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3494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3494A
KR20100033494A KR1020097027423A KR20097027423A KR20100033494A KR 20100033494 A KR20100033494 A KR 20100033494A KR 1020097027423 A KR1020097027423 A KR 1020097027423A KR 20097027423 A KR20097027423 A KR 20097027423A KR 20100033494 A KR20100033494 A KR 20100033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ter supply
water
refrigerato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7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8513B1 (ko
Inventor
김성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33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81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for transmitting energy, e.g. electrical cable ro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에 형성되는 용기연결부; 상기 용기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주입을 위한 개구부를 가지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 상기 급수용기와 제빙장치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용기연결부를 지나 상기 급수용기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물공급유로; 상기 물공급유로상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상기 제빙장치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품질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세히, 상기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의하여 저온 저압 상태로 변화된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냉기에 의하여 저장 공간이 저온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음식물이 신선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편의장치 중 대표적인 것으로, 상기 냉장고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장치와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상기 제빙장치와 디스펜서는 사용자에게 얼음 또는 음용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고내와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빙장치는, 제빙용 트레이에 직접 물을 채우는 방식, 또는, 1회 제빙을 위한 용량을 가지는 급수용기에 물을 넣어 장착하고, 상기 급수용기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제빙용 트레이로 공급되도록 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1회분 만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으며, 만약 용량이 큰 급수용기를 사용하게 될 경우 냉동실의 온도 특성상 급수용기 내부의 물이 결빙되어 제빙작업의 지속적인 수행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도와 직접 연결되는 급수라인을 제공하여 제빙장치가 지속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급수라인이 디스펜서와도 연결되어 디스펜서를 통해 음용수를 취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에서는 급수원이 수도이므로, 반드시 수도와 연결되는 급수라인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가 수도와 인접하여 설치되거나, 비교적 길이가 긴 급수라인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냉장고의 설치 비용과 설치 장소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6975호에는 냉장실에 급수용기가 구비되고, 상기 급수용기와 냉동실 내의 제빙접시가 급수파이프에 의해 연결되며, 급수용기 내부의 펌프에 의해 급수용기의 물이 급수파이프를 거쳐 제빙접시로 안내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별도의 급수용기가 냉장실에 제공되고, 펌프와 급수파이프에 의해 제빙을 위한 물이 제빙접시로 연속 공급 가능하게 되어 수도와 직결되지 않으면서도 연속적인 제빙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68745호에는 냉장실 도어에 생수병이 거꾸로 세워진 상태로 안착되어 물통에 물을 공급하며, 물통과 연통된 디스펜서를통해 외부로 물을 취출할 수 있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냉장실 도어에 장착되는 생수병의 물이 디스펜서로 취출될 수 있게 되어 수도와 직결되지 않고서도 디스펜서 기능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 급수용기의 개구부가 용기연결부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어 적어도 제빙장치로 물이 공급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 형성되는 용기연결부에 급수용기가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물공급유로가 용기연결부를 통과하여 적어도 제빙장치로 물이 공급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연결부에 급수용기가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급수용기의 물이 적어도 제빙장치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 분리가능하게 제공되는 하우징에 급수용기가 탈착되는 용기연결부가 형성되고, 급수용기의 물이 적어도 제빙장치로 공급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 분리가능하게 제공되는 하우징에 급수용기가 탈착되는 용기연결부가 탈착가능하게 제공되고, 급수용기의 물이 적어도 제빙장치로 공급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의 용기연결부에 급수용기가 탈착되고, 용기연결부에는 급수용기의 개구부를 구속하는 홀더가 구비되어 다양한 크기의 급수용기를 고정함으로써 적어도 제빙장치로 물이 공급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냉장실 또는 냉장실도어의 용기연결부에 시판되는 생수병으로 구성되는 메인 급수용기 또는 결합가능하게 제공되는 서브 급수용기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적어도 제빙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의 용기연결부에 급수용기가 탈착되고, 급수용기의 내측에서 용기연결부를 지나 적어도 제빙장치로 연결되는 물공급유로에 의해 적어도 제빙장치로 물이 공급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 용기연결부가 제공되어 급수용기가 탈착되고, 용기연결부의 내측에 펌프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어 제빙장치 측으로 물이 공급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술적 해결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이 형성되는 본체; 적어도 상기 냉동실 도어로 연장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물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유닛은, 상기 급수유로와 연결되는 연결유로; 상기 급수유로와 연결유로 사이에 개재되는 펌프; 냉장실 도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급수 또는 배수를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의 개구부가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용기연결부; 및 상기 연결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급수용기 내부로 삽입되는 흡입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에 형성되는 용기연결부; 상기 용기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주입을 위한 개구부를 가지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 상기 급수용기와 제빙장치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용기연결부를 지나 상기 급수용기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물공급유로; 상기 물공급유로상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상기 제빙장치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연결부; 상기 용기연결부에 연결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 상기 급수용기의 내측에서부터 상기 제빙장치까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물공급유로; 상기 물공급유로상에 제공되어 물을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이 제공되는 본체;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수용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 상기 제빙장치로 공급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에서 상기 제빙장치까지 물공급을 안내하는 물공급유로; 상기 물공급유로상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냉장실 또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개구부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이 제공되는 본체;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수용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 상기 제빙장치로 공급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에서 상기 제빙장치까지 물공급을 안내하는 물공급유로; 상기 물공급유로상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냉장실 또는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개구부가 