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619B1 - 주방용기 - Google Patents
주방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0619B1 KR102240619B1 KR1020200019220A KR20200019220A KR102240619B1 KR 102240619 B1 KR102240619 B1 KR 102240619B1 KR 1020200019220 A KR1020200019220 A KR 1020200019220A KR 20200019220 A KR20200019220 A KR 20200019220A KR 102240619 B1 KR102240619 B1 KR 1022406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lid
- bar
- handle
- reference he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2—Devices for holding lids in open position on the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용기(30)에 음식물을 담고 초기 열을 가할 때 발생하는 미세한 증기는 뚜껑(40)에 마련된 증기홀(40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일측바(81)의 일측하향봉(81a)은 일측손잡이(71)의 일측-기준높이수직홈(71a)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함(안전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타측바(82)를 타측-기준높이평탄부(72a)에 놓아 뚜껑(40)이 용기(30)에 안전하게 세팅될 수 있도록 하고, 음식물에 열이 지속적으로 가해져 증기량이 많아질 경우 일측바(81)의 일측하향봉(81a)을 타측-기준높이평탄부(72a)에 올려놓고, 타측바(82)를 일측손잡이(71) 위에 올려놓아 용기(30)로부터 뚜껑(40)이 경사틈새(T1)를 두고 이격되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게 증기를 경사틈새(T1)를 통해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한 주방용기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방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음식물을 담고 초기 열을 가할 때 발생하는 미세한 증기는 뚜껑에 마련된 증기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일측바의 일측하향봉은 일측손잡이의 일측-기준높이수직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함(안전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타측바를 타측-기준높이평탄부에 놓아 뚜껑이 용기에 안전하게 세팅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기는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냄비, 프라이팬, 찜기 또는 솥 등을 일컫고, 그 구성으로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이 용기를 덮기 위한 뚜껑으로 이루어지며, 음식물에 열을 가할 경우 증기의 분출로 인하여 국물이 넘치는 현상이 발생하곤 한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84420호)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1b 및 도 1c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를 나타내는 사용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1)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 및 본체(3)로 이루어지고, 뚜껑(2)의 테두리(4)에 다수 개의 수증기 배출 겸용 원형결합공(5)이 형성되며, 본체(3)의 둘레에 마련되는 프레임(6) 상단면에 받침 겸용 결합용 원형돌부(7)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냄비(1)의 본체(3) 내부에 조리할 음식물을 넣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을 닫으면 뚜껑(2)의 테두리(4)에 형성되는 원형결합공(5)이 본체(3)의 프레임(5)에 형성되는 원형돌부(7)에 결합되어 밀폐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본체(3)에 열을 가할 경우 음식물이 끓으면서 수증기를 발생하게 된다.
이때,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1)의 뚜껑(2)을 들어올려 일측으로 약간 회전시키면 본체(3)의 프레임(6)에 형성되는 원형돌부(7)에 뚜껑(2)의 테두리(4)가 올라타면서 공간이 형성되고 이와 동시에 뚜껑(2)의 테두리(4)에 형성되는 원형결합공(5)이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음식물이 끓으면서 발생하는 증기가 원형돌부(7)와의 공간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뚜껑(2)에 형성되는 원형결합공(5)으로 동시에 배출되어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현상이 방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1)는 국물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2)의 테두리(4)에 다수 개의 공기 배출 겸용 결합용 원형돌부(7)를 형성시키므로 인하여 뚜껑(2)의 형상이 복잡해져 상품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공기 배출 겸용 결합용 원형돌부(7) 속으로 음식물의 찌꺼기가 끼일 경우 사용 중 본체(3) 속으로 낙하되어 비위생적인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50556호)에 따른 냄비 뚜껑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냄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냄비 뚜껑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냄비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c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냄비 