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785B1 - 밀폐용기용 탈수대 - Google Patents

밀폐용기용 탈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785B1
KR100929785B1 KR1020090066659A KR20090066659A KR100929785B1 KR 100929785 B1 KR100929785 B1 KR 100929785B1 KR 1020090066659 A KR1020090066659 A KR 1020090066659A KR 20090066659 A KR20090066659 A KR 20090066659A KR 100929785 B1 KR100929785 B1 KR 100929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ain body
dehydration
support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종철
Original Assignee
석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종철 filed Critical 석종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1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draining or collecting liquids without absorbing them
    • B65D81/262Rigid containers having false bottoms provided with passages for draining and receiv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용기용 탈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밀폐용기용 탈수대 본체(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200)의 내부에 수용되고 농산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용기(200)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상면에 다수의 배수공(21)이 형성되는 받침부(20)와;
상기 용기(200)의 바닥에 농산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다시 농산물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용기(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20)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지지부(40)와;
상기 받침부(20)의 양측에 대향된 상태로 배치되고 탈수대 본체(10) 설치시 상기 받침부(20)에 대하여 직각의 형태로 용기(200)의 내측에 굽힘 수용됨과 동시에 용기(200)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탈수대 본체(10) 인출시 손을 넣어 파지한 상태에서 탈수대 본체(1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면 일측에 파지홀(31)이 관통 형성되는 손잡이부(30);를 상기 받침부(20)에 굽힘연결부(32)로써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밀폐용기, 탈수대, 손잡이부, 굽힘연결부, 행거부

Description

밀폐용기용 탈수대{Wicker tray for airtight container}
본 발명은 섭취를 위해 물로 세척하게 되는 야채, 과일, 채소 등을 밀폐용기에 진공상태로 보관함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수분이 상기 야채, 과일, 채소 등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됨과 동시에 용기의 바닥에 자연스럽게 고이도록 하여 상기 물에 노출된 야채, 과일, 채소 등을 장시간 상하지 않고 싱싱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탈수대 본체의 받침부 양측에 용기의 내부에 굽힘 수용되는 손잡이부를 상기 받침부에 굽힘연결부로써 연결하여 탈수대 본체 분리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고 이와 동시에 탈수대 본체 설치시 상기 손잡이부를 용기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 가능하게 하여 상기 탈수대 본체의 유동의 방지할 수 있도록 있도록 하며, 물렁물렁한 두부나 부스러기가 떨어지는 음식물과 같이 인출이 용이하지 않은 음식물이나 전자렌지를 통해 가열되어 신속한 인출이 어려운 음식물 등을 밀폐용기의 걸림테에 안정되게 재치시켜 상기 음식물을 보다 손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밀폐용기용 탈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용기는 용기와 뚜껑으로 이루어져 주로 야채, 과일, 채소 등은 물론 조리된 각종 식품과 식재료(이하, "농산물"로 약칭함) 등을 장시간 상하지 않게 진공상태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애용되고 있는 물품이다.
