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692B1 -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 - Google Patents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692B1
KR102572692B1 KR1020220171703A KR20220171703A KR102572692B1 KR 102572692 B1 KR102572692 B1 KR 102572692B1 KR 1020220171703 A KR1020220171703 A KR 1020220171703A KR 20220171703 A KR20220171703 A KR 20220171703A KR 102572692 B1 KR102572692 B1 KR 102572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helf
shelf
elevating
guide rail
kitchen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1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국
박희준
Original Assignee
장상국
박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국, 박희준 filed Critical 장상국
Priority to KR1020220171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08Suspension fittings for cabinets to be hung 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상하 이동되는 주방 가구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식 승강 장치에 의해 선반을 상하 이송시킬 수 있고, 가이드 레일을 다단으로 슬라이딩 되게 설치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정적으로 승하강 되며, 다단으로 겹쳐진 가이드 레일에 의해 선반이 지지되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선반, 상기 수납 선반과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 선반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승강 장치, 상기 승강 장치를 벽체에 고정할 수 있는 승강 장치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수납 선반의 뒤쪽에 구비되어 수납 선반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며 수납 선반을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Top and bottom movable shelves for kitchen furniture}
본 발명은 자동으로 상하 이동되는 주방 가구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식 승강 장치에 의해 선반을 상하 이송시킬 수 있고, 가이드 레일을 다단으로 슬라이딩 되게 설치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정적으로 승하강 되며, 다단으로 겹쳐진 가이드 레일에 의해 선반이 지지되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 선반은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것으로, 높이 조절이 불가하다.
이러한 선반은 설치 시 상부에 있는 선반은 높이로 인해 수납이 어려워 자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주로 자주 쓰지 않는 물건 등을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비워두고 사용하지 않게 된다.
또한, 고소에 위치한 선반에서 물건을 꺼내거나 수납할 경우 신장이 작은 사람이 사용하기에 무리가 따르고, 의자 등을 이용해 사용하게 되면 낙상 사고 등의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관련하여 선행문헌 1(등록실용신안 20-0318149 승강 가능한 수납 선반)에서는 주방에서 씽크대 상부에 설치하여 각종 접시, 조미료 등을 수납하는 수납 선반을 사용 시 하강하고 미사용 시 승강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은 밸트와 풀리 구조를 이용하여 선반을 승하강시키기 때문에 안정성이 좋지 못하고, 밸트의 유동에 의해 수납된 물건이 추락되어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장기간 사용 시 밸트가 손상되어 선반이 추락하거나, 구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문헌 1(등록실용신안 20-0318149 승강 가능한 수납 선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동 구조의 승강 장치를 이용해 선반을 승하강 시킬 수 있고, 선반의 양측에 다수개가 겹쳐지는 구조의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여 가이드 레일이 다단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상하 이동 구간을 여유있게 확보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안정적인 상하 이동이 가능한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선반, 상기 수납 선반과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 선반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승강 장치, 상기 승강 장치를 벽체에 고정할 수 있는 승강 장치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수납 선반의 뒤쪽에 구비되어 수납 선반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며 수납 선반을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 선반은 벽체 측에 구비되는 후면 패널 및 상기 후면 패널의 뒤쪽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하며 수납 선반을 보강 지지하는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후면 패널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사이드 프레임, 상기 후면 패널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후면 패널의 중앙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장치와 연결되는 중앙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수납 선반이 승하강 되도록 구동시키는 승하강 구동부 및 한쪽 끝부분은 상기 승하강 구동부와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수납 선반과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 구동부에 의해 상기 수납 선반을 상하 이동시키는 승하강 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승강 장치 프레임과 연결되는 상부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수납 선반의 뒤쪽에 연결되는 선반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 구동부는, 상기 승하강 구동축이 구동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승하강 구동축과 스크류 체결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 구동축을 상하 이동시키는 승하강 스크류 및 상기 전동 모터와 승하강 스크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승하강 스크류로 전달하되, 전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여 전달할 수 있는 감속 기어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 스크류에는 상기 승하강 스크류을 지지하는 스크류 지지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승강 장치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승강 장치를 결합할 수 있는 승강 장치 설치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수납 선반의 뒤쪽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내측으로 겹쳐지게 결합되는 제2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내측으로 겹쳐지게 결합되는 제3 가이드 레일 및 벽체 측에 고정되어 수납 선반이 승하강 되도록 지지하는 승강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 