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685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1685A
KR20100041685A KR1020090097362A KR20090097362A KR20100041685A KR 20100041685 A KR20100041685 A KR 20100041685A KR 1020090097362 A KR1020090097362 A KR 1020090097362A KR 20090097362 A KR20090097362 A KR 20090097362A KR 20100041685 A KR20100041685 A KR 20100041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developer
color
developing devi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9662B1 (ko
Inventor
마사노리 가토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47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015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 G03G15/0173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e.g. 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03G2215/0177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과제] 회전식 현상장치에서, 단색 또는 복합색에 의한 일련의 작상처리의 생산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현상기 내에서의 현상제의 흐트러짐에 따른 현상 동작 불량을 개선한다.
[해결 수단] 정전잠상을 유지하는 상유지체; 정역(正逆)회전 가능한 회전유지체와, 이 상유지체에 유지된 정전잠상을 단색 또는 복수의 색으로 가시상화하도록 회전유지체에 탑재된 복수의 현상기를 가지고, 현상기 중 어느 하나가, 상유지체에 대향하는 현상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상기 회전유지체가 회전을 정지하고, 현상기 중 상기 어느 하나가 현상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현상 위치에 정지한 그 현상기가 현상 동작을 실행하는 회전식 현상장치; 및 이 회전식 현상장치를 제어하는 현상 제어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로서, 상기 회전식 현상장치의 각 현상기는, 각 현상기가 현상 위치에서 정지했을 때에 상유지체에 대향하는 현상 개구와, 토너 및 캐리어가 포함된 2성분 현상제를 수용하고 현상제를 순환시키는 현상제 순환경로를 가지는 현상 용기; 이 현상 용기의 현상 개구에 면해서 설치되고 현상제를 유지해서 회전 반송하는 현상제유지체; 및 상기 현상 용기의 현상제 순환경로에서 현상제유지체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연장하고, 또한 회전함으로써 현상제 순환경로를 따라 현상제를 교반 반송하는 복수의 교반 반송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현상 제어장치는, 단색 또는 복수의 색을 사용하는 일련의 작상처리에 관한 작상지시를 접수하는 접수수단; 회전식 현상장치에서의 단색 또는 복수의 색을 사용하는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1 판별수단; 상기 접수수단에 의한 작상지시를 접수한 때부터 상기 제 1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별되기까지의 사이에, 회전식 현상장치의 회전유지체를 미리 결정된 정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 현상기가 현상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 현상기를 순차적으로 현상 위치에 정지시키는 제 1 구동제어수단; 및 상기 제 1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회전식 현상장치의 회전유지체를 상기 정규 회전방향과는 반대인 역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단색 또는 복수의 색을 사용하는 작상처리에서 현상 위치에 최후에 위치한 현상기를 초기 대기위치로 되돌리는 제 2 구동제어수단을 구비하고, 현상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초기 대기위치에 있는 경우, 어떤 현상기도 현상 위치에는 위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Figure P1020090097362
화상형성장치, 현상기, 현상제, 작상처리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전자사진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는, 정전잠상을 유지하는 상유지체에 대향하고, 복수색의 현상기를 탑재한 회전식 현상장치를 배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회전식 현상장치를 사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흑백화상 또는 컬러화상을 형성할 때에는, 회전식 현상장치의 회전 제어를 행하여 흑색 현상기를 현상 위치에 이동시켜서 흑백화상을 형성하거나, 각 색의 현상기를 순차적으로 현상 위치에 이동시켜서 컬러화상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식 현상장치의 회전 제어방식으로서는 각종의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회전식 현상장치에서, 흑백 모드에서의 현상기의 이동량을 감하기 위해, 흑백화상을 형성할 때에는 흑현상기를 다색의 화상형성시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흑현상기를 감광체에 대향시켜 흑현상을 행하고, 흑현상 공정 종료 후, 다색의 화상형성시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회전식 현상장치에서의 현상기 내의 잉여현상제(열화 현상제)를 현상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현상시와 다른 방향으로 역회전 시켜, 배출한 현상제가 현상제 공급경로를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해서 배출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0-268606호(발명의 실시예, 도 1)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250314호(발명의 실시예, 도 2, 도 10)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회전식 현상장치에서 단색 또는 복합색에 의한 일련의 작상(作像)처리의 생산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현상기 내에서의 현상제의 흐트러짐(현상제 분포의 편향(deviation)이나 현상제의 역류)에 따른 현상 동작 불량을 개선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정전잠상을 유지하는 상유지체; 정역(正逆)회전 가능한 회전유지체와, 이 상유지체에 유지된 정전잠상을 단색 또는 복수의 색으로 가시상화하도록 회전유지체에 탑재된 복수의 현상기를 가지고, 현상기 중 어느 하나가, 상유지체에 대향하는 현상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상기 회전유지체가 회전을 정지하고, 현상기 중 상기 어느 하나가 현상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현상 위치에 정지한 그 현상기가 현상 동작을 실행하는 회전식 현상장치; 및 이 회전식 현상장치를 제어하는 현상 제어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로서, 상기 회전식 현상장치의 각 현상기는, 각 현상기가 현상 위치에서 정지했을 때에 상유지체에 대향하는 현상 개구와, 토너 및 캐리어가 포함된 2성분 현상제를 수용하고 현상제를 순환시키는 현상제 순환경로를 가지는 현상 용기; 이 현상 용기의 현상 개구에 면해서 설치되고 현상제를 유지해서 회전 반송하는 현상제유지체; 및 상기 현상 용기의 현상제 순환경로에서 현상제유지체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연장하고, 또한 회전함으로써 현상제 순환경로를 따라 현상제를 교반 반송하는 복수의 교반 반송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현상 제어장치는, 단색 또는 복수의 색을 사용하는 일련의 작상처리에 관한 작상지시를 접수하는 접수수단; 회전식 현상장치에서의 단색 또는 복수의 색을 사용하는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1 판별수단; 상기 접수수단에 의한 작상지시를 접수한 때부터 상기 제 1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별되기까지의 사이에, 회전식 현상장치의 회전유지체를 미리 결정된 정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 현상기가 현상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 현상기를 순차적으로 현상 위치에 정지시키는 제 1 구동제어수단; 및 상기 제 1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회전식 현상장치의 회전유지체를 상기 정규 회전방향과는 반대인 역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단색 또는 복수의 색을 사용하는 작상처리에서 현상 위치에 최후에 위치한 현상기를 초기 대기위치로 되돌리는 제 2 구동제어수단을 구비하고, 현상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초기 대기위치에 있는 경우, 어떤 현상기도 현상 위치에는 위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 위치에 최후에 위치한 현상기가 초기 대기위치로 돌아가기 전에 접수수단이 다음 작상지시를 접수한 경우에는, 제 1 구동제어수단이 제 2 구동제어수단 보다 우선해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현상 위치에 대하여 회전유지체의 정규 회전방향 상류측에 초기 대기위치가 설정되고, 상 기 현상 위치에 대하여 회전유지체의 정규 회전방향 하류측에 일시 퇴피 위치가 설정되고, 제 2 구동제어수단은 상기 회전유지체를 정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단색 또는 복수의 색을 사용하는 작상처리에서 현상 위치에 최후에 위치한 현상기를 일시 퇴피 위치에 퇴피시키고, 작상처리에서 현상 위치에 최후에 위치한 현상기가 일시 퇴피 위치로 퇴피하고 나서 미리 결정된 퇴피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접수수단이 다음 작상지시를 접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구동제어수단이 상기 회전유지체를 역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일시 퇴피 위치에 위치한 현상기를 초기 대기위치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3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작상처리에서 현상 위치에 최후에 위치한 현상기가 일시 퇴피 위치로 퇴피하고 나서 상기 퇴피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접수수단이 다음 작상지시를 접수한 때, 다음 작상지시가 일시 퇴피 위치에 위치한 현상기에 대응하는 단색을 사용하는 작상처리일 경우에는, 제 1 구동제어수단은 회전유지체를 역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일시 퇴피 위치에 있는 현상기를 현상 위치로 이동시켜서 현상 동작을 실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제 1 구동제어수단은 회전유지체를 정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다음의 화상 작상지시에 의해 표시된 화상형성 처리에서 사용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현상기를 순차적으로 현상 위치에 이동시키고, 하나 또는 복수의 현상기에 현상 동작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접수 유닛이 작상지시를 접수하기 전에는, 상기 복수의 색 중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특정색을 사용하여 단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기가 (i) 초기 대기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ii) 현상기 중에서 정규 회전방향에 따라 현상 위치에 가장 가깝고, 모든 현상기를 사용하는 복수의 색에 의한 작상처리에서는, 제 1 구동제어수단은 특정색 현상기보다 앞서 다른 현상기를 사용하고, 최후에 특정색의 현상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각 현상기는, 현상 용기의 일부에 설치되어 신규인 현상제를 보급가능한 현상제 보급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각 현상기는, 현상 용기의 일부에 설치되어 토너 및 캐리어가 포함된 신규인 현상제를 보급가능한 현상제 보급구와, 현상 용기의 일부에 설치되어 잉여현상제를 배출가능한 현상제 배출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다.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7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각 현상기가 현상 위치에 대하여 회전유지체의 정규 회전방향 하류측의 미리 결정된 현상제 배출 위치에 위치할 때에, 각 현상기는 현상제 배출구를 통해 잉여현상제를 배출가능하고, 현상 제어장치는 제 2 판별수단과, 제 3 구동제어수단을 더 가지고, 제 2 판별수단은 특정색의 현상기로부터 배출되어야 할 잉여현상제의 량이 미리 결정된 제 1 규정량을 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제 2 판별수단이 특정색의 현상기로부터 배출되어야 할 잉여현상제의 량이 상기 제 1 규정량을 넘는다고 판별한 경우, 제 3 구동제어수단은 회전유지체를 정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특정색의 현상기를 현상제 배출 위치로 이동시키고, 특정색의 현상기의 현상제 배출구를 통해 잉여현상제를 배출하고, 그 후에 특정색의 현상기를 초기 대기위치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다.