그러나 상기 제공되는 밀폐용기의 경우 농산물의 진공보관에 주안점을 두고 제작되기 때문에 섭취를 위해 물로 세척한 농산물을 밀폐용기에 넣어서 보관하는 경우 용기 바닥에 고인 물이 상기 농산물에 접촉되어 농산물이 눅눅해지거나 상기 접촉부위가 쉽게 물러지는 결과가 초래됨에 따라 농산물 사용을 위한 인출시 상기 물에 노출된 농산물을 불가피하게 걸러내어 제거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일부 밀폐용기의 경우 내부에 탈수를 위한 채반과 같은 용도의 물품을 설치하고 있기는 하나 결정적으로 손잡이가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세척시 채반을 들어내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또한 용기의 바닥에 채반을 설치하더라도 상기 채반이 밀폐용기 이동시 상기 밀폐용기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여 그 위에 놓인 농산물이 섞이거나 용기 바닥에 고인 물이 상기 농산물에 다시 접촉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채반과 같은 물품을 밀폐용기 내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물렁물렁한 질감을 갖는 두부 또는 부스러기가 떨어지는 과자나 빵 종류와 같은 음식물을 보관하였다가 인출하는 경우 상기 음식물을 일시에 꺼내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출시 통상 여러 번에 걸쳐 손이 닿게 되므로 위생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한 못한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밀폐용기가 강화유리나 도자기 등으로 제작되어 전자렌지에서도 이용 가능하므로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데우는 경우 상기 밀폐용기에서 가열된 음식물을 즉시 인출하여 취급하는 데에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섭취를 위해 물로 세척하게 되는 야채, 과일, 채소 등을 밀폐용기에 진공상태로 보관함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수분이 상기 야채, 과일, 채소 등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됨과 동시에 용기의 바닥에 자연스럽게 고이도록 하여 상기 물에 노출된 야채, 과일, 채소 등을 장시간 상하지 않고 싱싱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탈수대 본체의 받침부 양측에 용기의 내부에 굽힘 수용되는 손잡이부를 상기 받침부에 굽힘연결부로써 연결하여 탈수대 본체 분리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고 이와 동시에 탈수대 본체 설치시 상기 손잡이부를 용기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 가능하게 하여 상기 탈수대 본체의 유동의 방지할 수 있도록 있도록 하며, 물렁물렁한 두부나 부스러기가 떨어지는 음식물과 같이 인출이 용이하지 않은 음식물이나 전자렌지를 통해 가열되어 신속한 인출이 어려운 음식물 등을 밀폐용기의 걸림테에 안정되게 재치시켜 상기 음식물을 보다 손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밀폐용기용 탈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밀폐용기용 탈수대 본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의 내부에 수용되고 농산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용기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상면에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용기의 바닥에 농산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다시 농산물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지지부와; 상기 받침부의 양측에 대향 된 상태로 배치되고 탈수대 본체 설치시 상기 받침부에 대하여 직각의 형태로 용기의 내측에 굽힘 수용됨과 동시에 용기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탈수대 본체 인출시 손을 넣어 파지한 상태에서 탈수대 본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면 일측에 파지홀이 관통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상기 받침부에 굽힘연결부로써 연결하는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탈수대, 및
밀폐용기용 탈수대 본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의 내부에 수용되고 농산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용기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상면에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용기의 바닥에 농산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다시 농산물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지지부와; 상기 받침부의 양측에 대향된 상태로 배치되고 탈수대 본체 설치시 상기 받침부에 대하여 직각의 형태로 용기의 내측에 굽힘 수용됨과 동시에 용기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탈수대 본체 인출시 손을 넣어 파지한 상태에서 탈수대 본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면 일측에 파지홀이 관통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받침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굽힘연결부; 및 상기 굽힘연결부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인출이 용이하지 않은 음식물이나 전자렌지를 통해 가열된 음식물 인출시 탈수대 본체를 들어 올려 용기의 걸림테 양쪽에 간단히 재치시킬 수 있도록 한 행거부;로 이루어지는 다른실시예에 의한 밀폐용기용 탈수대, 그리고
