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782A -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 Google Patents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782A
KR20100051782A KR1020100037455A KR20100037455A KR20100051782A KR 20100051782 A KR20100051782 A KR 20100051782A KR 1020100037455 A KR1020100037455 A KR 1020100037455A KR 20100037455 A KR20100037455 A KR 20100037455A KR 20100051782 A KR20100051782 A KR 20100051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yl
pyrazole
dimethyl
mmol
fluo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성
이은경
김도영
박부만
주정재
박지연
Original Assignee
(주)네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팜 filed Critical (주)네오팜
Publication of KR20100051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78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li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ine or hydrogenated 1,2-diazine rings
    • C07D23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ine or hydrogenated 1,2-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7/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ine or hydrogenated 1,2-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여, c-Met와 같은 성장 인자 수용체의 단백질 키나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암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신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상기 화합물의 사용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암 이외에, 성장 인자 및 항-혈관형성 수용체, 예컨대 c-Met를 통해 작동하는 신호 전달 경로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HETEROCYCLIC COMPOUNDS AS PROTEIN KINASES INHIBITORS}
본 발명은 신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화합물은 c-Met와 같은 성장 인자 수용체의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암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암 이외에, 성장 인자 및 항-혈관형성 수용체, 예컨대 c-Met를 통해 작동하는 신호 전달 경로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단백질 키나제 (protein kinase)는 단백질의 특정 아미노산을 인산화시켜 세포 내 다양한 신호전달 및 질병 메카니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상기 키나제의 저해는 중요한 치료학적 목표가 되어 왔다.
이러한 단백질 키나제는 세포 기능의 제어를 유지하는 다양한 세포 과정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의 거대군을 나타낸다. 상기 키나제의 부분 목록에는 abl, Akt, AXL, bcr-abl, Blk, Brk, Btk, c-kit, c-Met, c-src, c-fms, CDK1, CDK2, CDK3, CDK4, CDK5, CDK6, CDK7, CDK8, CDK9, CDK10, cRafl, CSFlR, CSK, DDR1, DDR2, EGFR, ErbB2, ErbB3, ErbB4, Erk, Fak, fes, FGFR1, FGFR2, FGFR3, FGFR4, FGFR5, Fgr, flt-1, flt-3, flt-4, Fps, Frk, Fyn, Hck, IGF-1R, INS-R, Jak, KDR, Lck, Lyn, MEK, p38, PDGFR, PIK, PKC, PYK2, ros, tie, tie2, TRK, Yes 및 Zap70 이 포함된다.
단백질 키나제와 관련된 특정 질환은 조절되지 않은 혈관형성, 예를 들면 망막증(당뇨병성 망막증 포함) 같은 안내 혈관신생, 연령-관련 황반 변성, 건선, 혈관아세포종, 혈관종, 동맥경화증, 류마토이드 또는 류마티스성 염증 질환, 특히 관절염(류마티스성 관절염 포함) 같은 염증성 질환, 또는 만성 천식, 동맥 또는 이식후 죽상동맥경화증, 자궁내막증 및 종양성 질환, 예를 들면 소위 충실성 종양 및 액형 종양(liquid tumor, 백혈병 같은) 같은 기타 다른 만성 염증성 질환과 관련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또한, 배아 발달 및 정상 성장 중에 다수의 병리학적 이상 및 질환에 있어서, 혈관계 및 이의 성분의 성장 및 분화를 조절하는 네트워크의 중심에는 혈관성 내피 성장 인자(VEGF =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원래 "혈관 투과성 인자", VPR 로 지칭)로 공지된 혈관형성 인자가 이의 세포 수용체와 함께 있다 [참고문헌: G. Breier et al., Trends in Cell Biology, 6:454-456 (1996)].
상기 VEGF는 "혈소판-유래성 성장 인자 (PDGF)"와 관련 있는 이량체성, 이황화물-결합된 46-kDa 당단백질로서 정상 세포주 및 종양 세포주에 의해 생성되고, 내피 세포-특이적 미토겐이며, 생체내 시험 시스템(예, 토끼 각막)에서 혈관형성 활성을 나타내고, 내피 세포 및 단핵세포에 대해 화학주성이며, 내피 세포에서 모세혈관 형성 중에 세포외 기질의 단백질 분해와 관련된 플라스미노겐 활성인자를 유도한다. VEGF에 필적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보이지만, 이를 분비하는 세포 형태 및 이의 헤파린-결합 능력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는 다수의 VEGF 동형태(isoform)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VEGF 군 중에는 "태반 성장 인자(PlGF)" 및 VEGF-C 같은 다른 것들도 있다.
VEGF 수용체(VEGFR)는 티로신 키나제의 경막성 수용체(transmembranous receptor)이다. 이들은 7 개의 면역글로불린-형 도메인을 갖는 세포외 도메인 및 세포내 티로신 키나제 도메인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다양한 형태의 VEGF 수용체, 예를 들면, VEGFR-1(또한 flt-1 로도 공지됨), VEGFR-2(또한 KDR 로도 공지됨) 및 VEGFR-3 이 공지되어 있다.
다수의 인체 종양, 특히 신경교종 및 암종은 높은 수준의 VEGF 및 이의 수용체를 발현한다. 이는 종양 세포에 의해 방출된 VEGF 가 모세 혈관의 성장 및 종양 내피의 증식을 측분비적 방식으로 자극하고, 혈액 공급 개선을 통해, 종양 성장을 가속화시킨다는 학설을 이끌어 냈다. VEGF 발현의 증가는 신경교종 환자의 뇌 부종 발생을 설명할 수 있었다. VEGF 의 생체내 종양 혈관형성 인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는 VEGF 발현 또는 VEGF 활성이 억제된 연구에서 밝혀졌다.
혈관형성은 약 1~2 mm 의 직경 이상으로 성장한 종양에 있어서 절대적 필요요건으로 간주되며, 상기한 한계치까지는, 산소 및 영양분이 확산에 의해 종양 세포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종양은 그의 기원 및 원인과 상관없이 특정 크기에 도달한 후에는 혈관형성에 의해 그 성장이 좌우된다.
종양에 대한 혈관형성 저해제의 활성에 있어서 다음의 3 가지 주요 기작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무혈성 휴지 종양으로의 혈관, 특히 모세혈관의 성장에 대한 억제, 이는 세포사멸 및 증식 간의 균형에 의해 종양 순 성장이 없다는 결과를 이끌어냄; 2) 종양으로의 그리고 종양으로부터의 혈류의 부재에 기인한 종양 세포 이동의 방지; 및 3) 내피 세포 증식의 억제,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혈관을 정렬시키는 내피 세포에 의해 주변 조직에 미치는 측분비적 성장-자극 효과를 예방함 [참고문헌: R. Connell and J. Beebe, Exp. Opin. Ther. Patents, 11:77-114 (2001)].
VEGF 는 혈관 과다투과성 및 부종 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공지된 단 하나의 혈관형성 성장 인자라는 점에서 유일하다. 실제로, 다수의 다른 성장 인자의 발현 또는 투여와 관련된 혈관 과다투과성 및 부종이 VEGF 생성을 통해 매개되는 것으로 보인다.
염증성 사이토킨은 VEGF 생성을 자극한다. 저산소증은 다수의 조직에서 VEGF 의 현저한 상승조절을 초래하고, 이에 따라 경색, 폐색, 허혈, 빈혈 또는 순환 장애와 관련된 상태는 통상적으로 VEGF/VPF-매개된 감응을 일으킨다. 혈관 과다투과성, 관련 부종, 변경된 경내피 교환, 및 종종 누출을 동반하는 거대분자 일혈 (extravasation)은 과잉 기질의 침착, 변종 간질의 증식, 섬유증 등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VEGF-매개된 과다투과성은 이러한 병인적 특성을 갖는 질환의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혈관형성의 조절 인자는 중요한 치료학적 표적이 되어 왔다.
간세포 성장 인자(HGF = hepatocyte growth factor)는 간세포의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토겐(mitogen)으로 알려져 있다. HGF는 시험관 내에서 집락 형성을 파괴시키는 능력으로 인하여 산란 인자(SF)로도 공지된 간세포 성장 인자 (HGF)는 정상 및 종양 세포에서 다중 다면발현성 반응을 유도시키는 것으로 공지된 중간엽으로 유도된 시토카인이다 [참고문헌: Sonnenberg et al., J. Cell Biol. 123:223-235, 1993; Matsumato et al., Crit. Rev. Oncog. 3:27-54, 1992; 및 Stoker et al., Nature 327:239-242, 1987]. 이러한 반응은 상피 및 내피 세포 둘 다에서의 증식, 상피 집락의 개별 세포로의 해리, 상피세포의 운동 (모토제네시스 (motogenesis)) 자극, 세포 생존, 세포 형태발생의 유도 [참고문헌: Montesano et al., Cell 67:901-908, 1991], 및 침입의 촉진 [참고문헌: Stella et al., Int. J. Biochem. Cell Biol. 12:1357-62, 1999; Stuart et al., Int. J. Exp. Path. 81:17-30, 2000], 전이를 기초로 하는 모든 중요한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또한, HGF는 혈관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참고문헌: Bussolino et al., J. Cell Biol. 119:629-641, 1992], HGF는 조직 재생, 상처 치유 및 정상 배아 과정 (모두 세포 운동 및 증식 둘다에 의존함)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참고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37448호, 그의 내용은 본원 명세서에 그대로 포함된다].
HGF는 그의 인지체 수용체, c-Met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 수용체, 확인된 원발암유전자에 대한 높은 친화력 결합을 통해 이러한 생리적 과정을 개시한다 [참고문헌: Park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4:6379-83, 1987 및 Bottaro et al., Science 251:802-4, 1991]. c-Met의 성숙 형태는 고도로 글리코실화된 외부 α-서브유닛 뿐만 아니라, 큰 세포외 영역, 막전위 단편 및 세포질 티로신 키나제 영역을 갖는 β-서브유닛으로 구성된다. 리간드 채용은 c-Met 이량체화를 유도하여 자가 인산화된 활성화된 수용체를 생성한다. c-Met의 활성화는 다중 작동 단백질을 보충하는 중요한 세포질 티로신 잔기의 인산 전이에 의해 정의되는 신호 전달 케스케이드를 촉진시킨다 [참고문헌: Furge et al., Oncogene 19:5582-9, 2000]. 이것은 PI3-키나제의 p85 서브유닛, 포스포리파제 Cγ [참고문헌: Gaul et al., Oncogene 19:1509-18, 2000], Grb2 및 Shc 연결기 단백질, 단백질 포스파타제 SHP2 및 Gab1을 포함한다. 후자의 연결기는 티로신이 리간드 점유에 반응하여 인산화되는 큰 하류 도킹 분자로서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Schaeper et al., J. Cell Biol. 149:1419-32, 2000; Bardelli, et al., Oncogene 18:1139-46, 1999; Sachs et al., J. Cell Biol. 150:1375-84, 2000]. 다른 신호 분자의 활성화는 HGF 자극된 세포, 특히 Ras, MAP 키나제, STAT, ERK-1, -2 및 FAK에서 보고되었다 [참고문헌: Tanimura et al., Oncogene 17:57-65, 1998; Lai et al., J. Biol. Chem. 275:7474-80 2000; Furge et al., Oncogene 19:5582-9, 2000]. 다수의 이러한 신호 분자의 역할은 세포 증식에서 잘 입증되어 있다.
간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 (HGFR)로도 칭해지는 c-Met는 수용체 분자로서 상피세포막의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HGF/SF 라는 성장인자와 콤비를 이루어 세포의 이동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HGF/SF는 암세포의 증식·전이과정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HGF/SF와 c-Met 콤비는 간에서만 분비될 뿐 아니라, 기관이 손상될 경우 폐, 신장, 심장에서도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Met는 상피 세포에서 우세하게 발현되지만, 내피 세포, 근육모세포, 조혈세포 및 운동 뉴론에서도 확인되었다. HGF의 과발현 및 Met의 활성화는 다수의 상이한 종양 유형뿐만 아니라, 전이 질환의 촉진의 개시 및 진행과 관련되어 있다.
HGF 및 c-Met 는 다양한 충실성 종양에서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된다. 높은 수치의 HGF 및/또는 c-Met가 간암, 유방암, 췌장암, 폐암, 신장암, 방광암, 난소암, 뇌 종양, 전립선암, 담낭암 및 골수종 종양과 이외 다수의 다른 질환에서 발견되곤 한다. c-Met가 암에 연관되는 초기 증거는 개체가 유두 콩팥 암종 (PRC) 및 간세포 암종(HCC)에 걸리기 쉽게 하는 키나제 영역 과오 돌연변이의 확인에 의해 지지된다 [참고문헌: Lubensky et al., Amer. J. Pathology, 155:517-26, 1999]. 또한 c-Met의 돌연변이 형태는 난소암, 소아 HCC, 위 암종, 머리 및 목 편평 세포 암종, 비-소세포 폐 암종, 직장결장의 전이에서 확인되었다 [참고문헌: Christensen et al., Cancer Res., 63:7345-55, 2003; Lee et al., Oncogene, 19:4947-53, 2000; Direnzo et al., Clin. Cancer Res., 1:147-54, 1995]. 또한, 암에서 c-Met의 역할을 뒷받침하는 또 다른 증거는 갑상샘, 난소 및 이자 암종을 비롯한 각종 종양에서 HGF 및 Met 수용체의 과발현을 기초로 하며, 직장결장 암종의 간 전이에서 증폭되는 것으로 증명된다 [참고문헌: Rong et al. Cancer Res. 55:1963-1970, 1995; Rong et al., Cancer Res. 53:5355-5360, 1993; Kenworthy et al., Br. J. Cancer 66:243-247, 1992; Scarpino et al. J. Pathology 189:570-575, 1999]. 또한, TPR-Met (CML에서 BCR/Abl과 유사한 활성화된 형태)가 개시되어 있으며, 인간 위 암종에서 확인되었고 [참고문헌: PNAS 88:4892-6, 1991], 침습 유방 암종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및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서의 최근 연구에서, 수용체 또는 리간드의 발현은 감소된 생존, 추가로 Met의 종양에 대한 결합 진행을 예언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Camp et al., Cancer 86:2259-65 1999; Masuya et al., Br. J. Cancer, 90:1555-62, 2004]. 일반적으로, 중간엽 기원의 대부분의 인간 종양 및 종양 세포주는 HGFR 및/또는 HGF를 부적합하게 발현시킨다.
다수의 실험 데이터가 종양 침입, 성장, 생존 및 궁극적으로 전이에 이르는 진행에 있어서, HGF 및 c-Met의 역할을 뒷받침한다. HGF의 잠복기의 트랜스제닉 발현은 전이 표현형을 초래하고 [참고문헌: Takayama et al., PNAS, 94:701-6, 1997], 증폭된/과발현된 Met는 NIH-3T3 세포를 자발적으로 형질전환시킨다 [참고문헌: Cooper et al., EMBO J., 5:2623-8, 1986]. HGF 또는 c-Met를 표적으로 하는 생물학적 제제, 예컨대 리보자임, 항체 및 안티센스 RNA는 종양발생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Stabile et al., Gene Therapy, 11:325-35, 2004; Jiang et al., Clin. Cancer Res, 9:4274-81, 2003; Genentech US 6,214,344, 2001].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4617 호의 내용은 본원 명세서에 그대로 포함된다.
따라서, c-Met를 표적으로 하는 선택적 소분자 키나제 조정자가 c-Met 수용체 활성화가 원발성 종양 및 속발성 전이의 발생 및 진행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암의 치료를 위해 치료적 가능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HGF는 종양 성장 및 전염에 중요한 과정인 혈관형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류의 조정자가 특히 당뇨 망막병증, 황반변성, 비만 및 염증성 질환, 예컨대 류마티스 관절염을 포함할 수 있는 혈관형성-의존성 질환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HGF 및/또는 c-Met 의 역할 면에서, 상기한 질환 또는 병리학적 증세를 가능하게 하거나 촉진시키는 데에는 HGF 및 이의 수용체의 생물학적 효과 중 하나 이상을 실질적으로 저하시키거나 억제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이 유용하다. 이에 따르면, HGF 의 효과를 저하시키는 화합물이 유용한 화합물이 된다. 한편, 발명의 화합물들은 종전에 혈관형성 저해제로서 암 치료 용도와 관련하여서는 기술된 적이 없으며,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c-Met 저해제로서 암 치료 용도와 관련하여서는 기술된 바가 없다.
본 발명에 의하여, c-Met와 같은 성장 인자 수용체의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암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신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상기 화합물의 사용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암 이외에, 성장 인자 및 항-혈관형성 수용체, 예컨대 c-Met를 통해 작동하는 신호 전달 경로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c-Met와 같은 성장 인자 수용체의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암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하기 화학식 1의 신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신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상기 화합물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등) 및 용매화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알킬, 치환된 알킬,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아릴알킬, 치환된 아릴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 헤테로아릴알킬, 치환된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R2은 C1~C6 알킬, 치환된 C1~C6 알킬, 또는 OH기에 의해 치환된 C1~C6 알킬이고;
R3은 알킬, 치환된 알킬,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아릴알킬, 치환된 아릴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 헤테로아릴알킬, 치환된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Q는 질소-함유 5-원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릴과 질소-함유 6-원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릴이 융합된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릴이며;
X 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Y는 CH 또는 N이고;
Z는 CH 또는 N임.
또한, 본 발명은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등) 또는 용매화물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약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등) 또는 용매화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환자에게 1종 이상의 추가의 항암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c-Met와 같은 성장 인자 수용체의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암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신규 질소-함유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이 제공되며,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상기 화합물의 사용 방법은 암 치료에 유용하며, 또한, 성장 인자 및 항-혈관형성 수용체, 예컨대 c-Met를 통해 작동하는 신호 전달 경로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정의된 화학식 1의 신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이러한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등) 및 용매화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알킬, 치환된 알킬,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아릴알킬, 치환된 아릴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 헤테로아릴알킬, 치환된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R2은 C1~C6 알킬, 치환된 C1~C6 알킬, 또는 OH기에 의해 치환된 C1~C6 알킬이고;
R3은 알킬, 치환된 알킬,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아릴알킬, 치환된 아릴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 헤테로아릴알킬, 치환된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Q는 질소-함유 5-원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릴과 질소-함유 6-원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릴이 융합된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릴이며;
X 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Y는 CH 또는 N이고;
Z는 CH 또는 N임.
본원에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그 화합물 자체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등) 및 용매화물, 프로드러그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Q가 하기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03
상기 식 중,
R4 은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아릴알킬, 치환된 아릴알킬, 할로겐, 아릴, 치환된 아릴,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알킬카르보닐, 치환된 알킬카르보닐, 히드록시알킬, 치환된 히드록시알킬,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릴, 치환된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릴,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치환된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릴-알킬이고;
R11, R12, R13, R14, R15, R16, R17, R18, R19 및 R2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 알킬, C1~C6 알콕시, -NH(C1~C6 알킬) 또는 -NRR' (여기서, R 및 R'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임)임.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이 C1~C6 알킬, 치환된 C1~C6 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7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C3~C7 사이클로알킬, C3~C7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C10 아릴, 치환된 C6~C10 아릴, C5~C11 모노사이클릭 또는 비사이클릭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C5~C11 모노사이클릭 또는 비사이클릭 헤테로아릴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이 페닐, 치환된 페닐, 나프틸, 치환된 나프틸, 피리딜, 아제파닐, 피라졸릴, 티아졸릴, 인돌릴, 인다졸릴, 인데닐, 사이클로프로필, 이소프로필, 페닐에틸, 아미노알킬, 벤질, 아미도알킬, 모르폴린 또는 푸라닐메틸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이 페닐, 치환된 페닐, 나프틸, 또는, 치환된 나프틸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3가 C1~C6 알킬, 치환된 C1~C6 알킬, C6~C10 아릴, 또는, 치환된 C6~C10 아릴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X가 F, Cl, Br 및 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할로겐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Q가
Figure pat00004
또는
Figure pat00005
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4가 수소, F, Cl, Br 및 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할로겐, C1~C6 알킬, 치환된 C1~C6 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7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C3~C7 사이클로알킬, C6~C10 아릴, 치환된 C6~C10 아릴, C1~C6 알킬카르보닐, 치환된 C1~C6 알킬카르보닐, C1~C6 히드록시알킬, 치환된 C1~C6 히드록시알킬, N, S 및 O 원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를 하나 이상 갖는 3-원 내지 10-원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치환된 상기 3-원 내지 10-원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릴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4은 수소, 상기 할로겐, 페닐, 치환된 페닐, 나프틸, 치환된 나프틸, 피리딜, 치환된 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아제파닐, 피라졸릴, 티아졸릴, 티오페닐, 이소옥사졸릴, 치환된 이소옥사졸릴, 에틸, 아세틸, 1-히드록시에틸, 사이클로프로필, 이소프로필, 아미노알킬, 벤질, 아미도알킬, 모르폴린, 푸라닐메틸, 또는, 피페리디닐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4은 수소, 상기 할로겐, 치환된 C1-C6 알킬, 페닐, 치환된 페닐, 나프틸, 치환된 나프틸, 피리딜, 치환된 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티아졸릴, 티오페닐, 이소옥사졸릴, 치환된 이소옥사졸릴, 에틸, 아세틸, 1-히드록시에틸, 또는, 피페리디닐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4은 수소, 상기 할로겐, 페닐, 또는 할로겐 또는 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Q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Q가
Figure pat00006
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Q에 있어서 R4가 수소, 할로겐, 페닐, 치환된 페닐, 나프틸, 치환된 나프틸, 피리딜, 치환된 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티아졸릴, 티오페닐, 이소옥사졸릴, 치환된 이소옥사졸릴, 에틸, 아세틸, 1-히드록시에틸, N, S 및 O 원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를 하나 이상 갖는 5-원 내지 6-원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치환된 상기 5-원 내지 6-원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Q가
Figure pat00007
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Q에 있어서 R4은 상기 할로겐, 페닐, 치환된 페닐, 나프틸, 또는 치환된 나프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 중에서 선택한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등) 및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N -(4-(5-브로모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페닐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소)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4-플루오로페닐)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4-메톡시페닐)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3-플루오로페닐)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소)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3-메톡시페닐)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4-(5-브로모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페닐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3-플루오로-4-(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아미드;
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3-플루오로-4-(2-페닐-1H-피롤로[2,3-b]피리딘-4-일옥시)-페닐]-아미드;
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3-플루오로-4-(2-페닐-1H-피롤로[2,3-b]피리딘-4-일옥시)-페닐]-아미드;
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3-플루오로-4-(3-페닐-1H-피롤로[2,3-b]피리딘-4-일옥시)-페닐]-아미드;
N-(3-플루오로-4-(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시-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6-페닐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옥시) 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4-(6-클로로피롤로[1,2-f][1,2,4]트라이아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4-(6-클로로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6-페닐피롤로[1,2-f][1,2,4]트라이아진-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페닐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1,2-디메틸-3-옥소-5-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피리딘-2-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티오펜-2-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피리미딘-5-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보스아미드;
N-(3-플루오로-4-(5-(티아졸-2-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피라진-2-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시-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피페리딘-4-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시-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피리딘-3-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시-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피리딘-4-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시-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티오펜-3-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시-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3,5-디메틸이소옥사졸-4-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시-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6-메틸피리딘-3-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시-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2-메틸피리딘-4-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시-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1-히드록시에틸)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4-(5-아세틸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4-(5-아세틸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1-히드록시에틸)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아미드;
N-(3-플루오로-4-(5-티아졸-2-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피리딘-3-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4-(5-에틸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5-(피리딘-4-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4-(5-클로로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다이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리다졸-4-카르복스아미드;
N-(4-(5-클로로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2-(티오펜-2-일)-1H-피롤로[2,3-b]피리딘-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 아미드;
N-(3-플루오로-4-(2-(티오펜-3-일)-1H-피롤로[2,3-b]피리딘-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 아미드;
N-(3-플루오로-4-(2-(4-메톡시페닐)-1H-피롤로[2,3-b]피리딘-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 아미드;
N-(3-플루오로-4-(2-(4-메톡시페닐)-1H-피롤로[2,3-b]피리딘-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플루오로-4-(2-(티오펜-3-일)-1H-피롤로[2,3-b]피리딘-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및
N-(3-플루오로-4-(2-(티오펜-2-일)-1H-피롤로[2,3-b]피리딘-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본 발명은 또한 치료적 유효량의 상기 화합물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HGF-매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암, 천식, 알러지, 아토피 피부질환, 건선 또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암은 또한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비-소세포 폐암, 결장직장암, 교모세포종, 두경부암, 위암, 방광암, 간암, 및 난소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항생제, 알킬화제, 항대사제, 호르몬제, 면역학적 제제, 인터페론 제제 및 다른 항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HGF-매개 질환의 환자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상기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HGF-매개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상기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HGF-매개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HGF-매개 질환의 치료 방법은 또한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상기 환자에게 항생제, 알킬화제, 항대사제, 호르몬제, 면역학적 제제, 인터페론 제제 및 다른 항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다양한 치환기들의 정의가 하기에 열거되어 있다. 이러한 정의는 개별적으로 또는 큰 기의 일부분으로서 (달리 특정한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면) 본원을 통해 사용된 용어에 적용된다.
