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868A - 승강식 찬장 - Google Patents

승강식 찬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868A
KR20100040868A KR1020107001637A KR20107001637A KR20100040868A KR 20100040868 A KR20100040868 A KR 20100040868A KR 1020107001637 A KR1020107001637 A KR 1020107001637A KR 20107001637 A KR20107001637 A KR 20107001637A KR 20100040868 A KR20100040868 A KR 20100040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door
guide
lower door
cup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0663B1 (ko
Inventor
준이치 타카하시
미노루 야마나카
신이치 기무라
히데히토 쿠리야마
요시오 오카다
Original Assignee
크린업 코포레이션
후쿠신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업 코포레이션, 후쿠신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크린업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40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승강랙을 내리는 스트로크를 짧게 하여 용적의 증대를 도모하면서, 문의 동작에 따르는 압박감을 최소한으로 하는 승강식 찬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해결수단) 저면과 전면이 개방된 캐비넷(170)과, 캐비넷(170)에 대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랙(180)을 구비하고, 키친의 위쪽에 설치되는 승강식 찬장에 있어서, 캐비넷(170)의 전면의 위쪽에 배치되는 윗문(172)과, 캐비넷(170)의 전면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아랫문(174)을 구비하고, 아랫문이 윗문의 하단을 돌아서 그 표면을 따라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강식 찬장{Liftable suspended cupboard}
본 발명은 키친싱크대의 위쪽에 설치되는 승강식 찬장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 있어서, 키친싱크대 등의 조리설비의 상부에는 공간이 비어 있기 때문에 키친싱크대의 위쪽에 찬장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주방에서는, 밥그룻, 접시, 컵 등의 식기류, 냄비, 후라이팬 등의 조리기구, 소금, 후추 등의 조미료 등, 크고 작은 여러가지 물건을 사용한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식기류, 조리기구, 조미료 등은 상기 찬장에 수납된다.
또한, 생활양식과 식생활의 다양화에 따라서, 상기한 식기류, 조리기구, 조미료 등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더우기, 작금의 고령화에 동반되어, 상기 찬장의 사용상의 용이함과 편리함을 구하는 수요도 늘고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키친싱크대의 위쪽에 설치되는 찬장을 수동 또는 전동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식 찬장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승강식 찬장은, 예를 들면 찬장 전체가 승강하는 것(예를 들면 특개평11-46886호 공보 참조)과, 찬장의 전면에 배치된 문을 열고나서 찬장내에 설치된 수납선반을 회전암으로 지지하면서 앞쪽 하방으로 당겨내리는 것(예를들면 특개2004-222886호 공보 참조)과, 캐비넷과, 이 캐비넷으로부터부터 거의 수직방향으로 승강가능한 승강 랙를 구비한 것(예를 들면 특개2006-000677호 공보 참조) 등이 있다.
상기한 특개평11-46886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는, 찬장 전체가 승강하기 때문에 승강장치가 대형으로 되고, 또한, 구동기구가 외부로부터 보이기 때문에 미감을 향상시키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특개2004-222886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는, 잡아 당긴 수납선반이 조리자를 향하여 회전하여 내려오기 때문에 조리작업에 방해가 되고, 빈번하게 수납선반을 꺼내고 넣지 않으면 안되는 수고로움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근년에는 특개2006-00067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캐비넷으로부터 거의 수직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한 승강랙을 구비한 구성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직방향으로 승강이 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승강랙의 전체면을 노출시키기 때문에, 승강랙 전체를 캐비넷 아래쪽으로 내리는 만큼의 스트로크가 캐비넷의 하방에 필요하다. 바꾸어 말하면, 키친싱크대의 위쪽으로부터 천정까지 찬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중에서, 반 높이의 찬장밖에 설치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실제로 승강을 위한 구동기구를 캐비넷내에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더욱더 승강랙의 용적은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일반가정의 천정의 높이는 일반적으로는 2.3m 정도이고, 키친싱크대의 높이는 85cm 정도이다. 또한, 키친싱크대의 위에는 병과 작은 물건랙을 두기 위한 높이를 남겨두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남겨진 위쪽 공간의 높이중 반이하를 승강랙의 높이인 것으로 하면, 승강랙의 용적이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그래서 종래부터도, 캐비넷의 앞면의 문을 승강랙의 상하운동과 연동시켜서 개폐를 하고, 승강랙을 내린 상태에 있어서 승강랙의 상단이 캐비넷의 하단보다도 위에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예를들면, 특개2006-340756호 공보 참조). 이 구성에 의하면, 앞면의 문으로 감추어져야하는 위치에서도 꺼내고 넣을 수가 있기 때문에, 승강랙의 높이를 높게 할 수가 있고, 한정된 높이의 위쪽 공간에 있어서 용적이 큰 승강랙을 설치할 수가 있다.