밀폐용기용 탈수대 본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의 내부에 수용되고 농산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용기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상면에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용기의 바닥에 농산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다시 농산물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지지부와; 상기 받침부의 양측에 대향된 상태로 배치되고 탈수대 본체 설치시 상기 받침부에 대하여 직각의 형태로 용기의 내측에 굽힘 수용됨과 동시에 용기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탈수대 본체 인출시 손을 넣어 파지한 상태에서 탈수대 본체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상면 일측에 파지홀이 관통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받침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굽힘연결부; 및 상기 굽힘연결부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인출이 용이하지 않은 음식물이나 전자렌지를 통해 가열된 음식물 인출시 탈수대 본체를 들어 올려 용기의 걸림테 양쪽에 간단히 재치시킬 수 있도록 한 행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부와 연결되는 굽힘연결부 양쪽에 슬릿을 형성하여 굽힘연결부가 상기 슬릿의 깊이에 따라 받침부의 안쪽에서 굽힘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실시예에 의한 밀폐용기용 탈수대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섭취를 위해 물로 세척하게 되는 야채, 과일, 채소 등을 밀폐용기에 진공상태로 보관함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수분이 상기 야채, 과일, 채소 등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됨과 동시에 용기의 바닥에 자연스럽게 고이도록 하여 상기 물에 노출된 야채, 과일, 채소 등을 장시간 상하지 않고 싱싱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수대 본체의 받침부 양측에 용기의 내부에 굽힘 수용되는 손잡이부를 상기 받침부에 굽힘연결부로써 연결하여 탈수대 본체 분리시 파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탈수대 본체 설치시 상기 손잡이부를 용기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 가능하게 하여 상기 탈수대 본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걸림테에 탈수대 본체를 간단히 재치시켜 놓을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 파지를 위해 여러 번에 걸쳐 음식물에 손을 접촉하지 않고 한 번에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되어 외형의 변화 없이 음식물을 극히 위생적으로 취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전자렌지로 조리하거나 데우는 경우에 있어서도, 밀폐용기를 전자레인지에서 인출하여 탈수대 본체를 용기의 걸림테에 안정되게 재치시켜 음식물을 밀폐용기의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탈수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평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정면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에 대한 확대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탈수대는, 밀폐용기용 탈수대 본체(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200)의 내부에 수용되고 농산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용기(200)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상면에 다수의 배수공(21)이 형성되는 받침부(20)와;
상기 용기(200)의 바닥에 농산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다시 농산물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용기(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20)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지지부(40)와;
상기 받침부(20)의 양측에 대향된 상태로 배치되고 탈수대 본체(10) 설치시 상기 받침부(20)에 대하여 직각의 형태로 용기(200)의 내측에 굽힘 수용됨과 동시에 용기(200)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탈수대 본체(10) 인출시 손을 넣어 파지한 상태에서 탈수대 본체(1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면 일측에 파지홀(31)이 관통 형성되는 손잡이부(30);를 상기 받침부(20)에 굽힘연결부(32)로써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30)는 저면 양측에 탈수대 본체(10) 설치시 파지홀(31)에 손을 신속하게 넣을 수 있도록 용기(200)의 내벽에서 손잡이부(30)를 일정 폭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지지리브(33)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굽힘연결부(32)는 손잡이부(30)의 굽힘이 유리하도록 받침부(20)의 상면과 단차없이 연이어지도록 하되, 손잡이부(30)의 굽힘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0)쪽으로부터 받침부(20)쪽으로 그 두께(T)를 점차 얇게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굽힘연결부(32)는 탈수대 본체(10) 설치시 상기 탈수대 본체(10)의 유동방지를 위해 손잡이부(30)가 용기(200)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자체적인 탄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받침부(20)쪽의 최소 두께(T)를 0.3∼0.9㎜로 하되, 상기 굽힘연결부(32)의 길이(L)를 6∼14㎜로 설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받침부(20)쪽의 최소 두께(T)를 0.3∼0.9㎜로 유지하는 이유는, 두께(T)가 0.3㎜ 미만인 경우 굽힘연결부(32)가 취약해져 손잡이부(30) 굽힘시 상기 연결부위가 찢어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고, 두께(T)가 0.9㎜를 초과하게 되면, 손잡이부(30)의 굽힘을 원활히 할 수 없게 되며 굽힘시 과도한 힘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 굽힘연결부(32)의 길이(L)를 6∼14㎜로 설정하는 이유는, 길이(L)가 6㎜ 미만인 경우 손잡이부(30)의 굽힘반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손잡이부(30)를 용기(200)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데에는 유리하나 손잡이부(30)의 굽힘이 부드럽지 못하며 길이(L)가 14㎜를 초과하게 되면, 손잡이부(30)의 굽힘을 부드럽게 할 수 있으나 지지력이 취약해져 탈수대 본체(10)가 좌우로 움직이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탈수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탈수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섭취를 위해 물로 세척한 농산물의 보관을 위해 용기(200)의 내부에 탈수대 본체(10)를 설치하게 된다.