본원에서 단독으로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분으로서 용어 "알킬"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다면 단독으로 또는 "알콕시", "아릴알킬", "할로알킬" 및 "알킬아미노" 와 같은 다른 용어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1 내지 약 1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 라디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알킬 라디칼은 1 내지 약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저급 알킬" 라디칼이다. 알킬기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부착 지점에서 치환될 수 있으며, 임의로 치환된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포화 탄화수소기이다. 알킬기는 또는 다른 알킬기로 치환된 알킬기는 또한 "분지된 알킬기"로 칭해진다. 대표적인 알킬기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부틸, 이소부틸, 펜틸, 헥실, 이소헥실, 헵틸, 4,4-디메틸펜틸, 옥틸, 2,2,4-트리메틸펜틸,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등을 들 수 있다. 알킬기의 대표적인 치환체로는 하나 이상의 다음의 기들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킬, 아릴, 할로 (예컨대, F, Cl, Br, I), 할로알킬 (예컨대, CCl3 또는 CF3), 알콕시, 알킬티오, 히드록시, 카르복시 (-COOH), 알킬옥시카르보닐 (-C(O)R), 알킬카르보닐옥시 (-OCOR), 아미노 (-NH2), 카르바모일 (-NHCOOR- 또는 -OCONHR-), 우레아 (-NHCONHR-) 또는 티올 (-SH).
본원에서 단독으로 또는 또 다른 기의 일부분으로서 용어 "알케닐"은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탄소 대 탄소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한 알케닐 라디칼은 2 내지 약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저급 알케닐" 라디칼이다. 가장 바람직한 저급 알케닐 라디칼은 2 내지 약 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라디칼이다. 또한 알케닐기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부착지점에서 치환될 수 있다. 알케닐 라디칼의 예로는 에테닐, 프로페닐, 알릴, 프로페닐, 부테닐 및 4-메틸부테닐이 포함된다. 용어 "알케닐" 및 "저급 알케닐" 은 "시스" 및 "트란스" 배향, 또는 대안적으로, "E" 및 "Z" 배향을 갖는 라디칼을 포함한다. 알케닐기에 대해 대표적인 치환체로는 알킬기에 대해 상기 열거된 것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예를 들어 아미노, 옥소, 히드록실 등으로 더 치환될 수 있다.
본원에서 단독으로 또는 또 다른 기의 일부분으로서 용어 "알키닐"은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탄소 대 탄소 삼중 결합을 함유하는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한 알킨일 라디칼은 2 내지 약 6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 알킨일" 라디칼이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2 내지 약 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저급 알킨일 라디칼이다. 이러한 라디칼의 예로는 프로파르길, 부틴일 등이 포함된다. 또한 알키닐기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부착지점에서 치환될 수 있다. 알키닐기에 대해 대표적인 치환체로는 알킬기에 대해 상기 열거된 것, 예컨대 아미노, 알킬아미노 등을 들 수 있다.
기호 "C" 뒤에 아래에 기입한 숫자는 특정기가 함유할 수 있는 탄소 원자의 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1 내지 C6 알킬" 또는 "C1~C6 알킬"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포화 탄소쇄를 의미하며,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t-부틸, n-펜틸, sec-펜틸, 이소펜틸 및 n-헥실을 들 수 있다. 문맥에 따라, "C1 내지 C6 알킬"은 또한 2개의 기가 가교된 C1 내지 C6 알킬렌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로는 프로판-1,3-디일, 부탄-1,4-디일, 2-메틸-부탄-1,4-디일 등을 들 수 있다. "C2 내지 C6 알케닐"은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고,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된 탄소쇄를 의미하며, 예로는 에테닐, 프로페닐, 이소프로페닐, 부테닐, 이소부테닐, 펜테닐 및 헥세닐을 들 수 있다. 문맥에 따라, "C2 내지 C6 알케닐"은 또한 2개의 기가 가교된 C2 내지 C6 알켄디일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로는 에틸렌-1,2-디일 (비닐렌), 2-메틸-2-부텐-1,4-디일, 2-헥센-1,6-디일 등을 들 수 있다. "C2 내지 C6 알키닐"은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 및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된 탄소쇄를 의미하며, 예로는 에티닐, 프로피닐, 부티닐 및 헥시닐을 들 수 있다.
본원에서 단독으로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분으로서 용어 "알콕시" 또는 "알킬티오"는 각각 산소 연결 (-O-) 또는 황 연결 (-S-)을 통해 결합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알킬기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단독으로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분으로서 용어 "알콕시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결합된 알콕시기를 의미한다. 알콕시카르보닐 라디칼은 화학식 -C(O)OR (여기서, R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임)로 나타내진다.
본원에서 단독으로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분으로서 용어 "알킬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결합된 알킬기 또는 -C(O)R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단독으로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분으로서 용어 "히드록시알킬"은 히드록시기를 통해 결합된 알킬기 또는 -COH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단독으로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분으로서 용어 "알킬카르보닐옥시"는 산소 연결을 통해 결합된 알킬카르보닐기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단독으로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분으로서 용어 "아릴알킬 [아르알킬(aralkyl) 또는 아랄킬]"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알킬기를 통해 결합된 방향족 고리, 즉, 아릴-치환된 알킬 라디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아릴알킬 라디칼은 아릴 라디칼이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에 부착된 "저급 아릴알킬" 라디칼이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1 내지 3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부분에 부착된 "페닐알킬렌일"이다. 이러한 라디칼의 예로는 벤질, 비페닐메틸 및 페닐에틸이 포함된다. 상기 아릴알킬 중 아릴은 할로, 알킬, 알콕시, 할로알킬 및 할로알콕시로 추가 치환될 수 있다.
본원에서 단독으로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분으로서 용어 "아릴"은 모노사이클릭 또는 비사이클릭 방향족 고리, 예를 들어 페닐, 치환된 페닐 등 뿐만 아니라, 접합된 기, 예를 들어 나프틸, 페난트레닐, 인데닐, 테트라히드로나프틸 및 인다닐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아릴기는 6개 이상의 원자를 갖는 1개 이상의 고리를 함유하며, 22개 이하의 원자를 함유하는 5개 이하의 고리가 존재할 수 있고, 인접 탄소 원자 또는 적합한 헤테로원자 사이에 이중 결합이 교대로 (공명) 존재할 수 있다. 아릴기는 임의로 할로겐, 예컨대 F, Br, Cl 또는 I, 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알콕시, 예컨대 메톡시 또는 에톡시, 히드록시, 카르복시, 카르바모일, 알킬옥시카르보닐, 니트로, 알케닐옥시,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시아노, 알킬 S(O)m (m=O, 1, 2) 또는 티올을 비롯한,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1개 이상의 기로 치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아릴은 임의 치환된 페닐이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릴" 은 포화된, 부분 포화된 및 불포화된 헤테로원자-함유 고리 라디칼을 포함하는데, 이때 헤테로원자는 질소, 황 및 산소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헤테로사이클릴" 기는 3-원 내지 10-원 헤테로사이클릴기일 수 있다. 상기 "헤테로사이클릴" 기는 1 내지 3 개의 히드록실, Boc, 할로, 할로알킬, 시아노, 저급 알킬, 저급 아르알킬, 옥소, 저급 알콕시, 아미노 및 저급 알킬아미노 같은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포화된 헤테로사이클릴 기의 예로는 1 내지 4 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된 3 내지 6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헤테로사이클릴 기 [예, 피롤리딘일, 이미다졸리딘일, 피페리딘일, 피롤리닐, 피페라진일]; 1 내지 2 개의 산소 원자 및 1 내지 3 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된 3 내지 6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헤테로모노사이클릭 그룹[예, 모르폴린일]; 1 내지 2 개의 황 원자 및 1 내지 3 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된 3 내지 6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헤테로모노사이클릭 그룹 [예, 티아졸리딘일]이 포함된다. 부분 포화된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의 예로는 디히드로티에닐, 디히드로피라닐, 디히드로푸릴 및 디히드로티아졸릴이 포함된다.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릴의 예로는 1 내지 4 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불포화된 5 내지 6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헤테로모노사이클릭 그룹, 예를 들면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2-피리딜, 3-피리딜, 4-피리딜, 피리미딜,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트리아졸릴 (예, 4H-1,2,4-트리아졸릴, 1H-1,2,3-트리아졸릴, 2H-1,2,3-트리아졸릴); 하나의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불포화된 5 내지 6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헤테로모노사이클릭 그룹, 예를 들면 피라닐, 2-푸릴, 3-푸릴 등; 하나의 황 원자를 함유하는 불포화된 5 내지 6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헤테로모노사이클릭 그룹, 예를 들면 2-티에닐, 3-티에닐. 티오페닐 등; 1 내지 2 개의 산소 원자 및 1 내지 3 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불포화된 5 내지 6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헤테로모노사이클릭 그룹, 예를 들면 옥사졸릴, 이소옥사졸릴, 옥사디아졸릴 (예, 1,2,4-옥사디아졸릴, 1,3,4-옥사디아졸릴, 1,2,5-옥사디아졸릴); 1 내지 2 개의 황 원자 및 1 내지 3 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불포화된 5 내지 6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헤테로모노사이클릭 그룹, 예를 들면 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예, 1,2,4-티아디아졸릴, 1,3,4-티아디아졸릴, 1,2,5-티아디아졸릴]이 포함된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릴" 은 또한 헤테로사이클릭 라디칼이 아릴 라디칼과 융합/축합된 라디칼을 포함하며, 그 예로는 1 내지 5 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불포화된 축합 헤테로사이클릭 그룹, 예를 들면 인돌릴, 이소인돌릴, 인돌리지닐, 벤즈이미다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인다졸릴, 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졸로피리다진일[예, 테트라졸로[1,5-b]피리다진일]; 1 내지 2 개의 산소 원자 및 1 내지 3 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불포화된 축합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예, 벤즈옥사졸릴, 벤즈옥사디아졸릴] ; 1 내지 2 개의 황 원자 및 1 내지 3 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불포화된 축합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예, 벤조티아졸릴, 벤조티아디아졸릴] ; 및 1 내지 2 개의 산소 또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된, 부분 포화된 및 불포화된 축합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예, 벤조푸릴, 벤조티에닐, 2,3-디히드로-벤조[1,4]디옥시닐 및 디히드로벤조푸릴]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헤테로사이클릭 라디칼은 5 내지 10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융합 또는 융합되지 않은 라디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헤테로아릴 라디칼의 예로는 퀴놀릴, 이소퀴놀릴, 이미다졸릴, 피리딜, 티에닐, 티아졸릴, 옥사졸릴, 푸릴 및 피라진일이 포함된다. 기타 바람직한 헤테로아릴 라디칼은 황, 질소 및 산소 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 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또는 6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헤테로아릴로서, 티에닐, 푸릴, 피롤릴, 인다졸릴, 피라졸릴, 옥사졸릴, 트리아졸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이소옥사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리딜, 피페리딘일 및 피라진일 중에서 선택된다.
특정한 비-질소 함유 헤테로아릴의 예로는 피라닐, 2-푸릴, 3-푸릴, 2-티에닐, 3-티에닐, 벤조푸릴, 벤조티에닐 등이 포함된다.
부분 포화된 및 포화된 헤테로사이클릴의 특정 예로는 피롤리딘일, 이미다졸리딘일이미다졸리딘일, 피페리딘일, 피롤리닐, 피라졸리딘일, 피페라진일, 모르폴린일, 테트라히드로피란일, 티아졸리딘일, 디히드로티에닐, 2,3-디히드로-벤조[1,4]디옥산일, 인돌리닐, 이소인돌리닐, 디히드로벤조티에닐, 디히드로벤조푸릴, 이소크로마닐, 크로마닐, 1,2-디히드로퀴놀릴, 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릴, 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릴, 2,3,4,4a,9,9a-헥사히드로-1H-3-아자-플루오레닐, 5,6,7-트리히드로-1,2,4-트리아졸로[3,4-a]이소퀴놀릴, 3,4-디히드로-2H-벤조[l,4]옥사지닐, 벤조[1,4]디옥사닐, 2,3-디히드로-1H-Iλ'-벤조[d]이소티아졸-6-일, 디히드로피라닐, 디히드로푸릴 및 디히드로티아졸릴 등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단독으로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분으로서 용어 "아미노"는 -NH2를 의미한다. "아미노"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1 또는 2개의 치환체, 예컨대 알킬, 아릴, 아릴알킬, 알케닐, 알키닐,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사이클로헤테로알킬, 사이클로헤테로알킬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할로알킬, 히드록시알킬, 알콕시알킬, 티오알킬, 카르보닐 또는 카르복실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이러한 치환체는 카르복시산,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알킬 또는 아릴 치환체로 더 치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아미노기는 카르복실 또는 카르보닐로 치환되어 N-아실 또는 N-카르바모일 유도체를 형성한다.
본원에서 단독으로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분으로서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3 내지 9개,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개의 탄소 원자의 완전히 포화된 및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탄화수소 고리를 의미한다. 또한, 사이클로알킬은 치환될 수 있다. 치환된 사이클로알킬은 할로,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알키닐, 니트로, 시아노, 옥소 (=O), 히드록시, 알콕시, 티오알킬, -CO2H, -C(=O)H, CO2-알킬, -C(=O)알킬, 케토, =N-OH, =N-O-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 5 또는 6-원 케탈 (즉, 1,3-디옥솔란 또는 1,3-디옥산), -NR"R"', -C(=O)NR"R"', -CO2NR"R"', -C(=O)NR"R"', -NR"CO2R"', -NR"C(=O)R"', -SO2NR"R"' 및 -NR"SO2R"'(여기서, 각각의 R" 및 R"'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 및 R"'는 함께 헤테로사이클로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치환체를 갖는 고리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단독으로 또는 또 다른 기의 일부분으로서 용어 "헤테로아릴"은 1개 이상의 고리에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 (O, S 또는 N)를 갖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 5 또는 6원 모노사이클릭기, 9 또는 10원 비사이클릭기 및 11 내지 14원 트리사이클릭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헤테로아릴기의 각각의 고리는 1 또는 2개의 산소 또는 황 원자 및/또는 1 내지 4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할 수 있되, 단 각각의 고리에서 헤테로원자의 총 갯수는 4개 이하이며, 각각의 고리는 1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비사이클릭 및 트리사이클릭기를 완성하는 접합 고리는 탄소 원자만을 함유할 수 있고, 포화, 부분적으로 포화 또는 불포화될 수 있다. 질소 및 황 원자는 임의로 산화될 수 있고, 질소 원자는 임의로 4급화될 수 있다. 비사이클릭 또는 트리사이클릭인 헤테로아릴기는 1개 이상의 완전한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여야 하지만, 다른 접합 고리 또는 고리들은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일 수 있다. 헤테로아릴기는 임의의 고리의 임의의 이용가능한 질소 또는 탄소 원자에 부착될 수 있다. 헤테로아릴 고리계는 할로,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니트로, 시아노, 히드록시, 알콕시, 티오알킬, -CO2H, -C(=O)H, -CO2-알킬, -C(=O)알킬, 페닐, 벤질, 페닐에틸, 페닐옥시, 페닐티오,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 헤테로아릴, -NR"R"', -C(=O)NR"R"', -CO2NR"R"', -C(=O)NR"R"', -NR"CO2R"', -NR"C(=O)R"', -SO2NR"R"' 및 -NR"SO2R"' (여기서, 각각의 R" 및 R"'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 및 R"'는 함께 헤테로사이클로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0, 1, 2 또는 3개의 치환체를 함유할 수 있다.
대표적인 모노사이클릭 헤테로아릴기로는 피롤릴, 피라졸릴, 피라졸리닐,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디아졸릴, 이소옥사졸릴, 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푸라닐, 티에닐, 옥사디아졸릴, 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트리아지닐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비사이클릭 헤테로아릴기로는 인돌릴, 벤조티아졸릴, 벤조디옥솔릴, 벤족사솔릴, 벤조티에닐, 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피라닐, 인돌리지닐, 벤조푸라닐, 크로모닐, 코우마리닐, 벤조피라닐, 신놀리닐, 퀴녹살리닐, 인다졸릴, 피롤로피리딜, 푸로피리디닐, 디히드로이소인돌릴,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트리사이클릭 헤테로아릴기로는 카르바졸릴, 벤지돌릴, 페난트롤리닐, 아크리디닐, 페난트리디닐, 크산테닐 등을 들 수 있다.
본원에서 단독으로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분으로서 용어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고리에서 1개의 탄소 원자가 O, S 또는 N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에 의해 대체되고, 3개 이하의 추가의 탄소 원자가 상기 헤테로원자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 사이클로알킬기 (비방향족 화합물)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단독으로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분으로서 용어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5 내지 7개의 고리 원의 탄소 원자 및 질소, 황 및/또는 산소로부터 선택된 다른 원자를 함유하는 안정한 포화 또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모노사이클릭 고리계를 의미한다.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는 5, 6 또는 7원 모노사이클릭 고리일 수 있고, 질소, 산소 및/또는 황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는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이것은 헤테로사이클릭 고리가 하나 이상의 치환가능한 고리 위치에서 알킬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알콕시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콕시), 니트로, 모노알킬아미노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바람직하게는 디[저급]알킬아미노), 시아노, 할로, 할로알킬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메틸), 알카노일, 아미노카르보닐, 모노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알킬아미노카르보닐, 알킬 아미도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킬 아미도), 알콕시알킬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콕시[저급]알킬), 알콕시카르보닐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콕시카르보닐), 알킬카르보닐옥시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킬카르보닐옥시) 및 아릴 (바람직하게는 페닐) (상기 아릴은 할로, 저급 알킬 및 저급 알콕시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음)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의 예로는 피페라진, 피페리딘, 모르폴린, 호모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 피롤리딘 및 아제티딘을 들 수 있다.
또한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는 탄소 원자로 이루어지고 질소, 산소 및/또는 황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8 내지 11원 비사이클릭 고리일 수 있다. 몇가지 바람직한 비사이클릭 고리로는 벤조디옥솔, 퀴녹살린, 인돌릴 및 퀴놀리닐을 들 수 있다. 본원에서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에 대해 언급된 용어 "임의로 치환된"은 헤테로사이클릴기가 하나 이상의 치환가능한 고리 위치에서 알킬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킬), 알콕시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콕시), 니트로, 모노알킬아미노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바람직하게는 디[저급]알킬아미노), 시아노, 할로, 할로알킬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메틸), 알카노일, 아미노카르보닐, 모노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알킬아미노카르보닐, 알킬 아미도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킬 아미도), 알콕시알킬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콕시[저급]알킬), 알콕시카르보닐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콕시카르보닐), 알킬카르보닐옥시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킬카르보닐옥시) 및 아릴 (바람직하게는 페닐) (상기 아릴은 할로, 저급 알킬 및 저급 알콕시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음)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헤테로원자"는 독립적인 성분에 대해 선택된 O, S 또는 N을 의미한다. 불만족스러운 원자가를 갖는 임의의 헤테로 원자는 수소 원자를 가져서 원자가를 만족시킨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용어 "할로겐" 또는 "할로"는 독립적인 성분에 대해 선택된 염소, 브롬, 불소 또는 요오드를 의미한다.
용어 "술포닐" 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알킬술포닐 같이 다른 용어와 결합하여, 개별적으로 2 가 라디칼 -SO2- 를 의미한다.
용어 "술파밀", "아미노술포닐" 및 "술폰아미딜" 은 아민 라디칼로 치환되어 술폰아미드(-SO2NH2) 를 형성하는 술포닐 라디칼을 의미한다.
용어 "알킬아미노술포닐" 은 술파밀 라디칼이 독립적으로 1 또는 2 개의 알킬 라디칼로 치환된 "N-알킬아미노술포닐" 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알킬아미노술포닐 라디칼은 1 개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저급 알킬아미노술포닐" 라디칼이다. 더 더욱 바람직한 것은 1 내지 3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저급 알킬아미노술포닐 라디칼이다. 이러한 저급 알킬아미노술포닐 라디칼의 예로는 N-메틸아미노술포닐 및 N-에틸아미노술포닐이 포함된다.
용어 "카르복시" 또는 "카르복실" 은 단독으로 또는 "카르복시알킬"과 같이 다른 용어와 함께 사용하여, -CO2H 를 의미한다.
용어 "카르보닐" 은 단독으로 또는 "아미노카르보닐" 같이 다른 용어와 함께 사용하여, -(C=O)- 를 의미한다.
용어 "아미노카르보닐" 는 화학식 -C(=O)NH2- 의 아미드기이다.
용어 "N-알킬아미노카르보닐" 및 "N,N-디알킬아미노카르보닐" 은 각각 1 또는 2 개의 알킬 라디칼로 독립적으로 치환된 아미노카르보닐 라디칼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전술한 저급 알킬 라디칼이 아미노 카르보닐 라디칼에 부착된 "저급 알킬아미노카르보닐" 이다.
용어 "N-아릴아미노카르보닐" 및 "N-알킬-N-아릴아미노카르보닐" 은 각각 하나의 아릴 라디칼, 또는 하나의 알킬 및 하나의 아릴 라디칼로 치환된 아미노카르보닐 라디칼을 의미한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알킬렌일" 및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은 헤테로사이클릭-치환된 알킬 라디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헤테로사이클릴알킬 라디칼은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 부분 및 5 또는 6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헤테로아릴 라디칼을 갖는 "5 또는 6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헤테로아릴알킬" 라디칼이다. 더 더욱 바람직한 것은 1 내지 3 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 부분을 갖는 저급 헤테로아릴알킬렌일 라디칼이다. 그 예로는 피리딘일메틸 및 티에닐메틸 같은 라디칼이 포함된다.
용어 "알킬티오" 는 2 가의 황 원자에 부착된 1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라디칼을 함유하는 라디칼을 포함한다. 더 더욱 바람직한 것은 1 내지 3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저급 알킬티오 라디칼이다. "알킬티오" 의 예로는 메틸티오, (CH3S-) 이 있다.
용어 "할로알킬티오" 는 2 가의 황 원자에 부착된 1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의 할로알킬 라디칼을 함유하는 라디칼을 포함한다. 더 더욱 바람직한 것은 1 내지 3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저급 할로알킬티오 라디칼이다. "할로알킬티오" 의 예로는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가 있다.
용어 "알킬아미노" 는 "N-알킬아미노" 및 "N,N-디알킬아미노" 를 포함하는데, 이때 아미노기는 각각 하나의 알킬 라디칼 및 두 개의 알킬 라디칼로 독립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알킬아미노 라디칼은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의 1 또는 2 개의 알킬 라디칼이 질소 원자에 부착된 "저급 알킬아미노" 라디칼이다. 더 더욱 바람직한 것은 1 내지 3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저급 알킬아미노 라디칼이다. 적합한 알킬아미노 라디칼은 N-메틸아미노, N-에틸아미노, N,N-디메틸아미노, N,N-디에틸아미노 등과 같은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일 수 있다.
용어 "아릴아미노" 는 N-페닐아미노와 같이, 1 또는 2 개의 아릴 라디칼로 치환된 아미노기를 의미한다. 아릴아미노 라디칼은 라디칼의 아릴 고리 부분 상에서 추가 치환될 수 있다.
용어 "헤테로아릴아미노" 는 N-티에닐아미노와 같이, 1 또는 2 개의 헤테로아릴 라디칼로 치환된 아미노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아미노" 라디칼은 라디칼의 헤테로아릴 고리 부분 상에서 추가 치환될 수 있다.
용어 "아랄킬아미노" 는 1 또는 2 개의 아르알킬 라디칼로 치환된 아미노기를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N-벤질아미노 같은 페닐-C1~C3 알킬아미노 라디칼이다. 아랄킬아미노 라디칼은 아릴 고리 부분 상에서 추가 치환될 수 있다.
용어 "N-알킬-N-아릴아미노" 및 "N-아르알킬-N-알킬아미노" 는 각각 하나의 아르알킬 및 하나의 알킬 라디칼, 또는 하나의 아릴 및 하나의 알킬 라디칼로 독립적으로 치환된 아미노기를 의미한다.
용어 "아미노알킬" 은 1 내지 약 10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이중 어느 하나가 하나 이상의 아미노 라디칼로 치환될 수 있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라디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아미노알킬 라디칼은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 및 하나 이상의 아미노 라디칼을 갖는 "저급 아미노알킬" 라디칼이다. 이러한 라디칼의 예로는 아미노메틸, 아미노에틸, 아미노프로필, 아미노부틸 및 아미노헥실이 포함된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1 내지 3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저급 아미노알킬 라디칼이다.
용어 "알킬아미노알킬" 은 알킬아미노 라디칼로 치환된 알킬 라디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알킬아미노알킬 라디칼은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 라디칼을 갖는 "저급 알킬아미노알킬" 라디칼이다. 더 더욱 바람직한 것은 1 내지 3 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 라디칼을 갖는 저급 알킬 아미노알킬 라디칼이다. 적합한 알킬아미노알킬 라디칼은 N-메틸아미노메틸, N,N-디메틸-아미노에틸, N,N-디에틸아미노메틸 등과 같이 모노 또는 디알킬 치환될 수 있다.
용어 "알킬아미노알콕시" 는 알킬아미노 라디칼로 치환된 알콕시 라디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알킬아미노알콕시 라디칼은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의 알콕시 라디칼을 갖는 "저급 알킬아미노알콕시" 라디칼이다. 더 더욱 바람직한 것은 1 내지 3 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 라디칼을 갖는 저급 알킬아미노알콕시 라디칼이다. 적합한 알킬아미노알콕시 라디칼은 N-메틸아미노에톡시, N,N-디메틸아미노에톡시, N,N-디에틸아미노에톡시 등과 같이 모노 또는 디알킬 치환될 수 있다.