청구항 9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8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제 2 판별수단은, 현상제 보급구로부터 보급된 신규인 현상제의 량에 해당하는 정보에 의해 표시된 값을 누적하고, 이 누적값이 미리 결정된 제 2 규정값을 넘는지 여부에 근거해서 특정색의 현상기로부터 배출해야 할 잉여현상제의 량이 상기 제 1 규정량을 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다.
청구항 10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9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적값이 상기 제 2 규정값을 넘는 경우, 또는, 상기 누적값이 상기 제 2 규정값을 넘기 전이고 상기 특정색의 현상기가 상기 현상제 배출 위치를 통과가능한 작상지시에 근거하는 작상처리가 실시된 경우에, 제 3 구동제어수단이 제 2 판별수단에 의한 상기 누적값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다.
청구항 11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8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3 구동 수단이 특정색의 현상기로부터 배출해야 할 잉여현상제의 량이 상기 제 1 규정량을 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제 3 구동제어수단은 상기 회전유지부재의 회전을 정지하고, 상기 특정색의 현상기를 현상제 배출 위치에서 회전 정지시키고, 상기 특정색의 현상기의 현상제 배출구를 통해 잉여현상제를 배출시키고, 그 후에 재차 회전유지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다.
청구항 1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8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제 1 판별수단이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별한 시점에서, 제 2 구동제어수단에 의한 제어 처리보다 제 3 구동제어수단에 의한 제어 처리를 우선하고, 제 1 판별수단이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별한 시점에서 제 2 판별수단이 잉여현상제가 제 1 규정량 이하라고 판별한 경우, 제 2 구동제어수단이 회전식 현상장치의 회전유지부재를 역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화상형성 처리에서 현상 위치에 최후에 위치한 현상기를 초기 대기위치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회전식 현상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서 단색 또는 복합색에 의한 일련의 작상처리의 생산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현상기 내에서의 현상제의 흐트러짐(현상제 분포의 편향이나 현상제의 역류)에 따른 현상 동작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의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현상기가 현상 위치에 잠시 배치된 채 남는 형태와 비교하여, 상유지체로의 불필요한 현상제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다음 작상지시에 대하여, 초기 대기위치로 현상기를 되돌리지 않고 다음 작상처리로 이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예에서는, 일시 퇴피 위치에 있는 현상기를 현상 위치로 신속하게 설정함과 동시에, 다른 현상 기를 사용하는 작상처리에 관해서도 현상 위치에 대해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사용 빈도가 높은 단색화상 또는 모든 현상기를 사용하는 복합색화상을 형성하는 일련의 작상처리에서, 작상종료시의 구동제어처리를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를 보급하는 형태이어도, 단색 또는 복합색에 의한 일련의 작상처리의 생산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현상기 내에서의 현상제의 흐트러짐(현상제 분포의 편향이나 현상제의 역류)에 따른 현상 동작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토너 및 캐리어가 포함된 현상제를 보급하고 잉여현상제를 배출하는 형태이어도, 단색 또는 복합색에 의한 일련의 작상처리의 생산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현상기 내에서의 현상제의 흐트러짐(현상제 분포의 편향이나 현상제의 역류)에 따른 현상 동작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같은 색의 현상기를 사용한 단색에 의한 작상처리가 연속하더라도, 생산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현상제의 흐트러짐에 따르는 현상 동작 불량을 개선함과 동시에, 현상기 내의 잉여현상제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보급량에서 현상기 내에 보급된 캐리어량을 산출해 내고, 이에 따라 배출해야 할 잉여현상제를 간단하게 산출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배출시 구동제어수단에 의한 구동제어처리 를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잉여현상제의 배출 동작을 따라 유효하게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회전식 현상장치의 작상 종료시에, 배출시 구동제어처리와 작상 종료시 구동제어처리를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 실시예의 개요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의 개요를 나타낸다.
동(同) 도면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상유지체(1)와, 회전식 현상장치(2)와, 현상 제어장치(20)를 구비한다. 상유지체(1)는 정전잠상을 유지한다. 회전식 현상장치는 회전유지체(4)와, 복수의 현상기(3)(예를 들면 3a∼3d)를 가진다. 회전유지체(4)는 정역(正逆)회전가능하다. 복수의 현상기(3)는 상유지체(1)에 유지된 정전잠상을 단색 또는 복수의 색으로 가시상화하도록 회전유지체(4)에 탑재되어 있다. 현상기(3) 중 어느 하나가 상유지체(1)에 대향하는 현상 위치P1에서 정지하도록 회전유지체(4)가 회전을 정지한다. 현상기(3) 중 어느 하나가 현상 위치P1에 정지한 상태에서, 현상 위치P1에 정지한 현상기(3)가 현상 동작을 실행한다. 현상 제어장치(20)는 이 회전식 현상장치를 제어한다.
작상처리가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이 종류의 회전식 현상장치(2)는 현상 기(3) 중 어느 하나를 초기 대기위치P0에 초기 대기시키게 되어 있다. 현상기(3) 중 어느 하나가 초기 대기위치P0에 있으면, 이 종류의 회전식 현상장치(2)에서는, 상유지체(1)로의 불필요한 토너 및 캐리어의 유출이나 현상제의 고임(staying) 등을 방지하고, 각 현상기(3)의 현상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배려되고 있는 것이 많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식 현상장치(2)의 각 현상기(3)(3a∼3d)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현상 용기(5)와, 현상제유지체(6)와, 복수의 교반 반송부재(7)(7a, 7b)를 가진다. 현상 용기(5)는 현상 개구와 현상제 순환경로(5a)를 가진다. 각 현상기가 현상 위치P1에 정지했을 때에, 현상 개구는 상유지체(1)에 대향한다. 현상제 순환경로(5a)는 토너 및 캐리어가 포함된 2성분 현상제를 수용하고 현상제를 순환시킨다. 현상제유지체(6)는 이 현상 용기(5)의 현상 개구에 면해서 설치되고 현상제를 유지해서 회전 반송한다. 복수의 교반 반송부재(7)는 상기 현상 용기의 현상제 순환경로에서 현상제유지체(6)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연장된다. 복수의 교반 반송부재(7)는 회전함으로써 현상제 순환경로(5a)를 따라 현상제를 교반 반송한다.
여기에서, 교반 반송부재(7)의 대표적 형태로서는, 통상의 회전축체의 주위에 나선형상 날개를 설치한 형태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회전축체에 다수의 날개부재를 경사 배치해도 좋다.
한편, 이러한 현상기(3)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보급기구나 현상 제 배출기구를 부가하여도 좋다.
이러한 회전식 현상장치(2)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특정 단색 작상처리(예를 들면 단색 흑 작상처리)가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경우를 상정한다. 비교예에서는, 일회의 특정 단색 작상처리가 끝날 때마다, 예를 들면 현상기(3)(예를 들면 현상기(3a))는 현상 위치P1로부터 초기 대기위치P0로 대략 1회전하여 이동한다. 다음의 특정 단색 작상처리가 지정되면, 다시 초기 대기위치P0로부터 현상 위치P1로 이동하고, 특정 단색 작상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비교예에서, 현상에 제공되는 현상기(3a)는, 작상처리 종료후에 회전유지체(4)의 회전 동작에 따라, 현상 위치P1 → 대기위치P2 → 대기위치P3 → 대기위치P4 → 초기 대기위치P0 → 현상 위치P1로 이동해 간다. 다시 현상 위치P1로 돌아갈 때까지의 1회전의 사이, 현상기(3a) 내의 교반 반송부재(7)(7a,7b)는 구동 정지 상태에 있지만, 회전유지체(4)의 회전 동작에 따라 교반 반송부재(7)(7a,7b)에 대응하는 부위에 있는 현상제가 교반 반송부재(7)의 반송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그러나, 현상에 제공되는 현상기(3a)에서는, 다음 작상처리에 의한 현상 동작에 따르는 교반 반송부재(7)(7a,7b)의 구동에 의해, 이동한 현상제가 즉시 고르게 된다. 한편, 오랫동안 현상에 제공되지 않는 사용빈도가 낮은 저사용 현상기(3) (예를 들면 3b∼3d)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유지체(4)의 회전이 복수회 반복되면, 저사용 현상기(3)(예를 들면 3b∼3d)내의 교반 반송부 재(7)(7a,7b)는 구동 정지 상태에서, 회전유지체(4)의 복수 회전 동작에 따라 교반 반송부재(7)(7a,7b)에 대응하는 부위에 있는 현상제가 교반 반송부재(7)의 반송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한다(도 2 화살표A, B 참조). 이와 같이, 저사용 현상기(3)(예를 들면 3b∼3d)에서는, 회전유지체(4)의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현상제의 이동량도 커지고, 현상제의 편향(deviation)이 커지게 되어, 현상제 분포에 소밀(疎密)이 생기게 된다. 이 현상제의 편향이 있는 한계를 초과한 상태에서, 해당 저사용 현상기(3)가 현상에 제공되면, 층두께규제부재에서 현상제의 층두께를 규제하더라도 그 층두께 차이를 해소할 수 없고, 농도 불균일(density irregularity) 등의 화질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화질불량을 개선하기 위해서 현상 제어장치(20)를 안출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현상 제어장치(20)는 접수수단(21)과, 제 1 판별수단(22)과, 제 1 구동제어수단(23)과, 제 2 구동제어수단(24)을 가진다. 접수수단(21)은 단색 또는 복수의 색을 사용하는 일련의 작상처리에 관한 작상지시를 접수한다. 제 1 판별수단(22)은 회전식 현상장치(2)의 단색 또는 복수의 색을 사용하는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접수수단(21)에 의해 작상지시를 접수한 때부터, 제 1 판별수단(22)에 의해 상기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별되기까지의 사이, 제 1 구동제어수단(23)은 회전식 현상장치(2)의 회전유지체(4)를 미리 결정된 정규 회전방향m1(도 3 참조)으로 회전시켜서,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 현상 기(3)가 현상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 현상기(3)를 순차적으로 현상 위치P1에 정지시킨다. 제 1 판별수단(22)에 의해 상기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별된 경우에, 제 2 구동제어수단(24)은 회전식 현상장치(2)의 회전유지체(4)를 정규 회전방향m1과는 반대인 역회전방향m2으로 회전시켜, 단색 또는 복수의 색을 사용한 작상처리에서 현상 위치P1에 최후에 위치한 현상기(3)를 초기 대기위치P0로 되돌린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접수수단(21)으로서는, 다음 작상지시를 접수하여 인식하는 것이면 좋고, 제 1 구동제어수단(23)에 대한 일련의 작상처리 내용을 결정하는 정보를 주는 것이다. 여기서의 ‘일련의 작상처리’란, 작상색, 기록재의 사이즈, 종류, 매수에 대해서 일련의 작업(job)으로 지정된 작상처리를 가리킨다.
