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918B1 - 다층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다층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918B1
KR101622918B1 KR1020150169752A KR20150169752A KR101622918B1 KR 101622918 B1 KR101622918 B1 KR 101622918B1 KR 1020150169752 A KR1020150169752 A KR 1020150169752A KR 20150169752 A KR20150169752 A KR 20150169752A KR 101622918 B1 KR101622918 B1 KR 101622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plate
cap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민
Original Assignee
(주)더블엠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블엠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더블엠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50169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11Profiles
    • B65D2543/00648Flange or 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B65D2543/0074Massive b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판이 구비되어 과일에서 흘러나온 수분이 과일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더 오랜 기간 과일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고, 다층 밀폐용기로써, 각기 종류가 다른 식품을 개별 수납 및 보관 가능하므로 더 오랜 기간 과일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용기캡과 용기의 체결방식이 단순하면서도 밀착력이 강화되도록 한 다층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복수개의 용기본체(130)로 이루어지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본체(130)의 내부 바닥면과 형상 및 면적이 동일하며 복수개의 통공(111)이 형성된 사각판(112)과, 사각판(112)의 테두리가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벽(113)으로 이루어져, 용기본체(130)의 내부에 삽입되는 차단판(110)과; 상부에는 용기본체(130)의 하부가 삽입되는 상부 홈(14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용기본체(130)의 상부가 삽입되는 하부 홈(142)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용기본체(130)를 상하로 연결시키는 용기캡(1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용기본체(130)의 상부에는 수평방향의 돌출테두리(131)가 구비되고, 용기본체(130)의 하부에는 걸림돌기(132)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테두리(131)에 대응되게 상기 용기캡(140)의 하부 홈(142)이 개폐되도록 끼워 맞춤으로 조립되고, 상기 걸림돌기(132)에 대응되게 용기캡(140)의 상부 홈(141)이 끼워 맞춤으로 조립되며, 상기 용기캡(140)의 하부 홈(142)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걸림리브(143)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판(11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수직 벽 형상의 리드 살(114)이 차단판(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 일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마련되고, 상기 통공(111)은 상기 리드 살(114)의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사각판(112)에서 리드 살(114)까지 관통 형성되어, 통공(111)의 내주면과 리드 살(114)의 절개면이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용기본체(220)가 복수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본체(220)의 내부 바닥면과 면적이 같고 복수개의 통공(211)이 형성된 원형판(212)과, 상기 원형판(212)의 테두리가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벽(213)으로 이루어져, 용기본체(2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차단판(210)과; 상부로 만곡된 원판(240)과 상기 원판(240)의 테두리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원형 수직벽(241)으로 이루어져, 상기 용기본체(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용기캡(2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용기본체(220)의 상부 내측방향으로 인입형성된 안착면(231)은, 상기 용기캡(240)의 원형 수직벽(241)의 하단면에 안착되고, 상기 안착면(231)에는 안착면(231)의 상부로 돌출형성된 수직암(2321)과 상기 수직암(2321)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평암(2322)으로 