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464A - 방전관의 지지 구조, 지지 부재,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방전관의 지지 구조, 지지 부재,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464A
KR20100038464A KR1020107004667A KR20107004667A KR20100038464A KR 20100038464 A KR20100038464 A KR 20100038464A KR 1020107004667 A KR1020107004667 A KR 1020107004667A KR 20107004667 A KR20107004667 A KR 20107004667A KR 20100038464 A KR20100038464 A KR 20100038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ule
stopper
discharge tube
glass tub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2152B1 (ko
Inventor
요시키 타카타
켄이치 이와모토
타카아키 쿠도
나오후미 이케나가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8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48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유리관(34)의 양단부에 대략 통 형상의 페룰(36)이 바깥에 끼워진 형태의 방전관(15)은 대략 평판상인 섀시(13)의 정면쪽에 마련한 복수 쌍의 중계 커넥터(14)(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방전관(15)을 중계 커넥터(14)에 지지한 상태에서는 중계 커넥터(14)에 마련한 스토퍼(26)에 대해 페룰(36)이 맞물려 고정됨으로써, 방전관(15)이 중계 커넥터(14)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Description

방전관의 지지 구조, 지지 부재,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DISCHARGE TUBE SUPPORTING STRUCTURE, SUPPORTING MEMBER, DISCHARGE TUBE, FERRULE,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본 발명은 방전관의 지지 구조, 지지 부재,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로서 기능하는 조명 장치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대략 평판상의 섀시에 접속 부품을 장착하고, 이 접속 부품에 복수 개의 가늘고 긴 방전관의 단부를 장착함과 함께, 마찬가지로 접속 부품에 전원 기판을 장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방전관의 단부로부터 돌출시킨 외부 리드는 접속 부품을 통해 전원 기판에 접속된다.
[특허문헌1]일본특허공개2004-294592호공보
외부 리드는 방전관의 단부로부터 동축상으로 돌출된 형태이기 때문에, 접속 부품에 대해 축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났을 때 외부 리드의 돌출단이 다른 부재(예를 들면, 섀시의 주위 벽 등)와 간섭하는 것이 염려된다. 외부 리드는 전기적 접속 수단으로서 중요하지만, 가늘고 길어 강도가 약한 부재이기 때문에,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방전관의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방전관의 지지 구조는, 대략 평판상인 섀시의 정면쪽에 마련한 복수 쌍의 지지 부재에 의해, 유리관의 양단부에 대략 통 형상의 페룰이 바깥에 끼워진 형태의 복수 개의 방전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이며, 쌍을 이루는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한 쪽의 지지 부재에는 상기 페룰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방전관의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전관을 지지 부재에 지지한 상태에서는 페룰이 스토퍼에 맞물려 고정되므로, 방전관이 지지 부재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의 방전관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전관이 상기 유리관의 단부로부터 외부 리드를 축 방향으로 돌출시킨 형태가 되고, 상기 페룰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외부 리드쪽으로 연장된 도전편이 상기 외부 리드에 접속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페룰에서 상기 도전편과 반대쪽 단부 가장자리의 맞물려 고정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는 페룰의 단부 가장자리에 맞물리므로 페룰의 외주에 스토퍼를 맞물리게 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가공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페룰의 강도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가 페룰의 도전편쪽 단부 가장자리에 맞물리는 구조의 경우, 페룰의 둘레 방향에서의 향하는 방향에 따라서는 페룰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도전편이 방해가 되어 페룰의 단부 가장자리와 스토퍼가 맞물릴 수 없게 될 것이 염려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토퍼가 도전편과 반대쪽의 단부 가장자리에 맞물리게 되어 있으므로 페룰과 스토퍼를 확실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전관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전편에는 상기 외부 리드에 대해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듯이 접속되는 통형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전편은 외부 리드를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는 통형상부를 구비하므로, 도전편이 외부 리드로부터 벗어나지 않아 도전편과 외부 리드를 확실히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전관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페룰의 내경이 상기 유리관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페룰에 형성한 탄성 지지편을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페룰이 상기 유리관에 대해 대략 동심상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페룰과 스토퍼의 맞물림 마진은 유리관의 외경과 페룰 외경의 치수 차이에 상당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탄성 지지편에 의해 페룰을 유리관에 대해 동심상으로 유지하도록 하므로, 페룰을 크게 하여 그 내경과 유리관 외경의 치수 차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페룰과 스토퍼의 맞물림 마진을 증대시켜 방전관의 이동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전관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스토퍼에 상기 페룰을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상기 유리관의 외주가 맞닿거나 근접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방전관을 상기 오목부쪽으로 가압 가능한 탄성 가압편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가압편이 방전관을 오목부쪽으로 가압하게 되어 있으므로, 오목부의 깊이가 얕아도 방전관이 오목부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없어, 페룰을 스토퍼에 대해 확실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오목부를 얕게 하는 것은 오목부의 깊이 방향에서의 스토퍼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그만큼 지지 부재의 재료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전관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합성 수지제의 홀더 내에 접속 부품을 조립한 형태이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홀더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를 합성 수지제의 홀더에 형성하므로, 접속 부품에 스토퍼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그만큼 접속 부품의 제조에 필요로 하는 재료가 적어도 된다.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가 금속에 비해 재료비가 저렴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부재의 재료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전관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페룰에 대해 도통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는 접속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품에 상기 스토퍼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페룰과의 도통 수단인 접속 부품과 스토퍼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므로, 접속 부품과 별개의 부품인 스토퍼를 마련한 것과 비교하면, 본 발명에서는 부품수가 적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지지 부재는, 대략 평판상인 섀시의 정면쪽에 마련되고, 유리관의 양단부에 대략 통 형상의 페룰이 바깥에 끼워진 형태의 복수 개의 방전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이며, 상기 페룰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방전관의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전관을 지지 부재에 지지한 상태에서는 페룰이 스토퍼에 맞물려 고정되므로, 방전관이 지지 부재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의 지지 부재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의 단부로부터 외부 리드를 축 방향으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페룰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외부 리드쪽으로 연장된 도전편을 상기 외부 리드에 접속시킨 형태의 방전관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이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페룰에서 상기 도전편과 반대쪽의 단부 가장자리에 맞물려 고정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는 페룰의 단부 가장자리에 맞물리므로 페룰의 외주에 스토퍼를 맞물리게 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가공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페룰의 강도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가 페룰의 도전편쪽 단부 가장자리에 맞물리는 구조의 경우, 페룰의 둘레 방향에서의 향하는 방향에 따라서는 페룰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도전편이 방해가 되어 페룰의 단부 가장자리와 스토퍼가 맞물릴 수 없게 될 것이 염려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토퍼가 도전편과 반대쪽의 단부 가장자리에 맞물리게 되어 있으므로 페룰과 스토퍼를 확실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 부재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스토퍼에 상기 페룰을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상기 유리관의 외주가 맞닿거나 근접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전관을 상기 오목부쪽으로 가압 가능한 탄성 가압편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가압편이 방전관을 오목부쪽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오목부의 깊이가 얕아도 방전관이 오목부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없어 페룰을 스토퍼에 대해 확실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오목부를 얕게 하는 것은, 오목부의 깊이 방향에서의 스토퍼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그만큼 지지 부재의 재료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 부재에 있어서, 합성 수지제의 홀더와, 상기 홀더 내에 조립한 접속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홀더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를 합성 수지제의 홀더에 형성하므로, 접속 부품에 스토퍼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그만큼 접속 부품의 제조에 필요로 하는 재료가 적어도 된다.