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817B1 -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817B1
KR101214817B1 KR1020100084670A KR20100084670A KR101214817B1 KR 101214817 B1 KR101214817 B1 KR 101214817B1 KR 1020100084670 A KR1020100084670 A KR 1020100084670A KR 20100084670 A KR20100084670 A KR 20100084670A KR 101214817 B1 KR101214817 B1 KR 101214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lid
container
operating table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0814A (ko
Inventor
문제구
Original Assignee
문제구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제구, 주식회사 로이첸 filed Critical 문제구
Priority to KR1020100084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8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only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31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made of several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824Means for facilitating removing of the closure
    • B65D2543/00833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 B65D2543/00851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on the central part of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함체와 뚜껑을 결합한 상태에서 조임에 의하여 패킹이 용기 내벽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차단하여 용기 내부가 완전한 밀폐상태가 되도록 한 밀폐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현재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용기 뚜껑은 대부분 뚜껑에 패킹을 장착하여 공기차단을 하도록 되는데, 이러한 것의 문제가 공기차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뚜껑이 너무 쉽게 개방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서, 최근에는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를 빼내는 것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진공펌프를 이용한 뚜껑은 진공을 위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음식물을 보관할 경우에 공기차단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진공상태를 만들거나 푸는 작업이 번거롭고, 또한 용기 내부가 진공압이 발생할 경우에 용기의 형태변형이 일어나서 미관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뚜껑본체의 상,하측으로 각각 회전체와 작동대가 결합되도록 하면서 회전체와 작동대가 나선결합되어져 작동대가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승강되도록 하여 작동대의 승,하강 시 패킹의 상단부가 뚜껑본체의 테두리벽에 눌림되어지면서 패킹의 형태가 외측으로 벌어져 용기본체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하여 완벽하게 공기차단을 이룰 수 있으면서, 이러한 공기차단의 정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Cover of airtight container}
본 발명은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함체와 뚜껑을 결합한 상태에서 뚜껑 상단의 레버를 회전시켜 패킹이 용기 내벽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차단하여 용기 내부가 완전한 밀폐상태가 되도록하면서도 사용자가 밀폐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밀폐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음식물의 보관을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용기는 음식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패킹을 이용하여 용기 내부공기를 차단하는 것으로, 이러한 구조의 밀폐용기는 단순히 뚜껑의 외주면에 결합되어진 패킹이 긴밀하게 끼워지면서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의 밀폐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패킹이 너무 유연할 경우 뚜껑의 개폐가 용이한 반면에 밀폐력이 낮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고, 반대로 패킹의 유연성이 떨어질 경우 함체 내벽에 빡빡하게 끼워지므로 밀폐력이 우수한 반면에 뚜껑의 개폐는 그만큼 어려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뚜껑에 진공펌프를 형성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상태로 밀폐되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것도 결국에는 밀폐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미세하게 공기가 유입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뚜껑의 테두리에 패킹을 장착하고, 그 패킹을 승,하강되는 가압판에 의하여 눌러서 패킹이 경사지게 눌려지면서 용기의 내벽에 가압되면서 밀폐토록 한 것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것의 문제가 단순히 버튼을 누르는 구조에 의하여 가압판이 승,하강되면서 패킹이 가압되는 구조이므로 용기 내부의 진공 또는 진공의 해제상태를 사용자가 명확하게 인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패킹의 밀폐 정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버튼작동을 위한 가압판의 승,하강 작동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 및 조립에 어려움이 있고, 특히 제품의 분해조립이 어려워서 장기간 사용시에도 사용자가 뚜껑을 쉽게 분해할 수 없으므로 뚜껑을 세척하지 못하고 비위생적으로 사용하는 등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단순작동으로 