이루어진 물림리브(232)가 형성되며, 용기본체(220)의 저면 테두리는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하부 내측면(234)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내측면(234)의 내면과 상기 원형 수직벽(241)의 내면에는 상기 물림리브(232)에 대응되는 수평 바 형상의 삽입리브(235)가 형성되며, 상하 축방향으로 다단 적층되어 조립되는 2개 이상의 용기본체(220)는 상기 안착면(231)과 하부 내측면(234)의 하단면이 면 접촉되어 두 용기본체(220)의 축방향 회전에 따라 삽입리브(235)가 수평암(2322)과 안착면(231)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등간격의 물림리브(232)와 삽입리브(235)가 서로 계합되며, 삽입리브(235)가 수평암(2322)과 안착면(231) 사이로 삽입되면서 삽입리브(235) 상면에 돌출된 제2가이드돌기(236)가 물림리브(232)를 이루는 수평암(2322) 저면에 돌출된 제1가이드돌기(233)를 제치고 억지끼움으로 통과됨으로써 2개 이상의 용기본체(220)가 서로 조립되며, 상기 용기캡(240)의 원형 수직벽(241)의 하단면이 2개 이상의 용기본체(220) 중 최상부 용기본체(220)의 안착면(231)에 면접촉되면서 용기본체(220) 간의 결합과 동일한 형태로 용기캡(240)을 이루는 원형 수직벽(241)의 내면에 돌출되는 삽입리브(242)가 용기본체(220) 상단의 물림리브(232)에 삽입되면서 용기캡(240)과 최상부 용기본체(220)가 서로 조립되고, 상기 차단판(21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수직 벽 형상의 리드 살이 차단판(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 일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마련되고, 상기 통공(211)은 상기 리드 살의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원형판(212)에서 리드 살까지 관통 형성되어, 통공(211)의 내주면과 리드 살의 절개면이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층 밀폐용기{Multi-layer sealed container}
본 발명은 다층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식품을 동시에 수납 및 보관할 수 있는 다층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는 그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1용기 1내용물의 보관이 가능한 것이 일반적이다. 가지고 나가 먹을 수 있도록 식품을 용기에 포장해서 판매하는 테이크아웃 서비스가 커피 등 음료 뿐 아니라 간단한 한 끼 식사대용품 등 다양한 제품으로 늘고 나는 추세이다. 과일나 야채를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먹기 좋은 크기로 손질해 용기포장, 판매하는 것도 테이크아웃의 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과일나 야채는 마트나 청과물가게에서 봉지나 박스 단위로 판매되기 때문에 혼자 사는 사람이나 2인 가족에게는 그 양이 부담스러울 뿐 아니라 사더라도 남기게 되는 경우가 많아 비경제적이다.
과일나 야채는 체내에서 생산이 어려운 우리 몸의 필수 영양소인 비타민과 무기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그 섭취가 좋다는 것을 알면서도, 세척과 껍질을 벗겨내는 등의 손질하는 게 번거롭고 집 밖에서는 신선한 과일나 야채를 쉽게 구하기도 어려워 따로 챙겨 먹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신선식품인 과일나 야채의 신선도를 오랜 시간 유지하기 어려운 유통구조 상, 시중에서 접하는 과일은 특히 변패를 막기 위해 말리거나 당절임하여 가공된 반건조 또는 통조림으로 진공포장, 인공첨가물을 넣는 등 과일 본연의 맛을 느끼기가 어렵다.
따라서 과일나 야채 등의 신선식품을 가공하지 않은 상태로 구하기 어렵고 과육을 먹기까지 손이 많이 가는 등 손쉽게 먹을 방법이 없어 먹고 싶어도 바로바로 먹을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용기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57136호(종래기술 1)는 함체와 서로 마주보는 상부, 하부의 용기캡 간 끼임 결합 시 상단의 함체 하단테두리에 형성된 돌출테두리가 용기캡 상단에 단순 밀착 결합되어 다단으로 적층되는 다단적층밀폐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용기와 관련된 다른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20268호(종래기술 2)는 용기 상단 가장자리에 위치한 걸쇠와 스냅 뚜껑이 밀봉하여 결합되는 스냅뚜껑을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용기와 관련된 다른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디자인공개공보 제2013-0000508호(종래기술 3)는 사각형상으로 된 수용부의 윗면, 측면 및 밑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통풍구가 형상된 과일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위와 같은 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내공간을 갖는 용기에 과일을 수납하여 보관 시 수분이 많은 과일의 특성상 먹기 용이하도록 과일의 껍질을 깎아놓을 경우. 과일에서 흘러나온 과즙이 과일의 닿는 면을 쉽게 무르게 한다.
둘째, 여러 종류의 과일을 한 공간에 두면 더 쉽게 무르는 특성상, 각각의 청과물들을 한꺼번에 수납하여 보관 시 금세 상하기 쉽다.
