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728Y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728Y1
KR200475728Y1 KR2020130008964U KR20130008964U KR200475728Y1 KR 200475728 Y1 KR200475728 Y1 KR 200475728Y1 KR 2020130008964 U KR2020130008964 U KR 2020130008964U KR 20130008964 U KR20130008964 U KR 20130008964U KR 200475728 Y1 KR200475728 Y1 KR 200475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ulb
bulb portion
hold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라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라이텍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8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7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7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벌브부의 조립 및 벌브부와 커넥터 사이의 결합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을 조사하는 벌브부, 상기 벌브부에 결합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가 결합된 상기 벌브부가 회전 체결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며, 상기 벌브부의 회전 체결시 상기 벌브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커넥터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Lamp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벌브부의 조립 및 벌브부와 커넥터 사이의 결합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전술한 차량용 램프들을 이루는 구성 요소로는 렌즈, 렌즈 내부에 위치하며 광을 조사하는 벌브부가 결합되는 홀더부, 벌브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전원이나 제어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커넥터 등을 포함하며, 리플렉터를 통해 벌브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게 된다.
이 중에서 벌브부와 커넥터 사이의 결합은 커넥터를 별도로 형성하고, 벌브부를 홀더부에 결합시킬 때 벌브부의 단자가 커넥터와 결합되도록 하게 되는데, 일 예로 커넥터를 홀더부의 일측에 형성하고 벌브부를 홀더부에 회전 체결시킬 때 벌브부의 단자가 커넥터와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벌브부를 홀더부에 회전 체결시켜 벌브부와 홀더부를 결합시키는 경우, 벌브부의 회전 각도가 부족하게 되면 벌브부의 단자와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촉 불량이 발생하거나 스파크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단자 결합 부위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벌브부를 홀더부에 결합시킬 때 벌브부와 커넥터 사이의 불안정한 결합으로 인하여 구성 요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특허공보 제2787796호 (1998.06.05.)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벌브부를 홀더부에 결합하기 이전에 벌브부 및 커넥터를 완전히 결합시켜 벌브부가 홀더부에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않아 벌브부 및 커넥터가 불안정하게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홀더부에 커넥터를 지지하는 동시에 커넥터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커넥터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커넥터가 결합된 벌브부와 홀더부의 용이한 결합이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을 조사하는 벌브부, 상기 벌브부에 결합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가 결합된 상기 벌브부가 회전 체결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며, 상기 벌브부의 회전 체결시 상기 벌브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커넥터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벌브부를 홀더부에 결합시키기 이전에 벌브부에 커넥터를 완전히 결합시킴으로써, 벌브부가 홀더부에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벌브부와 커넥터 사이의 불안정한 결합을 사전에 방지하여 벌브부 및 커넥터 사이의 접촉 불량 등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더부에 형성된 커넥터 지지부를 통해 커넥터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여 용이한 결합이 가능하게 하고, 벌브부의 역회전으로 인한 커넥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부 및 홀더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체결 이전의 벌브부 및 홀더부가 도시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체결 이전의 벌브부 및 홀더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체결 이후의 벌브부 및 홀더부가 도시된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체결 이후의 벌브부 및 홀더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지지부가 도시된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부 및 벌브 홀더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리플렉터(100), 벌브부(200), 홀더부(300), 커넥터(400) 및 커넥터 지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플렉터(100)는 내부에 벌브부(200)의 일측이 위치할 수 있으며, 리플렉터(100)의 내부로 벌브부(20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 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리플렉터(100)는 벌브부(200)로부터 조사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내부면에 알루미늄 등과 같은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반사면이 증착 등의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리플렉터(100)의 전방에는 리플렉터(100)에 의해 반사된 광이나 벌브부(200)로부터 조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쉴드나 차량 외부로 광이 투사되도록 하는 렌즈 등과 같이 차량용 램프(1)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벌브부(200)는 전원이나 제어 신호의 인가를 위한 단자부(211, 2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벌브부(200)는 단자부(211, 212)가 후술할 커넥터(400)에 형성된 단자 결합부(411, 412)에 삽입되어 커넥터(4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단자부(211, 212) 및 단자 결합부(411, 412)가 각각 두 개가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자부(211, 212) 및 단자 결합부(411, 412)의 개수나 형성 위치는 신호의 종류나 레이 아웃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단자부(211, 212) 및 단자 결합부(411, 412)의 형성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 벌브부(200)와 결합되는 커넥터(400)의 결합 방향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벌브부(200)에 단자부(211, 212)가 형성되고, 커넥터(400)에 단자부(211, 212)와 결합되는 단자 결합부(411, 412)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자부(211, 212)가 커넥터(400)에 형성되고, 단자 결합부(411, 412)가 