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790B1 - 커넥터용 접속단자 및 그것을 조립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접속단자 및 그것을 조립한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8790B1 KR101168790B1 KR1020090082364A KR20090082364A KR101168790B1 KR 101168790 B1 KR101168790 B1 KR 101168790B1 KR 1020090082364 A KR1020090082364 A KR 1020090082364A KR 20090082364 A KR20090082364 A KR 20090082364A KR 101168790 B1 KR101168790 B1 KR 1011687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fixing piece
- piece
- elastic arm
- b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소망하는 지지 강도 및 접촉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저배화, 소형화한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 수단에 있어서, 커넥터의 베이스에 삽입, 고정하는 고정편(21)과, 상기 고정편(21)의 상변으로부터 돌출한 연결부(22)와, 상기 연결부(22)의 상단부에서 상기 고정편(21)에 따라 연재하고, 일단부를 상방 접점부(28)로 하고, 또한, 타단부를 조작 받이부(27)로 한 가동편(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편(21)의 상변중, 상기 상방 접점부(28)에 대향하는 위치에 하방 접점부(26a)를 마련하고,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레버로 상기 가동편(23)의 조작 받이부(27)를 조작할 수 있는 커넥터용 접속단자(20)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21)의 상변에 따라 마련한 슬릿(26b)으로 탄성 암부(26)를 잘라내고, 상기 탄성 암부(26)의 자유단부를 하방 접점부(26a)로 함과 함께, 상기 탄성 암부(26)의 단면적을 애스펙트비 1.2 이상으로 하였다.
커넥터, 접속단자,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용 접속단자, 특히,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조립되는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커넥터용 접속단자로서는, 예를 들면,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에 따라 연재하는 고정 빔 및 가동 빔을 갖는 콘택트와, 그 콘택트를 내부에 지지하는 절연 하우징과, 상기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는 측과 상대하는 측에 위치하고, 상기 콘택트를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촉시키도록 탄성 변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의 가동 빔이, 해당 가동 빔과 상기 고정 빔을 접합하는 연결 스프링부를 통하여 요동 자유롭게 지지된 전기(電氣)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프링부는, 상기 고정 빔과의 접합 부분으로부터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방향인 커넥터 후단측을 향하여 만곡형상으로 연장하여 나오는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에 조립된 것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그리고, 상기 전기 커넥터에서는, 특허 문헌 1의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빔(13)의 접촉 볼록부(13a)와 고정 빔(14)의 접촉 볼록부(14a)를 접리 가 능하게 대향시킴과 함께, 접촉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고정 빔(14)의 자유단부를 약간, 상방으로 만곡시키고 있다. 상기 때문에, 상기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도전 단자의 지지 강도가 작고, 한편, 지지 강도를 크게 하기 위해, 상기 고정 빔(14)의 만곡을 작게 하면, 접촉 볼록부(14a)의 변위량이 작아지고, 접촉 신뢰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전기 커넥터는 더한층의 저배화(低背化), 소형화가 요구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에 조립되는 커넥터용 접속단자도 보다 한층의 저배화,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전기 커넥터에서는, 절연 하우징의 높이 치수가 1㎜ 이하이고, 상기 전기 커넥터에 조립되는 커넥터용 접속단자에는 판두께 0.2㎜ 이하의 도전성 박판을 사용함과 함께, 다수의 상기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상기 하우징 내에 0.3 내지 0.5㎜ 피치로 병설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특개2007-227302호 공보
그러나, 통상, 커넥터용 접속단자는 도전성 박판을 프레스 가공으로 타발(打拔)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저배화, 소형화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특히, 자유단부가 만곡하는 상기 고정 빔을 프레스 가공으로 보다 작게 성형하는 것은 용이하지가 않고, 성형할 수가 있었다고 하여도, 베이스에 대한 커넥터용 접속단자의 지지 강도, 접촉 신뢰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소망하는 지지 강도 및 접촉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저배화, 소형화한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용 접속단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커넥터의 베이스에 삽입, 고정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상변으로부터 