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7537A - 커넥터용 접속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접속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7537A
KR20100037537A KR1020090082353A KR20090082353A KR20100037537A KR 20100037537 A KR20100037537 A KR 20100037537A KR 1020090082353 A KR1020090082353 A KR 1020090082353A KR 20090082353 A KR20090082353 A KR 20090082353A KR 20100037537 A KR20100037537 A KR 20100037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ion
connection terminal
bas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299B1 (ko
Inventor
요시노부 헴미
히로타다 테라니시
타다유키 사카세
지로 코야마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7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01R12/68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comprising deformable por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소망하는 접촉력을 확보하면서, 저배화 및 소형화하는 커넥터용 접속단자 및 그것을 이용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해결 수단
커넥터의 베이스에 삽입되는 고정편(21)과, 상기 고정편(21)으로부터 연재하는 연결부(22)와, 상기 연결부(22)의 자유단부에서 양측으로 상기 고정편(21)과 평행하게 연재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조작 레버에 의해 조작되는 가동편(23)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용 접속단자(20)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2)의 단면적의 애스펙트비를 1.2 이상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커넥터용 접속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CONNECTING TERMINAL FOR CONNECTOR AND CONNECTOR USG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용 접속단자, 특히,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조립되는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커넥터용 접속단자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에 따라 연재하는 고정 빔 및 가동 빔을 갖는 콘택트와, 그 콘택트를 내부에 지지하는 절연 하우징과, 상기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는 측과 상대하는 측에 위치하고, 상기 콘택트를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촉시키도록 탄성 변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의 가동 빔이, 해당 가동 빔과 상기 고정 빔을 접합하는 연결 스프링부를 통하여 요동 자유롭게 지지된 전기(電氣)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프링부를, 상기 고정 빔과의 접합 부분으로부터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방향인 커넥터 후단측을 향하여 만곡형상으로 연장하여 나온 형상을 갖는 것이 있다.
근래, 상기 전기커넥터는, 휴대 전화기, 휴대 게임기 등의 기기에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기기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상기 전기커넥터도 보다 더한층의 소형화 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전기커넥터에서는, 절연 하우징의 높이 치수가 1㎜ 이하이고, 상기 전기커넥터에 조립되는 커넥터용 접속단자에는 판두께 0.2㎜ 이하의 도전성 박판을 사용함과 함께, 다수의 상기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상기 하우징 내에 0.3 내지 0.5㎜ 피치로 병설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전기커넥터를 한층 더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병설하는 다수매의 커넥터용 접속단자의 상호간의 피치를 작게 하고, 병설하는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또한, 예를 들면, 커넥터용 접속단자의 판두께를 한층 더 얇게 함에 의해, 다수매의 상기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병설하는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용 접속단자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함에 의해, 상기 전기커넥터를 저배화(低背化)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특허문헌1에서 개시된 콘택트중, 예를 들면, 가동 빔만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하면, 상기 가동 빔의 단면(斷面) 2차 모멘트가 감소하고, 접속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대해 소망하는 접촉력을 얻을 수 없다. 이와 같은 부적합함을 해소하기 위해 고정 빔과 가동 빔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한층 더 가늘게 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1 : 일본 특개2007-27066호 공보