뚜껑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냄비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냄비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손잡이(11b)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대(20)를 결합하되, 이 거치대(20)의 표면에 뚜껑(10a)을 수직방향으로 세웠을 때 뚜껑(10a)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걸쳐지는 장공(22b)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뚜껑(10a)을 거치대(20) 위에 세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냄비는 뚜껑(10a) 자체를 거치대(20)에 직접 세우는 구조로 이루어져 장공(22b)의 크기가 충분히 확보될 만큼 거치대(20)의 폭이 넓어야 하고[거치대(20)의 폭이 커질 수밖에 없어 생산성 및 상품성이 떨어짐], 이에 반하여 거치대(20)의 폭을 작게 할 경우 장공(22b)의 크기 또한 작아져 뚜껑(10a)을 안전하게 세울 수 없는 단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에 음식물을 담고 초기 열을 가할 때 발생하는 미세한 증기는 뚜껑에 마련된 증기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일측바의 일측하향봉은 일측손잡이의 일측-기준높이수직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함(안전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타측바를 타측-기준높이평탄부에 놓아 뚜껑이 용기에 안전하게 세팅될 수 있도록 한 주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에 열이 지속적으로 가해져 증기량이 많아질 경우 일측바의 일측하향봉을 타측-기준높이평탄부에 올려놓고, 타측바를 일측손잡이 위에 올려놓아 용기로부터 뚜껑이 경사틈새를 두고 이격되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게 증기를 경사틈새를 통해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의 조리를 완료한 후 뜸을 들일 때 증기량이 적을 경우 일측하향봉을 타측-미세높이수직홈에 끼움(안전하게 끼움)과 동시에 타측바를 일측손잡이의 타측-기준높이평탄부 위에 올려놓아 용기로부터 미세경사틈새를 두고 뚜껑을 이격시켜 증기를 적절하게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바 또는 타측바를 세움수직홀에 끼워 뚜껑을 타측손잡이 위로 세울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을 익히거나 끓일 때 뜨거워진 뚜껑을 조리 완료 후 간단히 정돈케 하고, 나아가 음식물을 보다 신속하게 식힐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로부터 음식물을 떠내는 동작 역시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바 또는 타측바의 폭을 작게 하더라도 일측바 또는 타측바의 길이에 의해 세움수직홀에 충분히 끼워져 뚜껑을 안전하게 세울 수 있어 상품성 및 생선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주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밍테두리로 하여금 용기의 테두리에 직접 맞닿으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의 중심을 향하여 뚜껑을 보다 견고하게 기울어진 채로 세울 수 있는 주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로부터 경사틈새 또는 미세경사틈새를 두고 뚜껑이 이격될 때 커버플레이트로서 증기를 커버링하여 사용자가 일측손잡이 또는 타측손잡이를 파지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주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측손잡이에 뚜껑이 세워질 때 뚜껑 내부를 타고 떨어지는 응결수를 모두 용기 속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여 조리시의 주변 청결을 더 더욱 보장케 할 수 있는 주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씌워지는 뚜껑을 포함하는 주방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일측에 고정되어 일측-기준높이수직홈을 지닌 일측손잡이와,
상기 용기의 타측에 고정되어 타측-기준높이평탄부를 지닌 타측손잡이와,
상기 뚜껑으로부터 상기 일측손잡이를 향하여 외향 및 하향 돌출되어 상기 일측-기준높이수직홈에 끼워져 상기 용기에 상기 뚜껑을 밀착시키는 한편 180ㅀ회전에 의해 상기 타측-기준높이평탄부에 올려져 상기 용기로부터 경사틈새를 두고 상기 뚜껑을 이격시키는 일측하향봉을 지닌 일측바와,
상기 뚜껑으로부터 상기 타측손잡이를 향하여 외향 돌출되어 상기 타측-기준높이평탄부에 올려져 상기 용기에 뚜껑을 밀착시키는 한편 180ㅀ회전에 의해 상기 일측손잡이에 올려져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경사틈새를 두고 상기 뚜껑을 이격시키는 타측바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용기에 음식물을 담고 초기 열을 가할 때 발생하는 미세한 증기는 뚜껑에 마련된 증기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일측바의 일측하향봉은 일측손잡이의 일측-기준높이수직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함(안전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타측바를 타측-기준높이평탄부에 놓아 뚜껑이 용기에 안전하게 세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에 열이 지속적으로 가해져 증기량이 많아질 경우 일측바의 일측하향봉을 타측-기준높이평탄부에 올려놓고, 타측바를 일측손잡이 위에 올려놓아 용기로부터 뚜껑이 경사틈새를 두고 이격되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게 증기를 경사틈새를 통해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의 조리를 완료한 후 뜸을 들일 때 증기량이 적을 경우 일측하향봉을 타측-미세높이수직홈에 끼움(안전하게 끼움)과 동시에 타측바를 일측손잡이의 타측-기준높이평탄부 위에 올려놓아 용기로부터 미세경사틈새를 두고 뚜껑을 이격시켜 