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149A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149A
KR20100038149A KR1020090092956A KR20090092956A KR20100038149A KR 20100038149 A KR20100038149 A KR 20100038149A KR 1020090092956 A KR1020090092956 A KR 1020090092956A KR 20090092956 A KR20090092956 A KR 20090092956A KR 20100038149 A KR20100038149 A KR 20100038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unit
screen
condition
group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0772B1 (ko
Inventor
후미노리 이와베
마사미 미나미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8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77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패널에 표시되는 조작설정을 유효와 무효로 전환하는 수고를 경감한다.
재봉기는, 표시부(52)에 표시되는 화면마다, 조작부(51)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연동시키는 조작부 그룹을 기억하는 조작부 그룹 기억수단(62)과, 표시부에 표시되는 서로의 화면사이에서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연동시키는 조작부 그룹을 가진 화면군을 기억하는 화면군 기억수단(62)을 구비한다. 제어수단(6)은, 조작조건이 제 1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고, 제 2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와 동일한 조작부 그룹에 속하는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고, 제 3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를 포함하는 조작부 그룹을 가진 각 화면에 대해서, 조작부와 동일한 조작부 그룹에 속하는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도록 연동시킨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작업자에게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는 동시에 작업자에 의해 지시 입력이 이루어지는 조작패널을 구비하는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재봉기의 조작패널은, 터치패널식이 주류를 이루며,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작패널의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각 조작버튼(아이콘)의 조작설정을 유효로 할지 무효로 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특정한 조작버튼의 조작설정을 무효로 함으로써, 설정 시기나 설정 내용 등에 따라 변경할 필요가 없는 재봉기의 제어정보가 작업자의 오(誤)조작이나 오접촉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조작버튼(B1~B10)이 특정한 패턴(다이렉트패턴 「P01」∼ 「P10」)에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음에 있어서, 현재 선택중인 봉제 패턴을, 디폴트의 봉제 패턴 사양을 변경한 다이렉트패턴 「P01」등으로 변경하고 싶지 않을 경우, 「P01」에 대응하는 조작버튼(B1)의 조작설정을 무효로 함으로써, 현재 선택중인 봉제 패턴이 다이렉트패턴(P01)으로 변경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조작패널은, 「통상조작모드」의 화면과, 조작설정의 유/무효 전환을 수행하는 「조작설정모드」의 화면으로 전환 가능하다. 조작설정모드에 있어서, 어떠한 기능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무효 또는 유효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해당 조작버튼을 통상보다 길게 가압함으로써, 길게 가압되기 전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설정모드의 화면에 있어서는, 조작설정이 무효로 되어 있는 조작버튼(B1) 상에는 조작설정 무효를 나타내는 마크(M)가 표시된다. 한편,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조작모드의 화면에 있어서는, 조작설정이 무효로 되어 있는 조작버튼(B1)(다이렉트패턴 「P01」)의 프레임은 없어지고, 그 조작버튼(B1)의 조작은 무효가 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199985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것에서는, 표시되는 복수의 다이렉트패턴 중, 다수의 다이렉트패턴에 대해서 변경하고 싶지 않다고 한 경우, 예컨대 도 11의 경우에 있어서, 「P01」∼ 「P10」의 10개의 다이렉트패턴 선택에 대응하는 조작버튼(B1~B10) 중 9개의 조작버튼을 무효로 하고 싶을 때에는, 9개의 조작버튼의 조작설정을 1개씩 무효로 해야만 하므로, 수고스럽다. 또한, 현재 선택중인 봉제 패턴이 내부에 미리 기억된 봉제 패턴(작업자 패턴)인지 외부접속에 의해 읽어들인 봉제 패턴(미디어 패턴)인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현재 선택중인 봉제 패턴을 어느 다 이렉트패턴으로도 변경하고 싶지 않은 경우라면, 작업자 패턴에서 10개, 미디어 패턴에서 10개 합계 20개의 다이렉트패턴 선택 조작버튼의 조작설정을 1개씩 무효로 해야만 하여, 더 수고스럽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작패널에 표시되는 조작설정을 유효와 무효로 전환하는 수고를 경감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지시 입력되는 복수의 조작부와, 상기 복수의 조작부를 표시하는 동시에 작업자에게 알리는 복수의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터치패널방식의 조작패널과, 작업자에 의해 지시 입력된 상기 조작부의 조작조건을 검출하고, 미리 기억된 설정조건을 만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재봉기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마다, 상기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연동시키는 조작부 그룹을 기억하는 조작부 그룹 기억수단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서로의 화면사이에서 상기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연동시키는 조작부 그룹을 가진 화면군(群)을 기억하는 화면군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설정조건이 적어도 제 1 조건, 제 2 조건, 제 3 조건이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조건이 제 1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고, 상기 조작조건이 상기 제 2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조작부 그룹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부 그룹 중,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와 동일한 조작부 그룹에 속하는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고, 상기 조작조건이 상기 제 3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화면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화면군 중,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를 포함하는 조작부 그룹을 가진 화면군의 각 화면에 대해서, 조작부와 동일한 조작부 그룹에 