특허문헌1:특개평11-46886호공보 특허문헌2:특개2004-222886호공보 특허문헌3:특개2006-000677호공보 특허문헌4:특개2006-340756호공보
그러나, 특개2006-340756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는, 문의 하단이 회동하여 열리는 구성이기 때문에 앞면의 개방 공간은 작다. 이 때문에, 특히 승강랙의 상단은 냄비와 상자 물건 등의 큰 물건은 꺼내고 넣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문을 더욱 크게 여는 것도 생각될 수 있지만, 찬장의 전방에 크게 문이 설치되기 때문에 머리위로 앞판이 다가오게 되어, 압박감을 줄 염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승강랙을 내리는 스트로크를 짧게 하여 용적의 증대를 도모하면서, 문의 동작에 따른 압박감을 최소한으로 하는, 승강식 찬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식 찬장의 대표적 구성은, 저면과 전면이 개방된 캐비넷과, 캐비넷에 대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랙을 구비하고, 키친의 위쪽에 설치되는 승강식 찬장에 있어서, 캐비넷의 전면의 위쪽에 배치되는 윗문과, 캐비넷의 전면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아랫문을 구비하고, 아랫문이 윗문의 하단을 돌아서 그 표면을 따라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승강랙을 내리는 스트로크를 짧게 하여 용적의 증대를 도모하면서, 문의 동작에 따르는 압박감을 최소한으로 하는 승강식 찬장을 제공할 수가 있다.
상기한 아랫문의 양측 가장자리의 각각에 상측 피안내부 및 하측 피안내부를 설치하고, 상기한 캐비넷의 양측 벽의 각각에 상측 피안내부를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와 하측 피안내부를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한 상부 가이드 및 하부 가이드는, 상측 피안내부 또는 하측 피안내부를 그의 정지위치로부터 위로 감에 따라 캐비넷의 전방을 향하여 안내하는 경사부와, 상기한 경사부에 연속하여 거의 연직하방으로 안내하는 직선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아랫문이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경사부에 의해 우선 캐비넷 전방으로 이동하고, 다음에 윗문의 전방측을 따라 상승한다. 이에 따라 아랫문이 윗문의 하단을 돌아서 그의 표면을 따르도록 상승할 수가 있다.
상기한 상부 가이드의 경사부는 하부 가이드의 경사부 보다도 연직선에 대한 기울기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아랫문의 하단보다 상단이 먼저 캐비넷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원활하게 윗문의 하단을 돌아나올 수가 있다.