벌브부(2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홀더부(300)는 벌브부(200)가 회전 체결될 수 있으며, 벌브부(200)의 일측이 리플렉터(100)의 삽입 홀(110)을 통해 리플렉터(1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리플렉터(10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리플렉터(100)에 결합 홈(120)이 형성되고, 스크류 등의 결합 부재(310)가 홀더부(300)에 형성된 결합 홀(320)을 통해 결합 홈(120)에 결합되어 홀더부(300)가 리플렉터(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홀더부(300)는 후크 결합이나 접착제 등을 통해 리플렉터(10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리플렉터(100)와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홀더부(300)는 벌브부(20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330)이 형성되며, 중공(330)의 외주단 중 적어도 일부에는 벌브부(200)의 회전 체결시 벌브부(200)를 회전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340)가 중공(330)의 내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340)가 중공(330)의 외주단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고, 가이드부(340)가 복수로 형성된 경우 각 가이드부(340) 사이의 이격된 틈을 삽입 홈(341)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가이드부(340)는 중공(330)의 외주단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가이드부(340)는 벌브부(200)가 회전 체결시 회전되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벌브부(200)에는 삽입 홈(341)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벌브부(200)는 체결부(220)가 삽입 홈(341)에 삽입된 다음 회전되어 홀더부(30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220)는 도 4와 같이, 벌브부(200)가 홀더부(300)에 회전 체결되었을 때 가이드부(340)의 양면에 각각 위치하며, 그 사이로 가이드부(340)의 일단이 이동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지지부(221) 및 탄성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지지부(221)는 가이드부(340)의 일면, 즉 리플렉터(100)를 향하는 면과 접촉되도록 위치가 고정되어 형성되고, 탄성부(222)는 일단이 벌브부(20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가이드부(340)의 타면에 접촉되도록 위치하여 가이드부(340)의 두께에 따라 압축 또는 이완되면서 가이드부(340)의 타면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지지부(221)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부(340)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탄성부(222)가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커지게 되어 벌브부(200)가 홀더부(300)에 회전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지지부(221)는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부(340)의 일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탄성부(222)는 일단이 가이드부(340)의 타면에 접촉되도록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부(221) 및 탄성부(222)는 가이드부(340)의 일단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고, 가이드부(340)의 두께에 따라 탄성력을 가변되어 벌브부(200)가 홀더부(300)에 회전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면 지지부(221) 및 탄성부(222)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체결 이전의 벌브부 및 홀더부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에에 따른 회전 체결 이전의 벌브부 및 홀더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체결 이후의 벌브부 및 홀더부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체결 이후의 벌브부 및 홀더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홀더부(300)에 벌브부(200)를 회전 체결시키기 위해서는 삽입 홈(341)에 체결부(220)를 삽입하게 되며, 구체적으로 가이드부(340)의 일단이 체결부(220)의 지지부(221) 및 탄성부(222) 사이에 위치하도록 벌브부(200)의 일단을 홀더부(300)의 중공(330)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도 5 및 도 6에서 벌브부(200)의 일단을 홀더부(300)의 중공(330)에 삽입하는 시점에서 커넥터(400)는 이미 벌브부(20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220)를 삽입 홈(341)에 삽입한 다음, 전술한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벌브부(200)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7 및 도 8과 같이 지지부(221) 및 탄성부(222)가 가이드부(340)의 양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가이드부(340)의 두께가 변함에 따라 탄성부(222)가 압축되면서 탄성부(222)로부터 발생되는 탄성력이 커지게 되어 벌브부(200)가 홀더부(300)에 회전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커넥터(400)는 벌브부(20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거나 벌브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가 벌브부(200)에 인가되도록 전술한 단자부(211, 212) 및 단자 결합부(411, 412)의 결합을 통해 벌브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 장치나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컨트롤러 등과 직접 연결되거나 별도의 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커넥터(400)는 벌브부(200)를 홀더부(300)에 회전 체결하기 이전에 벌브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커넥터(400)는 벌브부(200)의 일단을 홀더부(300)의 중공(330)에 삽입하기 이전에 벌브부(200)와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커넥터(400)를 홀더부(300)에 벌브부(200)를 회전 체결시키기 이전에 벌브부(200)에 결합시키는 것은 벌브부(200)의 회전 체결과 동시에 커넥터(400)와 결합되도록 하는 경우 벌브부(200)의 회전 각도가 부족하면 벌브부(200) 및 커넥터(400)가 불안정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접촉 불량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동작하지 못하거나 스파크 등으로 인한 부품들의 파손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벌브부(200)에 커넥터(400)를 완전히 결합시킨 상태에서 벌브부(200)를 홀더부(300)에 회전 체결시키기 때문에 벌브부(200)의 회전 각도가 부족하여 홀더부(300)에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은 상태라 할지라도 벌브부(200) 및 커넥터(400) 사이의 불안정한 결합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커넥터 지지부(500)는 홀더부(300)의 일측에 사출 공정 등을 통해 홀더부(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400)가 결합된 벌브부(200)를 홀더부(300)에 회전 체결시킬 때 커넥터(400)를 지지하고, 벌브부(2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지지부(500)가 홀더부(3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커넥터 지지부(500)는 홀더부(300)와 별도로 형성되어 나사 결합, 후크 결합 및 접착제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홀더부(300)와 결합될 수도 있다.