연결되는 용기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적어도 제빙장치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며, 물이 출입되는 개구부가 상방에 형성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와 상기 제빙장치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물공급유로; 상기 물공급유로상에 제공되어 급수용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개구부가 삽입되기 위한 용기 삽입구가 제공되는 용기연결부; 상기 용기연결부에 제공되어 상기 급수용기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적어도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제빙장치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며, 휴대 가능한 생수병 형태의 메인 급수용기와, 상기 메인 급수용기와 교체가능하게 제공되는 서브 급수용기를 포함하는 급수용기; 상기 메인 급수용기 또는 서브 급수용기와 상기 제빙장치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물공급유로; 상기 물공급유로상에 제공되어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에 제공되며, 상기 메인 급수용기의 장착을 위한 구조와 서브 급수용기의 장착을 위한 구조가 별도로 제공되는 용기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빙장치가 구비되는 본체; 적어도 상기 제빙장치로의 공급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와 상기 제빙장치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물공급유로; 상기 물공급유로상에 제공되어 급수용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개구부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유로는, 상기 제빙장치로부터 상기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로 연장되는 급수유로와, 상기 용기연결부에서 상기 급수용기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흡입유로와, 상기 급수유로와 상기 흡입유로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적어도 제빙장치 측으로 공급되기 위한 물이 저장되며, 고내에서 탈착 가능한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와 제빙장치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물공급유로; 상기 본체의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개구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연결부; 상기 용기연결부에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며, 상기 급수용기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공급유로로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리한 효과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급수용기를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 장착하여 수도와 연결되지 않으면서도 제빙장치 및/또는 디스펜서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의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우징에 용기연결부 및 펌프가 하우징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듈화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의 모델에 따라서 모듈화 된 하우징을 장착함으로써 냉장실 도어의 공용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시판되는 생수병을 급수용기로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뢰성 있는 물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며, 홀더에 의해 다양한 사이즈의 생수병을 장착 가능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연결부에 상기 급수용기가 선택적으로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생수병과 같은 급수용기의 보다 용이한 장착은 물론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유닛이 구비되는 냉장고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경우, 냉장고 내 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물공급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 탱크가 체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탈착식 물공급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경우, 냉장고 내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과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단면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연결부와 급수용기의 결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연결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흡입유로의 형상을 보인 정면도.
도 16과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0과 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2와 2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에 구비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냉동실이 냉장실 상측에 제공되는 탑마운트 타입 냉장고 또는 냉동실이 냉장실 하 측에 제공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 모두에 적용 가능함을 밝혀 둔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유닛이 구비되는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에는, 냉기가 저장되는 냉동실(11) 및 냉장실(12)이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2)을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20) 및 냉장실 도어(3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20,30)의 상측과 하측에는 힌지부(41,42)가 결합된다. 상기 힌지부(41,42)는 상기 도어(20,30)가 본체(10)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냉동실(11)에는 얼음을 제조하여 저장하는 제빙장치(1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1)은 본체(10)의 내부 공간과 냉동실 도어(20)의 배면에 의해 형성되므로, 상기 냉동실 도어(20)는 실질적으로 냉동실(11)의 일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빙장치(100)가 냉동실(11)에 배치된다는 것은 상기 제빙장치(100)가 냉동실(11)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 및 냉동실 도어(20)에 장착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빙장치(100)는 제빙기(110)와 아이스뱅크(1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빙장치(100)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빙기(110)는 다수 개의 제빙용 큐브가 배열되는 아이스 트레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빙장치(100)의 외측에는 단열 케이스(101)가 제공되어, 상기 제빙장치(100)가 상기 냉동실(11) 냉기로부터 격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냉기 유로에 의하여 증발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제빙장치(100) 내부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열 케이스(101)에 의하여, 냉동실(11) 내부에 존재하는 냉기가 제빙장치(100)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냉동실 내부의 음식물 냄새가 제빙장치(100)로 유입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어, 위생적인 얼음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동실 도어(20)에는 디스펜서(21)가 배치된다. 그리고, 얼음의 배출을 위한 아이스슈트(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아이스 뱅크(120)에 저장된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21)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1)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얼음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작 레버(22)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30)에는 물공급유닛(2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물공급유닛(200)은 급수유로(70)에 의해 상기 제빙장치(10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유닛(200)에 저장되는 물이 상기 급수유로(70)로 펌핑되도록 하는 펌프(후술함)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펌프는 상기 물공급 유닛(200)을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유닛(200)이 도어에 장착됨으로써 음식물이 저장되는 냉장실(12)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유닛(200)의 크기에 따라, 물 탱크(후술함)에 저장되는 물의 용량이 결정된다. 