또한 셋째, 과일을 깎아두면 수분이 잘 흘러나오므로 수분이 용기 바깥으로 새지 않도록 담을 밀폐공간이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357136호(등록공고일자 : 2014.01.23) 특허공개공보 제2003-0020268호(공개일자: 2003.03.08) 디자인공개공보 제2013-0000508호(공개일자: 2013.05.07)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단판이 구비되어 과일에서 흘러나온 수분이 과일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더 오랜 기간 과일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고, 다층 밀폐용기로써, 각기 종류가 다른 식품을 개별 수납 및 보관 가능하므로 더 오랜 기간 과일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용기캡과 용기의 체결방식이 단순하면서도 밀착력이 강화되도록 한 다층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복수개의 용기본체로 이루어지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바닥면과 형상 및 면적이 동일하며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사각판과, 사각판의 테두리가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벽으로 이루어져, 용기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차단판과; 상부에는 용기본체의 하부가 삽입되는 상부 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용기본체의 상부가 삽입되는 하부 홈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용기본체를 상하로 연결시키는 용기캡으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는 수평방향의 돌출테두리가 구비되고, 용기본체의 하부에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테두리에 대응되게 상기 용기캡의 하부 홈이 개폐되도록 끼워 맞춤으로 조립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게 용기캡의 상부 홈이 끼워 맞춤으로 조립되며, 상기 용기캡의 하부 홈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걸림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판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수직 벽 형상의 리드 살이 차단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 일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마련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리드 살의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사각판에서 리드 살까지 관통 형성되어, 통공의 내주면과 리드 살의 절개면이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용기본체가 복수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바닥면과 면적이 같고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원형판과, 상기 원형판의 테두리가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벽로 이루어져, 용기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차단판과; 상부로 만곡된 원판과, 상기 원판의 테두리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원형 수직벽로 이루어져,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용기캡으로 구성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내측방향으로 인입형성된 안착면은, 상기 용기캡의 원형 수직벽의 하단면에 안착되고, 상기 안착면에는 안착면의 상부로 돌출형성된 수직암과 상기 수직암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평암로 이루어진 물림리브가 형성되며, 용기본체의 저면 테두리는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하부 내측면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내측면의 내면과 상기 원형 수직벽의 내면에는 상기 물림리브에 대응되는 수평 바 형상의 삽입리브가 형성되며, 상하 축방향으로 다단 적층되어 조립되는 2개 이상의 용기본체는 상기 안착면과 하부 내측면의 하단면이 면 접촉되어 두 용기본체의 축방향 회전에 따라 삽입리브가 수평암과 안착면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등간격의 물림리브와 삽입리브가 서로 계합되며, 삽입리브가 수평암과 안착면 사이로 삽입되면서 삽입리브 상면에 돌출된 제2가이드돌기가 물림리브를 이루는 수평암 저면에 돌출된 제1가이드돌기를 제치고 억지끼움으로 통과됨으로써 2개 이상의 용기본체가 서로 조립되며, 상기 용기캡의 원형 수직벽의 하단면이 2개 이상의 용기본체 중 최상부 용기본체의 안착면에 면접촉되면서 용기본체 간의 결합과 동일한 형태로 용기캡을 이루는 원형 수직벽의 내면에 돌출되는 삽입리브가 용기본체의 상단 물림리브에 삽입되면서 용기캡과 최상부 용기본체가 서로 조립되고, 상기 차단판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수직 벽 형상의 리드 살가 차단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 일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마련되고, 상기 통공는 상기 리드 살의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원형판에서 리드 살까지 관통 형성되어, 통공의 내주면과 리드 살의 절개면이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각각의 용기부 안에 물받이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식품에서 흘러나온 수분이 직접적으로 식품에 닿지 않아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 가능하여 위생적이고, 유통기간 또한 늘릴 수 있다.
둘째, 용기부가 다단으로 적층되도록 결합되는 일체형 용기로, 모든 용기가 하나로 고정된 채 휴대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운반이 안정적이다.
셋째, 용기부가 다단으로 적층되도록 결합되는 일체형 용기로, 각기 종류가 다른 식품을 개별 수납 및 보관하므로 하나의 용기에 보관할 때보다 더 오래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넷째, 용기캡 상부의 오목부와 용기 하부의 볼록부가 서로 대응되므로 마주보는 면을 일치시켜 다중 용기를 쉽게 개폐시킬 수 있다.
