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969A - 승강식 주방가구 - Google Patents

승강식 주방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969A
KR20110002969A KR1020090060522A KR20090060522A KR20110002969A KR 20110002969 A KR20110002969 A KR 20110002969A KR 1020090060522 A KR1020090060522 A KR 1020090060522A KR 20090060522 A KR20090060522 A KR 20090060522A KR 20110002969 A KR20110002969 A KR 20110002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ifting
shelf
cabinet
kitchen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양
정원모
명관 이
김응주
Original Assignee
권태양
명관 이
김응주
정원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양, 명관 이, 김응주, 정원모 filed Critical 권태양
Priority to KR1020090060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969A/ko
Publication of KR2011000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싱크대의 후방측에 수납 공간을 두어 양념통, 커피 혹은 주방에 필요한 간단한 도구의 보관 및 정리 정돈을 가능하게 하되, 이들 수납장이 탄발력에 의해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식 주방가구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싱크대 후방측에 마련된 공간을 구획하여 각각이 다른 형태를 갖는 수납장이 끼워지도록 하되, 상기 수납장은 드럼에 권취된 판스프링의 단부와 연결된 구성으로, 상기 수납장을 끌어올릴 때 판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하고, 수납장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선반과 선반에 놓인 주방 용품의 무게에 의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싱크대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부 수납장에도 동일한 기술을 적용하여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 하부 수납장 모두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부 수납장은 싱크대 상부의 주방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전면 개방부에 도어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전면에 고정되고, 그 상면으로 식기, 컵, 주방 용품이 올려지도록 하는 선반; 상기 이송부와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이송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설치된 드럼에 감아진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이송부에 연결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승강 보조부;로 구성된 것으로,
여기서 사용자가 선반을 잡고 끌어내리면, 선반의 무게와 선반에 올려진 식 기의 무게 의하여 천천히 하강하되, 이때 드럼에 감긴 이송부의 이송 거리에 비례하여 권취부의 탄발력이 증가하여 정리 정돈을 마친 선반을 밀어 올리면 탄발력으로 선반을 끌어올리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싱크대, 승강식 수납장, 판스프링, 하우징

Description

승강식 주방가구{An elevator for kitchen furniture}
본 발명은 승강식 주방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의 후방측에 수납 공간을 두어 양념통, 커피 혹은 주방에 필요한 간단한 도구의 보관 및 정리 정돈을 가능하게 하되, 이들 수납장이 탄발력에 의해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식 주방가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싱크대의 후방측의 하부 수납장과 더불어 싱크대의 상부 벽면에 설치되는 상부 수납장의 선반을 하강, 승강시켜 식기의 수납은 물론 정리 정돈이 용이한 승강식 주방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가구의 수납장은 싱크대의 좌, 우측과 싱크대 상부의 벽면에 설치되어 음식 조리에 필요한 식기, 컵, 소 가전제품의 정리 정돈 및 보관 기능을 하고, 주방이 위생적이면서 깔끔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 최근에는 주방을 단순히 식사를 준비하고 음식을 먹는 공간이 아닌 주부들의 생활 공간으로 인식이 바뀌면서 주방가구에 대한 다양한 변화가 모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주방 환경에 맞춰 주방 가구를 배치하고 잔여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주부를 위한 맞춤형 주방 가구, 자동화된 시스템을 바탕으로 보다 편리하게 음식물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은 근래 변화된 모습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대다수의 주부들은 보다 더 많은 수납 공간을 갖기를 원한다. 이는 보통의 주부들이 원하는 사항이기도 하지만 실제 많은 주방 용품 예컨대 도마, 칼 혹은 컵과 같이 자주 꺼내쓰는 용품은 수납장 등에 보관하기보다는 싱크대 위에 놓아두게 된다.