상기한 상부 가이드 또는 하부 가이드에 있어서, 상측 피안내부 또는 하측 피안내부의 정지위치로부터 직선부까지의 수평거리를 게시 폭으로 할 때, 상부 가이드의 게시 폭은 하부 가이드의 게시 폭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아랫문은 그의 상단보다 많게 게시된 기울기 상태에서 상승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머리 위에 최대한으로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가 있고, 아랫문에 의해 압박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아랫문을 견인하여 상승시키는 견인부를 구비하고, 견인부에 의한 견인을 해제함으로써 아랫문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모터와 기어 등에 의한 구동도 생각될 수 있지만, 상기 레일 및 피안내부의 구성에 의하면 위쪽으로의 견인과 자중에 의한 하강에 의해 승강동작을 시킬 수가 있고, 구동기구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한 견인부는, 활차와, 상기 활차를 개재하여 승강랙과 아랫문을 양단에 현수하는 케이블로 이루어지고, 승강랙이 하강하는 경우의 하중에 의해 아랫문을 견인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승강랙과 아랫문이 기계적으로 연동하기 때문에 아랫문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승강랙의 구동원으로 이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랙을 내리는 스트로크를 짧게 하여 용적의 증대를 도모하면서, 문의 동작에 따른 압박감을 최소한으로 하는 승강식 찬장을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 키친과 찬장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승강랙의 구동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승강랙에 연동하는 아랫문의 구동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구동 모터에 의한 구동기구와 승강랙에 의한 구동기구를 비교대비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아랫문의 가이드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아랫문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아랫문 등의 궤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로를 사용함으로써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크기, 재료, 그 외의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고, 특히 미리 양해를 얻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키친용 승강식 찬장(이하 '찬장'으로 약칭한다)의 승강랙과, 승강랙의 전면을 막는 아랫문을 연동시키고, 양 장치를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따라서, 승강랙의 하강 스트로크를 길게 하지 않아도 전면의 개방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가 있다. 그리고 문은 상승하는 경우에 윗문의 하단을 돌아서 들어가고, 그의 표면을 따라서 상승하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우선 찬장의 배치 및 구동기구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후에 본 실시형태의 특징을 상술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 키친과 찬장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시스템 키친(100)은 조리에 필요한 불(가열) 및 물을 중심으로 조리기구가 그의 크기에 따라서 각 수납고에 배치되어 있다. 찬장(110)은 시스템 키친(100)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지만, 높은 곳에 있는 문을 개폐함이 없이 수납부분을 키친 사용자의 눈의 높이까지 내려서, 전방으로 손을 뻗어서 피수납물을 수납 또는 취출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시스템 키친(100)은 싱크(130), 조리 스페이스(140) 및 가열부(150)의 대략 3개의 부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 키친(100)중 싱크(130) 및 조리 스페이스(140)의 폭에 걸친 영역의 상방에 있어서, 찬장(110)은 벽(500)에 뒷쪽면이 고정 지지되어 있다. 한편, 화기를 취급하는 가열부(150)의 위쪽에는, 찬장(110)에 인접되어 있는 렌지후드(160)가 찬장(110)과 마찬가지로 벽(500)에 뒷쪽면이 고정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찬장(110)은, 아래쪽이 개방된 캐비넷(170)과, 상기한 캐비넷(170)의 아래쪽에서 캐비넷(170)의 내외로 승강되는 승강랙(180)을 포함한다. 승강랙(180)은 수납부를 가지며, 전면의 대부분이 개방되어 있고, 식기와 부엌주변의 물품을 꺼내고 넣을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캐비넷(170)의 앞쪽면에는 윗문(172)과 아랫문(174)이 배치되어 있고, 승강랙(180)이 하강하여 캐비넷(170)의 아래쪽으로 출현하는 때는, 이 것과 연동하여 아랫문(174)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승강랙(180)의 상단을 캐비넷(170)의 하단보다 하강시키지 않아도 승강랙(180)의 개방 전면은 사용자의 눈앞에 출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승강랙(180)의 가동범위를 좁게 할 수가 있고, 승강 동작시간을 단축하기도 하고, 찬장(110)의 높이 방향의 크기를 크게 하여 용적증대를 도모할 수도 있다. 이하에, 승강랙(180)과 아랫문(174)을 연동시키는 구동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승강랙의 구동기구)
도 2는 승강랙(180)의 구동기구를 표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주로 승강랙(180)의 승강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찬장(110)의 전면측에서 관찰을 하고 있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2에서는 아랫문(174)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우선, 구동모터(190)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의 좌우로 구동풀리(192)부터 2조의 광폭케이블(200)이 감겨져 나온다. 이 광폭케이블(200)은, 캐비넷(170)의 양측판의 근방에 고정 설치되어 고정활차로서 기능역할을 하는 전향활차(21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전향되고, 단부는 각각 승강랙(180)에 고정되어 동활차로서 기능역할을 하는 승강활차(212)를 감고, 캐비넷(170)의 위쪽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190)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승강랙(180)을 승강시킬 수가 있다. 여기에서, 케이블은 밧줄에 한정되지 않고 띠도 포함된다.