다섯째, 사각형 형상의 용기캡에 걸림리브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손쉬운 개폐가 가능하고 끼워 맞춤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여섯째, 원통형 형상의 용기 간 상면과 하면에 물림리브에 삽입리브가 슬라이딩되며, 끼워 맞춤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일곱째, 원통형 형상의 용기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의 가이드돌기를 마련하여 용기 간의 체결력을 높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여덟째, 원통형 형상의 각 용기 간 두 개 이상의 다단 결합으로 보다 많은 양을 한 번에 수납할 수 있다.
아홉째, 투명색의 포장용기로, 용기 내 포장된 채로 식품상태를 쉽게 살펴볼 수 있어 오염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열 번째, 한 번 먹을 만큼의 양으로 소포장되어 있어 음식물 쓰레기가 덜 나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고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의 제2실시예의 용기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사각형 밀폐용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100)는 차단판(110), 용기본체(130) 및 용기캡(14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차단판(110)은 용기본체(130)의 내부 바닥면과 형상 및 면적이 동일하며, 복수개의 통공(111)이 형성된 사각판(112)과, 사각판(112)의 테두리가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벽(11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벽(113)은 용기본체(130)의 내부 바닥에 안착됨으로써, 용기본체(130)의 내부 바닥과 일정 높이로 사각판(112)이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본체(130)는 내부에 저장되는 식품을 차단판(110)의 상면에 적층시켜 수분을 통공(111)을 통하여 하부로 빠지게 함으로써, 식품에 수분이 닿지 않게 하는 이점이 있다.
차단판(110)은 식품의 내용물에서 흘러나온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111)이 구비되며, 상기 통공(111)은 일정 간격의 방사형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차단판(110)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판(110)은 용기본체(130)의 내측에 밀착시켜 수용되도록, 차단판(110)을 이루는 사각판(112)은 용기본체(130) 내부의 수평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차단판(110)은 용기본체(130)의 내부에서 이격되지 않고 용기본체(130)의 내부에 적확하게 결합되어 상부의 식품을 배출된 수분과 격리시킬 수 있다.
차단판(110)은 용기본체(1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100)는 각각의 용기본체(130) 안에 차단판(110)이 구비되므로, 식품에서 흘러나온 수분이 직접적으로 식품에 닿지 않아 식품의 신선하게 보관해 위생적이며, 유통기간을 늘릴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30)는 바닥면과 벽면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용기본체(130)의 상면은 개방된다.
용기본체(130)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네 개의 벽면이 수직으로 기립되며, 또한 용기본체(130)는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용기본체(130)는 상부에 수평방향의 돌출테두리(131)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용기캡(140)의 상면에 끼움 맞춤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1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본체(130)는 용기캡(140)으로 개폐될 수 있다.
용기캡(140)의 하부 홈(142)은 용기본체(130) 상부의 돌출테두리(131)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캡(140)의 하부 홈(142)은 용기본체(130) 상부의 돌출테두리(131)에 끼워 맞춤으로 조립된다.
용기캡(140)의 상부 홈(141)은 용기본체(130) 하부의 걸림돌기(132)에 끼워 맞춤으로 조립되며,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용기캡(140)은 상부 홈(141)에 용기본체(130)의 하부가 삽입되어 조립되고, 하부 홈(142)에 용기본체(130)의 상부가 삽입되며 조립됨으로써 두 개의 용기본체(130)를 상하로 결합시켜 용기본체(130)가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다.
걸림리브(143)는 용기캡(140)의 단턱(142) 내측 각 면에 하나 이상의 등간격으로 구비되는데, 용기캡(140)을 용기본체(130)의 상부에 결합시킬 때 일정한 힘을 가해 내리누르면 걸림리브(143)가 용기캡(140)과 용기본체(130)를 밀착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판(110)에 형성된 통공(111)은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열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열은 차단판(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한편 차단판(110)의 저면에는 일정 높이만큼 수직 벽 형상의 리드 살(114)이 구비되는데, 리드 살(114)의 높이는 지지벽(113)의 높이와 동일하며, 차단판(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 일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마련된다. 통공(111)은 리드 살(114)의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사각판(112)에서 리드 살(114)까지 관통 형성되는데, 통공(111)의 내주면과 리드 살(114)의 절개면이 동일 평면을 이룬다.
