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4883A - 누전 검출 회로 - Google Patents

누전 검출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4883A
KR20100044883A KR1020107005273A KR20107005273A KR20100044883A KR 20100044883 A KR20100044883 A KR 20100044883A KR 1020107005273 A KR1020107005273 A KR 1020107005273A KR 20107005273 A KR20107005273 A KR 20107005273A KR 20100044883 A KR20100044883 A KR 20100044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apacitor
current
side threshold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5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3227B1 (ko
Inventor
히로시 도오마에
스미오 가기무라
도오루 마스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H02H3/3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 H02H3/3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of a three-phase system
    • H02H3/34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of a three-phase system using summation current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영상 변류기(102)에 의해 지락 전류를 검출하여 영상 전류를 출력한다. 상기 영상 전류의 전압이 플러스측 임계치(TH1)를 상회했을 때 또는 마이너스측 임계치(TH2)를 하회했을 때에 오픈 콜렉터 출력의 회로(108)가 동작하여 콘덴서(104)로부터 방전시킨다. 콘덴서(104)의 극판간 전압이 임계치 전압(Vref)을 하회하면, 제어 수단(134)이 누전으로서 검출하여 그 취지를 공기 조화기(200)의 제어부(212)에 출력한다.

Description

누전 검출 회로{EARTH LEAKAGE DETECTION CIRCUIT}
본 발명은 누전 검출 기능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누전 검출 기능은 소정의 플러스측 임계치를 상회하는 전류와, 소정의 마이너스측 임계치를 하회하는 전류를 복수회 검출함으로써 누전의 유무를 검출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제2003-219552호공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백해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 있어서는, 플러스측 임계치를 상회하는 전류와 마이너스측 임계치를 하회하는 전류가 모두 복수회 검출되지 않는 한 누전으로서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이리스터 등의 정류기에 의해, 교류가 직류로 변환되는 경우에는 마이너스 방향의 전류는 흐르지 않기 때문에 플러스 방향의 전류가 플러스측 임계치를 상회했다고 해도 누전으로서 검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도 9 : 본 발명의 과제를 설명하는 도면 참조).
또한, 누전 검출 기능을 갖는 집적 회로를 사용한 경우, 상기 집적 회로의 동작에 의해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누전 검출 기능 외에 노이즈 대책도 아울러 마련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누전 검출 기능을 기존의 기기에 사후 부가 가능한 기술의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집적 회로를 채용하지 않고, 이상한 지락(地絡) 전류가 발생했을 때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발명은 지락 전류를 검출하여 영상(零相) 전류를 출력하는 영상 변류기(102)와, 콘덴서(104)와, 상기 영상 전류가 미리 정해진 플러스측 임계치를 상회했을 때나 미리 정해진 마이너스측 임계치를 하회했을 때에 동작하고, 상기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콘덴서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회로(108)를 구비하는 누전 검출 회로(100, 100A)이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고전위점(114, 118)과, 상기 고전위점과 상기 콘덴서(104)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저항(106)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로(108)는 오픈 콜렉터 출력이 채용되고 상기 회로의 출력단부는 상기 제1 저항과 상기 콘덴서(104) 사이에 설정되는 접점(150)에 접속되고, 상기 콘덴서(104)는 일단부가 상기 접점에 접속되어 상기 회로의 출력에 기초하여 충전 및 방전된다.
제3 발명은,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로(108)는 상기 영상 전류가 미리 정해진 플러스측 임계치를 상회했을 때나 미리 정해진 마이너스측 임계치를 하회했을 때에 동작하는 오픈 콜렉터 출력의 앰프 또는 푸시 풀 출력의 앰프를 응용한 와이어드 OR 회로(110, 112)와, 상기 앰프의 출력측과 상기 접점(150)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저항(128, 130)을 구비한다.
제4 발명은,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104)의 타단부가 저전위점(132)에 접속되고, 상기 접점(150)과 상기 저전위점 사이에는 상기 콘덴서와 병렬로 필터 회로(142)가 접속되어 있다.
제1 발명에 따르면, 콘덴서의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지락 전류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노이즈 대책을 형성하지 않고, 간단하면서 사후 부가 가능한 구성으로 누전 검출을 실현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따르면, 저항에 의해 전압의 충돌을 피하면서, 콘덴서의 방전이 행하여진다.
