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634B1 -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634B1
KR101801634B1 KR1020150128697A KR20150128697A KR101801634B1 KR 101801634 B1 KR101801634 B1 KR 101801634B1 KR 1020150128697 A KR1020150128697 A KR 1020150128697A KR 20150128697 A KR20150128697 A KR 20150128697A KR 101801634 B1 KR101801634 B1 KR 101801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acuum cap
hemispherical
open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339A (ko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주)대일고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일고무 filed Critical (주)대일고무
Priority to KR1020150128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634B1/ko
Priority to PCT/KR2016/008146 priority patent/WO2017043762A1/ko
Publication of KR20170031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를 밀폐하는 덮개의 상면에 용기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하부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돌출부에 대응하는 진공캡으로 하부돌출부를 폐쇄하여 용기 내부에 공기가 빠져나간 상태로 진공을 유지할 수 있으며, 하부돌출부와 진공캡의 밀착상태를 강화시키도록 수나사부에 의해 진공캡이 회전하여 하부돌출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Sealing container improved sealing function}
본 발명은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용기 내부의 공기압을 낮은 상태로 유지하여 밀폐기능을 향상시키며, 개방구가 형성된 하부돌출부에 안착되는 진공캡을 상부로 들어올려 용기 내부와 외부의 공기압을 균등하게 맞추므로 개봉이 용이하고, 하부돌출부와 진공캡의 밀착상태를 강화시키도록 수나사부에 의해 진공캡이 회전하여 하부돌출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풍부한 식재료와 다양한 레시피가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가정에서도 쉽게 새로운 조리법의 음식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많은 음식들을 접하게 되면서 가정내에 식재료를 보관하고 조리된 음식을 저장하는 방법 역시 발전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식재료는 공기의 접촉이 시작되면 채소 또는 과일류의 경우 무르거나 마르게 되어 냉장보관 및 밀봉을 유지하는 상태로 저장하곤 하며, 육류의 경우 지방의 산화가 일어나 쉽게 부패하기 때문에 이 또한 냉장보관 및 밀봉보관해야한다.
이외에도 한번에 많은 양을 조리해두고 섭취하는 밑반찬 또는 김치류의 경우 공기가 닿지 않은 상태로 보관하기 위해 밀봉하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밀봉보관을 위해 음식을 다루는 많은 장소에서는 일반적인 밀폐용기를 사용한다.
시중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밀폐용기는 일반적으로 음식이 담기는 용기와 용기를 덮어 고정하는 뚜껑 및 용기와 뚜껑 사이에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실리콘패킹으로 형성되어 단지 뚜껑을 단단히 덮어 실리콘패킹에 의해 공기의 출입이 차단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용기와 뚜껑을 자주 분리하고 결합하면서 실리콘패킹에 변형이 가해지게 되고 이로인해 공기가 출입할 수 있을만한 틈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미세한 틈으로 인해 외부의 냄새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음식에 다른 음식의 냄새가 스며들게 되고 음식의 맛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20-0248959 에서는 용기의 상단 둘레에 실리콘패킹이 컵을 엎어놓은 형상으로 용기 상단의 내외부를 전부 덮는 식품보관용 밀폐용기를 기술하고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은 실리콘패킹의 외면이 뚜껑과 고정된 상태이므로 실리콘패킹을 하부에서 받치는 수단이 없어 실리콘패킹이 쉽게 자리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조리한 음식을 바로 용기에 담아 밀폐한 후 냉장보관하게 되면 음식의 열기에 의해 팽창했던 공기가 수축하면서 내부에 공기양이 줄어들게 되고 이로인해 외부공기압이 강하게 뚜껑을 가압하게 되기 때문에 이후에 뚜껑을 개봉할 때 뚜껑이 열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요망 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용기 내부의 공기압을 낮은 상태로 유지하여 밀폐기능을 향상시키며, 개방구가 형성된 하부돌출부에 안착되는 진공캡을 상부로 들어올려 용기 내부와 외부의 공기압을 균등하게 맞추므로 개봉이 용이하고, 하부돌출부와 진공캡의 밀착상태를 강화시키도록 수나사부에 의해 진공캡이 회전하여 하부돌출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 상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용기가 밀폐되도록 형성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상부에 결합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상면에 상기 용기 내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중앙에 상부가 개방된 반구형상으로 하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하부돌출부, 상기 하부돌출부의 중앙에 관통형성되는 원형의 주개방구, 및 상기 주개방구의 둘레로부터 상기 평면부를 향하여 상기 곡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보조개방구를 