속하는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도록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설정조건은 상기 조작부의 연속가압시간으로서, 상기 제 1 ∼ 제 3 조건의 순서에 따라 긴 가압시간이 설정되어, 상기 조작부의 연속가압시간이 제 1 연속가압시간 이상이고 제 2 연속가압시간 미만인 경우에, 제 1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하여,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고, 상기 조작부의 연속가압시간이 제 2 연속가압시간 이상이고 제 3 연속가압시간 미만인 경우에, 제 2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하여, 상기 조작부 그룹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부 그룹 중,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와 동일한 조작부 그룹에 속하는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고, 상기 조작부의 연속가압시간이 제 3 연속가압시간 이상인 경우에, 제 3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하여, 상기 화면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화면군 중,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를 포함하는 조작부 그룹을 가진 화면군의 각 화면에 대해서, 조작부와 동일한 조작부 그룹에 속하는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도록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재봉기에 있어서,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마다, 상기 조작부 그룹 기억수단에 기억된 조작부 그룹마다, 상기 화면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면군마다 중 어느 범위에서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도록 연동시킬지를 설정하는 범위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은, 조작부의 조작조건이 제 1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고, 조작조건이 제 2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조작부 그룹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와 동일한 군의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고, 조작조건이 제 3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화면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를 포함하는 조작부 그룹을 가진 각 화면의 조작부와 동일한 군의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도록 연동시킨다.
이에 따라, 같은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조작부 중, 조작부 그룹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부 그룹마다 일괄해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화면에 걸쳐 표시되는 복수의 조작부 그룹 중, 화면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화면군의 조작부 그룹마다 일괄해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조작부마다 유효 또는 무효의 전환 조작을 할 필요가 없게 되어, 조작패널에 표시되는 조작부의 조작설정을 유효와 무효로 전환하는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화면마다 조작부의 전체 데이터를 검색할 필요 없이 화면단위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제어수단의 처리 속도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입력설정조건은, 조작부의 연속가압시간으로서, 제 1 ∼ 제 3 조건의 순서에 따라 긴 가압시간이 설정되어, 제어수단은, 조작부의 연속가압시간이 제 1 연속가압시간 이상이고 제 2 연속가압시간 미만인 경우에, 제 1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하여,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고, 조작부의 연속가압시간이 제 2 연속가압시간 이상이고 제 3 연속가압시간 미만인 경우에, 제 2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하여, 조작부 그룹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와 동일한 군의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고, 조작부의 연속가압시간이 제 3 연속가압시간 이상인 경우에, 제 3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하여, 화면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를 포함하는 조작부 그룹을 가진 각 화면의 조작부와 동일한 군의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도록 연동시킨다.
이에 따라, 같은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조작부 중, 조작부 그룹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부 그룹마다 일괄해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화면에 걸쳐 표시되는 복수의 조작부 그룹 중, 화면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화면군의 조작부 그룹마다 일괄해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조작부마다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조작할 필요가 없게 되어, 조작패널에 표시되는 조작부의 조작설정을 유효와 무효로 전환하는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화면마다 조작부의 전체 데이터를 검색할 필요없이 화면단위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제어수단의 처리 속도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범위설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는, 어느 범위에서 조작부를 유효 또는 무효로 연동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조작패널의 사양이나 작업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구분해서 쓸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재봉기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재봉기의 구성>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1)는, 재봉기 본체(2)와, 재봉기 본체(2)의 하방에 형성된 재봉기 모터(3)와, 밟기조작에 의해 재봉기(1)를 구동시키는 페달(4)과, 작업자가 지시를 입력하는 동시에 봉제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조작패널(5)과, 재봉기(1)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장치(6)를 구비하고 있다.
재봉기 본체(2)는, 주축(21)에 바늘대(22)가 연결되어 있고, 주축(21)의 회전에 의해 바늘대(22)가 상하이동하여 재봉바늘(23)을 상하이동시킴으로써 봉제를 수행한다.
재봉기 모터(3)는 주축(21)을 회전시키는 구동원이고, 그 구동은 벨트(31)를 통해 주축(21)에 전달된다.
페달(4)은, 제어장치(6)에 접속되어 있고, 페달(4)의 밟기신호가 제어장치(6)에 전달된다. 그리고, 제어장치(6)는 그 신호에 따른 속도로 재봉기 모터(3)를 구동시킨다.