용어 "알킬아미노알콕시알콕시" 는 알킬아미노알콕시 라디칼로 치환된 알콕시 라디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알킬아미노알콕시알콕시 라디칼은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의 알콕시 라디칼을 갖는 "저급 알킬아미노알콕시알콕시" 라디칼이다. 더 더욱 바람직한 것은 1 내지 3 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 라디칼을 갖는 저급 알킬아미노알콕시알콕시 라디칼이다. 적합한 알킬아미노알콕시알콕시 라디칼은 N-메틸아미노메톡시에톡시, N-메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 N,N-디메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 N,N-디에틸아미노메톡시메톡시 등과 같이 모노 또는 디알킬 치환될 수 있다.
용어 "카르복시알킬" 은 1 내지 약 10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이중 어느 하나가 하나 이상의 카르복시 라디칼로 치환될 수 있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라디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카르복시알킬 라디칼은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 및 카르복시 라디칼을 갖는 "저급 카르복시알킬" 라디칼이다. 이러한 라디칼의 예로는 카르복실메틸, 카르복시프로필 등이 포함된다.
더 더욱 바람직한 것은 1 내지 3 개의 CH2 그룹을 갖는 저급 카르복시알킬 라디칼이다.
용어 "할로술포닐" 은 할로겐 라디칼로 치환된 술포닐 라디칼을 포함한다. 이러한 할로술포닐 라디칼의 예로는 클로로술포닐 및 플루오로술포닐이 포함된다.
용어 "아릴티오" 는 2 가의 황 원자에 부착된 6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의 아릴 라디칼을 포함한다. "아릴티오" 의 예로는 페닐티오가 있다.
용어 "아랄킬티오" 는 2 가의 황 원자에 부착된 전술한 아르알킬 라디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페닐-C1~C3 알킬티오 라디칼이다. "아랄킬티오" 의 예로는 벤질티오가 있다.
용어 "아릴옥시" 는 산소 원자에 부착된, 임의로 치환된 전술한 아릴 라디칼을 포함한다. 이러한 라디칼의 예로는 페녹시가 포함된다.
용어 "아랄콕시" 는 산소 원자를 통해 다른 라디칼에 부착된 옥시-함유 아르알킬 라디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아랄콕시 라디칼은 임의로 치환된 페닐 라디칼이 전술한 저급 알콕시 라디칼에 부착된 "저급 아랄콕시" 라디칼이다.
용어 "헤테로아릴옥시" 는 산소 원자에 부착된, 임의로 치환된 전술한 헤테로아릴 라디칼을 포함한다.
용어 "헤테로아릴알콕시" 는 산소 원자를 통해 다른 라디칼에 부착된 옥시-함유 헤테로아릴알킬 라디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헤테로아릴알콕시 라디칼은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라디칼이 전술한 저급 알콕시 라디칼에 부착된 "저급 헤테로아릴알콕시" 라디칼이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알킬" 은 사이클로알킬-치환된 알킬 라디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사이클로알킬알킬 라디칼은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이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에 부착된 "저급 사이클로알킬알킬" 라디칼이다. 더 더욱 바람직한 것은 1 개 내지 3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부분에 부착된 "5-6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사이클로알킬알킬"이다. 이러한 라디칼의 예로는 사이클로헥실메틸이 포함된다. 상기 라디칼 중 사이클로알킬은 할로, 알킬, 알콕시 및 히드록시로 추가 치환될 수 있다.
용어 "사이클로알케닐" 은 "사이클로알킬디에닐" 화합물을 비롯하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카르보사이클릭 그룹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사이클로알켄일 그룹은 C3~C6 고리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사이클로펜테닐, 사이클로펜타디에닐, 사이클로헥세닐 및 사이클로헵타디에닐이 포함된다.
용어 "포함하는" 은 표시된 성분을 포함하되, 다른 원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 의미를 나타낸다.
용어 "화학식 1" 은 어떠한 하위 화학식도 포함한다.
의약 용도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혈관형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VEGFR/KDR 및/또는 c-Met 억제 활성과 같은 키나제 억제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항종양제로서 치료 또는 VEGF 및/또는 HGF 의 유해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은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 1종 이상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HGF-매개 질환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암, 천식, 알러지, 아토피 피부질환, 건선 또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본 발명은 비-소세포 폐암, 결장직장암, 교모세포종, 두경부암, 위암, 방광암, 간암, 및 난소암 등을 치료하는 데 유용한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생제, 알킬화제, 항대사제, 호르몬제, 면역학적 제제, 인터페론 제제 및 다른 항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HGF-매개 질환의 환자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HGF-매개 질환의 치료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HGF-매개 질환의 치료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치료 방법에 있어서 또한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항생제, 알킬화제, 항대사제, 호르몬제, 면역학적 제제, 인터페론 제제 및 다른 항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이용한 의약 용도 및 치료 방법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병용될 수 있는 다른 약제들도 상기한 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이용한 의약 용도 및 사용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음을 포함하는 암 및 전이를 비롯하여 종양의 치료에 유용하나, 이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암종, 예를 들면 방광암, 유방암, 결장암, 신장암, 간암, 폐암(소세포 폐암 포함), 식도암, 담낭암, 난소암, 췌장암, 위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전립선암 및 피부암(편평세포 암종 포함) ; 림프 계열의 조혈성 종양[백혈병,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B-세포 림프종, T-세포 림프종, 호지킨(Hodgkin)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모발상 세포 림프종 및 버킷(Burkett) 림프종 포함] ; 골수 계열의 조혈성 종양(급성 및 만성 골수성 백혈병, 골수이형성 증후군 및 전골수성 백혈병 포함) ; 간엽 기원의 종양(섬유육종 및 횡문근육종 및 예컨대 연조직 및 뼈 포함 다른 육종) ; 중추 및 말초 신경계의 종양(별아교세포종, 신경아세포종, 신경교종 및 신경초종 포함) ; 및 기타 다른 종양[흑색종, 정상피종, 기형암종, 골육종, 색소성 건피증, 각화극세포증, 갑상선 여포암 및 카포시(Kaposi) 육종 포함].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폐암, 결장암 및 유방암 중에서 선택된 종양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안과적 증세, 예를 들면 각막 이식 거부, 안내 혈관신생, 손상 또는 감염후 혈관신생, 당뇨병 망막증, 수정체후부 섬유증식증 및 신혈관 녹내장을 포함한 망막 혈관신생; 망막 허혈 ; 유리체 출혈 ; 궤양성 질환, 예를 들면 위 궤양 ; 병리적이지만 비-악성인 증세, 예를 들면 유아 혈관종, 비인두맥관 혈관섬유종 및 무혈성 골 괴사를 포함하는 혈관종 ; 및 여성 생식계 장애, 예를 들면 자궁내막증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부종 및 혈관 과다투과성증세의 치료에도 또한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증식성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다. 이들 화합물은 염증성 류마티스성 또는 류마티스성 질환의 치료, 특히 운동 기관의 임상적 발현, 예를 들면 다양한 류마티스성 염증질환, 특히 류마티스성 관절염, 청소년성 관절염 또는 건선성 관절병증을 포함한 만성 다발성 관절염; 부종양성 증후군 또는 종양-유도성 염증성 질환, 혼탁 일출, 교원질증, 예를 들면 전신 홍반성 낭창, 다발성 근염, 피부 근염, 전신성 경피증 또는 혼합성 교원질증; 감염후 관절염(이 경우, 생존하는 병원성 유기체는 체내 감염 부위에서 발견될 수 없음), 혈청음성 척추관절염, 예를 들면 척추염 강직; 혈관염, 사르코이드증 또는 관절증; 또는 추가로 이들의 합병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염증 관련 질환의 예로는 활막 염증, 예를 들면 결정-유도되지 않는 경우의 특정 형태의 활막염, 특히 점액낭성 활막염 및 화농성 활막염을 포함한 활막염이 있다. 이러한 활막 염증은 예를 들면 질환, 예컨대 골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또는 변형성 관절염 같은 관절염에 의해 발병되거나 또는 이와 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염증, 예를 들면 근건 삽입 부위 및 건초에서의 관절 또는 운동 기관의 염증성 질환 또는 증세의 전신성 치료에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염증은, 예를 들면 특히 삽입 내부병증, 근막 증후군 및 건근염 같은 증세를 포함한 질환 또는 추가의(본 발명의 광범위한 범주에서) 외과적 처치에 의해 야기되거나 또는 이와 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특히 염증, 예를 들면 피부 근염 및 근염을 포함한 결합 조직의 염증성 질환 또는 증세의 치료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관절염, 죽상동맥경화증, 건선, 혈관종, 심근 혈관형성, 관상 및 대뇌 측부, 허혈성 하지 혈관형성, 상처 치료, 소화성 궤양 헬리코박터 관련 질환, 골절, 고양이 찰상열, 피부홍조, 신생혈관 녹내장 및 망막증, 예를 들면 당뇨병 망막증 또는 황반 변성과 관련 질환과 같은 질환 상태에 대한 활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이들 화합물 중 일부는, 충실성 종양, 악성 복수, 조혈성 암 및 과다증식 질환, 예를 들면 갑상선 증식증(특히 그레이브(Grave) 질환) 및 낭종[예를 들면, 다낭성 난소 증후군(슈타인-레벤탈(Stein-Leventhal) 증후군)의 특징인 난소 기질의 혈관상과다] 의 경우 성장 및/또는 전이에 대한 혈관 세포의 증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들 질환에 대한 활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화합물 중 일부는 화상, 만성 폐 질환, 발작, 폴립, 과민증, 만성 및 알레르기성 염증, 난소 과다자극 증후군, 뇌종양-관련 뇌 부종, 고-고도 외상 또는 저산소증 유도된 뇌 또는 폐 부종, 안내 및 황반 부종, 복수, 및 혈관 과다투과성, 일출, 삼출, 단백질 혈관외유출 또는 부종이 질환의 징후인 기타 질환에 대한 활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또한 단백질 혈관외유출로 피브린 및 세포외 매트릭스의 침착을 야기하고, 기질 증식을 촉진하는 질환(예를 들면, 섬유증, 경변증 및 수근관 증후군)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세균, 진균, 무렌(Mooren) 궤양 및 궤양성 대장염을 포함한 궤양의 치료에도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외상, 방사선 조사, 발작, 자궁내막증, 난소 과다자극 증후군, 전신성 낭창, 사르코이드증, 활막염, 크론씨병, 겸상 적혈구 빈혈증, 라임병, 유천포창, 파제트병, 과다점성 증후군, 오슬러-웨버-랑뒤병, 만성 염증, 만성 폐색성 폐질환, 천식 및 염증성 류마토이드 또는 류마티스성 질환 이후, 단순 포진, 대상 포진, AIDS, 카포시 육종, 원충 감염 및 톡소플라스마증 같은 바이러스성 감염에서 원치않는 혈관형성, 부종 또는 기질 침착이 발생하는 증세의 치료에도 유용하다. 이들 화합물은 피하 지방의 감소 또는 비만 치료에도 또한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망막증 및 황반 변성 이외에도 안과적 증세, 예를 들면 안내 및 황반부종, 안내 신혈관 질환, 공막염, 방사상 각막절개, 포도막염, 유리체염, 근시, 시와(optical pits), 만성 망막 박리, 레이저후 합병증, 녹내장, 결막염, 스타르가르트병 및 일스씨병의 치료에도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심혈관 증세, 예를 들면 죽상동맥경화증, 재협착증, 동맥경화증, 혈관 폐색증 및 경동맥 폐색성 질환의 치료에도 또한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암 관련 징후, 예를 들면 충실성 종양, 육종(특히 유잉 육종 및 골육종), 망막모세포종, 횡문근육종, 신경모세포종, 백혈병 및 림프종, 종양-유도된 흉막 또는 심낭 일출을 포함한 조혈성 종양 및 악성 복수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당뇨병 증세, 예를 들면 당뇨병성 망막증 및 미세혈관병증의 치료에도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환자에게서 종양의 혈류를 감소시키는데에도 또한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환자에게서 종양 전이를 감소시키는데에도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다른 단백질 키나제, 예를 들면 tie-2, lck, src, fgf, c-Met, ron, ckit 및 ret 의 저해제로서 작용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다른 단백질 키나제 연관성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인체 치료에 대한 용도 이외에도, 이들 화합물은 포유동물, 설치류 등을 비롯한 반려 동물, 외래 동물 및 농장 동물의 수의학적 치료에도 또한 유용하다. 더욱 바람직한 동물로는 말, 개 및 고양이가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유도체가 포함된다. 본원에서 화합물 및 염 등에 대해 복수형이 사용된 경우, 이는 또한 단일 화합물, 염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 활성 약학적 제제로서 투여할 수 있으나, 또한 1 종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기타 다른 제제와 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배합물로 투여하는 경우, 치료제는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상이한 시간에 투여하는 별개의 조성물로서 제형화되거나, 또는 단일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기타 다른 약학적 제제의 용도를 정의하는데 있어서, 문구 "병용-요법"("cotherapy" 또는 "combination-therapy")은 섭생에서 순차적인 방식으로 개별 제제를 투여하여 약물 배합의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포괄할 뿐만 아니라, 고정 비율의 이들 활성제를 갖는 단일 캡슐 또는 각 제제에 대한 다수의 개별 캡슐에서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시적인 방식으로 이들 제제를 병용-투여하는 것도 포괄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투여는 방사선 요법 또는 세포증식 저해제 또는 세포독성제제의 투여와 같이, 종양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공지된 추가적인 요법과 병행할 수 있다.
고정된 투여량으로 제형화하는 경우, 이러한 배합 제품은 허용된 투여량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한다. 화학식 1 의 화합물은 또한 배합 제형이 부적절한 경우, 공지의 항암제 또는 세포독성 제제와 순차적으로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투여 순서에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공지의 항암제 또는 세포독성 제제의 투여 이전에, 동시에 또는 이후에 투여할 수 있다.
현행, 원발성 종양의 표준 치료는 외과적 절제와 후속되는 방사선 또는 IV 투여된 화학요법으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인 화학요법 섭생은 DNA 알킬화제, DNA 삽입제, CDK 저해제, 또는 미세관 독으로 이루어진다. 사용되는 화학요법 투여량은 최대 허용 투여량 미만이고, 이에 따라 투여량 제한 독성에는 통상적으로 오심, 구토, 설사, 탈모, 호중구감소증 등이 포함된다.
상업적 용도, 임상적 평가 및 전-임상적 개발에 있어서 복합 약물 화학요법에 의한 종양의 치료를 위해 선택되는 다수의 항종양제가 이용가능하다. 이러한 항종양제는 몇몇의 주요한 범주 즉, 항생제-형 제제, 알킬화제, 대사길항 제제, 호르몬 제제, 면역학적 제제, 인터페론-형 제제 및 기타 제제의 범주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할 수 있는 항종양제의 제 1 군은 대사길항-형/티미딜레이트 합성효소 저해제 항종양제로 이루어진다. 적합한 대사길항 항종양제는 5-FU-피브리노겐, 아칸티폴산, 아미노티아디아졸, 브레퀴나르 나트륨, 카르모푸르, 시바-게이지(Ciba-Geigy) CGP-30694, 사이클로펜틸사이토신, 사이타라빈 포스페이트 스테아레이트, 사이타라빈 결합체, 릴리(Lilly) DATHF, 메렐 다우(Merrel Dow) DDFC, 데자구아닌, 디데옥시사이티딘, 디데옥시구아노신, 디독스, 요시토미(Yoshitomi) DMDC, 독시플루리딘, 웰컴(Wellcome) EHNA, 머크 앤 컴퍼니(Merck & Co.) EX-015, 파자라빈, 플록수리딘, 플루다라빈 포스페이트, 5-플루오로우라실, N-(2'-푸라니딜)-5-플루오로우라실, 다이이치 세이야쿠(Daiichi Seiyaku) FO-152,이소프로필 피롤리진, 릴리(Lilly) LY-188011, 릴리 LY-264618, 메토벤자프림, 메토트렉세이트, 웰컴 MZPES, 노르스페르미딘, NCI NSC-127716, NCI NSC-264880, NCI NSC-39661, NCI NSC-612567, 와르너-람베르트 PALA, 펜토스타틴, 피리트렉심, 플리카마이신, 아사히 케미칼(Asahi Chemical) PL-AC, 다케다(Takeda) TAC-788, 티오구아닌, 티아조푸린, 에르바몬트(Erbamont) TIF, 트리메트렉세이트, 티로신 키나제 저해제, 타이호(Taiho) UFT 및 우리사이틴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나, 이들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할 수 있는 항종양제의 제 2 군은 알킬화-형 항종양제로 이루어진다.
적합한 알킬화-형 항종양제는 시오노기(Shionogi) 254-S, 알도-포스파미드 유사체, 알트레타민, 아낙시론, 뵈링거 만하임(Boehringer Mannheim) BBR-2207, 베스트라부실, 부도티탄, 와쿠나가(Wakunaga) CA-102, 카르보플라틴, 카르무스틴, 키노인(Chinoin)-139, 키노인-153, 클로르암부실, 시스플라틴,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아메리칸 시아나미드(American cyanamid) CL-286558, 사노피(Sanofi) CY-233, 시플라테이트, 데구사(Degussa) D-19-384, 스미모토(Sumimoto) DACHP(Myr)2, 비페닐스피로무스틴, 디플라티눔 세포증식저해제, 에르바(Erba) 디스타마이신 유도체, 추가이(Chugai) DWA-2114R, ITI E09, 엘무스틴, 에르바몬트 FCE-24517, 에스트라무스틴 포스페이트 나트륨, 포테무스틴, 우니메드(Unimed) G-6-M, 키노인 GYKI-17230, 헵술-팜, 이포스파미드, 이프로플라틴, 로무스틴, 마포스파미드, 미톨락톨, 니폰 가야쿠(Nippon Kayaku) NK-121, NCI NSC-264395, NCI NSC-342215, 옥살리플라틴, 업존(Upjohn) PCNU, 프레드니무스틴, 프로터(Proter) PTT-119, 라니무스틴, 세무스틴, 스미스 클라인(Smith Kline) SK&F-101772, 야쿨트 혼샤(Yakult Honsha) SN-22, 스피로무스-틴, 다나베 세이야쿠 (Tanabe Seiyaku) TA-077, 타우로무스틴, 테모졸로마이드, 테록시론, 테트라플라틴 및 트리멜라몰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될수 있으나, 이들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할 수 있는 항종양제의 제 3 군은 항생제-형 항종양제로 이루어진다. 적합한 항생제-형 항종양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4617호에 개시된 공지의 항생제-형 항종양제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들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할 수 있는 항종양제의 제 4 군은 투불린 상호작용제제, 토포이소머라제 II 저해제, 토포이소머라제 I 저해제 및 호르몬 제제를 비롯하여, 그외 기타 항종양제 부류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인 상기 항종양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4617호에 개시된 공지의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들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다음과 같은 다른 항종양제와 <178> 병용-요법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 아세만난, 알클라루비신, 알데스루킨, 알렘투주마브, 알리트레티노인, 알트레타민, 아미포스틴, 아미노레불린산, 암루비신, 암사크린, 아나그레라이드, 아나스트로졸, ANCER, 안세스팀, ARGLABIN, 아르세닉 트리옥사이드, BAM 002(Novelos), 벡사로텐, 비칼루타미드, 브록수리딘, 카페시타빈, 셀모루킨, 세트로렐릭스, 클라드리빈, 클로트리마졸, 사이타라빈 옥포스페이트, DA 3030(Dong-A), 다클리주마브, 데니루킨 디프티톡스, 데슬로렐린, 덱스라족산, 딜라제프, 도세탁셀, 도코사놀, 독세르칼시페롤, 독시플루리딘, 독소루비신, 브로모크
립틴, 카르무스틴, 사이타라빈, 플루오로우라실, HIT 디클로페낙, 인터페론 알파, 다우노루비신, 독소루비신, 트레티노인, 에델포신, 에드레콜로마브, 에플로르니틴, 에미테푸르, 에피루비신, 에포에틴 베타, 에토포사이드 포스페이트, 엑세메스탄, 엑시술린드, 파드로졸, 필그라스팀, 피나스테라이드, 플루다라빈 포스페이트, 포르메스탄, 포테무스틴, 갈륨 니트레이트, 젬시타빈, 젬투주마브 조가마이신, 기메라실/오테라실/테가푸르 배합물, 글리코핀, 고세렐린, 헵타플라틴, 인체 육모성 고나도트로핀, 인체 태아 알파 페토프로틴, 이반드론산, 이다루비신, 이미퀴모드, 인터페론 알파, 인터페론 알파, 천연 인터페론 알파-2, 인터페론 알파-2a, 인터페론 알파-2b, 인터페론 알파-N1, 인터페론 알파-n3, 인터페론 알파콘-1, 인터페론 알파, 천연 인터페론 베타, 인터페론 베타-1a, 인터페론 베타-1b, 인터페론 감마, 천연 인터페론 감마-1a, 인터페론 감마-1b, 인터루킨-1 베타, 이오벤구안, 이리노테칸, 이르소글라딘, 란레오타이드, LC 9018(Yakult), 레플루노마이드, 레노가라스팀, 렌티난 술페이트, 레트로졸, 백혈구 알파 인터페론, 류프로렐린, 라바미솔 + 플루오로우라실, 리아로졸, 로바플라틴, 로니다민, 로바스타틴, 마소프로콜, 멜라르소프롤, 메토클로프라미드, 미페프리스톤, 밀테포신, 미리모스팀, 미스매치된 이중 가닥 RNA, 미토구아존, 미토락톨, 미톡산트론, 몰그라모스팀, 나파렐린, 날록손 + 펜타조신, 나르토그라스팀, 네다플라틴, 닐루타미드, 노스카핀, 신규 적혈구생성 자극 단백질, NSC 631570 옥트레오타이드, 오프렐베킨, 오사테론, 옥살리플라틴, 파클리탁셀, 파미드론산, 페가스파르가제, 페그인터페론 알파-2b, 펜토산 폴리술페이트 나트륨, 펜토스타틴, 피시바닐, 피라루비신, 토끼 항흉선세포 폴리클로날 항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인터페론 알파-2a, 포르피머 나트륨, 랄록시펜, 랄티트렉세드, 라스부리카제, 레늄 Re 186 에티드로네이트, RII 레틴아미드, 리툭시마브, 로무르타이드, 사마륨(153 Sm) 렉시드로남, 사르그라모스팀, 시조피람, 소부족산, 소네르민, 스트론튬-89 클로라이드, 수라민, 타소네르민, 타자로텐, 테가푸르, 테모포르핀, 테모졸로마이드, 테니포사이드, 테트라클로로데카옥사이드, 탈리도마이드, 팀알파신, 티로트로핀 알파, 토포테칸, 토레미펜, 토시투모마브-요오딘 131, 트라스투주마브, 트레오술판, 트레티노인, 트리로스탄, 트리메트렉세이트, 트립토렐린, 종양 괴사 인자 알파, 천연 우베니멕스, 방광 암 백신, 마루야마 백신, 흑색종 용해물 백신, 발루비신, 베르테포르핀, 비노렐빈, VIRULIZIN, 지노스타틴 스티말라머 또는 졸레드론산; 아바렐릭스; AE 941(Aeterna), 암바무스틴, 안티센스 올리고누클레오티드, bcl-2(Genta), APC 8015(Dendreon), 세툭시마브, 데시타빈, 덱사미노글루 테티마이드, 디아지쿠온, EL 532(Elan), EM 800(Endorecherche), 에닐우라실, 에타니다졸, 펜레티나이드, 필그라스팀 SD01(Amgen), 풀베스트란트, 갈로시타빈, 가스트린 17 면역원, HLA-B7 유전자 요법(Vical),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 히스타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이브리투모마브 티욱세탄, 이롤마스타트, IM 862(Cytran), 인터루킨-2, 이프록시펜, LDI 200(Milkhaus), 레리디스팀, 린투주마브, CA 125 MAb(Biomira), 암MAb(Japan Pharmaceutical Development), HER-2 및 Fc MAb(Medarex), 이디오티픽 105AD7 MAb(CRC Technology), 이디오티픽 CEA MAb(Trilex), LYM-1-요오딘 131 MAb(Techniclone), 다형성 상피 무신-이트륨 90 MAb(Antisoma), 마리마스타트, 메노가릴, 미투모마브, 메텍사핀 가돌리늄, MX 6(Galderma), 넬라라빈, 놀라트렉세드, P 30 단백질, 페그비소만트, 페메트렉세드, 포르피로마이신, 프리노마스타트, RL 0903(Shire), 루비테칸, 사트라플라틴, 나트륨 페닐아세테이트, 스파르포스산, SRL 172(SR Pharma), SU 5416(SUGEN), TA 077(Tanabe), 테트라티오몰리브데이트, 탈리블라스틴, 트롬보포이에틴, 주석 에틸 에티오푸르푸린, 티라파자민, 암 백신 (Biomira), 흑색종 백신(New York University), 흑색종 백신(Sloan Kettering Institute), 흑색종 종양용해물 백신(New York Medical College), 바이러스성 흑색종 세포 용해물 백신(Royal Newcastle Hospital) 또는 발스포다르.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4617호에 개시된 공지의 VEGFR 저해제와 함께 병용-요법에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 특허 및 특허 출원에 기재된 기타 다른 화합물을 병용 요법에 사용할 수 있다: US 6,258,812, US 2003/0105091, WO 01/37820, US 6,235,764, WO 01/32651, US 6,630,500, US 6,515,004, US 6,713,485, US 5,521,184, US 5,770,599, US 5,747,498, WO 02/68406, WO 02/66470, WO 02/55501, WO 04/05279, WO 04/07481, WO 04/07458, WO 04/09784, WO 02/59110, WO 99/45009, WO 00/59509, WO 99/61422, US 5,990,141, WO 00/12089 및 WO 00/02871.