그러나, 통상, 전술한 바와 같은 커넥터용 접속단자는 도전성 박판을 프레스 가공으로 타발(打拔)하여 제조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를 가늘게 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소망하는 접촉력을 확보하면서, 한층 더 저배화, 소형화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소망하는 접촉력을 확보하면서, 저배화, 소형화한 커넥터용 접속단자 및 그것을 이용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용 접속단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커넥터의 베이스에 삽입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연재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자유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상기 고정편과 평행하게 연재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조작 레버에 의해 조작되는 가동편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용 접속단자로서, 상기 연결부의 단면적의 애스펙트비를 1.2 이상으로 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부의 애스펙트비를 1.2 이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가동편이 한층 더 회동하기 쉬워지고, 소망하는 조작력 및 접촉력을 확보하면서, 저배하, 소형화한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는, 전기주조(電氣鑄造)로 형성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기주조를 통하여 단면적의 애스펙트비가 1.2 이상의 연결부를 갖는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소망하는 조작력 및 접촉력을 확보하면서, 저배(低背)이며 소형의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연결부가 만곡하여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고정편과 가동편 사이의 실질적인 지점 사이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큰 조작력 및 접촉력을 확보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한층 더 저배화,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로서는, 전술한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베이스에 조립하고, 조작 레버로 조작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배이며 소형의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망하는 조작력 및 접촉력을 구비하고, 한층 더 저배이며 소형의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1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50)을 접속하는 커넥터(10)에 적용한 경우이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0)는, 대략, 베이스(11)와, 제 1 접속단자(20)와, 제 2 접속단자(30)와, 조작 레버(4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베이스(1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양측단면의 편측 연부(緣部)로부터 탄성 암부(12, 12)를 배면측으로 평행하게 각각 연재하고 있다. 상기 탄성 암부(12)의 내향면중, 선단 연부에 가이드용 테이퍼면(12a)을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그 속측(奧側)에 축받이용 슬릿(12b)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는, 그 정면측에 후술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50)의 선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11a)를 갖임과 함께, 정면으로부터 배면을 관통하는 제 1 삽입구멍(13)을 소정의 피치로 병설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는, 그 배면의 하방 연부로부터 상기 탄성 암부(12, 12)의 사이에 가이드판(15)을 연재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삽입구멍(13)과 이웃하는 위치에 제 2 삽입구멍(14)을 병설하고 있다.
제 1 접속단자(2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의 제 1 삽입구멍(13)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고정편(21)과, 상기 고정편(21)의 상변에 돌설한 연결부(22)와, 상기 연결부(22)의 상단부에서 양측으로 상기 고정편(21)과 거의 평행하게 연재한 가동편(23)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두께 0.1㎜를 갖고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편(21)은, 그 하변의 일단부에 상기 베이스(11)의 연부에 결합 고정하여 위치 결정하기 위한 결합 고정용 폴부(24)를 마련하고 있는 한편, 그 상변에, 상기 연결부(22)를 사이에 두고 노치부(25)와 빠짐방지용 돌기(26)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노치부(25)를 마련함에 의해 첨단부(2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노치부(25)의 저부 단면적의 애스펙트비는, 1.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이다. 1.2 미만이면, 소망하는 첨단부(27)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 고, 4를 넘으면, 소망하는 강도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 1 접속단자(20)를 후술하는 전기주조로 형성함에 의해, 소망하는 각도의 첨단부(27)를 1회의 전기주조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고, 프레스 가공과 같이 복수회의 프레스 작업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연결부(22)는, 상기 고정편(21)과 상기 가동편(23)을 연결함과 함께, 상기 가동편(23)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그 단면적에 있어서의 애스펙트비는, 1.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이다. 1.2 미만이면, 조작력 및 접촉력의 개선에 명확한 변화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고, 4를 넘으면, 소망하는 내구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애스펙트비를 갖는 제 1 접속단자(20)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프재(60)와 동시에 제조하는 전기주조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전기주조법은, 도시하지 않은 모형(母型)과 대향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에 의해, 상기 모형의 캐비티의 저면중, 절연막으로 피복되지 않은 부분에 금속을 전착(電着)한다. 또한, 전류가 흐르면, 저면의 일부를 덮는 절연막의 위에도 금속이 전착한다. 이 때, 절연막을 덮는 금속층은, 절연막에 덮히지 않은 부분에 전착한 금속층보다 지연되어 성장한다. 즉, 모형의 캐비티 표면의 요철 및 절연막의 유무에 의해 제 1 접속단자(20)의 요철면, 테이퍼면이 형성된다.