또한, 제 1 판별수단(22)로서는, 회전식 현상장치(2)의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한 것인지 여부를 적어도 판별하는 것이면 좋고, 회전식 현상장치(2) 이외의 디바이스에 의한 처리, 예를 들면 전사 장치에 의한 전사 처리가 종료한 것인지 여부는 묻지 않는다.
또한, 제 1 구동제어수단(23)에 대해서는, 작상지시 여하에 관계없이 회전유지체(4)를 정규 회전방향m1으로 회전시키고, 사용하는 현상기(3)를 현상 위치P1에서 정지시키고, 현상기(3)로 현상 동작을 실행시키는 것이면 좋다.
한편, 제 2 구동제어수단(24)에 대해서는, 회전식 현상장치(2)에 의한 일련 의 작상처리가 종료했을 때에, 회전유지체(4)를 정규 회전방향m1과는 반대인 역회전방향m2으로 회전시키고, 현상 위치P1에 최후에 위치하는 현상기(3)(예를 들면 3a)를 초기 대기위치P0로 되돌리는 것이면 좋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생산성을 향상시킨다고 하는 관점에서 보면, 현상 위치P1에 최후에 위치한 현상기(3)가 초기 대기위치P0로 돌아가기 전에 접수수단(21)이 다음 작상지시를 접수했을 경우에는, 제 1 구동제어수단(23)이 제 2 구동제어수단(24)보다 우선해서 선택되어도 좋다.
또한, 회전식 현상장치(2)에서는, 이하와 같은 일시 퇴피 위치Pt를 설치해도 좋다.
즉, 현상 위치P1에 대하여 회전유지체(4)의 정규 회전방향m1의 상류측에 초기 대기위치P0가 설정되어도 좋다. 현상 위치P1에 대하여 회전유지체(4)의 정규 회전방향m1의 하류측에 일시 퇴피 위치Pt가 설정되어도 좋다. 제 2 구동제어수단(24)은, 회전유지체(4)를 정규 회전방향m1으로 회전시키고, 단색 또는 복수의 색을 사용하는 작상처리에서 현상 위치P1에 최후에 위치한 현상기(3)(예를 들면 3a)를 일시 퇴피 위치Pt에 퇴피시켜도 좋다. 작상처리에서 현상 위치P1에 최후에 위치한 현상기(3)(예를 들면 3a)가 일시 퇴피 위치Pt에 퇴피하고 나서 미리 결정된 퇴피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접수수단(21)이 다음 작상지시를 접수하지 않을 경우, 제 2 구동제어수단(24)이 회전유지체(4)를 역회전방향m2으로 회전시켜서, 일시 퇴피 위치Pt에 위치한 현상기(3)(예를 들면 3a)를 초기 대기위치P0로 되돌려도 좋다.
특히, 일시 퇴피 위치Pt를 다음과 같이 사용해도 좋다. 즉, 작상처리에서 현상 위치P1에 최후에 위치한 현상기(3)가 일시 퇴피 위치Pt로 퇴피하고 나서 퇴피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접수수단(21)이 다음 작상지시를 접수했을 때, 다음 작상지시가 일시 퇴피 위치Pt에 위치하는 현상기(3)에 대응하는 단색을 사용하는 작상처리일 경우에는, 제 1 구동제어수단(23)은 회전유지체(4)를 역회전방향m2으로 회전시켜서 일시 퇴피 위치Pt에 있는 현상기(3)를 현상 위치P1로 이동시켜서 현상 동작을 실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제 1 구동제어수단(23)은 회전유지체(4)를 정규 회전방향m1으로 회전시켜, 다음 화상작상지시에 의해 표시된 화상형성 처리에서 사용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현상기(3)를 순차적으로 현상 위치P1로 이동시키고, 하나 또는 복수의 현상기(3)에 현상 동작을 실행시킨다
또한, 현상기(3)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도 좋다. 접수 유닛(21)이 작상지시를 접수하기 전에는, 복수의 색 중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특정 색을 이용하여 단색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기(3)(예를 들면 3a)가 (i) 초기 대기위치P0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ii) 현상기(3)(3a∼3d) 중에서 정규 회전방향m1에 따라 현상 위치 P1에 가장 가깝다. 모든 현상기(3)를 사용하는 복수의 색에 의한 작상처리에서는, 제 1 구동제어수단(23)은 특정 색의 현상기(3)(예를 들면 3a)보다 먼저 다른 현상기(3)(예를 들면 3b∼3d)를 사용하고, 최후에 특정 색의 현상기(3)(예를 들면 3a)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특정 색을 흑색(K)으로 하고, 모든 색성분을 Y, M, C, K로 가정한다. 이 경우, 접수 유닛(21)이 작상지시를 접수하기 전에는, K용 현상기(3a)가 회전유지체(4)의 현상기(3)(3a∼3d) 중에서, 회전유지체(4)의 정규 회전방향m1에 따라 현상 위치P1에 가장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Y, M, C용 현상기(3)(3b∼3d)는 K용 현상기(3a)에 대하여 정규 회전방향m1의 상류측에 임의로 배치하면 좋다.
또한, 현상기(3)는 현상제 배출기구를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 현상기(3)는 현상 용기(5), 현상제유지체(6), 복수의 교반 반송부재(7)(7a,7b)에 더해서, 현상 용기(5)의 일부에 설치되어 잉여현상제를 배출가능한 현상제 배출구(9)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이 경우, 현상제 배출구(9)는 상시(常侍) 개방한 채로도 좋고, 개폐 덮개를 설치하여 소정량을 넘는 잉여현상제가 개폐 덮개에 작용하면 개폐 덮개가 개방하여 잉여현상제를 배출하는 형태이어도 좋다. 또한, 잉여현상제의 배출 방식에 대해서는 적당하게 선정해도 지장이 없다. 또한, 배출된 잉여현상제를 회수하는 잉여현상제 회수부에 관해서는 현상기(3)와는 별도로 회전유지체(4)에 설치되어도 좋고, 현상기(3)의 구성요소로서 부설해도 좋다.
이러한 현상제 배출기구를 설치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현상제 보급기구(10)를 설치하고, 신규(新規)인 현상제를 현상제 보급구(8)로부터 보급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신규인 현상제의 보급 방법에 관해서는 토너와 캐리어를 각각 보급해도 좋고, 양자를 혼합해서 보급해도 좋다.
또한, 회전식 현상장치(2)에 탑재되는 현상기(3)로서는 현상제 보급기구(10)를 구비한 형태도 있다.
이 현상제 보급기구(10)로서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현상제 배출기구를 설치하지 않은 형태에서는 토너를 보급하는 것이라면 좋고, 또한 현상제 배출기구를 설치한 형태에서는 캐리어가 포함된 토너를 보급하도록 하면 좋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제 보급기구(10)로서는, 현상제유지체(6)의 회전축 방향에 따라 연장되고 또한 현상 용기(5)의 현상제 순환경로(5a)의 일부에 수도구(受渡口)를 통해 접속된 현상제 보급경로(11)에 설치되어, 회전함으로써 현상제를 수도구를 향해 구동 반송시키는 현상제 반송부재(13)를 구비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도 2 화살표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현상제 반송부재(13) 회전 정지시에 상기 회전유지체(4)의 회전에 따라 현상제 보급경로(11) 내의 현상제가 수도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역류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배출기구를 구비한 형태의 바람직한 현상 제어방식으로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즉, 각 현상장치(3)는 각 현상기(3)가 현상 위치P1에 대하여 회전유지체(4)의 정규 회전방향m1의 하류측의 미리 결정된 현상제 배출 위치Ph에 위치 할 때에, 각 현상기(3)가 현상제 배출구(9)를 통해 잉여현상제를 배출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현상 제어장치(20)는 제 2 판별수단(25)과, 제 3 구동제어수단(26)을 더 가진다. 제 2 판별수단(25)은 특정한 색의 현상기(3)(예를 들면 3a)로부터 배출되어야 할 잉여현상제의 량이 미리 결정된 제 1 규정량을 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제 2 판별수단(25)이 특정한 색의 현상기(3)(예를 들면 3a)로부터 배출되어야 할 잉여현상제의 량이 상기 제 1 규정량을 넘는다고 판별한 경우, 제 3 구동제어수단(26)은 회전유지체(4)를 정규 회전방향m1으로 회전시켜서 특정한 색의 현상기(3)(예를 들면 3a)를 현상제 배출 위치Ph로 이동시키고, 특정한 색의 현상기(3)(예를 들면 3a)의 현상제 배출구(9)를 통해 잉여현상제를 배출하고, 그 후에 특정한 색의 현상기(3)(예를 들면 3a)를 초기 대기위치P0로 되돌린다. 제 2 판별수단(25)이 특정한 색의 현상기(3)(예를 들면 3a)로부터 배출되어야 할 잉여현상제의 량이 상기 제 1 규정량 이하라고 판별한 경우, 일련의 잉여현상제의 배출 동작은 실행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말하는 현상제 배출기구로서는, 현상 위치P1에 대하여 회전유지체(4)의 회전방향 하류측의 미리 결정된 현상제 배출 위치Ph에 위치할 때에 현상제 배출구(9)를 통해 잉여현상제를 배출가능한 형태를 전제로 한다.