레일에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과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가이드 레일 결합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가이드 레일에는 일정 간격을 이루며 나란하게 내측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볼로 이루어진 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 레일에는 상기 베어링과 대응되는 위치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는 상기 승강 레일이 결합되는 승강 레일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 레일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 결합부재가 내측으로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결합 유도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결합된 가이드 레일 결합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 결합부재는, 상기 걸림턱과 걸리며 결합되는 걸림 후크와, 상기 걸림 후크의 반대쪽에 구비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걸림턱 측으로 밀려져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및 상기 걸림 후크와 탄성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걸림 후크 측에서 하부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걸림턱에서 이탈되도록 조작하여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후크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은 상하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장에 상관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하 승하강 시 전동식 승강 장치에 의해 균일한 속도로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이 양측에 설치되되, 다수의 레일이 겹쳐지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하 이동 구간을 충분하게 확보하면서 선반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에서 승강 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에서 승강 장치에서 커버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에서 승강 장치 고정 프레임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에서 가이드 레일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에서 가이드 레일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에서 승강 장치에서 승강 레일과 제2 가이드 레일이 가이드 레일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 및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
본 발명은 주방 가구용 선반을 전동 방식의 승강 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승강 장치가 스크류 구동에 의해 안정적이고 정밀한 이동이 가능하고, 상하 이동 경로를 따라 가이드 레일이 다수개가 겹쳐지는 구조로 설치되어 각 가이드 레일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하 이동 거리 확보가 가능함과 동시에 수납 선반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선반(100), 상기 수납 선반(100)과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 선반(100)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승강 장치(200), 상기 승강 장치(200)를 벽체에 고정할 수 있는 승강 장치 고정 프레임(300) 및 상기 수납 선반(100)의 뒤쪽에에서 상기 승강 장치(200)의 양측으로 구비되어 수납 선반(1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며 수납 선반(100)을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 선반(100)은, 수납 선반(100)외측 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400)이 설치되는 후면 패널(110)과, 상기 벽체와 수납 선반(100) 사이에 승강 장치(200)가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하면서 수납 선반(100)의 지지 강도를 보강하는 지지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 프레임(120)은, 상기 후면 패널(110)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수납 선반(100)의 측면 지지 강도를 보강하는 사이드 프레임(121)과, 상기 후면 패널(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납 선반(100)의 하부 지지 강도를 보강하는 하부 프레임(122) 및 상기 후면 패널(110)의 중앙에서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장치(200)와 연결되어 수납 선반(100)의 상하 승하강을 지지하면서 수납 선반(100)의 중앙 부분 지지강도를 보강하는 중앙 지지 프레임(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수납 선반이 상하 이동 시 뒤틀리지 않고, 상기 승강 장치(200)에 의해 상하로 안정적인 승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에서 승강 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에서 승강 장치에서 커버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승강 장치(200)는, 수납 선반(100)이 승하강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하강 구동부(210)와, 상기 승하강 구동부(210)와 볼트 너트 체결 구조로 설치되고, 그 다른쪽 끝부분은 수납 선반(100)과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 구동부(210)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수납 선반(100)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축(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 구동부(210)는, 전동 방식으로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 모터(211)와, 상기 전동 모터(211)와 연결되어 전동 모터(211)의 회전 동력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승하강 스크류(212) 및 상기 전동 모터(211)와 승하강 스크류(21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동 모터(211)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며 승하강 스크류(212)를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 기어 박스(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 스크류(212)는 상기 감속 기어 박스(213) 측과 연결됨에 있어서, 소음을 최소화 하면서 승하강 스크류(212)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스크류 지지부재(212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구동축(220)은, 승하강 구동축(220)이 승하강되는 외측을 보호하는 구동축 커버(2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승강 장치(200)는 상부에는 벽체 측에 고정 설치되는 승강 장치 고정 프레임(300)과 연결되는 상부 고정 브라켓(230)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수납 선반(100)과 연결되는 선반 지지 브라켓(240)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230)은, 승강 장치 고정 프레임(300)에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 고정홀(231)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장치(200)와 연결되는 끝부분에는 승강장치 고정홀(232)이 형성된다.
