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525U -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525U
KR20210001525U KR2020190005275U KR20190005275U KR20210001525U KR 20210001525 U KR20210001525 U KR 20210001525U KR 2020190005275 U KR2020190005275 U KR 2020190005275U KR 20190005275 U KR20190005275 U KR 20190005275U KR 20210001525 U KR20210001525 U KR 202100015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unit
retainer
aim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경배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5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525U/ko
Publication of KR202100015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52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는 램프 유닛의 에이밍 지점에 형성된 결합 홀에 삽입되어 상기 램프 유닛과 결합되는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와 결합되어 상기 램프 유닛의 에이밍이 수행되도록 하는 피봇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피봇 유닛의 피봇 헤드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중공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피봇 헤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연장부, 상기 결합 홀의 내주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연장부의 외측면에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단차부 및 상기 복수의 연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피봇의 헤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Aiming apparatus of lamp for vehicle}
본 고안의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 유닛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헤드 램프는 차량의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여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때, 차량 운행 도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헤드 램프의 광 조사 방향이 원래 설정된 방향과 다르게 변경된 경우,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하거나 시야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광 조사 방향을 원래 설정된 방향으로 조정하는 에이밍(aiming)의 수행이 요구된다.
에이밍은 운전자가 직접 수동으로 에이밍 스크류를 조작하여 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할 수도 있고, 액추에이터 등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에이밍은 헤드 램프의 기준 지점을 기준으로 헤드 램프의 에이밍 지점의 위치를 변경하여 헤드 램프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켜 수행될 수 있으며, 헤드 램프의 에이밍 지점에는 에이밍의 수행을 위하여 피봇 구조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피봇 구조는 구형의 피봇 헤드를 가지는 피봇 유닛과 피봇 헤드를 수용하는 리테이너로 구성되며, 차량 운행 도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리테이너로부터 피봇 유닛이 이탈되는 경우 헤드 램프의 처짐이나 진동 등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피봇 유닛이 리테이너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2134호 (2009.06.17. 공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봇 결합되는 피봇 유닛이 리테이너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는 램프 유닛의 에이밍 지점에 형성된 결합 홀에 삽입되어 상기 램프 유닛과 결합되는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와 결합되어 상기 램프 유닛의 에이밍이 수행되도록 하는 피봇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피봇 유닛의 피봇 헤드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중공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피봇 헤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연장부, 상기 결합 홀의 내주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연장부의 외측면에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단차부 및 상기 복수의 연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피봇의 헤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장부는, 상기 단차부로부터 상기 피봇 헤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결합 가이드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장부는,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결합 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결합 가이드부에 맞닿는 상기 결합 홀의 내주단에 의해 가해지는 힘으로 인하여 탄성 변형되고, 상기 결합 홀의 내주단이 상기 단차부에 삽입될 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탄성 변형 및 복원되는 복수의 연장부의 형상에 따라 탄성 변형 및 복원될 수 있다.