제 2 판별수단(25)은 동일한 현상기(3)에 의한 단색을 사용한 화상형성 처리가 연속해서 반복되고 있는지 여부를 더 판단해도 좋다. 제 2 판별수단(25)은 배출되어야 할 잉여현상제의 량이 제 1 규정량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라 면 어떤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배출해야 할 잉여현상제가 어느 정도가 될지를 판별하는 방법으로서는, 작상처리에 사용되는 화상밀도나, 작상처리에서 사용되는 현상제량 및/또는, 보급 현상제에 해당하는 정보를 이용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주로 같은 색의 현상기(3)를 사용한 단색에 의한 작상처리가 연속할 경우, 배출해야 할 잉여현상제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잉여현상제를 배출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길 염려가 있다. 이러한 사태를 해소하기 위해서, 제 3 구동제어수단(26)은 배출해야 할 잉여현상제가 많아진 상황에서 이것을 배출하기 위한 구동제어처리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판별수단(25)의 일례로서, 제 2 판별수단(25)은 현상제 보급구(8)로부터 보급된 신규인 현상제의 량에 해당하는 정보에 의해 표시된 값을 누적하고, 이 누적값이 미리 결정된 제 2 규정값를 넘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특정한 색의 현상기(3)(예를 들면 3a)로부터 배출해야 할 잉여현상제의 량이 상기 제 1 규정량을 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한편, 제 3 구동제어수단(26)의 일례로서는, 누적값이 제 2 규정값을 넘는 경우, 또는, 누적값이 제 2 규정값을 넘기 전이고 특정한 색의 현상기(3)(예를 들면 3a)가 현상제 배출 위치Ph를 통과 가능한 작상지시에 근거하는 작상처리가 실시된 경우에, 제 3 구동제어수단(26)이 제 2 판별수단(25)에 의한 누적값을 초기화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신규인 현상제의 보급량에 해당하는 정보에는, 현상제 보급기구(10)에 의한 보급 시간이나, 현상제의 보급량을 결정하는 원인이 되는 작상처리 에서의 토너 사용량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 3 구동제어수단(26)에 의한 일례로서는, 제 3 구동 수단(26)이 특정한 색의 현상기(3)(예를 들면 3a)로부터 배출해야 할 잉여현상제의 량이 제 1 규정량을 넘고 있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제 3 구동제어수단(26)은 회전유지부재(4)의 회전을 정지하고, 특정한 색의 현상기(3)(예를 들면 3a)를 현상제 배출 위치Ph에서 회전 정지시켜, 특정한 색의 현상기(3)(예를 들면 3a)의 현상제 배출구(9)를 통해 잉여현상제를 배출시키고, 그 후에 두 번째 회전유지부재(4)를 회전시킨다.
또한, 제 3 구동제어수단(26)의 일례로서는, 제 1 판별수단(22)이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별한 시점에서, 제 2 구동제어수단(24)에 의한 제어 처리보다 제 3 구동제어수단(26)에 의한 제어 처리를 우선한다. 제 1 판별수단(22)이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별한 시점에서 제 2 판별수단(25)이 잉여현상제가 제 1 규정량 이하라고 판별한 경우, 제 2 구동제어수단(24)이 회전식 현상장치(2)의 회전유지부재(4)를 역회전방향m2으로 회전시키고, 화상형성 처리에서 현상 위치P1에 최후에 위치한 현상기(3)(예를 들면 3a)를 초기 대기위치P0로 되돌린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현상 제어장치(20)에 의한 현상 제어 처리에 대해서 도 3의 (a)(b)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는 단색(K)에 의한 작상처리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복합색(YMCK)에 의한 작상처리를 나타낸다.
- 단색(K)에 의한 작상처리 -
도 3의 (a)에서는, 현상 위치P1에 대해 회전유지체(4)의 정규 회전방향m1 상류측에 초기 대기위치P0가 설정되어 있고, 초기 대기위치P0(K)는 K색 현상기(3a)가 초기 대기위치P0(K)에 있을 때에 K색 현상기(3a)가 다른 현상기(3b,3c,3d) 보다 현상 위치P1에 가까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K색 현상기(3a)가 초기 대기위치P0(K)에 있을 때에, 현상기(3b,3c,3d)는 위치P0(Y), P0(M), P0(C)에 각각 위치한다.
이러한 형태를 예로 들어서 단색(K)에 의한 작상처리를 설명하면, 접수수단(21)이 단색(K)에 의한 작상처리에 관한 작상지시를 접수하면 제 1 판별수단(22)에 의해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하기까지의 사이 제 1 구동제어수단(23)이 작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구동제어수단(23)은 초기 대기위치P0(K)에 위치한 K색 현상기(3a)(K)를 정규 회전방향m1으로 회전시키고, K색 현상기(3a)(K)를 현상 위치P1에 설정해서 K색 현상기(3a)(K)가 단색(K)을 사용하는 작상처리에 필요한 현상 동작을 행하게 한다. 그리고,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하면, 제 2 구동제어수단(24)이 작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구동제어수단(24)은 K색 현상기(3a)(K)를 역회전방향m2으로 회전시켜서, 초기 대기위치P0(K)로 되돌린다.
이 때, 사용되지 않은 현상기(3)(본 예에서는 3b(Y)∼3d(C))도 상기 K색 현상기(3a)(K)와 마찬가지로 정규 회전방향m1으로 소정량 회전한 후, 역회전방향m2으 로 회전되어서 원래의 위치P0(Y)∼P0(C)로 되돌려진다. 이 때문에, 이들 현상기(3)(본 예에서는 3b(Y)∼3d(C)) 내에서 현상제가 편향(deviation)되더라도, 역회전방향m2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현상기(3) 내의 현상제의 편향은 유효하게 고르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현상제 배출 위치Ph에서 잉여현상제를 배출 가능하게 한 형태에서는, 도 1의 제 2 판별수단(25)에 의한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제 3 구동제어수단(26)이 작동한다. 제 2 판별수단(25)이 잉여현상제의 배출 동작이 필요하다고 판별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 3 구동제어수단(26)이 현상 위치P1에 위치하는 K색 현상기(3a)(K)를 정규 회전방향m1으로 회전시키고, K색 현상기(3a)(K)를 현상제 배출 위치Ph에 설정해서 잉여현상제를 배출한다. 그리고, 제 3 구동제어수단(26)은 K색 현상기(3a)(K)를 정규 회전방향m1으로 회전시켜서, K색 현상기(3a)(K)를 초기 대기위치P0(K)로 되돌린다.
즉, K색 현상기(3a)(K)에 의한 단색 작상처리가 반복하여 행해지면, K색 현상기(3a)(K)에는 현상제가 보급되는 것에 따라 잉여현상제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K색 현상기(3a)(K)가 초기 대기위치P0(K)와 현상 위치P1 사이를 왕복하기만 한다면, 잉여현상제가 과다해져서 현상 성능이 손상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잉여현상제의 배출 동작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복합색(YMCK)에 의한 작상처리 -
도 3의 (b)를 참조하여, 복합색(YMCK)에 의한 작상처리를 설명한다. 접수수단(21)이 복합색(YMCK)에 의한 작상처리에 관한 작상지시를 접수하면, 제 1 종료판별수단(22)에 의해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별되기까지의 사이 제 1 구동제어수단(23)이 작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구동제어수단(23)은 위치P0(Y)에 위치하는 Y색 현상기(3b)(Y)를 정규 회전방향m1으로 회전시키고, Y색 현상기(3b)(Y)를 현상 위치P1로 설정해서 옐로(yellow) 성분(Y)을 사용하는 작상처리에 필요한 현상 동작을 행한다. 그 다음에, 제 1 구동제어수단(23)은 M색 현상기(3c)(M), C색 현상기(3d)(C), K색 현상기(3a)(K)를 정규 회전방향m1으로 회전시키고, M색 현상기(3c)(M), C색 현상기(3d)(C), K색 현상기(3a)(K)를 현상 위치P1로 순차적으로 설정하여, 각 색성분(M,C,K)을 사용하는 작상처리에 필요한 현상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하면 제 2 구동제어수단(24)이 작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구동제어수단(24)은 현상 위치P1에 최후에 위치한 K색 현상기(3a)(K)를 역회전방향m2으로 회전시켜서, K색 현상기(3a)(K)를 초기 대기위치P0(K)로 되돌린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실시예 1
- 화상형성장치의 전체구성 -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동(同) 도면에서,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여 기록재 위에 화상형성을 행하는 화상형성부(211)를 내부에 가지는 장치케이싱(210)과, 이 장치케이싱(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고 화상을 읽어내는 화상독해부(2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장치케이싱(210) 내의 화상형성부(211)의 하측으로는, 화상형성부(211)에 기록재S를 공급하는 기록재공급부(21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부(211)는 장치케이싱(210)의 예를 들면 프레임에 회전 지지되고 정전잠상을 유지하는 상유지체로서의 감광체(30)와, 이 감광체(30)를 대전하는 대전기(31)와, 대전된 감광체(30) 위에 잠상을 기입하는 노광장치(32)와, 감광체(30)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예를 들면 단색 또는 풀(Full) 컬러용 현상제로 가시상화하는 회전식 현상장치(40)와, 이 회전식 현상장치(40)에 의해 가시상화된 감광체(30) 위의 토너상을 기록재S에 전사 하기 전에 중간적으로 유지하는 중간전사체(33)와, 이 중간전사체(33)에 감광체(30) 위의 토너상을 1차전사하는 1차전사기(34)와, 감광체(30) 위의 잔류 토너를 청소하는 청소장치(35)와, 기록재S에 대하여 중간전사체(33) 위의 토너상을 2차전사하는 2차전사기(36)와, 기록재S 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하는 정착기(3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중간전사체(33)는 복수의 스트레칭 롤러(331∼333)에 걸쳐지고, 예를 들면 스트레칭 롤러(331)를 구동롤러로 하여 순환하게 되어 있고, 이 스트레칭 롤러(331)에 대향하는 위치에 중간전사체(33) 위의 잔류 토너를 청소하는 중간청소장 치(33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트레칭 롤러(333)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이 스트레칭 롤러(333)를 백업롤러로 하는 2차전사기(36)가 설치되고, 양자간에는 2차전사를 행할 때에 중간전사체(33) 위의 토너상이 기록재S에 전사되는 방향의 2차전사 바이어스(bias)가 인가되게 이루어져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2차전사기(36)는 중간전사체(33)에 대하여 도면에 나타낸 것 외의 접리(接離) 기구에 의해 접리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기록재공급부(213)는 기록재S가 수용되는 복수의 기록재수용기(214)를 가지고, 이 기록재수용기(214)에 부설된 급송부재(215)에서 기록재S를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적당수의 반송부재(216)에서 화상형성부(211)로 공급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부(211)에서의 기록재 반송계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기록재공급부(213)로부터 화상형성부(211)로 반송된 기록재S는, 그대로 상측을 향하여 주반송로(217)를 진행하게 된다. 주반송로(217)에는, 기록재S를 일단 위치 결정한 후에 하류측의 2차전사 부위(2차전사기(36)와 스트레칭 롤러(333)가 대향하는 부위)로 반송하는 위치결정롤러(228), 정착후의 기록재S를 장치케이싱(210)의 윗면에 형성된 기록재배출부(230)에 배출하는 배출롤러(229)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출롤러(229)의 상류측에서는, 정착후의 기록재S를 기록재배출부(230)와 다른 방향으로 반전시켜 되돌리는 반전 반송로(218)가 설치되어, 예를 들면 기록재S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복수의 반송부재(235)에 의해 기록재S를 위치결정롤러(228)의 상류측 근방 위치로 되돌려 반송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S로서 입력 공급을 할 수 있도록 입력 반송로(219)가 설치되어서, 입력 공급부(236)에 탑재된 기록재S가 급송부재(237)에 의해 입력 반송로(219)에서 반송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서 컬러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감광체(30) 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중간전사체(33) 위에 1차전사시키는 동작을 반복하고, 중간전사체(33) 위에 다중화된 토너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중간전사체(33)에서의 다중화 토너상의 형성에 맞추어, 기록재공급부(213)로부터 기록재S를 반송하고, 2차전사 부위에서 중간전사체(33) 위의 다중화 토너상을 기록재S 위에 일괄 전사(2차전사)한다. 그리고, 다중화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재S를 정착기(37)에서 예를 들면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정착하고, 배출롤러(229)로부터 기록재배출부(230)로 배출하도록 하면 좋다.