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가 금속에 비해 재료비가 저렴한 점을 감안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부재의 재료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 부재에 있어서, 상기 페룰에 대해 도통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는 접속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품에 상기 스토퍼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페룰과의 도통 수단인 접속 부품과 스토퍼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므로, 접속 부품과는 별개의 부품인 스토퍼를 마련한 것과 비교하면, 본 발명에서는 부품수가 적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방전관은, 유리관의 양단부에 대략 통 형상의 페룰이 바깥에 끼워진 형태이며, 대략 평판상인 섀시의 정면쪽에 마련한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방전관에 있어서, 상기 페룰이 상기 지지 부재에 마련한 스토퍼에 대해 맞물릴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에 대해 상기 페룰을 맞물려 고정함으로써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전관을 지지 부재에 지지한 상태에서는 페룰이 스토퍼에 맞물려 고정되므로, 방전관이 지지 부재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의 방전관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의 단부로부터 외부 리드를 축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페룰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외부 리드쪽으로 연장된 도전편을 상기 외부 리드에 접속시키며, 상기 페룰에서 상기 도전편과 반대쪽의 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스토퍼에 대해 맞물릴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는 페룰의 단부 가장자리에 맞물리므로, 페룰의 외주에 스토퍼를 맞물리게 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가공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페룰의 강도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가 페룰의 도전편쪽 단부 가장자리에 맞물리는 구조의 경우, 페룰의 둘레 방향에서의 향하는 방향에 따라서는 페룰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도전편이 방해가 되어 페룰의 단부 가장자리와 스토퍼가 맞물릴 수 없게 될 것이 염려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토퍼가 도전편과 반대쪽의 단부 가장자리에 맞물리게 되어 있으므로 페룰과 스토퍼를 확실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전관에 있어서, 상기 도전편에는 상기 외부 리드에 대해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듯이 접속되는 통형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전편은 외부 리드를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는 통형상부를 구비하므로, 도전편이 외부 리드로부터 벗어나지 않아 도전편과 외부 리드를 확실히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전관에 있어서, 상기 페룰의 내경이 상기 유리관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페룰에 형성한 탄성 지지편을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페룰이 상기 유리관에 대해 대략 동심상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페룰과 스토퍼의 맞물림 마진은 유리관의 외경과 페룰 외경의 치수 차이에 상당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탄성 지지편에 의해 페룰을 유리관에 대해 동심상으로 유지하도록 하므로, 페룰을 크게 하여 그 내경과 유리관 외경의 치수 차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페룰과 스토퍼의 맞물림 마진을 증대시켜 방전관의 이동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페룰은, 대략 평판상인 섀시의 정면쪽에 마련한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방전관을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방전관을 구성하는 유리관 양단부의 바깥에 끼워지는 대략 통 형상의 페룰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 마련한 스토퍼에 대해 맞물릴 수 있게 되어, 상기 스토퍼에 맞물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방전관의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전관을 지지 부재에 지지한 상태에서는, 페룰이 스토퍼에 맞물려 고정되므로 방전관이 지지 부재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의 페룰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의 단부로부터 외부 리드를 축 방향으로 돌출시킨 형태의 상기 방전관을 구성하는 페룰로서, 상기 유리관의 바깥에 끼워지는 통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외부 리드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 리드에 접속되는 도전편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상기 도전편과 반대쪽의 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스토퍼에 대해 맞물릴 수 있게 할 수 있다.
스토퍼는 페룰 본체의 단부 가장자리에 맞물리므로 본체의 외주에 스토퍼를 맞물리게 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가공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의 강도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가 본체에서 도전편쪽의 단부 가장자리에 맞물리는 구조의 경우, 페룰의 둘레 방향에서의 향하는 방향에 따라서는 본체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도전편이 방해가 되어 본체의 단부 가장자리와 스토퍼가 맞물릴 수 없게 될 것이 염려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토퍼가 도전편과 반대쪽의 단부 가장자리에 맞물리게 되어 있으므로, 본체와 스토퍼를 확실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페룰에 있어서, 상기 도전편에는 상기 외부 리드에 대해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듯이 접속되는 통형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전편은 외부 리드를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는 통형상부를 구비하므로, 도전편이 외부 리드로부터 벗어나지 않아 도전편과 외부 리드를 확실히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페룰에 있어서, 내경은 상기 유리관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유리관의 바깥에 끼워지는 통 형상의 본체를 갖고, 상기 본체에 형성한 탄성 지지편을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유리관에 대해 대략 동심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페룰과 스토퍼와의 맞물림 마진은, 유리관의 외경과 페룰 본체의 외경과의 치수 차이에 상당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탄성 지지편에 의해 본체를 유리관에 대해 동심상으로 유지하도록 하므로, 본체를 크게 하여 그 내경과 유리관 외경의 치수 차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페룰과 스토퍼의 맞물림 마진을 증대시켜 방전관의 이동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용의 조명 장치는, 섀시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부재와, 본 발명에 따른 방전관과, 상기 섀시의 배면쪽에 마련되어 상기 방전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의 정면쪽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텔레비전 수신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표시 장치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3은 조명 장치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조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중계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중계 커넥터와 방전관의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중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방전관의 페룰이 스토퍼와 맞물림 가능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중계 커넥터와 전원 기판의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방전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페룰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페룰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페룰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조명 장치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조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조명 장치에서 방전관을 제외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조명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8은 접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접지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방전관의 페룰이 스토퍼와 맞물림 가능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접지 단자와 방전관의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22는 페룰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접지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접지 단자를 이용한 경우의 페룰과의 접속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해 설명한다.
[표시 장치(D)의 개요]
표시 장치(D)는 전체적으로 가로로 긴 사각형이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과 조명 장치(1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이른바 액정 표시 장치라고 칭하는 것이다. 표시 패널(11)은 조명 장치(10)의 정면쪽에 배치되고, 조명 장치(10)는 백 라이트로서 배면쪽으로부터 표시 패널(11)을 조사한다. 표시 장치(D)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텔레비전 수신 장치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D)와, 표시 장치(D)를 사이에 끼워 수용하는 표리의 두 캐비넷(Ca, Cb)과, 후술하는 전원 기판(16)(본 발명의 구성 요건인 전원)과는 다른 전원(P)과, 튜너(T)와, 스탠드(S)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2는 표시 장치(D)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기 때문에, 중계 커넥터(14)(본 발명의 구성 요건인 지지 부재)나 기판 커넥터(18) 등의 형상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의 형상과 일부 상이하다.
표시 패널(11)은, 투명한 TFT 기판과 투명한 CF 기판의 간극에 전압 인가에 수반해 광학 특성이 변화하는 물질인 액정을 밀봉한 주지 구조의 것으로서, TFT 기판에는 서로 직교하는 소스 배선과 게이트 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로서의 TFT(Thin Film Transistor)가 마련되고, CF 기판에는 적(R), 녹(G), 청(B) 삼원색의 화소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한 컬러 필터가 마련된다.
[조명 장치(10)의 개요]
조명 장치(10)는 램프 유니트(12)와 전원 기판(16)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램프 유니트(12)는, 전체적으로 가로로 긴 사각형의 판상이며 반사판으로서 기능하는 금속제의 섀시(13)와, 섀시(13)의 정면쪽에 수평인 자세로 상하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방전관(15)과, 섀시(13)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각 방전관(15)과 대응하도록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중계 커넥터(14)를 구비한다. 전원 기판(16)은, 섀시(13)의 이면쪽에 배치되고 중계 커넥터(14)를 개재하여 방전관(15)에 대해 전력을 공급한다.
섀시(13)에는, 각 방전관(15)과 같은 높이이며 방전관(15)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를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시킨 형태의 대략 사각형인 복수의 장착공(13H)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각 장착공(13H)에는 각각 중계 커넥터(14)가 관통해 장착된다.