제 1 접속단자(20)의 재질로는, 소망하는 형상, 물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주조용 용액이 변질되기 어려운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제 1 접속 단자(20)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구리 단체(單體), 니켈 단체 외에, 니켈·은 합금, 니켈·텅스텐 합금, 니켈·코발트 합금, 니켈·팔라듐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동편(23)은, 그 일단부를 조작 받이부(28)로 함과 함께, 그 타단부에 하방으로 돌출하는 제 1 가동 접점(29)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동 접점(29)은, 상기 노치부(25)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그 두께 치수는 가동편(23) 전체의 두께 치수보다도 한 단계 얇게 되어 있다. 이것은, 제 1 접속단자(20)의 제 1 가동 접점(29)의 두께 치수가 작으면, 제 1 접속단자(20)의 조립 정밀도에 편차가 생겨도, 상기 제 1 가동 접점(29)이 도 6의 (B)에 도시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50)의 접속부(51)에 마련한 제 1 접속 패드부(52)와, 이웃하는 제 2 접속 패드부(53)의 리드선(54)에 접촉하기 어려워지고, 단락할 우려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조립 작업에 높은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생산성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 1 가동 접점부(29)는 편면에 단차를 마련하여 얇게 할 뿐만 아니라, 양면에 단차를 마련하여 얇게 하여도 좋고, 또한, 테이퍼면을 마련하여 상기 제 1 가동 접점부(29)의 폭 치수를 점차 얇게 하여도 좋다.
제 2 접속단자(3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의 제 2 삽입구멍(14)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고정편(31)과, 상기 고정편(31)의 상변부에 돌설한 연결부(32)와, 상기 연결부(32)의 상단부에서 양측으로 상기 고정편(31)과 거의 평행하게 연재한 가동편(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접속단자(30)의 제조 방법, 재질, 두께는, 전술한 제 1 접속단자(20)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고정편(31)은, 그 하변의 일단부에 상기 베이스(11)의 연부에 결합 고정하여 위치 결정하기 위한 결합 고정용 폴부(34)를 마련하고 있는 한편, 그 상변에, 상기 연결부(32)를 사이에 두고 노치부(35)와 빠짐방지용 돌기(36)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노치부(35)를 마련함에 의해 첨단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빠짐방지용 돌기(36)는, 판두께 방향으로 밀어낸 밀어냄부(36a)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노치부(35)의 저부 단면적의 애스펙트비는, 1.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이다. 1.2 미만이면, 소망하는 첨단부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고, 4를 넘으면, 소망하는 내구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애스펙트비를 갖는 제 2 접속단자(30)는, 전술한 제 1 접속단자(20)와 마찬가지로 전기주조법으로 제조된다.
상기 연결부(32)는, 상기 고정편(31)과 상기 가동편(33)을 연결함과 함께, 상기 가동편(33)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고, 그 단면적에 있어서의 애스펙트비는, 1.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이다. 1.2 미만이면, 조작력 및 접촉력의 개선에 명확한 변화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고, 4를 넘으면, 소망하는 내구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가동편(33)은, 그 일단부를 조작 받이부(38)로 함과 함께, 그 타단부에 하방으로 돌출하는 제 2 가동 접점부(39)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 동 접점부(39)는, 상기 노치부(36)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접속단자(30)는, 반드시 일양한 두께를 갖고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편(33)중, 연결부(32) 부근을 다른 부분보다도 두껍게 형성하고 있어서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가동편(33)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커지고, 강성이 커지기 때문에, 큰 접촉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1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고정편(31)도 일양한 두께일 필요는 없고, 밀어냄부(36a)만을 두껍게 하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 2 접속단자(30) 전체가 빠지기 어려워지고, 지지 강도가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조작 레버(4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단면에 회동축부(41, 41)를 동일 축심상에 돌설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레버(40)는, 편측 연부에 제 1, 제 2 접속단자(20, 30)의 조작 받이부(28, 38)를 조작하는 캠부(42)를 소정의 피치로 병설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캠부(42)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조작 받이부(28, 38)가 삽통하는 관통구멍(43)을 병설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10)에 접속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50)은,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선단부(51)의 윗면에 프린트 배선한 제 1, 제 2 접속 패드부(52, 53)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교대로 병설하고 있다. 상기 제 1, 제 2 접속 패드부(52, 53)에는 리드선(54, 55)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 부품의 조립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베이스(11)의 정면측의 개구부(11a)로부터 제 1 삽입구멍(13)에 제 1 접속단자(20)의 일단부를 삽입한다. 이로써, 제 1 접속단자(20)에 마련한 빠짐방지용 돌기(26)가 베이스(11)의 빠짐방지부의 천장면에 결합 고정함과 함께, 결합 고정용 폴부(24)가 베이스(11)의 연부에 결합 고정하고, 위치 결정된다(도 7).