즉, 상기 물공급유닛 (200)이 커지면 수용 가능한 물 탱크의 크기가 커져서 저장되는 물의 용량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물공급유닛(200)과 펌프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급수유로(70)는 냉동실(11)을 회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급수유로(70)가 냉동실(11)을 경유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급수유로(70) 내의 물이 결빙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급수유로(70)가 상기 냉동실(11)을 회피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급수유로(70)의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급수유로(70)의 외주면에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부재가 제공된다면, 상기 급수유로(70)가 냉동실(11)을 경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급수유로(70)는 본체(10)의 외측을 경유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로(70)가 본체(10)의 외측을 경유하므로, 상기 급수유로(70)의 내부가 물에 의해 오염되었을 때에 상기 급수유로(70)가 외부에서 손쉽게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위생적인 얼음을 먹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유로(70)가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위치되는 경우, 급수유로(70)는 상측 힌지부(41)를 경유하여 상기 제빙기(11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측 힌지부(41)에는 상기 급수유로(70)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측 힌지부(41)가 도어(20)의 회전 중심이므로, 상기 급수유로(70)는 도어(20)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급수유로(70)는 냉동실 도어(20)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이는 급수유로(7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고 상기 냉동실(11)의 냉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펌프(후술함)와 연결되는 급수유로(70)는 상기 본체(10)의 후면과 상면을 경유하도록 배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유로(70)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유로(70)가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후면과 상면에는 상기 급수유로(70)가 안착되도록 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은 본체(10)의 외면 제작시에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후면 중 상기 급수유로(70)가 관통하는 부분에는 상기 급수유로(70)의 절곡된 부분을 커버하는 덮개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유로(70)가 관통하는 부분은 냉장고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실링 부재에 의하여 실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유로(70) 중 냉장고 외부에 노출된 부분과 상기 본체(10) 또는 상기 도어(20,30)에 매립된 부분에 커플링(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에 의해 상기 급수유로(70) 중 외부에 노출된 부분과 매립된 부분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유로(70)의 외부에 노출된 부분을 교체 및 수리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유닛(200)에는, 상기 제빙장치(100)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제 1 급수용기(220), 제 2 급수용기(231) 및 제 3 급수용기(233)와, 상기 급수용기(220,231,233)가 상기 물공급유닛(200)에 장착되도록 하는 용기연결부(202)와, 상기 급수용기(220,231,233)에 저장되는 물을 상기 제빙장치(100)로 펌핑하는 펌프(250)와, 상기 급수용기(220,231,233)로부터 펌핑된 물이 상기 제빙장치(100)로 공급되도록 하는 연결유로(260)와, 상기 물공급유닛(2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급수용기(220,231,233) 및 상기 펌프(250)가 냉장고 도어에 장착되도록 하는 하우징(21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연결부(202)는 상기 하우징(210)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물공급유닛(200)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유닛(200)은 상기 냉장실 도어(30)에 장착될 수 있도록 가로 방향 길이가 길고, 전후방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급수용기(220)는 상기 물공급유닛(200)의 주요 급수용기이며, 상기 하우징(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 1 급수용기(220)에 물을 담거나, 상기 제 1 급수용기(220)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급수용기(220)를 상기 하우징(210)으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급수용기(220)의 상면에는 물을 담기 위하여 탈거할 수 있는 탱크 커버(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로(260)에는 제1흡입유로(221)가 유동적으로(fluidly) 연결되어, 상기 제 1 급수용기(220)의 물이 상기 연결유로(26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유로(221)는 상기 연결유로(260)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급수 용기(220)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용기연결부(202)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급수용기(220)의 내부에는, 물이 상기 제빙장치(100)에 공급되기 전에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제1필터부(22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222)는 상기 제1흡입유로(221)의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급수용기(22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250)가 작동하면, 상기 제1필터부(222)와 제1흡입유로(221)를 통해 상기 연결유로(260)로 물이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로(260)로 유입된 물은 상기 급수유로(70)를 거쳐 상기 제빙장치(10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급수용기(220)과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210)에는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급수용기(231) 및 제 3 급수용기(233)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급수용기(231) 및 제 3 급수용기(233)는 상기 용기연결부(20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나사 결합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휴대가능한 플라스틱 생수통의 개구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이,상기 용기 연결부(202)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2개의 급수용기(231,233)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요구되는 물의 공급량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의 급수용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10)의 적어도 일면은 개구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급수용기(220)와 제 2 급수용기(231) 및 제 3 급수용기(233)의 탈거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급수용기(231)와 제 3 급수용기(233)의 내측으로 제2흡입 유로(232)와 제3흡입유로(234)가 각각 연장된다. 상기 제2흡입유로(232)와 제3흡입유로(234)는 각각, 제 2 급수용기(231)와 제 3 급수용기(233) 내부의 물을 상기 연결유로(260)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유로(260)와 유동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흡입유로(232)와 제3흡입유로(234)의 하단에는 제2필터부(238)와 제3필터부(239)가 구비되어, 흡입되는 상기 제 2 급수용기(231)와 제 3 급수용기(233) 내부의 물을 정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급수용기(231) 및 제 3 급수용기(233)가 제공됨으로써, 상기 급수용기(220,231,233)의 총 용량이 커질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급수용기(231) 및 제 3 급수용기(233)의 상측에는 상기 제 2,3급수용기(231,233)로부터 펌핑된 물이 모이는 집수부(24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240)에 모이는 물은 상기 펌프(250)를 통과하여 상기 제빙장치(10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연결부(202)는 상기 급수용기(220,231,233)가 하측에 장착될 수 있도록 가로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연결부(202)에는, 상기 제 2 급수용기(231) 및 제 3 급수용기(233)가 탈착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장착구(235)가 형성된다. 즉, 상기 장착구(235)는 상기 용기연결부(202)에 형성되는 홀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구(235)에 상기 제 2 급수용기(231) 및 제 3 급수용기(233)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연결부(202)는 소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장착구(235)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2,3 급수용기(231,232)의 개구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급수용기(231)와 제 3 급수용기(233), 제2흡입유로(232)와 제3흡입유로(234), 그리고 용기연결부(202)로 구성되어, 상기 제 2 급수용기(231)와 제 3 급수용기(233)가 상기 하우징(210)에 탈착가능하게 제공되는 구조를 탈착식 물공급부(230)라 칭한다.