[중계 커넥터(14)]
중계 커넥터(14)는 합성 수지제의 홀더(20)와, 홀더(20) 내에 수용된 금속제(예를 들면, 스텐레스스틸제)의 중계 단자(31)(본 발명의 구성 요건인 접속 부품)로 구성된다.
홀더(20)는 전체적으로 블록 형상을 이루는 상자 형상부(21)와, 상자 형상부(21)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벽부(22)로 구성된다.
상자 형상부(21)에는, 그 정면으로부터 측면(섀시(13)의 측면 가장자리부와는 반대쪽의 측면)에 걸쳐 개구된 수용실(23)이 형성된다. 수용실(23)의 개구부 중 정면쪽의 개구부는 정면쪽으로부터 방전관(15)의 단부(페룰(36))를 끼우기 위한 진입구(24)가 되고, 측면측의 개구부는 방전관(15)의 단부를 수용실(23)에 수용한 상태에서 유리관(34)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구(25)가 된다. 이 회피구(25)에는, 그 개구 가장자리를 안쪽을 향해 판상으로 돌출시킨 형태의 스토퍼(26)가 형성되고, 이 스토퍼(26)에 의해 회피구(25)의 개구 형상은 대략 U자형으로 좁혀진다. 대략 U자형을 이루는 회피구(25)의 상하 방향의 간격은, 페룰(36) 본체(37)의 내경보다 작고 한편 방전관(15)의 유리관(34)의 외경과 같거나 그것보다 약간 큰 치수가 된다. 회피구(25)의 개구 가장자리에서의 안쪽 단부는 반원형의 오목부(27)가 되고, 이 오목부(27)의 곡률 반경은 유리관(34) 외주의 곡률 반경과 같거나 그것보다 약간 큰 치수가 된다. 또한, 회피구(25)의 개구 가장자리에서의 오목부(27)보다 정면쪽의 영역은 상하 한 쌍의 가이드부(28)가 된다.
또한, 상자 형상부(21)에는, 상자 형상부(21) 중 회피구(25)가 개구되어 있는 바깥쪽면으로부터 섀시(13)와 평행하게 돌출되는 돌출부(29)가 형성된다. 이 돌출부(29)는 섀시(13)의 정면과 회피구(25)의 사이를 구분하는 듯한 형태로 되어 있다. 상자 형상부(21)의 외면(상면과 하면)에는 상하 한 쌍의 걸림 돌기(30)가 형성된다.
중계 단자(31)는 홀더(20)의 내부에 있다. 중계 단자(31)는 소정 형상으로 펀칭한 금속 판재를 벤딩 가공한 것이며, 만곡한 판조각으로 이루어지는 상하 대칭인 한 쌍의 탄성 가압편(32)과, 배면쪽으로 평판상으로 돌출되는 기판용 접속부(33)를 구비한다. 한 쌍의 탄성 가압편(32)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의 탄성휨이 허용된 상태로 수용실(23) 내에 수용되며, 한 쌍의 탄성 가압편(32)의 상하 방향의 간격은 스토퍼(26)의 오목부(27)보다 정면쪽의 위치에서 최소가 된다. 탄성 가압편(32)이 탄성휨을 받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의 탄성 가압편(32)간의 최소 간격은, 방전관(15)의 페룰(36) 본체(37)의 외경보다 작은 치수가 된다. 한편, 기판용 접속부(33)는 상자 형상부(21)의 배면으로부터 홀더(20) 밖으로 노출되어, 벽부(22)를 따라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중계 커넥터(14)를 섀시(13)에 조립할 때에는, 섀시(13)의 정면쪽으로부터 장착공(13H)에 홀더(20)의 벽부(22)를 삽입하고, 상자 형상부(21)의 외면을 섀시(13)의 정면에서 장착공(13H)의 개구 가장자리에 맞닿게 함과 함께, 걸림 돌기(30)를 섀시(13)의 배면에서 장착공(13H)의 개구 가장자리에 맞물리게 한다. 이에 따라, 섀시(13)가 상자 형상부(21)의 외면과 걸림 돌기(30)에 의해 앞뒤에서 협지되고, 따라서 홀더(20)가 섀시(13)에 대해 조립 방향(장착공(13H)의 관통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고정되어 중계 커넥터(14)가 섀시(13)에 조립된다. 중계 커넥터(14)가 섀시(13)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홀더(20)의 전단쪽 부분을 구성하는 상자 형상부(21)가 섀시(13)의 정면쪽으로 돌출(노출)됨과 함께, 홀더(20)의 후단쪽인 벽부(22)가 섀시(13)의 배면쪽으로 돌출(노출)된다.
[방전관(15)]
방전관(15)은 냉음극선관으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가늘고 길며 단면이 원형인 직선상의 유리관(34)과, 유리관(34)의 양단으로부터 유리관(34)과 동축상이면서 직선상으로 돌출되는 단면이 원형인 가늘고 긴 금속제(예를 들면, 니켈계 혹은 코발트계의 금속)의 외부 리드(35)와, 유리관(34)의 양단부에 장착되는 페룰(36)로 구성된다. 유리관(34)의 내부에는 수은이 밀봉되고, 유리관(34)의 양단부는 가열해 용융시킴으로써 대체로 반구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 리드(35)는 이 반구부를 관통한다.
페룰(36)은 소정 형상으로 펀칭된 금속제(예를 들면, 스텐레스스틸제)의 판재에 벤딩 가공이나 해머링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 단일 부품이다. 페룰(36)은, 1개의 본체(37)와 1개의 도전편(40)을 구비한다. 본체(37)는 전체적으로 유리관(34)과 동심의 원통형을 이루고, 본체(37)의 내경은 유리관(34)의 외경보다 조금 큰 치수로 설정된다.
본체(37)에는, 그 일부를 슬릿상으로 절개함으로써 세 쌍의 탄성 지지편(38A, 38B)이 둘레 방향에서 등 각도의 피치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쌍을 이루는 탄성 지지편(38A, 38B) 중 한 쪽인 제1 탄성 지지편(38A)은, 전체적으로 후방(자세하게는, 지름 방향 안쪽으로 약간 경사 방향)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그 기단(전단)을 받침점으로 하여 지름 방향으로 탄성휨이 발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 탄성 지지편(38A)의 연장 단부(후단부)에는,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비스듬하게 굴곡된 굴곡부(39)가 형성되고, 이 굴곡부(39)의 굴곡의 바깥쪽면(즉, 안쪽에 면하는 면)은 유리관(34)의 외주면에 맞닿는 접점이 된다. 이 3개의 제1 탄성 지지편(38A)의 접점을 연결하는 가상 원은 본체(37)와 동심의 원형이며, 이 가상 원의 지름 치수는 제1 탄성 지지편(38A)에 탄성휨이 발생하지 않은 자유 상태일 때에 유리관(34)의 외경보다 작은 치수가 된다.
쌍을 이루는 탄성 지지편(38A, 38B)의 다른 한 쪽인 제2 탄성 지지편(38B)은, 제1 탄성 지지편(38A)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전체적으로 제1 탄성 지지편(38A)과 반대로 전방(자세하게는, 지름 방향 안쪽으로 약간 경사 방향)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가 되어, 그 기단(후단)을 받침점으로 하여 지름 방향으로 탄성휨이 발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 탄성 지지편(38B)의 연장단은 유리관(34)의 외주면에 맞닿는 접점이 되고, 이 3개의 제2 탄성 지지편(38B)의 접점을 연결하는 가상 원은 본체(37)와 동심의 원형이며, 이 가상 원의 지름 치수는 제2 탄성 지지편(38B)에 탄성휨이 발생하지 않은 자유 상태일 때에 유리관(34)의 외경보다 작은 치수가 된다.