(조작패널)
조작패널(5)은, 예컨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제시에 작업자로부터 지시 입력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조작부(51)와, 복수의 조작부(51)의 표시와 함께 작업자에게 알리는 복수의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패널(5)은, 소위 터치패널식이고, 표시부(52)에 의해 액정표시가 이루어지며, 이 표시부(52)에 투명한 터치 센서가 겹쳐져 있다. 조작패널(5)은, 예컨대, 각종 조작버튼이 조작된 것에 근거하는 각종 조작신호를 제어장치(6)에 송신한다. 제어장치(6)는, 그 수신신호에 따라 다양한 연산이나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조작패널(5)로부터 입력된 각종 봉제조건으로서 봉제처리에 관한 데이터가 소정의 회선을 통해 제어장치(6)에 송신되어, 제어장치(6)는 재봉기(1)의 봉제를 제어한다.
조작패널(5)의 화면인 표시부(52)에는, 각종 조작버튼이나 스위치, 각종 설정값이나 각종 봉제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표시부(52)에는, 각 조작버튼을 유효 또는 무효로 조작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설정모드와 봉제조건 등의 입력을 수행하는 통상조작모드를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51)는,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종류의 커스텀 데이터로 변경하는 다이렉트패턴 선택 조작버튼(70∼79, 80∼89), X방향의 확대율 변경 조작버튼(91), Y방향의 확대율 변경 조작버튼(92), 재봉기 모터(3)의 회전속도 변경 조작버튼(93), 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변경하는 실장력 변경 조작버튼(94) 등이며, 이들이 표시부(52)에 표시되어 있다. 이들은, 각각 조작버튼에 접촉함으로써 조건을 변경할 수 있고, 연속해서 계속 가압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조작설정을 유효와 무효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은 제어장치(6)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디폴트의 봉제 패턴(이하, ‘작업자 패턴’이라 함)을 표시하는 것이고, 도 4는 제어장치(6)로의 외부기억매체에 기억된 봉제 패턴(이하, ‘미디어 패턴’이라 함)을 표시하는 것이다. 외부기억매체에 기억된 봉제 패턴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외부기억매체를 제어장치(6)에 접속하고, 제어장치(6)에 의해 읽어들인다. 모두 봉제 패턴을 결정짓는 데 필요한 데이터가 공통되어 있고, 상세한 조건의 변경 방법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는, 표시부(52)에 표시되어 있는 다이렉트패턴 선택 조작버튼(70∼79, 80∼89) 중, 어느 조작버튼이 연속해서 가압된 경우에, 그 가압시간에 따라, (1) 가압된 조작버튼의 유효 또는 무효의 조작설정만을 수행, (2) 가압된 조작버튼 이 있는 화면에서 10개의 다이렉트패턴 선택 조작버튼(70∼79)의 유효 또는 무효의 조작설정을 수행, (3) 전체 화면에서 20개의 다이렉트패턴 선택 조작버튼(70∼79, 80∼89)의 유효 또는 무효의 조작설정을 수행하는, 경우의 각각에 대해서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참고로, 다이렉트패턴 선택 조작버튼(70∼79, 80∼89)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물론 다른 조작버튼의 조작설정에도 적용 가능하다.
(제어장치)
제어장치(6)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61)와, 각종 기능이나 동작의 실현에 관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제어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ROM(62)과, ROM(62)으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의 저장 영역이나 작업영역 등을 구성하는 RAM(63)을 구비하고, 재봉기 모터(3), 페달(4), 다른 액추에이터 등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장치(6)는,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조작패널(5)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조작패널(5)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ROM(62)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52)에 표시되는 화면마다, 표시되는 각각의 조작버튼에 대해서, 조작버튼번호와, 조작버튼 그룹번호와, 표시되는 이미지(아이콘의 도안)가 설정된 조작버튼 그룹번호표가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다.
조작버튼 그룹번호표는, 조작버튼번호와 조작버튼 그룹번호를 항목으로 갖는 데이터 표이다. 조작버튼 그룹번호표는 조작설정모드의 화면수만큼 준비되어 있다.
조작버튼번호는, 화면내에 표시되는 각 조작버튼을 식별하기 위해서 할당되는, 조작버튼과 1대 1로 대응하는 번호이다.
조작버튼 그룹번호는, 유효 또는 무효의 조작설정을 일괄적으로 설정하고 싶은 조작버튼의 그룹(조작부 그룹. 이하, ‘조작버튼그룹’이라 함)에 할당하는 번호이다. 조작버튼그룹에 할당하는 번호는 0 이외에서 그룹마다 번호를 할당한다. 조작설정이 일괄적으로 설정되지 않는 조작버튼, 즉 어느 조작버튼그룹에도 속하지 않는 조작버튼에는 0을 설정한다. 따라서, ROM(62)은 조작부 그룹 기억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 5에 나타낸 조작버튼 그룹번호표에 있어서는, 작업자 패턴 표준화면과 미디어 패턴 표준화면에 존재하는, 20개의 다이렉트패턴 선택 조작버튼(70~79, 80~89)을 조작버튼그룹으로 했을 때의, 작업자 패턴 표준화면과 미디어 패턴 표준화면 각각의 조작버튼 그룹번호표이다. 조작버튼 그룹번호표에서 정한 조작버튼그룹을 나타내기 위하여, 동일한 조작버튼그룹끼리의 조작버튼(70~79, 80~89)은, 조작버튼 프레임을 같은 색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도 5에 있어서는, 동일한 조작버튼그룹으로 되어 있는 다이렉트패턴 선택 조작버튼의 조작버튼 프레임은 적색으로 표시하고 있다.