또한, 상기 제 1 급수용기(220)의 일측에는, 상기 급수용기(220,231,233)로부터 물이 펌핑되도록 하는 상기 펌프(25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250)의 능력은 상기 물 탱크(220,231,233)의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250)의 일측에는, 상기 펌프(250)가 상기 하우징(210)에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부(251)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250)에는 상기 급수용기(220,231,233)로부터 물이 상기 제빙장치(100)에 공급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연결유로(26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로(260)는 상기 급수용기(220,231,233)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용기(220,231,233)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용기(220,231,233)는 상기 연결유로(260)와 유동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흡입유로(221,232,234)는 상기 연결유로(260)와 연결되며, 상기 흡입유로(221,232,234)의 단부에 구비된 필터부(222,238,239)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물은 상기 흡입유로(221,232,234)와 연결유로(260) 및 급수유로(70)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제빙장치(10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물공급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물 탱크가 체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탈착식 물공급부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물공급부(230)에는, 물이 저장되는 제2,3급수용기(231,233)와, 상기 연결유로(260)와 연결되는 제2,3흡입유로(232,234), 그리고 상기 제2,3흡입유로(232,234)의 단부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물이 정화되도록 하는 제2,3필터부(238,239)와, 상기 용기연결부(202)의 내측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2,3급수용기(231,233)가 체결되는 용기연결부(202)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2,3급수용기(231,233)는 상기 제2,3필터부(238,239)의 하방에서부터 상방을 향하여 상기 장착구(235)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3급수용기(231,233)에는 휴대 가능한 저장용기,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페트(PET : polyethylene telephthalate)병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3급수용기(231,233)의 개구부 외주면에는, 상기 장착구(235)에 체결되도록 하는 제2나사산(23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구(235)는 상기 제2,3급수용기(231,233)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연결부(202)에 형성된다. 즉, 상기 장착구(235)는 상기 용기연결부(202)의 상하측이 관통되어 홀의 형상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구(235)에는 상기 제2나사산(237)과 대응되는 제1나사산(23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3급수용기(231,233)는 상기 장착구(235)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3급수용기(231,233)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2,3급수용기(231,233)의 체결이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물이 외부로 새어 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장착구(235)는 상기 제2,3흡입유로(232,234)가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3흡입유로(232,234)의 단부는 상기 연결유로(260)의 내부 공간과 연통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3흡입유로(232,234)가 결합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연결유로(260)의 외측에는 실링부재(262)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262)에 의하여 상기 제2,3흡입유로(232,234)와 상기 연결유로(260)의 결합 부위로 물이 새어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3흡입유로(232,234)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구(235)를 통과한다.
또한, 상기 제2,3흡입유로(232,234)의 타측에는 상기 제2,3급수용기(231,233)에 저장되는 물이 상기 펌프(250)에 의하여 펌핑되는 과정에서 정수될 수 있도록 하는 제2,3필터부(238,239)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물공급유닛(200)에 의하여 상기 제빙장치(100)로 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 1 급수용기(220)를 상기 물공급유닛(200)에 장착한다. 그리고, 제조될 얼음의 양을 고려하여 제 2 급수용기(231) 및 제 3 급수용기(233)를 추가로 장착할 수 있다. 물론, 그 이상의 급수용기를 추가로 장착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제 2 급수용기(231) 및 제 3 급수용기(233)는 상기 제2흡입유로(232) 및 제3흡입유로(234)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용기(231,233)의 개구부가 상기 장착구(235)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급수용기(231,233)의 개구부가 상기 장착구(235)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급수용기(231,233)를 돌린다. 그러면, 상기 급수용기(231,233)의 개구부가 상기 장착구(235)에 나사결합된다.