본체(37)에는, 그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보호편이 형성된다. 한 쌍의 보호편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본체(37)에 대해 동일한 면형상을 이루며 직선적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이 한 쌍의 보호편 사이에서 도전편(40)이 전방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된다. 도전편(40)은, 본체(37)의 전단에 이어지는 가늘고 긴 부분(41)과, 가늘고 긴 부분(41)의 전단(연장단)에서 더욱 전방으로 돌출되는 통형상부(42)로 이루어진다.
가늘고 긴 부분(41)은, 본체(37)에 대해 동일한 면형상이며 본체(37)로부터 그 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기단부(41a)와, 기단부(41a)의 연장단으로부터 본체(37)의 축선을 향해 지름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중간부(41b)와, 중간부(41b)의 연장단으로부터 본체(37)의 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선단부(41c)로 이루어지며, 선단부(41c)의 연장단에 통형상부(42)가 이어진다. 가늘고 긴 부분(41)의 폭 치수는 가늘고 긴 부분(41)의 길이 치수에 대해 충분히 작고, 따라서, 가늘고 긴 부분(41)은 본체(37)의 지름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 지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가늘고 긴 부분(4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 및 가늘고 긴 부분(41) 자신을 축으로 하는 탄성적인 비틀림 변형이 가능해진다.
통형상부(42)는, 가늘고 긴 부분(41)의 연장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시킨 부분을 원통상으로 벤딩 가공한 것이며, 축선은 대체로 본체(37)와 동축상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통형상부(42)는 가늘고 긴 부분(41)에 탄성휨을 발생시키면서 페룰(36)의 축 방향 및 지름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페룰(36)과 유리관(34)의 조립]
다음으로, 페룰(36)을 유리관(34)에 조립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조립에 있어서는, 유리관(34)과 페룰(36)을 각각 파지 장치(미도시)로 잡은 상태에서, 페룰(36)과 유리관(34)을 동축상에서 상대적으로 접근시켜 본체(37)를 유리관(34)의 바깥에 끼운다. 본체(37)가 끼워지기 시작하면, 세 쌍의 탄성 지지편(38A, 38B)의 연장 단부의 접점이 유리관(34)의 외주에 대해 탄성적으로 맞닿고, 조립이 진행됨에 따라 접점이 유리관(34)의 외주면상을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본체(37)를 관통한 외부 리드(35)의 선단이 통형상부(42)의 중공 내에 진입하기 시작한다. 이 후, 쌍방의 파지 장치가 소정의 조립 위치에 이르면, 페룰(36)과 유리관(34)이 축선 방향에서 정규의 조립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외부 리드(35)의 선단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 통형상부(42)로 포위된 상태가 된다. 이때, 외부 리드(35)의 선단부는 통형상부(42)의 선단으로부터 크게 돌출되지 않고, 통형상부(42)로부터 조금 돌출하거나 통형상부(42)의 선단과 거의 같은 위치, 혹은 통형상부(42)의 내부에 위치한다.
그 다음은, 통형상부(42)를 축경 변형되도록 쥐고, 쥐어진 통형상부(42)와 외부 리드(35)가 용접에 의해 전기적 도통이 가능하게 고착되어, 페룰(36)과 유리관(34)이 일체화된다. 이상에 의해, 조립이 완료되고 방전관(15)이 완성한다.
페룰(36)과 유리관(34)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세 쌍의 탄성 지지편(38A, 38B)에 의한 탄성적인 지지 작용에 의해 본체(37)가 유리관(34)에 대해 거의 동심상으로 유지되고, 유리관(34)의 외주와 본체(37)의 내주 사이에는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공기층)이 확보된다.
한편,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상부(42)를 U자 형상의 접속부(42a)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페룰(36)에 대해 유리관(34)을 끼운 다음, U자 형상의 접속부(42a)를 외부 리드(35)에 따라 벤딩 가공함으로써, 외부 리드(35)와 접속부(42a)의 전기적 접속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U자 형상의 접속부(42a)를 벤딩 가공하는 형태에 의하면, 외부 리드(35)에 대한 전기적 접속성이 한층 양호한 것이 된다.
[중계 커넥터(14)에 대한 방전관(15)의 장착]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된 방전관(15)은 중계 커넥터(14)에 장착된다. 장착에 있어서는, 방전관(15)을 수평으로 향한 상태로 섀시(13)의 정면에 접근시켜, 유리관(34)의 양단부와 페룰(36)을 중계 커넥터(14)의 수용실(23)에 대해 정면쪽에서 끼워넣는다. 이때, 한 쌍의 탄성 가압편(32)이 페룰(36)의 본체(37)에 의해 상하로 벌려지도록 탄성휨을 받고, 본체(37)가 한 쌍의 탄성 가압편(32)의 최소 간격 부분을 통과한 후에는, 두 탄성 가압편(32)이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본체(37)를 수용실(23)의 안쪽으로 끌어당겨 본체(37)를 수용실(23)의 바닥부에 맞닿게 함으로써, 방전관(15)의 장착이 완료된다.
장착된 방전관(15)은 그 양단부에서 한 쌍의 탄성 가압편(32)에 지지되고, 중계 단자(31)와 이 중계 단자(31)의 장착 모체인 홀더(20)를 통해 섀시(13)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방전관(15)의 중량은, 중계 커넥터(14)를 통해 섀시(13)에 작용할 뿐으로, 외부 리드(35)에 대해 방전관(15)의 중량이 부하로서 작용하지는 않는다.
또한, 한 쌍의 탄성 가압편(32)이 본체(37)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이에 따라 외부 리드(35)가 페룰(36)을 통해 중계 단자(31)에 전기적 도통이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한 쌍의 탄성 가압편(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유리관(34)이 스토퍼(26)의 오목부(27)에 밀어 붙여진 상태로 유지되어, 방전관(15)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는 본체(37)의 일부가 스토퍼(26)와 중첩되도록 위치한다. 즉, 본체(37)에서 도전편(40)과는 반대쪽단 가장자리의 일부가 스토퍼(26)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접근해 대향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홀더(20)의 외면 중 섀시(13)의 판면과 직각이고 수용실(23)의 회피구(25)가 개구되는 외면에는, 섀시(13)와 회피구(25) 사이의 부분을 섀시(13)의 판면을 따라 돌출시킨 형태의 돌출부(29)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용실(23)의 내부로부터 섀시(13)의 정면에 이르는 연면(沿面) 거리가 길어진다. 따라서, 수용실(23) 내의 방전관(15)으로부터 홀더(20) 바깥의 섀시(13)로의 리크가 방지된다.
[전원 기판(16)의 개요]
전원 기판(16)은, 배면(섀시(13)와 반대쪽 면)에 회로가 형성된 회로 기판(17)과, 회로 기판(17)의 배면에 실장된 전자 부품(19)과, 회로 기판(17)의 배면에 장착된 복수의 기판 커넥터(18)를 구비한다.
회로 기판(17)은 전체적으로 세로로 긴 사각형을 이루며, 종이 기재 페놀 수지 동박 적층판(종이 페놀이라고 칭해진다)이 이용된다. 회로 기판(17)에는, 세로로 긴 사각형을 이루는 복수의 끼움공(17H)이 정면쪽에서 배면쪽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끼움공(17H)은, 상기한 중계 단자(31)(중계 커넥터(14))와 대응하도록, 회로 기판(17)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다. 기판 커넥터(18)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전체가 수용된 금속제(예를 들면, 양은 합금제)의 출력 단자(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각 끼움공(17H)과 대응하도록 회로 기판(17)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하우징의 외면에는 끼움공(17H)과 대응하는 끼움 공간(미도시)이 형성되고, 끼움 공간 내에 출력 단자의 일부가 드러나 있다.
