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646A -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 Google Patents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646A
KR20210053646A KR1020190139508A KR20190139508A KR20210053646A KR 20210053646 A KR20210053646 A KR 20210053646A KR 1020190139508 A KR1020190139508 A KR 1020190139508A KR 20190139508 A KR20190139508 A KR 20190139508A KR 20210053646 A KR20210053646 A KR 20210053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hole
auxiliary li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우
이종호
강기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9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3646A/ko
Priority to CN202080060337.5A priority patent/CN114302660B/zh
Priority to PCT/KR2020/010900 priority patent/WO2021091055A1/ko
Priority to US17/036,156 priority patent/US12096887B2/en
Priority to EP20204046.5A priority patent/EP3815590B1/en
Publication of KR2021005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식품을 분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모듈; 및 상기 용기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며,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관통구가 형성되는 메인 뚜껑; 및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는 보조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뚜껑과 관통구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에어 벤트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 벤트의 입구와 출구는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수직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 A blender and container thereof }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렌더는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용기에 수용된 식품을 잘게 자르거나, 가루로 분쇄하거나 액체와 같은 상태로 만드는 가전기기로서 통상 믹서기로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인 블렌더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의 상면에 용기가 안착되고, 용기의 안착시 용기 내부의 블레이드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용기에 식품을 넣은 후 상기 본체를 조작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되어 식품을 분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렌더는 최근 용기의 크기가 큰 대용량의 블렌더로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식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도록 초고속으로 회전되는 모터를 이용한 블렌더가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렌더는 다양한 식품의 분쇄 작업이 용이하도록 다양한 조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미국등록특허 10051998호에는 뚜껑에 의해 개구된 상면이 차폐되는 블렌더의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은 용기의 상단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뚜껑이 쉽게 벗겨지거나 용기 내부의 식품이 비산되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의 중앙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개구는 탈착 가능한 캡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뚜껑을 열지 않고 상기 캡을 개방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에 식품을 추가하거나 조취를 취할 수 있다. 상기 탭은 상기 뚜껑의 개구를 완전히 차폐하여 용기 내부의 음식물이 밖으로 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 및 캡에 의해 상기 용기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차폐되는 경우에는 고속으로 회전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용기 내부의 식품들이 분쇄 과정에서 비산되거나 압력에 의해 뚜껑 또는 캡이 개방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뚜껑의 임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구속 구조가 필요하게 되며, 구속 구조의 개폐로 사용이 번거롭게 되고, 외관이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뚜껑의 탈착이 용이하며,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용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뚜껑이 임의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용기 내부의 공기의 배출은 용이하게 하면서 내부의 식품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 용기는,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식품을 분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모듈; 및 상기 용기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며,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관통구가 형성되는 메인 뚜껑; 및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는 보조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뚜껑과 관통구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에어 벤트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 벤트의 입구와 출구는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수직 연장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보조 뚜껑은, 상기 보조 뚜껑의 둘레면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보조 뚜껑의 삽입시 상기 관통구의 내측면과 접하는 기밀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 벤트는 상기 기밀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는 상기 보조 뚜껑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상기 기밀부의 상방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에어 벤트를 지나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 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챔버의 상방에는 상기 보조 뚜껑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조 뚜껑 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조 뚜껑의 삽입시 상기 보조 뚜껑 리브가 안착되는 관통구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뚜껑 리브에는 상기 에어 챔버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벤트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트 홀은 상기 에어 벤트와 다른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는, 상기 용기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방으로 개구된 입구를 포함하는 입구부; 상기 입구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으로 개구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출구부; 상기 입구부와 출구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부와 출구부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입구부의 상단과 출구부의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보조 뚜껑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의 상방에는 상기 기밀부의 상단과 이격되며, 상기 보조 뚜껑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관통구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보조 뚜껑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뚜껑 리브에는 상기 출구부와 엇갈린 위치에 개구되어 상기 출구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벤트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는 마주보는 위치에 한쌍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벤트 홀은 상기 에어 벤트의 위치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뚜껑은, 상기 메인 뚜껑의 상부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구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어퍼 바디; 상기 어퍼 바디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뚜껑의 하부 형상을 형성하는 로어 바디; 및 상기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의 사이에 구비되며, 외측으로 둘출되어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는 회전에 의해 상기 로어 바디를 기준으로 상하 이동되며, 상기 어퍼 바디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스켓은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의 둘레에는 상기 어퍼 바디의 회전시 상기 어퍼 바디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의 내측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뚜껑의 외측면에는 상기 보조 뚜껑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되며, 상기 회전 돌기가 삽입되도록 함몰되는 회전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홈의 상방에는 상기 보조 뚜껑의 둘레를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되응 보조 뚜껑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뚜껑이 상기 관통구에 삽입될 때 상기 보조 뚜껑 리브는 상기 관통구의 단차지게 형성된 관통구 안착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홈과 대응하는 상방의 상기 보조 뚜껑 리브에는 상기 에어 벤트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위한 벤트 홀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벤트 홀은 상기 에어 벤트와 서로 다른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모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바닥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용기 장착시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블레이드 모듈; 상기 용기의 개구된 상면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메인 뚜껑; 및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는 보조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뚜껑과 관통구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에어 벤트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 벤트의 입구와 출구는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수직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블렌더의 용기를 개폐하는 뚜껑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는 보조 뚜껑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뚜껑을 통해서 사용자는 용기 내부로 식품을 추가하거나 용기 내부의 상태 확인 식품의 재정렬 등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뚜껑의 회전 조작을 통해서 상기 가스켓을 선택적으로 돌출시켜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상기 뚜껑을 밀착 고정 시킬 수도 있고, 이격시켜 분리가 용이하게 할 수도 있는 등 상기 뚜껑의 개폐 사용상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뚜껑의 둘레는 상기 용기와 기밀된 상태라 하더라도, 상기 보조 뚜껑과 상기 메인 뚜껑의 사이에 에어 벤트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가 상기 보조 뚜껑과 관통구 사이로 출입될 수 있게 되어 상기 블레이드 어셈블리가 고속 회전되는 상태에서도 상기 용기 내부가 안정화되고 식품의 분쇄 및 가공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보조 뚜껑의 둘레와 상기 관통구 일부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벤트 홀의 노출은 최소화하면서도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벤트는 다수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에어 벤트를 통해서 공기의 유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내부의 식품들이 역류하여 에어 벤트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벤트와 벤트 홀의 사이는 서로 떨어진 상태가 되어 설사 일부의 식품이 상기 에어 벤트를 통과하였다 하더라도 상기 벤트 홀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에어 챔버 내부에서 다시 용기측으로 흘러내리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 출입은 원활하게 하면서도 식품이 넘치거나 배출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외관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 내부의 압력이 높아질 수 있는 상황에서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에어 벤트와 벤트 홀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용기 뚜껑이 압력에 의해 임의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7-7'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뚜껑을 구성하는 메인 뚜껑으로부터 보조 뚜껑이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11-11'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부 확대도 이다.
