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380U - 화목,기름,전기,가스를 연료로하는 난방용 다기능 보일러 - Google Patents

화목,기름,전기,가스를 연료로하는 난방용 다기능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380U
KR19980059380U KR2019980012636U KR19980012636U KR19980059380U KR 19980059380 U KR19980059380 U KR 19980059380U KR 2019980012636 U KR2019980012636 U KR 2019980012636U KR 19980012636 U KR19980012636 U KR 19980012636U KR 19980059380 U KR19980059380 U KR 199800593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eating
water tank
boile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규
Original Assignee
양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규 filed Critical 양재규
Priority to KR2019980012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9380U/ko
Publication of KR199800593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380U/ko

Links

Landscapes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한 개의 보일러에 화목 , 기름 , 가스 , 저기등 여러종의 에너지를 상황에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하고 에너지 연소시 에너지 흡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연소실(화실)을 열량저장 온수탱크 내부에 설치하고 온수탱크의 크기는 한 가정에서 1일 난방 및 온수 사용 열량을 저장할수 있는 크기로 하고 열량저장 온수탱크가 너무 클 경우 보일러부와 온수탱크부를 별도로 제작 설치 사용하는 난방용 다기능 보일러

Description

화목,기름,전기,가스를 연료로하는 난방용 다기능 보일러
문명의 발달로 쓰레기가 많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쓰레기 처리에 드는 비용 또한 많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농촌에서도 예전에는 나무가 난방수단 이었었지만 현재는 기름보일러로 모두 대치하였다.
농촌이나 일반가정에서 난방용으로 사용되어지는 석유량이 또한 많이 증가하였다. 석유의 많은사용은 외화낭비의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경제성을 따진다면 심야전기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경재적이다.
통상적으로 계산해보면 기름 소비량과 전기 소모량을 차이는 전기가 기름의 1/3밖에 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나무 또는 쓰레기(폐종이류,목재류,음식물류) 경우에 따라서는 목탄조개탄 연탄을 연료로하고 거기에다가 기름버너 전기히터 가스버너를 장착여 필요시 4가지 기능중 선택적으로 사용할수 있는것이다.
농촌에서는 가을 추수후 많은 소각물이 발생한다. 볏집,왕겨,콩깍지,등등 또한 겨울철에는 남는 인력으로 나무 또는 쓰레기 수집이 용이하다.
이렇게 수집된 소각물을 난방용 다기능보일러에서 아무때나 연소를 시키면 그 열량이 온수탱크로 회수되어 필요할 때 난방으로 사용할수 있게함으로서 환경정화 외화절감 생활비 절감 등의 효과를 볼수있게 한 것이다.
기존의 난방용 기름보일러는 온수저장탱크가 없어 빈번하게 점화 소화가가 이루어지면서 난방을 하게된다. 보일러 점화 소화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만큼 보일러 주변이 가열되었다 식었다 하므로 비효율적이다.
본 고안의 보일러는 기름버너 및 가스버너의 한 번 점화로 온수탱크의 물을 가열한다음 온수 및 난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빈번하게 점화 소화 되는 것보다 효율적이다.
또한 전기 히터를 사용하는경우에는 전기요금이 저렴한 심야전기를 사용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비상시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심야의 전기를 사용하여 그 열량을 온수탱크에 저장하였다가 심야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낮시간동안에 난방과 온수로 사용한다.