전원 기판(16)은 회로 기판(17)이 섀시(13)와 평행한 자세로 배면쪽으로부터 섀시(13)에 접근시켜 조립된다. 조립에 있어서는, 중계 커넥터(14)의 벽부(22) 및 이 벽부(22)를 따라 배치된 기판용 접속부(33)가, 회로 기판(17)의 끼움공(17H)을 관통해 기판 커넥터(18)의 끼움 오목부(27)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중계 커넥터(14)와 기판 커넥터(18)가 끼워져, 중계 단자(31)와 출력 단자가 도통 가능하게 접속된다.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방전관(15)을 중계 커넥터(14)에 지지한 상태로 페룰(36)이 스토퍼(26)에 맞물리게 되므로, 방전관(15)이 중계 커넥터(14)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우려는 없다. 즉, 방전관(15)에 대해 오른쪽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 경우에는, 방전관(15)의 좌측 단부에 조립된 페룰(36)이 스토퍼(26)에 대해 좌측으로부터 걸리게 되므로, 방전관(15)의 우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방전관(15)에 대해 왼쪽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 경우에는, 방전관(15)의 우측 단부에서 페룰(36)이 스토퍼(26)에 대해 우측으로부터 걸리게 되므로, 방전관(15)의 좌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방전관(15)은, 그 축선을 따른 좌우 어느 방향으로의 이동도 규제되므로, 외부 리드(35)의 선단이 수용실(23)에서 회피구(25)와 반대쪽의 벽부(22)에 부딪힐 우려가 없다.
또한, 스토퍼(26)는 페룰(36)의 단부 가장자리에 맞물리게 되므로, 페룰(36)의 외주에 스토퍼(26)를 걸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가공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페룰(36)의 강도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26)가 페룰(36)의 도전편(40)쪽 단부 가장자리에 맞물리는 구조인 경우, 페룰(36)의 둘레 방향에서의 향하는 방향에 따라서는, 페룰(36)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도전편(40)이 방해가 되어 페룰(36)의 단부 가장자리와 스토퍼(26)가 맞물리지 않을 염려가 있지만,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26)가 도전편(40)과는 반대쪽의 단부 가장자리에 맞물리게 되므로, 도전편(40)에 방해받아 페룰(36)과 스토퍼(26)가 맞물리지 않게 될 우려가 없고, 페룰(36)과 스토퍼(26)를 확실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전편(40)에는, 외부 리드(35)에 대해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듯이 접속되는 통형상부(4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전편(40)이 외부 리드(35)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통형상부(42)를 쥘 때에, 통형상부(42)가 외부 리드(35)로부터 벗어나지 않아, 도전편(40)과 외부 리드(35)를 확실히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페룰(36)과 스토퍼(26)의 맞물림 마진은, 유리관(34)의 외경과 페룰(36) 외경의 치수 차이에 상당하는 것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지지편(38A, 38B)에 의해 페룰(36)을 유리관(34)에 대해 동심상으로 유지하도록 하므로, 페룰(36)을 크게 하여 그 내경과 유리관(34) 외경의 치수 차이를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페룰(36)과 스토퍼(26)의 맞물림 마진을 증대시켜, 방전관(15)의 이동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26)에는 스토퍼(26)에 페룰(36)을 맞물린 상태에서 유리관(34)의 외주를 맞닿게 하거나 근접시키는 오목부(27)가 형성되고, 중계 커넥터(14)에는 방전관(15)을 오목부(27)쪽으로 가압 가능한 한 쌍의 탄성 가압편(32)이 마련되어, 이 한 쌍의 탄성 가압편(32)은 경사 상방 및 경사 하방으로부터 상하 대칭으로 방전관(15)을 오목부(27)쪽으로 가압하므로, 유리관(34)이 오목부(27)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없고, 페룰(36)을 스토퍼(26)에 대해 확실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중계 커넥터(14)는 합성 수지제의 홀더(20) 내에 중계 단자(31)를 조립한 형태인데,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26)를 합성 수지제의 홀더(20)에 형성하므로, 중계 단자(31)에 스토퍼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그만큼 중계 단자(31)의 제조에 필요로 하는 재료가 적어도 된다.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가 금속에 비해 재료비가 저렴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중계 커넥터(14)의 재료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2 실시 형태를 도 15 내지 도 21을 참조해 설명한다. 본 제2 실시 형태는, 방전관(15)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구조, 작용 및 효과의 설명은 생략한다.
[접지 부재(50)의 개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방전관(15)의 양단부를 홀더(20)와 중계 단자(31)로 이루어지는 중계 커넥터(14)에 의해 지지했지만,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방전관(15)의 양단부 중 일단부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중계 커넥터(14)로 지지하는데 반해, 방전관(15)의 타단부에 대해서는 접지 부재(50)(본 발명의 구성 요건인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하고 있다.
접지 부재(50)는, 섀시(13)의 한 쪽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한 가늘고 긴 지지판(51)과, 이 지지판(51)의 정면에 도통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접지 단자(52)(본 발명의 구성 요건인 접속 단자)로 구성된다. 지지판(51)에는, 각 접지 단자(52)와 대응하여 3개씩의 장착공(51H)이 관통해 형성된다. 한편, 지지판(51)은 기판이나 금속판에 의해 구성된다.
한편, 접지 단자(52)는, 소정 형상으로 펀칭한 금속제(예를 들면, 양은 합금)의 판재에 벤딩 가공을 실시한 것이며, 베이스부(53)와, 베이스부(53)의 상하 양 가장자리에서 정면쪽으로 연장되는 상하 대칭인 한 쌍의 탄성 가압편(54)과, 베이스부(53)의 한 쪽 가장자리에서 정면쪽으로 연장되는 스토퍼(5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탄성 가압편(54)은, 스토퍼(55)와는 반대쪽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대쪽의 탄성 가압편(54)쪽으로 부풀어 오르듯이 만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탄성 가압편(54)은, 그 간격을 벌리도록 탄성휨을 받을 수 있으며, 탄성 가압편(54)이 탄성휨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의 한 쌍의 탄성 가압편(54)의 최소 간격은, 방전관(15)의 유리관(34) 외경보다 작은 치수가 된다.
스토퍼(55)는, 베이스부(53)로부터 방전관(15)의 축선과 직각으로 일어서 있으며, 스토퍼(55)에는 거의 원호상으로 함몰된 형태의 오목부(56)가 형성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중계 커넥터(14)에서는, 스토퍼(26)의 오목부(27)의 상하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부(28)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56)의 상하 양측은 베이스부(53)로부터의 상승 치수가 작게 억제되어 있고,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부(28)에 상당하는 수단은 마련되지 않았다. 따라서, 가이드부를 마련한 것과 비교하면, 접지 단자(52)에 필요한 금속 재료는 적어졌다.
또한, 베이스부(53)에는 3개의 다리(57)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3개 중 2개의 다리(57)는, 탄성 가압편(54)과 스토퍼(55)의 사이에, 베이스부(53)의 상하 양 가장자리에서 탄성 가압편(54) 및 스토퍼(55)와는 반대쪽(이면쪽)으로 돌출되며, 나머지 1개의 다리(57)는 베이스부(53)에서 스토퍼(55)와는 반대쪽의 가장자리에 있는 두 탄성 가압편(54)의 중간 위치에서 탄성 가압편(54) 및 스토퍼(55)와는 반대쪽(이면쪽)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접지 단자(52)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 등의 부재에 수용되지 않고, 노출 상태인 채로 다리(57)를 장착공(51H)에 관통시켜 납땜 등에 의해 지지판(51)에 대해 도통 가능하게 고착된다. 이에 따라, 한 장의 지지판(51)에 장착된 복수의 접지 단자(52)는, 지지판(51)을 통해 서로 도통 가능하게 접속되게 된다. 또한, 접지 부재(50)에는 전원 기판은 접속되지 않고, 지지판(51)은 섀시에 대해 도통 가능하게 접속된다.