제3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 저항의 저항치를 각각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플러스측 임계치를 상회하는 영상 전류나 마이너스측 임계치를 하회하는 영상 전류 중 어느 한쪽만이 검출된 경우에도 신속하게 누전을 검출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따르면, 콘덴서로부터의 방전이 원활해지므로 오동작을 회피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누전 검출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누전 검출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누설 전류가 1일 때의 콘덴서의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누설 전류가 2일 때의 콘덴서의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누전 검출의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누전 검출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누설 전류가 1일 때의 콘덴서의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누설 전류가 2일 때의 콘덴서의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과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변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을 시작으로 하는 이하의 도면에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요소만을 나타낸다.
<1. 제1 실시 형태>
<1.1 개략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누전 검출 회로(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누전 검출 회로(100)는, 예를 들어 전원(202), 모터(전력 부하)(204), 모터(204)에 전원 전류를 전송하는 전로(206), 전로(206)의 도통/비도통을 절환하는 전자기 접촉기(208) 및 전자기 접촉기(208)를 동작시키는 릴레이(210)를 갖는 제어부(212)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200)에 설치된다.
<1.2 회로 구성>
누전 검출 회로(100)는 전로(206)에 있어서 지락 전류를 검출하여 영상 전류를 출력하는 영상 변류기(102)와, 콘덴서(104)와, 영상 전류가 미리 정해진 플러스측 임계치를 상회했을 때나 미리 정해진 마이너스측 임계치를 하회했을 때에 동작하고, 상기 동작에 기초하여 콘덴서(104)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회로(108)를 구비한다. 회로(108)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누전 검출 회로(100)는 고전위점(114, 118)과, 고전위점(114)과 콘덴서(104) 사이(구체적으로는 고전위점(114)과 접점(150)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저항(이하, 단순히 「저항」이라고 한다)(106)을 구비하고 있다.
콘덴서(104)는 일단부가 접점(150)에 접속되어 회로(108)의 출력에 기초하여 충전 및 방전된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전류가 미리 정해진 플러스측 임계치를 상회했을 때나 미리 정해진 마이너스측 임계치를 하회했을 때에 방전되고, 그 이외일 때는 충전된다.
도 2는 누전 검출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회로(108)는 오픈 콜렉터 출력이 채용되고 회로(108)의 출력단부는 저항(106)과 콘덴서(104) 사이에 설정되는 접점(150)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회로(108)는 영상 전류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플러스측 임계치(TH1)를 상회했을 때에 동작하는 플러스측 앰프(110)와, 미리 정해진 마이너스측 임계치(TH2(<TH1))를 하회했을 때에 동작하는 마이너스측 앰프(112)가 오픈 콜렉터 출력이 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회로(108)는 플러스측 앰프(110) 및 마이너스측 앰프(112) 각각의 출력측과 접점(150)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저항(이하, 단순히 「저항」이라고 한다)(128, 130)을 갖고 있다.
회로(108)는 플러스측 앰프(110), 마이너스측 앰프(112), 저항(128, 130) 외에 플러스측 앰프(110)의 전원으로서의 고전위점(114) 및 저전위점(116), 마이너스측 앰프(112)의 전원으로서의 고전위점(118) 및 저전위점(120), 저항(122, 124, 126)을 갖고 있다.
전로(206)에 있어서 지락 전류를 검출한 영상 변류기(102)는 플러스측 앰프(110)의 비반전 입력 단자 및 마이너스측 앰프(112)의 반전 입력 단자에 각각 영상 전류를 전달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저항(121)에 영상 전류를 흘리고, 저항(121)에 있어서의 전압 강하로 결정되는 전위(이하, 「검출 전위」라고 가칭한다)가 플러스측 앰프(110)의 반전 입력 단자 및 마이너스측 앰프(112)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송출된다. 플러스측 앰프(110)의 반전 입력 단자 및 마이너스측 앰프(112)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는 저항(122, 124, 126)을 통하여 고전위점(114) 및 저전위점(120)이 접속되어 있고, 각각 임계치(TH1, TH2)가 입력된다. 또한, 검출 전위와 전압 임계치를 비교하는 것은 바꾸어 말하면 영상 전류와, 전압 임계치에 상당하는 전류의 임계치의 비교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누전 검출 회로(100)는 영상 변류기(102)가 검출한 지락 전류가 누설 전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치(Vref)를 제어 수단(134)에 기억하고 있다.