포함하는 개방구, 상기 하부돌출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덮개보다 연질의 재료로 만들어지는 진공캡, 및 상기 진공캡의 하부에 결합하며 상기 주개방구를 관통하며 상기 주개방구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진공캡보다 경질의 재료로 만들어지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캡은 상기 곡면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반구 형상으로 하부를 향해 돌출되는 반구부, 상기 반구부의 상부 둘레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평면부에 안착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손잡이, 상기 반구부의 중앙에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며 가압하여 상기 반구부와 곡면부를 긴밀히 접하도록 하고 내부에는 고정핀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인 내부홈을 포함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상부 둘레에 하부를 향해 함몰형성되는 상부홈, 및 상기 가압부의 하부 중앙에 상기 내부홈과 연통하며, 반구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핀은 상기 내부홈에 삽입되어 억지끼움 결합되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상기 머리부의 일단에서 돌출형성되며 상기 고정홈과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보다 큰 직경의 원통형상으로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주개방구에 접하는 상하이동부, 및 상기 진공캡의 상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하이동부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주개방구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이동부의 둘레에는 나선형태의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하이동부의 이동시 수나사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진공캡이 상하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방구와 접하는 곡면부의 말단은 보조개방구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돌기가 있으며, 상기 돌기는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하여 각각의 돌기의 높이가 순차적으로 상승하는 나선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와 상기 반구부의 상부 50%이상이 절개된 절개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에 따르면,
첫째, 용기와 덮개를 결합한 상태로 손으로 가압하고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용기 내부의 공기압을 낮은 상태로 유지하여 밀폐기능을 향상시키며, 개방구가 형성된 하부돌출부에 안착되는 진공캡을 상부로 들어올려 용기 내부와 외부의 공기압을 균등하게 맞추므로 개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진공캡이 하부돌출부에 안착된 상태로 진공캡의 하부에 고정핀이 결합되므로 진공캡을 분실할 염려가 없고 진공캡의 상하이동 구간을 제한하면서도 공기가 출입하기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하이동부의 둘레에는 나선형태의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하이동부와 접하는 곡면부의 말단을 타고 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나사운동을 통해 하부돌출부를 가압하는 진공캡이 더욱 밀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개방구와 접하는 곡면부의 말단에 형성된 돌기가 수나사부에 대응하여 높이가 순차적으로 상승하는 나선형태로 형성되므로 수나사부가 쉽게 상하로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날개부와 반구부의 상부 50%이상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에 의해 밀폐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손잡이를 상부로 잡아올릴 때 더욱 수월하게 진공캡을 하부돌출부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의 사시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의 덮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부돌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캡과 고정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의 사용 예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진공캡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인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는 내부에 음식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용기(200), 상기 용기(200) 상부에 결합하는 덮개(100), 상기 덮개(100)의 상면에 상기 용기(200) 내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돌출부(300), 상기 하부돌출부(300)의 중앙에 관통형성되는 개방구(400), 상기 하부돌출부(30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덮개(100)보다 연질의 재료로 만들어지는 진공캡(500), 및 상기 진공캡(500)의 하부에 결합하며 상기 개방구(400)를 관통하는 고정핀(600)을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지시하는 방향은 용기(200)가 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부는 용기(200) 위에 덮어지는 덮개(100)를 향하는 방향이며, 하부는 덮개(100) 아래의 지면을 향하는 방향임을 밝혀둔다.