이에 최근에는 싱크대의 배면과 벽면 사이에 공간을 배치하고, 이 공간에 수납공간을 마련하는 예가 있다,
즉,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46032호의 이러한 수납장은 싱크대 배면과 벽면의 사이 공간에 배치됨과 아울러 싱크대의 상판과 같은 높이가 되고 벽면과 싱크대의 상판 사이에 설치된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가 되는 하나 이상의 박스형 수납함과, 상기한 수납함의 상면을 개폐하도록 형성된 커버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납장은 공간을 활용한다는 측면에서는 유용할지 모르나, 수납함이 싱크대 상판 밑에 설치되어 수납된 주방 용품을 꺼내쓰기에는 대단히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싱크대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수납장을 승강시켜 주부들이 편리하게 식기의 정리 정돈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납장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18149호의 수납 선반은 주부의 키 높이 및 동선을 감안한 주방 가구의 일 예로,
주방의 싱크대 상면에 위치됨과 아울러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수납 선반과, 상기한 수납 선반에 수납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고 다수의 칸막이가 설치된 승강 선반과, 상기한 승강 선반이 사용자가 필요할 때만 하강하고 필요 없을 경우에는 상승하도록 승강 선반과 수납 선반 사이에 승강 수단이 갖추어진 것으로, 상기 승강 수단을 이용하여 선반을 승강시켜 식기 등의 정리 정돈이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승강 수단으로는 수납 선반의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된 모터와, 상기한 모터와 동력 전달 수단으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하도록 수납 선반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한 회전축의 양측단에 설치됨과 아울러 일단이 승강 선반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소정 길이의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 풀리와, 상기한 모터를 동작/정지/역회전시키도록 승강 선반의 저면에 설치된 온/오프 스위치와, 상기한 승강 선반의 상하단 정지 위치를 제한하도록 수납 선반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한 온/오프 스위치 및 리미트 스위치에서의 신호로 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실 예 역시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제작성에 문제가 있다.
상기의 예를 살펴보면, 모터와 권취 풀리 즉 와이어를 이용하게 되는데, 단순히 와이어만 가지고 수납 선반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시키기란 대단히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둘째, 제작 비용에 따른 주방 가구의 가격 상승에 우려가 있다.
즉, 모터와 정밀하게 가공된 부속품은 주방 가구의 가격을 상승시켜 일반 가정에서는 쉽게 구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싱크대의 하부측에 공간을 마련하고, 이 공간에 칼, 도마 혹은 양념통 등 주방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품을 보관할 수 있는 하부 수납장을 구비하되, 이 하부 수납장에 판스프링을 연결하여 하부 수납장이 반자동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식 주방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부들의 키 높이에 맞춰 싱크대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수납장이 하강, 승강하도록 하되, 상부 수납장을 용도에 따라 분할하고, 이들이 각각 혹은 동시에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식 주방 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 하부 수납장이 분할됨에 따라 각 수납장의 무게를 최소화함으로써, 승강이 원활하고 그에 따르는 승강 수단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승강식 주방 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사용에 편리성을 주며, 동시에 제작이 용이하여 승강식 주방 가구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주방 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동식과 자동식으로 선택적으로 혹은 동시에 장착함으로써 소비자의 취향에 따른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주방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싱크대의 후방측 마련된 공간에 수납장을 설치하여 칼, 양념통, 간단한 소가전이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주방 가구에 있어서,
상기 공간을 구획하여 각각이 다른 형태를 갖는 수납장이 끼워지도록 하되, 상기 수납장은 드럼에 권취된 판스프링의 단부와 연결된 구성으로, 상기 수납장을 끌어올릴 때 판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하고, 수납장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선반과 선반에 놓인 주방 용품의 무게에 의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싱크대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수납장으로써, 이 수납장을 끌어내리거나 끌어올려 식기의 정리 정돈을 가능하게 하는 주방 가구에 있어서, 씽크대 상부의 주방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전면 개방부에 도어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전면에 고정되고, 그 상면으로 식기, 컵, 주방 용품이 올려지도록 하는 선반; 상기 이송부와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이송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설치된 드럼에 감아진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이송부에 연결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승강 보조부;로 구성된 것으로,
여기서 사용자가 선반을 잡고 끌어내리면, 선반의 무게와 선반에 올려진 식기의 무게 의하여 천천히 하강하되, 이때 드럼에 감긴 이송부의 이송 거리에 비례하여 권취부의 탄발력이 증가하여 정리 정돈을 마친 선반을 밀어 올리면 탄발력으로 선반을 끌어올리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첫째, 싱크대 후방측에 공간을 마련하여 이 공간에 주방에서 자주 사용되는 칼, 도마, 양념통 혹은 소가전 등이 보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이 가능토록, 이들 보관되는 수납장이 반자동으로 이동하여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발명이다.