탈수대 본체(10)의 설치는 먼저 밀폐용기(200)의 뚜껑(100)을 개방한 상태에서 구비된 탈수대 본체(10)를 용기(200)의 상면에 위치시킨 뒤 상기 탈수대 본체(10)를 직하방으로 눌러주게 되면 받침부(20)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30)가 굽힘연결부(32)를 중심으로 수평에서 수직의 상태로 굽힘되면서 용 기(200)의 안쪽에 수용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탈수대 본체(10)를 용기(200)의 안쪽에 수용하게 되면 손잡이부(30)와 받침부(20)를 연결하고 있는 굽힘연결부(32)의 탄성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30)가 용기(200)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탈수대 본체(10)가 용기(200)의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탈수대 본체(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섭취를 위해 물로 세척한 농산물 받침부(20)의 상면에 올려놓고 뚜껑(100)의 개폐손잡이(110)를 용기(200)의 걸림테(210)에 체결하여 용기(200)의 내부가 진공의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바, 이 때 받침부(20)의 상면에 올려진 농산물에서 수분이 분리되어 받침부(20)의 상면에 형성된 배수공(21)을 통해 용기(200)의 바닥쪽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상기 농산물로부터 수분이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용기(200)의 바닥에 고이게 되면 상기 수분이 받침부(20)의 저면에 굽형태로 일정 높이로 가지는 지지부(40)에 의해 수분이 상기 농산물에 절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농산물을 항시 싱싱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밀폐용기(200)에 진공상태로 수용된 농산물을 인출하여 섭취하게 되면, 상기 용기(200)의 바닥에 고인 물을 제거하기 위해 탈수대 본체(10)를 상기 용기(200)에서 들어내게 되는 바, 이때에는 손잡이부(30)의 지지리브(33)에 의해 용기(200)의 내벽과 손잡이부(30) 사이에 확보된 틈을 통해 파지홀(31)의 안쪽으로 손을 삽입한 뒤 상기 손잡이부(30)를 직상방으로 들어 올려 탈수대 본체(10)를 용기(200)에서 간단이 분리한 다음 용기(200) 바닥에 고인 물을 제거하면 되는 것이 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10)를 밀폐용기(200)에 적용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농산물의 수분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용기(200)의 바닥에 고이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수대 본체(10)의 받침부(20) 양측으로 용기(200)의 내부에 굽힘 수용되는 손잡이부(30)가 상기 받침부(20)에 굽힘연결부(32)로써 연결됨에 따라 탈수대 본체(10) 분리시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탈수대 본체(10) 설치시에도 상기 손잡이부(30)가 용기(200)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탈수대 본체(10)가 유동없이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탈수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평면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정면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의 "B"부에 대한 확대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다.
내용설명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탈수대의 설명에서 사용된 부호이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일 경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그대로 사용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탈수대는, 밀폐용기용 탈수대 본체(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200)의 내부에 수용되고 농산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용기(200)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상면에 다수의 배수공(21)이 형성되는 받침부(20)와;
상기 용기(200)의 바닥에 농산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다시 농산물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용기(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20)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지지부(40)와;
상기 받침부(20)의 양측에 대향된 상태로 배치되고 탈수대 본체(10) 설치시 상기 받침부(20)에 대하여 직각의 형태로 용기(200)의 내측에 굽힘 수용됨과 동시에 용기(200)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탈수대 본체(10) 인출시 손을 넣어 파지한 상태에서 탈수대 본체(1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면 일측에 파지홀(31)이 관통 형성되는 손잡이부(30)와;
상기 받침부(20)와 손잡이부(30)를 연결하는 굽힘연결부(32); 및 상기 굽힘연결부(32)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인출이 용이하지 않은 음식물이나 전자렌지를 통해 가열된 음식물 인출시 탈수대 본체(10)를 들어 올려 용기(200)의 걸림테(210) 양쪽에 간단히 재치시킬 수 있도록 한 행거부(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행거부(50)는 상기 굽힘연결부(32)의 상면 중앙에 디귿자형태의 절결선(51)을 형성하여 상기 절결선(51)의 안쪽에 탈수대 본체(10)의 걸림테(210) 양쪽에 지지되는 걸림편(52)를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하여 인출이 용이하지 않은 음식물이나 전자렌지를 통해 가열된 음식물 인출시 탈수대 본체(10)를 들어 올려 용기(200)의 걸림테(210) 양쪽에 간단히 재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걸림편(52)의 후단연결부 상면에는 두께를 줄여 상기 걸림편(52)의 수납 및 사용을 위한 인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요홈(53)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요홈(53)은 측면상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반원형 등 여러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림편(52)의 후단연결부 저면에는 상기 걸림편(52) 사용시 음식물의 무게로 인해 걸림편(52)이 상부쪽으로 과도하게 젖혀져 탈수대 본체(10)가 밀폐용기 내부로 빠지지 않도록 이를 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54)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지지돌기(54)는 상기와 같이 걸림편(52)의 후단연결부 저면에 일체로 형성하여 걸림편(52)과 함께 회동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손잡이부(30)의 저면에 지지돌기(54)를 일체로 형성하여 걸림편(52)이 상기 지지돌기(54)에 밀착되는 구조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서는 상기 굽힘연결부(32)의 중앙에 행거부(50)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행거부(50)는 탈수대 본체(10)를 밀폐용기 내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물렁물렁한 질감을 갖는 두부 또는 부스러기가 떨어지는 과자나 빵 종류와 같은 음식물을 보관하였다가 인출하는 경우 밀폐용기 안쪽에 무리하게 손을 넣어 인출하지 않고 탈수대 본체(10)의 양쪽 손잡이부(30)를 잡고 이를 그대로 들어 올린 다음 손잡이부(30)에 마련된 행거부(50)의 걸림편(52) 아래 부분을 손가락으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밀어주게 되면 요홈을 중심으로 걸림편(52)이 손잡이부(30)의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그 사이에 대략 "V"자 형태의 지지공간부가 마련된다.