이후에, 상기 펌프(250)가 작동되면,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급수용기(220,231,233)에 저장된 물은 상승된다. 이 때, 물은 상기 필터부(222,238,239)를 통하여 상기 흡입유로(221,232,234)로 유입되어 상기 연결유로(260)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물은 상기 펌프(250)와 급수유로(70)를 차례로 거쳐 상기 제빙장치(100)에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수용기(220,231,233)에 상기 펌프(250)의 흡입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펌프(250)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제 1 급수용기(220)에서 가장 먼저 물이 펌핑되어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급수용기(220)는 냉장고 제품에 제공되는 전용 급수용기의 형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냉장고 내부 또는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 제공되는 물공급부(200)의 규격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지는 전용 급수용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급수용기(220)가 메인 급수용기가 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급수용기(231,233)가 서브 급수용기기가 될 수 있으며,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급수용기(220)가 서브 급수용기가 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급수용기(231,233)가 메인 급수용기가 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 전용 급수용기인 상기 제 1 급수용기(220) 대신에 상기 제 2 및 제 3 급수용기(231,233)와 동일한 생수병이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유닛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경우, 냉장고 내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냉장고(2)는 냉장실(50)과 냉동실(60)로 구획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2)와, 상기 냉장실(50)과 냉동실(60)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8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80)는 냉장실 도어(52)와 냉동실 도어(62)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2)와 상기 도어(80)를 연결하는 힌지(8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힌지(82)는 상기 도어(80)의 회전 축이 됨과 동시에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물공급유로(90) 및/또는 전선이 출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2) 내부의 저장공간은 선반과 서랍, 바스켓 등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도어(80)의 배면에도 수납을 위한 다수의 구성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52)에는 급수용기(400)가 제공된다. 상기 급수용기(400)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용기연결부(600)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급수용기(400)로는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생수병인 메인 급수용기(410) 또 는 상기 용기연결부(600)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전용용기인 서브 급수용기(420)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와 서브 급수용기(420)는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하측에서 상기 급수용기(400)를 지지하는 바스켓(53)에 동시에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보다 상기 서브 급수용기(420)의 용량이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의 사용 중 필요에 따라서 상기 서브 급수용기(420)를 교체 사용 가능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냉동실 도어(62)에는 제빙장치(64)와 디스펜서(68)가 제공된다. 상기 제빙장치(64)와 디스펜서(68)는 모두 제공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빙장치(64)만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빙장치(64)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65)와 제빙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뱅크(66)로 구성된다. 상기 제빙장치(64)는 냉장고의 형태에 따라 냉동실(60) 내부 또는 냉장실 도어(52)에 별도 형성된 단열공간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펜서(68)는 외부에서 음용수를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냉동실 도어(62)의 외측에 제공되며, 아이스슈트(67)에 의해 상기 아이스뱅크(66)와 연통되어 제빙된 얼음의 취출 또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빙장치(64)와 디스펜서(68)는 모두 상기 급수용기(400)로부터 물을 공급받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제빙장치(64) 및 디스펜서(68)는 상기 급수용기(400)와 물공급유로(90)에 의해 유동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유로(90) 상에는 절환밸브(92)가 구비되어 상기 급수용 기(4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빙장치(64) 및/또는 디스펜서(68)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물공급유로(90)는 상기 냉장실 도어(52)와 냉동실 도어(62) 및 본체(12)를 경유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어(80)와 본체(12)를 지나는 경우 상기 힌지(82)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유로(90)가 상기 냉동실(60) 측을 경유하는 경우 상기 물공급유로(90)상의 물이 결빙되지 않도록 상기 도어(80)와 본체(12) 내부의 단열재에 매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공급유로(90)는 본체(12)의 외부를 경유할 수도 있으며, 적어도 결빙이 발생할 수 있는 상기 냉동실(60) 측을 지나는 부분은 상기 본체(12)의 외측면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과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도어(80)의 배면에는 하우징(500)이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500)은 상기 급수용기(4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연결부(600)와 펌프(700) 등이 장착되어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는 것으로, 냉장고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급수용기(400)를 사용하지 않는 냉장고와 상기 냉장실 도어(52)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500)은 상기 냉장실 도어(52)에 제공되는 홈바(54)의 하측에 장착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52)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56)의 좌우측 폭과 대응하는 가로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00)의 좌우 양측에는 안착홈(510)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라이너(56)에는 상기 안착홈(510)과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돌기(58)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500)은 상기 안착홈(510)과 안착돌기(58)의 결합에 의해 상기 냉장실 도어(52)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500)이 불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탈거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안착돌기(58)는 상기 냉장실 도어(52)의 배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바스켓(53)에 형성되는 안착홈(55)과도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500)이 불필요한 경우에 상기 바스켓(53)을 대신하여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하우징(500)의 대략 중앙부에는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는 펌프(7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펌프수용부(520)가 형성된다. 상기 펌프(700)는 상기 급수용기(400)에서 물을 끌어올려 상기 제빙장치(64) 및/또는 디스펜서(68)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물공급유로(90)와 연결된다.