돌출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고정편에 따라 연재하고, 일단부를 상방 접점부로 하고, 또한, 타단부를 조작 받이부로 한 가동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편의 상변중, 상기 상방 접점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하방 접점부를 마련하고,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레버로 상기 가동편의 조작 받이부를 조작할 수 있는 커넥터용 접속단자로서, 상기 고정편의 상변에 따라 마련한 슬릿에서 탄성 암부를 잘라내고, 상기 탄성 암부의 자유단부를 하방 접점부로 함과 함께, 상기 탄성 암부의 단면적을 애스펙트비 1.2 이상으로 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편의 상변에 슬릿을 마련하여 잘라내어지고, 또한, 자유단부에 하방 접점부를 갖는 탄성 암부의 단면적을, 애스펙트비 1.2 이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때문에, 상기 탄성 암부가 탄성 변형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편을 베이스에 삽입, 고정하여도 지지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상기 결과, 소망하는 접촉 신뢰성, 지지 강도를 확보하면서, 저배화, 소형화할 수 있는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커넥터용 단자는, 커넥터의 베이스에 삽입, 고정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상변으로부터 돌출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고정편에 따라 연재하고, 일단부를 상방 접점부로 하고, 또한, 타단부를 조작 받이부로 한 가동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편의 상변중, 상기 상방 접점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하방 접점부를 마련하고,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레버로 상기 가동편의 조작 받이부를 조작할 수 있는 커넥터용 접속단자로서, 상기 고정편의 상변에 따라 마련한 슬릿에서 탄성 암부를 잘라내고, 상기 탄성 암부의 자유단부를 하방 접점부로 함과 함께, 상기 슬릿의 단면적을 애스펙트비 1.2 이상으로 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적의 단면적을 갖는 슬릿을 형성하여 탄성 암부를 잘라내고 있기 때문에, 소망하는 지지 강도 및 접촉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보다 한층 저배화, 소형화한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커넥터용 접속단자는, 커넥터의 베이스에 삽입, 고정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상변으로부터 돌출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 로부터 상기 고정편에 따라 연재하고, 일단부를 상방 접점부로 하고, 또한, 타단부를 조작 받이부로 한 가동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편의 상변중, 상기 상방 접점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하방 접점부를 마련하고,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레버로 상기 가동편의 조작 받이부를 조작할 수 있는 커넥터용 접속단자로서, 상기 고정편의 상변에 따라 마련한 슬릿에서 탄성 암부를 잘라내고, 상기 탄성 암부의 자유단부를 하방 접점부로 함과 함께, 상기 슬릿의 하방측에 위치하는 저부의 단면적을 애스펙트비 1.2 이상으로 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암부를 잘라낸 슬릿의 하방측에 위치하는 저부를 최적의 단면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소망하는 지지 강도 및 접촉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보다 한층 저배화, 소형화한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전술한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베이스 내에 조립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망하는 지지 강도 및 접촉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저배화, 소형화할 수 있는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커넥터에 조립한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5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접속하는 커넥터(10)에 적용한 경우이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베이스(11)와, 제 1 접속단자(20)와, 제 2 접속 단자(30)와, 조작 레버(4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베이스(11)는, 그 양측단면의 편측 연부로부터 탄성 암부(12, 12)를 배면측으로 평행하게 각각 연재하고 있다. 상기 탄성 암부(12)의 내향면중, 선단 연부에 가이드용 테이퍼면(12a)(도 5B)을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그 속측(奧側)에 축받이용 슬릿(12b)(도 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는, 그 정면측에 도시하지 않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일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11a)를 갖는 동시에, 정면으로부터 배면을 관통하는 제 1 삽입구멍(13)을 소정의 피치로 병설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는, 그 배면의 하방 연부로부터 상기 탄성 암부(12, 12)의 사이에 가이드판(15)을 연재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삽입구멍(13)과 이웃하는 위치에 제 2 삽입구멍(14)을 병설하고 있다.