이렇게 하여 승강랙(180)이 하강하면 아랫문(174)의 배면으로부터 수납부(220)가 출현된다.
(아랫문의 구동기구)
도 3은 승강랙(180)에 연동하는 아랫문(174)의 구동기구(견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찬장(110)을 측면으로부터 관찰하고 있다. 여기에서, 아랫문(174)은 도 2에서 나타낸 승강랙(180)에 연동되어 승강된다.
도 3(a)는 승강랙(180)이 캐비넷(170)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승강랙(180)과 아랫문(174)와의 사이에는 고정활차로서 아랫문용 활차(250)가 고정설치된다. 아랫문용 활차(250)는 2개의 릴(제1 릴(252), 제2 릴(254))이 연결되어 축을 같게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1 릴(252)에는 승강랙(180)을 현수하기 위한 제1 케이블(260)이 감겨지고, 제2 릴(254)에는 아랫문(174)을 현수하기 위한 제2 케이블(262)이 감겨져 있다.
여기에서, 승강랙(180)과 아랫문(174)을 각각 현수하기 위한 제1 케이블(260) 및 제2 케이블(262)은, 릴에 대해서 서로 역방향으로 감겨져 있으므로, 승강랙(180) 또는 아랫문(174)의 한 쪽이 상승하면 다른 쪽이 연동하여 자체 무게에 의해 하강한다.
도 3(b)는 승강랙(180)이 캐비넷(170)으로부터 하강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승강랙(180)이 가이드레일(264)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강하면, 제1 케이블(260)이 제1 릴(252)을 잡아당기고, 제1 릴(252)과 동축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제2 릴(254)은 회전축(256)을 중심으로 제1 릴(252)과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한다. 그리고, 제2 릴(254)의 권장력에 의해 제2 케이블(262)에 접속된 연결부(266)와 아랫문(174)이 상승한다. 따라서, 승강랙(180)의 하강에 대응하여 아랫문(174)이 상승하고, 승강랙(180)과 아랫문(174)의 이동량의 합이 승강랙(180)의 개방 공간이 되므로 하강 스트로크를 길게 하지 않아도 승강랙(180)의 전면의 개방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승강랙(180) 및 아랫문(174)의 하중이 회전축(256)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로 걸리기 때문에 제1 릴(252) 및 제2 릴(254)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장력이 상쇄되고, 승강랙(180) 및 아랫문(174)을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거나 임의의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부하를 경감할 수가 있어서, 전력절감, 저코스트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3의 아랫문용 활차(250)에 주목하면, 제1 릴(252)과 제2 릴(254)의 케이블의 감긴 부분의 지름이 서로 다른 것을 알 수가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승강랙(180)과 아랫문(174)과의 승강 스트로크비를 해당 찬장(110)의 용도에 따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도 3에서는, 아랫문(174)을 현수하기 위한 케이블(262)이 감겨진 제2 릴(254)의 지름이, 승강랙(180)을 현수하기 위한 케이블(260)이 감겨진 제1 릴(252)의 지름보다 작게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찬장(110)은 아래쪽에는 어느 정도의 점유가능한 공간을 가지고, 위쪽에는 점유가능한 공간이 없다고 하는 설치상황이 상정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랙(180)은 그 높이(H1)만큼 하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아랫문(174)은 윗문(172)에 중첩될 때 까지, 즉 승강랙(180)의 약 반의 길이(H2)밖에 상승할 수가 없다. 이러한 아랫문(174)에 대응하는 제2 릴(254)의 지름과 승강랙(180)에 대응하는 제1 릴(252)의 지름의 비는, 예를 들면, H2/H1 로 할 수가 있고, 지름의 비를 4/9 로 하면 좋다. 이와 같이 제2 릴(254)의 지름을 제1 릴(252) 보다 작게 하는 것으로, 상술한 스트로크차를 다른 특별한 구성을 이용함이 없이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동모터로부터의 연동)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랙(180)은 구동모터(190)를 동력원으로서 승강되고, 아랫문(174)은 승강랙(180)을 간접적인 동력원으로서 승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1개의 동력원(구동모터)에 의해 승강랙(180) 및 아랫문(174)의 양 쪽의 승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구동모터(190)에 의한 구동기구와 승강랙(180)에 의한 구동기구를 대비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여기에서는, 