일부 실시형태에서, 배합물은 1 종 이상의 항-혈관형성 제제와 병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제에는 시험관 내에서 합성 제조된 화학적 조성물, 항체, 항원 결합 영역, 방사선 핵종 및 이의 배합물과의 결합체가 포함되나, 이들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제제는 효현제, 길항물질, 다른자리입체성 조절인자, 독소일 수 있거나, 또는 더욱 일반적으로 이의 표적을 억제 또는 자극(예, 수용체 또는 효소 활성화 또는 억제)하여, 이에 의해 세포사멸을 촉진하거나 세포 성장을 저지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항종양 제제의 예로는 유방암 및 다른 형태의 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HERCEPTINTM (trastuzumab), 및 비-호지킨 림프종 및 다른 형태의 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RITUXANTM(rituximab), ZEVALINTM(ibritumomab tiuxetan) 및 LYMPHOCIDE TM(epratuzumab), 만성 골수성 백혈병 및 위장관 기질성 종양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GLEEVACTM, 및 비-호지킨 림프종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BEXXARTM(iodine 131 tositumomab)가 포함된다.
항-혈관형성 제제의 예로는 ERBITUXTM(IMC-C225), KDR(키나제 도메인 수용체) 저해제(예, 키나제 도메인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항원 결합 영역), 항-VEGF 제제(예, VEGF, 또는 가용성 VEGF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 결합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항원 결합 영역), 예를 들면 AVASTINTM또는 VEGF-TRAPTM, 및 항-VEGF 수용체 제제(예, 항체 또는 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결합 영역), EGFR 저해제(예, 항체 또는 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결합 영역), 예를 들면 ABX-EGF(panitumumab), IRESSATM(gefitinib), TARCEVA TM(erlotinib), 항-Angl 및 항-Ang2 제제(예, 항체, 또는 이에 또는 그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결합 영역, 예, Tie2/Tek) 및 항-Tie2 키나제 저해제(예를 들면, 항체 또는 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결합 영역)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간세포 성장 인자(HGF, 분산 인자로도 공지됨)의 길항물질과 같이, 성장 인자의 활성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그 활성을 억제하는 1 종 이상의 제제 (예: 항체, 항원 결합 영역, 또는 가용성 수용체) 및 이의 수용체 "c-Met" 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다른 항-혈관형성 제제로는 캄파스(Campath), IL-8, B-FGF, Tek 길항물질[Ceretti et al., 미국 공개공보 제 2003/0162712 호 ; 미국 특허 제 6,413,932 호), 항-TWEAK 제제(예,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항원 결합 영역, 또는 가용성 TWEAK 수용체 길항물질 ; Wiley, 미국 특허 제 6,727,225 호 참조), 인테그린의 이의 리간드로의 결합을 길항하는 ADAM 디스트인테그린 도메인[Fanslow et al., 미국 공개 공보 제 2002/0042368 호],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eph 수용체 및/또는 항-에프린 항체 또는 항원결합 영역(미국 특허 제 5,981,245 호 ; 제 5,728,813 호 ; 제 5,969,110 호 ; 제 6,596,852 호 ; 제6,232,447 호 ; 제 6,057,124 호 및 같은 부류의 특허) 및 항-PDGF-BB 길항물질(예,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항원 결합 영역) 뿐만 아니라, PDGF-BB 리간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항원 결합 영역, 및 PDGFR 키나제 저해제(예, 항체 또는 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결합 영역)가 포함된다.
항-혈관형성/항-종양 제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4617호에 개시된 공지의 제제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기타 다른 항-종양 제제, 예를 들면 VEGF 길항물질, p38 저해제, CDK 저해제, EGF 저해제 및 CDK 저해제를 포함한 기타 다른 키나제 저해제, TNF 저해제, 메탈로매트릭스 단백질분해효소 저해제(MMP), 셀로코시브를 포함한 COX-2 저해제, NSAID's 또는 αvβ3 저해제와 함께 병용-요법에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용도에 적합한 형태, 예를 들어 정제, 구내정, 로젠지제,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분산성 분말 또는 과립, 에멀전, 경질 또는 연질 캡슐 또는 시럽 또는 엘릭시르일 수 있다. 경구 용도를 위해 의도된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성물은 제약학적으로 우아하고 입에 맞는 제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감미제, 향미제, 착색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정제의 제조에 적합한 비-독성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혼합하여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이러한 부형제는, 예를 들어 불활성 희석제, 예컨대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락토스, 인산칼슘 또는 인산나트륨, 과립제 및 분해제, 예를 들어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나트륨 크로스카르멜로스, 옥수수 전분 또는 알긴산, 결합제, 예를 들어 전분,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아카시아 및 윤활제,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또는 활석일 수 있다. 정제는 비코팅되거나, 약물의 불쾌한 맛을 감추거나, 위장관에서 분해 및 흡수를 지연시켜 장기간에 걸쳐 지속된 작용을 제공하도록 공지된 기술로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성 맛 가리움 물질, 예컨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또는 시간 지연 물질, 예컨대 에틸 셀룰로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경구 사용을 위한 제제는 활성 성분이 불활성 고체 희석제, 예를 들어 탄산칼슘, 인산칼슘 또는 카올린과 혼합된 경질 젤라틴 캡슐, 또는 활성 성분이 수용성 담체,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오일 매질, 예를 들어 땅콩유, 액체 파라핀 또는 올리브유와 혼합된 연질 젤라틴 캡슐로서 존재할 수 있다.
수성 현탁액은 활성 물질을 수성 현탁액의 제조에 적합한 부형제와 혼합하여 함유한다. 이러한 부형제는 현탁제, 예를 들어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알기네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검 트래거캔쓰 및 검 아카시아이며, 분산제 또는 습윤제는 천연-발생적 포스파티드, 예를 들어 레시틴, 또는 알킬렌 옥시드와 지방산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또는 에틸렌 옥시드와 장쇄 지방족 알코올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어 헵타데카에틸렌-옥시세탄올, 또는 에틸렌 옥시드와 지방산 및 헥시톨로부터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모노올레이트, 또는 에틸렌 옥시드와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일 수 있다. 또한, 수성 현탁액은 1종 이상의 방부제, 예를 들어 에틸, 또는 n-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1종 이상의 착색제, 1종 이상의 향미제, 및 1종 이상의 감미제, 예컨대 수크로스, 사카린 또는 아스파르탐을 함유할 수 있다.
유성 현탁액은 활성 성분을 식물유, 예를 들어 아라키스유, 올리브유, 참깨유 또는 코코넛유 또는 광물유, 예컨대 액체 파라핀에 현탁시킴으로써 제제화될 수 있다. 유성 현탁액은 증점제, 예를 들어 밀랍, 경질 파라핀 또는 세틸 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다. 감미제, 예컨대 상기 기재된 것 및 향미제를 첨가하여 맛 좋은 경구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예컨대 부틸화된 히드록시아니솔 또는 알파-토코페놀의 첨가에 의해 보존될 수 있다.
물의 첨가에 의한 수성 현탁액의 제조에 적합한 분산성 분말 및 과립은 활성 성분을 분산제 또는 습윤제, 현탁제 및 1종 이상의 방부제와 혼합하여 제공한다.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는 이미 상기 기재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추가의 부형제, 예를 들어 감미제, 향미제 및 착색제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의 첨가에 의해 보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수 중 유 에멀전 형태일 수 있다. 유성상은 식물유, 예를 들어 올리브유 또는 아라키스유, 또는 광물유, 예를 들어 액체 파라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유화제는 천연-발생적 포스파티드, 예를 들어 대두 레시틴 및 에스테르 또는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 예를 들어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및 상기 부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시드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일 수 있다.
또한, 에멀전은 감미제, 향미제, 방부제 및 산화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시럽 및 엘릭시르제는 감미제, 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또는 수크로스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제제는 또한 완화제, 방부제, 향미제 및 착색제 및 산화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은 무균 주사가능한 수용액 형태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비히클 및 용매 중에는 물, 링거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무균 주사가능한 제제는 또한 활성 성분이 유성상에 용해되어 있는 무균 주사가능한 수 중 유 마이크로에멀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은 먼저 대두유 및 레시틴의 혼합물에 용해될 수 있다. 그 후, 오일 용액을 물 및 글리세롤 혼합물에 도입하고 가공하여 마이크로에멀전을 형성한다. 주사가능한 용액 또는 마이크로에멀전은 국소 볼루스 주사에 의해 환자의 혈류로 도입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일정한 순환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이러한 방식으로 용액 또는 마이크로에멀전을 투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정맥내 전달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예로는 델텍(Deltec) CADD-PLUSTM 모델 5400 정맥내 펌프가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근육내 및 피하 투여를 위한 무균 주사가능한 수성 또는 유지성 현탁액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현탁액은 상기한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를 사용하여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무균 주사가능한 제제는, 예를 들어 1,3-부탄디올 중 용액과 같이, 비-독성 비경구적으로-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용매 중 무균 주사가능한 용액 또는 현탁액일 수 있다. 또한, 무균 고정유가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리드를 비롯한, 임의의 저자극성 고정유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이 주사가능 물질의 제제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또한 약물의 직장 투여를 위한 좌약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약물을 정상 온도에서는 고형이지만, 직장 온도에서는 액체여서 직장에서 용융되어 약물을 방출시키는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로는 코코아 버터, 글리세린화된 젤라틴, 수소화된 식물유, 다양한 분자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국소 용도를 위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크림, 연고, 젤리, 용액 또는 현탁액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용도의 목적을 위하여, 국소 용도는 구강 세척액 및 가글액을 포함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위한 화합물은 적합한 비내 비히클 및 전달 장치의 국소 사용을 통해 비내 형태로, 또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경피 피부 패치 형태를 사용하는 경피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경피 전달계 형태로 투여하기 위하여, 투여량 투여는 물론 투여량 요법을 통해 간헐적보다는 연속적일 것이다. 본 발명의 환합물은 또한 염기, 예컨대 코코아 버터, 글리세린화된 젤라틴, 수소화된 식물유, 다양한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혼합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좌약으로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인간 대상체에 투여될 때, 일일 투여량은 보통 일반적으로 개별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및 반응뿐만 아니라, 환자의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다양한 투여량으로 의사의 처방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고정된 투여량으로 제제화될 경우, 이러한 조합 생성물은 상기 기재된 투여량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승인된 투여량 범위내에서 다른 제약학적 활성 제제 또는 치료를 사용한다.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조합 제제가 부적합할 경우, 공지된 항암제 또는 세포독성제와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여의 순서에 제한되지 않으며, 화학식I의 화합물은 공지된 항암제 또는 세포독성제(들)의 투여 전 또는 후에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하기와 같이 정의한다:
"혈관형성" 은 조직 관류를 유리하게 하는 기존 혈관상의 변화 또는 새로운 혈관구조의 형성으로 정의된다. 여기에는 기존 혈관으로부터 내피 세포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한 새로운 혈관의 형성, 또는 크기, 발달도, 방향 또는 유동 특성을 변화시켜 조직의 혈액 관류를 개선하기 위한 기존 혈관의 개조가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HGF" 는 간세포 성장 인자/분산 인자를 지칭한다. 여기에는 정제된 간세포 성장 인자/분산 인자, 간세포 성장 인자/분산 인자 단편, 화학적으로 합성된 간세포 성장 인자/분산 인자 단편, 간세포 성장 인자/분산 인자의 유도체 또는 돌연변이 변형체, 및 간세포 성장 인자/분산 인자와 다른 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HGF" 에는 또한 인체 이외에 다른 종으로부터 분리해낸 간세포 성장 인자/분산 인자도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c-Met" 는 HGF 에 대한 수용체를 지칭한다. 여기에는 정제된 수용체, 수용체 단편, 화학적으로 합성된 수용체 단편, 수용체의 유도체 또는 돌연변이 변형체, 및 수용체와 다른 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이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c-Met" 에는 또한 인체 이외에 다른 종으로부터 분리해낸 HGF 수용체도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HGF" 는 간세포 성장 인자/분산 인자를 지칭한다. 여기에는 정제된 간세포 성장 인자/분산 인자, 간세포 성장 인자/분산 인자 단편, 화학적으로 합성된 간세포 성장 인자/분산 인자 단편, 간세포 성장 인자/분산 인자의 유도체 또는 돌연변이 변형체, 및 간세포 성장 인자/분산 인자와 다른 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HGF" 에는 또한 인체 이외에 다른 종으로부터 분리해낸 간세포 성장 인자/분산 인자도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c-Met" 는 HGF 에 대한 수용체를 지칭한다. 여기에는 정제된 수용체, 수용체 단편, 화학적으로 합성된 수용체 단편, 수용체의 유도체 또는 돌연변이 변형체, 및 수용체와 다른 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이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c-Met" 에는 또한 인체 이외에 다른 종으로부터 분리해낸 HGF 수용체도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간세포 성장 인자" 및 "HGF" 는 통상적으로 6 개 도메인(finger, Kringle 1, Kringle 2, Kringle 3, Kringle 4 및 세린 프로테아제 도메인)을 갖는 구조의 성장 인자를 지칭한다. HGF 의 단편은 소수의 도메인을 갖는 HGF 로 구성되고, HGF 의 변형체는 반복된 HGF 도메인의 일부를 가질 수 있다 ; 이들 양자 모두, HGF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는 개별적 능력을 보유하는 경우에 포함된다. 용어 "간세포 성장 인자" 및 "HGF" 는 인체("huHGF") 및 인체외 포유동물 종, 및 특히 랫 HGF 로부터의 간세포 성장 인자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에는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정제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되거나 재조합방식으로 생성된 성숙한 형태, 전-형태, 전-대용 형태 및 대용 형태가 포함된다. 인체 HGF 는 문헌[Miyazawa et al. (1989), 상기 참조 또는 Nakamura et al. (1989), 상기 참조]에 설명된 cDNA 서열에 의해 코드된다. 미야자와 및 그의 동료들과 나카무라 및 그의 동료들에 의해 보고된 서열들은 14 개의 아미노산이 상이하다. 상이한 이유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다형성 또는 클로닝 인공물에 그 가능성이 있다.
두 서열 모두 구체적으로 상기 용어 내에 포함된다. 각 개체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차이가 나타나는 것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개체 중에 천연 대립 유전자 변형이 존재하고,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간세포 성장 인자" 및 "HGF" 는 구체적으로 델타 5 huHGF 를 포함한다[참조: Seki et al, 상기 문헌].
본원에 사용된 용어 "HGF 수용체" 및 "c-Met" 는 통상적으로 세포외 도메인, 경막 도메인 및 세포내 도메인을 포함한, HGF 에 대한 세포 수용체 뿐만 아니라, HGF 에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이의 변형체 및 단편을 지칭한다. 용어 "HGF 수용체" 및 "c-Met" 는 p190. sup. MET 로 다양하게 공지된 유전자에 의해 코드된 전장의, 본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분자를 포함한다. 본 정의는 구체적으로 가용성 형태의 HGF 수용체 및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수득하거나, 합성에 의해 생체외에서 제조하거나, DNA 재조합 기술 방법을 비롯한 유전학적 조작에 의해 수득한 HGF 수용체를 포괄한다. HGF 수용체 변형체 또는 단편은 문헌 [Rodrigues et al., Mol. Cell. Biol., 11:2962-2970 (1991); Park et al., Proc. Natl. Acad. Sci., 84:6379-6383 (1987); 또는 Ponzetto et al., Oncogene, 6:553-559 (1991)] 에 설명된 인체 c-Met 아미노산 서열의 임의의 도메인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65 % 서열 상동성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75 % 서열 상동성을 공유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효현제(agonist)" 및 "작용성(agonistic)" 은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HGF 생물학적 활성 또는 HGF 수용체 활성화를 실질적으로 유도, 촉진 또는 증진시킬 수 있는 분자를 지칭하거나 기술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암" 및 "암성" 은 포유동물에서 통상적으로 조절되지 않은 세포 성장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학적 상태를 지칭하거나 기술한다. 암의 예로는 암종, 림프종, 육종, 모세포종 및 백혈병이 포함되나, 이들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암의 더욱 구체적인 일례로는 편평 세포 암종, 폐암, 췌장암, 자궁경부암, 방광암, 간암, 유방암, 결장 암종 및 두경부암이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암" 이 어떠한 특정 형태의 질환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방법은 포유동물에서 HGF 수치 또는 c-Met 발현의 증가를 동반하는 것으로 밝혀진 암에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하는" 및 "치료" 는 치료적 처치, 예방적 처치 및 예비적 처치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 은 인체, 소, 말, 개 및 고양이를 비롯하여 포유동물로서 분류되는 임의의 포유동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유동물은 인체이다.
고혈압, 동맥경화증, 심근 경색 및 류머티스성 관절염에서 c-Met 및 HGF 의 수치 상승이 관찰되는 경우, 핵산 리간드는 이들 질환의 유용한 치료제로서 역할을 한다.
용어 "치료" 는 치료학적 처치 뿐만 아니라 예방적 처치 (개체에게서 장애의 개시를 방해하거나 장애의 전-임상적으로 명백한 단계의 개시를 지연)를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 는 본 발명 화합물의 염, 에스테르, 또는 환자에게 투여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타 다른 화합물, 또는 혈관형성을 억제할수 있는 능력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산물 또는 이의 잔기를 의미한다.
어구 "치료적 유효량" 이란, 각 제제 자체의 처치 동안, 질환 중증도 및 발병 빈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되, 통상 다른 치료법과 관련된 유해한 부작용은 피하는 각 제제의 양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효과적인 종양 치료제란 환자의 생존기간을 연장시키거나, 종양과 관련하여 급속히 증식하는 세포 성장을 억제하거나 또는 종양의 퇴행에 효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군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포함된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은 알칼리 금속 염을 형성하고 유리 산 또는 유리 염기의 부가 염을 형성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이들 염의 특성은 중요하지 않으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해야 한다. 화학식I의 화합물에 대해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 염은 무기산 또는 유기산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무기산의 예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질산, 탄산, 황산 및 인산이 있다. 적합한 유기산은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 아릴지방족, 헤테로사이클릭, 카르복실릭 및 술포닉 부류의 유기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포름산, 아세트산, 아디프산, 부티르산, 프로피온산, 숙신산, 글리콜산, 글루콘산, 락트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글루쿠론산, 말레산, 푸마르산, 피루브산,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벤조산, 안트라닐산, 메실산, 4-히드록시벤조산, 페닐아세트산, 만델산, 엠본산(파모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에탄디술폰산, 벤젠술폰산, 판토텐산, 2-히드록시에탄술폰산, 톨루엔술폰산, 술파닐산, 사이클로헥실아미노술폰산, 캄포르산, 캄포르술폰산, 디글루콘산, 사이클로펜탄프로피온산, 도데실술폰산, 글루코헵타노산, 글리세로포스폰산, 헵타노산, 헥사노산, 2-히드록시-에탄술폰산, 니코틴산, 2-나프탈렌술폰산, 옥살산, 팔모산, 펙틴산, 퍼술푸르산, 2-페닐프로피온산, 피크르산, 피발산, 프로피온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티오시안산, 메실산, 운데카노산, 스테아르산, 알겐산, β-히드록시부티르산, 살리실산, 갈락타르산 및 갈락투론산이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대해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 부가 염으로는 금속염, 예를 들면 알루미늄, 칼슘, 리튬,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및 아연으로부터 제조된 염, 또는 1 차, 2 차 또는 3 차 아민, 사이클릭 아민을 비롯한 치환 아민을 포함하는 유기 염기, 예를 들면, 카페인, 아르기닌, 디에틸아민, N-에틸 피페리딘, 아이스티딘, 글루카민, 이소프로필아민, 리신, 모르폴린, N-에틸 모르폴린, 피페라진, 피페리딘,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으로부터 제조된 염이 포함된다. 이들 염은 모두 적합한 산 또는 염기를 화학식 1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대응 화합물로부터 제조할수 있다. 염기성 그룹 및 산성 그룹이 동일한 분자 내에 존재하는 경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또한 내부 염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합성 과정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특정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하기 반응식들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합성 방법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합성된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호변이성질체 및 용매화물 (예를 들어 수화물)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용매화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리 또는 수화물 형태일 수 있고, 하기 반응식에 의해 예시된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하기 반응식들에 있어서 치환기는 추가 기재가 없다면 화학식 1에 대해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원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음의 약어가 사용된다:
HBTU :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ATU :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PyBop: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 포스페이트
Pd2(dba)3 : 비스(디벤질리덴아세톤) 팔라듐
BINAP : 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TEAC: 비스(테트라-에틸암모늄)카르보네이트
Et2O: 디에틸 에테르
DBU: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운데-7-센 DIBAL - 디이소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DIAD :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DIEA :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MF : 디메틸포름아미드
DMAP :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SO : 디메틸술폭시드
EDC, EDCl: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dppa :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
EtOAc : 에틸 아세테이트
FBS : 우태아 혈청
HOBt :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히드레이트
LiHMDS :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LDA :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MCPBA : 메타-클로로퍼벤조산
CH2Cl2, DCM - 메틸렌 클로라이드
NMP : N-메틸피롤리디논
Pd/C : 탄소상 팔라듐
Pd(OAc)2 : 팔라듐(II) 아세테이트
Pd(OH)2 : 팔라듐 히드록시드
Pd(PPh3)4 : 팔라듐 테트라키스 트리페닐포스핀
Pd(dppf)Cl2 :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 클로라이드
PBS :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
RT : 실온
SEM : 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
TBTU: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THF : 테트라히드로푸란
Et3N, TEA : 트리에틸아민
TFA :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P(t-Bu)3 : 트리(3 차-부틸)포스핀
일반적으로, 목적하는 화학식 1의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은 반응식 1 내지 3에 도시된 합성 경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8
상기 반응식 1에 있어서, Q, X, Y, Z, R1, R2, R3는 화학식 1에 대하여 정의된 것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학식 1에 있어서, Y = Z = CH 이고 Q가
Figure pat00009
인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2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at00010
상기 반응식 2에 있어서, 화합물 10 (피롤로[1,2-b]피리다진-4(1H)-온)을 실릴화시켜 화합물 11을 얻는다. 디메틸술폭시드 중 화합물 11의 용액에 물, 3-X-4-플루오로니트로벤젠 유도체와 1,8-디아자비시클로[5,4,0]-언데크-7-엔 (DBU)을 순서대로 첨가하여 반응시켜 화합물 12을 얻는다. 화합물 12를 브롬화하여 화합물 13을 수득하고, 수득된 화합물 13 중 니트로기를 아연분말 및 염화암모늄을 사용하여 아미노기로 환원하여 화합물 14를 수득한다. 수득된 화합물 14과 피라졸-4-카르복시산 유도체 (화합물 15)를 DMF 에 용해시킨 후 HATU 및 트리에틸아민을 순서대로 첨가하여 반응시켜 화합물 16을 수득한다. 수득된 화합물 16과 치환기 R4-함유 보론산 [R4-B(OH)2]을 디옥산에 녹인 용액에 탄산칼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이어서 Pd(PPh3)4 을 첨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목적 화합물 17을 수득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학식 1에 있어서, Y = Z = CH 이고 Q가 인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3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pat00011
상기 반응식 3에 있어서, 질소 대기 하에서 4-클로로-1H-피롤로[2,3-b]피리딘 (화합물 18)을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킨 후 40% NaH 을 첨가하여 교반한 뒤 SEM-Cl를 첨가하고 80℃로 가열하여 반응시켜 중간체 화합물 19를 수득한다. 질소 대기 하에서 화합물 19를 요오드화시켜 화합물 20을 수득한다. 디옥산에 화합물 20과 치환기 R4를 포함하는 보론산 [R4-B(OH)2]을 용해시키고 Pd(PPh3)4 를 첨가하고, 상기 반응액에 탄산칼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80℃에서 교반하여 반응시켜 화합물 21을 수득한다. 질소 대기 하에서 화합물 21과 (3-X-4-히드록시-페닐)-카르바믹산 t-부틸에스테르 (화합물 22)를 무수 톨루엔에 용해 시키고 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XPHOS) 와 Pd2dba3, 탄산칼륨을 첨가하여 반응시켜 화합물 23을 수득한다. 메탄올 중 화합물 23의 용액에 염산 중 메탄올 비율이 1:1인 용액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하여 반응시켜 화합물 24을 수득한다. 화합물 24와 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 (화합물 25)과 HATU를 디메틸포름아미드로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한 뒤 50℃에서 가열하여 반응시킴으로써 목적 화합물 26을 수득한다.
상기 반응식들에 규정된 출발 화합물에서 또한 작용기는 필요한 경우, 보호된 형태로 및/또는 염-형성 그룹이 존재하고 염 형태에서도 반응이 가능한 경우에는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목적에 따라서는, 하나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다른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N-산화물로 전환할 수 있으며; 화학식 1 의 화합물은 염으로도 전환할 수 있고;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염은 유리 화합물 또는 다른 염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및/또는 화학식 1 의 이성질체 화합물의 혼합물은 개별적인 이성질체로 분리할 수 있다.
N-산화물은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예, CH2Cl2), 물 및 알콜(예, MeOH 또는 EtOH) 의 혼합물 중에서 약 -10 내지 35℃, 예를 들면, 약 0℃ 내지 실온의 온도에서 과산화수소, 옥손 또는 과산 (예, mCPBA)과 반응시키는 공지의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작용기, 예를 들면 카르복시, 히드록시, 아미노 또는 머캅토가 존재하거나 화학식 1 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1 의 화합물 제조에서 보호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는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펩티드 화합물, 및 또한 세팔로스포린 및 페니실린 뿐만 아니라, 핵산 유도체 및 당의 합성에 보통 사용되는 것과 같은 그룹이다.