제 1 접속단자(2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의 제 1 삽입구멍(13)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고정편(21)과, 상기 고정편(21)의 상변에 돌설한 연결부(22)와, 상기 연결부(22)의 상단부에서 양측으로 상기 고정편(21)과 거의 평행하게 연재한 가동편(23)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두께 0.1㎜를 갖고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편(21)은, 그 하변의 일단부에 상기 베이스(11)의 연부에 결합 고정하여 위치 결정하기 위한 결합 고정용 폴부(24)를 마련하고 있는 한편, 그 상변에, 상기 연결부(22)를 사이에 두고 빠짐방지용 돌기(25)와 탄성 암부(26)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암부(26)는, 그 자유단부를 하방 접점부(26a)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고정편(21)을 후술하는 전기주조(電氣鑄造)로 형성하면, 소망하는 각도의 빠짐방지용 돌기(25)를 1회의 전기주조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고, 프레스 가공과 같이 복수회의 프레스 작업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암부(26)의 단면적의 애스펙트비는, 1.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이다. 1.2 미만이면, 저배화, 소형화에 있어서 명확한 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고, 4를 넘으면, 소망하는 강도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탄성 암부(26)를 고정편(20)으로부터 잘라내기 위한 슬릿(26b)의 단면적의 애스펙트비는 1.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이다. 1.2 미만이면, 저배화, 소형화에 있어서 명확한 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고, 4를 넘으면, 소망하는 변위량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슬릿(26b)의 하방측에 위치하는 저부(26c)의 단면적의 애스펙트비는, 1.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이다. 1.2 미만이면, 저배화, 소형화에 있어서 명확한 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고, 4를 넘으면, 소망하는 강도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연결부(22)는, 상기 고정편(21)과 상기 가동편(23)을 연결함과 함께, 상기 가동편(23)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고, 그 단면적에 있어서의 애스펙트비는 1.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이다. 1.2 미만이면, 조작력 및 접촉력의 개선에 명확한 변화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고, 4를 넘으면, 소망하는 내구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가동편(23)은, 그 일단부를 조작 받이부(27)로 함과 함께, 그 타단부에 상방 접점부(28)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방 접점부(28)는, 상기 하방 접점부(26a)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애스펙트비를 갖는 제 1 접속단자(20)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프재(50)와 동시에 형성하는 전기주조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전기주조법은, 도시하지 않은 모형(母型)과 대향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에 의해, 상기 모형의 캐비티의 저면중, 절연막으로 피복되지 않은 부분에 금속을 전착(電着)한다. 또한, 전류가 흐르면, 저면의 일부를 덮는 절연막의 위에도 금속이 전착한다. 상기 때, 절연막을 덮는 금속층은, 절연막으로 덮히지 않은 부분에 전착(電着)한 금속층보다 지연되어 성장한다. 즉, 모형의 캐비티 표면의 요철 및 절연막의 유무에 의해 제 1 접속단자(20)의 요철면, 테이퍼면이 형성된다.