구동모터(190)로부터 승강랙(18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와, 승강랙(180)으로부터 아랫문(174)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가 독립되어 있고, 각각의 동력의 전달방향을 면방향으로 제한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구동모터(190)로부터 승강랙(18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는, YZ면에 있어서의 방향전환만으로 달성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과 활차와의 조합만으로 전달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승강랙(180)으로부터 아랫문(174)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도 ZX면에 있어서의 케이블 및 활차의 조합에 의한 방향전환만으로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승강랙(180)이 하강하는 때의 하중에 의해 아랫문(174)을 위쪽으로 견인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승강랙(180)과 아랫문(174)이 기계적으로 연동하기 때문에, 아랫문(174)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승강랙(180)의 구동원으로 공급할 수가 있다. 더우기, 아랫문(174)이 구동모터(190)로부터 직접 구동력을 받지 않으므로 승강랙(180)이 어떤 사고에 의해 승강불능하게 된 경우에 아랫문(174)도 연동하여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랙(180)의 정지에 반하여 아랫문(174)만 동작하게 됨으로써 2차적 피해가 생기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아랫문의 가이드 기구)
다음에, 아랫문의 가이드 기구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아랫문의 가이드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가이드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아랫문(174)의 양측 가장자리의 뒷쪽면에는 연결부(266)에 아랫문(174)을 취부하기 위한 문구동 브라켓(176)이 각각 취부되어 있다. 상기한 연결부(266)에는 상측 피안내부인 상부 굴림대(268)와, 하측 피안내부인 하부 굴림대(27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연결부(266)의 상단에는, 제2 케이블(262)을 취부하기 위한 걸림하부(272)가 설치되어 있다. 캐비넷(170)의 양측벽 각각에는 가이드 브라켓(28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브라켓(280)에는 상부 굴림대(268)를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282)와, 하부 굴림대(270)를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28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가이드 브라켓(280)에는 후술하는 수용기구(39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상부 가이드(282) 및 하부 가이드(284)의 하단에는 각각 대경부(282a, 284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곳에 상부 굴림대(268) 및 하부 굴림대(270)의 머리를 삽입할 수가 있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는 상부 굴림대(268) 또는 하부 굴림대(270)의 정지위치(거의 하단의 위치)로부터 위로 감에 따라서 캐비넷(170)의 전방을 향하여 안내되는 경사부(282b, 284b)와, 상기한 경사부(282b, 284b)에 연속하여 거의 연직방향으로 안내되는 직선부(282c, 284c)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상부 가이드(282) 및 하부 가이드(284)가 상기한 바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음으로써 아랫문(174)이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아랫문(174)은 경사부(282b, 284b)에 의해 우선 캐비넷의 전방으로 이동하고, 다음에 직선부(282c, 284c)에 의해 윗문(172)의 전방측을 따라 상승한다. 이에 의해 아랫문(174)의 상단이 윗문(172)의 하단에 걸리지 않도록, 아랫문(174)이 윗문(172)의 하단을 돌아서, 그의 표면을 따라서 상승할 수가 있다.
도 5(b)는 가이드 기구의 조립도이다. 상부 굴림대(268) 및 하부 굴림대(270)는 상부 가이드(282) 및 하부 가이드(284)에 그의 머리를 끼워 결합시켜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결부(266)의 걸림하부(272)에는 제2 케이블(262)이 취부되고, 현수됨으로써 아랫문(174)이 정지되어 있다. 이 정지위치로부터 제2 케이블(262)이 상방으로 연결부(266)를 견인함으로써 상부 굴림대(268) 및 하부 굴림대(270)가 상부 가이드(282) 및 하부 가이드(284)에 의해 안내되면서 아랫문(274)이 상승하게 된다.