본 고안의 보일러는 도면에서와 같이 제 1 도 8의 화실에서 화목이 소각되어진다. 그러면 그열이 5의 수관 및 3,4의 수관부를 거쳐 굴뚝으로 배기된다. 굴뚝으로 배기되는 과정에서 열량을 최대한으로 흡수하기위하여 수관을 좌우 엇갈리게 배치한다.
또한 열흡수효율을 높히기 위하여 화실 및 수관부를 1의 온수탱크내부에 설치한다. 화목의 연료가 없을경우에는 9의 기름버너, 14의 가스버너, 10의 전기히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15의 동파이프 열교환기는 주방이나 목욕시 필요한 온수를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13의 및 6의 급탕 라인은 온수탱크의 온수가 많으므로 이를 가열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빠른 시간내에 난방을 목적으로 할경우에 사용하는것이다
소각물 연소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기위하여 풍량 조절장치와 펜을 설치한다
7의 재 수집함은 넣었다 빼었다 할수있도록하고 형태는 서랍 형태로 한다.
연소시 연기가 배출되는 굴뚝에는 클린 시스탬을 설치하여 불티 및 재의 비산을 완벽히 막는다. 또한 폐열을 회수하기위하여 굴뚝의 상당부분을 온수탱크 내부를 겨쳐 나갈수 있도록 설치한다.
온수탱크의 용량은 난방설비의 용량에따라 선정하며 1일 1회 소각을하여 1일 난방을 할 수 있는 열량을 보유할 수 있는 용량으로 선정하는 것을 기준으로한다.
예를들면 15평 기준인 난방설비에서 1일 난방용으로 사용되어지는 열량이 경유 10ℓ에 해당된다면 이는 약 96000 kcal 에 해당되는 열량이다.
이는 90'C 의 온수를 30'C 떨어질때까지 열량을 사용한다면 온수의 량은 약 2 M3(2TON) 이면 되는것이다.
온수탱크에는 열량을 확인하기위하여 제 3 도 S3 와 같이 온도 샌서를 설치하고 A와 같이 증기 대기 방출라인도 설치한다.
또한 온수탱크 부피가 클경우에는 온수탱크를 작게제작하고 열량저장용 온수탱크를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할수 있게 한다.
환경정화 및 외화절약 , 편리함 . 생활비 절감
여러종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선택 사용하는것
한 개의 보일러에 여러종의 에너지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사용할수 있게 함으로서 환경정화 및 외화를 절감하고 화목을 연료로할 경우 편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1일 1회 소각으로 1일 난방을 할수있도록 온수탱크 용량을 적절하게 선정하고 여러종의 연료를 효율적인 선택적 사용을 하는것이다.
제 1 도 : 정면에서 본 단면도
1 : 온수 저장탱크(열량 저장실)
2 : 보일러 굴뚝
3 : 열량이 온수에 흡수되는 수관부 우측면
4 : 열량이 온수에 흡수되는 수관부 좌측면
5 : 수관
6 : 급탕 라인
7 : 재 수집함
8 : 화실 (화목이 소각됨)
9 : 기름 버너
10 : 전기 히터
11 : 수관부 좌측에서본 측면도
12 : 수관부 우측에서본 측면도
13 : 급탕라인 하단에서본 도면
14 : 가스 버너
제 2 도 : 위에서 본 평면도
30 : 온수탱크 내부의 수관부를 표시함
30-1 : 온수탱크
30-2 : 굴뚝
40 : 온수를 사용하기위한 열교환기를 표시함
제 3 도 : 보일러 CONTROL 구성도
A : 안전을 위한 증기 대기 개방 라인
B : 온수를 사용하기위한 온수 입출구 라인
C : 기름 버너
D : 가스 버너
E : 전기 히터
F : 난방을 요하는 장소 ( 방 )
S2 : 방 온도를 제어하기위한 온도 샌서
S3 : 온수탱크 온도를 제어하기위한 온도 샌서
P1 : 수관부 순환 펌프
P3 : 난방 순환 펌프
열량저장 온수탱크 , 화실 , 수관부 , 기름버너장치 . 가스버너장치, 전기히터 가열장치 등으로 구성되어있고 그의 온수탱크 온도제어장치 실내온도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개의 보일러에서 여러종의 연료를 사용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화목을 사용할 경우 1일 1회 소각되어지는 열량을 온수탱크에 열량을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난방과 온수로 사용하는 것이다.
한 개의 보일러에서 여러종의 연료를 선택적으로 사용할수 있으므로 어떤상황에서든지 필요한 에너지로 대체가 가능하고 , 화목을 연료로 할경우에는 외화 절감 및 생활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수 있으며 심야전기를 사용할 경우 환경오염방지 및 생활비 적감을 기대할수 있다