상기 선반 지지 브라켓(240)은, 수납 선반(100)에서 중앙 지지 프레임(123)과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선반 고정홀(241)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승하강 구동축(220)과 결합되는 구동축 고정홀(242)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승강 장치(200)는 벽체에 고정되는 승강 장치 고정 프레임(300)과 상부 끝부분이 연결되고, 하부 끝부분은 수납 선반(100)과 연결되어, 승하강 구동부(210)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 구동축(220)이 승하강되며 수납 선반(100)을 상, 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에서 승강 장치 고정 프레임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승강 장치 고정 프레임(300)은, 프로파일 형태의 프레임으로 횡단면이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의 외형을 이루고,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230)에 의해 승강 장치(200)가 설치되는 승강 장치 설치홈(310)이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횡단면에서 중앙에는 선반 지지 브라켓(24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사각형의 중앙 보강부(320)가 구비된다.
상기 중앙 보강부(320)에서 모서리 부분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리브(3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 리브(330)는 승강 장치 고정 프레임(300)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면서 승강 장치 설치홈(310)을 형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에서 가이드 레일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에서 가이드 레일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400)은, 수납 선반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 레일(410)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410)의 내측으로 겹쳐지게 설치되는 제2 가이드 레일(420) 및 상기 제2 가이드 레일(420)의 내측으로 겹쳐지게 설치되는 제3 가이드 레일(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가이드 레일(410), 제2 가이드 레일(420), 제3 가이드 레일(430)은 서로 겹쳐지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 장치(200)에 의해 수납 선반(100)이 상, 하로 이동될 때 수납 선반(100)이 유동되지 않도록 이동 경로를 안내하면서 다수개가 겹쳐지게 설치되어 수납 선반(100)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3 가이드 레일(430)의 내측에는 일정 간격을 이루며 나란하게 내측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볼로 이루어진 베어링(431)이 구비된다.
그리고 수납 선반(100)이 이동되는 경로에서 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3 가이드 레일(430)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승강 레일(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 레일(440)의 양측에는 상기 베어링(431)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크기의 홈 형태를 이루며 상기 베어링(431)과 맞물려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홈(44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승강 레일(440)의 내측에는 승강 레일(440)이 상기 제3 가이드 레일(430)과 결합될 때, 결합은 용이하게 하면서 결합 후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가이드 레일 결합부재(45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420)의 상부 끝부분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 결합부재(450)와 서로 결합되면서 승강 레일(440)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승강 레일 결합부(42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 레일 결합부(421)는, 상기 가이드 레일 결합부재(450)가 원활하게 결합되도록 결합 방향에서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이루어진 결합 유도 경사면(4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유도 경사면(422)의 끝부분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 결합부재(450)가 결합 위치로 결합되면 분리되지 않도록 걸리게 지지하는 걸림턱(42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 결합부재(450)는,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재로 제작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 결합부재(450)는, 상기 승강 레일 결합부(421)와 결하될 때, 걸림턱(423)과 맞물리며 걸리는 걸림 후크(451)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 후크(451)가 구비된 타측에는 상기 걸림 후크(451)가 탄성에 의해 결합 방향으로 밀려지도록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452)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 지지부(452)는, 승강 레일(440)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며 걸림 후크(451)를 타측으로 밀어주어 승강 레일 결합부(421)와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 후크(451)와 탄성 지지부(452) 사이에는 상부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승강 레일(440)을 분리하고자 할 때에, 상기 걸림 후크(451)가 걸림턱(423)에서 이탈되도록 조작하여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후크 해제부(453)가 구비된다.