커넥터 지지부(500)는 벌브부(200)의 회전 체결이 완료되었을 때 커넥터(400)의 위치(이하, "정위치"라 함) 부근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커넥터 지지부(500)는 "L"자 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커넥터 지지부(500)는 용도 및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커넥터 지지부(500)는 벌브부(200)의 회전 체결시 커넥터(400)의 회전 경로와 소정 각도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 각도 제한부(510) 및 커넥터(400)가 정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400)의 일면, 예를 들어 하면이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커넥터(400)가 홀더부(30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정위치라 하고, 회전 각도 제한부(510)는 커넥터(400)의 회전 경로와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안착부(520)는 커넥터(400)가 정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400)의 하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L"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벌브부(200)의 회전 체결이 완료되었을 때 커넥터(400)의 위치에 따라 커넥터 지지부(5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지지부(500)는 벌브부(200)가 홀더부(300)에 회전 체결될 때 회전 각도 제한부(510)를 통해 커넥터(400)가 정위치를 초과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벌브부(200)가 정해진 회전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안착부(520)를 통해 커넥터(400)를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안착부(520)의 일단에는 커넥터(400)가 정위치에 있을 때 정위치로부터 이탈, 즉 벌브부(200)가 역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이탈 방지 돌기부(5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 방지 돌기부(521)는 커넥터(400)가 정위치까지 회전된 경우 커넥터(400)의 일측에 걸리도록 후크 결합되어 벌브부(200)가 홀더부(300)에 회전 체결될 때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커넥터(400)가 커넥터 지지부(5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이탈 방지 돌기부(521)에 의해 커넥터(400)가 커넥터 지지부(5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은 차량 운행 도중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한 이탈을 방지할 정도로 구현될 수 있으며, 벌브부(200)의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해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질 경우 커넥터(400)는 커넥터 지지부(500)로부터 이탈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탈 방지 돌기부(521)는 커넥터(400)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벌브부(200)의 회전 체결시 체결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벌브부(200)를 홀더부(300)에 회전체결시킬 때 커넥터(400)의 일측이 이탈 방지 돌기부(521)에 걸릴때까지 회전시키는 경우 벌브부(200)가 홀더부(300)에 정확하게 회전 체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벌브부(200)의 체결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회전 각도 제한부(510) 및 안착부(520)의 일단이 서로 수직하게 연결되어 형성되며, 커넥터(4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거나 지지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각도 제한부(510) 및 안착부(520)는 경우에 따라 어느 하나만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가이드부(340)의 일단에 벌브부(200)의 회전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부(342)를 형성하는 경우 벌브부(200)의 회전 각도가 돌출부(342)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도 9와 같이 가이드부(340)의 일단에 돌출부(342)가 형성된 경우, 체결부(220)의 지지부(221)가 벌브부(200)의 회전 체결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돌출부(342)에 걸리기 때문에 벌브부(200)가 정해진 회전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도 9와 같이, 벌브부(200)의 회전 각도가 가이드부(340)의 일단에 형성된 돌출부(342)에 의해 제한되는 경우, 도 10과 같이 커넥터 지지부(520)에서 회전 각도 제한부(510)가 생략되고, 안착부(520)만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회전 각도 제한부(510)의 생략으로 인해 커넥터(400)가 양방향으로 회전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술한 이탈 방지 돌기부(521)가 안착부(52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도 9에서는 가이드부(340)의 일단에 돌출부(342)가 형성되어 벌브부(2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342)의 형성 위치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9 및 도 10에서는 돌출부(342)를 형성하고 회전 각도 제한부(510)를 생략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342) 및 회전 각도 제한부(510)를 모두 형성하여 벌브부(200)의 회전 각도를 보다 정확하게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벌브부(200)를 홀더부(300)에 회전 체결하기 이전에 커넥터(400)를 벌브부(200)와 결합시키기 때문에 벌브부(200)의 회전 각도 부족 등으로 인하여 홀더부(300)에 불안정하게 체결된 경우에도 벌브부(200) 및 커넥터(400)의 접촉 불량으로 인한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커넥터 지지부(500)를 통해 벌브부(2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고 커넥터(4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리플렉터