콘덴서(104)는 영상 전류가 출력되지 않은 경우 및 영상 전류가 출력되었다고 해도 검출 전위가 플러스측 임계치(TH1)와 마이너스측 임계치(TH2) 사이에 있을 때는 충전된다.
예를 들어, 영상 변류기(102)가 지락 전류를 검출하여 영상 전류를 출력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현파를 그리는 검출 전위가 발생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상기 정현파의 전압이 플러스측 임계치(TH1)를 상회했을 때는 플러스측 앰프(110)가 동작하고 콘덴서(104)가 방전된다. 또한, 상기 정현파의 전압이 마이너스측 임계치(TH2)를 하회했을 때는 마이너스측 앰프(112)가 동작하고 콘덴서(104)가 방전된다. 콘덴서(104)의 극판간 전압이 임계치(Vref)를 하회하면 제어 수단(134)은 누전이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그 취지를 공기 조화기(200)의 제어부(212)에 송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로(206)에 영상 변류기(102)를 설치하고, 제어부(212)에 제어 수단(134)을 접속하므로 누전 검출 회로(100)는 기존의 공기 조화기(200)에 사후 부가할 수 있다.
<1.3 저항치 및 전기 용량의 설정>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콘덴서(104)의 전기 용량(C1), 저항(106)의 저항치(R1), 저항(128, 130)의 저항치(R2, R3)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누설 전류가 많을 때에 누전 검출 회로(10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정현파 중, 플러스측 임계치(TH1)를 상회했을 때에 누전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전기 용량(C1)은 임계치(Vref)에 기여하고, 저항치(R1)는 콘덴서(104)의 충전 속도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저항치(R2, R3)는 콘덴서(104)의 방전 속도에 기여하고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공기 조화기(200)에 있어서는,
C1≒수십㎌(예를 들어, 33㎌),
R1≒수㏀(예를 들어, 4.7㏀),
R2=R3≒수㏀(예를 들어, 1㏀),
로 설정함으로써 누전 검출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저항(122, 124, 126)의 저항치는 각각 2Ω, 1Ω, 2Ω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3은 누설 전류가 제1 상황에 있을 때의 콘덴서(104)의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4는 누설 전류가 제2 상황에 있을 때의 콘덴서(104)의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누설 전류가 제1 상황에 있다」란, 영상 전류에 기초하는 검출 전위가 플러스측 임계치(TH1)를 약간 상회하거나 마이너스측 임계치(TH2)를 약간 하회할 때의 누설 전류를 의미하고, 「누설 전류가 제2 상황에 있다」란, 검출 전위가 플러스측 임계치(TH1)를 대폭 상회하거나 마이너스측 임계치(TH2)를 대폭 하회할 때의 누설 전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전기 용량(C1), 저항치(R1, R2, R3)를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누설 전류가 제1 상황에 있을 때는 제어 수단(134)이 누전을 검출하기까지 75ms를 필요로 하는데 비하여 누설 전류가 제2 상황에 있을 때는 25ms로 누전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누설 전류의 주파수를 50Hz, 임계치(Vref)를 1.0V로 하고 있다. 이들의 값은 누전 검출 회로(100)의 설치 시에 설치되는 기기의 특성 등을 감안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저항(121)의 저항치를 조정하여 검출 전위의 감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사이리스터 등의 정류기에 의해 교류가 직류로 변환되어 있는 경우, 즉 마이너스 방향의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에도 누설 전류가 많을 때에는 검출할 수 있다.