도 13은 상기 뚜껑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8의 14-14' 부분 절개 단면도에서, 용기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8의 14-14' 부분 절개 단면도에서, 용기 내부의 식품이 유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먼저 방향을 정의한다. 노브(40)가 형성되는 위치를 전면 또는 전방이라 하고, 리어 플레이트(도 3에서 34)가 배치되는 부분을 후면 또는 후방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본체(30)의 바닥의 위치를 하면 또는 하방이라 하고, 용기(container, 10)의 상단의 위치를 상면 또는 상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브(40)를 기준으로 좌측을 좌측면 또는 좌측방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노브(40)를 기준으로 우측을 우측면 또는 우측방이라 정의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1)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모터 어셈블리(50) 및 피시비 모듈(60)을 비롯한 전기 장치와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40,310b)와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1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10)가 안착되기 위한 용기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상기 용기(10)가 상하 방향으로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외관은 아우터 케이스(3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내부에는 이너 케이스(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피시비 모듈(60) 등이 장착되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내부 및 전체적인 구조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외측에 아우터 케이스(31)가 장착되어 상기 본체(3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되어 상기 본체(30)의 내부 및 외부의 구성들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의 소재가 절곡 및 접합되어 매우 깔끔하고 견고한 외관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블렌더(1)의 조작을 설정하기 위한 노브(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브(40)는 상기 본체(30)의 전면에서 돌출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 및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하면에는 바텀 커버(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및 이너 케이스(32)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렌더(1)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및 이너 케이스(32)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30)의 내부와 외부로 냉각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커버 흡입구(744)와 커버 토출구(74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상태를 가시화시키기 위한 표시부(310a)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표시부(31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7 세그먼트(seven-segment display)와 같은 형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블렌더(1) 동작의 시작 또는 정지를 조작할 수 있는 터치 조작부(31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렌더(1)의 조작을 위해 상기 조작부(40,310b)는 상기 노브(40)와 터치 모듈(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상면에는 상면 개구(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개구(311)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같거나 다소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와 아우터 케이스(31)의 결합시 상기 용기 안착부(301)를 형성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부가 상기 상면 개구(311)를 관통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본체(30)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일부가 상기 용기(10)의 하면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상기 용기(10)가 안착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상기 용기(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 모듈(14)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한 소재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관과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상하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 1 안착부(324)와 상기 제 2 안착부(3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부(325)는 상기 제 1 안착부(324)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부(325)는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용기 결합부(103)가 수용될 수 있는 삽입 공간(32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공간(325a)의 내측면에는 결합 지지부(325b) 및 용기 결합 홈(325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지지부(325b)는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내측 둘레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장착시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외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지지부(325b)는 다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결합 지지부(325b)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되면,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에 의해 정렬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 지지부(325b)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에서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는 장착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으며 안정적인 동작이 보장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 하방의 상기 본체(30) 내부에는 모터 어셈블리(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용기(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고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노브(40)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상단은 상기 용기(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단에는 쿨링 팬(5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구동시 상기 블레이드 모듈(14)과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본체(30) 내부의 냉각 공기의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3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벽면에는 다수의 피시비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의 내측면 둘레 즉,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양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구된 하면은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에는 상기 쿨링 팬(55)에 의해 흡입된 냉각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기 위한 에어 가이드(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 바텀 커버(74)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 상기 바텀 커버(74)의 사이에는 무선 전력 모듈(7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은 유도 기전력을 이용한 무선 방식으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용기(10)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대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유리 또는 유리와 같이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용기(10)는 투명하면서도 충격에 강하고 흠집이 잘 나지 않는 트라이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내측 하면의 중앙에 블레이드 모듈(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은 다수의 블레이드(141)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본체(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가 구동되면, 상기 블레이드(141)는 회전되어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을 분쇄 또는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내부에는 회전되는 식품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이너 가이드(121)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121)는 상기 용기(10)의 내측면 하단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장착시 상기 뚜껑(20)의 하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10)의 상단에는 분쇄된 식품을 따를 수 있는 주둥이(111,spout)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주둥이(111)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손잡이(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는 상기 용기(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용기(10)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13)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본체(30)의 측단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는 뚜껑(2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뚜껑(20) 중앙의 보조 뚜겅(21)을 잡고 상기 뚜껑(20)을 상기 용기(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기 용기(10) 상면을 차폐하는 메인 뚜껑(27)과, 상기 메인 뚜껑(27) 중앙의 보조 뚜껑(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의 