상기 결합 가이드부는 상기 피봇 헤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결합 가이드부에서 상기 피봇 헤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리테이너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는 헤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가이드부의 폭은 상기 연결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 가이드부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가이드부의 외면은 단곡면 영역과 복합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곡면 영역은 상기 결합 가이드부의 외면 중에서 상기 단차측에 위치하여 단차측과 연결되고, 상기 단곡면 영역은 상기 결합 가이드부의 외면 중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 측에 위치하여 상기 이탈 방지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고 있어 피봇의 과도한 움직임에 리테이너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홀에 결합된 리테이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의 결합 과정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피봇 유닛의 결합 과정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홀의 중심 및 피봇 헤드의 중심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4는 피봇 헤드가 이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들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1)(이하, "에이밍 장치"라 함)는 리테이너(100) 및 피봇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램프 유닛(300)의 광 조사 방향이 차량 운행 도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설정 방향과 다르게 변경되는 경우, 광 조사 방향이 설정 방향으로 조정되도록 하는 에이밍을 수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에이밍 장치(1)는 램프 유닛(300)의 기준 지점(RP)을 기준으로 램프 유닛(300)의 에이밍 지점(AP)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램프 유닛(300)이 기준 지점(RP)을 기준으로 소정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에이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지점(RP)은 위치가 고정되는 지점으로서, 램프 유닛(300)이 에이밍 지점(AP)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회전될 수 있도록 피봇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에이밍 지점(AP)이 기준 지점(RP)의 측방에 위치하여 에이밍 지점(AP)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램프 유닛(300)이 기준 지점(RP)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에이밍이 수행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기준 지점(RP) 및 에이밍 지점(AP)은 전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준 지점(RP) 및 에이밍 지점(AP)의 위치에 따라 램프 유닛(300)은 상하 방향이나 대각선 방향 등과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에이밍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에이밍 지점(AP)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한다는 것은 램프 유닛(300)으로부터 렌즈(321)를 통해 광이 조사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가정하는 경우의 방향으로서, 램프 유닛(300)이 설치되는 위치나 방향에 따라 전방이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램프 유닛(300)은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 등과 같은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차량의 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램프 유닛(300)은 헤드 램프의 용도뿐만 아니라,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백업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그 램프, 주간 주행 램프, 포지션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램프 유닛(300)은 일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램프 하우징(310) 및 램프 하우징(310)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어 그 내부에 램프 유닛(300)의 용도에 적합한 광이 발생되는 광원을 포함한 각종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광원 유닛(미도시)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렌즈 유닛(3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렌즈 유닛(320)은 렌즈(321) 및 렌즈(321)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322)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유닛(300)이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램프 유닛(300)은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소정의 컷 오프 라인을 가지는 로우 빔 패턴이나 차량 전방의 원거리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하이 빔 패턴 등과 같은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에이밍 장치(1)는 광 조사 방향이 설정 방향과 다르게 변경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거나 시야가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광 조사 방향을 설정 방향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리테이너(100)는 램프 유닛(300)의 에이밍 지점(AP)에 결합될 수 있으며, 램프 유닛(300)은 에이밍 지점(AP)에 