이 때 용기(200)의 걸림테(210) 양쪽에 상기 마련된 지지공간부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탈수대 본체(10)를 놓아주게 되면 받침부(20)에 놓여진 음식물의 무게에 의해 탈수대 본체(10)가 용기(200)의 걸림테(201) 양쪽에 안정되게 재치된다.
이와 같이 탈수대 본체(10)를 재치시켜 놓게 되면 음식물이 밀폐용기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파지를 위해 여러 번에 걸쳐 음식물에 손을 접촉하지 않고 한 번에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되어 외형의 변화 없이 음식물을 극히 위생적으로 취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음식물을 전자렌지로 조리하거나 데우는 경우에 있어서도, 밀폐용기를 전자레인지에서 인출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탈수대 본체(10)를 용기(200)의 걸림테(210)에 안정되게 재치시켜 음식물을 밀폐용기의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된다.
기타 탈수대 본체(10)의 기본적인 작용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탈수대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탈수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평면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내용설명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다른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탈수대의 설명에서 사용된 부호이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일 경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그대로 사용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탈수대는, 밀폐용기용 탈수대 본체(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200)의 내부에 수용되고 농산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용기(200)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상면에 다수의 배수공(21)이 형성되는 받침부(20)와;
상기 용기(200)의 바닥에 농산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다시 농산물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용기(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20)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지지부(40)와;
상기 받침부(20)의 양측에 대향된 상태로 배치되고 탈수대 본체(10) 설치시 상기 받침부(20)에 대하여 직각의 형태로 용기(200)의 내측에 굽힘 수용됨과 동시에 용기(200)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탈수대 본체(10) 인출시 손을 넣어 파지한 상태에서 탈수대 본체(1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면 일측에 파지홀(31)이 관통 형성되는 손잡이부(30)와;
상기 받침부(20)와 손잡이부(30)를 연결하는 굽힘연결부(32); 및 상기 굽힘연결부(32)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인출이 용이하지 않은 음식물이나 전자렌지를 통해 가열된 음식물 인출시 탈수대 본체(10)를 들어 올려 용기(200)의 걸림테(210) 양쪽에 간단히 재치시킬 수 있도록 한 행거부(50);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부(20)와 연결되는 굽힘연결부(32) 양쪽에 슬릿(60)을 형성하여 굽힘연결부(32)가 상기 슬릿(60)의 깊이에 따라 받침부(20)의 안쪽에서 굽힘될 수 있 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굽힘연결부(32)의 굽힘위치를 이동하는 이유는, 음식물의 탈수 또는 원활한 인출을 위해 손잡이부(30)를 굽혀 탈수대 본체(10)를 용기(200)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손잡이부(30)가 지지리브(33)에 의해 내향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나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에서와 같이 굽힘위치를 받침대(20) 안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탈수대 본체(10) 설치시 손잡이부(30)가 상기 받침대(20)를 기준으로 거의 직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탈수대 본체(10) 인출시 직상방으로 정확하게 인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200)의 바닥면적에 대하여 받침부(20)의 면적을 대등하게 형성할 수 있어 탈수대 본체(10)의 유동방지 차원에서도 매우 유용하기 때문이다.