둘레를 따라 뚜껑 가스켓(24)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용기(1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용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의 7-7'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용기(10)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하면에는 블레이드 모듈(14)이 장착되고,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는 상기 뚜껑(2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중 내부의 식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트라이탄, 투명 플라스틱과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는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식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컨테이너(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와 아우터 컨테이너(11)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용기(1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용기(10)가 이중 벽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너 컨테이너(12)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이격되어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이너 컨테이너(12)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하부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을 향하여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용기(10)의 내부 식품이 상기 블레이드 모듈(14)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상단은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경사면(122)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 상기 뚜껑(2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와 점진적으로 보다 밀착되면서 기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 상단의 경사면은 상기 용기(10)의 상단에서 이너 가이드(121)의 상단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너 가이드(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121)는 상기 경사면(122)에서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바닥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는 상단과 하단의 외경이 같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10)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외경은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1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30)와 상기 용기(10)가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면에는 본체 수용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제 2 안착부(325)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와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결합에 의해 상기 용기(10)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면 중앙에는 블레이드 모듈(14)이 장착되는 용기 결합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내측면과 상기 본체 수용부(102)의 내측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용기(10)의 바닥면 중앙을 중심으로 하며,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형상으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상기 용기(10)의 중앙에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내부는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안착될 때 상기 용기 안착부(301) 내측과 서로 형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하면 둘레에는 하단 지지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 지지부(104)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둘레와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단 지지부(104)와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사이에 상기 본체 수용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는 내측에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하단 지지부(104)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의 하단 둘레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 지지부(104)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가 절곡되는 형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 지지부(104)의 하단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진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단 지지부(104)의 외측면은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10)와 상기 본체(30)는 일체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단 지지부(104)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본체(30)에 완전히 장착되기 전에 상기 용기 결합부(103)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10)가 분리된 상태에서 바닥에 놓여지게 될 때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단 지지부(104)가 바닥에 접하여 상기 용기(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단 지지부(104)에는 에어 벤트(10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104a)는 상기 용기(10)와 안착부(301)가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때 상기 용기(10)의 하면과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상면 사이의 공기가 출입되는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용기(10)가 용이하게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 및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10)의 하면에는 중앙에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은 상기 용기(10) 내부 공간(101)에 수용된 식품을 분쇄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블레이드(141)와, 블레이드 샤프트(142),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41)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개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를 축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41)는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블레이드(141)의 연장 방향과 절곡 각도 및 형상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양한 식품의 분쇄, 절단 및 식품을 가루로 만들거나 액체와 같이 상태로 만드는데 모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상의 블레이드(141)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는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을 구성하는 베어링(143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143a)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는 상기 용기(1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의 상단에는 상기 블레이드(141)의 분리를 방지하고, 상기 블레이드(141)가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블레이드 구속부재(142a)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의 하단에는 블레이드측 연결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는 상기 용기(10)의 바닥면 중앙에서 노출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될 때에 모터측 연결부(54)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내측에는 마운팅 커버(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커버(15)는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될 때, 상기 모터측 연결부(54)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151)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마운팅 커버(15)의 중앙은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가 관통되도록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 커버(15)의 하면 중앙을 통해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가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의 둘레와 대응되는 상기 마운팅 커버(15)의 중앙부는 함몰되어 상기 모터측 연결부(54)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모터측 연결부(54)와 블레이드측 연결부(144)는 서로 간섭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으며,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의 둘레면과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메인 뚜껑(27)과, 상기 메인 뚜껑(27) 중앙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보조 뚜껑(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의 둘레에는 상기 용기(10)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용기(10) 내부를 기밀시키는 뚜껑 가스켓(24)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20)이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 가스켓(24)은 상기 용기의 경사면(122)과 접하면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 가스켓(24)은 상기 용기(10)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어 상기 뚜껑(20)이 상기 용기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뚜껑(2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뚜껑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뚜껑을 