이로써 차단판(110) 상부의 식품에서 흘러나온 수분은 통공(111)을 통과하자마자 리드 살(114)의 절개면인 측벽을 타고 흘러 내려 용기본체(130)의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표면장력이라는 물의 대표적인 특성상, 리드 살(114)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수분이 통공(111)의 내주면에 맺히기만 할 뿐 쉽게 하부로 배출되기 어렵다. 따라서 리드 살(114)의 작용 중 하나는 수분을 차단판(110)의 상부에서 하면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키는 것이다.
또한 리드 살(114)은 차단판(110)의 테두리를 둘러싸며 차단판(110)을 용기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벽(113)과 같은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차단판(110)과 용기본체(130)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내공간을 구획시킨다.
이로 인해 발휘되는 효과로는, 첫째, 용기본체(130)의 바닥면에 모인 수분이 리드 살(114)의 내공간마다 구획되어 가둬짐으로써 운반 중 쏠림방지가 되어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수분이 구획되지 않고 한데 모여 전체가 함께 쏠리는 현상이 발생시, 그 쏠리는 부분의 수분 압력이 국부적으로 높아져 발생될 여지가 있는, 누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배출된 수분이 차단판(110)의 상면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차단판(110) 아래로 모이는 수분이 밀폐용기의 운반 중 리드 살(114)에 마련된 벽체로 인해 구획된 내공간에 갇히게 되고, 분산된 수분들이 밀폐용기의 운반시 리드 살(114)에 부딪히면서 리드 살(114)과 동일 선상에 형성된 통공(111)에 접근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특히 통공(111)과 리드 살(114)은 동일 선상에서 방사상 대칭되게 형성되므로, 통공(111)의 밀도는 차단판(110)의 중심부로 갈수록 높아지지만 수분은 통공(111)의 밀도가 낮은 지지벽(113) 부근의 리드 살(114)로 구획된 부채꼴 형상의 넓은 면적 부근으로 몰리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역류가 방지될 수 있다.
넷째, 앞서 언급된 바와 마찬가지로 리드 살(114)의 절개면이 통공(111)의 내주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므로, 리드 살(114)의 절개면이 수분 배출의 가이드 작용을 함으로써 수분이 차단판(11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는 점이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100)는 서로 다른 종류의 식품을 더 오래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어, 휴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제2실시예 원형 밀폐용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상세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의 제2실시예의 용기캡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200)는 차단판(210), 용기본체(220) 및 용기캡(24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차단판(210)은 용기본체(220)의 내부 바닥면과 형상 및 면적이 같고 복수개의 통공(111)이 형성되는 원형판(212)과, 원형판(212)의 테두리가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벽(213)으로 이루어져, 용기본체(220) 내부에 삽입된다.
여기서 지지벽(213)으로 인하여 차단판(210)과 용기본체(220)의 내부 바닥면은 지지벽(213)의 높이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차단판(210)은 지지벽(213)만큼의 단차로 인하여 차단판(210)과 용기본체(220)의 내부 바닥면 사이에 수분이 모이게 하여, 식품에서 발생되는 수분과 식품 자체 간의 접촉을 방지시켜 식품이 오랜 시간동안 신선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통공(211)은 일정 간격의 방사형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차단판(210)에 형성되는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차단판(210)은 용기본체(220)의 내측에 밀착시켜 수용되도록, 차단판(210)을 이루는 원형판(212)은 용기본체(220) 내부의 수평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용기캡(240)은 상부로 만곡되는 원판(240)과 원판(240)의 테두리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원형 수직벽(241)으로 이루어져, 복수개가 다단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용기본체(220) 중 최상단의 용기본체(220) 상부에 결합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220)는 원통형상이다. 용기본체(220)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용기로 작용됨과 동시에 하부에 조립되는 또 다른 용기본체(220)를 위한 마개로 작용된다.

