공급용 호퍼(14)를 선택하여 본체(1)의 외벽에 장착한 상태에서 연료투입부의 모터(25)를 역회전시켜 연료투입부를 본체(1)로부터 외부로 빼내면 도 4와 같이 연료투입부 상단부의 센서(31)가 본체(1)의 대응되는 센서(31')로부터 이격되는데, 연료공급부로서 목재공급용 호퍼(11)를 택할 경우에는 센서(31)(31')의 신호에 따라 모터(25')가 가동하여 공급날개(12)를 회전시킴으로써 목재(W)를 들어올려 공급할 수 있고, 석탄공급용 호퍼(14)를 택할 경우에는 걸림돌기(32)가 센서(31)(31')의 신호에 따라 본체(1) 내측으로 삽입되어 가이드날개(16)가 자유상태가 되므로 석탄(C)을 연료투입부측으로 투입할 수 있게 된다. 도면상에는 연료공급부로 석탄공급용 호퍼(14)를 택한 경우를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연료공급부로부터 연료가 공급되면 연료투입부의 받침대(24) 상부에 연료가 쌓이게 되며, 연료가 어느 정도 쌓였을 때 연료투입부의 모터(25)를 정회전시키면 이와 연동하는 피니언기어(26)가 레크기어(27)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연료투입부(10)를 본체(10) 내부로 삽입시키게 된다.
연료투입부가 본체(1)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연료투입부 상단부의 센서(31)는 본체(1)의 대응되는 센서(31')와 점차 그 거리가 가까워지며, 어느 정도의 거리범위에 들어올 경우에는 센서(31)(31')가 작동하여 걸림돌기(32)를 본체(1) 외부로 돌출시키게 되고 가이드날개(16)의 회전작동을 멈추어줌으로써 연료가 더 이상 공급되지 못하게 차단하게 되며, 피니언기어(26)의 계속된 회전으로 연료투입부는 본체(1) 내부로 완전 삽입된다.
이때, 연료투입부의 받침대(24) 저면과 4각 관체(22)의 바닥면(21)에는 고정롤러(51)(51')와 가동롤러(52)(52')가 각각 'Ⅹ'자로 연결되어 있으며, 4각 관체(22) 바닥면 상부의 가동롤러(52')로부터 시작하여 본체(1) 전면 하부에 설치된 릴레이 롤러(53)를 돌아 본체(1)의 후면 하부에는 스프링(55)에 의해 탄지된 연결끈(54)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료투입부가 본체(1) 내부로 삽입되는 것과 연동하여 연결끈(54)이 가동롤러(52')를 당겨주게 되므로 연료가 얹혀있는 받침대(24) 및 이와 접합되어 있는 버너(41), 통기관(42) 등이 승강하게 되며, 본체(1) 내부에 연료투입부 상단면보다 높은 위치로 차단판(43)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연료는 그 상부의 열교환관(72) 또는 취출관(61)과 직접 접촉하지는 않게 된다.
이와 동시에, 버너(41)를 점화하게 되면 버너(41)를 통한 불꽃이 목재(W) 또는 석탄(C)으로 된 연료에 옮겨 붙게 되어 연료를 점화시킴으로써 실질적인 연료의 점화가 이루어지며, 승하강부에 의해 버너(41), 받침대(24) 등이 상부로 승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연료에 의한 화기가 차단판(43)의 통공(43a)을 통해 그 상부의 열교환관(72) 및 취출관(61)을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통기관(42)의 통기공(42a)을 통해 계속적으로 공기를 연소부측으로 주입할 수 있으므로 연료의 연소작용이 보다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승하강부의 상승에 따라 버너(41)의 연료관(41a)도 상승할 수밖에 없는데 도 5와 같이 이 연료관(41a)은 연료투입부 전면판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장공(29)을 통해 인출되어 있고, 장공(29)을 막을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가지고 연료투입부 전면판의 내부 장공 위치에 삽입되는 열막음판(44)이 버너(41)의 연료관(41a)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버너(41)의 연료관(41a)은 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될 때 장공(29)에 의해 가이드되어 용이하게 승하강할 수 있으며, 열막음판(44)은 연료관(41a)의 승하강에 연동하여 승하강하지만 그 폭과 길이가 충분하므로 연료투입부의 장공(29)을 안정적으로 막을 수 있어 본체(1)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다.