110: 삽입 홀
120: 결합 홈
200: 벌브부
211, 212: 단자부
300: 홀더부
310: 결합 부재
320: 결합 홀
330: 중공
340: 가이드부
341: 삽입 홈
342: 돌출부
400: 커넥터
411, 412: 단자 결합부
500: 커넥터 지지부
510: 회전 각도 제한부
520: 안착부
521: 이탈 방지 돌기부

Claims (9)

  1. 광을 조사하는 벌브부;
    상기 벌브부에 결합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가 결합된 상기 벌브부가 회전 체결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며, 상기 벌브부의 회전 체결시 상기 벌브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커넥터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지지부는,
    상기 벌브부의 회전 체결시 상기 커넥터의 회전 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커넥터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회전 각도 제한부; 및
    상기 커넥터의 일면이 안착되도록 상기 회전 각도 제한부의 일단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부 및 상기 커넥터 중 어느 하나에는 단자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단자부와 결합되는 단자 결합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일단에 이탈 방지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탈 방지 돌기부는,
    상기 안착된 커넥터의 일측과 후크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지지부는,
    "L" 자 형상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벌브부의 일단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외주단에는,
    상기 벌브부의 회전 체결시 상기 벌브부에 형성된 체결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벌브부의 회전 체결시 상기 가이드부의 일면에 위치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타면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부의 두께에 따른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벌브부의 회전 체결 방향으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벌브부의 회전 체결시 상기 체결부의 일단과 인접한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2020130008964U 2013-10-31 2013-10-31 차량용 램프 KR200475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964U KR200475728Y1 (ko) 2013-10-31 2013-10-31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964U KR200475728Y1 (ko) 2013-10-31 2013-10-31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728Y1 true KR200475728Y1 (ko) 2014-12-29

Family

ID=5357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964U KR200475728Y1 (ko) 2013-10-31 2013-10-31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72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067U (ko) * 1998-12-14 2000-07-05 홍종만 차량용 할로겐 램프 고정장치
KR101058334B1 (ko) * 2008-10-27 2011-08-24 손수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067U (ko) * 1998-12-14 2000-07-05 홍종만 차량용 할로겐 램프 고정장치
KR101058334B1 (ko) * 2008-10-27 2011-08-24 손수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8270C2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кронштейн для датчик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H1145604A (ja) 前照灯灯具
KR200475728Y1 (ko) 차량용 램프
KR20150131787A (ko) 차량용 램프
KR20140107950A (ko) 차량용 램프
CN105444085A (zh) 一种具有遮光装置的光线收集装置及前照灯
KR20160015904A (ko) 차량용 램프
KR101929737B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102132870B1 (ko) 차량용 램프
CN205174192U (zh) 一种具有遮光装置的光线收集装置及前照灯
KR20210001525U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20150107177A (ko) 차량용 램프
KR20160066405A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200480824Y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200483319Y1 (ko) 차량용 램프
KR101731779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KR200487032Y1 (ko) 차량용 램프
KR101674495B1 (ko) 차량용 램프
KR20180136313A (ko) 차량용 램프
KR200493836Y1 (ko) 차량용 램프
KR200478708Y1 (ko)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모듈
KR20180075963A (ko) 차량용 램프
KR20170001904U (ko) 차량용 램프
KR101827729B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JP6760828B2 (ja) 車両用灯具における導光棒の組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