리테이너(100)가 결합되는 결합 홀(3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결합 홀(330)이 렌즈 홀더(322)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 홀(330)은 램프 유닛(300)의 에이밍이 가능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100)는 베이스부(110), 복수의 연장부(120), 복수의 고정편(130), 이탈 방지부(140)(1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피봇 유닛(200)의 일단에 형성되는 피봇 헤드(210)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11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장부(120)는 중공(111)의 테두리로부터 피봇 헤드(2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그 내부에 피봇 헤드(21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연장부(120)는 중공(111)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며, 이는 외부 힘이 가해졌을 때 복수의 연장부(120)가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복수의 연장부(120)는 외측면에 결합 홀(330)의 내주단이 삽입되어 면접촉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단차부(1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부(121)는 리테이너(100)가 결합 홀(330)에 결합될 때 도 10과 같이 결합 홀(330)의 내주단이 삽입되어 리테이너(100)가 결합 홀(3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연장부(120)는 단차부(121)로부터 피봇 헤드(2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가이드부(122)는 리테이너(100)가 결합 홀(330)에 결합될 때 리테이너(100)가 결합 홀(330)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부분으로서 리테이너(100)의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결합 가이드부(122)는 단차부(121)에 가까운 일측의 외측면과 중공(111)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C) 사이의 거리(d1)가 단차부(121)로부터 먼 타측의 외측면과 중심선(C) 사이의 거리(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 가이드부(122)는 단차부(121)에 가까운 일측의 외측면과 중공(111)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C) 사이의 거리(d1)가 결합 홀(330)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단차부(121)로부터 먼 타측의 외측면과 중심선(C) 사이의 거리(d2)가 결합 홀(330)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심선(C)은 리테이너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C)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리테이너(100)를 결합 홀(330)에 결합하기 위하여 결합 가이드부(122)가 결합 홀(330)에 삽입될 때 결합 가이드부(122)의 타측은 그대로 통과되는 반면 결합 가이드부(122)의 양측 사이에서 결합 홀(330)의 내주단과 결합 가이드부(122)의 외측면이 맞닿는 지점이 발생하게 되고, 이후 결합 가이드부(122)는 결합 홀(330)의 내주단에 의해 힘을 받아 도 11의 (a)와 같이 같이 결합 가이드부(122)의 타측이 중심선(C)을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연장부(120)가 탄성 변형되었다가 결합 홀(330)의 내주단이 단차부(121)에 삽입될 때 도 11의 (b)와 같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복수의 연장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공(111)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결합 홀(330)의 내주단에 의해 힘을 받아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결합 가이드부(122)의 일측 외측면과 중심선(C) 사이의 거리(d1)는 결합 홀(330)의 반경보다 크기 때문에 외부 힘을 가하여 결합 가이드부(122)를 다시 탄성 변형시키기 전까지 결합 홀(330)의 내주단이 단차부(1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피봇 유닛(200)은 베이스부(110)의 중공(111)을 통해 피봇 헤드(210)가 삽입되어 리테이너(100)의 수용 공간(S)에 수용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연장부(120)는 수용 공간(S)에 수용된 피봇 헤드(210)에 의해 결합 홀(330)의 내주단을 미는 힘이 증가하게 되어 리테이너(100) 및 램프 유닛(300) 사이의 결합력이 보다 강해지게 된다.
이때, 복수의 연장부(120)는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피봇 헤드(210)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복수의 연장부(120) 및 피봇 헤드(210)가 서로 면접촉되어 피봇 헤드(210)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리테이너(100) 및 램프 유닛(300)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복수의 고정편(130)은 리테이너(100)의 수용 공간(S)에 수용된 피봇 헤드(210)가 리테이너(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편(130) 각각은 일단이 중공(111)의 테두리에 연결되고, 타단이 중공(111)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고정편(130)은 타단이 중공(111)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동시에 피봇 헤드(2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고정편(130)은 피봇 헤드(210)가 중공(111)을 통해 삽입될 때 피봇 헤드(210)의 일측에 의해 도 12의 (a)와 같이 탄성 변형되며, 피봇 헤드(210)가 수용 공간(S)에 위치되는 경우 도 12의 (b)와 같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피봇 헤드(210)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위치함으로써, 피봇 헤드(210)가 리테이너(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연장부(120)는 결합 가이드부(122)의 타측이 