Claims (3)

  1. 한 개의 보일러에 화목소각부 , 기름버너 , 가스버너 , 전기 히터를 설치하여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난방용 다기능 보일러
  2. 열량저장 온수탱크 내부에 화실 및 수관부를 설치한 것으로 연료 연소시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위한 보일러
  3. 난방 면적에따라 열량저장 온수탱크 용량이 클 경우 보일러부와 열량저장 온수탱크를 별도로 제작 설치하여 사용하는 보일러
KR2019980012636U 1998-07-10 1998-07-10 화목,기름,전기,가스를 연료로하는 난방용 다기능 보일러 KR199800593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636U KR19980059380U (ko) 1998-07-10 1998-07-10 화목,기름,전기,가스를 연료로하는 난방용 다기능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636U KR19980059380U (ko) 1998-07-10 1998-07-10 화목,기름,전기,가스를 연료로하는 난방용 다기능 보일러
KR20-1998-000112 1998-07-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380U true KR19980059380U (ko) 1998-10-26

Family

ID=69505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636U KR19980059380U (ko) 1998-07-10 1998-07-10 화목,기름,전기,가스를 연료로하는 난방용 다기능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938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040B1 (ko) * 2007-04-25 2008-09-18 임성섭 다목적 보일러
KR101498821B1 (ko) * 2013-11-06 2015-03-05 김대겸 고체연료 보일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040B1 (ko) * 2007-04-25 2008-09-18 임성섭 다목적 보일러
KR101498821B1 (ko) * 2013-11-06 2015-03-05 김대겸 고체연료 보일러
WO2015068938A1 (ko) * 2013-11-06 2015-05-14 김대겸 고체연료 보일러
CN105378380A (zh) * 2013-11-06 2016-03-02 金大谦 固体燃料锅炉
US9506669B2 (en) 2013-11-06 2016-11-29 Dae Kyoum KIM Solid fuel boi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581340U (zh) 一种处理城市垃圾的无烟锅炉
CN101576271A (zh) 自动化生物原料燃烧多用炉
KR19980059380U (ko) 화목,기름,전기,가스를 연료로하는 난방용 다기능 보일러
CN200952733Y (zh) 一种家用温控环保多功能锅炉
KR100267042B1 (ko) 고체연료 및 기름과 가스를 연료로 하는 다목적 보일러
CN201666588U (zh) 生物质反烧采暖洗浴气化炉
CN205245299U (zh) 节能环保型燃气冷凝模块供暖机组
KR100875615B1 (ko) 에너지 절약형 보일러의 보조장치
CN216431752U (zh) 一种固废炉防止高温腐蚀的返料结构
CN201045536Y (zh) 节能环保多功能卧式水暖炉
CN217131253U (zh) 多功能可烧柴、玉米芯、生物质颗粒的送料生物质采暖炉
CN208205083U (zh) 一种醇或混合醇类液体燃料的集成灶
KR100302200B1 (ko) 다양한열매체를이용한스팀온수보일러장치
CN2336225Y (zh) 炊事取暖两用锅炉
CN101625124A (zh) 一种医疗垃圾焚烧炉
KR200223117Y1 (ko) 장작보일러
CN1164903C (zh) 密封式小型燃气动力暖浴热水系统
CN2343538Y (zh) 双炉排反烧卧式锅炉
KR200261998Y1 (ko) 다목적 보일러
CN2296463Y (zh) 一种家用消烟炉
CN2697521Y (zh) 高效家用燃气中央热水器
CN2886377Y (zh) 家用高效节能取暖炉
CN2365572Y (zh) 白煤无烟囱节能锅炉
CN2921592Y (zh) 多锅无烟管蜂窝煤锅炉
CN2170443Y (zh) 无压无烟生活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