기타 탈수대 본체(10)의 기본적인 작용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다른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탈수대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순한 설계변경이나 관용수단의 치환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평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정면구성도
도 4는 도 3의 "A"부에 대한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평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정면구성도
도 9는 도 8의 "B"부에 대한 확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평면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에 따른 탈수대 본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받침부
21 : 배수공 30 : 손잡이부
31 : 파지홀 32 : 굽힘연결부
33 : 지지리브 40 : 지지부
50 : 행거부 51 : 절결선
52 : 걸림편 53 : 요홈
54 : 지지돌기 60 : 슬릿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밀폐용기용 탈수대 본체(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200)의 내부에 수용되고 농산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용기(200)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상면에 다수의 배수공(21)이 형성되는 받침부(20)와;
    상기 용기(200)의 바닥에 농산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다시 농산물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용기(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20)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지지부(40)와;
    상기 받침부(20)의 양측에 대향된 상태로 배치되고 탈수대 본체(10) 설치시 상기 받침부(20)에 대하여 직각의 형태로 용기(200)의 내측에 굽힘 수용됨과 동시에 용기(200)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탈수대 본체(10) 인출시 손을 넣어 파 지한 상태에서 탈수대 본체(10)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상면 일측에 파지홀(31)이 관통 형성되는 손잡이부(30)와;
    상기 받침부(20)와 손잡이부(30)를 연결하는 굽힘연결부(32); 및 상기 굽힘연결부(32)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인출이 용이하지 않은 음식물이나 전자렌지를 통해 가열된 음식물 인출시 탈수대 본체(10)를 들어 올려 용기(200)의 걸림테(210) 양쪽에 간단히 재치시킬 수 있도록 한 행거부(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탈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50)는 상기 굽힘연결부(32)의 상면 중앙에 디귿자형태의 절결선(51)을 형성하여 상기 절결선(51)의 안쪽에 탈수대 본체(10)의 걸림테(210) 양쪽에 지지되는 걸림편(52)를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하여 인출이 용이하지 않은 음식물이나 전자렌지를 통해 가열된 음식물 인출시 탈수대 본체(10)를 들어 올려 용기(200)의 걸림테(210) 양쪽에 간단히 재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탈수대.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52)의 후단연결부 상면에는 두께를 줄여 상기 걸림편(52)의 수납 및 사용을 위한 인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요홈(5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탈수대.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52)의 후단연결부 저면에는 상기 걸림편(52) 사용시 음식물의 무게로 인해 걸림편(52)이 상부쪽으로 과도하게 젖혀져 탈수대 본체(10)가 밀폐용기 내부로 빠지지 않도록 이를 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54)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탈수대.
  9. 밀폐용기용 탈수대 본체(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200)의 내부에 수용되고 농산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용기(200)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상면에 다수의 배수공(21)이 형성되는 받침부(20)와;
    상기 용기(200)의 바닥에 농산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다시 농산물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용기(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20)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지지부(40)와;
    상기 받침부(20)의 양측에 대향된 상태로 배치되고 탈수대 본체(10) 설치시 상기 받침부(20)에 대하여 직각의 형태로 용기(200)의 내측에 굽힘 수용됨과 동시에 용기(200)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탈수대 본체(10) 인출시 손을 넣어 파지한 상태에서 탈수대 본체(1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면 일측에 파지홀(31)이 관통 형성되는 손잡이부(30)와;
    상기 받침부(20)와 손잡이부(30)를 연결하는 굽힘연결부(32); 및 상기 굽힘연결부(32)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인출이 용이하지 않은 음식물이나 전자렌지를 통해 가열된 음식물 인출시 탈수대 본체(10)를 들어 올려 용기(200)의 걸림테(210) 양쪽에 간단히 재치시킬 수 있도록 한 행거부(50);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부(20)와 연결되는 굽힘연결부(32) 양쪽에 슬릿(60)을 형성하여 굽 힘연결부(32)가 상기 슬릿(60)의 깊이에 따라 받침부(20)의 안쪽에서 굽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탈수대.