상기 펌프수용부(520)는 후면이 개구되어 후방에서 상기 펌프(70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용기(400)가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용기연결부(600) 및 하우징(500)의 좌우측단과 동일한 높이만큼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수용부(520)의 측방에는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함몰된 안착부(530)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530)는 상기 용기연결부(60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가로방향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연결부(600)가 상기 안착부(5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용기 연결부(600)의 좌우측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탈착 또는 상기 급수용기(400)의 탈착을 위한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안착부(530)에는 구속부재(532)가 구비된다. 상기 구속부재(532)는 상기 용기연결부(600)가 상기 안착부(53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용기연결부(600)가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와이어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구속부재(532)의 양단은 상기 안착부(530)의 좌우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구속부재(532)의 회동에 의해 상기 용기연결부(600)를 감싸도록 절곡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530)의 배면 중앙부에는 유로 삽입구(534)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 삽입구(534)는 상기 용기연결부(600) 내측의 용기측유로(96)가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빙장치(64) 및/또는 디스펜서(68)로부터 연장되는 급수유로(94)의 단부가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장착시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용기측유로(96)가 상기 유로 삽입구(534)를 통해서 상기 급수유로(94)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로 삽입구(534)에는 상기 급수유로(94)와 용기측유로(96)가 기밀상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튜브 또는 링 형상의 실링부재(536)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유로 삽입구(534)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부(538)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결합부(538)는 상기 용기연결부(600)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부(616)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500)에는 용기연결부(600)가 선택적으로 탈착되며, 상기 용기연결부(600)에는 상기 제빙장치(64) 및/또는 디스펜서(68)로 공급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급수용기(400)가 선택적으로 탈착된다.
상기 용기연결부(600)에 장착되는 상기 급수용기(40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와 상기 서브 급수용기(420)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 에서는,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가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용기연결부(600)에는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홀더(80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는 물이 출입되는 개구부(412)가 상방에 형성되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병 형상의 시판되는 생수병이 사용되며, 상기 용기연결부(600)에 장착가능한 다양한 크기의 생수병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시판되는 다양한 크기의 생수병을 뚜껑을 제거하여 개봉한 후 바로 사용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9 에서는, 상기 서브 급수용기(420)가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용기연결부(600)와 상기 서브 급수용기(420)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용기 결합홀(624)과 용기 결합돌기(428)가 더 형성된다.
상기 서브 급수용기(42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서브 급수용기(420)는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의 용량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급수용기(400)가 수납되는 바스켓(53)의 크기와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높이에 따라 적 절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서브 급수용기(420)는 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422)와, 상기 용기본체(422)의 개구된 상면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커버(424)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422)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휴대시 파지하게 되는 핸들(423)이 제공되고, 상기 커버(424)에는 물이 출입되는 개구부(426)와 상기 개구부(426)의 양측에서 돌출되는 용기 결합돌기(428)가 더 형성된다.
상기 용기 결합돌기(428)는 아래에서 설명할 용기 결합홀(624)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서브 급수용기(420)가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하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단면을 보여주는 횡단면도로서 도 7의 I-I'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연결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연결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52)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56)에는 상기 하우징(50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00)의 안착부에는 상기 용기연결부(600)가 선택적으로 장착되기 위한 제 1 결합부(538)가 형성된다.
도 10 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결합부(538)는 상기 용기연결부(600)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돌출된 단부가 내측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538)는 외측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탈착 순간에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연결부(600) 의 장착 후에는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538)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연결부(6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방이동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좌우 양측에 형성된 상기 제 1 결합부(538)의 중앙에는 유로 삽입구(534)가 개구되어 상기 급수유로(94)의 단부가 노출되며, 상기 급수유로(94)는 상기 펌프수용부(520)에 장착된 펌프(700)와 연결된다. 상기 펌프(700)의 타측에 연결된 급수유로(94)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제빙장치(64) 및 디스펜서(68) 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안착부(530)에는 상기 용기연결부(600)가 장착되며,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장착으로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용기측유로(96)가 상기 유로 삽입구(534)를 통해 상기 급수유로(94)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용기연결부(6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용기연결부(600)는 상기 안착부(530)에 수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방이 개구된 케이스(610)와 상기 케이스(610)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케이스(610)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는 바텀플레이트(6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610)의 좌우 양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탈착레버(810)의 조작부(812)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된 조작부 노출구(612)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610)의 후면에는 상기 용기측유로(96)가 관통되는 관통홀(61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614)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용기측유로(96)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610)가 상하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10)의 후면 좌우 양측단에는 