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487A - 곶감 분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곶감 분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487A
KR20100036487A KR1020080095734A KR20080095734A KR20100036487A KR 20100036487 A KR20100036487 A KR 20100036487A KR 1020080095734 A KR1020080095734 A KR 1020080095734A KR 20080095734 A KR20080095734 A KR 20080095734A KR 20100036487 A KR20100036487 A KR 20100036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immon
dried
powder
persimmons
dried persi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6595B1 (ko
Inventor
심상창
Original Assignee
심상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상창 filed Critical 심상창
Priority to KR1020080095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5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36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곶감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생감보다 수분은 적지만 영양분이 생감보다 많은 곶감을 이용하여 영양분의 파괴 없이 분말을 제조한 후, 장기간 보관해가면서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제조공정은 채취한 생감을 세척하여 껍질과 꼭지를 제거한 다음 갈변 방지와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훈증처리공정(S10)과, 상기 훈증처리된 감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열풍건조공정(S20)과, 상기 열풍건조된 감을 당도가 생성되도록 저온숙성하여 곶감으로 만드는 숙성공정(S30)과, 상기 숙성된 곶감을 3mm∼6mm두께의 국수처럼 가락으로 세절하는 세절공정(S40)과, 상기 세절된 곶감의 가락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열풍건조공정(S50)과, 상기 열풍건조된 곶감의 가락을 냉풍으로 건조시키는 냉풍건조공정(S60)과, 상기 건조된 곶감의 가락을 분쇄기로 분쇄시켜서 분말로 만드는 분쇄공정(S70)과, 상기 분쇄된 곶감의 분말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포장하는 포장공정(S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의 분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훈증공정, 열풍건조공정, 세절공정, 냉풍건조공정