보호기는 전구체에 이미 존재할 수도 있으며, 원치 않은 2 차 반응, 예를 들면, 아실화반응, 에테르화반응, 에스테르화반응, 산화반응, 가용매분해 및 유사 반응에 대한 관련 작용기를 보호해야 한다. 보호기는 손쉽게, 즉 목적하지 않는 2 차 반응 없이, 통상적으로 가용매분해, 환원반응, 광분해에 의해 또는 효소 활성에 의해, 예를 들면, 생리 조건과 유사한 조건 하에서 제거되고, 최종 생성물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 그 특성이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상기 및 하기 반응에 적합한 보호기를 인지하고 있거나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기에 의한 작용기의 보호, 보호기 자체 및 이의 제거 반응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표준 참고 자료에 기술되어 있다[J.F.W. McOmie,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Plenum Press, London and New York (1973), in T.W. Greene,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Wiley, New York (1981), in "The Peptides", Volume 3, E. Gross and J. Meienhofer editors, Academic Press, London and New York (1981), in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Houben Weyl, 4th edition, Volume 15/1,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1974), in H.-D. Jakubke and H. Jescheit, "Aminosauren, Peptide, Proteine" (Amino Acids, Peptides, Proteins), Verlag Chemie, Weinheim, Deerfield Beach, and Basel (1982), and in Jochen Lehmann, "Chemie der Kohlenhydrates: Monosaccharide und Derivate" (Chemistry of Carbohydrates: Monosaccharides and Derivatives),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1974)].
추가의 공정 단계에서, 목적대로 수행된, 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출발 화합물의 작용기는 보호되지 않은 형태로 존재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보호기" 하에 상기에서 언급된 하나 이상의 보호기로 보호될 수 있다. 이후, 보호기는 기재된 방법 중 하나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 제거한다.
염-형성 그룹을 갖는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염은 자체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산 부가 염은 산 또는 적합한 음이온 교환 시약으로 처리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2 개의 산 분자를 갖는 염(예를 들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디할로게나이드)은 또한 화합물당 하나의 산 분자를 갖는 염(예를 들면, 모노할로게나이드)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는 가열에 의해 용융물로, 또는 예를 들면 고 진공 및 승온, 예로 130 내지 170 ℃ 의 온도 하에서 고체로서 가열에 의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분자당 하나의 산 분자가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염은 보통, 예를 들면 적합한 염기성 제제, 예시하면 알칼리 금속 탄산염, 알칼리 금속 탄산 수소염 또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통상적으로 탄산 칼륨 또는 수산화 나트륨으로 처리함으로써 유리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모든 공정 단계는 공지된 반응 조건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구체적으로 언급된 조건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사용 시약에 대해 불활성이거나 이를 용해시킬 수 있는 것과 같은 용매 또는 희석제의 부재 또는 보통 용매 또는 희석제의 존재 하에서, 예를 들면 반응 형태 및/또는 반응물에 따라서는 촉매, 축합제 또는 중성화제, 예를 들면 이온 교환제, 통상적으로 양이온 교환제(예, H+ 형태로)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예를 들면 약 -100℃ 내지 약 190℃, 바람직하게는 약 -80 ℃ 내지 약 150℃ 의 범주 이내의 감온, 상온 또는 승온에서, 예시하면 약 -80℃ 내지 약 60℃, 실온, 약 -20℃ 내지 약 40℃ 또는 사용 용매의 비점에서, 대기압 하에 또는 폐쇄된 용기 내에서, 적합한 경우 가압 하에 및/또는 불활성 대기 중에서, 예를 들면, 아르곤 또는 질소 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염은 모든 출발 화합물 및 중간물질에서 이들이 염-형성 그룹을 함유하는 경우 존재할 수 있다. 염은 또한 이러한 화합물의 반응 중에도 존재할 수 있으나, 단 이것에 의해 반응이 방해되지 않아야 한다.
특정 경우, 통상적으로 수소화 공정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개별적인 이성질체의 용이한 회수를 가능하게 하는 입체 선택적 반응을 성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당해 반응에 적합한 것은 다음의 용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에스테르, 통상적으로 저급 알킬-저급 알카노에이트(예, EtOAc), 에테르, 통상적으로 지방족 에테르(예, Et2O) 또는 고리형 에테르(예, THF), 액상 방향족 탄화수소, 통상적으로 벤젠 또는 톨루엔, 알콜, 통상적으로 MeOH, EtOH 또는 1-프로판올, IPOH, 니트릴, 통상적으로 CH3CN, 할로겐화 탄화수소, 통상적으로 CH2Cl2, 산 아미드, 통상적으로 DMF, 염기, 통상적으로 헤테로사이클릭 질소 염기(예, 피리딘), 카르복시산, 통상적으로 저급 알칸카르복시산(예, AcOH), 카르복시산 무수물, 통상적으로 저급 알칸산 무수물(예, 아세트산 무수물), 고리형, 직쇄형 또는 측쇄형 탄화수소, 통상적으로 사이클로헥산, 헥산 또는 이소펜탄,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예, 수용액). 이러한 용매 혼합물은 또한 공정, 예를 들면 크로마토그래피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의 물질이 임의의 단계에서 일시적 물질로서 수득가능한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생략된 단계를 수행하거나, 임의의 단계에서 공정을 중지하거나, 또는 반응 조건 하에서 출발 물질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출발 물질을 반응성 유도체 또는 염의 형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수득가능한 화합물을 생성하여 이 화합물을 동일계 내에서 수행하는 방법의 형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의 물질은 바람직한 것으로 전술한 바 있는 화합물을 유도해내는 출발 물질로부터 출발한다.
화학식 1 의 화합물은 이의 염을 포함하여, 또한 수화물의 형태로도 수득가능하며, 이들의 결정은 예를 들면, 결정화에 사용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용매화물로서 존재).
신규 출발 물질 및/또는 중간체뿐만 아니라 이의 제조 방법이 또한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주제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고, 바람직한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도록 반응 조건을 선택한다.
본 발명의 출발 물질은 공지된 것이거나, 시판되는 것이거나,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과 유사하게 또는 이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출발 물질의 제조에 있어서,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기존의 작용기는 필요한 경우, 보호하여야 한다.
바람직한 보호기, 이의 도입 및 제거는 상기 및 후술되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다.
모든 잔류하는 출발 물질은 공지된 것이거나, 공지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거나, 또는 구매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들은 실시예에 기술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보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학 이성질체의 형태뿐만 아니라, 라세미체 또는 이의 비-라세미체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광학 이성질체는 라세미체 혼합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분해함으로써, 예를 들면 광학 활성 산 또는 염기로 처리하여 부분입체이성질체 염을 형성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산의 예로는 타르타르산, 디아세틸타르타르산, 디벤조일타르타르산, 디톨루오일타르타르산 및 캄포르술폰산이 있으며, 이후 결정화에 이어서 광학 활성 염기를 이의 염으로부터 유리시킴으로써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을 분리한다. 광학 이성질체 분리를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거울상이성질체의 분리를 최대화하기 위해 최적으로 선택된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사용하는 것이 있다. 또다른 이용가능한 방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활성 형태의 광학적으로 순수한 산 또는 광학적으로 순수한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공유결합된 부분입체이성질체 분자를 합성하는 것이다. 합성된 부분입체이성질체는 크로마토그래피, 증류, 결정화 또는 승화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분리한 다음, 가수분해하여 거울상이성질체상으로 순수한 화합물을 수득한다. 광학적으로 활성인 본 발명의 화합물은 마찬가지로 광학적으로 활성인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들 이성질체는 유리 산, 유리 염기, 에스테르 또는 염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함유하고 있어, 이에따라 라세미체 및 라세미체 혼합물, 스칼레믹(scalemic) 혼합물, 단일 거울상이성질체, 개별적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의 이러한 이성질체는 모두 본 발명 내에 명백히 포함된다.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모든 호변이성질체 형태도 명백히 포함한다. 화합물은 또한 시스- 또는 트란스- 또는 E- 또는 Z- 이중 결합 이성질체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이러한 화합물의 모든 이성질체 형태도 본 발명 내에 명백히 포함된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모든 결정 형태도 본 발명 내에 명백히 포함된다.
고리 성분의 치환기(예, 페닐, 티에닐 등)는 특정 원자에 부착될 수 있어, 이들이 특정 원자에 고정됨을 의미하거나, 또는 특정 원자에 부착되지 되지 않은 가능한 어떠한 원자에도 부착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른 고리계에 부착된 복소환계를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복소환계는 고리계 내의 탄소 원자 또는 헤테로원자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원에 설명된 어떠한 화학식의 화합물도 본원에 설명된 방법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방법에 있어서, 단계들은 교대순으로 수행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추가적 보호/탈보호 단계에 의해 선행 또는 후행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추가로 불활성 용매, 추가 시약, 예를 들면 염기(예, LDA, DIEA, 피리딘, K2CO3 등), 촉매 및 상기한 것의 염 형태를 포함한 적합한 반응 조건을 사용함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체는 정제과정의 동반 또는 동반없이, 분리하거나 또는 동일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정제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것으않도록 할 수 있어서, 이들이 H(수소) 이외의 원자에 의해 아직 치환로, 예를 들면 결정화, 크로마토그래피(액상 및 기체상 등), 추출, 증류, 분쇄, 역상 HPLC 등이 포함된다. 온도, 기간, 압력 및 분위기(불활성 기체, 주변환경) 같은 반응 조건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반응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인지할 수 있듯이, 상기한 합성 반응식이 본 출원에 기술되고 청구된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의 포괄적인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또다른 추가의 방법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한 다양한 합성 단계들은 교대 순서 또는 차례에 따라 수행되어 목적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저해제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유용한 합성적 화학 변형 및 보호기 방법(보호 및 탈보호)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다음 문헌에 기재된 바를 포함한다[R.Larock, "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 VCH Publishers (1989) ; T.W. Greene and P.G.M.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ition, John Wiley and Sons (1999) ; L. Fieser and M. Fieser, "Fieser and Fieser's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and Sons (1994) ; A. Katritzky and A. Pozharski, "Handbook of Heterocyclic Chemistry", 2nd edition (2001) ; M. Bodanszky, A. Bodanszky, "The Practice of Peptide Synthesis",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1984) ; J. Seyden-Penne, "Reductions by the Alumino- and Borohydrides in Organic Synthesis", 2nd edition, Wiley-VCH, (1997) ; and L. Paquette, editor, "Encyclopedia of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and Sons (1995)].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적당한 작용기를 부착함으로써 변형시켜 선택적인 생물학적 특성을 증진시킬 수있다. 이러한 변형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 주어진 생물학적 구획(예, 혈액, 림프계, 중추 신경계)으로의 생물학적 침투를 증대시키고, 경구 이용가능성을 증대시키고, 주사에 의한 투여가 가능하도록 용해도를 증대시키고, 물질대사를 변경시키고 분비율을 변화시키는 것이 포함 된다.
이러한 상세한 설명은 당해 범주 내에 속하며,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한 일반 합성 절차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다음의 실시예 및 제법은 본 발명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식 및 방법을 기술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양태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 실시예 ]
다른 식으로 규정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물질은 통상적인 공급자로부터 수득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화합물 분석에 있어서, 모든 1H-NMR 스펙트럼들은 베리안(Varian) 사의 Unity Inova 400 Serie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질량 스펙트럼들(Mass spectra)은 시마즈(SHIMADZU) 사의 LCMS-2010EV Serie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LCMS 분석은 시마즈(SHIMADZU) 사의 LCMS-2010 EV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조건은 하기와 같다:
탈기장치(degasser) : DGU-20A
펌프 : LC-20AD
자동 샘플러 : SIL-20A
UV/Vis 검출기 : SPD-20A
컬럼 오븐 : CTO-20A
용매 : 90% ACN(0.1% TFA) in H2O
파장 : 254 nm
주입 부피 (Injection Volume) : 5 ul
컬럼 : XDB C18 5μm 4.5x150mm (Agilent)
[ 제조예 1]
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
Figure pat00012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 시 사용되는 중간체 화합물들 중 하나인 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은 하기 반응식에 의하여 제조되었다:
Figure pat00013
부틸알콜 중 1-벤질-5-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브알데히드 (1 g, 4.624 mmol)의 혼합물에 0℃에서 NaClO3 (1.254 g, 13.873 mmol) 수용액 및 포타슘포스파이트 일수화물 (3.146 g, 23.12 mmol) 수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실온으로 서서히 올리고 1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중간에 반응을 검사하며 NaClO3 (1 g)을 더 첨가하였다. 상기 소디움클로라이트를 첨가하여 교반된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 뒤 Na2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잔여물(residue)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소량의 헥산 중 20%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으로 세척하여 흰 고체로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808 mg, 3.48 mmol, 75 % 수율).
1H NMR (400 MHz, DMSO): 12.22 (br s, 1H), 7.61 - 7.42 (m, 5H), 3.36 (s, 3H), 2.59 (s, 3H).
[제조예 2]
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
Figure pat00014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 시 사용되는 중간체 화합물들 중 하나인 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은 하기 반응식에 의하여 제조되었다:
Figure pat00015
(단계 1) 2-(4-플루오로페닐)-5-메틸-1H-피라졸-3(2H)-온:
Figure pat00016
(4-플루오로페닐) 히드라진히드로클로라이드 (20.0 g, 0.123 mol)를 트리에틸아민 (20.5 ml)을 메탄올 (350 ml)에 녹인 용액에 첨가하고 여기에 메탄올 (50 ml)에 녹인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16.0 g, 0.123 mol)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고 디클로로메탄 및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물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재추출하였다. 모든 유기층을 모아 Na2SO4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1:2)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1.0 g, 89% 수율).
MS (ESI pos. ion) m/z: 193 (MH+). C10H9FN2O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192.07.
1H NMR (400 MHz, CDCl3): 7.84 - 7.81 (m, 2H), 7.097.05 (m, 2H), 3.43 (s, 1H), 3.07 (br s, 1H), 2.19 (s, 3H).
(단계 2) 벤질-2-(4-플루오로페닐)-5-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17
2-(4-플루오로페닐)-5-메틸-1H-피라졸-3(2H)-온 (20.3g, 0.105 mol) 및 수산화칼슘 (17.2g, 0.232 mol)을 무수 1,4-디옥산 (200 ml)에 현탁시켜 현탁액을 형성하고 50℃로 20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된 현탁액을 10℃로 냉각시키고 디옥산 (10 ml)에 녹인 벤질클로로포메이트 (14.9 ml, 0.105 mol)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90℃로 3 시간 가열하였다. 반응이 모두 진행되면 상기 반응 혼합물을 0℃로 서서히 냉각시킨 후 냉각된 반응 혼합물에1M 염산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에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모으고 차가운 에탄올과 에테르로 세척한 후 진공으로 건조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2.88 g, 66% 수율).
MS (ESI pos. ion) m/z: 327 (MH+). C18H15FN2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326.11.
1H NMR (400 MHz, CDCl3): 7.82 - 7.79 (m, 2H), 7.40 - 7.29 (m, 5H), 7.09 - 7.04 (m, 2H), 5.30 (s, 1H), 5.19 (s, 1H), 2.38 (s, 3H).
(단계 3) 벤질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18
디클로로메탄 (80 ml) 중 벤질2-(4-플루오로페닐)-5-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실레이트 (8.0 g, 0.024 mol) 용액에 메틸트리플루오로 메탄술폰네이트 (4.8 g, 0.029 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포화 중조수로 추출하고 층분리한 뒤 물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재추출하였다. 모든 유기층을 모으고 Na2SO4로 건조한 뒤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에틸아세테이트:헥산=4:1)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69 g, 32% 수율).
MS (ESI pos. ion) m/z: 341 (MH+). C19H17FN2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340.12.
1H NMR (400 MHz, CDCl3): 7.51 - 7.48 (m, 2H), 7.35 - 7.26 (m, 5H), 7.19 - 7.15 (m, 2H), 5.33 (s, 1H), 3.28 (s, 3H), 2.62 (s, 3H).
(단계 4) 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
Figure pat00019
메탄올 (25 mL) 중 벤질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실레이트 (2.6 g, 7.64 mmol) 용액에 Pd/C (0.5 g)을 첨가하고 수소가스를 불어 주며 8 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켜 여과하고 그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8 g, 94% 수율).
MS (ESI pos. ion) m/z: 251 (MH+). C12H11FN2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250.08.
1H NMR (400 MHz, CDCl3): 11.94 (br s, 1H), 7.36 - 7.32 (m, 2H), 7.27 - 7.22 (m, 2H), 3.36 (s, 3H), 2.69 (s, 3H).
N-(4-(5- 브로모피롤로[1,2-b]피리다진 -4- 일옥시 )-3- 플루오로페닐 ) -1,5-디메틸-3-옥소-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20
상기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에 의하여 제조되었다:
Figure pat00021
상기 반응식을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1) N-아미노프탈이미드
Figure pat00022
에탄올 (415 ml) 중 히드라진 일수화물 (28.9 ml, 462.4 mmol) 의 용액에 프탈이미드 가루를 첨가하였다. 상기 프탈이미드 분말을 첨가한 용액을 실온에서 2분 동안 교반한 후 8 분 동안 환류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얼음물에 첨가하여 고체를 석출시키고 상기 고체를 여과하여 모은 뒤 소량의 물로 세척하고 진공 건조하여 흰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9.5 g, 182.1 mmol, 42% 수율).
1H NMR (400 MHz, CDCl3): 7.88 - 7.86 (m, 2H), 7.76 - 7.73 (m, 2H), 4.14 (br s, 2H).
(단계 2) 1-프탈이미도피롤
Figure pat00023
무수 디옥산 (290 ml) 에 N-아미노프탈이미드 (29.0 g, 178.8 mmol) 및 2,5-디메톡시테트라히드로퓨란 (24.2 ml, 187.8 mmol) 을 첨가한 용액을 환류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이 노란색이 될 때 가열을 유지하면서 5 N-염산 용액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 냉각시키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한 뒤 디옥산-물 1:3 용액으로 세척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4.9 g, 164.5 mmol, 92% 수율).
1H NMR (400 MHz, CDCl3): 8.02 - 7.96 (m, 2H), 7.88 - 7.83 (m, 2H), 6.75 - 6.74 (m, 2H), 6.37 - 6.35 (m, 2H).
(단계 3) N-아미노피롤
Figure pat00024
메탄올 (500 ml) 중 1-프탈이미도피롤 (25.6 g, 120.6 mmol) 의 용액에 히드라진 일수화물 (8.8ml, 144.8 mmol) 을 첨가한 반응물을 1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교반된 상기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아세트산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15분간 환류 교반하여 용액을 형성하였다. 상기 용액을 여과하고 메탄올을 증류하여 제거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에 4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이후 추출물을 농축하고 남은 잔여물을 진공 증류방법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6.5 g, 79.2 mmol, 66% 수율)
1H NMR (400 MHz, CDCl3): 6.70 - 6.68 (m, 2H), 6.05 - 6.03 (m, 2H), 4.84 (br s, 2H).
(단계 4) 에틸 4-옥소-1,4-디히드로피롤[1,2-b]피리다진-3-카르복시레이트
Figure pat00025
N-아미노피롤(6.2 g, 75.5 mmol) 및 디에틸에톡시메틸렌말로네이트(18.2 ml, 90.6 mmol)의 혼합물을 125℃로 2 시간 동안 가열하여 디에틸 2-((1H-피롤-1-일아미노) 메틸렌) 말로네이트 중간체를 형성시키고 상기 중간체에 디페닐에테르 (22 ml)를 첨가하여 반응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질소 대기 하에서 220℃로 2 시간 동안 가열하였고 반응 중 생성된 에탄올은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상기 에탄올이 제거된 반응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로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1.0 g, 53.3 mmol, 71% 수율)
1H NMR (400 MHz, CDCl3): 12.34 (br s, 1H), 8.29 (s, 1H), 7.44 (dd, J = 2.8 Hz, 1.6 Hz, 1H), 6.97 (dd, J = 4.4 Hz, 1.6 Hz, 1H), 6.78 - 6.76 (m, 1H).
(단계 5) 4-옥소-1,4-디히드로피롤로[1,2-b]피리다진-3-카르복시산
Figure pat00026
에탄올 (165ml) 중 에틸 4-옥소-1,4-디히드로피롤로[1,2,b]피리다진-3-카르복실레이트의 현탁액에 2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100℃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여 반응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으로 식히고 감압 증류하여 농축한 뒤 진한 염산을 pH 2 이하가 될 때까지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 후 진공 건조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고 별도의 정제과정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단계 6) 피롤로[1,2-b]피리다진-4(1H)-온
Figure pat00027
4-옥소-1,4-디히드로피롤로[1,2-b]피리다진-3-카르복시산을 디메틸술폭시드 (110 ml) 에 용해시키고 150℃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는 감압 증류하여 제거하고 생성된 잔여물은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디클로로메탄 중 5% 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5.3 g, 39.5 mmol, 74% 수율).
1H NMR (400 MHz, CDCl3): 7.88 (d, J = 5.2 Hz, 1H), 7.74 - 7.72 (m, 1H), 6.78 - 6.75 (m, 1H), 6.65 - 6.63 (m, 1H), 5.99 (d, J = 5.2 Hz, 1H).
(단계 7) 4-(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피롤로[1,2-b]피리다진
Figure pat00028
질소 대기 하에서 피롤로[1,2-b]피리다진-4(1H)-온(2.0 g, 14.9 mmol) 및 t-부틸디메틸실릴클로라이드 (2.7 g, 17.9 mmol)를 무수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 (3.1 ml, 22.4 mmol)을 첨가 한 후 1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소량의 톨루엔으로 세척한 후 여액을 감압 증류하여 농축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은 별도의 정제 과정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단계 8) 4-(2-플루오로-4-니트로페녹시)피롤로[1,2-b]피리다진
Figure pat00029
디메틸술폭시드 (55 ml) 중 4-(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피롤로[1,2-b]피리다진의 용액에 물(0.05 ml, 2.68 mmol), 3,4-디플루오로니트로벤젠(1.65 ml, 14.9 mmol) 및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언데크-7-엔 (0.27 ml, 1.79 mmol)을 순서대로 첨가하여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80℃로 가열하고 3,4-디플루오로니트로벤젠이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이 모두 진행되면 상기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분리한 후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증류하여 농축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은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n-헥산 중 10%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로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65 g, 9.70 mmol, 65% 수율).
1H NMR (400 MHz, CDCl3): 8.19 - 8.11 (m, 2H), 7.92 (d, J = 5.2 Hz, 1H), 7.82 (dd, J = 2.8 Hz, 1.6 Hz, 1H), 7.39 (dd, J = 8.8 Hz, 7.6 Hz, 1H), 6.85 (dd, J = 4.4 Hz, 2.4 Hz, 1H), 6.67 (dd, J = 4.4 Hz, 1.6 Hz, 1H), 5.83 (d, J = 5.2 Hz, 1H)
(단계 9) 5-브로모-4-(2-플루오로-4-니트로페녹시)피롤로[1,2-b]피리다진
Figure pat00030
무수 클로로포름 (70 ml) 중 4-(2-플루오로-4-니트로페녹시)피롤로[1,2-b]피리다진(2.30 g, 8.42 mmol)의 용액에 N-브로모숙신이미드 (1.49 g, 8.42 mmol)를 0 ℃에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세척하고 유기층을 분리한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증류하여 농축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은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n-헥산 중 10%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로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840mg, 2.39 mmol, 28% 수율).
1H NMR (400 MHz, CDCl3): 8.19 - 8.12 (m, 8H), 7.89 (d, J = 5.2 Hz, 1H), 7.74 (d, J = 5.2 Hz, 1H), 7.35 (dd, J = 8.8 Hz, 7.6 Hz, 1H), 6.86 (dd, J = 3.2 Hz, 0.4 Hz, 1H), 5.84 (dd, J = 5.2 Hz, 0.8 Hz, 1H).
(단계 10) 4-(5-브로모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아닐린
Figure pat00031
테트라히드로퓨란 (4.7 ml) 중 5-브로모-4-(2-플루오로-4-니트로페녹시) 피롤로 [1,2-b]피리다진 (67 mg, 0.19 mmol)의 용액에 메탄올 (1.2 ml)에 이어 아연분말(300mg, 4.57 mmol) 및 암모늄클로라이드 (130 mg, 2.47 mmol)을 첨가하고 7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하여 반응물을 형성하였다. 반응이 완전히 진행되면 상기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셀라이트 패드를 통과하여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하여 농축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디클로로메탄 중 1-6%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57 mg, 0.178 mmol, 93% 수율).
1H NMR (400 MHz, CDCl3): 7.77 (d, J = 5.2 Hz, 1H), 7.65 (d, J = 2.8 Hz, 1H), 7.05 (t, J = 8.8 Hz, 1H), 6.79 (dd, J = 2.8 Hz, 0.4 Hz, 1H), 6.56 - 6.46 (m, 2H), 5.66 (dd, J = 5.2 Hz, 1.2 Hz, 1H), 3.81 (br s, 2H).
(단계 11) N-(4-(5-브로모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 -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32
4-(5-브로모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아닐린(57 mg, 0.178 mmol) 및 제조예 1에 의하여 수득된 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 (124 mg, 0.534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2 ml)에 녹인 용액에 HATU (270 mg, 0.711 mmol) 및 트리에틸아민(0.1 ml, 0.711 mmol)을 순서대로 첨가한 후 50℃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여 반응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감압하여 농축하고 생성된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과 물로 추출하였다. 여기서 유기층은 분리하고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한 뒤 여액을 감압하여 농축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디클로로메탄 중 10%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흰 고체로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60 mg, 0.111 mmol, 63% 수율).