<1.4 동작>
도 5는 누전 검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누전 검출 회로(100)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또한, 본 흐름도에서는 누전 검출에 관한 동작만을 나타내고, 그 밖의 처리 동작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콘덴서(104)가 저항(106)을 통하여 충전되고(스텝 S101), 플러스측 임계치(TH1) 이상의 검출 전위에 상당하는 영상 전류를 회로(108)가 검출했거나 마이너스측 임계치(TH2) 이하의 검출 전위에 상당하는 영상 전류를 회로(108)가 검출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102, S103 : 도 5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영상 전류와 임계치의 비교로서 표현하였다). 회로(108)가 플러스측 임계치(TH1) 이상의 검출 전위에 상당하는 영상 전류를 검출했거나 마이너스측 임계치(TH2) 이하의 검출 전위에 상당하는 영상 전류를 검출한 경우에는 스텝 S102 또는 스텝 S103에 있어서 "예"를 선택하여 콘덴서(104)가 방전된다(스텝 S104). 구체적으로는, 검출 전위가 플러스측 임계치(TH1) 이상이면 저항(128) 및 플러스측 앰프(110)의 오픈 콜렉터가, 검출 전위가 마이너스측 임계치(TH2) 이하이면 저항(130) 및 마이너스측 앰프(112)의 오픈 콜렉터가, 각각 콘덴서(104)의 방전 경로로 된다.
스텝 S104가 실행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콘덴서(104)는 저항(106)을 통하여 고전위점(114)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방전 경로는 콘덴서(104)보다 임피던스가 낮기 때문에 콘덴서(104)는 충전되지 않고 방전된다. 이때, 저항(106)의 존재에 의해 상기 방전 경로를 통하여 고전위점(114)이 저전위점(116, 120)과 단락하는 일은 없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방전 경로에 있어서의 고전위와 저전위의 충돌이 저항(106)에 의해 방지되면서 콘덴서(104)의 방전을 실행할 수 있다.
콘덴서(104)가 방전되면 스텝 S102로 처리가 복귀되어, 아직 검출 전위가 임계치를 초과하고 있는지가 스텝 S102, S103에 있어서 회로(108)에 의해 판단된다.
콘덴서(104)의 충방전과 병행하여 제어 수단(134)이, 콘덴서(104)의 극판간 전압이 임계치(Vref) 미만인지의 여부를 감시하여(스텝 S105), 상기 극판간 전압이 임계치(Vref) 이상이고 또한 상기 영상 전류가 검출되지 않으면, "아니오"를 선택하여 스텝 S105를 반복한다. 한편, 상기 극판간 전압이 임계치(Vref) 미만이 되었을 때에는 상기 영상 전류는 누전이라고 제어 수단(134)이 판단하고(스텝 S106), 그 취지를 제어부(212)에 송출한다. 누전이 발생한 취지를 수신한 제어부(212)는 릴레이(210)를 제어하여 전자기 접촉기(208)를 비도통 상태로 절환하여 압축기(204)를 정지한다(스텝 S107).
<1.5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누전 검출 회로(100)는 영상 전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검출 전위가 플러스측 임계치(TH1)를 상회했을 때나 마이너스측 임계치(TH2)를 하회했을 때에 동작하고, 상기 동작에 기초하여 콘덴서(104)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회로(108)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콘덴서(104)의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지락 전류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노이즈 대책을 형성하지 않고, 간단하면서도 사후 부가 가능한 구성으로 누전 검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회로(108)는 오픈 콜렉터 출력이 채용되고 그 출력단부가 콘덴서(104)와 저항(106) 사이에 접속되므로 저항(106)에 의해 전압의 충돌을 피하면서 콘덴서(104)의 방전이 행하여진다.
또한, 저항(128, 130)의 저항치(R2, R3) 및 저항(106)의 저항치(R1)를 각각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플러스측 임계치(TH1)를 상회하는 검출 전위나 마이너스측 임계치(TH2)를 하회하는 검출 전위 중 어느 한쪽만이 검출된 경우에도 신속하게 누전을 검출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로(108)의 출력단부에 콘덴서(104)만을 설치하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 회로(108)의 출력단부에 콘덴서(104) 및 필터 회로를 구비하는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2.1 개략 구성>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누전 검출 회로(100A)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누전 검출 회로(100A)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공기 조화기(200)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2.2 회로 구성>
누전 검출 회로(100A)는 상기 실시 형태의 누전 검출 회로(100)에 필터 회로(142)가 추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덴서(104)의 타단부(저항(106)과 접속되어 있지 않은 측)가 저전위점(132)에 접속되고, 접점(150)과 저전위점(132) 사이에서 콘덴서(104)와 병렬로 필터 회로(142)가 접속되어 있다.