Description

곶감 분말의 제조방법{A producing method for drying persimmon powder}
본 발명은 곶감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생감보다 수분은 적지만 영양분이 생감보다 훨씬 많은 곶감을 이용하여 영양분의 파괴 없이 분말을 제조한 후, 장기간 보관해가면서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감은 과수 가운데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과수로써, 영양가치가 매우 높은 과일 중의 하나로 당류가 많기 때문에 수요자들이 즐겨 찾는 과일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감을 예전에는 나무에서 익은 생감을 그대로 따서 단감으로 먹거나, 좀 삭히어서 홍시로 먹거나, 떫은 감을 깎아 말린 곶감을 만들어 먹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영양분이 많은 감을 오래 저장해서 먹을 수 있도록 현대사회는 냉동, 저온 저장하였지만,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저장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또한, 감을 다른 종류의 영양식품과 혼합해서 먹기란 더욱 어려웠다.
그리하여 감을 분말로 만들어 장기간 저장해 가면서 먹을 수 있는 특허 제10-852878호의 "감 분말 제조방법"이 공개되었다. 그러나 상기 "감 분말의 제조 방법"은 생감을 납작하게 세절하여 3%∼8%의 수분이 되도록 냉온 건조한 후, 건조된 감에 액체 질소를 가하여 냉온 제트 분쇄방법으로 분쇄하여 분말을 만드는 공정이다.
따라서 액화질소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가공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생산단가가 높아 가격경쟁력을 헤쳐나가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감 분말 제조방법"은 생감을 분말로 제조하고 있어, 감이 지니는 최대의 영양분을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즉, 생감보다 영양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곶감으로 분말화 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 곶감은 외피가 말라 피막이 형성되면서 감 내부에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겔 상태의 끈적거림으로 인하여 분말화 하기가 어려워 다소 영양분이 감소 되더라도 생감으로 분만을 제조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하기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감보다 영양분이 많도록 생감을 저온숙성하여 만든 곶감으로 분말을 만들어 장기적으로 보관해 가면서 각종 식품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Figure 112008068529934-PAT00001
또한, 본 발명은 곶감 내부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곶감을 국수처럼 가락으로 세절하여 열풍 및 냉풍건조시켜서 분말화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본 발명은 채취한 생감을 세척하여 껍질과 꼭지를 제거한 다음 갈변 방지와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훈증처리공정(S10)과, 상기 훈증처리된 감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열풍건조공정(S20)과, 상기 열풍건조된 감을 당도가 생성되도록 저온숙성하여 감말랭이나 곶감으로 만드는 숙성공정(S30)과, 상기 숙성된 감말랭이나 곶감을 3mm∼6mm두께의 국수처럼 가락으로 세절하는 세절공정(S40)과, 상기 세절된 곶감의 가락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열풍건조공정(S50)과, 상기 열풍건조된 곶감의 가락을 냉풍으로 건조시키는 냉풍건조공정(S60)과, 상기 건조된 곶감의 가락을 분쇄기로 분쇄시켜서 분말로 만드는 분쇄공정(S70)과, 상기 분쇄된 곶감의 분말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포장하는 포장공정(S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의 분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곶감으로 분말을 제조하는 본 발명은 영양소의 파괴 없이 생감보다 훨씬 당도가 높은 곶감이나 감말랭이로 숙성하여 분말을 제조하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성분의 첨가 없이 곶감이나 감말랭이로 만들어진 분말은 감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 질소를 투입하지 않고도 분말화 하기 때문에 곶감이나 감말랭이가 함유하고 있는 영양성분을 손실 없이 제조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임은 물론 제조단가도 낮출 수 있어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양분이 많은 곶감이나 감말랭이의 분말을 이용해서 면, 빵, 스낵, 과자, 음료수, 빙과, 쨈 등의 다양한 식품에 응용할 수 있고,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의 공정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생감을 채취하고 나서 채취된 생감을 세척기에 넣어 깨끗하게 세척한다. 세척된 생감의 꼭지와 껍질을 제거한다. 이때 생감의 껍질 제거는 칼을 이용하여 수공으로 제거할 수 있지만, 인건비 낭비를 줄이고 일의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껍질을 제거하는 기계를 이용하여 자동화시킨다. 껍질이 제거된 생감은 갈변 되거나 곰팡이 발생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훈증처리공정(S10)을 거치게 된다.
상기 훈증처리공정(S10) 시 유황을 사용하게 되면 감의 껍질을 벗길 때 생기는 폴리페놀성 갈변 물질로 인하여 감 고유의 색깔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과일표면의 낮은 농도로 폴리페놀옥시다제의 작용이 강하게 저지되기 때문에 갈변이 방지되고, 황의 입자가 감의 표면을 코팅하여 강산의 엷은 막을 형성하므로 병균의 침입과 부패가 방지되어 강력한 살균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황을 태우면 아황산가스가 생겨 이것이 감 표면의 수분에 흡수되어 환원성이 강한 유황수가 되어 미생물 억제효과를 낸다.
이와 같이 훈증처리공정(S10)을 거친 감을 열풍건조실에 넣어 열풍을 가하여 건조시켜서 생감의 내부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열풍건조공정(S20)을 거친다. 열풍 건조된 생감을 다시 저온숙성실에 넣어 당도가 형성되도록 저온으로 숙성하는 숙성공정(S30)을 거쳐서 감말랭이나 곶감으로 만든다. 즉, 생감이 저온 숙성되면서 외피는 피막이 형성되어 내부에 남아있는 수분의 증발을 방해하고 있기 때 문에 완전건조가 되지 않고 곶감이나 감말랭이로 만들어 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숙성된 곶감이나 감말랭이의 내부는 수분이 남아있는 겔상태로 형성이 되므로 분말화 하기가 어렵게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내부의 수분을 모두 제거하기 위하여 곶감이나 감말랭이를 다시 세절기를 이용하여 3mm∼6mm의 두께의 국수처럼 가락으로 세절하는 세절공정(S40)을 거친다. 세절된 곶감이나 감말랭이 가락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열풍으로 건조하면, 세포조직이 부풀어지면서 내부에 세공이 형성되는 열풍건조공정(S50)을 거친다.
상기 열풍건조공정(S50) 후 다시 냉풍을 가하여 주게 되면, 곶감이나 감말랭이 가락이 부풀어지면서 세포조직에 형성된 세공으로 냉풍이 스며들어 곶감이나 감말랭이의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냉풍건조시키는 냉풍건조공정(S60)을 거친다.
이와 같이 건조된 곶감이나 감말랭이를 분쇄기에 넣어 분말로 제조하는 분쇄공정(S70)을 거친다.
그리고 분쇄공정(S70)을 거치는 과정에서 곶감이나 감말랭이의 분말에 혼합된 이물질을 거름망이나 가는 체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류한 후, 진공포장이나 질소 포장하는 포장공정(S80)을 거친 후, 포장된 상품은 살균처리하여 상품화시키면 되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곶감이나 감말랭이를 이용하여 얻어진 분말은 면, 빵, 과자, 음료수, 빙과, 쨈 등의 다양한 상품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장품 등 다양한 용도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곶감으로 분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Claims (1)