ROM(62)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설정시에 관련짓는 화면에 대해서 설정된 관련화면 번호표가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다.
관련화면 번호표란, 설정화면번호와 관련화면번호를 항목으로 갖는 데이터 표이다.
설정화면번호는 화면을 식별하기 위해 할당되는, 화면과 1대 1로 대응하는 번호이다.
관련화면번호는, 유효 또는 무효의 조작설정을 일괄적으로 설정하고 싶은 화면의 그룹(화면군. 이하, ‘화면 그룹’이라 함)에 할당하는 번호이다.
화면에 존재하는 어떠한 조작버튼이, 화면간에 미치는 조작버튼그룹에 속해 있는 경우, 그 조작버튼그룹이 존재하는 모든 화면의 관련화면번호에는, 0 이외의 같은 번호를 할당한다. 화면간에 미치는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조작버튼이 존재하지 않는 화면의 관련화면번호에는 0을 설정한다. 따라서, ROM(62)은 화면군 기억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관련화면번호에는 조작버튼 그룹번호와 동일한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것은, 조작버튼그룹의 수가 늘어나는 경우에 데이터를 정리하는데 적합하다.
도 6에 나타낸 관련화면 번호표에 있어서는, 작업자 패턴 표준화면과 미디어 패턴 표준화면의 조작버튼 그룹번호표가 도 5에서의 관련화면 번호표이다.
ROM(62)에는 조작부(51)의 설정조건이 기억되어 있다. 설정조건은 제 1 조건에서 제 3 조건까지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설정조건은 조작부(51)의 연속가압시간이다.
제 1 조건은, 연속가압시간이 300msec(제 1 연속가압시간) 이상이고 600msec (제 2 연속가압시간) 미만이다.
제 2 조건은, 연속가압시간이 600msec(제 2 연속가압시간) 이상이고 900msec (제 3 연속가압시간) 미만이다.
제 3 조건은, 연속가압시간이 900msec(제 3 연속가압시간) 이상이다.
<조작설정의 처리>
여기서, 일례로서 다이렉트패턴 선택 조작버튼(70∼79, 80∼89)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 설정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로, 조작설정의 대상이 되는 것은, 다이렉트패턴 선택 조작버튼(70∼79, 80∼89)뿐만 아니라, 표시부(52)에 표시되는 모든 조작버튼이 대상이 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52)에 표시된 다이렉트패턴 선택 조작버튼(70∼79, 80∼89) 중, 조작버튼(70)이 가압되면, CPU(61)는, 조작부의 조작조건으로서 가압되어 있는 시간을 계측하여 검출하고, 미리 기억한 설정조건으로서 연속가압시간이 300msec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단계 S1에 있어서, CPU(61)는, 연속가압시간이 300msec을 경과한 시점에서 조작설정모드라고 판별한다. 또한, CPU(61)는 연속가압시간이 300msec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1:YES), CPU(61)는 가압된 조작버튼(70)만의 조작설정을 유효에서 무효, 또는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한다(단계 S2). 한편, CPU(61)가 연속가압시간이 300msec 미만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1:NO), CPU(61)는 본 처리를 종료시키고, 계속해서 통상모드로서, 조작버튼(70)이 조작된 것으로 판별하고, CPU는 조작버튼(70)의 본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대응하는 프로그램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상세한 내용은 생략함).
이어서, CPU(61)는 미리 기억한 설정조건으로서 연속가압시간이 600msec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
단계 S3에 있어서, CPU(61)는, 연속가압시간이 600msec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3: YES), CPU(61)는 가압되어 있는 조작버튼(70)의 조작버튼 그룹번호를 ROM(62)에 기억된 조작버튼 그룹번호표로부터 판독한다(단계 S4). 이 예에서는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버튼 그룹번호는 「1」이다.
이어서, CPU(61)는, 단계 S4에서 판독한 조작버튼 그룹번호 「1」이 0 이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
단계 S5에 있어서, CPU(61)는, 조작버튼 그룹번호가 0 이외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5:YES), CPU(61)는 가압된 조작버튼(70)이 속하는 화면(작업자 패턴 화면)에 있어서, 해당 조작패턴(70)과 동일한 조작버튼 그룹번호 「1」을 가진 모든 조작버튼번호 「70∼79」를 검색하고(단계 S6), CPU(61)는 동일한 조작버튼 그룹번호 「1」을 가진 조작버튼번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 한편, CPU(61)가 조작버튼 그룹번호가 0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5:NO), CPU(61)는 본 처리를 종료시킨다.