중심선(C)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피봇 헤드(210)가 수용 공간(S)에 수용된 경우 결합 가이드부(122)의 타측에서 피봇 헤드(210)가 정상적인 수용 여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고정편(130)이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편(130)은 중공(111)의 테두리를 적어도 일부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피봇 유닛(200)은 에이밍 스크류(미도시)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피봇 유닛(2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피봇 헤드(210)가 수용 공간(S) 내에서 유동되어 피봇 유닛(200)의 직선 운동이 램프 유닛(300)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되어 램프 유닛(300)의 에이밍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피봇 유닛(200)은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이동체(미도시)에 형성되어 에이밍 스크류가 회전할 때 이동체와 함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램프 유닛(300)의 에이밍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리테이너(100)의 수용 공간(S)에 피봇 헤드(210)가 수용되도록 위치한 경우 도 13의 (a) 및 (b)와 같이 결합 홀(330)의 중심(P1)과 피봇 유닛(200)이 피봇되는 중심이 되는 피봇 헤드(210)의 중심(P2)은 도 13의 (c)와 같이 서로 일치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량 운행 도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하여 리테이너(100)나 피봇 유닛(200)이 파손되거나 분리되는 것 등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즉, 결합 홀(330)의 중심(P1)과 피봇 헤드(P2)의 중심이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 서로 다른 지점에 무게 중심이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 힘이 가해지는 경우 서로 다른 지점에 힘이 집중되어 상대적으로 파손이나 분리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결합 홀(330)의 중심(P1)과 피봇 헤드(P2)의 중심을 일치시켜 무게 중심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파손이나 분리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3은 피봇 헤드(210)의 중심(P2)이 결합 홀(330)의 내주단 중 결합 홀(330)의 중심(P1)을 지나며 서로 마주보는 두 지점의 중심 사이를 잇는 연장선(A) 상에 위치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이 경우 피봇 헤드(210)의 중심(P2)이 렌즈 홀더(322)의 양면 사이의 중심을 지나는 연장선(A)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렌즈 홀더(322), 리테이너(100) 및 피봇 유닛(200) 간의 결합력이 강화되고 무게 중심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파손이나 분리될 가능성이 감소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도 13을 기준으로 렌즈 홀더(322)의 양면 사이의 중심을 수직하게 지나는 연장선(A) 상에 결합 홀(330)의 중심(P1) 및 피봇 헤드(210)의 중심(P2)이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결합 홀(330)의 외주면에는 결합 홀(330)의 주변 둘레를 따라 리테이너(100)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리브(331)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장 리브(331)는 결합 홀(330)에 리테이너(100)가 결합된 경우 베이스부(110)의 외측면과 면접촉되도록 위치하여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한 리테이너(100)의 파손이나 이탈을 방지하고, 리테이너(100)의 내열성을 보강하여 변색이나 열변형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이탈 방지부(140)는 복수의 연장부에 연결되어 핏봇의 헤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연장부에서 핏봇 헤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핏봇 헤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탈 방지부(140)는 복수의 결합 가이드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이탈 방지부(140)가 없고, 에이밍을 조정하는 조정툴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하여 피봇이 과도하게 힘이 전달될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의 헤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탈되어 복수의 연장부는 도 14(a)에서 도 14(b)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피봇이 피봇 헤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탈될 경우, 복수의 연장부 간의 간격을 이격되어 리테이너가 파손거나, 에이밍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피봇에 과도한 힘이 전달되더라도 이탈 방지부(140)가 복수의 연장부에 연결됨에 따라 복수의 연장부 간의 간격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봇 헤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탈 방지부(140)는 탄성 변형 및 복원되는 복수의 연장부의 형상에 따라 탄성 변형 및 복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 방지부(14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복수의 연장부는 리테이너가 결합 홀에 삽입되는 경우 결합 가이드부에 맞닿는 결합 홀의 내주단에 의해 가해지는 힘으로 인하여 탄성 변형되고, 결합 홀의 내주단이 단차부에 삽입될 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결국, 이탈 방지부(140)는 복수의 연장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연장부가 탄성 변형될 경우, 이탈 방지부(140)의 형상도 같이 탄성 변형되고, 복수의 연장부가 원래 형성으로 복원될 경우, 이탈 방지부(140)의 형상도 복원될 수 있다.