필터 회로(142)는 저항(136, 138) 및 콘덴서(140)를 갖고 있다. 저항(136)은 접점(150)과 접점(152) 사이에 접속되고, 저항(138)은 접점(152)과 접점(154)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접점(152)에는 접점(156)을 통하여 콘덴서(140)가 접속되어 있고, 콘덴서(140)의 타단부는 접점(15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접점(150)에 접속되어 있는 콘덴서(104)가 접점(154)을 통하여 저전위점(132)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접점(156)과 제어 수단(134)이 접속되어 있다.
도 7은 누설 전류가 1일 때의 콘덴서(104)의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필터 회로(142)를 구비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덴서(104)의 전압 강하(방전)가 원활해져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2.3 저항치 및 전기 용량의 설정>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콘덴서(104)의 전기 용량(C1), 저항(106)의 저항치(R1), 저항(128, 130)의 저항치(R2, R3), 필터 회로(142)의 저항(136, 138)의 저항치(R4, R5), 콘덴서(140)의 전기 용량(C2)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오동작을 억제하여 누설 전류가 많을 때는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공기 조화기(200)에 있어서는,
C1≒수㎌(예를 들어, 4.7㎌),
R1≒수십㏀(예를 들어, 82㏀),
R2=R3≒수㏀(예를 들어, 1㏀),
R4=R5≒수십㏀(예를 들어, 47㏀),
C2≒수백nF(예를 들어, 0.47㎌)
로 설정함으로써 누전 검출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저항(122, 124, 126)의 저항치는 각각 2Ω, 1Ω, 2Ω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8은 누설 전류가 2일 때의 콘덴서(104)의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누전 검출 회로(100A)가 필터 회로(142)를 구비하고, 전기 용량(C1, C2), 저항치(R1 내지 R6)를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노이즈 등에 의해 5ms 정도의 고조파가 잘못 검출된 경우, 필터 회로(142)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콘덴서(104)의 전압이 바로 2.5V 정도까지 저하되어 오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누전 검출 회로(100A)가 필터 회로(142)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잘못 검출된 고조파는 제거되어, 누전 검출 회로(100A)의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2.4 동작>
본 실시 형태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2.5 제2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접점(150)과 저전위점(132) 사이에는 콘덴서(104)와 병렬로 필터 회로(142)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콘덴서(104)로부터의 방전이 원활해져 오동작을 회피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플러스측 앰프(110)나 마이너스측 앰프(112)로서 오픈 콜렉터 출력의 앰프를 채용했지만, 실시 형태의 변형으로서 푸시 풀 출력의 앰프를 응용한 와이어드 OR 회로를 채용해도 좋다.
도 10은 플러스측 앰프(110)를 예로 들어 상기한 변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플러스측 앰프(110)의 출력단에 고전위점(114)과 저전위점(116) 사이에 직렬 접속 된 2개의 npn형 트랜지스터(110a, 1110b)를 배치한다. 즉 트랜지스터(110a)의 콜렉터를 고전위점(114)에 접속하고, 그 이미터를 트랜지스터(110b)의 콜렉터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110b)의 이미터를 저전위점(116)에 접속한다. 트랜지스터(110a)의 이미터와, 트랜지스터(110b)의 콜렉터의 접속점은 플러스측 앰프(110)의 출력단부로서 기능한다. 플러스측 앰프(110)의 출력단부와 저항(128) 사이에는 다이오드(D)가 삽입되고 그 캐소드가 플러스측 앰프(110)의 출력단부에, 애노드가 저항(128)에, 각각 접속된다.
이와 같이 다이오드(D)를 설치하여 플러스측 앰프(110)의 출력단부에의 전류의 유입을 허용하면서 전류의 유출을 저지함으로써 플러스측 앰프(110)는 푸시 풀 출력이라는 구성을 취하고 있어도 콘덴서(104)의 충전을 행하지 않고 방전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플러스측 앰프(110)를 예로 들었으나, 마이너스측 앰프(11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상술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 있어서 예시이며, 본 발명이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Claims (4)

  1. 지락(地絡) 전류를 검출하여 영상(零相) 전류를 출력하는 영상 변류기(102)와,
    콘덴서(104)와,
    상기 영상 전류가 미리 정해진 플러스측 임계치를 상회했을 때나 미리 정해진 마이너스측 임계치를 하회했을 때에 동작하고, 상기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콘덴서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회로(108)를 구비하는, 누전 검출 회로(100, 100A).