패킹에 가압력을 발생시켜 밀폐용기의 공기차단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이러한 공기차단의 정도를 육안으로 사용자가 쉽고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밀폐용기의 진공정도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패킹의 가압을 위한 가압판의 승,하강 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생산비를 절감하면서도 제품의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분해조립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뚜껑의 상,하측으로 각각 회전체와 작동대가 결합되도록 하면서 회전체와 작동대가 나선결합되어 회전체의 회전 조임에 의하여 작동대가 상,하로 승,하강되도록 하고, 상기 작동대의 외주면에는 패킹을 결합하여 패킹의 하부가 작동대의 받침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패킹의 상부가 뚜껑본체의 외주면에 눌림되어져 작동대의 승,하강에 따라 패킹의 눌림 상태가 가변되어지며 용기본체의 내벽에 가압고정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외주면에 요철면으로 이루어진 널링부를 형성하고 뚜껑본체의 테두리벽에는 돌출살을 형성하여 회전체가 임의회동 되지 않으면서도 회전체를 회전시키면 널링부와 돌출살이 마찰되며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하단에는 스토퍼를 형성하여 뚜껑본체의 걸림턱에 걸림되어지면서 회전체가 설정된 반경 안에서만 회동되면서도 뚜껑본체의 상면에 표시눈금을 형성하여 패킹의 가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뚜껑에 결합되어진 회전체를 조임에 따라 패킹의 눌림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패킹의 가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의 종류나 필요에 따라 뚜껑과 용기본체와의 결합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회전체의 회동시 소리가 발생되고 동시에 뚜껑본체 상단에 형성된 표시눈금에 의하여 조임의 정도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각 및 청각으로 밀폐용기의 진공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패킹과 용기본체가 긴밀히 밀폐되어 완벽하게 공기차단을 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음식물을 보관할 경우에도 공기가 용기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안전하게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고, 장기간 반복 사용시에도 용기본체 및 뚜껑의 형태변형이 발생치 않으므로 외관 디자인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공기차단을 위한 작동구조 및 뚜껑의 조립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단가를 낮추면서도 적은 비용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누구나 쉽게 분해조립할 수 있으므로 사용 중에 분해하여 세척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밀폐용기를 장기간 사용시에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a는 도 1의 회전체와 작동대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도 1의 뚜껑본체와 회전체의 삽입구조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패킹의 가압구조를 나타낸 작동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체의 회전반경 범위를 나타낸 평면도
도 4a는 뚜껑의 잠김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뚜껑의 열림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패킹의 가압구조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작동대와 패킹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뚜껑(1)의 외주면에 패킹(2)이 결합되어 용기본체(3)를 닫으면 패킹(2)이 용기본체(3)의 내벽에 밀착되어 공기를 차단하면서 밀폐용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는 것으로, 상기 뚜껑(1)의 구조는 뚜껑본체(10)의 상측으로 회전체(20)가 결합되고, 상기 뚜껑본체(10)의 하측으로는 패킹(2)이 결합된 작동대(30)가 회전체(20)에 결합되어지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회전체(20)와 작동대(30)는 각각 나사산(20a,30a)이 형성되어 나선결합되어지는 것이고, 회전체(20)가 뚜껑본체(10)에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회전체(20)의 손잡이(21)를 돌리면 작동대(30)가 승,하강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체(20)는 작동대(30)와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뚜껑본체(10)로부터 상,하 유동이 방지되면서 회전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뚜껑본체(10)의 상측에 내입형성된 수용부(13)를 형성하여 그 수용부(13)에 회전체(20)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수용부(13)의 하단에는 받침턱(13a)을 형성하여 회전체(20)가 수용부(13)에 끼움되어진 상태에서 작동대(30)와 결합되어 회전체(20)가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20)는 하단에 스토퍼(24)를 형성하고 뚜껑본체(10)의 받침턱(13a)에는 걸림턱(14)을 형성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20)의 스토퍼(24)가 걸림턱(14)에 의하여 회전반경이 제한되면서 설정된 범위 안에서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동시에 회전체(20)와 작동대(30)가 무리하게 조임되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자가 조임의 완료상태, 즉 공기차단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대(30)는 작동대(30)의 상측에 결합되어지는 뚜껑본체(10)의 테두리벽(11)과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연장받침면(31)을 형성하여 테두리벽(11)과 연장받침면(31)의 사이에 이격공간(32)을 형성하고, 그 이격공간(32)에 패킹(2)을 끼움한 것이다.