KR1020090066659A 2009-06-03 2009-07-22 밀폐용기용 탈수대 KR100929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999 2009-06-03
KR20090048999 2009-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9785B1 true KR100929785B1 (ko) 2009-12-07

Family

ID=41683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659A KR100929785B1 (ko) 2009-06-03 2009-07-22 밀폐용기용 탈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7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918B1 (ko) * 2015-12-01 2016-05-20 (주)더블엠커뮤니케이션 다층 밀폐용기
KR20170106170A (ko) * 2016-03-10 2017-09-20 델몬트 후레쉬 프러듀스 인터내셔널,인크. 과일 용기
KR20170106171A (ko) * 2016-03-10 2017-09-20 델몬트 후레쉬 프러듀스 인터내셔널,인크. 과일 용기
KR102245949B1 (ko) * 2020-06-26 2021-04-28 김성수 채반이 구비된 수납용기
KR102255394B1 (ko) * 2020-10-19 2021-05-24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이너박스와 아웃박스의 결합구조를 갖는 상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880A (ja) 2000-10-16 2002-04-23 Shimano Inc クーラーボックス
JP2004338764A (ja) * 2003-05-16 2004-12-02 Mk Tec:Kk 汁物密閉容器
JP2006036316A (ja) 2004-07-29 2006-02-09 Fp Corp 包装容器及び包装食品
KR20090003029U (ko) * 2007-09-21 2009-03-25 김형진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전자렌지용 찜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880A (ja) 2000-10-16 2002-04-23 Shimano Inc クーラーボックス
JP2004338764A (ja) * 2003-05-16 2004-12-02 Mk Tec:Kk 汁物密閉容器
JP2006036316A (ja) 2004-07-29 2006-02-09 Fp Corp 包装容器及び包装食品
KR20090003029U (ko) * 2007-09-21 2009-03-25 김형진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전자렌지용 찜용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918B1 (ko) * 2015-12-01 2016-05-20 (주)더블엠커뮤니케이션 다층 밀폐용기
KR20170106170A (ko) * 2016-03-10 2017-09-20 델몬트 후레쉬 프러듀스 인터내셔널,인크. 과일 용기
KR20170106171A (ko) * 2016-03-10 2017-09-20 델몬트 후레쉬 프러듀스 인터내셔널,인크. 과일 용기
KR101888110B1 (ko) * 2016-03-10 2018-08-13 델몬트 후레쉬 프러듀스 인터내셔널,인크. 과일 용기
KR101888109B1 (ko) * 2016-03-10 2018-08-13 델몬트 후레쉬 프러듀스 인터내셔널,인크. 과일 용기
KR102245949B1 (ko) * 2020-06-26 2021-04-28 김성수 채반이 구비된 수납용기
KR102255394B1 (ko) * 2020-10-19 2021-05-24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이너박스와 아웃박스의 결합구조를 갖는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564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nd preparing foods
KR100929785B1 (ko) 밀폐용기용 탈수대
RU2608275C1 (ru) Кухонная посуд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крышку, имеющую ручку с опорой для кухонной принадлежности
US2588614A (en) Draining basket
US20140251930A1 (en) Dish drying rack and tray assembly
US20180049590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nd preparing foods
CN2933281Y (zh) 用于洗碗机的餐具篮
EP4011248A1 (en) Decorative holder for foodstuff trays, tins, and pans
KR200465164Y1 (ko) 물김치의 건더기 침지를 위한 속뚜껑이 구비된 밀폐용기
CN208927155U (zh) 消毒柜拉篮和消毒柜
JP5177723B1 (ja) 五徳状台付三角コーナー
CN108095572A (zh) 一种可升降电烤炉
CN103211407A (zh) 一种封闭式烹饪工具箱
KR20100000767U (ko) 싱크대용 소쿠리
JPH0324096Y2 (ko)
KR20120108693A (ko) 손잡이 탈?착이 자유로운 다기능 후라이팬
CN209202782U (zh) 可叠的滤水锅及烹饪器具
KR200479854Y1 (ko) 커버 분리형 밥상
KR20130032996A (ko) 국자
KR102240619B1 (ko) 주방용기
KR20110007297U (ko) 냄비뚜껑 걸이
CN218074707U (zh) 一种厨房多功能储物架
KR20120007345U (ko) 찜기 겸용 채반
KR102431168B1 (ko) 주방용 받침대
KR200406407Y1 (ko) 이동식 어묵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