한편, 상기 베이스(11)의 가이드판(15)에 따라 제 2 접속단자(30)의 일단부를 제 2 삽입구멍(14)에 삽입한다. 이로써, 제 2 접속단자(30)가 밀어냄부(36a)에 마련한 빠짐방지용 돌기(36)가 상하 방향으로 눌려 넓혀지면서, 결합 고정한다. 이와 함께, 결합 고정용 폴부(34)가 베이스(11)의 연부에 결합 고정하고, 위치 결정된다.
계속해서, 상기 조작 레버(40)의 관통구멍(43)에 제 1, 제 2 접속단자(20, 30)의 조작 받이부(28, 38)를 각각 삽입하고, 상기 제 2 접속단자(30)의 고정편(31)의 윗면에 따라 상기 조작 레버(40)를 미끄러뜨려, 캠부(42)로 조작 받이부(28, 38)를 밀어올리고 탄성 변형시킨 채의 상태에서 압입한다. 이로써, 상기 캠부(42)가 제 2 접속단자(30)의 축받이부(31a)에 끼워 맞춤과 함께, 상기 회동축부(41)가 베이스(11)의 축받이용 슬릿(12b)에 끼워 맞추고, 상기 조작 레버(40)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음에, 상기 커넥터(10)에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50)을 접속, 고정하는 방법을 도 2 및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의 개구부(11a)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50)의 접속부(51)를 상기 베이스(11)의 내측면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한다. 계속해서, 조작 레버(40)를 회동축부(41)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밀어 쓰 러뜨리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부(42)가 제 1, 제 2 접속단자(20, 30)의 조작 받이부(28, 38)를 동시에 밀어올린다. 이 때문에, 연결부(22, 32)를 지점으로 하여 가동편(23, 33)이 각각 기울어지고, 제 1, 제 2 가동 접점(29, 39)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50)의 접속부(51)에 마련한 제 1, 제 2 접속 패드부(52, 53)에 각각 압접하여 도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제 2 가동 접점(29, 39)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50)의 접속부(51)를 압하하여 만곡시킬 뿐만 아니라, 제 1, 제 2 가동 접점(29, 39)과 첨단부(27, 37)가 각각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50)의 표리면으로 파고들어가 빠짐방지하기 때문에, 높은 접촉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50)을 상기 커넥터(10)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 레버(40)를 역방향으로 회동시킴에 의해, 캠부(42)를 반전시켜서, 제 1, 제 2 접속단자(20, 30)의 조작 받이부(28, 38)에의 굽힘 모멘트를 해제한다. 계속해서, 제 1, 제 2 접속 패드부(52, 53)에 대한 제 1, 제 2 가동 접점(29, 39)의 접속 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50)을 인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50)의 제 1, 제 2 접속 패드부(52, 53)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실장 밀도가 한층 더 높아지고, 소형화하기 쉬워짐과 함께, 접촉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접속단자(20, 30)의 제 1, 제 2 가동 접점부(29, 39)가 폭이 좁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립 정밀도에 편차가 있어도, 제 2 접속단 자(30)의 제 2 가동 접점부(39)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50)의 제 1 접속부(52)와 제 2 접속부(53)의 리드선(54)에 접촉하기 어렵고, 단락하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제 2 실시 형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접속단자(20, 30)의 고정편(21, 31)의 상변에 한 쌍의 노치부(25a, 25b 및 35a, 35b)를 마련하여 첨단부(27, 37)를 각각 형성한 경우이다. 다른 것은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각(銳角)의 첨단부(27, 37)가 얻어져서, 탈락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한층 더 접속 신뢰성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제 3 실시 형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접속단자(20, 30)의 고정편(21, 31)의 상변에 톱니형상의 첨단부(27, 37)를 형성한 경우이다. 다른 것은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톱니형상의 첨단부(27, 37)를 형성함에 의해, 제 1, 제 2 가동 접점부(29, 39)와의 각각의 위치맞춤이 용이하게 되고, 높은 치수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 1, 제 2 접속단자(20, 30)의 제조가 용이해지고, 생산성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제 1 접속단자(20)에 관해, 그 연결부(22)의 단면적을 애스펙트비 2(실시예 1), 애스펙트비 1(비교예 1)로 하고, 조작 받이부(28)를 조작 레버(40)로 조작한 경우의 조작성에 관해 시뮬레이션하였다. 계산 결과를 도 12에 도시한다.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받이부에서의 밀어올리는 양이 동일하면, 실시예 1의 쪽이 비교예 1보다도 큰 접촉력을 얻을 수 있음을 알았다.