증기를 적절하게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측바 또는 타측바를 세움수직홀에 끼워 뚜껑을 타측손잡이 위로 세울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을 익히거나 끓일 때 뜨거워진 뚜껑을 조리 완료 후 간단히 정돈케 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음식물을 보다 신속하게 식힐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로부터 음식물을 떠내는 동작 역시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측바 또는 타측바의 폭을 작게 하더라도 일측바 또는 타측바의 길이에 의해 세움수직홀에 충분히 끼워져 뚜껑을 안전하게 세울 수 있어 상품성 및 생선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시밍테두리로 하여금 용기의 테두리에 직접 맞닿으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의 중심을 향하여 뚜껑을 보다 견고하게 기울어진 채로 세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용기로부터 경사틈새 및 미세경사틈새를 두고 뚜껑이 이격될 때 커버플레이트로서 증기를 커버링하여 사용자가 일측손잡이 또는 타측손잡이를 파지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타측손잡이에 뚜껑이 세워질 때 뚜껑 내부를 타고 떨어지는 응결수를 모두 용기 속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여 조리시의 주변 청결을 더 더욱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b 및 도 1c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를 나타내는 사용 단면도.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냄비 뚜껑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냄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냄비 뚜껑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냄비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c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냄비 뚜껑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냄비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에 뚜껑이 밀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로부터 뚜껑이 경사틈새를 두고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에 뚜껑이 밀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로부터 뚜껑이 미세경사틈새를 두고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로부터 뚜껑을 세운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 및 도 1c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를 나타내는 사용 단면도.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냄비 뚜껑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냄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냄비 뚜껑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냄비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c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냄비 뚜껑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냄비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에 뚜껑이 밀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로부터 뚜껑이 경사틈새를 두고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에 뚜껑이 밀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로부터 뚜껑이 미세경사틈새를 두고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로부터 뚜껑을 세운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30)에 뚜껑(40)이 밀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30)로부터 뚜껑(40)이 경사틈새(T1)를 두고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는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30)와, 이 용기(30)에 씌워지는 뚜껑(40)을 포함한다.
용기(30)에 수용된 음식물은 열에 의해 끓는 과정 또는 익는 과정에서 증기를 발생하는데, 이러한 증기는 뚜껑(40)에 의해 밀폐된 용기(30)로부터 분출되지 않을 경우 국물을 넘치게 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는 음식물이 익거나 끓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용기(30)와 뚜껑(40) 상호간의 보다 안전한 이격 구조로서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0)의 일측에 고정되어 일측-기준높이수직홈(71a)을 지닌 일측손잡이(71)와, 용기(30)의 타측에 고정되어 타측-기준높이평탄부(72a)를 지닌 타측손잡이(72)와, 뚜껑(40)으로부터 일측손잡이(71)를 향하여 외향 및 하향 돌출되어 일측-기준높이수직홈(71a)에 끼워져 용기(30)에 뚜껑(40)을 밀착시키는 한편 180ㅀ회전에 의해 타측-기준높이평탄부(72a)에 올려져 용기(30)로부터 경사틈새(T1)를 두고 뚜껑(40)을 이격시키는 일측하향봉(81a)을 지닌 일측바(81)와, 뚜껑(40)으로부터 타측손잡이(72)를 향하여 외향 돌출되어 타측-기준높이평탄부(72a)에 올려져 용기(30)에 뚜껑(40)을 밀착시키는 한편 180ㅀ회전에 의해 일측손잡이(71)에 올려져 용기(30)로부터 경사틈새(T1)를 두고 뚜껑(40)을 이격시키는 타측바(82)를 포함한다.