구성하는 메인 뚜껑으로부터 보조 뚜껑이 분리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8의 11-11'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11의 A부 확대도 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뚜껑(20)은 전체적으로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10)의 상단과 상기 용기(10)의 상면은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메인 뚜껑(27)과 보조 뚜껑(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뚜껑(27)은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실질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뚜껑(21)은 상기 메인 뚜껑(27)을 관통하는 관통구(223)를 개폐하는 것으로 캡 또는 마개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메인 뚜껑(27)에 의해 상기 용기(10) 상면이 차폐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보조 뚜껑(21)을 분리하여 상기 관통구(223)를 차폐하고, 상기 용기(10)의 내부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뚜껑(27)은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뚜껑(27)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 뚜껑(27)의 내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뚜껑(27)의 중앙에는 관통구(2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223)는 상기 메인 뚜껑(27)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도록 상기 관통구(223)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뚜껑(21)은 상기 메인 뚜껑(27)의 중앙의 상기 관통구(22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보조 뚜껑(21)을 잡고 상기 메인 뚜껑(27)을 개폐하는 조작을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뚜껑(27)은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어퍼 바디(22)와, 상기 어퍼 바디(22)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뚜껑(2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로어 바디(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뚜껑(27)은, 상기 뚜껑(20)의 둘레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 플레이트(26)와, 상기 뚜껑(20)과 상기 용기(10)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가스켓(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어퍼 바디(22)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며, 중앙에 상기 관통구(223)가 개구되는 탑 플레이트(221)와, 상기 관통구(223)의 내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어퍼 이너(226)와, 상기 탑 플레이트(221)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어퍼 아우터(2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플레이트(221)는 상기 메인 뚜껑(27)의 상면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뚜껑(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관의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이너(226)는 상기 탑 플레이트(221)로부터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이너(226)의 상단 즉, 상기 관통구(223)의 상단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뚜껑 리브(213)가 안착될 수 있도록 관통구 안착부(227)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이너(226)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회전 돌기(2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돌기(224)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어퍼 이너(226)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돌기(224)는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 뚜껑(21)의 회전 홈(215)에 삽입 가능한 형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돌기(224)에는 내측으로 더 돌출된 뚜껑 구속부(224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 구속부(224a)는 상기 회전 홈(215)의 내측에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보조 뚜껑(21)을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될 때 상기 뚜껑 구속부(224a)가 상기 회전 홈(215)의 내측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메인 뚜껑(27)이 함께 들어 올려질 수 있다. 물론,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으로 상기 보조 뚜껑(21)을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회전 돌기(224)는 상기 회전 홈(215)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메인 뚜껑(27)과 보조 뚜껑(21)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돌기(224)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돌기(224)는 상기 회전 홈(215)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뚜껑(21)이 상기 관통구(223)에 장착될 때 상기 회전 홈(215)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이너(226)는 상기 로어 바디(23)의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이너(226)의 하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이너 하단부(2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하단부(228)는 내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뚜껑(21)의 하부 둘레에 형성된 기밀부(216)의 경사진 면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뚜껑(21)과 상기 메인 뚜껑(27)의 사이가 서로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의 동작시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이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어퍼 이너(226)의 내측에는 상기 어퍼 바디(22)의 회전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승강 가이드부(238)를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 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어퍼 아우터(225)는 상기 탑 플레이트(221)의 외측단에서 다소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탑 플레이트(221)의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아우터(225)는 상기 탑 플레이트(221)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로어 바디(23)와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아우터(225)의 둘레에는 다수의 서포트 리브(2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리브(226)는 상기 어퍼 아우터(225)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어퍼 아우터(225)의 외측면에서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리브(226)는 상기 어퍼 아우터(225)에 장착되는 데코 플레이트(26)를 내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판으로 된 상기 데코 플레이트(26)가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서포트 리브(226)는 상기 탑 플레이트(221)의 외주면 보다 상기 데코 플레이트(26)의 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플레이트(26)는 상기 어퍼 아우터(225)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코 플레이트(26)는 상기 서포트 리브(226)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바디(22)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데코 플레이트(26)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판상으로 된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 플레이트(26)는 상기 어퍼 바디(22)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261)와 상기 측면부(261)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스켓(24)과 접하는 하면부(26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261)의 상단은 상기 탑 플레이트(221)의 외측단 하면에 형성된 어퍼 플레이트 홈(211a)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면부(262)의 외측단은 상기 어퍼 아우터(225)의 하단에 형성된 로어 플레이트 홈(225a)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코 플레이트(26)는 상기 어퍼 바디(22)의 둘레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어퍼 바디(22) 즉, 상기 메인 뚜껑(27)의 둘레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어퍼 바디(22)의 하단에는 가스켓 고정부재(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25)는 상기 어퍼 바디(22)의 하단 즉, 상기 어퍼 아우터(225)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24) 상단이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25)는 상기 어퍼 아우터(225)의 하단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아우터(225)의 하단에 단차지게 형성된 고정부재 장착부(225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25)는 상기 어퍼 아우터(225)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켓(24)이 장착된 상태의 가스켓 고정부재(25)는 상기 어퍼 바디(22)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어퍼 바디(22)가 회전 조작되면,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25)는 그대로 위치를 유지하고 어퍼 바디(22)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4)은 상기 뚜껑(20)의 둘레 하단에 배치되며,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4)은 중앙부(243)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돌출된 중앙부(243)가 상기 용기(10)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용기(10)와 뚜껑(20)의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4)은 중앙을 기준으로 가스켓 상부(241)와 가스켓 하부(2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상부(241)와 가스켓 하부(242)의 단부는 각각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상부(241)의 연장된 단부는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25)의 상부 고정홈(25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 하부(242)의 연장된 단부는 로어 바디(23)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고정홈(237)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바디(22) 또는 상기 로어 바디(23)가 상하 이동하게 됨에 따라서 상기 가스켓 상부(241)와 가스켓 하부(242)는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되며, 상기 가스켓(24)의 중앙부는 선택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로어 바디(23)가 가장 상방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켓(24)의 돌출된 중앙부(243)가 가장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때에는 상기 용기(10)의 내측면과 상기 가스켓(24)은 완전히 서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고 상기 뚜껑(20)이 상기 용기(10)로부터 분해되지 않도록 한다. 