둘째, 싱크대에 설치되는 하부 수납장의 구조가 간단하면서 제작이 용이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시중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셋째, 본 발명의 주방 가구는 싱크대 하방측에 마련된 하부 수납장과 더불어 상부 수납장 또한 동일한 구성의 승강 견인부를 이용하여 상하부로 이동시켜 식기 및 주방 용품의 정리 정돈이 용이한 발명이다.
넷째, 본 발명의 주방 가구는 공간 활용이 가능한 하부 수납장과, 주부 혹은 어린이의 키 높이 맞추어 승강하는 상부 수납장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주부들에게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주방 가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주방 가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하부 수납장 이 싱크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수납장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수납장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수납장의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수납장의 평면도이다.
첨부된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요 구성의 사시도로 하우징, 이송부, 승강 견인부, 슬라이딩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수납장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수납장의 요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마지막으로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 주방 가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주방 가구(1)는 기본적으로 싱크대(2)의 후방측에 마련되어 자주 사용하는 예컨대, 칼, 도마 양념통 혹은 주방에서 사용하는 소가전 및 행주를 보관할 수 있는 하부 수납장(10)과, 싱크대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수납장(20)으로 구성되도록 하되, 이들 수납장이 상하부로 이동하여 정리 정돈은 물론 청소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주부들에게 편리함을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부 수납장
하부 수납장(10)은 싱크대(2) 후방측에 마련된 공간에 배치되어 주방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품이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하우징(100)과, 상 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하는 이송부(200) 그리고, 이송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승강 견인부로 구성된다.
상기 공간은 싱크대와 벽면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이 공간은 벽면으로 구획되어 도면과 같이 여러 형태의 하부 수납장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되, 모든 하부 수납장이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인 승강 견인부를 이용하여 상하 이동하는 형태일 필요는 없다.
예컨대, 칼이나 도마가 끼워지는 수납장은 칼 손잡이 혹은 도마 일부가 싱크대 상부로 노출됨으로써 굳이 이들 수납장은 승강시킬 필요는 없다.
바람직한 구성으로 발명의 하부 수납장(10)은 첨부된 도 4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양측벽과 후벽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이 개방된 "∩" 형상으로 전면 개방부(102)의 양측단 즉 양측벽 일부가 외향으로 절곡되어 이 절곡편(180)이 공간에 구비된 벽체(미도시)에 맞대어져 고정된 구성이다.
상기 하우징(100)의 후벽(120) 상부에는 후술하는 견인 승강부(300)의 드럼(34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브라켓트(140)가 구비되는데, 이 브라켓트(140)은 후벽 일부를 절개하여 바깥쪽으로 절곡하여 마련된 것으로, 한 쌍의 견인 승강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4개의 브라켓트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후벽(120) 중앙 부위는 내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구성으로 이 돌출면(160)에 역시 후술하는 슬라이딩부가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이송부(200)는 합성수지를 성형하거나 혹은 절판을 절곡하여 구성한 것으로, 하단부에 승강 견인부(300)의 판스프링(320)이 연결되는 연결편(220)이 구비되고, 양측단 일부를 뒤쪽으로 "⊃" 형태로 절곡되어 선반(400)이 고정하는 고정편(240)이 갖추어진 구성이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편(240)은 첨부된 도 7과 같이 선반(400)에서 연장된 연장편(420)에 끼워져 선반을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이송부(200)의 중앙은 도면과 같이 내향을 절곡되어 이 절곡면(260)의 외측면과 상기 돌출면(160) 사이에 슬라이딩부(500)가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200)의 상부 양측단 일부를 내향으로 절곡하여 리브(280)를 구비되는데, 이 리브(280)의 상면을 사용자가 잡고 선반(400)과 이송부(200)를 끌어올리거나 혹은 공간으로 눌러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상판(440)이 고정되는 구성이다.