단계 S7에 있어서, CPU(61)는, 가압된 조작버튼(70)과 동일한 조작버튼 그룹번호 「1」의 조작버튼이 1개라도 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7:YES), CPU(61)는 검색에 의해 발견한 조작버튼 「71∼79」의 조작설정을 유효에서 무효, 또는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한다(단계 S8). 한편 단계 S7에 있어서, CPU(61)는, 가압된 조작버튼(70)과 동일한 조작버튼 그룹번호 「1」의 조작버튼이 1개도 없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7:NO), CPU(61)는 이하의 단계 S9의 처리를 수행한다.
이어서, CPU(61)는 미리 기억한 설정조건으로서 연속가압시간이 900msec 이 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
단계 S9에 있어서, CPU(61)는, 연속가압시간이 900msec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9:YES), CPU(61)는 가압되어 있는 조작버튼(70)의 화면번호 「G1」에 대응하는 관련화면번호 「1」을 ROM(62)에 기억된 관련화면 번호표로부터 판독한다(단계 S10).
이어서, CPU(61)는 단계 S10에서 판독한 관련화면번호 「1」이 0 이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
단계 S11에 있어서, CPU(61)는, 관련화면번호 「1」이 0 이외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11:YES), CPU(61)는 가압된 조작버튼(70)이 속하는 화면과 동일한 관련화면번호 「1」을 가진 모든 화면을 검색하고(단계 S12), CPU(61)는 동일한 관련화면번호 「1」을 가진 화면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3).
이 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디어 패턴의 화면 「G2」의 관련화면번호 「1」이 동일한 번호이다. 한편, CPU(61)가 관련화면번호가 O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11:NO), CPU(61)는 본 처리를 종료시킨다.
단계 S13에 있어서, CPU(61)는, 가압된 조작버튼이 속하는 화면과 동일한 관련화면번호 「1」의 조작버튼이 1개라도 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13:YES), CPU(61)는 검색에 의해 발견한 화면의 조작버튼 그룹번호 「1」을 검색하고(단계 S14), CPU(61)는 동일한 조작버튼 그룹번호를 가진 조작버튼번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5). 한편, CPU(61)가 관련화면번호가 0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13:NO), CPU(61)는 본 처리를 종료시킨다.
단계 S15에 있어서, CPU(61)는, 가압된 조작버튼(70)과 동일한 조작버튼 그룹번호 「1」의 조작버튼이 1개라도 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15:YES), CPU(61)는 검색에 의해 발견한 조작버튼(71∼79, 80∼89)의 조작설정을 유효에서 무효, 또는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하고(단계 S16), 본 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단계 S15에 있어서 CPU(61)는, 가압된 조작버튼(70)과 동일한 조작버튼 그룹번호 「1」의 조작버튼이 1개도 없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15:NO), CPU(61)는 본 처리를 종료시킨다.
<작용 효과>
이러한 구성을 가진 재봉기(1)에 따르면, 제어장치(6)는, 조작버튼(51)의 연속가압시간이 제 1 연속가압시간(300msec) 이상이고 제 2 연속가압시간(600msec) 미만인 제 1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버튼(51)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고, 연속가압시간이 제 2 연속가압시간(600msec) 이상이고 제 3 연속가압시간(900msec) 미만인 제 2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ROM(62)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버튼(70)과 동일한 조작버튼 그룹번호 「1」의 조작버튼(71∼79)의 조작설정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도록 연동시킨다.
이에 따라, 같은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조작버튼(70∼79) 중, ROM(62)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버튼 그룹번호 「1」마다 일괄해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장치(6)는, 조작버튼(51)의 연속가압시간이 제 3 연속가압시간(900msec) 이상인 제 3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ROM(62)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 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버튼(70)이 속하는 화면 「G1」과 동일한 관련화면번호 「1」을 가진 각 화면에서의 조작버튼(51)과 동일한 조작버튼 그룹번호 「1」의 조작버튼(51)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도록 연동시킨다.
이에 따라, 다른 화면에 걸쳐 표시되는 복수의 조작버튼(70∼79, 80∼89) 중, ROM(62)에 기억되어 있는 관련화면의 조작버튼그룹마다 일괄해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조작버튼(70∼79, 80∼89)마다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조작할 필요가 없게 되고, 조작패널(5)에 표시되는 조작버튼(70∼79, 80∼89)의 조작설정을 유효와 무효로 전환하는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그룹번호의 조작버튼을 같은 색으로 테를 두름에 따라, 시각적으로 조작버튼(70∼79, 80∼89)을 작업자에게 인식시킴으로써, 작업자는 아무런 조작없이, 조작패널(5)을 한 번 보는 것만으로 동일한 조작버튼그룹의 조작버튼(70∼79, 80∼89)을 인식할 수 있다.