- 회전식 현상장치 -
다음으로, 회전식 현상장치(4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회전식 현상장치(40)는,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가능한 회전유지체(41)를 가지고, 이 회전유지체(41)에 복수의 현상기(50)(50a∼50d)를 탑재하고 있다. 이 각 현상기(50)는, 예를 들면 블랙(black)(K색), 옐로(yellow)(Y색), 마젠타(magenta)(M색), 시안(cyan)(C색)의 4색 토너 및 캐리어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회전식 현상장치(40)에서는, 감광체(30)에 대하여 각 현상기(50)가 대향하는 위치를 현상 위치P1 이라고 한다. 또한, K색 현상기(50a)가 초 기 대기위치P0에 있을 때, 어떤 현상기(50)도 현상 위치P1에 위치하지 않도록 초기 대기위치P0가 설정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회전유지체(41)의 정규 회전방향인 정전(正轉) 방향(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에서 현상 위치P0의 상류측의 위치에 초기 대기위치P0가 설정된다(예를 들면 (i) 초기 대기위치P0와 회전유지부재(41)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선분과 (ii) 현상 위치P1와 회전유지부재(41)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선분 사이의 각도가 약 20°가 되도록 초기 대기위치P0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종료후의 K색 현상기(50a)가 일시 퇴피하는 일시 퇴피 위치Pt가 설정되어 있고, 현상 위치P1 보다 정전 방향의 하류측의 위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i) 일시 퇴피 위치Pt와 회전유지부재(41)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선분과 (ii) 현상 위치P1와 회전유지부재(41)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선분 사이의 각도가 약 20°가 되도록 일시 퇴피 위치Pt는 설정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일시 퇴피 위치Pt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K색 현상기(50a)에 의한 현상 동작 직후에 감광체(30)측으로 불필요한 현상제의 비산(飛散)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K색을 사용하는 작상처리로부터 풀(Full) 컬러를 사용하는 작상처리로 변화될 경우에는, Y색을 사용한 현상이 빠른 시기에 실시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각 현상기(50)(50a∼50d)는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회전유지체(41)에 대하여 대략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회전유지체(41)에 대하여 각 현상기(50)를 불균등 배치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각 현상기(50)를 불균등 배치하는 형태에 대해서 보충해 두면, 예를 들면 현상제의 소비량을 고려해서 K색 현상기(50)(50a)의 보급 현상제 용기(80)(도 6 참조)를 다른 현상기(50)(50b∼50d)와 비교하여 크게 설정한 경우를 들 수 있다.
- 현상기의 전체구성 -
본 실시예의 각 현상기(50)는,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현상 위치P1에서 감광체(30)에 대향하여 개구(開口)하고 각 색성분 토너 및 캐리어를 포함한 현상제가 수용된 현상 용기(51)를 가지고, 이 현상 용기(51)의 개구에 면한 부위에 현상제를 유지 반송하는 현상롤러(52)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현상 용기(51)의 현상롤러(52)의 배면측에는 현상롤러(52)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교반 반송부재(53,5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한 쌍의 교반 반송부재(53,54) 사이에 위치하는 현상 용기(51)에 칸막이벽(55)을 설치하고, 이 칸막이벽(55)의 양단부근에 현상제의 통과구(通過口)(56,57)를 개설하고, 교반 반송부재(53,54)에서 반송되는 현상제가 통과구(56,57)를 통해 현상제 순환경로(58) 내를 순환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롤러(52)측의 교반 반송부재(53)가 주로 현상제를 현상롤러(52)에 공급하는 공급용 교반 반송부재이고, 배후의 교반 반송부재(54)가 주로 현상제를 혼합 각반하는 혼합용 교반 반송부재로 되어 있다.
현상롤러(52)는 회전가능한 비자성의 현상 슬리브(52a)의 내부에 적시수의 자극이 배치된 자석체(52b)를 고정적으로 설치한 것이고, 이 현상롤러(52)에 의해 현상 위치P1를 향해 반송되는 현상제의 층두께를 규제하기 위한 층두께 규제부재(59)가 현상롤러(5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교반 반송부재(53,54)는, 예를 들면 회전축체(60)의 주위에 나선모양 날개(61,62)를 설치한 것을 이용할 수 있고, 교반 반송부재(53,54)의 나선모양 날개(61,62)는 교반 반송부재(53,54)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에 현상제의 반송 방향이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교반 반송부재(53,54)의 양단부에는 통과구(56,57)를 통해 현상제를 현상제 순환경로(58) 내에서 순환 반송할 수 있게 역방향 나선모양 날개(63,64)가 설치되어 있다.
- 현상제 보급기구 -
또한, 본실시예에서는 현상기(50)에 대응하는 현상제 보급용기(80)로부터의 보급 현상제를 보급하는 현상제 보급기구(70)를 구비하고 있다. 현상제 보급기구(70)는 현상 용기(51)의 현상제 순환경로(58)의 길이 방향에 따라 혼합용 교반 반송부재(54)의 배후에 현상제 보급경로(71)를 설치하고, 이 현상제 보급경로(71)에 따라 회전 반송부재(72)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회전 반송부재(72)에 의한 현상제의 반송 방향 하류측 단부 근방에 현상제 순환경로(58)측으로의 보급 현상제를 주고 받는 수도구(受渡口)(73)를 개설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회전 반송부재(72)는, 교반 반송부재(53,54)와 마찬가지로 회전축체(75)의 주위에 나선모양 날개(76)를 설치한 것이고, 이 나선모양 날개(76)는 회전 반송부재(72)가 정지한 상태에서 회전유지체(41)가 정전(正轉) 방향으로 회전하면 현상제 보급경로(71) 내의 보급 현상제가 수도구(受渡口)(7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현상제 보급경로(71)의 현상제 반송 방향 상류측 단부 근방에는, 현상제 보급경로(71)에 대해 보급 현상제를 보급할 수 있게 현상제 보급구(74)가 설치되고, 현상기(50)에 대응하는 색 토너를 포함한 보급 현상제를 내포한 보급 현상제 용기(80)가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전유지체(41)의 회전에 맞춰서 보급 현상제 용기(80)가 현상기(50)의 상측에 있는 자세 상태로, 보급 현상제 용기(80)로부터 현상기(50)로의 보급 현상제의 보급이 양호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보급 현상제 용기(80)는, 예를 들면 원통 모양을 하고 있고, 내부가 보급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실과, 후술하는 현상제 회수 기구에 의해 현상기(50)로부터 배출되는 잉여현상제를 회수하는 회수실로 나누어져 있고, 수용실의 내부에는 나선 모양으로 감은 용수철모양 반송부재가 설치되어, 수용실 내의 보급 현상제를 현상제 보급구(74)측으로 공급하게 되어 있다.
- 현상제 배출기구 -
또한, 본 실시예에서 현상기(50)는 잉여현상제를 배출가능한 현상제 배출기구(9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현상제 배출기구(90)는, 도 7 및 도 8의 (a)(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 이, 현상제 순환경로(58) 중의 현상롤러(52)로부터 먼 쪽의 교반 반송부재(54)가 수용되는 부분에서, 통과구(56)에 대향한 현상 용기(51)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다.
이 현상제 배출기구(90)는 현상 용기(51)의 측벽의 적시 위치에 개구(開口)된 현상제 배출구(91)를 가지고, 이 현상제 배출구(91)에는 개폐 덮개(9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 덮개(92)는 현상제 순환경로(58) 내의 현상제가 증가하고, 그 현상제의 증가량이 소정량을 넘은 경우에 현상제 배출 동작을 보조함과 동시에, 회전유지체(41) 회전시에 현상기(50)의 자세가 변한 때에 현상제의 과잉 배출을 방지하도록 닫힌 상태로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잉여현상제는 예를 들면 보급 현상제 용기(80)에 설치된 현상제 회수용의 소실(小室; small chamber)(미도시)에 직접 회수되게 되어 있다.
- 제어계(Control System) -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현상장치에 대한 제어계를 나타낸다.