역으로,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받이부에서의 밀어올리는 양이 동일하면, 실시예 1의 쪽이 비교예 1보다도 작은 조작력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가볍게 조작할 수 있고, 강한 힘으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알았다.
제 2 접속단자(30)에 관해, 그 연결부(32)의 단면적을 애스펙트비 2(실시예 2), 애스펙트비 1(비교예 2)로 하고, 조작 받이부(38)를 조작 레버(40)로 조작한 경우의 조작성에 관해 시뮬레이션하였다. 계산 결과를 도 13에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받이부(38)에서의 밀어올리는 양이 동일하면, 실시예 2의 쪽이 비교예 2보다도 큰 변위량을 얻을 수 있음을 알았다.
상기 제 1, 제 2 접속단자(20, 30)의 연결부(22, 32)는, 반드시 진직(眞直)일 필요는 없고, 만곡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용 접속단자는, 전술한 실시 형태로 한하지 않고, 다른 커넥터에 조립할 수 있는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용 접속단자의 연결부는, 일양한 폭 치수를 갖는 것으로 한하지 않고, 그 기부가 굵고, 상방을 향하여 가늘어지는 형상이라도 좋음은 물론이다.
도 1의 (A), (B), (C)는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용 접속단자의 제 1 실시 형태를 조립한 커넥터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2의 (A), (B)는 도 1에서 도시한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조립한 커넥터의 접속 전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4의 (A), (B), (C), (D), (E)는 도 3에서 도시한 제 1 접속단자의 사시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도 5의 (A), (B), (C), (D), (E)는 도 3에서 도시한 제 2 접속단자의 사시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도 6의 (A)는 제 1 접속단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의 (B)는 접속된 프린트 기판의 부분 평면도.
도 7의 (A)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조립한 커넥터의 접속 전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의 (B), (C)는 도 7의 (A)의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
도 8의 (A)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조립한 커넥터의 접속 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의 (B), (C)는 도 8의 (A)의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
도 9의 (A)는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조립한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의 (B), (C)는 도 9의 (A)의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
도 10의 (A)는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조립한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의 (B), (C)는 도 10의 (A)의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
도 11은 제 2 접속단자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용 접속단자의 조작성을 도시하기 위한 그래프도.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용 접속단자의 조작성을 도시하기 위한 그래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넥터 11 : 베이스
12 : 탄성 암부 13 : 제 1 삽입구멍
14 : 제 2 삽입구멍 20 : 제 1 접속단자
21 : 고정편 22 : 연결부
23 : 가동편 24 : 결합 고정용 폴부
25 : 노치부 26 : 빠짐방지용 돌기
27 : 첨단부 28 : 조작 받이부
29 : 제 1 가동 접점 30 : 제 2 접속단자
31 : 고정편 32 : 연결부
33 : 가동편 34 : 결합 고정용 폴부
35 : 노치부 36 : 빠짐방지용 돌기
36a : 밀어냄부 37 : 첨단부
38 : 조작 받이부 39 : 제 2 가동 접점
40 : 조작 레버 41 : 회동축부
42 : 캠부 43 : 관통구멍
50 :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51 : 접속부
52, 53 : 제 1, 제 2 접속 패드부 54, 55 : 리드선

Claims (4)

  1. 커넥터의 베이스에 삽입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연재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자유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상기 고정편과 평행하게 연재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조작 레버에 의해 조작되는 가동편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용 접속단자로서,
    상기 연결부의 단면적의 애스펙트비를 1.2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속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전기주조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속단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연결부가 만곡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속단자.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베이스에 조립하고, 조작 레버로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90082353A 2008-10-01 2009-09-02 커넥터용 접속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KR101082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56692A JP5320950B2 (ja) 2008-10-01 2008-10-01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JP-P-2008-256692 2008-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537A true KR20100037537A (ko) 2010-04-09