[접지 단자(52)에 대한 방전관(15)의 장착]
방전관(15)을 접지 단자(52)에 장착할 때에는, 방전관(15)을 수평으로 향한 상태로 섀시(13)의 정면에 접근시켜, 유리관(34)의 단부와 페룰(36)을 상하 한 쌍의 탄성 가압편(54)의 사이에 정면쪽에서 끼워넣는다. 이때, 한 쌍의 탄성 가압편(54)이 페룰(36)의 본체(37)에 의해 상하로 벌어지도록 탄성휨을 받고, 본체(37)가 한 쌍의 탄성 가압편(54)의 최소 간격 부분을 통과한 후는, 두 탄성 가압편(54)이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본체(37)를 베이스부(53)쪽으로 끌어당겨 본체(37)를 베이스부(53)에 맞닿게 함으로써, 방전관(15)의 장착이 완료된다. 한편, 방전관(15) 반대쪽의 단부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중계 커넥터(14)에 장착된다.
장착된 방전관(15)은, 그 양단부에서 중계 커넥터(14)와 접지 부재(50)에 의해 지지된다. 한 쌍의 탄성 가압편(32, 54)이 페룰(36) 본체(37)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므로, 외부 리드(35)가 페룰(36)을 통해 중계 단자(31)와 접지 단자(52)에 전기적 도통이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한 쌍의 탄성 가압편(5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유리관(34)이 스토퍼(26, 55)의 오목부(27, 56)에 밀어 붙여진 상태로 유지되어, 방전관(15)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는, 본체(37)의 일부가 스토퍼(26, 55)와 중첩되도록 위치한다. 즉, 본체(37)에서의 도전편(40)과는 반대쪽의 단부 가장자리의 일부가 스토퍼(26, 55)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접근해 대향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 단자(52)에 대해 보호부(551)를 마련해도 된다. 이 보호부(551)는, 탄성 가압편 규제부(552)와 지지판 당접부(553)를 구비하고, 접지 단자(52)가 지지판(51)에 장착되어 고정되었을 때에, 지지판 당접부(553)는 지지판(51)에 맞닿거나 근접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탄성 가압편(54)에 그것을 벌리려는 어떠한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벌어지는 과정에서 우선 탄성 가압편 규제부(552)에 맞닿는다. 그 후, 그 이상의 부하가 가해졌을 경우, 지지판 당접부(553)는 보호부(551)가 넘어지지 않게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보호부(551)는 탄성 가압편(54)의 기부에 연결되어 있어, 지지판 당접부(553)를 기능시키려면 지지판 당접부(553)를 그 연결된 부분보다 바깥쪽에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지판 당접부(553)를 보다 바깥쪽에 구성함으로써 한층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방전관(15)이 중계 커넥터(14)와 접지 부재(50)에 지지된 상태로, 방전관(15) 양단의 페룰(36)이 홀더(20)의 스토퍼(26)와 접지 단자(52)의 스토퍼(55)에 맞물리게 되므로, 방전관(15)이 중계 커넥터(14)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우려가 없다.
즉, 방전관(15)에 대해 중계 커넥터(14)쪽에서 접지 부재(50)쪽으로 이동력이 부여된 경우에는, 방전관(15)의 중계 커넥터(14)쪽 단부에 장착된 페룰(36)이 홀더(20)의 스토퍼(26)에 맞물리게 됨으로써, 방전관(15)의 접지 부재(50)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방전관(15)에 대해 접지 부재(50)쪽에서 중계 커넥터(14)쪽으로 이동력이 부여된 경우에는, 방전관(15)의 접지 부재(50)쪽 단부에서 페룰(36)이 접지 단자(52)의 스토퍼(55)에 맞물리게 되므로, 방전관(15)의 중계 커넥터(14)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방전관(15)은, 그 축선에 따른 좌우 어느 방향으로의 이동도 규제되므로, 외부 리드(35)의 선단이 수용실(23)에서 회피구(25)와는 반대쪽의 벽부나, 섀시(13)의 측벽에 부딪힐 우려가 없다.
또한, 접지 단자(52)의 스토퍼(55)에는, 스토퍼(55)에 페룰(36)을 맞물린 상태에서 유리관(34)의 외주와 맞닿거나 근접하는 오목부(56)가 형성되고, 접지 단자(52)에는 방전관(15)을 오목부(56)쪽으로 가압 가능한 한 쌍의 탄성 가압편(54)이 마련되는데, 이 한 쌍의 탄성 가압편(54)은 경사 상방 및 경사 하방으로부터 상하 대칭으로 방전관(15)을 오목부(56)쪽으로 가압하므로, 유리관(34)이 오목부(56)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없고, 페룰(36)을 스토퍼(55)에 대해 확실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지 부재(50)에서는, 스토퍼(55)가 페룰(36)과의 도통 수단인 접지 단자(5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지 단자와는 별개의 부품인 스토퍼를 마련한 것과 비교하면,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부품수가 적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페룰에서 스토퍼가 맞물리는 부분은 페룰의 축 방향 단부 가장자리에 한정하지 않고, 페룰의 축 방향에서 대략 중앙 위치에 형성한 맞물림부에 스토퍼를 맞물리게 해도 된다.
(2) 1개의 페룰에 대해 2개의 스토퍼가 맞물리게 해도 된다. 이 경우, 스토퍼가 페룰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끼우듯이 맞물리는 구조로 하면, 방전관의 양단부 중 일단부의 바깥에 끼워진 페룰에만 스토퍼가 맞물리게 하면 된다. 물론, 방전관 양단의 페룰 모두에 대해 각각, 2개의 스토퍼가 맞물리는 구조라도 무방하다.
(3) 스토퍼에 대해 페룰이 맞물리는 방향은, 축선 방향에서 중앙에서 단부로 향하는 방향이라도 무방하다.
(4) 스토퍼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원호형에 한정되지 않고, 둘레 방향으로 점재하는 형태라도 된다.
(5) 페룰에 탄성 지지편을 형성하지 않고, 페룰 자체를 유리관의 외경에 탄성적으로 끼워도 된다. 이 경우, 페룰과 스토퍼의 맞물림 마진은 페룰의 판 두께에 상당하는 치수가 된다.
(6) 스토퍼 오목부의 곡률 반경은 방전관의 유리관 외주의 곡률 반경과 대략 같은 치수로 한정하지 않고, 유리관의 외주의 곡률 반경보다 커도 된다.
(7) 탄성 가압편은 1개뿐이라도 된다. 이 경우, 탄성 가압편은 방전관을 사이에 두고 오목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8) 탄성 가압편은 페룰에 맞닿지 않고, 방전관의 유리관에 맞닿는 형태라도 된다. 이 경우, 페룰에 대해 도통 가능하게 접촉하는 수단을 탄성 가압편과는 별개로 마련하면 된다.
(9) 오목부는 원호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타원형, 사다리꼴, 삼각형 등의 비원형이라도 된다.
(10) 홀더에 스토퍼를 형성하지 않고, 홀더에 조립되어 있는 접속 부품에 스토퍼를 형성해도 된다.