연소부의 화기에 의해 열교환관(72)이 가열되면 그 열이 내부의 물에 전도되며, 이와 같이 데워진 물은 순환펌프(73)를 거쳐 실내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보일러관(74)으로 유입되어 순환되면서 난방을 수행하게 되며, 난방을 수행한 물은 다시 물탱크(71)로 유입되어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런데, 열교환관(72)에서 나온 물은 보일러관(74)으로만 유입되는 것이 아니고 온수를 배출을 위한 온수관(75), 온도가 너무 높은 물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로(76)와도 연결되어 있으며 도 6과 같이 그 연결부를 이루는 것이 밸브(77)내에는 온도센서(77a)가 부착되어 있고 이 온도센서(77a)의 감지신호에 따라 우회로(76)와 보일러관(74)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부재(77b)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데워진 물의 온도를 센서(77a)를 통해 감지하여 설정온도 범위내에 있을 경우에는 보일러관(74)을 개방하지만 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에는 우회로(76)를 개방하여 우회시키게 되며, 우회로(76)는 보조탱크(78)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우회로(76)를 통해 우회되어 나온 뜨거운 물이 보조탱크(78)로 유입되어 저수되고 그 연결관(79)을 통해 다시 물탱크(71)로 유입된다.
즉, 보조탱크(71)는 상기 데워진 물을 저장하여 재순환시키면서 예비 가열성능을 향상시켜 연료 소모를 줄이기 위한 것임은 물론 가용 온수량을 충분히 확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조탱크(78)로부터 물탱크(71)로 유입된 물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때, 물탱크(71)의 내부에는 다수의 칸막이(71a)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화기와 접촉하여 데워진 물이 상부의 물과 대류하여 온도가 희석되는 것을 막아주어 그 온도를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고, 물탱크(71) 하부의 물이 순차적으로 빠져나가면서 상부의 물이 아래로 내려와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며, 또한 온수관(75)은 필요시 언제라도 열교환관(72)으로부터 온수를 빼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연소부의 화기는 취출관(61)도 가열하게되고, 이와 같이 취출관(61)이 가열된 상태에서 송풍팬(62)을 가동하여 취출관(61)을 통해 송풍하게 되면 취출관(61)의 열기를 그대로 바람에 실어 외부로 취출할 수 있어 이것으로 열풍기 역할을 할 수 있는데, 다수의 취출관(61)은 방 또는 비닐하우스와 같은 공간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어 그 출구측 단부에 온도센서(63)가 부착되어 있고, 입구측 단부에는 온도센서(63)에 의해 취출관(61)을 개폐하는 밸브(64)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도 7과 같이 취출관(61)이 연장되어 있는 방 또는 비닐하우스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온도센서(63)가 이를 감지하여 밸브(64)를 폐쇄함으로써 열풍의 취출을 막아주고, 방 또는 비닐하우스의 온도가 설정온도 범위내에 있으면 밸브(64)를 개방하여 열풍을 취출하는 것으로, 이때 밸브(64)는 온도센서(63)의 감지신호와 연동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소부를 통해 연료를 연소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연기는 2중관식으로 된 도입로(82)를 통해 연통(81)으로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와 같이 연통(81)의 도입로(82)를 2중관식으로 하게 되면 연기의 본체(1) 내부 머무름 시간이 길어져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통(81)이 물탱크(71)와 본체(1)의 사이에 위치하여 그 연기의 열로써 물탱크(71) 내부의 저수된 물을 예비가열할 수 있는 것으로, 각 연통(81)을 통해 모인 연기는 합관에서 모아져 외부로 배기된다.