도 6은 아랫문(174)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b)의 가이드의 형상을 참조하면서 아랫문(174)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a)는 정지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제2 케이블(262)에 의해 견인됨으로써 아랫문(174)이 시동된다. 이 때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282)의 경사부(282b) 쪽이, 하부 가이드(284)의 경사부(284b) 보다도 연직선에 대한 기울기가 크다. 이것에 의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랫문(174)의 하단보다 상단 쪽이 먼저 캐비넷 전방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랫문(174)의 상단이 윗문(172)의 하단보다도 전방으로 이동한 뒤에, 상부 굴림대(282) 및 하부 굴림대(270)가 직선부(282c, 284c)에 이르게 되고,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승이 개시된다. 그리고, 직선부(282c, 284c)의 상단까지 상승을 하면, 도 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랫문(174)의 상측과 윗문(172)의 하측이 겹친 상태로 된다.
도 7은 아랫문(174), 연결부(266), 상부 굴림대(268), 하부 굴림대(270)의 궤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아랫문(174)의 상단이 윗문(172)의 하단을 돌아나오고, 그리고나서 아랫문(174)이 윗문(172)의 표면을 따라서 상승함을 알 수가 있다.
상부 굴림대(268) 및 하부 굴림대(270)가 직선부(282c, 284c)에 도달한 후에는, 아랫문(174)의 자세(경사도)에는 변화가 없는 채로 상승한다. 여기에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282)에 있어서 상부 굴림대(268)의 정지위치로부터 직선부(282c)까지의 수평거리를 게시폭(w1)으로, 하부 가이드(284)에 있어서 하부 굴림대(270)의 정지위치로부터 직선부(284c)까지의 수평거리를 게시폭(w2)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부 가이드의 게시 폭(w1)은 하부 가이드의 게시 폭(w2) 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 것에 의해 아랫문(174)은 상단 쪽이 보다 더욱 캐비넷 전방으로 돌출된 기울기 상태로 상승하고, 정지되어 있는 때에는 그 자세가 확보된다, 이 것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위에 최대한으로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가 있고, 아랫문에 의해 압박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아랫문(174)이 닫혔을 때, 즉 승강랙(180)이 상승할 때는, 아랫문(174)은 도 6에 나타낸 상승과정을 거꾸로 하여 하강하고, 윗문(172)의 아래쪽으로 수납된다. 이 때 수용기구(390)의 동작에 의해 최후까지 확실하게 닫히게 된다.
상기한 수용기구(39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기구(390)는 가이드 브라켓(280)의 상부에 설치되며, 가이드 브라켓(280)에 중도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는 암(390a)과, 상기한 암(390a)의 일단에 설치된 굴림대(390b)와, 상기한 굴림대(390b)를 캐비넷 내측을 향하여 당겨 미는 스프링(390c) (탄성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연결부(266)에는 수용기구(390)의 굴림대(390a)가 주행하기 위한 수용가이드(266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수용가이드(266a)는 단면이 ㄷ자형상의 홈형상으로 굴림대(390b)가 그의 측벽에 접함으로써 연결부(266)를 캐비넷 내측을 향하여 밀 수가 있다.