따라서 회전체(20)의 상측에 형성된 손잡이(21)를 잡고 회전체(2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20)에 결합되어진 작동대(30)가 나선결합되어진 상태이므로 작동대(30)가 상,하로 승,하강하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작동대(30)가 상측으로 견인되어 올라가게 되므로 패킹(2)의 하단부가 연장받침면(31)에 지지된 상태에서 패킹(2)의 상단부가 테두리벽(11)에 눌려지면서 패킹(2)이 외측으로 벌어짐되면서 용기본체(3)의 내벽을 가압하게 되어 완벽한 공기차단상태를 만들게 되고, 반면 회전체(20)의 손잡이를 잡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대(30)가 하강하면서 패킹(2)의 눌림 상태가 해제되어 패킹(2)의 형태가 원형으로 복구되고, 이에 따라 패킹(2)이 용기본체(3)와 밀폐된 상태에서 떨어지면서 공기차단 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회전체(20)를 돌려 잠그거나 풀어서 패킹(2)의 누름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작동대(30)가 승,하강되며 패킹(2)의 누름 상태를 조절하여 용기본체(3)와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의 보관시나 뚜껑(1)의 개방이 필요한 경우 밀폐용기의 공기차단 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또한 회전체(20)이 회전된 정도에 따라 패킹(2)이 용기본체(3)에 밀착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의 종류나 보관기간에 따라 공기차단 정도를 조절하거나, 패킹(2)을 적정수준으로 눌려진 상태를 유지시켜 밀폐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면서도 간편하게 뚜껑을 개폐시키도록 하는 등의 사용자 여건에 따라 공기차단 정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20)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토퍼(24)가 걸림턱(14)에 걸릴 때까지 풀면 패킹(2)이 장착된 작동대(30)가 용기본체(10)에 삽입되어있던 상태에서 용기본체(10)의 하측으로 하강되어 용기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용기본체(10)와 회전체(20)를 고정시키고 작동대(30)를 돌리면 작동대(30)가 회전체(20)로부터 분해되면서 뚜껑(1) 전체를 분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본체(10)와 회전체(20)의 상면에는 각각 표시눈금(15)과 표시침(25)을 형성하면 표시침(25)의 위치에 따라 패킹의 가압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표시침(25)의 위치에 맞추어 패킹(2)의 가압상태를 조절할 수 있으며 뚜껑(1)의 분해가 필요한 경우에는 표시침(25)을 분해위치의 표시눈금(15)까지 돌린 후 뚜껑본체(10)와 회전체(20), 작동대를 분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회전체(20)의 외주면에는 요철면으로 이루어진 널링부(22)를 형성하면서 수용부(13)의 내주면에는 이에 맞물리도록 돌출살(12)을 형성하면 널링부(22)가 돌출살(12)에 걸림되어 회전체(20)가 임의회동 되지 않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회전체(20)의 조임이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차단상태를 견고하게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체(20)를 회전시킬 때 널링부(22)와 돌출살(12)이 마찰되면서 마찰음이 발생되어 회전체(20)를 작동시키는 사용자가 청각적으로도 잠금이나 해제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돌출살(12)은 수용부(13)의 내경 중 어느 일측에 한 개만 형성하거나, 또는 복수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용부(13)의 내주면에 세 개 또는 네 개를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회전체(20)의 회전시 어느 일방향으로 편심되지 않으면서 회전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돌출살(12)이 형성된 양측으로 절개부(12a)를 형성하면 돌출살(12)의 상측이 지지된 상태에서 돌출살(12)이 내외측으로 탄성 작동되면서 회전체(2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패킹(2)이 용기본체(3)의 내벽에 밀착되면 작동대(30)의 임의 회동이 방지되지만, 이를 더 정확하게 수직으로 승,하강시키도록 하기 위해서는 회전체(20)와 작동대(30)에 또는 뚜껑본체(10)와 작동대(30)간에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수직바를 형성하면 작동대(30)가 상,하로만 강제되면서 작동대(30)의 임의회동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직바의 구조는 본 발명에서는 도면으로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뚜껑본체(10)와 회전체(20), 또는 작동대(30)의 어느 일측에 상,하 수직으로 홈을 형성하면서 타측에는 그 홈에 끼워지도록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하 수직이동만 가능토록 하거나, 또는 어느 일측에 원형실린더를 형성하면서 타측에는 돌출봉을 형성하여 돌출봉이 원형실린더에 끼워진 상태에서 좌,우로 임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하 수직으로만 강제로 승하강토록 되는 다양한 공지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패킹(2)의 형태는 도 5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2)의 