상기 승강 견인부(300)는 드럼(340)에 감아지는 판스프링(320)으로 구성되며, 상기 드럼(340)은 상기 하우징(100)의 후벽에 구비된 브라켓트(140)들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들을 관통하는 회전축 즉, 회전축(360)이 브라켓트(140)와 드럼(240)을 관통하여 드럼(340)을 브라켓트에 설치하고, 드럼의 회전시에는 회전 중심을 이루게 된다.
상기 판스프링(320)은 상기 드럼(340)에 권취된 상태에서 하단부에 구비된 연결핀(380)이 이송부(200)의 연결편(220)에 끼워져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선반(400)은 식기, 컵 혹은 각종 소가전 및 주방 용품이 올려지도록 하는 것으로, 후방측에 구비된 연장편(420)이 이송부의 벽면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이 연장편(420)이 상술하는 고정편(240)이 끼워져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부(500)는 첨부된 도 11과 같이 3개의 슬라이드판으로 구성된다.
먼저,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제 1슬라이드판(520)은 이송부(200)의 절곡면(260) 외측에 고정되고, 제 3 슬라이드판(560)은 하우징(100)의 돌출면 전면(160)이 고정되어 이송부(200)의 승강시 각 슬라이드판(520)(540)(560)이 미끄러지면서 이송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하부 수납장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싱크대(2)에 매립 형태로 설치되는 본 발명의 하부 수납장은 상판(440)을 들어올려 주방 용품을 수납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판(440)을 잡고 들어올리면 이 상판이 설치된 이송부(200)이 승강하게 되고, 아울러 이송부(200)에 고정 설치된 선반이 같이 승강한다.
이때, 이송부의 절곡면(260)에 고정된 제 슬라이드판(520)은 제 2슬라이드판(540)을 이동하고, 어느 지점에 다시 제 2슬라이드판(540)이 제 3슬라이드판(560)을 따라 이동하며 이송부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한편, 승강 견인부(300)는 판스프링(320)이 하방에 위치한 즉, 판스프링이 단단히 감아진 상태로 탄성력이 가장 강화된 상태로 상판을 잡고 들어올리면 판스 프링(320)으로 탄성력으로 이송부를 끌어올려 힘을 전혀 들이지 않고도 선반(400)을 끌어올릴 수 있는 것이다.
선반에 주방 용품을 올려놓은 다음, 사용자는 다시 상판을 눌러 공간에 하부 수납장을 밀어넣게 되는데, 이때에는 하부 수납장의 무게 즉, 이송부(200)와 선반(400), 상판(440) 그리고 선반에 올려진 용품의 무게에 의하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하부 수납장(10)을 밀어 넣을 수 있다.
상부 수납장
상부 수납장(20)은 싱크대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장으로, 이 또한 상기한 하부 수납장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동작한다.
다시 말해,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100a)은 하부 수납장의 하우징(100)과 마찬가지로, 전면이 개방된 "∩"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다만 전면 개방부(102a)에는 도어(104)가 설치되는 것이 다를 뿐이다.
물론 상기 상부 수납장의 하우징(100a) 후벽(120a)에도 승강 견인부(300a)가 설치될 수 있도록 브라켓트(140a)가 일체로 구비되며, 이 브라켓트(140)는 후벽(120a) 일부를 절개하여 바깥쪽으로 절곡한 구성으로 역시 4개가 절곡되어 이들 사이에 승강 견인부(300)의 드럼(340)이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100a)의 후벽(120a) 중앙 부위에는 내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돌출면(160)이 구비되어 슬라이딩부가 설치되도록 한다.
상부 수납장의 이송부(200a)는 합성수지를 성형 혹은 절판을 절곡하여 형성 된 구성으로, 하단부에 승강 견인부(300a)의 판스프링(320a)이 연결되는 연결편(220a)이 구비되고, 양측단 일부를 "⊃" 형태로 절곡하여 선반(400a)이 고정되는 고정편(240a)이 갖추어진 구성이다.