아랫문(174)이 상술한 바와 같이 상승하는 경우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림대(390b)가 수용 가이드(266a)의 측벽에 접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수용기구(390)는 스프링(390c)의 미는 힘에 의하여 회전을 한다. 또한, 상부 굴림대(268) 및 하부 굴림대(270)가 직선부(282c, 284c)에 있는 때, 수용기구(390)의 미는 힘이 가이드 홈의 방향과 거의 직교하기 때문에, 상승력을 방해할 염려는 없다. 그리고, 아랫문(174)이 닫히는 때, 특히 상부 굴림대(268), 하부 굴림대(270)가 경사부(282b, 284b)에 있는 때에는 수용기구(390)의 스프링(390c)의 당겨 미는 힘은 아랫문(174)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여기에서, 반대로 자체 무게에 의해 아랫문(174)을 닫고자 하는 때, 상부 굴림대(268) 및 하부 굴림대(270)가 경사부(282b, 284b)에 있는 때는 분력으로 되기 때문에 수용하는 방향의 힘이 약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아랫문(174)은 최후까지 닫히지 않고, 윗문(172) 보다 조금 뜬 상태에서 이동이 종료되어 버릴 염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수용기구(390)를 설치함으로써 특히 연결부(266)의 상단을 캐비넷(170)의 상측을 향하여 밀어 줌으로써 확실하게 아랫문(174)을 윗문(172)의 아래쪽에 수용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찬장(110)은 승강랙(180)의 하강 스트로크를 길게하지 않아도 전면의 개방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승강랙을 내리는 스트로크를 짧게 하여 용적의 증대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아랫문이 윗문의 하단을 돌아들어가, 그 표면을 따라서 상승함으로써 문의 동작에 따르는 압박감을 최소한으로 할 수가 있고, 키친용 승강식 찬장의 사용상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해 낼 수 있는 것이 명확하고, 그러한 것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은 키친의 상방에 설치되는 승강식 찬장으로서 이용될 수가 있다.
100 : 시스템 키친 110 : 찬장
130 : 싱크 140 : 조리 스페이스
150 : 가열부 160 : 렌지후드
170 : 캐비넷 172 : 윗문
174 : 아랫문 176 : 문구동브라켓
180 : 승강랙 190 : 구동모터
192 : 구동풀리 200 : 광폭케이블
210 : 전향활차 212 : 승강활차
220 : 수납부 250 : 아랫문용 활차
252 : 제1 풀리 254 : 제2 풀리
256 : 회전축 260 : 제1 케이블
262 : 제2 케이블 264 : 가이드 레일
266 : 연결부 268 : 상부 굴림대
270 : 하부 굴림대 272 : 걸림하부
280 : 가이드 브라켓 282 : 상부 가이드
282a : 대경부 282b : 경사부
282c : 직선부 284 : 하부 가이드
284a : 대경부 284b : 경사부
284c : 직선부 390 : 수용기구
390a : 암 390b : 굴림대
390c : 스프링 500 : 벽

Claims (6)

  1. 저면과 전면이 개방된 캐비넷과, 캐비넷에 대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랙을 구비하고, 키친의 위쪽에 설치되는 승강식 찬장에 있어서,
    상기한 캐비넷의 전면의 위쪽에 배치되는 윗문과,
    상기한 캐비넷의 전면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아랫문을 구비하고,
    상기한 아랫문이 윗문의 하단을 돌아서 그 표면을 따라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찬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아랫문의 양측 가장자리의 각각에 상측 피안내부 및 하측 피안내부를 설치하고,
    상기한 캐비넷의 양측 벽의 각각에 상측 피안내부를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와 하측 피안내부를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한 상부 가이드 및 하부 가이드는,
    상측 피안내부 또는 하측 피안내부를 그의 정지위치로부터 위로 감에 따라 캐비넷의 전방을 향하여 안내하는 경사부와,
    상기한 경사부에 연속하여 거의 연직하방으로 안내하는 직선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찬장.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 가이드의 경사부는 하부 가이드의 경사부 보다도 연직선에 대한 기울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찬장.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 가이드 또는 하부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한 상측 피안내부 또는 하측 피안내부의 정지위치로부터 상기한 직선부까지의 수평거리를 게시 폭으로 할 때,
    상기한 상부 가이드의 게시 폭은 상기한 하부 가이드의 게시 폭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찬장.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아랫문을 견인하여 상승시키는 견인부를 구비하고, 상기한 견인부에 의한 견인을 해제함으로써 아랫문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찬장.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견인부는, 활차와, 상기 활차를 개재하여 상기 승강랙과 상기 아랫문을 양단에 현수하는 케이블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승강랙이 하강하는 경우의 하중에 의해 아랫문을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찬장.