단면이 면체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2a)의 단면이 중앙이 관통되어진 관형태로 이루어져 눌림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패킹(2)의 단면을 면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패킹(2)의 외측 단부가 상측으로 만곡되어지도록 형성하여 패킹(2)의 하단부가 연장받침면(31)으로부터 뜬 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패킹(2)의 외주면은 연장받침면(31)의 외주면보다 더욱 회측으로 돌출되어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작동대(30)를 상측으로 견인하면 패킹(2)의 상면이 뚜껑본체(10)의 테두리벽(11)에 눌림되면서 패킹이 벌어지게 되는 것이고, 패킹이 벌어지는 힘에 의하여 패킹(2)의 단부가 용기본체(3)의 내벽에 밀착되어지며 공기를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패킹(2)의 원활한 누름을 위해서는 패킹의 단면 상,하 폭을 외측으로 갈수록 미세하게 얇게 형성하면 패킹(2)의 누름이 용이하면서도 테두리측이 더욱 신축성 있게 휘어지면서 용기본체(3)의 내벽에 넓은 면적으로 밀착되어져 공기차단을 더욱 완벽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패킹(2a)의 단면을 관 형태로 형성하면 작동대(30)의 승,하강작동에 따라 패킹(2a)이 뚜껑본체(10)의 테두리벽(11) 하단에 가압되면서 패킹(2a)이 연장받침면(31)의 외주면보다 더욱 외측으로 돌출되어지게 눌림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패킹(2a)이 용기본체(3)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공기차단을 완벽하게 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대(30)는 연장받침면(31)의 상측에 안착홈(33)을 형성하면 패킹(2)이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패킹(2)의 가압시 움직임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임의 이탈을 방지하여 패킹(2)이 뚜껑본체(10)의 테두리벽(11) 하단에 정교하게 눌림되어지도록 하여 패킹(2)이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으면서 패킹(2) 전체가 균일한 힘으로 눌려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본체(10)는 상단 중앙부가 하측으로 단차지게 내입되어진 함몰부(16)를 형성하여 밀폐용기를 다층으로 적층 보관할 경우에 용기본체(3)의 하단이 함몰부(16)에 적층되며 밀폐용기를 다단으로 보관가능하면서 적층된 상태에서의 유동을 방지토록 되는 것이다.
1: 뚜껑 2,2a: 패킹
3: 용기본체
10: 뚜껑본체 11: 테두리벽
12: 돌출살 12a: 절개부
13: 수용부 13a: 받침턱
14: 걸림턱 15: 표시눈금
16: 함몰부
20: 회전체 20a: 나사산
21: 손잡이 22: 널링부
24: 스토퍼 25: 표시침
30: 작동대 30a: 나사산
31: 연장받침면 32: 이격공간
33: 안착홈

Claims (9)

  1. 삭제
  2. 용기본체(3)의 내벽에 밀착되게 뚜껑(1)의 외주면에 패킹(2)이 결합되어 밀폐토록 되는 밀폐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1)은 뚜껑본체(10)의 상측으로 손잡이(21)가 형성된 회전체(20)가 결합되고,
    뚜껑본체(10)의 하측으로는 패킹(2)이 결합되어진 작동대(30)가 뚜껑본체(10)에 형성된 테두리벽(11)의 직하방에 패킹(2)이 위치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체(20)와 작동대(30)는 나선결합되어 회전체(20)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작동대(30)가 승,하강되며 패킹(2)의 누름 상태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회전체(20)는 뚜껑본체(10)의 상측에 내입 형성된 수용부(13)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체(20)의 외주면에는 요철면으로 이루어진 널링부(22)가 형성되면서 수용부(13)의 내주면에 돌출살(12)이 형성되어 널링부(22)가 돌출살(12)에 걸려 회전체(20)가 임의회동 되지 않으면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마찰음이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는 하단에 스토퍼(24)가 형성되면서 뚜껑본체(10)의 하단에는 걸림턱(14)이 형성되어 회전체(20)의 회전반경이 제어되고, 상기 뚜껑본체(10)와 회전체(20)의 상면에는 각각 표시눈금(15)과 표시침(25)이 형성되어 표시침(25)의 위치에 따라 패킹의 가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대(30)는 외주면에 연장받침면(31)이 형성되어 상측에 결합되어지는 뚜껑본체(10)의 테두리벽(11)과 수직으로 위치하면서 이격공간(32)을 갖도록 되고, 그 이격공간(32)에 패킹(2)이 끼움되어 연장받침면(31)이 패킹(2)의 하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작동대(30)의 승,하강에 따라 패킹(2)의 상단부가 테두리벽(11)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패킹(2)이 외측으로 벌어짐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2)은 오링의 형태를 가지면서 패킹(2)의 단면이 면체로 이루어지고, 그 외측 단부가 상측으로 만곡되어져 패킹(2)의 하단부가 연장받침면(31)으로부터 뜬 상태를 유지토록 되며, 작동대(30)의 승,하강작동에 따라 패킹(2)의 상면이 뚜껑본체(10)의 테두리벽(11)에 눌림되면서 패킹(2)이 연장받침면(31)의 외주면보다 더욱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벌어짐 되어 밀폐용기의 공기차단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2)은 오링의 형태를 가지면서 패킹(2)의 단면이 중앙이 관통되어진 관형태로 이루어져 작동대(30)의 승,하강작동에 따라 뚜껑본체(10)의 테두리벽(11) 하단에 가압되면서 패킹(2)이 연장받침면(31)의 외주면보다 더욱 외측으로 돌출되어지게 눌림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2)은 단면의 두께가 외측으로 점차 얇은 두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대(30)는 연장받침면(31)의 상측에 안착홈(33)이 형성되어 패킹(2)이 삽입고정되고, 임의 이탈을 방지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9. 삭제