용기(30)에 음식물을 담고 초기 열을 가할 때 발생하는 미세한 증기는 뚜껑(40)에 마련된 증기홀(40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일측바(81)의 일측하향봉(81a)은 일측손잡이(71)의 일측-기준높이수직홈(71a)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함(안전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타측바(82)를 타측-기준높이평탄부(72a)에 놓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40)이 용기(30)에 안전하게 세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음식물에 열이 지속적으로 가해져 증기량이 많아질 경우 일측바(81)의 일측하향봉(81a)을 타측-기준높이평탄부(72a)에 올려놓고, 타측바(82)를 일측손잡이(71) 위에 올려놓아 용기(30)로부터 뚜껑(40)이 경사틈새(T1)를 두고 이격되도록 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안전하게 증기를 경사틈새(T1)를 통해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30)에 뚜껑(40)이 밀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30)로부터 뚜껑(40)이 미세경사틈새(T2)를 두고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도 5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기준높이평탄부(72a)는 일측하향봉(81a)을 받아들여 지지하는 타측-미세높이수직홈(72b)을 더 포함한다.
용기(30)에 음식물을 담고 초기 열을 가할 때 발생하는 미세한 증기는 뚜껑(40)에 마련된 증기홀(40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일측하향봉(81a)은 일측-기준높이수직홈(71a)에 끼워짐(안전하게 끼워짐)과 동시에 타측바(82)를 타측-기준높이평탄부(72a)에 놓아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40)이 용기(30)에 안전하게 세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음식물의 조리를 완료한 후 뜸을 들일 때 증기량이 적을 경우 일측하향봉(81a)을 타측-미세높이수직홈(72b)에 끼움(안전하게 끼움)과 동시에 타측바(82)를 일측손잡이(71)의 타측-기준높이평탄부(72a) 위에 올려놓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0)로부터 미세경사틈새(T2)를 두고 뚜껑(40)을 이격시켜 증기를 적절하게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30)로부터 뚜껑(40)을 세운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손잡이(72)에 용기(30)의 테두리에 인접하는 세움수직홀(H)을 구비시키고, 일측바(81) 또는 타측바(82)는 세움수직홀(H)에 끼워지면서 뚜껑(40)을 일측손잡이(71) 위로 세울 수 있도록 한다.
일측바(81) 또는 타측바(82)를 세움수직홀(H)에 끼워 뚜껑(40)을 타측손잡이(72) 위로 세울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을 익히거나 끓일 때 뜨거워진 뚜껑(40)을 조리 완료 후 간단히 정돈케 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음식물을 보다 신속하게 식힐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30)로부터 음식물을 떠내는 동작 역시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바람직하게 된다.
일측바(81) 또는 타측바(82)의 폭을 작게 하더라도 일측바(81) 또는 타측바(82)의 길이에 의해 세움수직홀(H)에 충분히 끼워져 뚜껑(40)을 안전하게 세울 수 있어 상품성 및 생선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작용을 발휘하게 된다.
나아가, 뚜껑(40)은 그 테두리를 따라 씌워져 일측바(81) 또는 타측바(82)가 세움수직홀(H)에 끼워질 때 용기(30)의 테두리에 맞닿으면서 지지되어 뚜껑(40)으로 하여금 용기(30)의 중심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시밍테두리(41)를 더 포함한다.