이로 인해, 수납 선반(100)의 상하 승하강 동작을 안내하면서, 수납 선반(10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벽체에 승강 레일(440)을 먼저 설치한 상태에서 승강 레일 결합부(421)와 가이드 레일 결합부재(450)를 이용해 간편하게 결합 및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에서 승강 장치에서 승강 레일과 제2 가이드 레일이 가이드 레일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 및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납 선반(100)을 승강 장치(200)와 함께 벽체에 설치할 때, 먼저 승강 레일(440)을 벽체에 설치한 후 수납 선반(100) 측에 설치된 제2 가이드 레일(420)과 제3 가이드 레일(430)을 상기 승강 레일(440)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승강 레일(440)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 결합부재(450)가 제2 가이드 레일(420)에 구비된 승강 레일 결합부(421)로 삽입되며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 결합부재(450)의 걸림 후크(451)는 상기 승강 레일 결합부(421)의 결합 유도 경사면(422)에 의해 내측으로 밀려진 상태로 결합 유도 경사면(422)을 따라 삽입된다.
이때, 상기 탄성 지지부(452)는 걸림 후크(451)가 결합 유도 경사면(422) 측으로 밀려지도록 탄성에 의해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제3 가이드 레일(430)의 베어링(431)은 상기 승강 레일(440)의 가이드홈(441)과 슬라이딩되며 결합된다.
이후, 걸림 후크(451)가 결합 유도 경사면(422)을 통과하면 결합 유도 경사면(422)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423)에 걸리며 승강 레일(440)과 제1 내지 제3 가이드 레일들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수납 선반(100)이나 승강 장치(200), 또는 가이드 레일(400) 등이 마모로 인해 교체가 필요하거나 고장 발생 시 수납 선반(100)을 분리할 때에는 후크 해제부(453)를 조작하여 걸림 후크(451)가 걸림턱(423)에서 이탈되도록 해제한 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주방 가구에서 공간 활용 및 편의를 위해 수납 선반을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 시에는 수납 선반을 전동 장식의 승강 장치를 이용해 하강시켜 사용하고, 사용이 끝나면 다시 승강 장치를 이용해 승강시켜 설거지나 요리 등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100 : 수납 선반 110 : 후면 패널
120 : 지지 프레임 121 : 사이드 프레임
122 : 하부 프레임 123 : 중앙 지지 프레임
200 : 승강 장치 210 : 승하강 구동부
211 : 전동 모터 212 : 승하강 스크류
212a : 스크류 지지부재 213 : 감속 기어 박스
220 : 승하강 구동축 221 : 구동축 커버
230 : 상부 고정 브라켓 231 : 프레임 고정홀
232 : 승강장치 고정홀 240 : 선반 지지 브라켓
241 : 선반 고정홀 242 : 구동축 고정홀
300 : 승강 장치 고정 프레임 310 : 승강 장치 설치홈
320 : 중앙 보강부 330 : 보강 리브
400 : 가이드 레일 410 : 제1 가이드 레일
420 : 제2 가이드 레일 421 : 승강 레일 결합부
422 : 결합 유도 경사면 423 : 걸림턱
430 : 제3 가이드 레일 431 : 베어링
440 : 승강 레일 441 : 가이드홈
450 : 제2 가이드레일 결합부재 451 : 걸림 후크
452 : 탄성 지지부 453 : 후크 해제부

Claims (7)

  1.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선반(100);
    상기 수납 선반(100)과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 선반(100)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승강 장치(200);
    상기 승강 장치(200)를 벽체에 고정할 수 있는 승강 장치 고정 프레임(300); 및
    상기 수납 선반(100)의 뒤쪽에 구비되어 수납 선반(1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며 수납 선반(100)을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400);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 선반(100)은 벽체 측에 구비되는 후면 패널(110) 및 상기 후면 패널(110)의 뒤쪽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장치(200)가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하며 수납 선반(100)을 보강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120)은, 상기 후면 패널(110)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사이드 프레임(121), 상기 후면 패널(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122) 및 상기 후면 패널(110)의 중앙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장치(200)와 연결되는 중앙지지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200)는, 상기 수납 선반(100)이 승하강 되도록 구동시키는 승하강 구동부(210) 및 한쪽 끝부분은 상기 승하강 구동부(210)와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수납 선반(100)과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 구동부(210)에 의해 상기 수납 선반(100)을 상하 이동시키는 승하강 구동축(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구동부(210)는, 