  1. 생감을 세척하여 껍질과 꼭지를 제거한 다음 갈변 방지와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훈증처리공정(S10)과,
    상기 훈증처리된 감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열풍건조공정(S20)과,
    상기 열풍건조된 감을 당도가 생성되도록 저온숙성하여 감말랭이나 곶감으로 만드는 숙성공정(S30)과,
    상기 숙성된 감말랭이나 곶감을 3mm∼6mm두께의 국수처럼 가락으로 세절하는 세절공정(S40)과,
    상기 세절된 곶감의 가락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열풍건조공정(S50)과,
    상기 열풍건조된 곶감의 가락을 냉풍으로 건조시키는 냉풍건조공정(S60)과,
    상기 건조된 곶감의 가락을 분쇄기로 분쇄시켜서 분말로 만드는 분쇄공정(S70)과,
    상기 분쇄된 곶감의 분말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포장하는 포장공정(S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의 분말 제조방법.
KR1020080095734A 2008-09-30 2008-09-30 곶감 분말의 제조방법 KR101056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734A KR101056595B1 (ko) 2008-09-30 2008-09-30 곶감 분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734A KR101056595B1 (ko) 2008-09-30 2008-09-30 곶감 분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487A true KR20100036487A (ko) 2010-04-08
KR101056595B1 KR101056595B1 (ko) 2011-08-11

Family

ID=4221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734A KR101056595B1 (ko) 2008-09-30 2008-09-30 곶감 분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5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279B1 (ko) * 2009-01-23 2012-05-25 이득식 곶감분말의 제조방법
KR20220072221A (ko) * 2020-11-25 2022-06-02 이종관 천연 곶감 발효액종을 이용한 곶감 분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253B1 (ko) 2020-11-16 2022-05-18 주식회사 창원단감 농업회사법인 단감을 함유한 단감 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감 국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9204A (ko) * 2005-05-18 2006-11-24 김경일 과라나 분말을 함유하는 루틴차
KR100746729B1 (ko) 2006-06-14 2007-08-06 장후철 녹차와 인삼을 이용한 곶감의 제조 방법
KR20060114663A (ko) * 2006-08-25 2006-11-07 홍상선 감 분말 파우더를 이용한 식품 첨가물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279B1 (ko) * 2009-01-23 2012-05-25 이득식 곶감분말의 제조방법
KR20220072221A (ko) * 2020-11-25 2022-06-02 이종관 천연 곶감 발효액종을 이용한 곶감 분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6595B1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063094A (ja) 咀嚼・嚥下困難者に適した食材
KR101942830B1 (ko) 풋사과분말의 제조방법
KR101056595B1 (ko) 곶감 분말의 제조방법
KR101008312B1 (ko) 급속냉동 조각과일 제조방법
KR100439471B1 (ko) 숙성 마늘 엑기스의 제조방법
JP2019504652A (ja) 緑唐辛子の粉の製造方法
KR101861538B1 (ko) 마늘을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떡
JP4196357B2 (ja) 水で溶ける野菜と果物等の顆粒とその製造方法
KR100503460B1 (ko) 단감젤리 제조방법
KR101582442B1 (ko) 미역귀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가공식품
KR101592432B1 (ko) 과채류 블록제조방법 및 블록제조장치
CN107279272A (zh) 一种鲜切马铃薯保鲜方法
CN112704203A (zh) 一种真空低温油炸茖葱脆片的制备方法
KR101907680B1 (ko) 생대추를 이용한 대추과자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20200097155A (ko) 일반 무화과, 미숙과 그리고 저가 무화과를 이용한 품질향상 건조 무화과 및 분말 제조방법
CN109997903A (zh) 一种全营养苹果超微粉制备方法
JP4750202B2 (ja) サルナシを用いた健康補助食品の製造方法
JP2019041705A (ja) 丸干し芋、及びその製造方法
JP4724793B2 (ja) ヤーコン漬物の製造方法
KR102028965B1 (ko) 유자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유자소금
KR100187375B1 (ko) 야채를 원료로한 젤리 식품의 제조 방법
KR100665681B1 (ko) 고추장을 이용한 인삼장아찌 및 그 제조방법
KR101794462B1 (ko) 오미자가 가미된 사과스넥 및 그 제조 방법
JP4200141B2 (ja) 低水分加工食品に適した原料粉末の製造方法
JP2004236608A (ja) 食品添加物等に使用される干し柿の製粉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