시밍테두리(41)로 하여금 용기(30)의 테두리에 직접 맞닿으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30)의 중심을 향하여 뚜껑(40)을 보다 견고하게 기울어진 채로 세울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이때, 시밍테두리(41)는 일측바(81) 및 타측바(82)가 외향 돌출된 뚜껑(40)으로부터 용기(30)의 테두리 안쪽으로 하향 연장되어 일측손잡이(71) 및 타측손잡이(72)를 향한 증기를 커버링하는 커버플레이트(42)를 더 구비하여, 용기(30)로부터 경사틈새(T1) 및 미세경사틈새(T2)를 두고 뚜껑(40)이 이격될 때 커버플레이트(42)로서 증기를 커버링하여 사용자가 일측손잡이(71) 또는 타측손잡이(72)를 파지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롭게 할 수 있고, 나아가 타측손잡이(72)에 뚜껑(40)이 세워질 때 뚜껑(40) 내부를 타고 떨어지는 응결수를 모두 커버플레이트(42)를 따라 용기(30) 속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여 조리시의 주변 청결을 더 더욱 보장케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이어서, 일측바(81) 및 타측바(82)는 뚜껑(40) 위로 가로지르면서 서로 일체화되어 뚜껑손잡이(80)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감 있게 뚜껑(40)의 사용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냄비, 프라이팬, 찜기 또는 솥 등과 같은 산업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30 : 용기 40 : 뚜껑
40a : 증기홀 41 : 시밍테두리
42 : 커버플레이트 71 : 일측손잡이
71a : 일측-기준높이수직홈 72 : 타측손잡이
72a : 타측-기준높이평탄부 72b : 타측-미세높이수직홈
80 : 뚜껑손잡이 81 : 일측바
81a : 일측하향봉 82 : 타측바
T1 : 경사틈새 T2 : 미세경사틈새
H : 세움수직홀
40a : 증기홀 41 : 시밍테두리
42 : 커버플레이트 71 : 일측손잡이
71a : 일측-기준높이수직홈 72 : 타측손잡이
72a : 타측-기준높이평탄부 72b : 타측-미세높이수직홈
80 : 뚜껑손잡이 81 : 일측바
81a : 일측하향봉 82 : 타측바
T1 : 경사틈새 T2 : 미세경사틈새
H : 세움수직홀
Claims (6)
-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30)와, 상기 용기(30)에 씌워지는 뚜껑(40)을 포함하는 주방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30)의 일측에 고정되어 일측-기준높이수직홈(71a)을 지닌 일측손잡이(71)와,
상기 용기(30)의 타측에 고정되어 타측-기준높이평탄부(72a)를 지닌 타측손잡이(72)와,
상기 뚜껑(40)으로부터 상기 일측손잡이(71)를 향하여 외향 및 하향 돌출되어 상기 일측-기준높이수직홈(71a)에 끼워져 상기 용기(30)에 상기 뚜껑(40)을 밀착시키는 한편 180도 회전에 의해 상기 타측-기준높이평탄부(72a)에 올려져 상기 용기(30)로부터 경사틈새(T1)를 두고 상기 뚜껑(40)을 이격시키는 일측하향봉(81a)을 지닌 일측바(81)와,
상기 뚜껑(40)으로부터 상기 타측손잡이(72)를 향하여 외향 돌출되어 상기 타측-기준높이평탄부(72a)에 올려져 상기 용기(30)에 뚜껑(40)을 밀착시키는 한편 180도 회전에 의해 상기 일측손잡이(71)에 올려져 상기 용기(30)로부터 상기 경사틈새(T1)를 두고 상기 뚜껑(40)을 이격시키는 타측바(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기준높이평탄부(72a)는 상기 일측하향봉(81a)을 받아들여 지지하는 타측-미세높이수직홈(72b)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일측하향봉(81a)이 상기 일측-기준높이수직홈(71a)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타측바(82)가 상기 타측-기준높이평탄부(72a)에 놓여질 경우 상기 용기(30)에 상기 뚜껑(40)을 밀착시키고,
상기 일측하향봉(81a)이 상기 타측-미세높이수직홈(72b)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타측바(82)가 상기 일측손잡이(71) 위에 올려질 경우 상기 용기(30)로부터 미세경사틈새(T2)를 두고 상기 뚜껑(40)을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손잡이(72)는 상기 용기(30)의 테두리에 인접하여 세움수직홀(H)을 구비하고,
상기 일측바(81) 또는 타측바(82)는 상기 세움수직홀(H)에 끼워지면서 상기 뚜껑(40)을 상기 일측손잡이(71) 위로 세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40)은 그 테두리를 따라 씌워져 상기 일측바(81) 또는 타측바(82)가 상기 세움수직홀(H)에 끼워질 때 상기 용기(30)의 테두리에 맞닿으면서 지지되어 상기 뚜껑(40)으로 하여금 상기 용기(30)의 중심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시밍테두리(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밍테두리(41)는 상기 일측바(81) 및 타측바(82)가 외향 돌출된 상기 뚜껑(40)으로부터 상기 용기(30)의 테두리 안쪽으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일측손잡이(71) 및 타측손잡이(72)를 향한 증기를 커버링하는 커버플레이트(4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바(81) 및 타측바(82)는 상기 뚜껑(40) 위로 가로지르면서 서로 일체화되어 뚜껑손잡이(8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9220A KR102240619B1 (ko) | 2020-02-17 | 2020-02-17 | 주방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9220A KR102240619B1 (ko) | 2020-02-17 | 2020-02-17 | 주방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0619B1 true KR102240619B1 (ko) | 2021-04-15 |