따라서 두 번째 실시예에서의 용기본체(220)는 첫 번째 실시예의 용기본체(130)와 달리, 용기본체(220)들은 중간 매개물 없이 직접 서로 다단으로 결합되며 용기캡(240)은 최상단의 용기본체(220)에만 결합 될 뿐이다.
또한 용기본체(220)가 다단으로 적층되도록 결합되어, 각기 종류가 다른 식품을 서로 다른 용기본체(220) 내부에 개별 수납 및 보관하므로 하나의 용기에 보관할 때보다 더 오래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용기본체(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만큼이 내경과 외경이 작아져서, 외경이 감소되는 지점에서 수평 단차면이 형성되는데 이때의 수평 단차면이 도 5에 도시된 안착면(231)이다. 안착면(231)에는 등간격으로 물림리브(232)가 형성된다.
한편, 용기본체(220)의 저면 테두리는 저면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하부 내측면(234)을 갖는다. 용기본체(220)의 하부 내측면(234)과 용기캡(240)을 이루는 원형 수직벽(241)의 내면에는 물림리브(232)에 대응되는 수평 바 형상의 삽입리브(235,242)가 형성된다.
이 경우 둘 이상의 용기본체(220)가 다단으로 조립은 하부 용기본체(220)의 안착면(231)이 상부 용기본체(220) 하부의 하부 내측면(234) 하단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축방향 회전에 따라 물림리브(232)와 삽입리브(235)가 서로 계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물림리브(232)는 안착면(231)의 상부로 돌출되는 수직암(2321)과 수직암(2321)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암(2322)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일면이 막힌 'ㄱ자' 형상이다. 물림리브(232)는 용기본체(220) 상부의 안착면(231)을 따라 두 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 삽입리브(235,242)는 안착면(231)과 수직암(2321)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물림리브(232)와 서로 결착되어 조립된다.
삽입리브(235,242)도 물림리브(232)에 대응되어 두 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용기본체(220)는 형상이 동일한 것 끼리 상하 축방향으로 위, 아래 순서에 구애됨 없이 다단으로 적층되도록 결합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돌기(233)는 수평암(2322)의 저면에 돌기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가이드돌기(236,243)는 삽입리브(235,242)의 상면에 형성되어, 삽입리브(235,242)가 수평암(2322)과 안착면(231) 사이로 슬라이딩 삽입될 때 제2가이드돌기(236,243)가 제1가이드돌기(233)를 억지끼움으로 젖히면서 통과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에서 제1가이드돌기(233)와 제2가이드돌기(236)는 용기본체(220)끼리의 체결력을 높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캡(240)은 최상단의 용기본체(220) 상부에 결합된다.
용기캡(240)의 상면은 돔형상의 볼록한 형상으로, 용기본체(220) 윗면의 용기캡(240)의 돔 부분까지 식품 등의 내용물을 좀 더 풍성하게 담을 수 있다.
용기캡(240) 하면의 형상은 용기본체(220)의 하면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한 용기본체(220), 용기본체(130), 용기캡(140)(240), 물림리브(232), 삽입리브(235), 제1가이드돌기(233) 및 제2가이드돌기(236)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밀폐용기(200)의 차단판(210)과 용기본체(220)는 투명재질의 플라스틱 소재로, 내용물의 종류나 신선도 확인이 용이하다.
한편,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차단판(210)의 저면에는 일정 높이만큼 수직 벽 형상의 리드 살(미도시)이 구비되는데, 리드 살의 높이는 지지벽(213)의 높이와 동일하며, 차단판(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 일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마련된다. 통공(211)은 리드 살의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원형판(212)에서 리드 살까지 관통 형성되는데, 통공(211)의 내주면과 리드 살의 절개면이 동일 평면을 이룬다.