MS (ESI pos. ion) m/z: 536, 538 (MH+). C25H19Br79.0FN5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35, C25H19Br81.0FN5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37.
1H NMR (400 MHz, CDCl3): 10.89 (br s, 1H), 7.91 (dd, J = 12.4 Hz, 2.4 Hz, 1H), 7.78 (d, J = 5.6 Hz, 1H), 7.65 (d, J = 2.8 Hz, 1H), 7.59 - 7.54 (m, 2H), 7.52 - 7.46 (m, 1H), 7.38 - 7.35 (m, 2H), 7.31 - 7.28 (m, 1H), 7.19 (t, J = 8.8 Hz, 1H), 6.80 (d, J = 2.8 Hz, 1H), 5.67 (dd, J = 5.6 Hz, 1.2 Hz, 1H), 3.38 (s, 3H), 2.80 (s, 3H).
N-(3- 플루오로 -4-(5- 페닐피롤로[1,2-b]피리다진 -4- 일옥소 ) 페닐 )-1,5-디메틸-3-옥소-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33
실시예 1의 화합물인 N-(4-(5-브로모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50 mg, 0.093 mmol) 및 페닐보론산 (45 mg, 0.373 mmol)을 디옥산 (0.8 ml)에 녹인 용액에 1M 탄산칼륨 수용액 (0.4 ml, 0.373 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Pd(PPh3)4 (11 mg, 0.009 mmol)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물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분리한 뒤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하여 농축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디클로로메탄 중 10%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노란 고체로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6 mg, 0.067 mmol, 72% 수율).
MS (ESI pos. ion) m/z: 534 (MH+). C31H24FN5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33.
1H NMR (400 MHz, CDCl3): 10.84 (br s, 1H), 7.87 (dd, J = 12.8 Hz, 2.4 Hz, 1H), 8.83 - 7.79 (m, 2H), 7.66 - 7.44 (m, 5H), 7.37 - 7.32 (m, 4H), 7.24 - 7.20 (m, 2H), 7.07 (t, J = 8.8 Hz, 1H), 6.88 (d, J = 2.8 Hz, 1H), 5.68 (d, J = 5.2 Hz, 1H), 3.37 (s, 3H), 2.79 (s, 3H).
N-(3- 플루오로 -4-(5-(4- 플루오로페닐 )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1,5-디메틸-3-옥소-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34
실시예 2에서 페닐보론산 대신 4-플루오로페닐보론산 (0.373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5-(4-플루오로페닐)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52 (MH+). C31H23F2N5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51.
1H NMR (400 MHz, CDCl3): 10.85 (br s, 1H), 7.88 (dd, J = 12.4 Hz, 2.4 Hz, 1H), 7.81 (dd, J = 5.2 Hz, 0.4 Hz, 1H), 7.79 (d, J = 2.8 Hz, 1H), 7.61 - 7.52 (m, 4H), 7.50 - 7.45 (m, 1H), 7.37 - 7.35 (m, 2H), 7.25 - 7.21 (m, 1H), 7.08 - 7.00 (m, 3H), 6.84 (dd, J = 2.4 Hz, 0.4 Hz, 1H), 5.68 (dd, J = 5.2 Hz, 1.2 Hz, 1H), 3.71 (s, 3H), 2.79 (s, 3H).
N-(3- 플루오로 -4-(5-(4- 메톡시페닐 )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1,5-디메틸-3-옥소-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35
실시예 2에서 페닐보론산 대신 4-메톡시페닐보론산 (0.373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5-(4-메톡시페닐)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64 (MH+). C32H26FN5O4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63.
1H NMR (400 MHz, CDCl3): 10.84 (br s, 1H), 7.87 (dd, J = 12.4 Hz, 2.8 Hz, 1H), 7.79 (d, J = 5.2 Hz, 1H), 7.77 (d, J = 2.8 Hz, 1H), 7.59 - 7.53 (m, 4H), 7.50 - 7.44 (m, 1H), 7.38 - 7.34 (m, 2H), 7.26 - 7.21 (m, 1H), 7.07 (t, J = 8.8 Hz, 1H), 6.91 - 6.88 (m, 2H), 6.83 (d, J = 2.4 Hz, 1H), 5.65 (dd, J = 5.2 Hz, 1.2 Hz, 1H), 3.81 (s, 3H), 3.37 (s, 3H), 2.79 (s, 3H).
N-(3- 플루오로 -4-(5-(3- 플루오로페닐 )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소 ) 페닐 )-1,5-디메틸-3-옥소-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36
실시예 2에서 페닐보론산 대신 3-플루오로페닐보론산 (0.373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5-(4-플루오로페닐)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52 (MH+). C31H23F2N5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51.
1H NMR (400 MHz, CDCl3): 10.85 (br s, 1H), 7.88 (dd, J = 12.4 Hz, 2.4 Hz, 1H), 7.84 (d, J = 5.6 Hz, 1H), 7.80 (d, J = 2.8 Hz, 1H), 7.59 - 7.54 (m, 2H), 7.50 - 7.46 (m, 1H), 7.43 - 7.40 (m, 1H), 7.37 - 7.22 (m, 5H), 7.08 (t, J = 8.8 Hz, 1H), 6.94 - 6.87 (m, 1H), 6.88 (d, J = 3.2 Hz, 1H), 5.72 (dd, J = 5.6 Hz, 1.2 Hz, 1H), 3.37 (s, 3H), 2.79 (s, 3H).
N-(3- 플루오로 -4-(5-(3- 메톡시페닐 )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1,5-디메틸-3-옥소-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37
실시예 2에서 페닐보론산 대신 3-메톡시페닐보론산 (0.373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5-(4-메톡시페닐)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64 (MH+). C32H26FN5O4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63.
1H NMR (400 MHz, CDCl3): 10.85 (br s, 1H), 7.89 (dd, J = 12.4 Hz, 2.4 Hz, 1H), 7.82 (d, J = 5.6 Hz, 1H), 7.79 (d, J = 2.8 Hz, 1H), 7.58 - 7.54 (m, 2H), 7.50 - 7.47 (m, 1H), 7.37 - 7.34 (m, 2H), 7.26 - 7.21 (m, 4H), 7.07 (t, J = 8.8 Hz, 1H), 6.90 (d, J = 2.8 Hz, 1H), 6.81 - 6.78 (m, 1H), 5.68 (dd, J = 5.2 Hz, 1.2 Hz, 1H), 3.78 (s, 3H), 3.72 (s, 3H), 2.79 (s, 3H).
N-(4-(5- 브로모피롤로[1,2-b]피리다진 -4- 일옥시 )-3- 플루오로페닐 )-2-(4- 플루오로페닐 )-1,5-디메틸-3-옥소-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38
실시예 1의 단계 11에서 사용된 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 대신 제조예 2에서 수득된 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목적 화합물인 N-(4-(5-브로모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수득하였다.
MS (ESI pos. ion) m/z: 554 (MH+). C25H18BrF2N5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53.
1H NMR (400 MHz, CDCl3): 10.81 (br s, 1H), 7.91 (dd, J = 12.4 Hz, 2.4 Hz, 1H), 7.78 (d, J = 5.2 Hz, 1H), 7.65 (d, J = 3.2 Hz, 1H), 7.37 - 7.33 (m, 2H), 7.31 - 7.17 (m, 4H), 6.80 (d, J = 3.2 Hz, 1H), 5.67 (dd, J = 5.2 Hz, 1.2 Hz, 1H), 3.36 (s, 3H), 2.80 (s, 3H).
N-(3- 플루오로 -4-(5- 페닐피롤로[1,2-b]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2-(4- 플루오로페닐 )-1,5-디메틸-3-옥소-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39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5-페닐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52 (MH+). C31H23F2N5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51.
1H NMR (400 MHz, CDCl3): 10.77 (br s, 1H), 7.86 (dd, J = 12.4 Hz, 2.4 Hz, 1H), 8.83 - 7.79 (m, 2H), 7.75 - 7.72 (m, 1H), 7.66 - 7.63 (m, 2H), 7.43 - 7.32 (m, 5H), 7.28 - 7.20 (m, 2H), 7.06 (t, J = 8.8 Hz, 1H), 6.89 (d, J = 2.8 Hz, 1H), 5.68 (dd, J = 5.2 Hz, 0.8 Hz, 1H), 3.35 (s, 3H), 2.79 (s, 3H).
1,5-디메틸-3-옥소-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카르복시산[3- 플루오로 -4-(피 롤로[1,2-b]피리 다진-4- 일옥시 )- 페닐 ]-아미드:
Figure pat00040
3-플루오로-4-(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아민 (50 mg, 0.206 mmol) 및 1,5-디메닐-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 (32 mg, 0.137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3 ml)에 녹인 용액에 HATU (78 mg, 0.206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05 ml, 0.343 mmol)을 순서대로 넣고 50℃로 7 시간 동안 가열하여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농축하여 생성된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과 물로 추출하였다. 여기서 유기층은 층분리 한 후 다시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에틸아세테이트:헥산=1:3)로 정제하여 흰 고체로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6 mg, 0.04 mmol, 25 % 수율)
1H NMR (400 MHz, CDCl3): 10.88 (br S, 1H) 7.90 (dd, J = 12.8 Hz, 2.4 Hz, 1 H), 7.83 (d, J = 5.6 Hz, 1H), 7.74 (dd, J = 2.4 Hz, 1.6 Hz, 1H), 7.59 - 7.36(m, 5H), 7.29 (m, J = 8.8 Hz, 2.4 Hz, 1.2 Hz, 1H), 7.17 (t, J = 8.8 Hz, 1H), 6.81 (dd, J = 4.4 Hz, 2.4 Hz, 1H), 5.69 (d, J = 5.2 Hz, 1H), 3.38 (s, 3H), 2.80 (s, 3H) MS (ESI pos. ion) m/z: 458 (MH+), C25H20FN5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457.16.
1,5-디메틸-3-옥소-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카르복시산[3- 플루오로 -4-(2-페닐-1H- 피롤로[2,3-b]피리딘 -4- 일옥시 )- 페닐 ]-아미드:
Figure pat00041
상기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에 의하여 제조되었다:
Figure pat00042
(단계 1) 4-클로로-1-(2-트리메틸실라닐-에톡시메틸)-1H-피롤로[2,3-b]피리딘
Figure pat00043
질소 대기 하에서 4-클로로-1H-피롤로[2,3-b]피리딘 (170 mg, 1.114 mmol)을 테트라히드로퓨란 (2 ml)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킨 후 40% NaH (30 mg, 1.224 mmol)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한 뒤 SEM-Cl (185 mg, 1.114 mmol)를 첨가하고 80℃로 3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된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과 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분리한 뒤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모든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한 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에틸아세테이트:헥산=1:1)로 정제하여 노란색 오일로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35 mg, 0.83 mmol, 74 % 수율)
1H NMR (400 MHz, CDCl3): 8.22 (d, J = 5.2 Hz, 1H), 7.38 (d, J = 3.6 Hz, 1H), 7.12 (d, J = 5.2 Hz, 1H), 6.6 (d, J = 3.6 Hz, 1 H), 5.67 (s, 2H), 3.53 (t, J = 8 Hz, 2H), 0.90 (t, J = 8 Hz, 2H), -0.07 (s, 9H).
(단계 2) 4-클로로-2-아이오도-1-(2-트리메틸실라닐-에톡시메틸)-1H-피롤로[2,3-b]피리딘
Figure pat00044
질소 대기 하에서 4-클로로-1-(2-트리메틸실라닐-에톡시메틸)-1H-피롤로[2,3-b]피리딘 (235 mg, 0.831 mmol)을 테트라히드로퓨란 (3 ml)에 용해시키고 -78℃로 냉각시킨 후 n-부틸리튬 (0.675 ml, 1.080 mmol, 1.6 M 헥산 용액)을 천천히 적가하여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상기 혼합물에 테트라히드로퓨란 (2 ml)에 용해시킨 아이오딘 (253 mg, 0.997 mmol) 용액을 첨가하고 온도를 서서히 실온으로 올렸다. 1 시간 후 상기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과 물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헥산:에틸아세테이트=9:1)로 정제하여 노란 오일로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39 mg, 0.83 mmol, 97 % 수율)
(단계 3) 4-클로로-2-페닐-1-(2-트리메틸실라닐-에톡시메틸)-1H-피롤로[2,3-b]피리딘
Figure pat00045
디옥산에 4-클로로-2-아이오도-1-(2-트리메틸실라닐-에톡시메틸)-1H-피롤로 [2,3-b] 피리딘(329 mg, 0.805 mmol) 및 페닐보론산 (118 mg, 0.966 mmol)를 용해시키고 Pd(PPh3)4 (46 mg, 0.04 mmol)를 첨가하여 반응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1 M 탄산칼륨 수용액 (1.61 ml)을 첨가하고 8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헥산:에틸아세테이트=9:1)로 정제하여 노란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82 mg, 0.51 mmol, 63 % 수율)
1H NMR (400 MHz, CDCl3): 8.22 (d, J = 4.8 Hz, 1H), 7.80 - 7.43 (m, 5H), 7.14 (d, J = 4.8 Hz, 1H), 6.69 (s, 1H), 5.66 (s, 2H), 3.72 (t, J = 8.4 Hz, 2H), 0.95 (t, J = 8.4 Hz, 2H), 0.04 (s, 9H)
(단계 4) 3-플루오로-4-[2-페닐-1-(2-트리메틸실라닐-에톡시메틸)-1H-피롤로 [2,3-b]피리딘-4-일옥시]-페닐-카르바믹산 t-부틸에스테르
Figure pat00046
질소 대기 하에서 4-클로로-2-페닐-1-(2-트리메틸실라닐-에톡시메틸)-1H-피롤로[2,3-b]피리딘 (312 mg, 0.87 mmol) 및 (3-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카르바믹산 t-부틸에스테르 (336 mg, 1.48 mmol)를 무수 톨루엔 (5 ml)에 용해시키고 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41 mg, 0.087 mmol), Pd2dba3 (40 mg, 0.044 mmol) 및 탄산칼륨을 첨가한 뒤 110℃에서 하룻밤 동안 가열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셀라이트 패드를 통과시켜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헥산:에틸아세테이트=9:1)로 정제하여 흰 고체로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404 mg, 0.73 mmol, 84 % 수율).
1H NMR (400 MHz, CDCl3): 8.16 (d, J = 5.6 Hz, 1H), 7.77 - 7.741 (m, 6H), 7.16 (t, J = 8.8 Hz, 1H), 7.04 - 7.01 (m, 1H), 6.57 (s, 1H), 6.53 (br s, 1H), 6.43 (dd, J = 4.8, 1H), 5.66 (s, 2H), 3.73 (t, J = 8.4 Hz, 2H), 1.54 (s, 9H), 0.96 (t, J = 8.4 Hz, 2 H), -0.04 (s, 9H)
(단계 5) 3-플루오로-4-(2-페닐-1H-피롤로[2,3-b]피리딘-4-일옥시)-페닐아민
Figure pat00047
메탄올 중 3-플루오로-4-[2-페닐-1-(2-트리메틸실라닐-에톡시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옥시]-페닐-카르바믹산 t-부틸에스테르의 용액에 염산 중 메탄올 비율이 1:1인 용액 (10 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생성된 잔여물에 에테르를 첨가하여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고체를 여과하여 모았다. 수득한 염산염을 물에 용해시키고 1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pH가 8정도 되도록 중화시켜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분리한 후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1:1)로 정제하여 흰 고체로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81 mg, 0.25 mmol, 40 % 수율)
1H NMR (400 MHz, DMSO):12.21 (br s, 1H), 8.04 (d, J = 5.6 Hz, 1H), 7.93 - 7.32 (m, 5H), 7.05 (t, J = 8.8 Hz, 1H), 6.85 (d, J = 2.0 Hz, 1H), 6.54 (dd, J = 13.2 Hz, 2.4 Hz, 1H), 6.45 (m, J = 10 Hz, 1.6 Hz, 0.8 Hz, 1H), 6.25 (m, 1H), 5.45 (s, 2H).
(단계 6) 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3-플루오로-4-(2-페닐-1H-피롤로[2,3-b]피리딘-4-일옥시)-페닐]-아미드
Figure pat00048
3-플루오로-4-(2-페닐-1H-피롤로[2,3-b]피리딘-4-일옥시)-페닐아민 (80 mg, 0.25 mmol), 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 (72 mg, 0.31 mmol) 및 HATU (190 mg, 0.5 mmol)를 디메틸포름아미드 (3 ml)로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 (0.04 ml, 0.5 mmol)을 첨가한 뒤 50℃에서 7 시간 동안 가열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과 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 뒤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1:1)로 정제하여 흰 고체로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2 mg, 0.02 mmol, 9% 수율)
1H NMR (400 MHz, DMSO): 12.29 (br s, 1H), 10.95 (br s, 1H), 8.08 (d, J = 5.6 Hz, 1H), 7.98 (d, J = 2.4, 1H), 7.94 (m, 2H), 7.60 (m, 2H), 7.52 (m, 1H), 7.46 (m, 4H), 7.33 (m, 3H), 6.89 (d, J = 2.0 Hz, 1H), 6.35 (d, J = 5.6, 1 H), 3.38 (s, 3H), 2.71 (s, 3H). MS (ESI pos. ion) m/z: 534, C31H24FN5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33.55.
2-(4- 플루오로 - 페닐 )-1,5-디메틸-3-옥소-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카르복시산[3- 플루오로 -4-(2- 페닐 -1H- 피롤로[2,3-b]피리딘 -4- 일옥시 )- 페닐 ]-아미드:
Figure pat00049
상기 화합물은 실시예 10의 단계 6에서 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 (0.31 mmol) 대신 1,5-디메틸-3-옥소-2-3-플루오로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 (0.31 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ESI pos. ion) m/z: 552 (MH+). C31H23F2N5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51;
1H NMR (400 MHz, DMSO): 10.90 (s, 1H), 8.16 (d, J = 5.6 Hz, 1H), 7.93 (dd, J = 13.2 Hz, 2.4 Hz, 1H), 7.71 (s, 1H), 7.68-7.65 (m, 2H), 7.53-7.49 (m, 2H), 7.46-7.42 (m, 2H), 7.38-7.32 (m, 3H), 7.29-7.27 (m, 1H), 7.25-7.21 (m, 1H), 6.37 (d, J = 5.6 Hz, 1H), 5.67 (s, 1H), 3.36 (s, 3H), 2.69 (s, 3H).
2-(4- 플루오로 - 페닐 )-1,5-디메틸-3-옥소-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카르복시산[3- 플루오로 -4-(3- 페닐 -1H- 피롤로[2,3-b]피리딘 -4- 일옥시 )- 페닐 ]-아미드:
Figure pat00050
실시예 10과 비슷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S (ESI pos. ion) m/z: 552(MH+), C31H23F2N5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51.
1H NMR (400 MHz, DMSO): 12.29 (br s, 1H), 10.92 (br s, 1H), 8.08 (d, J = 5.6 Hz, 1 H), 7.98 (d, J=2.4 Hz, 1H), 7.94 - 7.92 (m, 2H), 7.54 - 7.30 (m, 9H), 6.89 (s, 1H), 6.35 (d, J=5.6 Hz, 1H), 3.37 (s, 3H), 2.70 (s, 3H).
N-(3- 플루오로 -4-( 피롤로[1,2-f][1,2,4]트리아진 -4- 일옥시 ) 페닐 )-2-(4- 플루오로페닐 )-1,5-디메틸-3-옥소-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51
상기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에 의하여 제조되었다:
Figure pat00052
(단계 1) 메틸 1-아미노-1H-피롤로-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53
0℃, 질소 대기 하에서 NaH(60%, 4.1 g, 102.2 mmol)를 디메틸 포름아미드(120 mL)에 현탁시킨 혼합물에 메틸 피롤로-1-H-2-카르복실레이트(8.0 g, 63.9 mmol)를 30 분간 천천히 나누어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2,4-디니트로페놀아민 (19.1 g, 95.9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30 mL)에 녹인 용액을 30 분간 적가하여 반응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0℃에서 2.5 시간 동안 교반하고 소듐티오설페이트 포화수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모든 유기층을 10% 염화리튬 수용액으로 세척한 뒤 소듐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액을 농축함으로써 갈색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갈색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핵산 중 10%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액상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7.5 g, 53.5 mmol, 84% 수율).
1H NMR (400 MHz, CDCl3): 6.96 (t, J = 2.4 Hz, 1H), 6.83 (dd, J = 4.4 Hz, 2.0 Hz, 1H), 6.02 (dd, J = 4.4 Hz, 2.8 Hz, 1H) 5.54 (br s, 2H), 3.83 (s, 3H).
(단계 2) 피롤로[1,2-f]1,2,4]트리아진-4(3H)-온
Figure pat00054
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7.5 g, 53.5 mmol)을 포름아미드 (30 mL)에 녹이고 170℃에서 1 시간 가열한 후, 190℃에서 2 시간 가열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생긴 고체를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여 흰 고체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5.0 g, 37.0 mmol, 69% 수율).
1H NMR (400 MHz, CDCl3): 7.57(s, 1H), 7.47 (dd, J = 2.8 Hz, 1.6 Hz, 1H), 7.10 (dd, J = 4.4 Hz, 1.6 Hz, 1H), 7.47 (dd, J = 4.4 Hz, 2.8 Hz, 1H).
(단계 3) 4-클로로피롤로[1,2-f][1,2,4]트리아진
Figure pat00055
질소 대기 하에서 피롤로[1,2-f][1,2,4]트리아진-4(3H)-온 (2.5 g, 18.5 mmol)을 톨루엔 (37.5 mL)에 녹인 용액에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5 mL, 20.3 mmol) 을 첨가하고, 이어서 포스포러스옥시클로리드 (5.1 mL, 55.7 mmol)을 첨가하고 20 시간 동안 100℃로 가열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0℃ 로 냉각하고 소듐비카소네이트 수용액을 천천히 첨가한 뒤 실온에서 30 분간 교반하여 물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물층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한 뒤 여액을 진공으로 농축하여 노란 고체 생성물을 얻었고 별도의 정제과정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2.31 g, 15.0 mmol, 81% 수율).
1H NMR (400 MHz, CDCl3): 8.22 (s, 1H), 7.87 (dd, J = 2.4 Hz, 1.6 Hz, 1H), 7.00 - 6.97 (m, 2H))
(단계 4) 4-(2-플루오로-4-니트로페녹시)피롤로[1,2-f][1,2,4]트리아진
Figure pat00056
질소 충전 하에서 무수 N-디메틸포름아미드 (60 ml)에 4-클로로피롤로[1,2-f][1,2,4]트리아진 (4.30 g, 28.0 mmol), 2-플루오로-4-니트로페놀 (5.28 g, 33.6 mmol) 및 포타슘카보네이트 (7.74 g, 56.0 mmol)을 첨가한 용액을 60℃에서 1 시간 20 분 동안 가열하여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 냉각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n-헥산 중 25% 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함으로써 흰 고체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5.50 g, 20.0 mmol, 72% 수율).
1H NMR (400 MHz, CDCl3): 8.21 - 8.14 (m, 2H), 7.97 (s, 1H), 7.86 (dd, J = 2.8 Hz, 1.2 Hz, 1H) 7.54 (t, J = 8.0 Hz, 1H), 7.07 (dd, J = 4.4 Hz, 1.2 Hz, 1H), 6.93 (dd, J = 4.4 Hz, 2.8 Hz, 1H).
(단계 5) 3-플루오로-4-(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옥시)아닐린
Figure pat00057
테트라히드로푸란 (3.3 ml) 및 메탄올 (0.8 ml)에 4-(2-플루오로-4-니트로페녹시)피롤로[1,2-f][1,2,4]트리아진 (50 mg, 0.18 mmol), 아연분말 (280 mg, 4.37 mmol) 및 암모늄 클로라이드 (130 mg, 2.37 mmol) 을 첨가하고 1.5 시간 동안 70℃로 환류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로 여과한 뒤 농축하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메탄 중 1-6%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함으로써 아이보리색 고체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44 mg, 0.18 mmol, 99% 수율).
1H NMR (400 MHz, CDCl3): 7.92 (s, 1H), 7.70 (dd, J = 2.5 Hz, 1.6 Hz, 1H) 6.98 (t, J = 8.5 Hz, 1H), 6.92 (dd, J = 4.4 Hz, 1.4 Hz, 1H), 6.77 (m, 1H), 6.42 (m, 2H), 3.71 (br s, 2H).
(단계 6) N-(3-플루오로-4-(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 아미드
Figure pat00058
3-플루오로-4-(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옥시)아닐린 (44 mg, 0.18 mmol) 및 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 (90 mg, 0.36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7 ml)에 녹인 용액에 HATU (200 mg, 0.54 mmol) 및 트리에틸아민(0.08 ml, 0.55 mmol)을 순서대로 첨가한 후 50℃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여 반응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감압하여 농축하고 생성된 잔여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물로 추출하였다. 상기 반응물의 유기층을 분리하여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한 뒤 여액을 감압하여 농축하여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디클로로메탄 중 10%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흰 고체로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85 mg, 0.18 mmol, 99% 수율).
MS (ESI pos. ion) m/z: 477 (MH+). C24H18F2N6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476.
1H NMR (400 MHz, CDCl3): 10.79 (br s, 1H), 7.98 (s, 1H), 7.90 (dd, J = 4.0 Hz, 1.6 Hz, 1H), 7.78 (dd, J = 1.6 Hz, 0.8 Hz, 1H), 7.37 - 7.34 (m, 2H), 7.31 - 7.24 (m, 3H), 7.20 (t, J = 5.6 Hz, 1H), 7.00 (dd, J = 2.8 Hz, 0.4 Hz, 1H), 6.85 (dd, J = 2.8 Hz, 2.0 Hz, 1H), 3.35 (s, 3H), 2.79 (s, 3H).