동(同) 도면에서, 부호 100은 마이크로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장치이고, 회전식 현상장치(40)의 구동제어 및 농도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회전식 현상장치(40)의 구동제어의 대상은, 회전유지체(41)를 기어 등의 구동 전달기구(101)를 통해 구동하는 구동모터(102), 현상 위치P1에서 현상기(50)의 현상롤러(52), 교반 반송부재(53,54)를 기어 등의 구동 전달기구(103)를 통해 구동하는 구동모터(104), 현상 위치P1에서 현상기(50)의 회전 반송부재(72)에 기어 등의 구동 전달기구(105)를 통해 구동하는 구동모터(106)이며, 도면에 나타낸 것 외의 퍼스널컴퓨터나 조작부(110)로부터의 작상 모드(단색 흑 모드(BW 모드), 풀 컬러 모드(FC 모드)) 등의 지시 신호나 회전유지체(41)가 회전한 것을 감지하는 회전감지기(120)로부터의 신호를 제어장치(100)에서 수신하고, 각 구동모터(102,104,106)에 대하여 소정의 구동제어 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있다. 한편, 회전감지기(120)로서는, 회전유지체(41)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는 엔코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보급기구(70)로부터의 현상제 보급량에 해당하는 정보가 잉여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상제 보급기구(70)로부터의 현상제 보급량에 해당하는 정보는, 각 현상기(50)의 현상제 보급기구(70)로부터 각 현상기(50)의 현상제 순환경로(58)로 모터(106)가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다. 각 현상기(50)의 현상제 보급기구(70)로부터의 현상제 보급량에 해당하는 정보는 그 때마다 누적되어 제어장치(100)의 기억부에 저장되게 되어 있다.
또한, 회전식 현상장치(40)의 농도제어는, 예를 들면 현상기(50) 내의 현상제의 토너 농도를 감지가능한 농도감지기(예를 들면 투자율을 감지하는 감지기 등을 사용)(130)로부터 현상제 내의 토너 농도를 파악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현상제 보급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농도감지 방식으로서는 현상기(50) 내의 현상제로부터 직접 감지하는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9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감광체(30)에 화상농도 감지 패턴을 형성하고, 이것을 광학식의 농도감지기(131)로 감지하여도 좋다.
- 제어장치에 의한 현상 제어 처리 -
도 10은 제어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현상 제어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스텝 S1002에서, 제어장치(100)는 예를 들면 조작부(110)로부터의 작상 모드 지시 신호를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지시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스텝 S1002에서 Yes), 제어장치(100)는 스텝 S1004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으면(스텝 S1002에서 No), 제어장치는 스텝 S1002를 반복한다. 스텝 S1004에서, 제어장치(100)는 지시 신호에 의해 표시된 작상 지시 내용을 판별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00)는 제 1 구동제어처리(작상중의 구동제어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006). 스텝 S1008에서, 제어장치(100)는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장치(100)가 일련의 작상처리는 종료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스텝 S1008에서 No), 제어장치(100)는 스텝 S1006을 반복한다. 즉,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단될 때까지, 제어장치(100)는 제 1 구동제어처리를 실행한다. 제어장치(100)가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했다(스텝 S1008에서 Yes)고 판단하면, 제어장치(100)는 제 2 구동제어처리(작상종료시의 구동제어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010).
- 제 1 구동제어처리 -
도 11은 도 10의 스텝 1006의 제 1 구동제어처리의 상세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스텝 S1102에서, 제어장치(100)는 먼저 프린트 모드(print mode)가 FC(풀 컬러 모드) 또는 BW(단색 흑 모드)의 어느 것인지를 판단한다.
제어장치(100)가 프린트 모드는 BW 모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스텝 S1102에서 BW), 제어장치(100)는 스텝 S1104로 진행하고, K색 현상기(50a)가 초기 대기위치P0(K)(예를 들면 도 5 참조)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장치(100)가 K색 현상기(50a)는 초기 대기위치P0(K)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장치(100)는 스텝 S1106로 진행하고, 회전유지체(41)를 정규 회전방향m1(도 5의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회전방향)으로 회전·정지시켜, 현상 위치P1에 K색 현상기(50a)를 설정하고, 현상 동작을 실행한다(스텝 S1108). 그리고, S1110에서 제어장치(100)는 일련의 작상처리가 최종 페이지에 도달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장치가 일련의 작상처리는 최종 페이지에 도달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스텝 S1108에서 No), 제어장치(100)는 스텝 S1108에서 K색 현상기(50a)에 현상 동작을 반복시킨다. 그렇지 않을 경우(스텝 S1108에서 Yes), 제어장치(100)는 제 1 구동제어처리를 종료하고, 스텝 S1008(도 10)로 진행된다. 즉, 제어장치(100)는 일련의 작상처리가 최종 페이지에 이르기까지 K색 현상기(50a)에 현상 동작을 반복하여 실행시킨다.
또한, 제어장치(100)가 K색 현상기(50a)는 초기 대기위치P0(K)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스텝 S1104에서 No), 제어장치(100)는 스텝 S1112로 진행하고, K색 현상기(50a)가 일시 퇴피 위치Pt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장치(100)가 K색 현상기(50a)는 일시 퇴피 위치Pt에 위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112에서 Yes), 제어장치(100)는 스텝 S1114로 진행하고, 회전유지체(41)를 반대의 역회전방향m2(도 5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회전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정지시켜, 현상 위치P1에 K색 현상기(50a)를 설정하고, 현상 동작을 실시한다(스텝 S1108). 그리고, 제어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 S1110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제어장치(100)는 일련의 작상처리가 최종 페이지에 이르기까지 K색 현상기(50a)에 현상 동작을 반복하여 실행시킨다.
제어장치(100)가 K색 현상기(50a)는 일시 퇴피 위치Pt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스텝 S1112에서 No), 즉, K색 현상기(50a)가 초기 대기위치P0 및 일시 퇴피 위치Pt 이외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장치(100)는 초기 대기위치P0(K)로 K색 현상기(50a)를 되돌리고(스텝 S1116), 스텝 S1104로 진행된다. 이 때, K색 현상기(50a)는 스텝 S1116에서 초기 대기위치P0(K)로 되돌려져 있기 때문에, 제어장치는 스텝 S1104에서 Yes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 S1108 및 S1110을 실행한다. 즉, 제어장치(100)는 일련의 작상처리가 최종 페이지에 이르기까지 K색 현상기(50a)에 현상 동작을 반복하여 실행시킨다.
제어장치(100)가 프린트 모드는 FC 모드라고 판단하면(스텝 S1102에서 FC), 제어장치(100)는 스텝 S1118로 진행하고, K색 현상기(50a)의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00)는 회전유지체(41)를 정규 회전방향m1으로 회전·정지시켜(스텝 S1120), 현상 위치P1에 Y색 현상기(50b), M색 현상기(50c), C색 현상기(50d), K색 현상기(50a)를 순차적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현상기(50)를 사용하여 현상 동작을 실시한다(스텝 S1122). 그리고, 제어장치(100)는 스텝 S1124에서 일련의 작상처리가 최종 페이지에 도달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장치(100)가 일련의 작상처리는 최종 페이지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스텝 S1124로 No), 제어장치는 스텝 S1120, S1122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스텝 S1124에서 Yes), 제어장치는 제 1 구동제어처리를 종료하고, 스텝 S1008(도 10)로 진행된다. 즉, 제어장치(100)는 일련의 작상처리가 최종 페이지에 이르기까지 K색 현상기(50a)에 현상 동작을 반복하여 실행시킨다.
FC 모드에서, K색 현상기(50a)가 초기 대기위치P0(K)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어장치(100)는 회전유지체(41)를 정규 회전방향m1으로 이동시켜 (스텝 S1120), 먼저 현상 위치P1에 Y색 현상기(50b)를 설정한다(스텝 S1122). 이 때문에, FC 모드의 작상 지시에 대하여 회전식 현상장치(40)의 현상 위치P1에 Y색 현상기(50b)를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다.
- 제 2 구동제어처리 -
도 12는, 도 10의 스텝 S1010의 제 2 구동제어처리의 상세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어장치(100)가 일련의 작상처리는 종료했다고 판단하면(도 10의 스텝 S1008에서 Yes), 제어장치(100)는 회전유지체(41)를 정규 회전방향m1으로 회전·정 지시켜(스텝 S1202), 일시 퇴피 위치Pt로 K색 현상기(50a)를 일시 퇴피시킨다.
이 상태에서, 스텝 S1206에서 제어장치(100)는 프린트 모드가 FC 모드인지 BW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제어장치(100)가 프린트 모드는 BW 모드라고 판단하면(스텝 S1206에서 BW), 제어장치(100)는 스텝 S1210로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현상기(50)의 현상제 보급기구(70)가 현상제를 보급할 때마다, 각 현상기(50)의 현상제 보급기구(70)로부터 보급된 현상제의 량에 해당하는 정보에 의해 나타난 값을 제어장치(100)는 누적하고, 누적값을 제어장치(100)의 기억부에 기억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100)의 기억부는 K색 현상기(50a)의 현상제 보급기구로부터 K색 현상기(50a)의 현상제 순환경로(58)로 모터(106)가 현상제를 보급하기 위해 필요한 누적 시간을 기억하고 있다. 스텝 S1210에서, 누적 시간 “T”가 역치(threshold) 이하(제 2 특정값의 일례)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제어장치(100)가 누적 시간 “T”는 역치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1210로 Yes)에는, 제어장치(100)는 회전유지체(41)를 역회전방향m2으로 회전·정지시켜(스텝 S1212), 초기 대기위치P0(K)로 K색 현상기(50a)를 되돌린다 (스텝 S1214).
제어장치(100)가 누적 시간 “T”는 역치를 초과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212에서 No)에는, 제어장치(100)는 회전유지체(41)를 정규 회전방향으로 회전·정지시켜(스텝 S1216), 현상제 배출 위치Ph에 K색 현상기(50a)를 설정해서 잉여현상제를 배출하고(스텝 S1218), 그 후, 제어장치(100)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누적값(예를 들면 누적 시간 “T”)을 리셋(reset)한다(스텝 S1220). 그리고, 제어장 치(100)는 초기 대기위치P0(K)로 K색 현상기(50a)를 되돌린다(스텝 S1214).