Family
ID=75440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9220A KR102240619B1 (ko) | 2020-02-17 | 2020-02-17 | 주방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0619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4420A (ko) | 1998-05-06 | 1999-12-06 | 송윤식 | 넘침방지용 냄비 |
JP2000139698A (ja) * | 1998-11-06 | 2000-05-23 | Kraft Inc | 料理道具の蓋・取っ手組立体 |
KR100350556B1 (ko) | 2000-01-25 | 2002-08-2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싱크-온-그린 비디오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분리하기위한 어댑터 장치와 이를 채용한 칼라 디스플레이 시스템 |
US20060174776A1 (en) * | 2005-02-04 | 2006-08-10 | Folkhart Fissler | Cooking pot |
WO2008000272A2 (en) * | 2006-06-30 | 2008-01-03 | Carlsberg Breweries A/S | Chemical pressure generation |
KR200439932Y1 (ko) * | 2007-12-13 | 2008-05-14 | 이상규 | 전자렌지용 가열용기 |
WO2011083486A1 (en) * | 2010-01-07 | 2011-07-14 | Ttk Prestige Limited | Microwave pressure cooker |
KR200472099Y1 (ko) * | 2012-03-04 | 2014-04-04 | 이희연 | 부분 개폐가 편리한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 |
-
2020
- 2020-02-17 KR KR1020200019220A patent/KR102240619B1/ko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4420A (ko) | 1998-05-06 | 1999-12-06 | 송윤식 | 넘침방지용 냄비 |
JP2000139698A (ja) * | 1998-11-06 | 2000-05-23 | Kraft Inc | 料理道具の蓋・取っ手組立体 |
KR100350556B1 (ko) | 2000-01-25 | 2002-08-2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싱크-온-그린 비디오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분리하기위한 어댑터 장치와 이를 채용한 칼라 디스플레이 시스템 |
US20060174776A1 (en) * | 2005-02-04 | 2006-08-10 | Folkhart Fissler | Cooking pot |
WO2008000272A2 (en) * | 2006-06-30 | 2008-01-03 | Carlsberg Breweries A/S | Chemical pressure generation |
KR200439932Y1 (ko) * | 2007-12-13 | 2008-05-14 | 이상규 | 전자렌지용 가열용기 |
WO2011083486A1 (en) * | 2010-01-07 | 2011-07-14 | Ttk Prestige Limited | Microwave pressure cooker |
KR200472099Y1 (ko) * | 2012-03-04 | 2014-04-04 | 이희연 | 부분 개폐가 편리한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305645A1 (en) | Device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nd preparing foods | |
US5826494A (en) | Cooking device | |
US6705210B2 (en) | Chafing dish with utility handles | |
US6269737B1 (en) | Food cooking apparatus | |
US5033453A (en) | Overflow cooking pot assembly | |
TWM488276U (zh) | 多功能鍋具 | |
US20150104555A1 (en) | Splatter shield for cooking | |
KR20060089653A (ko) | 조리용 포트 | |
JP3184147U (ja) | ふた下敷手段を具備した料理用鍋 | |
KR20180025905A (ko) | 조리용 튐 보호 디바이스 및 방법 | |
US9801497B2 (en) | Electric frying pan | |
EP1152679B1 (en) | Pot having a lid | |
KR102240619B1 (ko) | 주방용기 | |
TWI597033B (zh) | 可翻掀式蒸盤 | |
US20080072768A1 (en) | Food steamer | |
KR20210104445A (ko) | 주방용기 | |
JP3046000U (ja) | 鍋 | |
KR200472073Y1 (ko) |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 |
KR102125481B1 (ko) | 무쇠팬 조리 기구 | |
KR101533070B1 (ko) | 돌솥 뚜껑 | |
JP3134535U (ja) | 電子レンジ用炊飯釜 | |
KR100765137B1 (ko) | 넘치는 국물을 처리하기 위한 가열용기 | |
JP3238415U (ja) | 調理用容器 | |
JPH0637799Y2 (ja) | 揚物器 | |
KR200404662Y1 (ko) | 국수 삶는 사각냄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