  2. 제1항에 있어서, 고전위점(114, 118)과,
    상기 고전위점과 상기 콘덴서(104)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저항(106)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로(108)는 오픈 콜렉터 출력이 채용되고, 상기 회로의 출력단부는 상기 제1 저항과 상기 콘덴서(104) 사이에 설정되는 접점(150)에 접속되고,
    상기 콘덴서(104)는 일단부가 상기 접점에 접속되어 상기 회로의 출력에 기초하여 충전 및 방전되는, 누전 검출 회로(100, 100A).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108)는,
    상기 영상 전류가 미리 정해진 플러스측 임계치를 상회했을 때나 미리 정해진 마이너스측 임계치를 하회했을 때에 동작하는 오픈 콜렉터 출력의 앰프 또는 푸시 풀 출력의 앰프를 응용한 와이어드 OR 회로(110, 112)와,
    상기 앰프의 출력측과 상기 접점(150)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저항(128, 130)을 구비하는, 누전 검출 회로(100, 100A).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104)의 타단부가 저전위점(132)에 접속되고,
    상기 접점(150)과 상기 저전위점 사이에는 상기 콘덴서와 병렬로 필터 회로(142)가 접속되어 있는, 누전 검출 회로(100A).
KR1020107005273A 2007-10-30 2008-09-01 누전 검출 회로 KR101103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81564 2007-10-30
JP2007281564A JP4306781B2 (ja) 2007-10-30 2007-10-30 漏電検出回路
PCT/JP2008/065683 WO2009057380A1 (ja) 2007-10-30 2008-09-01 漏電検出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883A true KR20100044883A (ko) 2010-04-30
KR101103227B1 KR101103227B1 (ko) 2012-01-05

Family

ID=40590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273A KR101103227B1 (ko) 2007-10-30 2008-09-01 누전 검출 회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10210B2 (ko)
EP (1) EP2207246B1 (ko)
JP (1) JP4306781B2 (ko)
KR (1) KR101103227B1 (ko)
CN (1) CN101803137B (ko)
AU (1) AU2008320169B2 (ko)
ES (1) ES2558690T3 (ko)
WO (1) WO200905738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7557A (ko) * 2010-12-10 2013-08-06 라리탄 아메리카즈, 인코포레이티드 접지 누설 감지 및 이의 자동 자가 테스트 방법 및 장치
KR101311549B1 (ko) * 2011-02-16 2013-09-26 오므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누전 검지 장치
KR101311556B1 (ko) * 2011-02-16 2013-09-26 오므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누전 검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0210B2 (en) 2010-04-14 2015-05-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sulation deterioration diagnosis apparatus
JP5618910B2 (ja) * 2011-06-01 2014-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絶縁劣化監視システム
JP5879950B2 (ja) * 2011-11-21 2016-03-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制御基板
EP2660940A1 (en) * 2012-05-01 2013-11-06 Danfoss Drives A/S Earthed connection detection
KR101803132B1 (ko) * 2014-04-28 2017-11-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무 변압기형 태양광 인버터의 누설전류 감시 장치
JP6725104B2 (ja) * 2016-04-04 2020-07-15 新日本無線株式会社 漏電検出装置
KR101956571B1 (ko) * 2017-12-01 2019-03-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누전 차단 장치
KR102083600B1 (ko) * 2018-11-19 2020-03-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누전 차단기 및 그 누전 차단기의 제어 방법
CN110007186B (zh) * 2019-04-23 2021-11-16 彭明 一种漏电检测远程报警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1648A (en) * 1973-05-19 1977-01-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Ground fault detector
JPS5944921A (ja) * 1982-09-02 1984-03-13 株式会社富士電機総合研究所 漏電検出回路
JPS619120A (ja) * 1984-06-22 1986-01-16 三菱電機株式会社 漏電検出回路
JPS6318919A (ja) * 1986-07-08 1988-01-26 株式会社東芝 漏電遮断器
US5223789A (en) * 1989-06-23 1993-06-29 Fuji Electric Co., Ltd. AC/DC current detecting method