이송부(200a)의 중앙은 도면과 같이 내향을 절곡되어 이 절곡면(260a)의 내측과 상기 돌출면(160a) 사이에 슬라이딩부(500a)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 또한, 하부 수납장과 동일한 구성이다.
다만, 상부 수납장의 이송부(200a)는 상판이 불필요함으로 리브를 가질 필요는 없다.
상기 승강 견인부(300a)는 드럼(340a)에 감아지는 판스프링(320)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드럼(340a)은 상기 하우징(100a)의 후벽에 구비된 브라켓트(140a)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축(360a)이 브라켓트와 드럼을 관통하는 것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이 회전축(360)을 중심으로 드럼이 회전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320a)은 상기 드럼에 권취된 상태에서 단부를 하방으로 늘어뜨려 이송부(200a)의 연결편(220a)에 연결되는 것으로, 연결핀(380a)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슬라이딩부 역시 하부 수납장의 슬라이딩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수납장의 다른 실시 예
첨부된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승강 견인부가 상기한 판스프링 형태가 아닌 가스 실린더(300b)로 구성하고, 슬라이딩부는 롤러 형태로 하여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가스 실린더는 하부 수납장에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주방 가구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주방 가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하부 수납장이 싱크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수납장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수납장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수납장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수납장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우징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송부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승강 견인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슬라이딩부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수납장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수납장의 요부를 확대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 주방 가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주방 가구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 200 : 이송부
300 : 승강 견인부 400 : 선반
500 : 슬라이딩부

Claims (14)

  1. 싱크대 후방에 마련된 공간에 수납장이 구비된 주방가구로써,
    상기 공간에 벽에 설치하여 공간을 구획하고, 각각의 구획공간에 용도가 다른 주방용품이 보관될 수 있도록 각각이 다른 형태의 수납장을 구비하되, 상기 수납장은 드럼에 권취된 판스프링과 연결된 구성으로,
    여기서 상기 수납장을 들어올리면 드럼에 권취된 판스프링이 탄성력으로 수납장을 끌어올리고, 주방용품의 수납 후 수납장을 누르면 수납장의 무게와 수납된 주방 용품의 무게에 의해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식 주방가구.
  2. 싱크대 후방측에 마련된 공간에 수납장이 구비된 주방가구로써,
    싱크대의 후방측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고정되며 상면에 주방 용품이 놓이도록 하는 선반;
    상기 이송부와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슬리이딩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드럼에 권취되고, 단부에 이송부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선반을 들어올렸을 때 탄성력으로 선반을 끌어올리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승강 견인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주방 가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양측벽과 후벽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후방 일부를 절곡하여 드럼이 고정될 수 있는 브라켓트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주방가구.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면에 개방된 "∩"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양측벽 일부를 외향으로 절곡하여 싱크대에 마련된 벽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절곡편을 구비하고, 후방 중앙을 전방측으로 돌출시켜 슬라이딩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주방가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하부에 승강 견인부의 판스프링이 연결되는 연결편이 구비되고, 중앙에 돌출 절곡면을 두어 슬라이딩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주방가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견인부는 하우징의 브라켓트에 설치되는 드럼을 구비하되, 이 드럼을 브라켓트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 드럼에 권취된 판스프링은 하단이 상기 이송부와 연결되어 탄발력으로 이송부를 끌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주방가구.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3개의 슬라드판으로 구성되어 안쪽의 제 1 슬라이드판은 이송부에 고정되고, 바깥쪽 제 3슬라이드판은 하우징에 고정되 어 이송부를 들어올릴 때 제 2슬라이드판은 제 1슬라이드판을 따라 이동하고, 제 3슬라이드판은 제 2슬라이드판을 따라 이동하며 이송부의 승강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주방가구.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양측벽 일부를 후면으로 "⊃" 형상을 절곡하여 이 고정편이 선반에서 연장된 연장편에 끼워져 선반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주방가구.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양측벽 상단 일부를 안쪽으로 절곡하여 고정리브를 구비하여 이 고정리브에 사용자가 잡고 들어올 수 있는 상판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주방가구.