KR1020100084670A 2010-08-31 2010-08-31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KR101214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670A KR101214817B1 (ko) 2010-08-31 2010-08-31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670A KR101214817B1 (ko) 2010-08-31 2010-08-31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814A KR20120020814A (ko) 2012-03-08
KR101214817B1 true KR101214817B1 (ko) 2012-12-24

Family

ID=46129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670A KR101214817B1 (ko) 2010-08-31 2010-08-31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8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831B1 (ko) 2013-10-07 2015-02-26 김수 보존성 향상을 위한 밥솥용 누름 판
CN106904367A (zh) * 2017-05-04 2017-06-30 刘子青 一种智能环保包裹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542B1 (ko) * 2012-07-19 2014-04-11 박종진 내측 벽면 접촉식 밀폐 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103287704B (zh) * 2013-05-23 2015-07-29 江苏华兰药用新材料股份有限公司 自带开启装置的密封瓶盖
TWM531237U (zh) * 2016-07-05 2016-11-01 鑫宏益科技有限公司 密封保鮮容器
KR101726702B1 (ko) 2016-09-23 2017-05-08 (주)네오플램 밀폐용기 커버
KR102055743B1 (ko) * 2018-02-14 2019-12-13 (주)네오플램 착탈 및 내용물 확인이 용이한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
KR102148945B1 (ko) * 2018-05-17 2020-08-28 윤종병 밀폐용기 뚜껑
KR20210053646A (ko) * 2019-11-04 202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831B1 (ko) 2013-10-07 2015-02-26 김수 보존성 향상을 위한 밥솥용 누름 판
CN106904367A (zh) * 2017-05-04 2017-06-30 刘子青 一种智能环保包裹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814A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817B1 (ko)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USD996902S1 (en) Container with a lid
US9359114B2 (en) Detachable sealable li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and sealing ring for use with the lid
US8029265B2 (en) Burger press
USD943155S1 (en) Vaporizer device with lid
KR101240577B1 (ko) 원터치로 패킹의 공기차단 상태를 제어하는 밀폐용기 뚜껑
KR20100078576A (ko) 진공용기 뚜껑과 이를 위한 체크밸브 및 패킹
USD937640S1 (en) Container
KR20140076018A (ko) 용기 본체와 덮개로 구성된 식품진공보관용기
USD859066S1 (en) Lid for container
KR20140011738A (ko) 내측 벽면 접촉식 밀폐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850381B1 (ko) 체크밸브
US20220315285A1 (en) Container
KR200472089Y1 (ko) 밀폐용기
KR101445641B1 (ko) 내부압력 배출과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200466582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용 누름판의 쏠림 방지구조
KR101850856B1 (ko)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US20180201428A1 (en) Object Retention and Storage System
KR101863201B1 (ko) 진공 텀블러
USD955737S1 (en) Rolling cane
KR200473692Y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101763015B1 (ko) 화장품 용기
KR101801634B1 (ko) 밀폐기능이 향상된 밀폐용기
USD962787S1 (en) Refillable creme jar
KR102134535B1 (ko) 기능성 누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