제 1 접속단자(20)의 재질로는, 소망하는 형상, 물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주조용 용액이 변질되기 어려운 것이 필요하다. 상기 때문에, 제 1 접속단자(20)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구리 단체(單體), 니켈 단체 외에, 니켈?은 합금, 니켈?텅스텐 합금, 니켈?코발트 합금, 니켈?팔라듐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제 2 접속단자(3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의 제 2 삽입구멍(14)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고정편(31)과, 상기 고정편(31)의 상변부에 돌설한 연결부(32)와, 상기 연결부(32)의 상단부에서 양측으로 상기 고정편(31)과 거 의 평행하게 연재한 가동편(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접속단자(30)의 제조 방법, 재질, 두께는, 전술한 제 1 접속단자(20)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고정편(31)은, 그 하변의 일단부에 상기 베이스(11)의 연부에 결합 고정하여 위치 결정하기 위한 결합 고정용 폴부(34)를 마련하고 있는 한편, 상기 연결부(32)의 베이스부에, 빠짐방지용 돌기(35)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빠짐방지용 돌기(35)는, 판두께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편(31)은, 상기 결합 고정용 폴부(34)와 빠짐방지용 돌기(35) 사이에 위치하는 상변에, 축받이부(31a)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31)은, 상기 결합 고정용 폴부(34)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변 단부를 하방 접점부(36)로 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32)는, 상기 고정편(31)과 상기 가동편(33)을 연결함과 함께, 상기 가동편(33)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고, 그 단면적에 있어서의 애스펙트비는, 1.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이다. 1.2 미만이면, 조작력 및 접촉력의 개선에 명확한 변화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고, 4를 넘으면, 소망하는 내구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가동편(33)은, 그 일단부를 조작 받이부(37)로 함과 함께, 그 타단부에 상방 접점부(38)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방 접점부(38)는, 상기 하방 접점부(36)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
조작 레버(4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단면에 회동축부(41, 41)를 동일 축심상에 돌설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레버(40)는, 편측 연부에 제 1, 제 2 접속단자(20, 30)의 조작 받이부(27, 37)를 조작하는 캠부(42)를 소정의 피치로 병설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캠부(42)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조작 받이부(27, 37)가 삽통하는 관통구멍(43)을 병설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10)에 접속되는 도시하지 않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으로서는, 예를 들면, 그 일단부의 윗면에 프린트 배선한 제 1, 제 2 접속 패드부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교대로 병설한 것을 들 수 있다.
전술한 구성 부품의 조립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베이스(11)의 정면측의 개구부(11a)로부터 제 1 삽입구멍(13)에 제 1 접속단자(20)의 일단부를 삽입한다. 이로써,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단자(20)에 마련한 빠짐방지용 돌기(25)가 베이스(11)의 빠짐방지부의 천장면에 결합 고정함과 함께, 결합 고정용 폴부(24)가 베이스(11)의 연부에 결합 고정하여, 위치 결정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11)의 가이드판(15)에 따라 제 2 접속단자(30)의 일단부를 제 2 삽입구멍(14)에 삽입한다. 이로써, 제 2 접속단자(30)의 빠짐방지용 돌기(35)가 상하 방향으로 넓혀지면서, 결합 고정한다. 이와 함께, 결합 고정용 폴부(34)가 베이스(11)의 연부에 결합 고정하여, 위치 결정된다.
계속해서, 상기 조작 레버(40)의 관통구멍(43)에 제 1, 제 2 접속단자(20, 30)의 조작 받이부(27, 37)를 각각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접속단자(30)의 고정편(31)의 윗면에 따라 상기 조작 레버(40)를 미끄러뜨리고, 캠부(42)로 조작 받이부(27, 37)를 밀어올려서 탄성 변형시킨 채의 상태로 압입한다. 이로써, 상기 캠부(42)가 제 2 접속단자(30)의 축받이부(31a)에 끼워 맞춤과 함께, 상기 회동축부(41)가 베이스(11)의 축받이용 슬릿(12b)에 감합하여, 상기 조작 레버(40)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음에, 상기 커넥터(10)에 도시하지 않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접속,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의 개구부(11a)에 도시하지 않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일단부를 상기 베이스(11)의 내측면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한다. 계속해서, 조작 레버(40)를 회동축부(41)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밀어 쓰러뜨리면, 캠부(42)가 제 1, 제 2 접속단자(20, 30)의 조작 받이부(27, 37)를 동시에 밀어올림에 의해, 굽힘 모멘트가 작용한다. 상기 때문에, 연결부(22, 32)를 지점으로 하여 가동편(23, 33)이 각각 회동하고, 하방 접점부(26a, 36)와 상방 접점부(28, 38)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일단부에 지그재그 모양으로 병설한 제 1, 제 2 접속 패드부를 각각 끼여지지하고, 도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방 접점부(26a, 36)와 상방 접점부(28, 38)가,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표리면에 각각 파고들어가 빠짐방지함과 함께, 제 1 접속단자(20)의 탄성 암부(26)가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높은 접촉 신뢰성을 갖는 커넥터(10)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상기 커넥터(10)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 레버(40)를 역방향으로 회동시킴에 의해, 캠부(42)를 반전시키고, 제 1, 제 2 접속단자(20, 30)의 조작 받이부(27, 37)에의 굽힘 모멘트를 해제한 후,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인출한다.