(기타)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압시간에 따라 (1) 가압된 조작버튼의 유효 또는 무효의 조작설정만을 수행, (2) 가압된 조작버튼이 있는 화면에서 10개의 다이렉트패턴 선택 조작버튼(70∼79)의 유효 또는 무효의 조작설정을 수행, (3) 전체 화면에서 20개의 다이렉트패턴 선택 조작버튼(70∼79, 80∼89)의 유효 또는 무효의 조작설정을 수행하도록 하였는데, 가압시간 대신에, 제 2 실시예로서, 동일한 조작버 튼을 소정시간 내에서 연속해서 가압하는 횟수에 따라 제 1∼ 제 3 조건을 선택해도 된다.
예컨대, 동일 조작버튼을 500ms 이내에 연속 2회 가압하는 조작조건이 있을 경우에 조작설정모드로서, 제 1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별하고, 동일 조작버튼을 500ms 이내에 연속 3회 가압하는 조작조건이 있을 경우에 제 2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별하고, 동일 조작버튼을 500ms 이내에 연속 4회 가압하는 조작조건이 있을 경우에 제 3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별하여, 각각의 조건에 대응한 1 또는 복수 범위의 조작버튼에 대해서 유효 또는 무효를 전환해도 된다.
또한 제 3 실시예로서, 조작패널(5)로부터 일괄해서 조작설정하는 범위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패널(5)의 표시부(52)에는 화면전환 조작버튼(100)이 항상 표시되어 있다. 상기 화면전환 조작버튼(100)을 가압하면, CPU(61)는 일괄해서 조작설정을 수행하는 범위의 선택 화면을 표시시킨다. 이러한 선택 화면에는, (1) 가압된 조작버튼의 유효 또는 무효의 조작설정만을 수행하기 위한 개별 설정 조작버튼(101), (2) 가압된 조작버튼이 있는 화면 내에서 동일한 조작버튼 그룹번호의 유효 또는 무효의 조작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화면내 설정 조작버튼(102), (3) 전체 화면에서 동일한 조작버튼 그룹번호의 유효 또는 무효의 조작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유효 또는 무효의 조작설정을 수행하는 전체화면 설정 조작버튼(103)이 표시된다. 따라서, 개별 설정 조작버튼(101), 화면내 설정 조작버튼(102), 전체화면 설정 조작버튼(103)에 의해 범위설정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화면전환 조작버튼(100)을 가압하면, CPU(61)는 통상조작모드의 화면과 조작설정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모드전환 조작버튼(104, 105)을 표시시킨다.
여기서, 개별 설정 조작버튼(101), 화면내 설정 조작버튼(102), 전체화면 설정 조작버튼(103) 중 어느 것에 의해 조작설정을 수행하였을 때의 다이렉트패턴 선택 조작버튼(70∼79, 80∼89)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의 설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이용하는 각 표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52)에 표시된 다이렉트패턴 선택 조작버튼(70∼79, 80∼89) 중, 조작버튼(70)이 가압되면, CPU(61)는 가압되어 있는 시간을 계측하고, 연속가압시간이 300msec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1).
단계 S21에 있어서, CPU(61)는, 연속가압시간이 300msec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21:YES), CPU(61)는, 가압된 조작버튼(70)만의 조작설정을 유효에서 무효, 또는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한다(단계 S22). 한편, CPU(61)가 연속가압시간이 300msec 미만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21:NO), CPU(61)는 본 처리를 종료시킨다.
이어서, CPU(61)는 조작설정이 화면내 설정 조작버튼(102) 또는 전체화면 설정 조작버튼(103)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3).
단계 S23에 있어서, CPU(61)는, 조작설정이 화면내 설정 조작버튼(102) 또는 전체화면 설정 조작버튼(103)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23:YES), CPU(61)는 가압되어 있는 조작버튼(70)의 조작버튼 그룹번호를 ROM(62)에 기억된 조작버튼 그룹번호표로부터 판독한다(단계 S24). 이 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버튼 그룹번호는 「1」이다.
이어서, CPU(61)는 단계 S24에서 판독한 조작버튼 그룹번호 「1」이 0 이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5).
단계 S25에 있어서, CPU(61)는, 조작버튼 그룹번호가 0 이외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25:YES), CPU(61)는, 가압된 조작버튼(70)이 속하는 화면(작업자 패턴 화면)에 있어서, 해당 조작버튼(70)과 동일한 조작버튼 그룹번호 「1」을 가진 모든 조작버튼번호「70∼79」를 검색하고(단계 S26), CPU(61)는 동일한 조작버튼 그룹번호 「1」을 가진 조작버튼번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7). 한편, CPU(61)가 조작버튼 그룹번호가 0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25:NO), CPU(61)는 본 처리를 종료시킨다.