모든 연소작용이 끝나면 연료투입부 전면에 장착된 모터(25)를 역회전시켜 연료투입부를 본체(1) 외부로 빼내게 되고, 이와 같이 연료투입부가 외부로 빠지게 되면 자연적으로 연결끈(54)에 연결되어 있는 가동롤러(52')의 당김위치가 해제되어 승강되어 있던 받침대(24), 버너(41) 등이 스프링(55)의 작용으로 서서히 하강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연료투입부의 후면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청소판(28)은 하면에 쌓여있는 재성분을 끌고 밖으로 나오게 되어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료투입부가 본체(1)로부터 빠져나옴에 따라 연료투입부 전면 상단부의 센서(31)와 본체(1)의 대응 센서(31')의 거리가 점차 멀어지게 됨으로써 걸림돌기(32)가 본체(1) 내측으로 삽입되어 가이드날개(16)의 걸림위치가 해제되어 석탄(C)의 공급이 가능해지거나, 모터(25')를 구동하여 후크형 공급날개(12)를 회전시킴으로써 목재(W)의 공급이 가능해지며, 상기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저가의 목재 또는 석탄을 연료로 하여 열풍기 겸용 보일러를 구동할 수 있는 것이어서 2중 난방효과를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연료비 부담 및 각 장치를 구매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보일러 본체와는 별도로 보조탱크를 구비하여 가열된 물을 우회시켜 저장되도록 한 것이므로 이 물을 재순환시키면서 예비 가열성능을 향상시켜 연료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가용 온수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잇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연료공급부 또는 레크기어를 탈부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모터 제어스위치나 버너 점화스위치 등만 눌러주면 자동으로 연료를 공급하고 투입하여 열풍기 및 보일러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무인 자동화시스템이 가능해지며, 특히 목재 구입이 용이한 농가 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목재를 강제로 들어 공급하는 후크형 공급날개를 하단부에 장착한 목재공급용 호퍼와, 하단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균일 투입을 위해 연료의 무게에 의해 회전하는 가이드날개를 하단부에 장착한 석탄공급용 호퍼로 되어 본체의 외벽면에 착탈되는 연료공급부;
    바닥면이 그 테두리의 소정폭을 제외하고 개방된 4각 관체로 되며,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 저면에 바퀴가 고정되고, 외면에 은박지가 싸여 있는 다수의 바를 단면상 지그재그로 연결한 받침대가 상기 관체내에 상하 유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연료공급부의 연료를 받아 수용하며, 전면에 장착된 모터의 양단으로 피니언기어가 연결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레크기어와 작용하여 상기 본체에 삽탈되게 하고, 후면 하단부에 절첩식으로 청소판이 장착되어 이탈시 재성분을 끌고 나오도록 된 연료투입부;
    상기 관체의 전면 상단과 상기 본체의 관체 전면 상단 대응위치에 각각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연료공급부가 목재용일 경우 상기 센서의 거리감지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모터제어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공급부가 석탄용일 경우 상기 센서의 거리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날개의 회전작동을 멈추어주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연료공급량조절부;
    상기 받침대의 저면에 장착된 버너와, 통기공을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형상으로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접합된 통기관과, 화기를 통과시키도록 무수히 많은 통공을 구비한 판상으로 되어 상기 본체 내부에 연료투입부 상단면보다 높은 위치로 장착된 차단판과, 상기 연료투입부 전면판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을 막을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가지고 상기 버너의 연료관에 고정되며 상기 연료투입부 전면판의 내부 장공 위치에 삽입되는 열막음판으로 된 연소부;
    상기 받침대의 저면과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 상부에 각각 고정된 고정롤러를 상기 받침대의 테두리측에 소정폭으로 부착된 가이드판과 구름접촉되게 위치하고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부 상부에 얹혀진 각 가동롤러와 각각 'Ⅹ'자로 연결하여서 되며, 상기 관체 바닥면 상부의 가동롤러와 상기 본체 전면 하부에 설치된 릴레이 롤러와 상기 본체의 후면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끈과, 상기 연결끈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연료투입부의 삽탈에 따라 상기 받침대, 상기 통기관, 상기 버너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취출관과, 상기 취출관의 전면에 설치된 송풍팬으로 되며, 상기 다수의 취출관 각각의 출구측 단부 외측에는 온도센서가 부착되고, 상기 다수의 취출관 각각의 입구측 단부에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각 취출관을 개폐하는 밸브가 취부되어 화기에 의해 가열된 상기 취출관의 열기를 상기 송풍팬을 통해 선택적으로 취출하는 송풍부;