상기 제 1, 제 2 접속단자(20, 30)의 연결부(22, 32)는, 반드시 만곡하여 있을 필요는 없고, 진직(眞直)이라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용 접속단자는, 전술한 실시 형태로 한하지 않고, 다른 커넥터에 조립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조립한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및 도 3E는, 도 2에서 도시한 제 1 접속단자의 사시도, 다른 각도의 사시도, 평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제 1 접속단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5A는 도 1에서 도시한 커넥터의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B-B선 단면도.
(부호의 설명)
10 : 커넥터 11 : 베이스
12 : 탄성 암부 13 : 제 1 삽입구멍
14 : 제 2 삽입구멍 20 : 제 1 접속단자
21 : 고정편 22 : 연결부
23 : 가동편 24 : 결합 고정용 폴부
25 : 빠짐방지용 돌기 26 : 탄성 암부
26a : 하방 접점부 26b : 슬릿
26c : 저부 27 : 조작 받이부
28 : 상방 접점부 30 : 제 2 접속단자
31 : 고정편 31a : 축받이부
32 : 연결부 33 : 가동편
34 : 결합 고정용 폴부 35 : 빠짐방지용 돌기
36 : 하방 접점부 37 : 조작 받이부
38 : 상방 접점부 40 : 조작 레버
41 : 회동축부 42 : 캠부
43 : 관통구멍 50 : 후프재
Claims (4)
- 삭제
- 커넥터의 베이스에 삽입, 고정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상변으로부터 돌출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고정편에 따라 연재하고, 일단부를 상방 접점부로 하고, 또한, 타단부를 조작 받이부로 한 가동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편의 상변중, 상기 상방 접점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하방 접점부를 마련하고,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레버로 상기 가동편의 조작 받이부를 조작할 수 있는 커넥터용 접속단자로서,상기 고정편의 상변에 따라 마련한 슬릿에서 탄성 암부를 잘라내고, 상기 탄성 암부의 자유단부를 하방 접점부로 함과 함께, 상기 탄성 암부의 단면적을 애스펙트비 1.2 이상으로 하고,상기 슬릿의 단면적을 애스펙트비 1.2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속단자.