  10. 싱크대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부 수납장으로써, 이 상부 수납장을 끌어내리거나 끌어올려 식기의 정리 정돈을 가능하게 하는 주방 가구에 있어서,
    씽크대 상부의 주방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전면 개방부에 도어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전면에 고정되고, 그 상면으로 식기, 컵, 주방 용품이 올려지도록 하는 선반;
    상기 이송부와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이송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 이딩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설치된 드럼에 감아진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이송부에 연결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승강 견인부; 로 구성된 것으로,
    여기서 사용자가 선반을 잡고 끌어내리면, 선반의 무게와 선반에 올려진 식기의 무게 의하여 천천히 하강하되, 이때 드럼에 감겨진 이송부의 이송 거리에 비례하여 권취부의 탄발력이 증가하여 정리 정돈을 마친 선반을 밀어 올리면 탄발력으로 선반을 끌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주방 가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양측벽과 후벽으로 이루어진 "∩"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되, 전면 개방부에 도어가 설치되고, 후벽 일부를 절개하여 이를 외향으로 절곡하여 드럼이 고정될 수 있는 브라켓트가 마련되며, 후방 중앙에 슬라이딩부가 설치되는 돌출면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주방가구.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납장을 구성하는 이송부는 하단에 승강 견인부의 판스프링이 연결되는 연결편이 구비되고, 중앙에 돌출 절곡면을 두어 슬라이딩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주방가구.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견인부는 하우징의 브라켓트에 설치되는 드럼을 구비하되, 이 드럼을 브라켓트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 드럼에 권취된 판스프링은 하단이 상기 이송부와 연결되어 탄발력으로 이송부를 끌어올 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주방가구.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견인부가 가스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주방가구.
KR1020090060522A 2009-07-03 2009-07-03 승강식 주방가구 KR20110002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522A KR20110002969A (ko) 2009-07-03 2009-07-03 승강식 주방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522A KR20110002969A (ko) 2009-07-03 2009-07-03 승강식 주방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969A true KR20110002969A (ko) 2011-01-11

Family

ID=4361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522A KR20110002969A (ko) 2009-07-03 2009-07-03 승강식 주방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9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692B1 (ko) * 2022-12-09 2023-08-29 장상국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
US20240115041A1 (en) * 2022-10-09 2024-04-11 Dongguan Yongsheng Spring Co., Ltd. Lifting Storage Mechanis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115041A1 (en) * 2022-10-09 2024-04-11 Dongguan Yongsheng Spring Co., Ltd. Lifting Storage Mechanism
KR102572692B1 (ko) * 2022-12-09 2023-08-29 장상국 주방 가구용 상하 이동식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2266B2 (en) Movable support device
US20130088134A1 (en) Modular storage and organization system for existing cabinets
US8641060B2 (en) Coffee caddy
CN201658027U (zh) 收纳柜
KR20210009567A (ko) 상하 승강 가능한 싱크대용 수납대
US4082386A (en) Drawer for knives and other utensils and tools
KR20110002969A (ko) 승강식 주방가구
JP2010233850A (ja) 収納庫
KR101103510B1 (ko) 일체형 다용도 식탁
KR100929785B1 (ko) 밀폐용기용 탈수대
CN210842193U (zh) 一种升降式消毒柜及橱柜
US10172457B2 (en) Rollable drawer system and rollable appliance support system
KR20180003077U (ko) 싱크대용 인출식 다용도 선반
KR20160122965A (ko) 찬장의 위치 변화가 자유로운 씽크대
US8511484B1 (en) Containers and storage system therefore
KR200319403Y1 (ko) 주방가구
KR200363200Y1 (ko) 김치 냉장고에 적합한 선반
CN215225872U (zh) 一种智能联动推拉橱柜
KR200358395Y1 (ko) 주방용 가구
JP5448485B2 (ja) 収納庫
CN209285288U (zh) 一种碗碟架
JP3145753U (ja) 調理台ユニット
JP2009050327A (ja) 収納ユニット
KR200324914Y1 (ko) 싱크대 상부 수납장
KR200277002Y1 (ko) 다용도 진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