    물을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물의 대류를 억제하기 하기 위한 칸막이를 갖는 물탱크와, 상기 연소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물탱크에서 나온 물을 그 내부로 유동시키면서 화기를 전달받아 물을 데우는 열교환관과, 상기 열교환관의 단부와 연결되고 실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관에서 나온 물을 그 내부로 유동시키면서 난방을 수행하는 보일러관과, 상기 열교환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보일러관, 온수관, 우회로로 3분지시키며 물의 온도를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보일러관과 상기 우회로로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는 밸브와, 상기 우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분지된 물을 저수하고 상기 물탱크로 물을 내보내는 보조탱크로 된 순환부; 및
    상기 물탱크와 상기 본체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연소부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를 모아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의 연통과, 열기의 머무름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상기 연통으로부터 상기 본체측으로 연장된 2중관식의 도입로로 된 배기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겸용 보일러.
KR2020000020128U 2000-07-13 2000-07-13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겸용 보일러 KR200208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128U KR200208703Y1 (ko) 2000-07-13 2000-07-13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겸용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128U KR200208703Y1 (ko) 2000-07-13 2000-07-13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겸용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703Y1 true KR200208703Y1 (ko) 2001-01-15

Family

ID=73079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128U KR200208703Y1 (ko) 2000-07-13 2000-07-13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겸용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70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184B1 (ko) * 2006-11-02 2007-07-02 주식회사 희성이엔지 고체연료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보일러
WO2015068938A1 (ko) * 2013-11-06 2015-05-14 김대겸 고체연료 보일러
KR101795985B1 (ko) * 2017-02-28 2017-11-09 임덕준 재 처리기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184B1 (ko) * 2006-11-02 2007-07-02 주식회사 희성이엔지 고체연료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보일러
WO2015068938A1 (ko) * 2013-11-06 2015-05-14 김대겸 고체연료 보일러
US9506669B2 (en) 2013-11-06 2016-11-29 Dae Kyoum KIM Solid fuel boiler
KR101795985B1 (ko) * 2017-02-28 2017-11-09 임덕준 재 처리기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WO2018159960A1 (ko) * 2017-02-28 2018-09-07 임덕준 재 처리기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6263A (en) Fireplace systems
KR101079694B1 (ko) 화목보일러
US4461242A (en) Means for heating water by wood burning
US4482315A (en) Bulk tobacco barn furnace
KR200208703Y1 (ko)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겸용 보일러
KR200267167Y1 (ko) 유류겸용화목보일러구조
KR101956883B1 (ko) 목재 연료 온풍기
KR100555591B1 (ko) 자동 석탄 열풍기
US4352454A (en) Wood burning heater
KR20120125415A (ko) 농업용 연탄보일러
KR101434902B1 (ko) 벽난로가 결합된 아궁이에 삽입되는 후면이 개방된 보일러
KR200352799Y1 (ko) 고체연료용 온풍기
US4277021A (en) Closed circuit heating system
JP3155768U (ja) 温風暖房装置
US2181624A (en) Fireplace heater
KR200208727Y1 (ko)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KR101192840B1 (ko) 보일러 기능을 겸한 벽난로
KR20070117065A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200427345Y1 (ko) 왕겨를 주연료로 하는 보일러
KR101636713B1 (ko) 펠릿을 이용한 난방장치
KR200466626Y1 (ko) 펠릿형 난방장치
KR200465794Y1 (ko) 펠릿형 난방장치
KR20040031753A (ko) 고체연료용 온풍기
AU2002302185B2 (en) A storage water heater with reduced heat maintenance rate
KR20070008989A (ko) 왕겨를 주연료로 하는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