KR101082299B1 KR101082299B1 (ko) 2011-11-09

Family

ID=4205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353A KR101082299B1 (ko) 2008-10-01 2009-09-02 커넥터용 접속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05739B2 (ko)
JP (1) JP5320950B2 (ko)
KR (1) KR101082299B1 (ko)
CN (1) CN1017286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7733B2 (en) * 2011-03-15 2014-09-09 Omron Corporation Connecting terminal with a fixed portion and a contac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1288A (ja) * 1998-01-08 2002-01-15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3501442B2 (ja) * 1998-11-06 2004-03-0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SG118181A1 (en) * 2003-03-25 2006-01-27 Fci Asia Technology Pte Ltd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JP4054741B2 (ja) * 2003-09-26 2008-03-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低背型fpc用zifコネクタ
JP2006114268A (ja) * 2004-10-13 2006-04-27 Sumitomo Electric Ind Ltd 接触子、その製造方法および接触子対
JP4783081B2 (ja) * 2005-07-21 2011-09-28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
JP4437982B2 (ja) * 2005-08-08 2010-03-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DE102005055487B3 (de) * 2005-11-18 2007-05-16 Infineon Technologies Ag Elektronische Struktur mit über lötbare Verbindungselemente verbundenen Komponenten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007227302A (ja) * 2006-02-27 2007-09-06 Hirose Electric Co Ltd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576349B2 (ja) * 2006-03-24 2010-1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WO2008157815A1 (en) * 2007-06-20 2008-12-24 Molex Incorporated Short length compliant pin, particularly suitable with backplane connectors
JP5526522B2 (ja) * 2008-10-01 2014-06-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5343497B2 (ja) * 2008-10-01 2013-11-13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組み込んだ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2299B1 (ko) 2011-11-09
CN101728676A (zh) 2010-06-09
US20100081310A1 (en) 2010-04-01
US7905739B2 (en) 2011-03-15
JP2010086876A (ja) 2010-04-15
CN101728676B (zh) 2012-10-31
JP5320950B2 (ja)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929B1 (ko) 커넥터용 접속단자 및 그것을 이용한 커넥터
KR101168790B1 (ko) 커넥터용 접속단자 및 그것을 조립한 커넥터
TWI298215B (en) Connector
JP5897065B2 (ja) 電子機器ユニット
JP4359568B2 (ja) コネクタ
JP4722756B2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WO2009093566A1 (ja) 電気コネクタ
JP4830785B2 (ja) コネクタ
US734147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US7448893B2 (en) Connector
JP2013055007A (ja) コネクタ
KR100922673B1 (ko) 커넥터
KR101082299B1 (ko) 커넥터용 접속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JP5015268B2 (ja) 端子組立体、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7557314B2 (en) Rotating-pressing operation type electronic par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is rotating-pressing operation type electronic part
JP4651500B2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2005267907A (ja) 接点装置
JP2013125703A (ja) コネクタ
KR20110039374A (ko) 전기 부품, 및 상기 전기 부품의 실장 구조, 그리고 상기 전기 부품의 실장 방법
JP2007035329A (ja) 小型端末装置
JP2008177066A (ja) 端子組立体及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