먼저 상기 용기(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밀폐용기에 사용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단단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200) 상부에 결합하는 덮개(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200)가 밀폐되도록 형성되는 실링부재(110)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100)는 일반적으로 밀폐용기에 사용되는 형태의 덮개(100)로써 용기(200) 상부에 덮어지고 결합하여 밀폐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덮개(100) 역시 용기(200)와 동일한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용기(200)와 덮개(100)를 위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이유는 상기 덮개(100)의 상부로 공기가 통하도록 되어 있고 덮개(100)의 상부에 안착되는 진공캡(500)에 의해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단단한 용기(200)와 덮개(100)를 손으로 가압하여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안착된 진공캡(500)이 공기를 차단하여 용기(200) 내부에 공기압이 낮아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실링부재(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0)의 상부 형태에 대응하며 연질 재질로 형성되어 덮개(100)와 용기(200) 사이에 위치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덮개(100)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200)의 내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돌출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돌출부(300)는 덮개(100)의 상면에 상기 용기(200) 내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평면부(310), 및 상기 평면부(310)의 중앙에 상부가 개방된 반구형상으로 하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곡면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평면부(31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0) 내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진공캡(500)의 날개부(520)가 상면에 안착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진공캡(500)이 평면부(310)에 안착되므로 용기(200) 내부가 밀폐되는 것이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면부(310)의 중앙에는 곡면부(320)가 하부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곡면부(320)는 평면부(310)의 중앙에서 부터 중심을 향해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둥글게 형성되므로 상기 곡면부(320)의 내측에는 진공캡(500)의 반구부(510)가 대응하는 형태로 안착되어 곡면부(320)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개방구(400)와 접하는 곡면부(320)의 말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321)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형성되는 돌기(321)의 갯수는 4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다수개로 형성되는 돌기(321)는 수평방향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돌기(321)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상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상승하는 나선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321)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곡면부(320)의 중앙에는 용기(200) 내부와 외부공간이 연결되도록 개방되는 개방구(400)가 관통형성된다.
상기 개방구(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돌출부(300)의 중앙을 관통하는 주개방구(410), 및 주개방구(410)의 둘레로 더 연장 개방되어 형성되는 보조개방구(420)를 포함한다.
상기 주개방구(4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으로 고정핀(600)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주개방구(410)는 고정핀(60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고정핀(600)이 진공캡(500)과 결합된 상태로 여유있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고정핀(600)과 주개방구(410)에 형성된 약간의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개방구(410)의 둘레에는 평면부(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곡면부(32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개방구(420)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개방구(420)는 앞서 언급한 각각의 돌기(321) 사이마다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서는 동일한 형상으로 주개방구(410)의 둘레에 4개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형성될 수 있는 보조개방구(420)의 갯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 보조개방구(420)에 의해 진공캡(500)이 하부돌출부(300)에서 분리되었을 때 공기압이 낮아진 상태의 용기(200)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돌출부(300)에 안착되는 진공캡(500)은 반구부(510), 상기 반구부(510)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는 날개부(520), 상기 날개부(520)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손잡이(530), 상기 반구부(510)의 중앙에 형성되는 가압부(540), 상기 가압부(540)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는 상부홈(550), 및 상기 반구부(510)의 하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고정홈(56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반구부(51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면부(320)에 대응하는 형태로 반구 형상으로 하부를 향해 돌출형성된다.
상기 반구부(5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부(320)와 밀착하지 않은 상태로는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부(320)와 밀착하게되면 곡면부(320) 전체를 막아 공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반구부(510)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는 날개부(520)는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평면부(310)에 안착된다.