제어장치(100)가 프린트 모드는 FC 모드라고 판단한(스텝 S1206에서 FC) 경우, 제어장치(100)는 스텝 S1222로 진행한다. 본 실시예의 회전식 현상장치(40)는 Y색 현상기(50b)가 현상 위치P1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K색 현상기(50a)가 현상제 배출 위치Ph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5의 스텝 S153 참조). Y색 현상기(50b)가 풀 컬러(FC) 모드에서 현상 동작을 실행 중에, 제어장치(100)는 현상제 배출 위치Ph에 위치한 K색 현상기(50a)에 잉여현상제를 배출시킨다. 이 때문에, 스텝 S1222에서, 제어장치(100)는 제어장치(100)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누적값(누적 시간 “T”)을 리셋한다. 현상기(50c,50d,50a) 중 어느 하나가 풀 컬러(FC) 모드에서 현상 동작을 실행 중에, 제어장치(100)는 현상제 배출 위치Ph에 위치하고 있는 현상기(50) (50b,50c,50d)에 잉여현상제를 배출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제어장치(100)는 회전유지체(41)를 역회전방향m2으로 회전·정지시켜(스텝 S1212), 초기 대기위치P0(K)로 K색 현상기(50a)를 되돌린다(스텝 S1214).
- 제 2 구동제어처리중의 다음 작상지시의 취급 -
도 10의 스텝 1010(상세는 도 12 참조)에서의 제 2 구동제어처리중에, 다음 작상지시가 주어질 경우가 있다. 도 13은 제 2 구동제어처리중에 주어진 다음 작상지시를 어떻게 취급할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어장치(100)는 스텝 S1302에서, 다음 작상지시를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한 다. 또한, 스텝 S1302에서의 처리는 도 12에서의 처리(제 2 구동제어처리)와 병렬로 실행된다. 제어장치(100)가 다음 작상지시를 받지 않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302에서 No), 제어장치(100)는 스텝 S1302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스텝 S1302에서 Yes), 제어장치(100)는 스텝 S1304로 진행한다. 스텝 S1304에서, 제어장치(100)는 K색 제어기(50a)가 초기 대기위치P0(K)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장치(100)가 K색 제어기(50a)는 초기 대기위치P0(K)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304에서 Yes), 제어장치(100)는 다음 작상 지시에 따라서 동작한다(스텝 S1306). 그렇지 않을 경우(스텝 S1304에서 No), 제어장치(100)는 스텝 S1308에서, K색 현상기(50a)가 일시 퇴피 위치Pt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장치(100)가 K색 현상기(50a)는 일시 퇴피 위치Pt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308에서 Yes), 제어장치(100)는 다음 작상 지시에 따라서 동작한다(스텝 S1306). 그렇지 않을 경우(스텝 S1308에서 No), 제어장치는 스텝 S1310로 진행된다.
스텝 S1310에서, 제어장치(100)는 K색 현상기(50a)가 현상 위치P1로부터 일시 퇴피 위치Pt로 이동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장치(100)가 K색 현상기(50a)는 현상 위치P1로부터 일시 퇴피 위치Pt로 이동중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스텝 S1310에서 Yes), 제어장치(100)는 일시 퇴피 위치Pt에 K색 현상기(50a)를 설정하고(스텝 S1312), 그것으로부터 다음 작상 지시에 따라서 동작한다(스텝 S1306). 그렇지 않 을 경우(스텝 S1310에서 No), 제어장치(100)는 스텝 S1314로 진행한다.
스텝 S1314에서, 제어장치(100)는 K색 현상기(50a)가 일시 퇴피 위치Pt로부터 초기 대기위치P0(K)로 이동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장치(100)가 K색 현상기(50a)는 일시 퇴피 위치Pt로부터 초기 대기위치P0(K)로 이동중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1314에서 Yes), 제어장치(100)는 다음 작상 지시에 따라서 동작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스텝 S1314에서 No)에는, 제어장치(100)는 초기 대기위치P0(K)에 K색 현상기(50a)를 설정하고(스텝 S1316), 스텝 S1304로 돌아간다. 이 때, K색 현상기(50a)는 초기 대기위치P0(K)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장치는 스텝 S1304로부터 스텝 S1306로 진행한다.
- 일련의 작상처리의 모식설명 -
도 14는 단색(K)을 사용한 작상처리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동(同) 도면에서, K색 현상기(50a)는 먼저 초기 대기위치P0(K)에 위치하고 있다(스텝 S141). 도 14의 S141에 나타낸 상태는 도 11의 스텝 S1141에서 Yes에 대응한다. K색 현상기(50a)는 정규 회전방향m1으로 회전·정지되고, 현상 위치P1에 설정되어서 현상 동작을 실행한다(스텝 S143). 스텝 S143에 나타낸 상황은 도 11의 스텝 S1106,S1108,S1110에 대응한다. 그리고,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한 후에(도 10의 스텝 S1008에서 Yes), K색 현상기(50a)는 정규 회전방향m1으로 회전되어, 일시 퇴피 위치Pt에 설정된다(스텝 S145). 스텝 S145에 나타낸 상황은 도 12의 스텝 S1202,S1204에 대응한다. 잉여현상제를 배출하는 조건에 합치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면 도 12의 스텝 S1202에서 Yes), K색 현상기(50a)는 역회전방향m2으로 회전되고, 초기 대기위치P0(K)로 되돌려진다(스텝 S147). 스텝 S147에 나타낸 상황은 스텝 S1210에서 Yes 및 스텝 S1212,S1214에 대응한다.
도 16의 (a)는 본 실시예의 구동모터(102)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낸다. 도 16의 (b)는 비교예의 구동모터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낸다.
도 16의 (a)에서, K색 현상기(50a)가 현상 위치P1로부터 초기 대기위치P0로 돌아갈 때까지의 시간은, 도 16의 (b)에 나타낸 비교예(정규 회전방향m1만으로 K색 현상기(50a)가 초기 대기위치로 되돌려짐)와 비교하여 짧은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도 16의 (a)에서는 (i) 초기 대기위치P0와 회전유지부재(41)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선분과 (ii) 현상 위치P1과 회전유지부재(41)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선분 사이의 각도를 20°, (i) 현상 위치P1과 회전유지부재(41)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선분과 (ii) 일시 퇴피 위치Pt와 회전유지부재(41)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선분 사이의 각도를 20°로 가정하고 있다.
또한, 잉여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예를 들면 도 12의 스텝 S1210에서 No), K색 현상기(50a)를 더욱 정규 회전방향m1으로 회전·정지 하여 현상제 배출 위치Ph에 설정한다. 그리고, 잉여현상제의 배출 동작을 실행한다(스텝 S148). 스텝 S148에 나타낸 상황은 스텝1210에서 No 및 스텝 S1216∼S1220에 대응한다. 그리고, K색 현상기(50a)는 정규 회전방향m1으로 회전되어, 초기 대기위치P0(K)로 되돌려진다(스텝 S149). 스텝 S149에 나타낸 상황은 도 12의 스텝 S1214에 대응한다.
도 15는 복수의 색(YMCK)을 사용한 작상처리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동(同) 도면에서, 먼저 K색 현상기(50a)가 초기 대기위치P0(K)에 위치한다 (스텝 S151). 그리고, 회전유지부재가 정규 회전방향m1으로 회전되고, Y색 현상기(50b)가 현상 위치P1에 설정되어 옐로 성분(Y)의 현상 동작을 행한다(스텝 S153). 또한, 회전유지부재(41)는 정규 회전방향m1으로 회전·정지되고, M색 현상기(50c), C색 현상기(50d), K색 현상기(50a)가 현상 위치P1에 순차적으로 설정되어 각 색성분(M, C,K)의 현상 동작을 행한다(스텝 S154∼S156). 스텝 S153∼S156에 나타낸 상황은 도 11의 스텝 S1120∼S1124에 대응한다.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하면, 현상 위치P1에 최후에 위치한 K색 현상기(50a)가 정규 회전방향m1으로 회전되어, 일시 퇴피 위치Pt에 설정된다(스텝 S157). 스텝 S157에 나타낸 상황은 도 12의 스텝 S1202,S1204에 대응한다. 그리고, K색 현상기(50a)가 역회전방향m2으로 회전되어, 초기 대기위치P0(K)로 되돌려진다(스텝 S158). 스텝 S158에 나타낸 상황은 도 12의 스텝 S1212,S1214에 대응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화상형성장치를 구현화하는 실시예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도 1의 회전식 현상장치의 현상기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
도 3의 (a)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단색(K)에 의한 작상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b)는 동(同) 화상형성장치에서의 복합색(YMCK)에 의한 작상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실시예 1의 회전식 현상장치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실시예 1의 현상기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도 6 중 VII-VII선에 해당하는 현상기의 단면 설명도.
도 8의 (a)는 실시예 1의 현상제 배출구 부근의 상세를 나타낸 설명도, (b)는 그 요부 사시도.
도 9는 실시예 1에 사용되는 제어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실시예 1에 사용되는 현상 제어 처리의 플로챠트를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도 10의 제 1 구동제어처리의 플로챠트를 나타낸 설명도.
도 12는 도 10의 제 2 구동제어처리의 플로챠트를 나타낸 설명도.
도 13은 도 10, 12의 제 2 구동제어처리의 도중에 접수된 다음 작상지시와의 관계에 대한 플로챠트를 나타낸 설명도.
도 14는 실시예 1에서의 단색(K)을 사용한 작상처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 명도.