- 커넥터의 베이스에 삽입, 고정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상변으로부터 돌출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고정편에 따라 연재하고, 일단부를 상방 접점부로 하고, 또한, 타단부를 조작 받이부로 한 가동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편의 상변중, 상기 상방 접점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하방 접점부를 마련하고,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레버로 상기 가동편의 조작 받이부를 조작할 수 있는 커넥터용 접속단자로서,상기 고정편의 상변에 따라 마련한 슬릿에서 탄성 암부를 잘라내고, 상기 탄성 암부의 자유단부를 하방 접점부로 함과 함께, 상기 탄성 암부의 단면적을 애스펙트비 1.2 이상으로 하고,상기 슬릿의 하방측에 위치하는 저부의 단면적을 애스펙트비 1.2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속단자.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기재된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8256693A JP5343497B2 (ja) | 2008-10-01 | 2008-10-01 |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組み込んだコネクタ |
JPJP-P-2008-256693 | 2008-10-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7538A KR20100037538A (ko) | 2010-04-09 |
KR101168790B1 true KR101168790B1 (ko) | 2012-07-25 |
Family
ID=4205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2364A KR101168790B1 (ko) | 2008-10-01 | 2009-09-02 | 커넥터용 접속단자 및 그것을 조립한 커넥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081336A1 (ko) |
JP (1) | JP5343497B2 (ko) |
KR (1) | KR101168790B1 (ko) |
CN (1) | CN101771208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20950B2 (ja) * | 2008-10-01 | 2013-10-23 | オムロン株式会社 |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
JP4917129B2 (ja) * | 2009-07-28 | 2012-04-18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WO2012101849A1 (ja) * | 2011-01-27 | 2012-08-02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5182384B2 (ja) * | 2010-02-05 | 2013-04-17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4803328B1 (ja) * | 2011-03-15 | 2011-10-26 | オムロン株式会社 | コネクタ用接続端子及び当該端子の製造方法 |
US8827733B2 (en) * | 2011-03-15 | 2014-09-09 | Omron Corporation | Connecting terminal with a fixed portion and a contact |
CN102683927A (zh) * | 2012-04-23 | 2012-09-19 |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 柔性电路板连接器 |
JP5999192B2 (ja) * | 2012-11-07 | 2016-09-28 | オムロン株式会社 | 接続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導通検査器具 |
CN111987497B (zh) * | 2014-10-27 | 2023-06-16 | 安费诺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 圆形电源连接器 |
JP2017199497A (ja) * | 2016-04-26 | 2017-11-02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端子接触防止機構を備えた電源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る電源コネクタ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14268A (ja) * | 2004-10-13 | 2006-04-27 | Sumitomo Electric Ind Ltd | 接触子、その製造方法および接触子対 |
JP4484218B2 (ja) * | 2004-10-22 | 2010-06-16 |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07227302A (ja) * | 2006-02-27 | 2007-09-06 | Hirose Electric Co Ltd |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4330084B2 (ja) * | 2007-06-12 | 2009-09-09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
-
2008
- 2008-10-01 JP JP2008256693A patent/JP5343497B2/ja active Active
-
2009
- 2009-09-02 KR KR1020090082364A patent/KR10116879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09-24 CN CN200910178644A patent/CN101771208A/zh active Pending
- 2009-10-01 US US12/572,133 patent/US20100081336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7538A (ko) | 2010-04-09 |
CN101771208A (zh) | 2010-07-07 |
JP5343497B2 (ja) | 2013-11-13 |
JP2010086877A (ja) | 2010-04-15 |
US20100081336A1 (en) | 2010-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8790B1 (ko) | 커넥터용 접속단자 및 그것을 조립한 커넥터 | |
KR101107929B1 (ko) | 커넥터용 접속단자 및 그것을 이용한 커넥터 | |
JP3903338B2 (ja) | Fpc用コネクタ | |
TWI232620B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type conductor | |
JP4359568B2 (ja) | コネクタ | |
KR100740415B1 (ko) | 플렉서블 기판용 커넥터 | |
US20150280341A1 (en) | Female terminal | |
EP2568539A2 (en) | Conductor connection tool and relay unit using the same | |
JPH09259988A (ja) | 電気コネクタのターミナル | |
JP4927454B2 (ja) | コネクタ | |
JP4283777B2 (ja) | コネクタ | |
WO2006126624A1 (ja) | 接続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部品 | |
WO2015136785A1 (ja) | 圧接端子 | |
JP2002231357A (ja) | 電気接点およびコネクタ | |
KR101082299B1 (ko) | 커넥터용 접속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 |
WO2018042930A1 (ja) | 電気コネクタ | |
KR100255487B1 (ko) | 단자 부착 구조 | |
WO2015136790A1 (ja) | 圧接端子 | |
JP7482366B2 (ja) | 無線機のアンテナ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 |
JP3895639B2 (ja) | オン‐オフスイッチ及びそれによるデュアルインライン実装 | |
JP3532389B2 (ja) | 端子取付け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