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6336A -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6336A
KR20100046336A KR1020080105126A KR20080105126A KR20100046336A KR 20100046336 A KR20100046336 A KR 20100046336A KR 1020080105126 A KR1020080105126 A KR 1020080105126A KR 20080105126 A KR20080105126 A KR 20080105126A KR 20100046336 A KR20100046336 A KR 20100046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socket
housing
cap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8334B1 (ko
Inventor
손수
Original Assignee
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수 filed Critical 손수
Priority to KR1020080105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334B1/ko
Publication of KR20100046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3/195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렌즈(12), 커버(16), 전구(30)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렌즈(12)와 커버(16)를 전방면으로 결합되고, 후방면에 나선부(22)와 안내홈부(25)를 구비하는 하우징(20); 상기 전구(30)와 전방면으로 결합되고, 외주면에 패킹(55)을 구비하는 소켓(40); 및 상기 소켓(40)을 전방면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하우징(20)의 후방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소켓(40)의 외주면에는 하우징(20)의 안내홈부(25)와 맞물리는 활주돌부(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구를 후방의 캡에 결합시키는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적절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전구의 교체와 조사 상태를 조절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80105126
차량, 램프, 전구, 조명, 소켓, 초점

Description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Bulb holding construction for automobile lamp}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조명등으로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전구의 교체와 조사 상태를 조절하기 용이한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차량에는 전조등을 비롯한 다양한 조명등이 구비되지만 트럭과 같은 차량에는 후방 및 적재함 하단을 조사하는 조명을 구비하기도 한다. 이 경우 전방의 유리커버에서 후방의 캡에 이르기까지 기밀이 유지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전구를 교체하거나 조명의 조사 상태를 조절하기도 용이해야 한다.
일예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2000-0002138호에 의하면 핀스프링(20)의 U 자형상의 절곡부(21) 및 연장된 자유고정단(22)을 상기 스프링리테인부(100) 및 스프링단부걸림부(110)에 걸어 고정함에 따라 종래의 볼트 고정의 전구장착판(10)의 램프하우징(1)으로의 장착구성에 비하여 조립 및 교체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유용성을 가지는 것으로 기재된다.
다른 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01683호에 의하면 걸림부(10), 연장 부(20), 단턱(11), 체결홀(21), 걸림턱(32) 등의 구성을 활용하여 안개등 하우징을 차체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렌즈를 하우징으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하여 전구 등의 교체를 편리하게 행할 수 있으며, 렌즈를 설치하기 위한 부품을 줄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기재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성을 채용하더라도 하우징 후방의 캡을 풀어 놓은 다음 작업해야 하므로 야간에 캡을 분실 또는 파손할 우려가 있어 전구 교체에 불편이 따르고 이에 더하여 전구의 초점을 변동하면서 조사 상태를 조절하는 기능까지 기대하기는 곤란하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공개특허 제2000-0002138호 “자동차 헤드램프 체결어셈블리”
[문헌2]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01683호 “차량 안개등의 하우징과 랜즈 설치구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조명등으로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전구의 교체와 조사 상태를 조절하기 용이한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렌즈(12), 커버(16), 전구(30)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렌즈(12)와 커버(16)를 전방면으로 결합되고, 후방면에 나선부(22)와 안내홈부(25)를 구비하는 하우징(20); 상기 전구(30)와 전방면으로 결합되고, 외주면에 패킹(55)을 구비하는 소켓(40); 및 상기 소켓(40)을 전방면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하우징(20)의 후방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켓(40)의 외주면에는 하우징(20)의 안내홈부(25)와 맞물리는 활주돌부(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캡(50)은 회전 중심의 체결부(58)에서 상대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소켓(40)과 볼트(48)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렌즈(12), 커버(16), 전구(30)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렌즈(12)와 커버(16)를 전방면으로 결합되고, 후방면에 걸림턱부(24)를 구비하는 하우징(20); 상기 전구(30) 와 전방면으로 결합되는 소켓(60); 및 상기 소켓(60)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20)에 맞물리는 캡(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캡(70)은 하우징(20)의 후방면의 걸림턱부(24)와 맞물리는 걸림턱부(7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는 전구를 후방의 캡에 결합시키는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적절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전구의 교체와 조사 상태를 조절하기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램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1요부의 결합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2요부의 결합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제3요부의 결합 상태를 배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램프의 결합 상태를 부분 절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램프의 결합 상태를 종단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렌즈(12), 커버(16), 전구(30)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에 관련된다. 