KR1020107001637A 2007-06-29 2008-06-09 승강식 찬장 KR101440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73571 2007-06-29
JP2007173571A JP5094238B2 (ja) 2007-06-29 2007-06-29 昇降式吊戸棚
PCT/JP2008/060532 WO2009004897A1 (ja) 2007-06-29 2008-06-09 昇降式吊戸棚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868A true KR20100040868A (ko) 2010-04-21
KR101440663B1 KR101440663B1 (ko) 2014-09-23

Family

ID=4022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637A KR101440663B1 (ko) 2007-06-29 2008-06-09 승강식 찬장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094238B2 (ko)
KR (1) KR101440663B1 (ko)
CN (1) CN101686754B (ko)
HK (1) HK1142781A1 (ko)
TW (1) TWI457093B (ko)
WO (1) WO20090048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9004806U1 (de) * 2009-05-12 2010-10-14 Hettich Holding Gmbh & Co. Ohg Möbel
WO2011122562A1 (ja) * 2010-03-30 2011-10-06 アークレイ株式会社 分析装置
JP5452363B2 (ja) * 2010-05-25 2014-03-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吊戸棚
JP5452362B2 (ja) * 2010-05-25 2014-03-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吊戸棚
CN103169264A (zh) * 2012-12-18 2013-06-26 王辉煌 一种便携式多功能厨具
CN103783844A (zh) * 2013-11-20 2014-05-14 哈尔滨金苹果橱柜有限公司 挂壁式橱柜
CN105831992A (zh) * 2016-05-16 2016-08-10 苏州通快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式组合柜
CN111227756A (zh) * 2020-01-21 2020-06-05 金诺言 一种洗碗机安装结构及升降式洗碗机
KR102202582B1 (ko) 2020-07-13 2021-01-13 신중하 승하강식 수납장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75358A (zh) * 1999-05-28 2000-12-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升降式存放装置
JP3653509B2 (ja) * 2002-06-20 2005-05-25 有限会社新井鉄工 昇降式収納装置
JP2004305491A (ja) * 2003-04-08 2004-11-04 Oaks Kk 昇降吊戸棚
CN1579285A (zh) * 2003-08-13 2005-02-16 王玉君 一种自动升降台
JP4232197B2 (ja) * 2003-11-07 2009-03-04 Toto株式会社 水切り棚キャビネット
JP4542853B2 (ja) * 2004-09-06 2010-09-15 東芝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JP4828188B2 (ja) * 2005-09-14 2011-11-30 クリナップ株式会社 昇降式吊り戸棚
CN101190072A (zh) * 2006-11-23 2008-06-04 于维恕 竖直升降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6754A (zh) 2010-03-31
CN101686754B (zh) 2012-08-29
JP5094238B2 (ja) 2012-12-12
WO2009004897A1 (ja) 2009-01-08
TWI457093B (zh) 2014-10-21
JP2009011389A (ja) 2009-01-22
HK1142781A1 (en) 2010-12-17
KR101440663B1 (ko) 2014-09-23
TW200927026A (en)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0868A (ko) 승강식 찬장
EP1744656B1 (en) Basket lifting arrangement for a dishwasher
TWI477247B (zh) Kitchen with lift hanging cabinet
KR20100091905A (ko) 수납고
KR20120017067A (ko) 가구 아이템
JP5264594B2 (ja) 収納庫
KR20190120881A (ko) 승강 선반이 설치된 오븐
CN106043097B (zh) 用于房车的三折式多功能升降吊床
JP4994130B2 (ja)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
KR100628061B1 (ko) 냉장고
JP4994131B2 (ja)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
CN205890682U (zh) 用于房车的三折式多功能升降吊床
KR100606981B1 (ko) 냉장고
JP2010201062A (ja) 収納庫
JP2009011390A (ja)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
CN215076457U (zh) 自动提升柜
JP4994132B2 (ja) 昇降式吊戸棚
KR200365675Y1 (ko)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
JPH0449954Y2 (ko)
JP5253296B2 (ja) 収納庫
KR102572692B1 (ko)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
JP5072918B2 (ja) 電動昇降吊戸棚
CA3235204A1 (en) Assembly for lifting and mechanizing movement of home appliances and methods thereof
WO2021062550A1 (en) Overhead storage unit with pivoting storage containers
JP2001269234A (ja) 昇降式吊り戸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