N-(3- 플루오로 -4-( 피롤로[1,2-f][1,2,4]트리아진 -4- 일옥시 ) 페닐 )-1,5-디메틸-3-옥시-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59
실시예 13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시-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neg. ion) m/z: 457 (MH-). C24H19FN6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458.
1H NMR (400 MHz, CDCl3): 10.87 (br s, 1H), 7.99 (s, 1H), 7.92 (dd, J = 12.0 Hz, 1.8 Hz, 1H), 7.78 (dd, J = 2.4 Hz, 1.2 Hz, 1H), 7.58 - 7.55 (m, 2H), 7.49 - 7.46 (m, 1H), 7.37 - 7.36 (m, 2H), 7.32 - 7.30 (m, 1H), 7.20 (t, J = 8.4 Hz, 1H), 7.00 (dd, J = 4.2 Hz, 1.2 Hz, 1H), 6.85 (dd, J = 4.2 Hz, 2.4 Hz, 1H), 3.37 (s, 3H), 2.80 (s, 3H).
N-(3- 플루오로 -4-(6- 페닐피롤로[1,2-f][1,2,4]트리아진 -4- 일옥시 ) 페닐 )-2-(4-플 루오로페 닐)-1,5-디메틸-3-옥소-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60
상기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에 의하여 제조되었다:
Figure pat00061
(단계 1) 메틸 1-아미노-4-클로로-1H-피롤로-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62
0℃, 질소 대기 하에서 NaH(60%, 0.4 g, 10.03 mmol)를 디메틸 포름아미드(12 mL)에 현탁시킨 혼합물에 메틸 4-클로로-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0 g, 6.27 mmol)를 30 분간 천천히 나누어 첨가하고 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2,4-디니트로페놀아민 (1.87 g, 9.40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6 mL)에 녹인 용액을 30 분간 적가하여 반응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0℃에서 2.5 시간 동안 교반하고 소듐티오술페이트 포화 수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켜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모든 유기층을 10% 염화리튬 수용액으로 세척한 뒤 소듐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액을 농축함으로써 갈색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갈색 잔여물은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핵산 중 10%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액상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930 mg, 5.33 mmol, 85% 수율)
1H NMR (400 MHz, CDCl3): 6.91 (d, J = 2.4 Hz, 1H), 6.73 (d, J = 2.4 Hz, 1H), 5.54 (br s, 2H), 3.83 (s, 3H).
(단계 2) 6-클로로피롤로[1,2-f][1,2,4]트리아진-4(3H)-온
Figure pat00063
메틸 1-아미노-4-클로로-1H-피롤로-2-카르복실레이트 (900 mg, 5.15 mmol)를 포름아미드 (3.6 mL)에 녹이고 170℃에서 1 시간 가열한 후, 190℃에서 2 시간 가열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생긴 고체를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여 흰 고체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500 mg, 2.95 mmol, 57% 수율).
1H NMR (400 MHz, CDCl3): 7.54 (s, 1H), 7.41 (d, J = 1.6 Hz, 1H), 7.01 (d, J = 1.6 Hz, 1H).
(단계 3) 4,6-디클로로피롤로[1,2-f][1,2,4]트리아진
Figure pat00064
질소 대기 하에서 6-클로로피롤로[1,2-f][1,2,4]트리아진-4(3H)-온 (500 mg, 2.95 mmol)을 톨루엔 (7.5 mL)에 녹인 용액에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56 mL, 3.25 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포스포러스옥시클로리드 (0.8 mL, 8.87 mmol)을 첨가하고 20 시간 동안 100℃로 가열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하고 소듐비카소네이트 수용액을 천천히 첨가한 뒤 실온에서 30 분간 교반하여 물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물층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한 뒤 여액을 진공으로 농축하여 노란 고체 생성물을 수득하였고 별도의 정제과정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 하였다. (510 mg, 2.71 mmol, 92% 수율).
1H NMR (400 MHz, CDCl3): 8.25 (s, 1H), 7.84 (d, J = 1.6 Hz, 1H), 6.94 (d, J = 1.6 Hz, 1H).
(단계 4) 6-클로로-4-(2-플루오로-4-나이트로페녹시)피롤로[1,2-f][1,2,4]트라이아진
Figure pat00065
무수 N-디메틸포름아미드 (3.6 ml)에 4,6-다이메틸피롤로[1,2-f][1,2,4]트라이아진 (150 mg, 0.798 mmol), 2-플루오로-4-나이트로페놀 (150 mg, 0.957 mmol) 및 포타슘 카보네이트 (220 mg, 1.59 mmol)을 첨가하였다. 질소 충전 하에서 상기 용액을 60℃에서 1 시간 20 분 동안 가열하여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 냉각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n-헥산 중 25% 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흰 고체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03 mg, 0.658 mmol, 83% 수율)
1H NMR (600 MHz, CDCl3): 8.20 - 8.15 (m, 2H), 7.98 (s, 1H), 7.82 (d, J = 1.8 Hz, 1H), 7.54 - 7.51 (m, 1H), 7.00 (d, J = 1.8 Hz, 1H).
(단계 5) 4-(6-클로로피롤로[1,2-f][1,2,4]트라이아진-4-일옥시)-3-플루오로 아닐린
Figure pat00066
테트라하이드루푸란 (13.3 ml) 및 메탄올 (3.3 ml) 에 6-클로로-4-(2-플루오로-4-나이트로페녹시)피롤로[1,2-f][1,2,4]트라이아진 (0.2 g, 0.648 mmol), 아연분말 (1.02 g, 15.6 mmol) 및 암모늄 클로라이드 (0. 45 g, 8.42 mmol) 을 첨가하고 1 시간 10 분 동안 70℃로 환류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로 여과 한 뒤 농축하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아이보리색 고체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53 mg, 0.549 mmol, 85% 수율).
1H NMR (600 MHz, CDCl3): 8.01 (s, 1H), 7.73 (d, J = 1.8 Hz, 1H), 7.03 (t, J = 2.4 Hz, 1H), 6.93 (d, J = 1.8 Hz, 1H), 6.54 - 6.47 (m, 2H), 3.80 (br s, 2H).
(단계 6) 3-플루오로-4-(6-페닐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옥시) 아닐린
Figure pat00067
팔라듐 아세테이트 (4 mg, 0.018 mmol), X-Phos 리간드 (21 mg, 0.045 mmol), 4-(6-클로로피롤로[1,2-f][1,2,4]트라이아진-4-일옥시)-3-플루오로아닐린 (50 mg, 0.018 mmol), 페닐보론산 (44 mg, 0.036 mmol), 및 포타슘 포스테이트 (65 mg, 0.054 mmol)을 넣은 플라스크에 질소 충전 하에서 0.5 mL t-부탄올을 첨가한 뒤 교반하여 화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80℃로 10 시간 동안 가열하여 반응물을 형성하였다. 반응이 모두 진행된 뒤, 상기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셀라이트에 디클로로메탄으로 씻어주면서 여과함으로써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농축시킨 뒤, 에틸아세테이트와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한 뒤 여액을 감압하여 농축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5:1)로 정제하여 옅은 노란 고체로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2 mg, 0.1 mmol, 56% 수율).
MS (ESI pos. ion) m/z: 321 (MH+). C18H13FN4O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320.11.
1H NMR (600 MHz, CDCl3): 8.06 (s, 1H), 8.00 (s, 3H), 7.68 (d, J = 8.4 Hz, 2H), 7.44 (t, J = 7.2 Hz, 2H), 7.32 (t, J = 7.2 Hz, 1H), 7.25 (s, 1H), 7.07 (t, J = 8.4 Hz, 1H), 6.56 - 6.49 (m, 2H), 3.80 (s, 2H).
(단계 7) N-(3-플루오로-4-(6-페닐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옥시) 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68
3-플루오로-4-(6-페닐피롤로[1,2-f][1,2,4]트라이아진-4-일옥시)아닐린 (27 mg, 0.084 mmol) 및 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 (42 mg, 0.017 mmol) 을 디메틸포름아미드 (0.5 ml)에 녹인 용액에 HATU (96 mg, 0.25 mmol) 및 트리에틸아민(0.035 ml, 0.25 mmol)을 순서대로 첨가한 후 50℃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여 반응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감압하여 농축하고 생성된 잔여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물로 추출하였다. 여기서, 유기층을 분리하여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한 뒤 여액을 감압하여 농축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였다. 상기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n-헥산 중 50%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흰 고체로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8 mg, 0.069 mmol, 83% 수율).
MS (ESI pos. ion) m/z: 553 (MH+). C30H22F2N6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52.17.
1H NMR (400 MHz, CDCl3): 10.80 (br s, 1H), 8.07 (d, J = 1.6 Hz, 1H), 7.99 (s, 1H), 7.92 (dd, J = 12.4, 2.4 Hz, 1H), 7.69 (d, J = 7.6, 2H), 7.44 (t, J = 7.6, 2H), 7.38 - 7.23 (m, 8H), 3.56 (s, 3H), 2.80 (s, 3H).
N-(4-(6- 클로로피롤로[1,2-f][1,2,4]트라이아진 -4- 일옥시 )-3- 플루오로페닐 )-2-(4-플 루오로 페닐)-1,5-디메틸-3-옥소-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69
실시예 15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4-(6-클로로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11 (MH+). C24H17ClF2N6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10.10.
1H NMR (400 MHz, CDCl3 in DMSO-d6 2drops) : 10.84 (br s, 1H), 8.00 (s, 1H), 7.91 (m, 1H), 7.75 (s, 1H), 7.39 - 7.17 (m, 6H), 6.94 (s, 1H), 3.37 (s, 3H), 2.80 (s, 3H).
N-(4-(6- 클로로피롤로[1,2-f][1,2,4]트리아진 -4- 일옥시 )-3- 플루오로페닐 )-1,5-디메틸-3-옥소-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70
실시예 15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4-(6-클로로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493 (MH+). C24H18ClFN6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492.11
1H NMR (400 MHz, CDCl3) : 10.88 (br s, 1H), 7.92 (dd, J = 12.2, 2.2 Hz, 1H), 7.74 (d, J = 1.6 Hz, 1H), 7.58 - 7.29 (m, 6H), 7.18 (t, J = 8.6 Hz, 1H), 6.95 (d, J = 1.6 Hz, 1H), 3.37 (s, 3H), 2.80 (s, 3H).
N-(3- 플루오로 -4-(6- 페닐피롤로[1,2-f][1,2,4]트라이아진 -4- 일옥시 ) 페닐 )-1,5-디메틸-3-옥소-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71
실시예 15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6-페닐피롤로[1,2-f][1,2,4]트라이아진-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35 (MH+). C30H23FN6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34.18.
1H NMR (400 MHz, CDCl3): 10.88 (br s, 1H), 8.07 (d, J = 1.6 Hz, 1H), 8.00 (s, 1H), 7.92 (dd, J = 12.2, 2.2 Hz, 1H), 7.69 (d, J = 7.2, 2H), 7.57 (t, J = 7.6, 2H), 7.50 - 7.42 (m, 3H), 7.38 - 7.20 (m, 5H), 3.37 (s, 3H), 2.80 (s, 3H).
N-(3- 플루오로 -4-(5- 페닐피롤로[1,2-b]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1,2-디메틸-3-옥소-5-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72
상기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에 의하여 제조되었다:
Figure pat00073
(단계 1) 1,2-디메틸-5-페닐-1H-피라졸-3(2H)-온
Figure pat00074
수산화나트륨 (1.66 g, 41.6 mmol)을 물 (32 mL)에 녹인 수용액에 1,2-디메틸히드라진 2-염화수소화물(2.77 g, 20.8 mmol)을 넣고 10 분간 교반한 뒤 에틸벤조일아세테이트(2.0 g, 10.4 mmol) 및 빙초산 (0.89 mL, 15.6 mmol)을 첨가하고 115℃에서 하룻밤 동안 환류 교반하여 반응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10:1 디클로로메탄/메탄올,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모든 유기층은 모아서, 소듐설페이트로 건조 후 여과한 뒤 여액을 농축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DCM : MeOH = 95:5)로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420 mg, 2.23 mmol, 21% 수율).
MS (ESI pos. ion) m/z: 189 (MH+). C11H12N2O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188.23.
1H NMR (400 MHz, CDCl3): 7.49-7.41 (m, 5H), 5.66 (s, 1H), 3.43 (s, 3H), 3.16 (s, 3H).
(단계 2) 1,2-디메틸-3-옥소-5-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바알데히드
Figure pat00075
질소 대기 하에서 플라스크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3.4 mL, 43.6 mmol)를 넣고 0℃로 냉각한 뒤 포스포러스옥시클로리드 (1.4 mL, 15.2 mmol)를 첨가하여 반응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50 분간 교반한 뒤 교반된 상기 반응물을 1,2-디메틸-5-페닐-1H-피라졸-3(2H)-온 (820 mg, 4.36 mmol)을 DMF (4.9 mL)에 녹인 용액이 담긴 반응 플라스크에 옮겨 넣었다. 상기 반응 플라스크을 미리 데워둔 오일 배스 (120℃)에 담그고 12 분간 교반 한 뒤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냉각된 반응물에 5 N NaOH (15 mL)를 첨가하고 얼음물로 희석한 뒤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모든 유기층은 소듐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한 뒤 여액을 농축하여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에 남아있는 DMF를 다시 클로로포름으로 희석한 뒤 물로 세척하고 다시 물층을 클로로포름으로 재추출하였다. 모든 유기층을 모아서 소듐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한 뒤 여액을 농축하였다. 농축된 잔여물에 별도의 정제과정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단계 3) 1,2-디메틸-3-옥소-5-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
Figure pat00076
1,2-디메틸-3-옥소-5-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바알데히드를 t-부틸알콜 (23.5 mL) 에 용해시키고 0℃에서 2-메틸-2-부텐 (8.3 ml, 78.5 mmol) 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물(10 mL)에 녹인 소듐클로리트 (80% tech, 0.95 g, 8.7 mmol) 수용액 및 물 (23.5 mL) 중 포타슘포스파이트 모노베이직(3.44 g, 25.3 mmol) 현탁액을 첨가한 뒤 실온에서 1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된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고 이 물층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10:1 디클로로메탄/메탄올로 추출한 뒤 모든 유기물을 모아서 소듐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함으로써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소량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세척하여 흰 고체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50 mg, 1.5 mmol, 35 % 수율).
MS (ESI pos. ion) m/z: 233 (MH+). C12H12N2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232.24.
1H NMR (400 MHz, DMSO): 12.46 (br s, 1H), 7.58 - 7.47 (m, 5H), 3.62 (s, 3H), 3.48 (s, 3H).
(단계 4) N-(3-플루오로-4-(5-페닐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1,2-디메틸-3-옥소-5-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77
실시예 1의 단계 11에서 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 (0.534 mmol) 대신 실시예 19의 단계 3의 1,2-디메틸-3-옥소-5-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시산(0.534 mmol)을 사용하여 단계 12까지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 N-(3-플루오로-4-(5-페닐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1,2-디메틸-3-옥소-5-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34 (MH+). C31H24FN5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33.55.
1H NMR (400 MHz, CDCl3): 11.01 (br s, 1H), 7.85 - 7.78 (m, 2H), 7.65 - 7.45 (m, 8H), 7.33 (t, J = 7.6 Hz, 2H), 7.25 - 7.21 (m, 2H), 7.03 (t, J = 8.6 Hz, 1H), 6.88 (d, J = 2.8 Hz, 1H), 5.64 (dd, J = 5.6 Hz, 0.8 Hz, 1H), 3.61 (s, 3H), 3.40 (s, 3H).
N-(3- 플루오로 -4-(5-(피리딘-2-일)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2-(4-플 루오로페 닐)-1,5-디메틸-3-옥소-2,3- 디히드로 -1-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78
질소 대기 하에서 N-(4-(5-브로모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70 mg, 0.126 mmol)과 Pd(PPh3)4 (11 mg, 0.009 mmol)을 무수 톨루엔 (1.4mL)에 현탁시키고 2-(트라이뷰틸스태닐)피리딘을 첨가한 뒤 7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뒤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한 후 셀라이트로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한 후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디클로메탄 중 50%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흰 고체로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3 mg, 0.060 mmol, 48% 수율).
MS (ESI pos. ion) m/z: 553 (MH+). C30H22F2N6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52.53.
1H NMR (400 MHz, CDCl3): 10.80 (br s, 1H), 8.64 - 8.62 (m, 1H), 7.91 - 7.80 (m, 4H), 7.64 - 7.60 (m, 1H), 7.37 - 7.34 (m, 2H), 7.28 - 7.23 (m, 4H), 7.12 - 7.08 (m, 2H), 5.77 (d, J = 2.8 Hz, 1H), 3.56 (s, 3H), 2.79 (s, 3H).
N-(3- 플루오로 -4-(5-(티오펜-2-일)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2-(4-플 루오로페 닐)-1,5-디메틸-3-옥소-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79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5-(티오펜-2-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58 (MH+). C29H21F2N5O3S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57.57.
1H NMR (600 MHz, CDCl3): 10.81 (br s, 1H), 7.90 (dd, J = 12.6 Hz, 1.6 Hz, 1H), 7.81 (d, J = 5.4 Hz, 1H), 7.75 (d, J = 3.0 Hz, 1H), 7.37 - 7.14 (m, 8H), 7.02 - 7.00 (m, 1H), 6.95 (d, J = 3.0 Hz, 1H), 5.70 (d, J = 5.4 Hz, 1H), 3.36 (s, 3H), 2.80 (s, 3H).
N-(3- 플루오로 -4-(5-(피리미딘-5-일)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2-(4-플 루오로 페닐)-1,5-디메틸-3-옥소-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보스아미드 :
Figure pat00080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5-(피리미딘-5-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보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54 (MH+). C29H21F2N7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53.52.
1H NMR (400 MHz, CDCl3): 10.82 (br s, 1H), 9.06 (s, 1H), 8.99 (s, 2H), 7.92 - 7.86 (m, 3H), 7.37 - 7.09 (m, 6H), 6.93 (d, J =2.8 Hz, 1H), 5.79 (dd, J = 5.6 Hz, 0.8 Hz, 1H), 3.36 (s, 3H), 2.79 (s, 3H).
N-(3- 플루오로 -4-(5-(티아졸-2-일)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2-(4-플 루오로페 닐-1,5-디메틸-3-옥소-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81
실시예 20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S (ESI pos. ion) m/z: 559 (MH+). C28H20F2N6O3S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58.56.
1H NMR (400 MHz, CDCl3): 10.84 (br s, 1H), 7.93 (dd, J = 12.6 Hz, 2.4 Hz, 1H), 7.87 (d, J = 5.2 Hz, 1H), 7.80 - 7.77 (m, 2H), 7.48 (d, J = 2.8 Hz, 1H), 7.38 - 7.19 (m, 7H), 5.83 (d, J = 4.0 Hz, 1H), 3.37 (s, 3H), 2.80 (s, 3H).
N-(3- 플루오로 -4-(5-(피라진-2-일)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2-(4-플 루오로페 닐)-1,5-디메틸-3- 옥시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82
실시예 20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S (ESI pos. ion) m/z: 554 (MH+). C29H21F2N7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53.52.
1H NMR (400 MHz, CDCl3): 10.83 (br s, 1H), 9.10 (s, 1H), 8.58 (s, 1H), 8.36 (s, 1H), 7.92 - 7.87 (m, 3H), 7.36 - 7.25 (m, 6H), 7.13 (t, J = 8.7 Hz, 1H), 5.84 (d, J = 5.4 Hz, 1H), 3.36 (s, 3H), 2.79 (s, 3H).
N-(3- 플루오로 -4-(5-(피페리딘-4-일)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2-(4-플 루오로 페닐)-1,5-디메틸-3- 옥시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83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5-(피페리딘-4-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시-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59 (MH+). C30H28F2N6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58.58.
1H NMR (400 MHz, CDCl3): 10.83 (br s, 1H), 7.92 - 7.89 (m, 1H), 7.74 - 7.72 (m, 1H), 7.67 (t, J = 2.4 Hz, 1H), 7.38 - 7.24 (m, 5H), 7.16 (t, J = 8.8 Hz, 1H), 6.72 (dd, J = 8.0 Hz, 2.8 Hz, 1H), 5.57 (t, J = 5.8 Hz, 1H), 3.37 (s, 3H), 2.80 (s, 3H), 2.21 - 1.82 (m, 4H), 1.39 - 1.08 (m, 2H), 0.95 - 0.81 (m, 2H).
N-(3- 플루오로 -4-(5-(피리딘-3-일)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2-(4-플 루오로페 닐)-1,5-디메틸-3- 옥시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84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5-(피리딘-3-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시-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53 (MH+). C30H22F2N6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52.53.
1H NMR (400 MHz, CDCl3): 10.80 (br s, 1H), 8.88 (d, J = 2.4 Hz, 1H), 8.46 (dd, J = 4.8 Hz, 1.8 Hz, 1H), 7.95 (d, J = 7.8 Hz, 1H), 7.90 - 7.84 (m, 3H), 7.36 - 7.08 (m, 7H), 6.91 (d, J = 3.0 Hz, 1H), 5.73 (d, J = 4.8 Hz, 1H), 3.36 (s, 3H), 2.79 (s, 3H).
N-(3- 플루오로 -4-(5-(피리딘-4-일)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2-(4-플 루오로페 닐)-1,5-디메틸-3- 옥시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85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5-(피리딘-4-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시-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53 (MH+). C30H22F2N6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52.53.
1H NMR (400 MHz, CDCl3): 10.82 (br s, 1H), 8.55 (dd, J = 4.6 Hz, 1.4 Hz, 2H), 7.94 - 7.88 (m, 2H), 7.83 (d, J = 3.2 Hz, 1H), 7.57 (dd, J = 4.4 Hz, 1.6 Hz, 2H), 7.37 - 7.09 (m, 6H), 6.96 (d, J = 3.2 Hz, 1H), 5.78 (d, J = 4.4 Hz, 1H) 3.36 (s, 3H), 2.79 (s, 3H).
N-(3- 플루오로 -4-(5-(티오펜-3-일)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2-(4-플 루오로페 닐)-1,5-디메틸-3- 옥시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86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5-(티오펜-3-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시-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58 (MH+). C29H21F2N5O3S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57.57.
1H NMR (600 MHz, CDCl3): 10.81 (br s, 1H), 7.91 (dd, J = 12.6 Hz, 2.4 Hz, 1H), 7.80 (d, J = 5.4 Hz, 1H), 7.77 (d, J = 2.4 Hz, 1H), 7.45 - 7.25 (m, 8H), 7.13 (t, J = 8.7 Hz, 1H), 6.92 (d, J = 3.0 Hz, 1H), 5.68 (d, J = 5.4 Hz, 1H), 3.37 (s, 3H), 2.80 (s, 3H).
N-(3- 플루오로 -4-(5-(3,5- 디메틸이소옥사졸 -4-일) 피롤로 [1,2-b] 피리다진 -4-일옥시) 페닐 )-2-(4- 플루오로페닐 )-1,5-디메틸-3- 옥시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87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5-(3,5-디메틸이소옥사졸-4-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시-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71 (MH+). C30H24F2N6O4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70.55.
1H NMR (400 MHz, CDCl3): 10.80 (br s, 1H), 7.89 - 7.79 (m, 3H), 7.37 - 7.21 (m, 5H), 7.00 (t, J = 8.8 Hz, 1H), 6.66 (d, J = 2.8 Hz, 1H), 5.65 (d, J = 5.2 Hz, 1H), 3.36 (s, 3H), 2.79 (s, 3H), 2.35 (s, 3H), 2.23 (s, 3H).
N-(3- 플루오로 -4-(5-(6- 메틸피리딘 -3-일)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2-(4- 플루오로페닐 )-1,5-디메틸-3- 옥시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 미드:
Figure pat00088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5-(6-메틸피리딘-3-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시-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67 (MH+). C31H24F2N6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66.56.
1H NMR (600 MHz, CDCl3): 10.79 (br s, 1H), 8.76 (d, J = 1.8 Hz, 1H), 7.88 (dd, J = 12.0 Hz, 2.4 Hz, 1H), 7.85 - 7.82 (m, 3H), 7.36 - 7.22 (m, 5H), 7.14 (d, J = 7.8 Hz, 1H), 7.08 (t, J = 8.4 Hz, 1H), 6.88 (d, J = 3.0 Hz, 1H), 5.70 (d, J = 5.4 Hz, 1H), 3.36 (s, 3H), 2.79 (s, 3H), 2.55 (s, 3H).
N-(3- 플루오로 -4-(5-(2- 메틸피리딘 -4-일)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2-(4- 플루오로페닐 )-1,5-디메틸-3- 옥시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 미드:
Figure pat00089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5-(2-메틸피리딘-4-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시-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67 (MH+). C31H24F2N6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66.56.
1H NMR (400 MHz, CDCl3): 10.81 (br s, 1H), 8.43 (d, J = 5.2 Hz, 1H), 7.94 - 7.82 (m, 3H), 7.46 (s, 1H), 7.39 - 7.24 (m, 6H), 7.09 (t, J = 8.4 Hz, 1H), 6.95 (d, J = 2.8 Hz, 1H), 5.78 (d, J = 5.2 Hz, 1H), 3.36 (s, 3H), 2.79 (s, 3H) 2.55 (s, 3H).