렌즈(12)는 커버(16)에 수용되어 차량용 램프의 전방부를 구성한다. 이외에 전구(30)의 후방으로 반사경(14)이 설치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의 차량용 램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방면에 나선부(22)와 안내홈부(25)를 구비하는 하우징(20)이 상기 렌즈(12)와 커버(16)를 전방면으로 결합된다. 하우징(20)은 커버(16)와 동일한 수지제로 성형되며, 전방부의 나선부를 이용하여 커버(16)와 긴밀하게 결합된다. 하우징(20)의 후방면에 형성되는 나선부(22)와 안내홈부(25)는 후술하는 캡(50)과 소켓(40)의 연결을 위한 설계요소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외주면에 패킹(55)을 구비하는 소켓(40)이 상기 전구(30)와 전방면으로 결합된다. 소켓(40)은 전구(30)를 수용하며 통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볼트(38)를 이용하여 전구(30)와 결합된다. 전구(30)는 몸체 상에 지지판(32)을 부착하고 볼트(38)로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55)은 오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소켓(40)의 외주면 단턱(도면번호 미부여)에 끼워진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소켓(40)의 외주면에는 하우징(20)의 안내홈부(25)와 맞물리는 활주돌부(45)를 구비한다. 안내홈부(25)는 하우징(20)의 후방면에 축방향 으로 형성되는 홈이고, 활주돌부(45)는 소켓(40)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돌기이다. 안내홈부(25)와 활주돌부(45)는 미끄럼 운동이 원활하도록 헐거운 끼워맞춤의 공차를 유지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켓(40)을 전방면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캡(50)이 하우징(20)의 후방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캡(50)은 하우징(20)의 나선부(22)에 체결되며, 내면에 볼트(48)를 이용하여 소켓(40)을 직선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캡(50)은 회전 중심의 체결부(58)에서 상대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소켓(40)과 볼트(48)로 체결된다. 캡(50)의 내면 중앙에는 체결부(58)가 형성된다. 소켓(40)은 체결부(58) 상에 볼트(48)로 고정하지만, 체결부(58)는 소켓(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소켓(40)은 체결부(58)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볼트(48)에 의해 캡(50)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조립에 있어서, 하우징(20)의 전방으로 커버(16), 렌즈(12), 반사경(14)이 결합되고 하우징(20)의 후방으로 전구(30), 소켓(40), 캡(50)이 결합되면 램프의 결합체가 완성된다. 사용에 있어서, 캡(50)을 회전하면 하우징(20)과의 간격이 변동되고, 이에 연동하여 소켓(40)과 전구(30)의 위치 변동이 유발된다. 비록 캡(50)을 회전하더라도 소켓(40)은 안내홈부(25)에 맞물린 활주돌부(45)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직선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전구(30)의 위치 변동은 렌즈(12)와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캡(50)의 초점거리 변동폭은 크지 않아도 무방하며 이 과정에서 패킹(55)에 의해 기밀성은 계속 유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램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요부에 대한 결합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요부에 대한 결합 상태를 배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도 렌즈(12), 커버(16), 전구(30)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에 관련된다. 이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의 램프에 적용될 수 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렌즈(12)와 커버(16)를 전방면으로 결합하는 하우징(20)이 후방면에 걸림턱부(24)를 구비한다. 걸림턱부(24)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나선부(22)를 대체할 수 있는 결합수단으로서 비교적 작은 각도 범위에서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의미한다.
또, 본 발명의 소켓(60)은 상기 전구(30)와 전방면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소켓(60) 전방면에 전구(30)를 구비하여 통전하는 방식은 동일하며 다만 소켓(60)의 설치위치가 하우징(20)이 아닌 후술하는 캡(70)으로 설정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켓(60)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20)에 맞물리는 캡(7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캡(70)은 하우징(20)의 후방면의 걸림턱부(24)와 맞물리는 걸림턱부(74)를 구비한다. 걸림턱부(24)(74)는 외주면상에 요홈과 돌기가 일정 각도 범위만 형성되는 구조로 맞물려 결합된다. 본 발명의 캡(70)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내면의 체결부상에 소켓(60)이 볼트로 고정된다.
다만, 제2실시예의 경우 캡(70)을 회전하여 소켓(60)을 직선 이동하고 전 구(30)의 초점을 조절하는 기능은 제외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는 전구(30)가 캡(50)(70) 상에 고정되는 방식이므로 주위가 어둡거나 혼란스런 상태라도 캡(50)(70)을 분리하여 손에 들고 전구(30)를 교체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램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1요부의 결합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2요부의 결합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제3요부의 결합 상태를 배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램프의 결합 상태를 부분 절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램프의 결합 상태를 종단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램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요부에 대한 결합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요부에 대한 결합 상태를 배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하우징 22: 나선부
24: 걸림턱부 25: 안내홈부
30: 전구 32: 지지판
35: 안내홈부 38, 48: 볼트
40: 소켓 45: 활주돌부
50: 캡 52: 나선부
55: 패킹 58: 체결부
60: 소켓 70: 캡
74: 걸림턱부