상기 날개부(520)는 평면부(310)에 대응하여 접하게 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캡(500)을 상부에서 가압하면 반구부(510)와 곡면부(320)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520)에는 절개부(57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개부(570)는 상기 날개부(520)와 상기 반구부(510)의 상부 50%이상이 절개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570)는 날개부(520)의 둘레를 따라 내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개부(570)가 형성되므로 손잡이(530)를 위로 잡아당겨 공기압이 낮아진 상태를 해제할 때 절개부(570)에 의해 날개부(520) 일측이 쉽게 들어올려지게 되어 곡면부(320)와 반구부(51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므로 공기압이 낮아진 상태를 해제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날개부(520)의 상면에는 손잡이(530)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53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520)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형성되며 도 9에서는 손잡이(530)의 갯수를 4개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손잡이(5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압이 낮아진 상태로 밀폐된 용기(2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손잡이(530) 중 어느 하나를 잡아당겨 진공캡(500)과 하부돌출부(30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진공캡(500)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므로 쉽게 손잡이(530)를 잡아당길 수 있게 되며 내부 공기압을 쉽게 풀고 덮개(100)를 개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반구부(510)의 중앙에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가압부(540)는 내부에 고정핀(600)이 삽입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내부홈(541)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540)는 상기 반구부(510)와 곡면부(320)가 긴밀하게 접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540)의 내부홈(541)은 고정핀(600)의 머리부(61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내부공간으로 고정핀(600)의 머리부(610)와 결합된다.
한편 상기 머리부(610)에 관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부홈(55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540)의 상부 둘레를 따라 하부를 향해 함몰형성된다.
상기 상부홈(550)이 형성되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압이 낮아진 상태에서 회복하기 위해 손잡이(530)를 잡아올리면 상부홈(550)의 일부가 찌그러지면서 손잡이(530)를 잡아올리기 더 용이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부(540)의 하부 중앙에 상기 내부홈(541)과 연통되는 고정홈(560)은 반구부(510)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560)은 도 7 내지 도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홈(541)보다 직경이 작은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고정핀(600)이 내부홈(541)으로 삽입되었을 때 고정핀(600)의 머리부(610)의 하면이 고정홈(560) 상부에 걸려 임의로 고정핀(600)이 분리되지 않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고정핀(600)은 상기 내부홈(541)에 삽입되는 머리부(610), 상기 머리부(610)의 일단에서 돌출형성되는 고정부(620), 상기 고정부(62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주개방구(410)에 접하는 상하이동부(630), 및 상기 진공캡(500)의 상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걸림부(6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핀(600)은 진공캡(50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해야하므로 상기 진공캡(500)보다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내부홈(541)에 삽입되는 머리부(610)는 연성인 진공캡(500)의 하부에 내부홈(54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고정홈(560)을 관통하여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된다.
이로써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머리부(610)가 내부홈(541)에 삽입되면 내부홈(541)보다 직경이 작은 고정홈(560)에 의해 꽉 조이게되므로 임의로 내부홈(541)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머리부(610)의 일단에는 고정부(620)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고정부(620)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머리부(610)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560)과 결합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고정부(620)는 상기 고정홈(560)에 대응하는 길이와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로인해 고정핀(600)이 진공캡(500)에 결합된 상태로 움직이지 않게 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다음으로 고정부(620)의 일단에는 상하이동부(630)가 연장되어 돌출형성된다.
상기 상하이동부(630)는 상기 고정부(620)보다 큰 직경의 원통형상으로 상기 주개방구(410)와 접하게 되고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이동부(630)의 길이에 따라 상기 진공캡(500)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상하이동부(630)의 둘레에는 도 10, 도 11 및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태의 수나사부(65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도 11 및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태의 수나사부(650)에 의해 상기 곡면부(320)의 돌기(321)를 타고 회전하면서 진공캡(500)이 상하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이때 상기 수나사부(650)에 대응하여 곡면부(320)의 돌기(321)는 도10a 및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상부를 향해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상하 회전이동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설명하자면 상기 수나사부(650)가 돌기(321)를 타고 상하로 회전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수나사부(650)는 주개방부(410)의 직경보다 2 - 5mm 더 크게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만일 수나사부(650)의 회전반경이 상기 주개방부(410)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다면, 큰 너트구멍에 작은 볼트나사를 채결시킬 수 없고 헛도는 것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므로 상기 수나사부(650)가 주개방부(41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나사부(650)는 나사가 잠궈지는 형상으로 돌기(321)를 타고 상하로 회전이동하고 수나사부(65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을 정도로 진공캡(500)과 하부돌출부(300)는 더욱 긴밀하게 밀착되는 과정에서 연성재질인 진공캡(500)의 하부표면이 회전방향을 따라 점차 비틀리게 되고 이로인해 진공캡(500) 과 하부돌출부(300)의 내측표면이 맞닿아 마찰이 발생하여 진공캡(500)과 하부돌출부(300) 간의 밀폐가 더욱 긴밀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나사부(650)가 회전하기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손잡이(530)는 경성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수나사부(650)를 회전시킬 때 손잡이(530)가 힘을 받아 지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손잡이(530)가 연성재질인 진공캡(500)과 동일하게 형성된다면 수나사부(650)를 회전시킬 때 회전 가압을 지탱하는 부분이 없으므로 충분히 나사가 돌아가는 형식으로 진공캡을 가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530)는 경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하이동부(630)의 저면에는 걸림부(64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640)는 상기 주개방구(410)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진공캡(500)의 상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걸림부(640)에 의해 진공캡(500)과 하부돌출부(30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의 사용 실시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용기(200) 내부에 음식을 수용하고 실링부재(110)를 포함하는 덮개(100)를 덮어 용기(200)와 결합한다.