함몰형성되는 제 2 결합부(616)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결합부(616)는 내주면이 상기 제 1 결합부(538)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함몰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탈착은 물론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제 2 결합부(616)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 1 결합부(538)와 전후방향의 억지끼움방식 외에도 하방에서 상방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 1 결합부(538)와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바텀플레이트(620)의 대략 중앙부에는 용기 삽입구(622)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 삽입구(622)는 상기 급수용기(400)의 개구부(4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개구부(412)를 가지는 급수용기(400)가 삽입 가능하도록 비교적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홀더(800)에 의해 개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삽입구(622)의 좌우 양측에는 용기 결합홀(624)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 결합홀(624)은 상기 서브 급수용기(420)에 형성되는 상기 용기 결합돌기(428)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며, 삽입홀(625)과 회동홀(626)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홀(625)은 상기 용기 결합돌기(428)의 단면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천공되어, 상기 용기 결합돌기(428)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동홀(626)은 상기 용기 결합돌기(428)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회전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 결합돌기(428)의 단면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형 성되어, 용기 결합돌기(428)가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동홀(626)은 소정의 길이와 곡률을 가지며,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회전에 의해 고정되었을 때, 상기 용기연결부(600)와 상기 서브 급수용기(420)가 정위치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용기연결부(600) 내부를 관통하는 용기측유로(96)는 연결유로(97)와 흡입유로(98)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유로(98)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급수용기(400)의 내측으로 안내되며 상기 급수용기(400) 내부의 물을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로(97)는 상기 흡입유로(98)의 상단과 상기 급수유로(94)를 연결하는 것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흡입유로(98)와 연결유로(97)는 동일 소재로 일체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흡입유로(98)와 연결유로(97)는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로(97)는 상기 급수유로(94)와 흡입유로(98)에 삽입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유로(98)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상기 급수용기(400)에 적용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도 13 내지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흡입유로(198)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198)는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하단에서 상기 바스켓(53)의 내부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급수용기(400)가 최대 길이인 경우에도 물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용기(400)의 크기가 작 은 경우에는 상기 흡입유로(198)가 상기 급수용기(400)의 바닥에 닿아서 휘어질 수 있게 되어 상기 급수용기(400)의 길이가 작은 경우에도 원활한 물의 흡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흡입유로(298)는 다단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298)는 망원경 등의 구조와 같은 텔레스코픽 구조로 상기 급수용기(400)의 길이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유로(298)의 개구된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유로(298)가 상기 급수용기(400)의 바닥에 닿은 경우에도 상기 흡입유로(298)의 개구된 단부 전체가 상기 급수용기(400)가 밀착되지 않게 되어 물의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흡입유로(398)는 적어도 일부가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급수용기(400)의 길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용기(400)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상기 흡입유로(398)를 잡아당겨 길이를 연장 시키고, 상기 급수용기(400)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상기 흡입유로(398)를 축소시켜 길이를 짧게 한다.
또한, 상기 흡입유로(398)의 하단 둘레에 흡입구(399)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유로(98)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급수용기(400)의 바닥과 상기 흡입유로(98)가 서로 닿은 경우에도 상기 흡입구(399)를 통해 물이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로(97)의 상측에는 좌우측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이드돌기(99)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99)는 상기 용기측유로(96)의 상대이동시 상기 용기측유로(96)가 회전하거나 유동하지 않고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용기 삽입구(622)의 상방에는 유로수용부(64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유로수용부(640)의 하측은 상기 급수용기(400)의 개구부(412)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인 하부 수용부(64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수용부(642)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측유로(96)를 수용 및 안내하는 유로가이드부(644)가 더 형성된다.
상기 유로가이드부(644)는 상기 용기측유로(96)의 외측을 감싸 상기 용기측유로(96)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용기측유로(96)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하로 상대이동할 때 상기 하우징(500)의 유로 삽입구(534)에 삽입된 상기 용기측유로(96)의 고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유로가이드부(644)에는 좌우 양측으로 개구되는 측방안내부(645)가 형성된다. 상기 측방안내부(645)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리브에 의해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유로가이드부(644)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측방안내부(645)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돌기(99)가 수용되어, 상기 케이스(610)의 상하이동에 의한 상기 연결유로(97)의 상하 상대이동시 상기 연결유로(97)가 회전되지 않도록 안내한다.
상기 유로가이드부(644)에는 후방으로 개구되는 후방안내부(646)가 더 형성 된다. 상기 후방안내부(646)는 상기 연결유로(97)의 후방으로 절곡된 부분을 수용 및 안내하는 것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리브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후방안내부(646)는 상기 케이스(610)의 관통홀(614) 및 상기 하우징(500)의 유로 삽입구(534)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연결부(6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610)가 상하방 이동될 때 상기 연결유로(97)의 상대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유로(97)의 상방에는 스프링(650)이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650)은 상기 연결유로(97)의 상단과 상기 케이스(610)의 내측면에 각각 단부가 접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610)와 연결유로(97)를 탄성지지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610)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용기측유로(96)가 항상 하방을 향해 상대 이동되도록 강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내부에는 상기 용기 삽입구(622)의 개도를 조절하는 홀더(800)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800)는 상기 용기 삽입구(622)에 삽입되는 다양한 크기의 개구부(412)를 가지는 급수용기(400)들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용기 삽입수(622)의 개도가 조절되어 다양한 크기의 개구부(412)를 구속할 수 있는 가변 홀더로 구성된다.