반면에, 상기 도 12의 상태에서 상기 어퍼 바디(22)가 회전하여 상기 로어 바디(23)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스켓(24)의 중앙부(243)는 상대적으로 덜 돌출되며, 이때에는 상기 용기(10)의 내측면과 상기 가스켓(24)은 서로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을 상기 용기(1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23)는 상기 어퍼 바디(22)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구(223)와 대응하는 중앙이 개구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바디(23)는 상기 어퍼 바디(22)의 함몰된 내측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로어 바디(23)는 상기 로어 바디(23)의 상면을 형성하는 로어 플레이트(231)와, 상기 로어 플레이트(231)의 내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로어 이너(232) 그리고, 상기 로어 플레이트(231)의 외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로어 아우터(2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플레이트(231)와 로어 이너(232) 및 로어 아우터(235)는 상기 어퍼 바디(22)의 탑 플레이트(221)와 어퍼 이너(226) 및 어퍼 아우터(225)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22)와 로어 바디(23)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플레이트(231)는 상기 탑 플레이트(221)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이너(232) 및 로어 아우터(235)는 상기 어퍼 이너(226) 및 어퍼 아우터(225)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이너(232)는 상기 로어 플레이트(231)의 내측단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어퍼 이너(226)와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이너(232)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이너 지지부(2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지지부(234)는 상기 로어 이너(232)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며, 상기 이너 하단부(228)가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어퍼 바디(22)가 가장 낮아진 위치에서 상기 이너 하단부(228)가 상기 이너 지지부(234)에 안착되어 더이상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로어 아우터(235)는 상기 로어 플레이트(231)의 외측단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아우터(235)는 상기 어퍼 아우터(225)와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어퍼 아우터(225)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아우터(235)의 연장된 단부에는 아우터 지지부(2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지지부(236)는 상기 로어 아우터(235)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25)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아우터 지지부(236)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25)의 외측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지지부(236)의 돌출된 단부에는 상기 가스켓 하부(242)가 삽입 고정되는 하부 고정홈(23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퍼 바디(22)와 로어 바디(23)가 가장 가까워진 상태, 즉, 상기 어퍼 바디(22)가 가장 낮은 위치에서는 상기 이너 지지부(234)는 상기 이너 하단부(228)를 하방에서 지지하고, 상기 아우터 지지부(236)는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25)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보조 뚜껑(21)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보조 뚜껑(21)은 상면을 형성하는 뚜껑 상면부(211)와 상기 뚜껑 상면부(2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뚜껑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 바디(210)는 상기 뚜껑 상면부(2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체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 바디(210)는 상기 관통구(223)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223)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뚜껑(21)에는 뚜껑 리브(2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 리브(213)는 상기 뚜껑 바디(210)의 둘레를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 리브(213)는 상기 보조 뚜껑(21)이 상기 관통구(223)에 삽입되어 닫힌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223)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 리브(213)는 상기 관통구(223)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 리브(213)에는 벤트 홀(2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트 홀(214)은 상기 뚜껑 리브(213)의 일부가 개구되며, 상기 보조 뚜껑(21)이 상기 관통구(2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223)의 내부와 연통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벤트 홀(214)은 상기 회전 홈(215)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홈(215)이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벤트 홀(214)은 상기 회전 홈과 대응하는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벤트 홀(214)은 상기 회전 홈(215)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벤트 홀(214)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벤트 홀(214)은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 리브(213)는 상기 보조 뚜껑(21)이 상기 관통구(223)에 삽입되면 상기 관통구 안착부(227)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뚜껑(21)은 상기 관통구(223)에 삽입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뚜껑(21)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뚜껑 리브(213)와 상기 메인 뚜껑(27)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이 뚜껑(20)의 상면으로 벤트 홀(214)이 노출되어 상기 용기(10)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추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뚜껑 리브(213)를 기준으로 상방에는 상기 뚜껑 바디(210)의 외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바디 상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 상부(212)는 상기 뚜껑 상면부(211)를 지지하며, 상기 보조 뚜껑(21)이 상기 관통구(223)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 리브(213)를 기준으로 하방에는 상기 뚜껑 바디(210)의 외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바디 하부(218)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 하부(218)는 상기 에어 챔버(218a)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뚜껑 리브(213)의 하방에는 에어 챔버(218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챔버(218a)는 상기 보조 뚜껑(21)과 상기 관통구(223)의 내측 벽면의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에어 벤트(217)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배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챔버(218a)는 상기 벤트 홀(214)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챔버(218a)는 상기 뚜껑 리브(213)와 기밀부(216)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뚜껑 바디(210)의 외부면을 따라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챔버(218a)의 하방 및 상기 뚜껑 바디(210)의 하단에는 기밀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216)는 상기 관통구(223)와 보조 뚜껑(21)의 사이를 1차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뚜껑 바디(210)의 둘레를 따라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뚜껑(21)이 장착되면, 상기 관통구(223)는 상기 기밀부(216)에 의해 1차적으로 차폐되고, 상기 뚜껑 리브(213)가 상기 관통구 안착부(227)에 의해 2차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216)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뚜껑(21)이 삽입 완료되면 상기 관통구(223) 내측면은 상기 기밀부(216)와 접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보조 뚜껑(21)이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기밀부(216)의 경사면은 상기 이너 하단부(228)의 단부의 접하게 된다.