다음으로 단단한 소재로 형성된 용기(200)와 덮개(100)를 손으로 가압하여 용기(200)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외부로 강재배출시킨다.
이때 용기(200) 내부의 공간이 사용자의 가압으로 인해 줄어들게 되므로 공기는 주개방구(410)와 보조개방구(4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개방구(400)의 상부에 진공캡(500)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공기가 강제배출되면서 진공캡(500)을 들어올리게 되고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진공캡(500)은 공기가 강제배출되면 용기(200) 내부에 부족한 공기량에 의해 용기(200)의 내부방향으로 빨려들어가게 되고 자연스럽게 반구부(510)와 곡면부(320)가 접하게 되며 날개부(520)와 평면부(310)가 접하게 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밀착은 단지 용기(200) 내부로 빨아들이는 공기압에 의한 것이므로 이보다 더욱 강하게 진공캡(500)의 가압부(540)를 손으로 가압하여 상기 진공캡(500)과 하부돌출부(300)를 완전히 밀착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용기(200) 내부를 진공상태로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밀폐된 용기(200)를 열기위해서는 진공캡(500)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530)를 손으로 잡아 상부로 들어올려 진공캡(500)과 하부돌출부(300) 사이에 여유공간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진공캡(500)은 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가압부(540) 둘레에 형성된 상부홈(550)에 의해 쉽게 손잡이(530)가 들어올려지게 되고 이때 진공캡(500)과 하부돌출부(300) 사이에 형성된 여유공간이 주개방구(410) 및 보조개방구(420)와 연결되어 용기(2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날개부(520)와 반구부(510)에 절개부(570)가 형성되는 경우, 손잡이(530)를 더욱 쉽게 들어올릴 수 있으며 진공캡(500)과 하부돌출부(300) 사이에 여유공간을 더욱 쉽게 확보할 수 있게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덮개 110; 실링부재
200; 용기
300; 하부돌출부 310; 평면부
320; 곡면부 321; 돌기
400; 개방구 410; 주개방구
420; 보조개방구
500; 진공캡 510; 반구부
520; 날개부 530; 손잡이
540; 가압부 541; 내부홈
550; 상부홈 560; 고정홈
570; 절개부
600; 고정핀 610; 머리부
620; 고정부 630; 상하이동부
640; 걸림부 650; 수나사부

Claims (5)

  1. 내부에 음식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 상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용기가 밀폐되도록 형성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상부에 결합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상면에 상기 용기 내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중앙에 상부가 개방된 반구형상으로 하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하부돌출부;
    상기 하부돌출부의 중앙에 관통형성되는 원형의 주개방구, 및 상기 주개방구의 둘레로부터 상기 평면부를 향하여 상기 곡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보조개방구를 포함하는 개방구;
    상기 하부돌출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덮개보다 연질의 재료로 만들어지는 진공캡; 및
    상기 진공캡의 하부에 결합하며 상기 주개방구를 관통하며 상기 주개방구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진공캡보다 경질의 재료로 만들어지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진공캡은
    상기 곡면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반구 형상으로 하부를 향해 돌출되는 반구부;
    상기 반구부의 상부 둘레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평면부에 안착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손잡이;
    상기 반구부의 중앙에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며 가압하여 상기 반구부와 곡면부를 긴밀히 접하도록 하고 내부에는 고정핀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인 내부홈을 포함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상부 둘레에 하부를 향해 함몰형성되는 상부홈; 및
    상기 가압부의 하부 중앙에 상기 내부홈과 연통하며, 반구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내부홈에 삽입되어 억지끼움 결합되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상기 머리부의 일단에서 돌출형성되며 상기 고정홈과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보다 큰 직경의 원통형상으로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주개방구에 접하는 상하이동부; 및