이로써 차단판(210) 상부의 식품에서 흘러나온 수분은 통공(211)을 통과하자마자 리드 살의 절개면인 측벽을 타고 흘러 내려 용기본체(220)의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 경우 표면장력이라는 물의 대표적인 특성상, 리드 살(미도시)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수분이 통공(111)의 내주면에 맺히기만 할 뿐 쉽게 하부로 배출되기 어렵다. 따라서 리드 살(미도시)의 작용 중 하나는 수분을 차단판(210)의 상부에서 하면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키는 것이다. 리드 살(미도시)의 작용 효과는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와 관련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나 있고, 그들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중에 들어가는 모든 변형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0 : 다층 밀폐용기 110 : 차단판
111 : 통공 112 : 사각판
113 : 지지벽 114 : 리드 살
130 : 용기본체 131 : 돌출테두리
132 : 걸림돌기 140 : 용기캡
141 : 상부 홈 142 : 하부 홈
143 : 걸림리브 200 : 다층 밀폐용기
210 : 차단판 211 : 통공
212 : 원형판 213 : 지지벽
220 : 용기본체 231 : 안착면
232 : 물림리브 2321: 수직암
2322: 수평암 233 : 제1가이드돌기
234 : 하부 내측면 235 : 삽입리브
236 : 제2가이드돌기 240 : 용기캡
241 : 원형 수직벽 242 : 삽입리브
243 : 제2가이드돌기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복수개의 용기본체(130)로 이루어지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본체(130)의 내부 바닥면과 형상 및 면적이 동일하며 복수개의 통공(111)이 형성된 사각판(112)과, 사각판(112)의 테두리가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벽(113)으로 이루어져, 용기본체(130)의 내부에 삽입되는 차단판(110)과;
    상부에는 용기본체(130)의 하부가 삽입되는 상부 홈(14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용기본체(130)의 상부가 삽입되는 하부 홈(142)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용기본체(130)를 상하로 연결시키는 용기캡(1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30)의 상부에는 수평방향의 돌출테두리(131)가 구비되고, 용기본체(130)의 하부에는 걸림돌기(132)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테두리(131)에 대응되게 상기 용기캡(140)의 하부 홈(142)이 개폐되도록 끼워 맞춤으로 조립되고, 상기 걸림돌기(132)에 대응되게 용기캡(140)의 상부 홈(141)이 끼워 맞춤으로 조립되며, 상기 용기캡(140)의 하부 홈(142)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걸림리브(143)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판(11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수직 벽 형상의 리드 살(114)이 차단판(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 일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마련되고, 상기 통공(111)은 상기 리드 살(114)의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사각판(112)에서 리드 살(114)까지 관통 형성되어, 통공(111)의 내주면과 리드 살(114)의 절개면이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밀폐용기.
  2. 삭제
  3. 삭제
  4.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용기본체(220)가 복수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본체(220)의 내부 바닥면과 면적이 같고 복수개의 통공(211)이 형성된 원형판(212)과, 상기 원형판(212)의 테두리가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벽(213)으로 이루어져, 용기본체(2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차단판(210)과;
    상부로 만곡된 원판(240)과, 상기 원판(240)의 테두리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원형 수직벽(241)으로 이루어져, 상기 용기본체(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용기캡(2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용기본체(220)의 상부 내측방향으로 인입형성된 안착면(231)은, 상기 용기캡(240)의 원형 수직벽(241)의 하단면에 안착되고, 상기 안착면(231)에는 안착면(231)의 상부로 돌출형성된 수직암(2321)과 상기 수직암(2321)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평암(2322)으로 이루어진 물림리브(232)가 형성되며, 용기본체(220)의 저면 테두리는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하부 내측면(234)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내측면(234)의 내면과 상기 원형 수직벽(241)의 내면에는 상기 물림리브(232)에 대응되는 수평 바 형상의 삽입리브(235)가 형성되며,
    상하 축방향으로 다단 적층되어 조립되는 2개 이상의 용기본체(220)는 상기 안착면(231)과 하부 내측면(234)의 하단면이 면 접촉되어 두 용기본체(220)의 축방향 회전에 따라 삽입리브(235)가 수평암(2322)과 안착면(231)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등간격의 물림리브(232)와 삽입리브(235)가 서로 계합되며, 삽입리브(235)가 수평암(2322)과 안착면(231) 사이로 삽입되면서 삽입리브(235) 상면에 돌출된 제2가이드돌기(236)가 물림리브(232)를 이루는 수평암(2322) 저면에 돌출된 제1가이드돌기(233)를 제치고 억지끼움으로 통과됨으로써 2개 이상의 용기본체(220)가 서로 조립되며,
    상기 용기캡(240)의 원형 수직벽(241)의 하단면이 2개 이상의 용기본체(220) 중 최상부 용기본체(220)의 안착면(231)에 면접촉되면서 용기본체(220) 간의 결합과 동일한 형태로 용기캡(240)을 이루는 원형 수직벽(241)의 내면에 돌출되는 삽입리브(242)가 용기본체(220)의 상단 물림리브(232)에 삽입되면서 용기캡(240)과 최상부 용기본체(220)가 서로 조립되고,
    상기 차단판(21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수직 벽 형상의 리드 살이 차단판(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 일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마련되고, 상기 통공(211)은 상기 리드 살의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원형판(212)에서 리드 살까지 관통 형성되어, 통공(211)의 내주면과 리드 살의 절개면이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밀폐용기.