(11) 도전편에서의 외부 리드와의 접속 부분은, 외부 리드를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는 통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대략 U자 형상이나 대략 V자 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도전편의 판상 선단부를 외부 리드의 외주에 맞닿게 해도 되고, 이 경우, 도전편의 판상 선단부에 형성한 홈에 외부 리드를 끼워도 된다.
(12)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은 스위칭 소자가 TFT인 것에 한정하지 않고, 스위칭 소자가 MIM(Metal Insulator Metal) 등 TFT 이외의 것이라도 된다.
(13) 표시 장치로서는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하지 않고, 표시 패널의 배면쪽에 조명 장치를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의 표시 장치가 포함된다.
(14) 중계 커넥터에서의 전원 기판과의 접속부는 돌출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함몰된 형태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전원 기판에서의 중계 커넥터와의 접속부는 돌출된 형태가 된다.
(15) 전원으로는 회로 기판에 전자 부품을 실장한 전원 기판에 한정하지 않고, 회로 기판을 이용하지 않고 전자 부품을 배선으로 연결한 것도 포함된다.
(16) 회로 기판에 기판 커넥터를 마련하지 않고, 중계 커넥터를 케이블을 통해 전원(전원 기판)에 접속해도 된다.
(17) 전원은 회로 기판에서 섀시쪽 정면에 기판 커넥터를 실장한 형태라도 된다.
(18) 페룰의 재료로서 스텐레스스틸 이외의 금속을 이용해도 되며, 금속 이외의 도전성 수지나 도전성 고무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19) 유리관으로부터 돌출하는 외부 리드는 유리관과 동축의 위치에 한정하지 않고, 유리관의 축선에 대해 지름 방향으로 편심한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20) 유리관으로부터 직선상으로 돌출하는 외부 리드는 유리관의 축심과 평행한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유리관의 축심에 대해 경사 방향이라도 된다.
(21) 외부 리드는 굴곡된 형태라도 된다.
(22) 방전관으로는 냉음극선관에 한정하지 않고, 열음극선관, 크세논관, 형광등 등을 이용해도 된다.
(23) 페룰의 본체는 원통형에 한정하지 않고, 링형이나 대략 C자형의 것이라도 된다.
(24) 탄성 지지편의 수는 세 쌍에 한정하지 않고, 두 쌍 이하나 네 쌍 이상이라도 된다. 또한, 쌍을 구성하지 않는 단독의 탄성 지지편을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해도 된다.
(25) 탄성 지지편은 전방 또는 후방에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는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전후 양단이 본체에 지지된 양단 지지 형태라도 된다.
(26) 통형상부와 외부 리드는 납땜에 의해 도통 가능하게 접속해도 된다.
(27) 중계 단자의 재료로서 스텐레스스틸 이외의 금속을 이용해도 된다.
(28) 출력 단자의 재료로서 양은 이외의 금속을 이용해도 된다.
(29) 제2 실시 형태의 접지 단자의 재료로서 양은 이외의 금속을 이용해도 된다.
D: 표시 장치
10: 조명 장치
13: 섀시
14: 중계 커넥터(지지 부재)
15: 방전관
20: 홀더
26: 스토퍼
27: 오목부
31: 중계 단자(접속 단자)
32: 탄성 가압편
34: 유리관
35: 외부 리드
36: 페룰
37: 본체
38A, 38B: 탄성 지지편
40: 도전편
42: 통형상부
50: 접지 부재(지지 부재)
52: 접지 단자(접속 단자)
54: 탄성 가압편
55: 스토퍼

Claims (24)

  1. 섀시에 대해, 상기 섀시에 마련한 지지 부재에 의해, 유리관의 적어도 일단부에 대략 통 형상의 페룰이 바깥에서 끼워진 형태의 방전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로서,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페룰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방전관의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방전관이 상기 유리관의 단부로부터 외부 리드를 축 방향으로 돌출시킨 형태이고, 상기 페룰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외부 리드쪽으로 연장된 도전편이 상기 외부 리드에 접속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페룰에서 상기 도전편과 반대쪽의 단부 가장자리를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의 지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페룰에서 상기 도전편과 반대쪽의 단부 가장자리에 고정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의 지지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편에는, 상기 외부 리드에 대해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듯이 접속되는 통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의 지지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의 내경이 상기 유리관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페룰에 형성한 탄성 지지편을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페룰이 상기 유리관에 대해 대략 동심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의 지지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스토퍼에 상기 페룰을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상기 유리관의 외주가 맞닿거나 근접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방전관을 상기 오목부쪽으로 가압 가능한 탄성 가압편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의 지지 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합성 수지제의 홀더 내에 접속 부품을 조립한 형태이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의 지지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페룰에 대해 도통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는 접속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품에 상기 스토퍼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의 지지 구조.
  8. 섀시에 마련되고, 유리관의 단부에 대략 통 형상의 페룰이 바깥에서 끼워진 형태를 가지고, 상기 유리관의 단부로부터 외부 리드를 축 방향으로 돌출시킴과 함께, 상기 페룰의 일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외부 리드쪽으로 연장된 도전편을 상기 외부 리드에 접속시킨 형태의 방전관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상기 페룰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방전관의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페룰에서 상기 도전편과 반대쪽의 단부 가장자리를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페룰에서 상기 도전편과 반대쪽의 단부 가장자리를 고정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스토퍼에 상기 페룰을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상기 유리관의 외주가 맞닿거나 근접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전관을 상기 오목부쪽으로 가압 가능한 탄성 가압편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합성 수지제의 홀더와, 상기 홀더 내에 조립된 접속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에 대해 도통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는 접속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품에 상기 스토퍼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13. 유리관의 단부에 대략 통 형상의 페룰이 바깥에서 끼워진 형태이며, 섀시에 마련한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방전관에 있어서,
    상기 페룰이, 상기 유리관의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부재에 마련한 스토퍼에 대해 맞물릴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유리관의 단부로부터 외부 리드가 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페룰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외부 리드쪽으로 연장된 도전편이 상기 외부 리드에 접속되며,
    상기 페룰에서 상기 도전편과 반대쪽의 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스토퍼에 대해 맞물릴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편에는, 상기 외부 리드에 대해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듯이 접속되는 통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의 내경이 상기 유리관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페룰에 형성한 탄성 지지편을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페룰이 상기 유리관에 대해 대략 동심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16. 섀시에 마련한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방전관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전관을 구성하는 유리관의 단부에 바깥에서 끼워지는 대략 통 형상의 페룰에 있어서,
    상기 방전관이 상기 유리관의 단부로부터 외부 리드를 축 방향으로 돌출시킨 형태의 것으로서,
    상기 유리관의 바깥에 끼워지는 통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외부 리드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 리드에 접속되는 도전편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서 상기 도전편과 반대쪽의 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방전관의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상기 지지 부재에 마련한 스토퍼에 대해 맞물릴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편에는, 상기 외부 리드에 대해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듯이 접속되는 통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내경이 상기 유리관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유리관의 바깥에 끼워지는 통 형상의 본체를 갖고,
    상기 본체에 형성한 탄성 지지편을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유리관에 대해 대략 동심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
  19.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의 적어도 일단부에 바깥에서 끼워진 대략 통 형상의 페룰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전관과,