Claims (5)

  1. 렌즈(12), 커버(16), 전구(30)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렌즈(12)와 커버(16)를 전방면으로 결합되고, 후방면에 나선부(22)와 안내홈부(25)를 구비하는 하우징(20);
    상기 전구(30)와 전방면으로 결합되고, 외주면에 패킹(55)을 구비하는 소켓(40); 및
    상기 소켓(40)을 전방면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하우징(20)의 후방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40)의 외주면에는 하우징(20)의 안내홈부(25)와 맞물리는 활주돌부(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50)은 회전 중심의 체결부(58)에서 상대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소켓(40)과 볼트(48)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
  4. 렌즈(12), 커버(16), 전구(30)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렌즈(12)와 커버(16)를 전방면으로 결합되고, 후방면에 걸림턱부(24)를 구비하는 하우징(20);
    상기 전구(30)와 전방면으로 결합되는 소켓(60); 및
    상기 소켓(60)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20)에 맞물리는 캡(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70)은 하우징(20)의 후방면의 걸림턱부(24)와 맞물리는 걸림턱부(7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
KR1020080105126A 2008-10-27 2008-10-27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 KR101058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126A KR101058334B1 (ko) 2008-10-27 2008-10-27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126A KR101058334B1 (ko) 2008-10-27 2008-10-27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336A true KR20100046336A (ko) 2010-05-07
KR101058334B1 KR101058334B1 (ko) 2011-08-24

Family

ID=4227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126A KR101058334B1 (ko) 2008-10-27 2008-10-27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3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670Y1 (ko) 2011-04-08 2012-09-21 주식회사 신흥 램프방향조절부가 구비된 치과용 조명장치
KR200464627Y1 (ko) 2011-04-08 2013-01-10 주식회사 신흥 램프초점조절부가 구비된 치과용 조명장치
KR200475728Y1 (ko) * 2013-10-31 2014-12-2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9803A (ja) * 1996-08-28 1998-03-10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JPH10326504A (ja) * 1997-05-23 1998-12-08 Kanto Auto Works Ltd ランプ取付け構造
KR200397000Y1 (ko) 2005-07-12 2005-09-28 손성근 차량 조명등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8334B1 (ko)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264101A (ja) ランプ一体型フロントグリル
US20130141930A1 (en) Vehicular headlamp
US5331521A (en) Motor vehicle headlamp fitted with improved fixing means
KR101058334B1 (ko)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
JP2016512385A (ja) 自己配置光源モジュール
TWI585338B (zh) 包含最佳化調整手段之照明及/或信號裝置
CN107166289B (zh) 一种车用照明灯
KR100438263B1 (ko) 차량용 등기구
JP2009026763A (ja) 車両用内部照明補正器、及び照明及び/又は信号装置
KR100349966B1 (ko) 자동차용 등기구
US6796693B2 (en) 180-degree adjuster
JP2000062526A (ja) 車輌用前照灯
JP4479369B2 (ja) 照明装置
JPH0716243Y2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
JPS6318082Y2 (ko)
JP5545936B2 (ja) 車輌用灯具及びバックカバー
CN218858291U (zh) 防冲击波车用远近光灯
JPH0512886Y2 (ko)
CN201116678Y (zh) 车用投影灯
JP2009140796A (ja) 車両用灯具
JPH0511726Y2 (ko)
JP2005129287A (ja) 室内照明灯
KR200146215Y1 (ko) 와셔의 탄력을 이용한 자동차 전조등의 전구 체결장치
JPH046085Y2 (ko)
JPH0789441B2 (ja) 車輌用前照灯の電球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