    상기 진공캡의 상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하이동부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주개방구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이동부의 둘레에는 나선형태의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하이동부의 이동시 수나사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진공캡이 상하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와 접하는 곡면부의 말단은 보조개방구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돌기가 있으며, 상기 돌기는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하여 각각의 돌기의 높이가 순차적으로 상승하는 나선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와 상기 반구부의 상부 50%이상이 절개된 절개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
KR1020150128697A 2015-09-11 2015-09-11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 KR101801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697A KR101801634B1 (ko) 2015-09-11 2015-09-11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
PCT/KR2016/008146 WO2017043762A1 (ko) 2015-09-11 2016-07-26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697A KR101801634B1 (ko) 2015-09-11 2015-09-11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339A KR20170031339A (ko) 2017-03-21
KR101801634B1 true KR101801634B1 (ko) 2017-11-27

Family

ID=5823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697A KR101801634B1 (ko) 2015-09-11 2015-09-11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1634B1 (ko)
WO (1) WO20170437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318A (ko) * 2019-10-07 2021-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892B1 (ko) * 2005-02-21 2006-12-28 최병균 가스배출장치가 구비된 밀폐용기
KR200403803Y1 (ko) * 2005-09-23 2005-12-14 백홍기 밀폐 용기
KR200445176Y1 (ko) * 2008-06-11 2009-07-06 풍강산업 주식회사 진공 용기
KR101133979B1 (ko) * 2008-12-30 2012-04-12 박준영 진공용기 뚜껑과 이를 위한 체크밸브 및 패킹
KR101126772B1 (ko) * 2010-10-12 2012-03-29 김용국 진공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용기
KR101524412B1 (ko) * 2014-09-24 2015-05-29 이상규 진공과 밀폐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339A (ko) 2017-03-21
WO2017043762A1 (ko)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3008B2 (en) Freshness preserving food container
US5597086A (en) Moistureproof tea container and food thermos
KR100402039B1 (ko) 농산물용 통기 용기
JP2008050059A (ja) 急速冷凍用容器及びシール
KR101495610B1 (ko) 원터치형 진공 누름버튼이 구비된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보관방법
US10737866B2 (en) Bottle cap structure
KR101214817B1 (ko)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KR200465164Y1 (ko) 물김치의 건더기 침지를 위한 속뚜껑이 구비된 밀폐용기
KR101801634B1 (ko)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
US20200367697A1 (en) Storage Unit For Storing Products That Can Be Affected By Humidity
US20170007052A1 (en) For integral lid honey dipper
US20050000963A1 (en) Cheese server
KR101993191B1 (ko) 상시 개방이 가능한 진공 용기용 체크밸브
KR101785053B1 (ko) 진공 텀블러
KR101400783B1 (ko) 내부압력 배출과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101445641B1 (ko) 내부압력 배출과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CN1571750A (zh) 真空保存产品的容器
KR101409575B1 (ko) 식품보관용기용 가압식 밀폐뚜껑
KR20210112597A (ko) 식품용 트레이
KR100556608B1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US20020124471A1 (en) Reusable vacuum lid
KR200474108Y1 (ko)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KR101496238B1 (ko)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101622918B1 (ko) 다층 밀폐용기
KR100675485B1 (ko) 조리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