도 15는 실시예 1에서의 복수의 색(YMCK)을 사용한 작상처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 16의 (a)는 실시예 1에서의 단색(K)을 사용한 작상처리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 (b)는 비교예에서의 단색(K)을 사용한 작상처리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유지체 2: 회전식 현상장치
3(3a∼3d): 현상기 4: 회전유지체
5: 현상 용기 5a: 현상제 순환경로
6: 현상제유지체 7(7a,7b): 교반 반송부재
8: 현상제 보급구 9: 현상제 배출구
10: 현상제 보급기구 11: 현상제 보급경로
13: 현상제 반송부재 20: 현상 제어장치
21: 접수수단 22: 제 1 판별수단
23: 제 1 구동제어수단 24: 제 2 구동제어수단
25: 제 2 판별수단 26: 제 3 구동제어수단
P0(P0(K)): 초기 대기위치 P1: 현상 위치
P2∼P4: 대기위치 Pt: 일시 퇴피 위치
Ph: 현상제 배출 위치

Claims (12)

  1. 정전잠상을 유지하는 상유지체;
    정역(正逆)회전 가능한 회전유지체와,
    이 상유지체에 유지된 정전잠상을 단색 또는 복수의 색으로 가시상화하도록 회전유지체에 탑재된 복수의 현상기를 가지고,
    현상기 중 어느 하나가, 상유지체에 대향하는 현상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상기 회전유지체가 회전을 정지하고,
    현상기 중 상기 어느 하나가 현상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현상 위치에 정지한 그 현상기가 현상 동작을 실행하는 회전식 현상장치; 및
    이 회전식 현상장치를 제어하는 현상 제어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로서,
    상기 회전식 현상장치의 각 현상기는,
    각 현상기가 현상 위치에서 정지했을 때에 상유지체에 대향하는 현상 개구와,
    토너 및 캐리어가 포함된 2성분 현상제를 수용하고 현상제를 순환시키는 현상제 순환경로를 가지는 현상 용기;
    이 현상 용기의 현상 개구에 면해서 설치되고 현상제를 유지해서 회전 반송하는 현상제유지체; 및
    상기 현상 용기의 현상제 순환경로에서 현상제유지체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연장하고, 또한 회전함으로써 현상제 순환경로를 따라 현상제를 교반 반송하는 복수의 교반 반송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현상 제어장치는,
    단색 또는 복수의 색을 사용하는 일련의 작상(作像)처리에 관한 작상지시를 접수하는 접수수단;
    회전식 현상장치에서의 단색 또는 복수의 색을 사용하는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1 판별수단;
    상기 접수수단에 의한 작상지시를 접수한 때부터 상기 제 1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별되기까지의 사이에, 회전식 현상장치의 회전유지체를 미리 결정된 정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 현상기가 현상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 현상기를 순차적으로 현상 위치에 정지시키는 제 1 구동제어수단; 및
    상기 제 1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회전식 현상장치의 회전유지체를 상기 정규 회전방향과는 반대인 역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단색 또는 복수의 색을 사용하는 작상처리에서 현상 위치에 최후에 위치한 현상기를 초기 대기위치로 되돌리는 제 2 구동제어수단을 구비하고,
    현상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초기 대기위치에 있는 경우, 어떤 현상기도 현상 위치에는 위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현상 위치에 최후에 위치한 현상기가 초기 대기위치로 돌아가기 전에 접수수 단이 다음 작상지시를 접수한 경우에는, 제 1 구동제어수단이 제 2 구동제어수단 보다 우선해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위치에 대하여 회전유지체의 정규 회전방향 상류측에 초기 대기위치가 설정되고,
    상기 현상 위치에 대하여 회전유지체의 정규 회전방향 하류측에 일시 퇴피 위치가 설정되고,
    제 2 구동제어수단은 상기 회전유지체를 정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단색 또는 복수의 색을 사용하는 작상처리에서 현상 위치에 최후에 위치한 현상기를 일시 퇴피 위치에 퇴피시키고,
    작상처리에서 현상 위치에 최후에 위치한 현상기가 일시 퇴피 위치로 퇴피하고 나서 미리 결정된 퇴피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접수수단이 다음 작상지시를 접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구동제어수단이 상기 회전유지체를 역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일시 퇴피 위치에 위치한 현상기를 초기 대기위치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작상처리에서 현상 위치에 최후에 위치한 현상기가 일시 퇴피 위치로 퇴피하고 나서 상기 퇴피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접수수단이 다음 작상지시를 접수한 때,
    다음 작상지시가 일시 퇴피 위치에 위치한 현상기에 대응하는 단색을 사용하는 작상처리일 경우에는, 제 1 구동제어수단은 회전유지체를 역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일시 퇴피 위치에 있는 현상기를 현상 위치로 이동시켜서 현상 동작을 실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제 1 구동제어수단은 회전유지체를 정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다음의 화상 작상지시에 의해 표시된 화상형성 처리에서 사용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현상기를 순차적으로 현상 위치에 이동시키고, 하나 또는 복수의 현상기에 현상 동작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접수 유닛이 작상지시를 접수하기 전에는, 상기 복수의 색 중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특정색을 사용하여 단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기가 (i) 초기 대기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ii) 현상기 중에서 정규 회전방향에 따라 현상 위치에 가장 가깝고,
    모든 현상기를 사용하는 복수의 색에 의한 작상처리에서는, 제 1 구동제어수단은 특정색 현상기보다 앞서 다른 현상기를 사용하고, 최후에 특정색의 현상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각 현상기는, 현상 용기의 일부에 설치되어 신규인 현상제를 보급가능한 현 상제 보급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현상기는,
    현상 용기의 일부에 설치되어 토너 및 캐리어가 포함된 신규인 현상제를 보급가능한 현상제 보급구와,
    현상 용기의 일부에 설치되어 잉여현상제를 배출가능한 현상제 배출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각 현상기가 현상 위치에 대하여 회전유지체의 정규 회전방향 하류측의 미리 결정된 현상제 배출 위치에 위치할 때에, 각 현상기는 현상제 배출구를 통해 잉여현상제를 배출가능하고,
    현상 제어장치는 제 2 판별수단과, 제 3 구동제어수단을 더 가지고,
    제 2 판별수단은 특정색의 현상기로부터 배출되어야 할 잉여현상제의 량이 미리 결정된 제 1 규정량을 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제 2 판별수단이 특정색의 현상기로부터 배출되어야 할 잉여현상제의 량이 상기 제 1 규정량을 넘는다고 판별한 경우, 제 3 구동제어수단은 회전유지체를 정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특정색의 현상기를 현상제 배출 위치로 이동시키고, 특정색의 현상기의 현상제 배출구를 통해 잉여현상제를 배출하고, 그 후에 특 정색의 현상기를 초기 대기위치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2 판별수단은, 현상제 보급구로부터 보급된 신규인 현상제의 량에 해당하는 정보에 의해 표시된 값을 누적하고, 이 누적값이 미리 결정된 제 2 규정값을 넘는지 여부에 근거해서 특정색의 현상기로부터 배출해야 할 잉여현상제의 량이 상기 제 1 규정량을 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값이 상기 제 2 규정값을 넘는 경우, 또는, 상기 누적값이 상기 제 2 규정값을 넘기 전이고 상기 특정색의 현상기가 상기 현상제 배출 위치를 통과가능한 작상지시에 근거하는 작상처리가 실시된 경우에, 제 3 구동제어수단이 제 2 판별수단에 의한 상기 누적값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구동 수단이 특정색의 현상기로부터 배출해야 할 잉여현상제의 량이 상기 제 1 규정량을 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제 3 구동제어수단은 상기 회전유지부재의 회전을 정지하고, 상기 특정색의 현상기를 현상제 배출 위치에서 회전 정지시키고, 상기 특정색의 현상기의 현상제 배출구를 통해 잉여현상제를 배출시키고, 그 후에 재차 회전유지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판별수단이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별한 시점에서, 제 2 구동제어수단에 의한 제어 처리보다 제 3 구동제어수단에 의한 제어 처리를 우선하고,
    제 1 판별수단이 일련의 작상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별한 시점에서 제 2 판별수단이 잉여현상제가 제 1 규정량 이하라고 판별한 경우, 제 2 구동제어수단이 회전식 현상장치의 회전유지부재를 역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화상형성 처리에서 현상 위치에 최후에 위치한 현상기를 초기 대기위치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90097362A 2008-10-14 2009-10-13 화상형성장치 KR101309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65373 2008-10-14
JP2008265373A JP5151891B2 (ja) 2008-10-14 2008-10-14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685A true KR20100041685A (ko) 2010-04-22
KR101309662B1 KR101309662B1 (ko) 2013-09-23

Family

ID=42098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362A KR101309662B1 (ko) 2008-10-14 2009-10-13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85782B2 (ko)
JP (1) JP5151891B2 (ko)
KR (1) KR101309662B1 (ko)
CN (1) CN1017270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5677B2 (ja) * 2011-07-20 2016-01-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0073A (ja) * 1984-06-06 1985-12-23 Canon Inc 現像装置
JPH10268606A (ja) 1997-03-27 1998-10-09 Fuji Xerox Co Ltd 多色画像形成装置
JP4038297B2 (ja) 1999-03-03 2008-01-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3307905A (ja) 2002-04-18 2003-10-3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3345124A (ja) * 2002-05-22 2003-12-03 Canon Inc 現像装置
US7356272B2 (en) * 2004-10-29 2008-04-08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veloping roller that rotates during standby to ensure toner uniformity
JP2007171591A (ja) * 2005-12-22 2007-07-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4710760B2 (ja) 2006-08-29 2011-06-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083092A (ja) * 2006-09-25 2008-04-10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CN101206440B (zh) * 2006-12-22 2010-05-19 富士施乐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
JP4985014B2 (ja) 2007-03-23 2012-07-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51891B2 (ja) 2013-02-27
KR101309662B1 (ko) 2013-09-23
US8385782B2 (en) 2013-02-26
US20100092195A1 (en) 2010-04-15
CN101727044B (zh) 2014-05-28
JP2010096841A (ja) 2010-04-30
CN101727044A (zh) 201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5973A (en) Rotary develop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GB2165776A (en) Multi-colour imaging apparatus
JP2020060668A (ja) 画像形成装置
JPH09114179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100887222B1 (ko) 현상기
KR101309662B1 (ko) 화상형성장치
JP2007279566A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1140760B1 (ko)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4525158B2 (ja) 現像装置
JP4985014B2 (ja) 画像形成装置
JPS6197674A (ja) 画像形成装置
JP4856690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19726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ing a two-component developer
JPH1020639A (ja) 現像装置及びこれに使用する現像剤補給容器
JP200522771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55762A (ja) 画像形成装置
JP2023158706A (ja) 画像形成装置
JP5061750B2 (ja) 画像形成装置
JPH07168433A (ja) 現像装置
JPH01124874A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12062A (ja) 現像装置
JPH0990703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3345104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12168395A (ja) 回転式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113874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0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0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9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