상기 승하강 구동축(220)이 구동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 모터(211)와, 상기 전동 모터(211)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승하강 구동축(220)과 스크류 체결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 구동축(220)을 상하 이동시키는 승하강 스크류(212) 및 상기 전동 모터(211)와 승하강 스크류(21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 모터(211)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승하강 스크류(212)로 전달하되, 전동 모터(211)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여 전달할 수 있는 감속 기어 박스(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400)은 수납 선반(100)의 뒤쪽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 레일(410)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410)의 내측으로 겹쳐지게 결합되는 제2 가이드 레일(420)과, 상기 제2 가이드 레일(420)의 내측으로 겹쳐지게 결합되는 제3 가이드 레일(430) 및 벽체 측에 고정되어 수납 선반(100)이 승하강 되도록 지지하는 승강 레일(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

KR1020220171703A 2022-12-09 2022-12-09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 KR102572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703A KR102572692B1 (ko) 2022-12-09 2022-12-09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703A KR102572692B1 (ko) 2022-12-09 2022-12-09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692B1 true KR102572692B1 (ko) 2023-08-29

Family

ID=8780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1703A KR102572692B1 (ko) 2022-12-09 2022-12-09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69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176U (ko) * 1997-06-17 1999-01-15 김은영 주방용기기의 상, 하 이송장치
JP2000300363A (ja) * 1999-04-22 2000-10-31 Koito Ind Ltd 収納ボックス
KR200318149Y1 (ko) 2003-03-19 2003-06-27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승강 가능한 수납 선반
KR20100020508A (ko) * 2010-02-02 2010-02-22 김용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벽면 고정용 수납장
KR20110002969A (ko) * 2009-07-03 2011-01-11 권태양 승강식 주방가구
KR20210090383A (ko) * 2020-01-10 2021-07-20 최창열 수납장 가구의 높낮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176U (ko) * 1997-06-17 1999-01-15 김은영 주방용기기의 상, 하 이송장치
JP2000300363A (ja) * 1999-04-22 2000-10-31 Koito Ind Ltd 収納ボックス
KR200318149Y1 (ko) 2003-03-19 2003-06-27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승강 가능한 수납 선반
KR20110002969A (ko) * 2009-07-03 2011-01-11 권태양 승강식 주방가구
KR20100020508A (ko) * 2010-02-02 2010-02-22 김용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벽면 고정용 수납장
KR20210090383A (ko) * 2020-01-10 2021-07-20 최창열 수납장 가구의 높낮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3919B1 (en) Filing cabinet having vertically extensible drawers
CN201481857U (zh) 消毒柜或厨柜抽屉的自动抽拉提升装置
US20130241384A1 (en) Motorized Upper and Lower Storage Shelves
CN104257116B (zh) 储物柜的箱体升降结构
US85563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storage space
TWI484932B (zh) storage box
US81136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storage space
WO2018209780A1 (zh) 电动置物架
JP5094238B2 (ja) 昇降式吊戸棚
KR20100109466A (ko) 수납고
KR102572692B1 (ko)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
KR101668115B1 (ko) 수납고
CN112806752A (zh) 升降装置及储物柜
CN107752411B (zh) 天花板循环吊柜系统
CN211120242U (zh) 一种具有升降层架的冰箱
JP5448505B2 (ja) 収納庫
CN107120504B (zh) 一种复合底脚装置及家用电器
CN2626326Y (zh) 自动升降吊柜
JPH0713544Y2 (ja) スライド棚の昇降装置を備えたテーブル
JP5448506B2 (ja) 収納庫
CN108371723B (zh) 升降机构和消毒设备
CN108210962B (zh) 升降机构和消毒设备
JPH0449954Y2 (ko)
CN220222697U (zh) 一种板材自动下料装置
CN211818959U (zh) 一种方便运输的自动舱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