JP2629984B2 (ja) * 1989-11-24 1997-07-16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漏電検出装置および漏電しゃ断装置
JPH03256517A (ja) * 1990-03-06 1991-11-15 Tempearl Ind Co Ltd 漏電ブレーカ
EP0810707A3 (en) * 1990-06-25 1997-12-29 Hitachi, Ltd. Earth leakage-current protection system
JP2774693B2 (ja) * 1990-11-09 1998-07-09 株式会社東芝 漏電遮断器
US5283726A (en) * 1991-12-20 1994-02-01 Wilkerson A W AC line current controller utilizing line connected inductance and DC voltage component
JP3376644B2 (ja) * 1993-07-30 2003-02-10 松下電工株式会社 地絡検出装置
US5760587A (en) * 1995-06-28 1998-06-02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Battery measurement method
JP2000102158A (ja) * 1998-07-24 2000-04-07 Fuji Electric Co Ltd 漏電遮断器
EP1275969B1 (en) * 2000-02-22 2006-04-12 Sanyo Electric Co., Ltd. Circuit for detecting leakage in power supply
JP3914004B2 (ja) * 2001-05-25 2007-05-16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導体素子の過電流検出・保護装置
JP3788353B2 (ja) 2002-01-24 2006-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漏電遮断器及び位相制御装置用の地絡検出装置
JP2006148990A (ja) * 2004-11-16 2006-06-08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漏電検出回路
JP4705495B2 (ja) * 2006-03-23 2011-06-22 株式会社ケーヒン 漏電検出回路およびバッテリ電子制御装置
EP1933156A4 (en) * 2006-08-31 2011-03-02 Mitsubishi Electric Corp NULL PHASE CURRENT DETECTION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7557A (ko) * 2010-12-10 2013-08-06 라리탄 아메리카즈, 인코포레이티드 접지 누설 감지 및 이의 자동 자가 테스트 방법 및 장치
KR101311549B1 (ko) * 2011-02-16 2013-09-26 오므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누전 검지 장치
KR101311556B1 (ko) * 2011-02-16 2013-09-26 오므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누전 검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7246A4 (en) 2013-12-18
US20100213905A1 (en) 2010-08-26
EP2207246A1 (en) 2010-07-14
WO2009057380A1 (ja) 2009-05-07
EP2207246B1 (en) 2015-10-28
AU2008320169A1 (en) 2009-05-07
JP4306781B2 (ja) 2009-08-05
US8310210B2 (en) 2012-11-13
ES2558690T3 (es) 2016-02-08
KR101103227B1 (ko) 2012-01-05
CN101803137B (zh) 2013-01-16
AU2008320169B2 (en) 2011-11-24
CN101803137A (zh) 2010-08-11
JP2009112108A (ja) 200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227B1 (ko) 누전 검출 회로
CN109342973B (zh) 直流电源输入状态监测电路及系统
CN109560529B (zh) 电源电路及音响设备
KR20170078437A (ko) 양방향 dc-dc 컨버터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11048A (ko) 인버터 제어장치
CN108226794B (zh) 二次电池监视装置及故障诊断方法
KR100829326B1 (ko) 전기차 제어 장치
US9594119B2 (en) Circuit arrangement and process for detecting a switch position
JP2015070750A (ja) 電力変換装置
CN110383613B (zh) 电子式电路断路器
JP5126241B2 (ja) 過電圧保護回路、及び過電圧保護方法
CN101958533B (zh) 用于隔离式电源供应器的电流感测电阻短路保护装置及方法
US20220057443A1 (en) Circuit assembly for fault detection in an ungrounded high-voltage system
CN110601133A (zh) 漏电保护电路、保护方法及应用其的照明电路
CN102221640A (zh) 电压侦测器及交直流交换式电源转换器的保护装置
CN213484505U (zh) 短路保护电路
CN114123754A (zh) 过流保护电路及方法和空调器
JP4851183B2 (ja) 過電流検出機能を備えたコンデンサ入力型整流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インバータ装置
JP6955951B2 (ja) 放電装置
KR102251590B1 (ko) 비접촉 급전 시스템
CN107086774A (zh) Dc-dc转换器
KR102011740B1 (ko) 절연 불량 차단 장치
CN110554233A (zh) 应用于智能开关的故障电流检测装置及方法
JP2007151358A (ja) 直流電圧降圧回路および電力変換装置
JP2020167860A (ja) 処理回路および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