단계 S27에 있어서, CPU(61)는, 가압된 조작버튼(70)과 동일한 조작버튼 그룹번호 「1」의 조작버튼이 1개라도 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27:YES), CPU(61)는, 검색에 의해 발견한 조작버튼 「71∼79」의 조작설정을 유효에서 무효, 또는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한다(단계 S28). 한편 단계 S27에 있어서, CPU(61)는, 가압된 조작버튼(70)과 동일한 조작버튼 그룹번호 「1」의 조작버튼이 1개도 없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27:NO), CPU(61)는 이하의 단계 S29의 처리를 수행한다.
이어서, CPU(61)는 조작설정이 전체화면 설정 조작버튼(103)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9).
단계 S29에 있어서, CPU(61)는, 조작설정이 전체화면 설정 조작버튼(103)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29:YES), CPU(61)는 가압되어 있는 조작버튼(70)의 화면번호 「G1」에 대응하는 관련화면번호 「1」을 ROM(62)에 기억된 관련화면 번호표로 부터 판독한다(단계 S30).
이어서, CPU(61)는 단계 S30에서 판독한 관련화면번호 「1」이 0 이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
단계 S31에 있어서, CPU(61)는, 관련화면번호 「1」이 0 이외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31:YES), CPU(61)는 가압된 조작버튼(70)이 속하는 화면과 동일한 관련화면번호 「1」을 가진 모든 화면을 검색하고(단계 S32), CPU(61)는 동일한 관련화면번호 「1」을 가진 화면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3).
이 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디어 패턴의 화면 「G2」의 관련화면번호 「1」이 동일한 번호이다. 한편, CPU(61)가 관련화면번호가 0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31:NO), CPU(61)는 본 처리를 종료시킨다.
단계 S33에 있어서, CPU(61)는, 가압된 조작버튼이 속하는 화면과 동일한 관련화면번호 「1」의 조작버튼이 1개라도 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33:YES), CPU(61)는 검색에 의해 발견한 화면의 조작버튼 그룹번호 「1」을 검색하고(단계 S34), CPU(61)는 동일한 조작버튼 그룹번호를 가진 조작버튼번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5). 한편, CPU(61)가 관련화면번호가 0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33:NO), CPU(61)는 본 처리를 종료시킨다.
단계 S35에 있어서, CPU(61)는, 가압된 조작버튼(70)과 동일한 조작버튼 그룹번호 「1」의 조작버튼이 1개라도 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35:YES), CPU(61)는 검색에 의해 발견한 조작버튼(71∼79, 80∼89)의 조작설정을 유효에서 무효, 또는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하고(단계 S36), 본 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단계 S35에 있 어서, CPU(61)는, 가압된 조작버튼(70)과 동일한 조작버튼 그룹번호 「1」의 조작버튼이 1개도 없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35:NO), CPU(61)는 본 처리를 종료시킨다.
이상과 같이, 조작패널(5)에 범위설정화면을 표시하고, 이 화면으로부터 연동시켜 일괄 설정하는 조작설정의 범위를 결정함으로써, 작업자는 어느 범위에서 조작버튼(51)의 유효 또는 무효의 연동을 수행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조작패널(5)의 사양이나 작업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구분해서 쓸 수 있다.
또한, 조작버튼(51)의 유효 또는 무효의 연동을 수행시키는 범위는, 조작버튼(51)의 연속가압시간으로 결정해도 되고, 범위설정화면으로 그 범위를 설정해도 된다. 물론 양쪽을 채용해도 되고 한쪽만 채용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조작버튼(51)의 단위시간 중의 조작 횟수로 결정해도 된다.
또한, 제 1 ∼ 3 조건에 추가로 제 4 조건을 덧붙여, 제 1 ∼ 제 n 조건으로 해도 되고, 적어도 제 1 ∼ 3 조건을 구비하면 된다.