    상기 방전관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를 구비한 섀시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페룰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방전관의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 가능한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방전관은 상기 유리관의 단부로부터 외부 리드를 축 방향으로 돌출시킨 형태이고, 상기 페룰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외부 리드쪽으로 연장된 도전편이 상기 외부 리드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페룰에서 상기 도전편과 반대쪽의 단부 가장자리에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페룰에서 상기 도전편과 반대쪽의 단부 가장자리에 고정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의 내경이 상기 유리관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페룰에 형성한 탄성 지지편을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맞댐으로써, 상기 페룰이 상기 유리관에 대해 대략 동심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스토퍼에 상기 페룰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유리관의 외주가 맞닿거나 근접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방전관을 상기 오목부쪽으로 가압 가능한 탄성 가압편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의 정면쪽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24. 제23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107004667A 2006-11-30 2007-06-04 방전관의 지지 구조, 지지 부재,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1002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24222 2006-11-30
JP2006324222 2006-11-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811A Division KR101082237B1 (ko) 2006-11-30 2007-06-04 방전관의 지지 구조, 지지 부재,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464A true KR20100038464A (ko) 2010-04-14
KR101002152B1 KR101002152B1 (ko) 2010-12-17

Family

ID=3946756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811A KR101082237B1 (ko) 2006-11-30 2007-06-04 방전관의 지지 구조, 지지 부재,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097027162A KR101102174B1 (ko) 2006-11-30 2007-06-04 방전관의 지지 구조, 지지 부재,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107004667A KR101002152B1 (ko) 2006-11-30 2007-06-04 방전관의 지지 구조, 지지 부재,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811A KR101082237B1 (ko) 2006-11-30 2007-06-04 방전관의 지지 구조, 지지 부재,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097027162A KR101102174B1 (ko) 2006-11-30 2007-06-04 방전관의 지지 구조, 지지 부재,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3) US8319901B2 (ko)
EP (1) EP2101108B1 (ko)
JP (3) JP4951004B2 (ko)
KR (3) KR101082237B1 (ko)
CN (2) CN101893214B (ko)
AT (1) ATE530850T1 (ko)
BR (1) BRPI0718881A2 (ko)
CA (1) CA2670592C (ko)
MX (1) MX2009005545A (ko)
RU (1) RU2412502C1 (ko)
TW (2) TW200824200A (ko)
WO (1) WO20080657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871A (ko) 2015-06-17 2016-12-27 양순구 일방향 클러치 제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1004B2 (ja) 2006-11-30 2012-06-13 シャープ株式会社 放電管の支持構造、支持部材、放電管、口金、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5048689B2 (ja) * 2007-02-06 2012-10-17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090059998A (ko) 2007-12-07 2009-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가지는 표시장치
WO2010004820A1 (ja) * 2008-07-11 2010-01-14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20120242909A1 (en) * 2009-12-11 2012-09-27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5387633B2 (ja) * 2011-08-05 2014-01-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放電管及び該放電管を備えた発光装置
WO2015059730A1 (ja) * 2013-10-21 2015-04-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および自転車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8633A (en) * 1936-06-26 1938-02-15 Gen Electric Fitting for tubular incandescent lamps
JP2593528B2 (ja) * 1988-08-04 1997-03-26 日立粉末冶金株式会社 含油滑り軸受
JPH051848Y2 (ko) 1988-09-27 1993-01-19
JPH03285231A (ja) 1990-03-30 1991-12-16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放電ランプ装置
US5015015A (en) * 1990-05-30 1991-05-14 Hart & Cooley, Inc. Clip securing arrangement for ventilation systems
US5389010A (en) * 1992-09-02 1995-02-14 Daiichi Denso Buhin Co., Ltd. Connector for electrical components
US5317663A (en) * 1993-05-20 1994-05-31 Adc Telecommunications, Inc. One-piece SC adapter
DE69624913T2 (de) * 1995-08-30 2003-07-0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lektrische reflektorlampe
JP3903706B2 (ja) 2000-09-07 2007-04-11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ランプの給電構造
KR100883091B1 (ko) 2002-06-28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몰드 프레임과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장치
JP4189997B2 (ja) 2003-03-26 2008-12-03 Tdk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CN100437877C (zh) * 2003-06-03 2008-11-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灯管单元
JP2005107181A (ja) * 2003-09-30 2005-04-21 Sony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液晶表示装置
US7434957B2 (en) 2003-12-30 2008-10-14 L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ITPD20040030A1 (it) * 2004-01-30 2004-04-30 Iso Italia Srl Portalampada per lampade senza filo con attacco rapido e relativa lampada
JP4306521B2 (ja) 2004-04-12 2009-08-0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用照明装置
KR20060001423A (ko) * 2004-06-30 2006-01-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JP4719486B2 (ja) * 2004-10-01 2011-07-06 三星電子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WO2006070645A1 (ja) * 2004-12-28 2006-07-06 Sharp Kabushiki Kaisha 光源の支持構造、この支持構造を備える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JP2006244749A (ja) 2005-03-01 2006-09-14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バックライト用コネクタ
WO2007063628A1 (ja) * 2005-11-30 2007-06-07 Sharp Kabushiki Kaisha 陰極線管、陰極線管の製造方法、その陰極線管を用いた照明装置、照明装置の製造方法、照明装置の製造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EP2045509B1 (en) * 2006-06-30 2015-04-22 Sharp Kabushiki Kaisha Backlight module manufacturing method, lamp unit, lighting jig, illuminat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JP4951004B2 (ja) * 2006-11-30 2012-06-13 シャープ株式会社 放電管の支持構造、支持部材、放電管、口金、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4446291B2 (ja) * 2008-03-28 2010-04-07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放電管用コネクタ、コネクタ付き放電管及びその製法並びに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871A (ko) 2015-06-17 2016-12-27 양순구 일방향 클러치 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93214A (zh) 2010-11-24
KR101102174B1 (ko) 2012-01-02
BRPI0718881A2 (pt) 2013-02-26
KR20100022089A (ko) 2010-02-26
JP4437162B2 (ja) 2010-03-24
KR101082237B1 (ko) 2011-11-09
RU2412502C1 (ru) 2011-02-20
CN101542199B (zh) 2011-04-20
EP2101108B1 (en) 2011-10-26
EP2101108A1 (en) 2009-09-16
JP2010034081A (ja) 2010-02-12
US20100097785A1 (en) 2010-04-22
US8319901B2 (en) 2012-11-27
US20100141846A1 (en) 2010-06-10
US8118446B2 (en) 2012-02-21
MX2009005545A (es) 2009-08-13
JP4712109B2 (ja) 2011-06-29
ATE530850T1 (de) 2011-11-15
KR101002152B1 (ko) 2010-12-17
TW201018027A (en) 2010-05-01
TW200824200A (en) 2008-06-01
TWI347050B (ko) 2011-08-11
JP2009283470A (ja) 2009-12-03
US8297770B2 (en) 2012-10-30
JP4951004B2 (ja) 2012-06-13
CN101893214B (zh) 2012-12-26
CN101542199A (zh) 2009-09-23
KR20090091747A (ko) 2009-08-28
JPWO2008065763A1 (ja) 2010-03-04
TWI347051B (ko) 2011-08-11
US20100066916A1 (en) 2010-03-18
WO2008065763A1 (fr) 2008-06-05
RU2009124918A (ru) 2011-01-10
CA2670592A1 (en) 2008-06-05
CA2670592C (en) 2012-01-03
EP2101108A4 (en) 201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935B1 (ko) 중계 커넥터, 중계 커넥터와 전원의 조립 구조, 중계 커넥터에 대한 방전관 및 전원의 조립 구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1002152B1 (ko) 방전관의 지지 구조, 지지 부재,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0982131B1 (ko)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0981211B1 (ko) 전원 기판, 기판 커넥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1039168B1 (ko) 전원 기판, 기판 커넥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1027197B1 (ko) 방전관,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0980944B1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5027881B2 (ja) 表示装置用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1149537B1 (ko) 중계 커넥터, 중계 커넥터와 다른 부품과의 조립 구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