한편, 상기 뚜껑 바디(210)의 외측면에는 상기 회전 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홈(215)은 상기 벤트 홀(214)의 중앙부에서 상기 뚜껑 바디(210)의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 바디(210)의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홈(215)은 상기 회전 돌기(224)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뚜껑 바디(210)의 장착시 상기 회전 홈(215)의 내측으로 상기 회전 돌기(224)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홈(215)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회전 홈(215)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홈(215)은 상기 에어 챔버(228a)를 지나 상기 기밀부(216)의 하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회전 돌기(224)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전 홈(215)의 내측에는 상기 뚜껑 구속부(224a)가 걸림 구속되는 홈 또는 돌기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뚜껑 바디(210)의 외측면에는 에어 벤트(2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217)는, 상기 용기(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기밀부(216)를 지나 상기 에어 챔버(218a)로 향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벤트(217)의 입구는 상기 기밀부(216)의 하단 즉, 상기 뚜껑 바디(210)의 하면에서 개구되며, 상기 에어 벤트(217)의 출구는 상기 기밀부(216)의 상단 즉, 상기 에어 챔버(218a)와 연결되는 면에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217)는 입구와 출구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어 벤트(217)의 입구과 출구는 서로 다른 수직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 벤트(217)의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및 비산되는 식품의 일부는 상기 에어 벤트(217)를 지나면서 유동 방향이 전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에어 벤트(217)는 상기 용기(10) 내부와 연통되는 입구부(217a), 상기 에어 챔버(218a)와 연통되는 출구부(217b) 및 상기 입구부(217a)와 출구부(217b)를 연결하는 연결부(217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부(217a)는 상기 뚜껑 바디(210)의 하단에서 개구되어 상기 입구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구부(217b)는 상기 에어 챔버(218a)와 연통되도록 개부되어 출구를 형성하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입구부(217a)와 출구부(217b)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216)의 중앙부(243)에는 상기 입구부(217a)의 상단과 출구부(217b)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217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7c)는 상기 입구부(217a) 및 출구부(217b)의 높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의 내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입구부(217a)와 연결부(217c) 및 출구부(217b)를 따라서 상기 에어 챔버(218a)의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의 동작시 상기 용기(10)의 내부에 비산되는 식품들이 상기 입구부(217a)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연결부(217c)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입구부(217a)로 유입된 식품 조각 또는 전체가 상기 출구부(217b)로 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벤트(217)는 상기 기밀부(216)상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 홈(215)과 떨어진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벤트(217)는 상기 벤트 홀(214)과도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 홈(215)과 상기 에어 벤트(217)는 각각 한쌍씩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상기 회전 홈(215)이 서로 반대 위치에 위치되고, 한쌍의 상기 에어 벤트(217)는 한쌍의 상기 회전 홈(215)과 상기 보조 뚜껑(21)의 중앙을 기준으로 설정 각도만큼 회전된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 벤트(217)를 통과하는 액체 또는 식품 조각이 벤트 홀(214)을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에어 벤트(217)의 개수와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벤트 홀(214)과 떨어진 위치에 다양하게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뚜껑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상기 뚜껑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뚜껑(20)은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뚜껑(21)은 상기 메인 뚜껑(27)의 관통구(223)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뚜껑 상면부(211)를 잡고 회전 조작하게 되면, 상기 메인 뚜껑(27)의 어퍼 바디(22)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22)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어퍼 바디(22)는 상기 로어 바디(23)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된다. 일 예로, 상기 뚜껑(20)을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 장착하거나, 상기 용기(10)에 장착된 상태의 뚜껑(2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어퍼 바디(22)는 상기 로어 바디(23)와 멀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22)와 로어 바디(23)가 서로 멀어지게 되면, 상기 가스켓(24)의 중앙부(243)는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며, 상기 용기(10)의 내측면과 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용기(10)의 개구에 상기 뚜껑(20)을 쉽게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에 뚜껑(20)이 장착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어퍼 바디(22)와 로어 바디(23)가 가까워지게 되면 상기 가스켓(24)의 중앙부(243)는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용기(10)의 내측 벽면과 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뚜껑(20)을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 삽입하고 닫은 상태에서 상기 보조 뚜껑(21)을 잡고 회전시켜 상기 가스켓(24)의 중앙부(243)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면 상기 용기(10)와 뚜껑(20)의 사이는 기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은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이 분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의 고속 회전에 의해서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들은 비산되면서 유동될 수 있으나, 상기 뚜껑(20)과 용기(10)는 밀폐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들이 새거나 넘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보조 뚜껑(21)은 상기 어퍼 바디(22)의 회전을 통한 상기 가스켓(24)의 밀폐 여부를 결장하는 것 외에도, 상기 보조 뚜껑(21)을 열어서 상기 용기(10)의 내부에 식품을 첨가하거나, 막대 등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을 재배치 또는 처리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뚜껑(21)이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용기(10)의 내부와 특정 경로를 통해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되, 내부의 공기는 배출될 수 있으면서도 내부의 식품이 밖으로 넘치거나 배출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뚜껑(21)을 통한 공기의 배출 및 식품의 배출 차단 작용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는 도 8의 14-14' 부분 절개 단면도에서, 용기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뚜껑(20)이 상기 용기(10)에 장착되고, 상기 보조 뚜껑(21)이 상기 관통구(223)를 차폐하도록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용기(10) 내부에서 식품들이 비산되면서 분쇄되거나 갈려지게 된다. 이때, 외부로의 공기 배출 또는 유입이 가능한 경우 상기 용기(10)의 내부는 적정 압력을 유지하게 되고 회전되는 식품들이 안정적으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서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들의 비산 정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르게 식품이 분쇄되거나 갈려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의 내부 공기는 상기 에어 벤트(217)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상기 에어 챔버(218a)를 향하게 되며, 상기 에어 챔버(218a)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벤트 홀(214)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벤트(217)의 굴곡진 형상과 상기 에어 벤트(217)와 벤트 홀(214)의 거리에도 불구하고 공기의 유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기의 외부 배출을 통해 상기 용기(10) 내부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10) 내부의 압력이 높아질 수 있는 상황에서 상기 용기(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에어 벤트(217)와 벤트 홀(214)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용기(10) 뚜껑이 압력에 의해 임의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될 때 외부의 공기가 상기 벤트 홀(214)과 에어 챔버(218a) 그리고 상기 에어 벤트(217)를 차례로 지나 상기 용기(10)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도 15는 도 8의 14-14' 부분 절개 단면도에서, 용기 내부의 식품이 유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뚜껑(20)이 상기 용기(10)에 장착되고, 상기 보조 뚜껑(21)이 상기 관통구(223)를 차폐하도록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들이 분쇄되거나 갈려서 가공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 중에서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들은 빠르게 회전되거나 비산될 수 있으며, 일부의 식품은 공기와 함께 유동될 수도 있다.