도 1은 재봉기의 개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어장치 주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조작설정모드의 작업자 패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조작설정모드의 미디어 패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조작버튼 그룹번호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관련화면 번호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조작설정의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조작설정의 범위를 설정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예의 조작설정의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종래기술에서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통상조작모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기술에서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조작설정모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재봉기 5: 조작패널
6: 제어장치(제어수단) 51: 조작버튼(조작부)
52: 표시부
62: ROM(조작부 그룹 기억수단, 화면군 기억수단)
70∼79: 다이렉트패턴 선택 조작버튼(조작부)
80∼89: 다이렉트패턴 선택 조작버튼(조작부)
101: 개별 설정 조작버튼(범위설정수단)
102: 화면내 설정 조작버튼(범위설정수단)
103: 전체화면 설정 조작버튼(범위설정수단)

Claims (3)

  1.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지시 입력되는 복수의 조작부와, 상기 복수의 조작부를 표시하는 동시에 작업자에게 알리는 복수의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터치패널방식의 조작패널과,
    작업자에 의해 지시 입력된 상기 조작부의 조작조건을 검출하고, 미리 기억된 설정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재봉기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마다, 상기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연동시키는 조작부 그룹을 기억하는 조작부 그룹 기억수단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서로의 화면사이에서 상기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연동시키는 조작부 그룹을 가진 화면군을 기억하는 화면군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설정조건이 적어도 제 1 조건, 제 2 조건, 제 3 조건이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조건이 제 1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고,
    상기 조작조건이 상기 제 2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조작부 그룹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부 그룹 중,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와 동일한 조작부 그룹에 속하는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며,
    상기 조작조건이 상기 제 3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화면군 기억수 단에 기억되어 있는 화면군 중,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를 포함하는 조작부 그룹을 가진 화면군의 각 화면에 대해서, 조작부와 동일한 조작부 그룹에 속하는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도록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조건은, 상기 조작부의 연속가압시간으로서, 상기 제 1 ∼ 제 3 조건의 순서에 따라 긴 가압시간이 설정되며,
    상기 조작부의 연속가압시간이 제 1 연속가압시간 이상이고 제 2 연속가압시간 미만인 경우에, 제 1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하여,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고,
    상기 조작부의 연속가압시간이 제 2 연속가압시간 이상이고 제 3 연속가압시간 미만인 경우에, 제 2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하여, 상기 조작부 그룹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부 그룹 중,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와 동일한 조작부 그룹에 속하는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며,
    상기 조작부의 연속가압시간이 제 3 연속가압시간 이상인 경우에, 제 3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하여, 상기 화면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화면군 중,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를 포함하는 조작부 그룹을 가진 화면군의 각 화면에 대해서, 조작부와 동일한 조작부 그룹에 속하는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도록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조작부마다, 상기 조작부 그룹 기억수단에 기억된 조작부 그룹마다, 상기 화면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면군마다 중 어느 범위에서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 또는 무효로 전환하도록 연동시킬지를 설정하는 범위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KR1020090092956A 2008-10-03 2009-09-30 재봉기 KR101630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58552 2008-10-03
JP2008258552A JP5408949B2 (ja) 2008-10-03 2008-10-03 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149A true KR20100038149A (ko) 2010-04-13
KR101630772B1 KR101630772B1 (ko) 2016-06-15

Family

ID=4221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956A KR101630772B1 (ko) 2008-10-03 2009-09-30 재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08949B2 (ko)
KR (1) KR101630772B1 (ko)
CN (1) CN1017131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3957B2 (ja) * 2014-02-19 2018-06-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JP2017060541A (ja) * 2015-09-24 2017-03-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とミシンの制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782A (ja) * 1999-01-07 2000-07-18 Brother Ind Ltd ミシン
JP2007054110A (ja) * 2005-08-22 2007-03-08 Juki Corp 刺繍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6075A (ja) * 1996-12-04 1998-06-16 Juki Corp パターン縫いミシン及びその模様データ制御方式
JP3248900B2 (ja) * 2000-01-01 2002-01-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制御装置
JP2003199985A (ja) * 2002-01-08 2003-07-15 Brother Ind Ltd ミシン
DE10312602A1 (de) * 2003-03-21 2004-09-30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JP4993172B2 (ja) * 2006-05-09 2012-08-08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帯状物縫着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782A (ja) * 1999-01-07 2000-07-18 Brother Ind Ltd ミシン
JP2007054110A (ja) * 2005-08-22 2007-03-08 Juki Corp 刺繍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13125B (zh) 2013-12-18
JP5408949B2 (ja) 2014-02-05
CN101713125A (zh) 2010-05-26
KR101630772B1 (ko) 2016-06-15
JP2010088495A (ja)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8450A (en) Method of displaying data setting menu on touch input display provided with touch-sensitive panel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same method
JPH0413732B2 (ko)
JP4091612B2 (ja) 射出成形機の表示装置
JP4820313B2 (ja) 空気調和装置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KR20100038149A (ko) 재봉기
KR100983750B1 (ko) 재봉틀
JP2003073966A (ja) 刺繍ミシン
KR20010106158A (ko) 탈착 가능한 옵션 기기를 구비한 재봉틀
US5717433A (en) Touch screen display with quick respons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object in case the display is unable to display a screen
US5657708A (en) Embroidering machine controller
US20220051452A1 (en) Sewing apparatus
KR20080082936A (ko) 재봉틀
JP4149367B2 (ja) 繊維機械の設定表示装置
JP2007054110A (ja) 刺繍ミシン
US5794552A (en) Embroidery data processing device
WO2017018233A1 (ja) 成形機
JP3505738B2 (ja) 縫製位置設定機能付きミシン
CN107641904A (zh) 缝纫机
JPH0679635B2 (ja) 自動刺繍機におけるデ−タ設定装置
KR101205284B1 (ko)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
JPH06327862A (ja) 自動制御ミシンにおける故障箇所検出装置
JPH0995855A (ja) 刺繍機用制御装置
JPH04155217A (ja) ヘルプ機能付き電子計測器
JPH1033866A (ja) ミシン
JPH08101231A (ja) 波形記録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