한편, 이탈 방지부는 결합 가이드부(122)에서 피봇 헤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142) 및 복수의 연결부(142)를 연결하고 리테이너(100)의 중심선(C) 상에 위치하는 헤드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피봇에 과도한 힘이 전달되더라도 복수의 연결부(142)가 복수의 결합 가이드부(122)를 지지하고 헤드부(144)에 의해 복수의 연결부가 지지됨에 따라 피봇 헤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 가이드부(122)의 폭은 연결부(14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가이드부(1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 헤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가이드부(122)의 최소 폭(W2)은 연장부의 폭(W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폭은 중심선 또는 피봇 헤드가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복수의 결합 가이드부(122)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연결부(142) 중 적어도 일부도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에를 들어, 도면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4개의 결합 가이드부(122)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4개의 연결부(142)도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 가이드부(122)의 외면은 단곡면 영역(122a)과 복합곡면 영역(122b)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곡면 영역(122b)은 결합 가이드부(122)의 외면 중에서 단차측에 위치하여 단차측과 연결될 수 있고, 단곡면 영역(122a)은 결합 가이드부(122)의 외면 중에서 이탈 방지부(140) 측에 위치하여 이탈 방지부(14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결합 가이드부(120)의 외면이 단곡면 영역(122a)과 복합곡면 영역(122b)을 포함함에 따라 본 고안의 리테이너(100)가 결합 홀(330)에 삽입 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리테이너(100)의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리테이너 110: 베이스부
111: 중공 120: 연장부
121: 단차부 122: 결합 가이드부
122a: 단곡면 영역 122b: 복합곡면 영역
130: 고정편 140: 이탈 방지부
142: 연결부 144: 헤드부
200: 피봇 유닛 210: 피봇 헤드
300: 램프 유닛 310: 램프 하우징
320: 렌즈 유닛 321: 렌즈
322: 렌즈 홀더 330: 결합 홀
331: 연장 리브

Claims (11)

  1. 램프 유닛의 에이밍 지점에 형성된 결합 홀에 삽입되어 상기 램프 유닛과 결합되는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와 결합되어 상기 램프 유닛의 에이밍이 수행되도록 하는 피봇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피봇 유닛의 피봇 헤드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중공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피봇 헤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연장부;
    상기 결합 홀의 내주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연장부의 외측면에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단차부; 및
    상기 복수의 연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피봇의 헤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장부는,
    상기 단차부로부터 상기 피봇 헤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결합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장부는,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결합 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결합 가이드부에 맞닿는 상기 결합 홀의 내주단에 의해 가해지는 힘으로 인하여 탄성 변형되고, 상기 결합 홀의 내주단이 상기 단차부에 삽입될 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탄성 변형 및 복원되는 복수의 연장부의 형상에 따라 탄성 변형 및 복원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가이드부는 상기 피봇 헤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결합 가이드부에서 상기 피봇 헤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리테이너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는 헤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가이드부의 폭은 상기 연결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결합 가이드부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연결부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가이드부의 외면은 단곡면 영역과 복합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곡면 영역은 상기 결합 가이드부의 외면 중에서 상기 단차측에 위치하여 단차측과 연결되고, 상기 단곡면 영역은 상기 결합 가이드부의 외면 중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 측에 위치하여 상기 이탈 방지부와 연결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2020190005275U 2019-12-26 2019-12-26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202100015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275U KR20210001525U (ko) 2019-12-26 2019-12-26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275U KR20210001525U (ko) 2019-12-26 2019-12-26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25U true KR20210001525U (ko) 2021-07-06

Family

ID=7686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275U KR20210001525U (ko) 2019-12-26 2019-12-26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52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544B1 (ko) * 2022-04-08 2022-11-25 손성근 자동차용 램프의 에이밍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134A (ko)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램프 리플렉터 마운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134A (ko)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램프 리플렉터 마운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544B1 (ko) * 2022-04-08 2022-11-25 손성근 자동차용 램프의 에이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9547B2 (en) Vehicle lamp unit including lens regions having different light scattering properties
KR102260945B1 (ko) 차량용 램프
KR20200080838A (ko) 차량용 램프
US9354139B2 (en) Headlamp aimer box
KR20210001525U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US10408408B2 (en) Automotive headlamp with S-polarizer filter to reduce glare
KR101929737B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20190018785A (ko) 차량용 램프
KR102039891B1 (ko) 차량용 램프
KR102007248B1 (ko) 차량용 헤드램프
KR20160015904A (ko) 차량용 램프
KR200483426Y1 (ko) 차량용 램프
KR20190006311A (ko) 차량용 램프 장치
KR102166865B1 (ko) 차량용 램프
KR102673137B1 (ko) 차량용 램프
KR102111968B1 (ko)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조립구조
KR101987297B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200480824Y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JP2012199156A (ja) 車両用前照灯
KR200493836Y1 (ko) 차량용 램프
JP4315434B2 (ja) 車両用灯具
KR102340502B1 (ko) 차량용 램프
KR101608640B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56952A (ko) 차량용 램프
KR20170119920A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