N-(3- 플루오로 -4-(5-(1- 히드록시에틸 )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2-(4-플 루오 로페닐)-1,5-디메틸-3-옥소-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 드:
Figure pat00090
상기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에 의하여 제조되었다:
Figure pat00091
(단계 1) 1-(4-(2-플루오로-4-니트로페녹시)피롤로[1,2-b]피리다진-5-일)에탄온
Figure pat00092
4-(2-플루오로-4-니트로페녹시)피롤로[1,2-b]피리다진 (600 mg, 2.19 mmol)을 디클로로에탄 (60 mL)에 녹인 용액에 AlCl3 (1.46 g, 10.98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뒤 아세틸클로리드 (0.17 mL, 2.42 mmol)를 첨가하고 3 시간 동안 더 교반하여 반응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시켜 혼합물을 수득하고 상기 혼합물을 셀라이트 여과한 뒤 여액을 층분리하였다. 이후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 후 여액을 농축한 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메탄 중 1-6%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흰 고체로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640 mg, 2.03 mmol, 93% 수율).
1H NMR (400 MHz, CDCl3): 8.24 - 8.16 (m, 3H), 7.58 (d, J = 4.8 Hz, 1H), 7.45 (dd, J = 8.8 Hz, 7.2 Hz, 1H), 6.81 (d, J = 4.8 Hz, 1H), 6.06 (dd, J = 5.6 Hz, 1.2 Hz, 1H) 2.75 (s, 3H).
(단계 2) 1-(4-(2-플루오로-4-아미노페녹시)피롤로[1,2-b]피리다진-5-일)에타논
Figure pat00093
실시예 13 단계 5의 반응 조건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1-(4-(2-플루오로-4-아미노페녹시)피롤로[1,2-b]피리다진-5-일)에탄온을 제조하였다.
(단계 3) N-(4-(5-아세틸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94
실시예 13의 단계 6과 유사한 방법으로 본 단계 2의 수득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N-(4-(5-아세틸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단계 4) N-(3-플루오로-4-(5-(1-히드록시에틸)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95
질소 대기 하에서 N-(4-(5-아세틸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50 mg, 0.096 mmol)에 테트라히드로푸란 (2.5 mL) 및 메탄올 (3 mL)을 첨가한 현탁액에 NaBH4 (11 mg, 0.288 mmol)를 첨가한 뒤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여 반응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포화 암모늄클로리드 수용액을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뒤 유기층을 소듐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 후 여액을 농축하였다. 이후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메탄 중 10%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흰 고체로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6 mg, 0.029 mmol, 32% 수율).
MS (ESI pos. ion) m/z: 542 (MNa+). C27H23F2N5O4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519.5
1H NMR (400 MHz, CDCl3): 10.81 (br s, 1H), 7.91 - 7.88 (m, 2H) 7.38 - 7.24 (m, 6H), 7.17 (t, J = 8.4 Hz, 1H), 6.73 - 6.71 (m, 2H), 5.73 (d, J = 5.2 Hz, 1H), 5.39 (m, 1H), 3.96 (br s, 3H), 3.36 (s, 3H), 2.80 (s, 3H). 1.73 (d, J = 6.8 Hz, 1H).
N-(4-(5- 아세틸피롤로[1,2-b]피리다진 -4- 일옥시 )-3- 플루오로페닐 )-2-(4- 플루오로페닐 )-1-5-디메틸-3-옥소-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96
실시예 3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4-(5-아세틸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18 (MH+). C27H21F2N5O4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 517.48
1H NMR (400 MHz, CDCl3): 10.84 (br s, 1H), 8.16 (d, J = 5.2 Hz, 1H), 7.92 (dd, J = 12.4 Hz, 2.4 Hz, 1H), 7.54 (d, J = 5.2 Hz, 1H), 7.38 - 7.24 (m, 5H), 7.18 (t, J = 8.8 Hz, 1H), 6.85 (d, J = 5.2 Hz, 1H), 5.98 (d, J = 5.2 Hz, 1H), 3.37 (s, 3H), 2.80 (s, 3H), 2.73 (s, 3H).
N-(4-(5- 아세틸피롤로[1,2-b]피리다진 -4- 일옥시 )-3- 플루오로페닐 )-1,5-디메틸-3-옥소-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97
실시예 3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4-(5-아세틸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00 (MH+). C27H22FN5O4 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499.49
1H NMR (400 MHz, CDCl3): 10.91 (br s, 1H), 8.16 (d, J = 5.6 Hz, 1H), 7.93 (dd, J = 12.8 Hz, 2.4 Hz, 1H), 7.59 - 7.49 (m, 4H), 7.37 - 7.29 (m, 3H), 7.18 (t, J = 8.4 Hz, 1H), 6.85 (d, J = 4.8 Hz, 1H), 5.99(d, J = 4.8 Hz, 1H), 3.39 (s, 3H), 2.80 (s, 3H), 2.73 (s, 3H).
N-(3- 플루오로 -4-(5-(1- 히드록시에틸 )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1,5-디메틸-3-옥소-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시아미드 :
Figure pat00098
실시예 3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4-(5-아세틸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24 (MNa+). C27H24FN5O4 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 501.51
1H NMR (400 MHz, CDCl3): 10.88 (br s, 1H), 7.92 - 7.88 (m, 2H) 7.59 - 7.46 (m, 3H), 7.38 - 7.27 (m, 3H), 7.16 (t, J = 8.8 Hz, 1H), 6.73 - 6.70 (m, 2H), 5.73 (dd, J = 5.2 Hz, 0.8 Hz, 1H), 5.40 (m, 1H), 3.96 (d, J = 3.2 Hz, 1H), 3.38 (s, 3H), 2.80 (s, 3H). 1.73 (d, J = 6.4 Hz, 1H).
N-(3- 플루오로 -4-(5-티아졸-2-일)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1,5-디메틸-3-옥소-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099
실시예 20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S (ESI pos. ion) m/z: 541 (MH+). C28H21FN6O3S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 540.57
1H NMR (400 MHz, CDCl3): 10.91 (br s, 1H), 7.94 (dd, J = 12.4 Hz, 2.8 Hz, 1H), 7.87 (d, J = 5.2 Hz, 1H), 7.78 (dd, J = 3.6 Hz, 2.8 Hz, 1H), 7.69 - 7.64 (m, 2H), 7.59 - 7.44 (m, 4H), 7.38 - 7.29 (m, 2H), 7.24 -7.19 (m, 2H), 5.83 (dd, J = 5.2 Hz, 0.8 Hz, 1H), 3.38 (s, 3H), 2.80 (s, 3H).
N-(3- 플루오로 -4-(5-(피리딘-3-일)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1,5-디메틸-3-옥소-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100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5-(피리딘-3-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35 (MH+). C30H23FN6O3 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 534.54
1H NMR (400 MHz, CDCl3): 10.87 (br s, 1H), 8.87 (d, J = 2.0 Hz, 1H), 8.46 (dd, J = 4.8 Hz, 1.6 Hz, 1H), 7.97 - 7.83 (m, 4H), 7.58 - 7.46 (m, 3H), 7.37 - 7.22 (m, 4H), 7.04 (t, J = 8.4 Hz, 1H), 6.90 (d, J = 2.8 Hz, 1H), 5.74 (d, J = 5.2 Hz, 1H), 3.38 (s, 3H), 2.80 (s, 3H).
N-(4-(5- 에틸피롤로[1,2-b]피리다진 -4- 일옥시 )-3- 플루오로페닐 )-2-(4- 플루오로페닐 )-1,5-디메틸-3-옥소-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101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4-(5-에틸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04 (MH+). C27H23F2N5O3 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 503.50
1H NMR (400 MHz, CDCl3): 10.81 (br s, 1H), 7.90 (dd, J = 12.4 Hz, 2.4 Hz, 1H), 7.70 (d, J = 5.2 Hz, 1H), 7.65 (d, J = 2.8 Hz, 1H), 7.38 - 7.34 (m, 2H), 7.28 - 7.24 (m, 3H), 7.17 (t, J = 8.4 Hz, 1H), 6.64 (d, J = 2.8 Hz, 1H), 5.52 (d, J = 5.2 Hz, 1H), 3.36 (s, 3H), 3.02 (q, J = 7.6 Hz, 2H), 2.80 (s, 3H), 1.31 (t, J = 7.6 Hz, 3H).
N-(3- 플루오로 -4-( 피롤로[1,2-b]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2-(4- 플루오로페닐 )-1,5-디메틸-3-옥소-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102
실시예 9 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476 (MH+). C25H19F2N5O3 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 475.45
1H NMR (400 MHz, CDCl3): 10.81 (br s, 1H), 7.89 (dd, J = 12.4 Hz, 2.4 Hz, 1H), 7.83 (d, J = 5.2 Hz, 1H), 7.74 (dd, J = 2.4 Hz, 1.6 Hz, 1H), 7.38 - 7.34 (m, 2H), 7.29 - 7.24 (m, 2H), 7.17 (t, J = 8.8 Hz, 1H), 6.81 (dd, J = 4.4 Hz, 2.4 Hz, 1H), 6.75 (dd, J = 4.4 Hz, 1.6 Hz, 1H), 5.68 (dd, J = 5.2 Hz, 0.8 Hz, 1H), 3.36 (s, 3H), 2.99 (s, 3H).
N-(3- 플루오로 -4-(5-(피리딘-4-일) 피롤로 [1,2-b] 피리다진 -4- 일옥시 ) 페닐 )-1,5-디메틸-3-옥소-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103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5-(피리딘-4-일)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35 (MH+). C30H23FN6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 534.54
1H NMR (400 MHz, CDCl3): 10.89 (br s, 1H), 8.56 - 8.53 (m, 2H), 7.92 (dd, J = 12.4 Hz, 2.4 Hz, 1H), 7.89 (d, J = 5.2 Hz, 1H), 7.83 (d, J = 2.8 Hz, 1H), 7.59 - 7.46 (m, 5H), 7.37 - 7.35 (m, 2H), 7.27 - 7.24 (m, 1H), 7.08 (t, J = 8.4 Hz, 1H), 6.96 (d, J = 2.8 Hz, 1H), 5.79 (d, J = 5.2 Hz, 1H), 3.38 (s, 3H), 2.80 (s, 3H).
N-(4-(5- 클로로피롤로[1,2-b]피리다진 -4- 일옥시 )-3- 플루오로페닐 )-2-(4- 플루오로페닐 )-1,5- 다이메틸 -3-옥소-2,3- 디히드로 -1H- 피리다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104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4-(5-클로로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다이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리다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09 (MH+). C25H18ClF2N5O3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 509.89.
1H NMR (600 MHz, CDCl3): 10.81 (br s, 1H), 7.90 (dd, J = 6.6, 2.4 Hz, 1H), 7.76 (d, J = 4.8 Hz, 1H), 7.63 (d, J = 3.0, 1H), 7.37 - 7.25 (m, 5H), 7.20 (t, J = 2.7, 1H), 6.72 (d, J = 2.4, 1H), 5.63 (d, J = 5.4, 1H), 3.36 (s, 3H), 2.80 (s, 3H).
N-(4-(5- 클로로피롤로[1,2-b]피리다진 -4- 일옥시 )-3- 플루오로페닐 )-1,5-디메틸-3-옥소-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105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4-(5-클로로피롤로[1,2-b]피리다진-4-일옥시)-3-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492 (MH+). C25H19ClFN5O3 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 491.90.
1H NMR (600 MHz, CDCl3): 10.89 (br s, 1H), 7.91 (dd, J = 12.3, 2.1 Hz, 1H), 7.76 (d, J = 7.2, 1H), 7.63 (d, J = 3.0 Hz, 1H), 7.57 (t, J = 7.8, 2H), 7.49 (t, J = 7.5, 1H), 7.36 (d, J = 8.4, 2H), 7.29 (d, J = 7.8, 1H), 7.19 (t, J = 8.7, 1H), 6.72 (d, J = 2.4, 1H), 5.64 (d, J = 5.4, 1H), 3.38 (s, 3H), 2.80 (s, 3H).
N-(3- 플루오로 -4-(2-(티오펜-2-일)-1H- 피롤로[2,3-b]피리딘 -4- 일옥시 ) 페닐 )-2-(4-플 루오로 페닐)-1,5-디메틸-3-옥소-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 아미드:
Figure pat00106
실시예 10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2-(티오펜-2-일)-1H-피롤로[2,3-b]피리딘-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 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58 (MH+). C29H21F2N5O3S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 557.57.
N-(3- 플루오로 -4-(2-(티오펜-3-일)-1H- 피롤로[2,3-b]피리딘 -4- 일옥시 ) 페닐 )-2-(4-플 루오로 페닐)-1,5-디메틸-3-옥소-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 아미드:
Figure pat00107
실시예 10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2-(티오펜-3일)-1H-피롤로[2,3-b]피리딘-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 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58 (MH+). C29H21F2N5O3S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 557.57.
N-(3- 플루오로 -4-(2-(4- 메톡시페닐 )-1H- 피롤로[2,3-b]피리딘 -4- 일옥시 ) 페닐 )-2-(4-플 루오 로페닐)-1.5-디메틸-3-옥소-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 아미드:
Figure pat00108
실시예 10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2-(4-메톡시페닐)-1H-피롤로[2,3-b]피리딘-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1.5-디메틸-3-옥소-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 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84 (MH+). C32H27F2N5O4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 583.58.
N-(3- 플루오로 -4-(2-(4- 메톡시페닐 )-1H- 피롤로[2,3-b]피리딘 -4- 일옥시 ) 페닐 )-1,5-디메틸-3-옥소-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109
실시예 10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2-(4-메톡시페닐)-1H-피롤로[2,3-b]피리딘-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66 (MH+). C32H28FN5O4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 565.59.
N-(3- 플루오로 -4-(2-(티오펜-3-일)-1H- 피롤로[2,3-b]피리딘 -4- 일옥시 ) 페닐 -1,5-디메틸-3-옥소-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110
실시예 10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2-(티오펜-3-일)-1H-피롤로[2,3-b]피리딘-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40 (MH+). C29H22FN5O3S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 539.58.
N-(3- 플루오로 -4-(2-(티오펜-2-일)-1H- 피롤로[2,3-b]피리딘 -4- 일옥시 ) 페닐 )-1,5-디메틸-3-옥소-2- 페닐 -2,3- 디히드로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아미드 :
Figure pat00111
실시예 10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N-(3-플루오로-4-(2-(티오펜-2-일)-1H-피롤로[2,3-b]피리딘-4-일옥시)페닐)-1,5-디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ESI pos. ion) m/z: 540 (MH+). C29H22FN5O3S의 정확한 질량 계산값 : 539.58.
활성 분석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리학적 특성은 다수의 약리학적 분석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다음의 대표적인 약리학적 분석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및/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수행되었다.
c-Met Luciferase assay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HGF 의 수용체인 c-Met 신호 전달체계에 미치는 약효를 측정하기 위해 PathDetect transreporting 시스템 [스트라타진 클로닝 시스템 주식회사 (Stratagene Cloning Systems Inc.) 제조]을 이용하였다. 상기 스트라타진 사의 pFR-Luc와 pFA2-Elk1 플라즈미드를 CHO (Chinese hamster ovarian) 세포에 감염시킨 후 G418 을 포함한 배지에서 자라는 세포들을 선택하여 안정한 세포군을 제조하였다. HGF의 신호전달에 잘 반응하는 클론을 루시퍼레이즈 에세이 시스템 [Luciferase Assay System, 프로메가 사 (Promega Corp.) 제조] 을 사용하여 선택하였다. 선택된 CHO세포는 인비트로진 (Invitrogen)의 200 ㎍/ml G418 를 함유한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에서 보관 유지시켰다.
루시퍼레이즈에세이는 다음과 같이 실행했다. 먼저, 0.5 mM EDT를 함유한 PBS를 이용하여 세포들을 떼어내고 침전시킨 후 그 세포들을 0.1% BSA를 함유한 F12 배지에서 넣었다. 웰당 45000개 정도의 세포를 폴리 D-라이신이 처리된 96 웰 각판에 집어 넣고 16시간 정도 자라게 했다. HGF [셀시그날 (Cell Signal)사로부터 구입]를 F12-BSA 배지에 희석시켜 10 ml를 각 웰에 담아 넣고 4~6시간 정도 배양시켰다. 루시퍼레이즈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브라이트 글로 (BrightGlo: 프로메가 제조)를 60ml 첨가한 후의 빅터2 (Victor2: 펄킨 엘머 (Perkin Elmer) 제조) 로 루미네센스 (luminescence) 를 측정하였다. 화합물 효능 테스트를 위해서는 50 ng/mL의 최종 농도로 HGF를 사용했다. F12-BSA 미디아를 이용하여 화합물을 희석시켜 각 웰에 10 ㎕를 넣고, 10분 반응시킨 후 350 ng/ml 의 HGF를 10 ㎕ 첨가했다. 4~6시간 배양 후 루시퍼레이즈의 활성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프리즘 (Prism: GraphPad Software, Inc. 제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그래프를 그리고 IC50를 측정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0.001~2 μM의 값으로 c-Met 키나제를 억제한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1.0 μ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μM 미만의 IC50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부 화합물들의 활성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cMet ELISA assay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들에 있어서 HGF 의 수용체인 cMet 신호(signaling)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람의 cMET 수용체를 발현하고 있는 세포주를 이용, 샌드위치 일라이자 (Sandwich ELISA)를 사용한 에세이를 하였다. A549 세포주를 96 웰 각판에 웰당 약 50,000 개씩 깔고 밤새 길렀다. 다음날 시럼 (FBS) 이 포함되지 않은 에세이용 미디아 (F-12 배지에 0.1% BSA 함유)로 바꾸고 밤새 길렀다. 다음날 화합물을 희석하여 준비한 후 세포에 넣고 10 분 동안 기다렸다. HGF 는 최종 농도를 500ug/ml 로 15 분 동안 반응시켰다. 한번 세척 후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 프로테아제(protease) 및 포스파타아제(phosphatase) 억제제 함유, Cell Signal)]로 세포를 파열시켰다.
이후 미리 cMET 에 대한 항체 (Cell Signal)로 코팅한 후 막아서 준비한 ELISA 판에 세포 추출물(extract)을 넣었다. 세척한 후 인산화 cMET(phospho cMET)에 대한 항체 (Cell Signal)를 넣고 반응시킨 후 HRP 가 붙은 2차 반응 항체로 인큐베이션(incubation)했다. 인산화된 cMET(phosphorylated cMET)은 LumiGlo (KPL)를 넣어 반응 정도를 측정했다.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화합물들의 ELISA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112
Figure pat00113
전술한 바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기재된 화합물로만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한 변형 및 변화도 또한 첨부된 청구항에 명시된 본 발명의 범주 및 특성 내에 있다.
상기한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용이하게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용도 및 조건에 적합하도록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화 및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본 발명에 따라 투여하는 경우, 어떠한 허용되지 않는 독성 효과도 예상되지 않는다.
언급된 모든 참조문헌, 특허, 출원 및 공보는 당해 기재된 바와 같이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Claims (1)

  1. 치료적 유효량의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 활성 억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천식, 알러지, 아토피 피부질환, 염증성 질환, 건선, 또는 류마티스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KR1020100037455A 2008-10-14 2010-04-22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KR201000517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00522 2008-10-14
KR1020080100522 2008-10-1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307A Division KR100961410B1 (ko) 2008-10-14 2009-08-20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782A true KR20100051782A (ko) 2010-05-18

Family

ID=421070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307A KR100961410B1 (ko) 2008-10-14 2009-08-20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KR1020100037455A KR20100051782A (ko) 2008-10-14 2010-04-22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307A KR100961410B1 (ko) 2008-10-14 2009-08-20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8957102B2 (ko)
EP (1) EP2336123A4 (ko)
JP (1) JP2012505874A (ko)
KR (2) KR100961410B1 (ko)
CN (1) CN102245595A (ko)
AU (1) AU2009304610B2 (ko)
BR (1) BRPI0920239A2 (ko)
CA (1) CA2739884A1 (ko)
NZ (1) NZ592136A (ko)
RU (1) RU2011114487A (ko)
WO (1) WO201004454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5016A (ko) 2008-10-14 2011-07-05 닝 시 화합물 및 사용 방법
EP2408300B1 (en) 2009-03-21 2016-05-11 Sunshine Lake Pharma Co., Ltd. Amino ester derivatives, salts thereof and methods of use
MY181439A (en) 2011-02-28 2020-12-22 Sunshine Lake Pharma Co Ltd Substituted quinolin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WI520962B (zh) * 2012-06-29 2016-02-11 As the c-Met tyrosine kinase inhibitors novel fused pyridine derivatives
US8969388B1 (en) * 2012-07-28 2015-03-03 Sunshine Lake Pharma Co., Ltd. Substituted pyrazolon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US8975282B2 (en) 2012-07-28 2015-03-10 Sunshine Lake Pharma Co., Ltd. Substituted pyrazolon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US9447105B2 (en) 2013-01-24 2016-09-20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Triazine compounds and a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101598664B1 (ko) * 2013-09-04 2016-03-02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피롤로피리다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
CN104876941B (zh) * 2014-02-28 2019-02-01 南京汇诚制药有限公司 稠合三环类化合物及其应用
EP3125920B1 (en) 2014-04-04 2020-12-23 Del Mar Pharmaceuticals Dianhydrogalactitol, diacetyldianhydrogalactitol or dibromodulcitol to treat non-small-cell carcinoma of the lung and ovarian cancer
US20150299219A1 (en) 2014-04-22 2015-10-22 Calitor Sciences, Llc Bicyclic pyrazolon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WO2016004272A1 (en) 2014-07-02 2016-01-07 Pharmacyclics Llc Inhibitors of bruton's tyrosine kinase
WO2018116072A1 (en) 2016-12-20 2018-06-28 Pi Industries Ltd. Heterocyclic compounds
CN111372925B (zh) 2017-11-24 2022-09-02 南京明德新药研发有限公司 作为c-MET/AXL抑制剂的尿嘧啶类化合物
CN107973362A (zh) * 2017-12-22 2018-05-01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基于水铝钙石同时去除水中氟和砷酸盐的方法及装置
CN110511218A (zh) * 2018-05-21 2019-11-29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一类并环吡唑啉酮甲酰胺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药物组合物和用途
KR20210106506A (ko) 2018-12-21 2021-08-30 셀진 코포레이션 Ripk2의 티에노피리딘 억제제
CN113248507A (zh) * 2020-02-09 2021-08-13 上海茂晟康慧科技有限公司 瑞德西韦关键中间体7-卤代吡咯并[1,2-f][1,2,4]三嗪-4-胺的合成方法
CN114573553B (zh) * 2022-01-27 2023-11-10 广州六顺生物科技有限公司 杂芳环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8290A1 (en) * 2004-06-28 2005-12-29 Borzilleri Robert M Fused heterocyclic kinase inhibitors
JO2787B1 (en) 2005-04-27 2014-03-15 امجين إنك, Alternative amide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JP2009529047A (ja) * 2006-03-07 2009-08-13 アレイ バイオファーマ、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ヘテロ二環系ピラゾ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使用
JP2010508325A (ja) 2006-10-30 2010-03-18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プロテインキナーゼの阻害剤として有用な3−アミノ−ピラゾール−4−カルボキサミド誘導体
ES2449482T3 (es) 2007-01-09 2014-03-19 Amgen Inc. Derivados de bis-aril-amida útiles para el tratamiento de cán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05874A (ja) 2012-03-08
CN102245595A (zh) 2011-11-16
KR100961410B1 (ko) 2010-06-09
AU2009304610A1 (en) 2010-04-22
US20120289509A1 (en) 2012-11-15
US20110183983A1 (en) 2011-07-28
US8957102B2 (en) 2015-02-17
NZ592136A (en) 2011-12-22
WO2010044543A2 (ko) 2010-04-22
KR20100041669A (ko) 2010-04-22
AU2009304610B2 (en) 2011-09-15
EP2336123A4 (en) 2012-05-02
RU2011114487A (ru) 2012-11-27
CA2739884A1 (en) 2010-04-22
EP2336123A2 (en) 2011-06-22
WO2010044543A3 (ko) 2010-06-24
BRPI0920239A2 (pt)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410B1 (ko)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US8236823B2 (en) Multi-cyclic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JP4782117B2 (ja) ピロロトリアジンキナーゼ阻害剤
AU2008219166B2 (en)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yl ketones and their use as c-Met inhibitors
JP5463033B2 (ja) タンパク質キナーゼ阻害薬としての置換アミド誘導体
KR101140474B1 (ko) 간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의 억제제로서 유용한 융합된 헤테로시클릭 유도체 및 사용 방법
EP1856058B1 (en) Phthalazine, aza- and diaza-phthalazin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ES2644873T3 (es) Derivados de 6-([1,2,4]triazolo[4,3-a]piridin-3-ilmetil)-1,6-naftiridin-5(6H)-ona como inhibidores de c-Met
ES2449482T3 (es) Derivados de bis-aril-amida útiles para el tratamiento de cáncer
KR20110039383A (ko) cMET 억제제
JP2009500347A (ja) ビスアリールキナーゼ阻害剤及びこれらの炎症、血管新生及び癌の治療における使用
JP2007518824A (ja) 化合物及び使用方法
JPWO2012008563A1 (ja) 含窒素芳香族複素環誘導体
EP3807264A1 (en) Modulators of 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 (sting)
MX2010012528A (es) Heterociclos como inhibidores de proteina cinasa.
CN116096708A (zh) 用作用于疗法的蛋白激酶抑制剂的2-氧代-n-(4-(嘧啶-4-基氧基/硫基)苯基)-1,2-二氢吡啶-3-甲酰胺的衍生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