즉, 액체화되거나 크기가 작은 일부의 식품이 상기 에어 벤트(217)를 따라서 유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용기(10) 내측의 식품이 상기 에어 벤트(217)의 입구부(217a)를 통해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 벤트(217)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입구부(217a)로 유입된 식품 중 일부는 꺽여진 연결부(217c)를 따라 유동되는 과정에서 다시 흘러내릴 수 있으며, 일부는 연결부(217c)를 지나 상기 출구부(217b)를 향할 수도 있다. 통상 상기 에어 벤트(217) 내부로 유입된 식품들이라 할지라도 상기 연결부(217c)와 상기 출구부(217b)를 지나지 못하고 흘러내려 다시 상기 용기(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 미세한 식품 조각이나 액체화된 식품이 상기 에어 벤트(217)를 완전히 통과하게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에어 벤트(217)를 통과하여 에어 챔버(218a)로 배출되는 상태에서 다시 흘러내리게 된다. 즉, 상기 에어 벤트(217)의 출구와 상기 벤트 홀(214)은 충분히 떨어져 있으며, 따라서 상기 에어 벤트(217)를 통과한 식품이라 하더라도 상기 에어 챔버(218a)를 지나 상기 벤트 홀(214)로 향하지 못하고 흘러내리게 된다. 즉,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이 동작되는 동안에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은 외부로 배출되거나 새지 않으며, 특히 상기 에어 벤트(217) 및 벤트 홀(214)을 통해서도 배출되지 않게 되어 깔끔한 외관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뚜껑(20) 장착에 의한 상기 벤트 홀(214)과 에어 챔버(218a) 그리고 상기 에어 벤트(217) 구조에 의해 상기 용기(10)의 내부와 외부로의 공기 출입은 가능하게 하면서도, 상기 용기(10)의 내부의 식품이 배출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0)

  1.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식품을 분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모듈; 및
    상기 용기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며,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관통구가 형성되는 메인 뚜껑; 및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는 보조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뚜껑과 관통구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에어 벤트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 벤트의 입구와 출구는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수직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블렌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뚜껑은,
    상기 보조 뚜껑의 둘레면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보조 뚜껑의 삽입시 상기 관통구의 내측면과 접하는 기밀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 벤트는 상기 기밀부에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보조 뚜껑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블렌더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의 상방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에어 벤트를 지나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 챔버가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챔버의 상방에는 상기 보조 뚜껑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조 뚜껑 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조 뚜껑의 삽입시 상기 보조 뚜껑 리브가 안착되는 관통구 안착부가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뚜껑 리브에는 상기 에어 챔버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벤트 홀이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홀은 상기 에어 벤트와 다른 연장선상에 위치되는 블렌더 용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는,
    상기 용기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방으로 개구된 입구를 포함하는 입구부;
    상기 입구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으로 개구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출구부;
    상기 입구부와 출구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와 출구부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렌더 용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입구부의 상단과 출구부의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보조 뚜껑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는 블렌더 용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의 상방에는 상기 기밀부의 상단과 이격되며, 상기 보조 뚜껑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관통구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보조 뚜껑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뚜껑 리브에는 상기 출구부와 엇갈린 위치에 개구되어 상기 출구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벤트 홀이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는 마주보는 위치에 한쌍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벤트 홀은 상기 에어 벤트의 위치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쌍이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뚜껑은,
    상기 메인 뚜껑의 상부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구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어퍼 바디;
    상기 어퍼 바디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뚜껑의 하부 형상을 형성하는 로어 바디; 및
    상기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의 사이에 구비되며, 외측으로 둘출되어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는 회전에 의해 상기 로어 바디를 기준으로 상하 이동되며,
    상기 어퍼 바디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스켓은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는 블렌더 용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바디의 둘레에는 상기 어퍼 바디의 회전시 상기 어퍼 바디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의 내측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뚜껑의 외측면에는 상기 보조 뚜껑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되며, 상기 회전 돌기가 삽입되도록 함몰되는 회전 홈이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홈의 상방에는 상기 보조 뚜껑의 둘레를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되응 보조 뚜껑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뚜껑이 상기 관통구에 삽입될 때 상기 보조 뚜껑 리브는 상기 관통구의 단차지게 형성된 관통구 안착부에 안착되는 블렌더 용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홈과 대응하는 상방의 상기 보조 뚜껑 리브에는 상기 에어 벤트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위한 벤트 홀이 개구되는 블렌더 용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홀은 상기 에어 벤트와 서로 다른 연장선상에 위치되는 블렌더 용기.