  5. 삭제
  6. 삭제
KR1020150169752A 2015-12-01 2015-12-01 다층 밀폐용기 KR101622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752A KR101622918B1 (ko) 2015-12-01 2015-12-01 다층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752A KR101622918B1 (ko) 2015-12-01 2015-12-01 다층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918B1 true KR101622918B1 (ko) 2016-05-20

Family

ID=5610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752A KR101622918B1 (ko) 2015-12-01 2015-12-01 다층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9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659B1 (ko) 2019-03-20 2019-10-21 (주)선진전력기술단 지중 배전 케이블의 내진 보호 시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716Y1 (ko) 2004-11-22 2005-03-09 (주)옥야 용기
KR200415613Y1 (ko) * 2006-02-23 2006-05-04 안종덕 다단 적층형 다용도 보관용기
KR100929785B1 (ko) * 2009-06-03 2009-12-07 석종철 밀폐용기용 탈수대
KR101357136B1 (ko) * 2013-07-18 2014-02-04 문제구 결합력유지와 분리의 용이성을 갖는 다단적층밀폐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716Y1 (ko) 2004-11-22 2005-03-09 (주)옥야 용기
KR200415613Y1 (ko) * 2006-02-23 2006-05-04 안종덕 다단 적층형 다용도 보관용기
KR100929785B1 (ko) * 2009-06-03 2009-12-07 석종철 밀폐용기용 탈수대
KR101357136B1 (ko) * 2013-07-18 2014-02-04 문제구 결합력유지와 분리의 용이성을 갖는 다단적층밀폐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659B1 (ko) 2019-03-20 2019-10-21 (주)선진전력기술단 지중 배전 케이블의 내진 보호 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2439B2 (en) Stackable cup assembly
US8240503B2 (en) Produce keeper
US7735651B2 (en) Food serving tray assembly having disposal opening with deep serving wells
AU2015224645B2 (en) Container for packaging products, in particular fresh products such as meat products, and method for packaging such products
US11008152B2 (en) Multi-chamber container
US20090092738A1 (en) Using food serving tray assembly having disposal opening with deep serving wells
US7736580B2 (en) Making food serving tray assembly having disposal opening with deep serving wells
US20150099044A1 (en) Container
ES2731826T3 (es) Conjunto de embalaje de vasos para alimentos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KR101622918B1 (ko) 다층 밀폐용기
US20220185564A1 (en) Double sealed packag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RU75639U1 (ru) Потребительская тара для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имеющего несъедобную часть
AU2011213351B2 (en) Dispensing assembly
KR20210112597A (ko) 식품용 트레이
JP5461922B2 (ja) フレア部を有する包装用容器
KR102034693B1 (ko) 식품 숙성 용기
EP1531132B1 (en) Membrane for closing containers and product preservation device comprising said membrane
US20120043326A1 (en) Container and Closure Assembly
US20100181226A1 (en) Food container assembly
JP2013237464A (ja) 即席食品容器
US20060021991A1 (en) Sealing cap
AU2019202496A1 (en) An Improved Food Storage System
KR101801634B1 (ko)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
CN211961719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