  20. 모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바닥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용기 장착시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블레이드 모듈;
    상기 용기의 개구된 상면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메인 뚜껑; 및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는 보조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뚜껑과 관통구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에어 벤트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 벤트의 입구와 출구는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수직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블렌더.
KR1020190139508A 2019-11-04 2019-11-04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KR20210053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508A KR20210053646A (ko) 2019-11-04 2019-11-04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CN202080060337.5A CN114302660B (zh) 2019-11-04 2020-08-14 料理机
PCT/KR2020/010900 WO2021091055A1 (ko) 2019-11-04 2020-08-14 블렌더
US17/036,156 US12096887B2 (en) 2019-11-04 2020-09-29 Blender and container for blender
EP20204046.5A EP3815590B1 (en) 2019-11-04 2020-10-27 Ble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508A KR20210053646A (ko) 2019-11-04 2019-11-04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646A true KR20210053646A (ko) 2021-05-12

Family

ID=73029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508A KR20210053646A (ko) 2019-11-04 2019-11-04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2096887B2 (ko)
EP (1) EP3815590B1 (ko)
KR (1) KR20210053646A (ko)
CN (1) CN114302660B (ko)
WO (1) WO2021091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94514S (en) * 2020-02-21 2022-03-22 Lg Electronics Inc Electric kettle
CA194512S (en) * 2020-02-21 2022-03-22 Lg Electronics Inc Lid for electric kettles
CA194513S (en) * 2020-02-21 2022-03-22 Lg Electronics Inc Handle for electric kettles
USD1013437S1 (en) * 2023-07-08 2024-02-06 Strategic Exits LLC Immersion brew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9381A (ja) * 1999-11-08 2001-05-15 Japan Servo Co Ltd 攪拌機
KR200354814Y1 (ko) * 2004-01-30 2004-06-30 하현탁 두 종류의 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는 이중용기
KR100850796B1 (ko) * 2007-02-07 2008-08-06 박용윤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액상 내용물 배출 용기
DE102010017387B4 (de) 2010-06-16 2019-10-10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Elektromotorisch angetriebene Küchenmaschine
JP2012006346A (ja) * 2010-06-28 2012-01-12 Sumitomo Rubber Ind Ltd キャップユニット
KR101214817B1 (ko) * 2010-08-31 2012-12-24 문제구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DE102014100967A1 (de) 2013-08-02 2015-02-05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Elektromotorisch angetriebene Küchenmaschine sowie Abdeckteil für eine solche Küchenmaschine
AU2014336969B2 (en) * 2013-10-18 2018-06-21 Breville Pty Limited Lid with check valve
US9555384B2 (en) * 2013-10-25 2017-01-31 Whirlpool Corporation Blender assembly
WO2015074720A1 (en) 2013-11-25 2015-05-28 Aktiebolaget Electrolux Lid arrangement, container and household mixing appliance
US10051998B2 (en) 2014-03-14 2018-08-21 Vita-Mix Management Corporation Blending container
CN206082526U (zh) * 2016-10-11 2017-04-12 曾丽琴 一种具有气体辅助搅拌机构的反应釜
TW201813564A (zh) * 2016-10-12 2018-04-16 李文欽 攪拌杯組及杯蓋
CN108261114B (zh) * 2016-12-30 2020-12-04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料理机和养生机
CN108652480A (zh) 2017-03-27 2018-10-16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杯盖组件及破壁机
CN107616725B (zh) * 2017-09-27 2023-08-25 广东顺德布神乐电气有限公司 一种杯盖组件及杯子
US10441113B2 (en) * 2017-10-03 2019-10-15 Hamilton Beach Brands, Inc. Blender jar lid with tortuous airflow path
PT3517003T (pt) 2018-01-24 2020-10-08 Vorwerk Co Interholding Dispositivo para fechar, pelo menos parcialmente, uma abertura de um recipiente para cozedura, sistema de recipiente para cozedura, bem como máquina de cozinha
CN208658651U (zh) * 2018-04-04 2019-03-29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杯盖、杯、及食物料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15590A1 (en) 2021-05-05
CN114302660A (zh) 2022-04-08
US20210127904A1 (en) 2021-05-06
EP3815590B1 (en) 2024-01-31
US12096887B2 (en) 2024-09-24
WO2021091055A1 (ko) 2021-05-14
CN114302660B (zh)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3646A (ko)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KR102453176B1 (ko) 조리기
EP2682030A2 (en) Pot lid capable of preventing food from boiling over
MX2010013486A (es) Maquina de procesamiento de alimentos.
US11779161B2 (en) Blender and lid for blender container
CN107148233A (zh) 切碎配件、切碎单元以及用于切碎的家用电器
KR200482022Y1 (ko) 진공 믹서기용 보조용기
KR102275784B1 (ko) 진공블렌더
US20220361716A1 (en) Blender
EP3797657B1 (en) Blender
US10863865B2 (en) Blender jar assembly and associated blender
CN214231006U (zh) 料理机
CN118265578A (zh) 食物处理机
CN113040625B (zh) 料理机
US20220322884A1 (en) Blender
KR200455832Y1 (ko) 대용량 식품 가공기
CN215914314U (zh) 杯盖组件、料理杯及料理机
US20230001423A1 (en) Food waste disposer
CN214017269U (zh) 杯体组件及料理机
CN214231048U (zh) 料理机
JP7111358B2 (ja) 生ゴミ処理装置
CN214017276U (zh) 主机及料理机
CN216724295U (zh) 一种料理机
CN209595574U (zh) 机座和料理机
CN215272222U (zh) 料理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