도 16과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로서, 도 12의 II-II'의 단면도 이다.
이하에서는 도 11과 도 16,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홀더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홀더(800)는 탈착레버(810)와 탄성부재(820)로 구성된다. 상기 탈착레버(810)는 상기 하부 수용부(642)의 양측방에 형성되는 회동지지부(628)에 각각 축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것으로, 회동 조작에 따라 상기 용기 삽입구(62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용기 삽입구(622)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탈착레버(810)는 다수회 절곡 형성되며, 상부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눌려지는 조작부(812)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812)는 상기 케이스(610)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조작부 노출구(612)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6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탈착레버(810)의 절곡된 대략 중앙부에는 결합부(814)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814)는 상기 회동지지부(628)와 축결합되며, 상기 탈착레버(810)의 회동 중심이 된다.
그리고, 탈착레버(810)의 절곡된 하단에는 구속부(816)가 형성된다. 상기 구속부(816)는 상기 탈착레버(810)의 하단에서 상기 하부 수용부(642)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기 용기 삽입구(622)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탈착레버(81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용기 삽입구(622)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412)의 일측을 눌러 구속시키게 된다.
상기 구속부(816)는 상기 탈착레버(810)가 회동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 삽입구(622)의 내측으로 최대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탈착레버(810)의 최대 회동시에는 상기 용기 삽입구(622)의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삽입구(622)로 노출되는 상기 구속부(816)의 내측면은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급수용기(400)의 삽입시, 상기 급수용기(400)의 개구부(412)가 상기 구속부(816)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상기 구속부(816)가 외측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회동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갈수록 내측을 향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홀더(800)는 전술한 탈착레버(810)의 회동에 의한 방식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가능할 것이다.
예컨데, 카메라의 조리개와 같이 다수의 플레이트가 상기 용기 삽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구조도 가능할 것이며, 수평이동되는 구속부재에 의해 상기 삽입구 내측의 개구부를 구속할 수 있는 구조도 가능 할 것이다. 또한, 서로 교차하는 방향의 장공을 가지는 2개의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를 삽입한 후에 플레이트를 회전 시켜 상기 개구부를 구속시키는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제빙장치(64)와 디스펜서(68)의 사용을 위해 상기 본체(12)에 물을 공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상기 냉장고(2)의 냉장실 도어(52)를 개방하고, 상기 냉장실 도어(52)에 급수용기(400)를 장착하게 된다.
이때, 장착되는 급수용기(400)가 서브 급수용기(420)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서브 급수용기(420)에 원하는 음료용수를 채운뒤, 상기 서브 급수용기(420)에 상기 용기연결부(600)를 장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용기 결합돌기(428)를 상기 용기 결합홀(624)에 삽입한 후 상기 용기연결부(600)를 회전시켜 상기 용기연결부(600)와 서브 급수용기(420)가 완전하게 구속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용기 삽입구(622)와 상기 서브 급수용기(420)의 개구부(426)는 서로 연통되어 상기 용기측유로(96)가 상기 서브 급수용기(420)의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서브 급수용기(420)와 일체로 결합된 상기 용기연결부(600)를 상기 하우징(500)에 장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용기측유로(96)는 상기 안착부(530)에 노출된 상기 급수유로(94)와 연결되며, 용기 결합돌기(428)와 용기 결합홀(624)의 결합에 의해 상기 안착부(53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재(532)를 회동시켜 상기 용기연결부(600)에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장착을 완료하게 된다.
반면에, 장착되는 용기가 메인 급수용기(410)인 경우 사용자는 시판되는 생수를 구매한 후에 상기 생수병의 뚜껑을 개방하고 상기 용기의 개구부(412)를 상기 용기연결부(600)에 형성된 용기 삽입구(622)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탈착레버(810)의 조작부(812)를 누르게 되며, 상기 탈착레버(810)의 회동으로 상기 용기 삽입구(622)이 완전히 개방된다. 상기 개구부(412)의 삽입 후에 상기 조작부(812)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구속부(816)는 상기 용기 삽입구(62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구부(412)를 눌러 고정하게 된다.
상기 개구부(412)의 직경이 크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812)의 조작 없이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개구부(412)가 상기 구속부(816)의 경사면이 접하게 되고, 상기 탈착레버(810)가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412)가 상기 용기 삽입구(622)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구속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연결부(600)가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연결부(600)를 상기 하우징(500)의 안착부(530)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용기연결부(600)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용기측유로(96)의 단부는 상기 안착부(530)에 노출되는 상기 급수용기(400)의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500)의 제 1 결합부(538)와 상기 케이스(610)의 제 2 결합부(616)가 서로 결합된다. 상기 용기연결부(600)가 상기 하우징(500)에 결합된 후에는 상기 구속부재(532)를 회동시켜 상기 용기연결부(600)에 밀착시켜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장착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용기연결부(600)에 장착되는 메인 급수용기(410)는 시판되는 생수병이므로 그 용량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 길이 또한 다양하게 제공된다. 이와 같은 당양한 길이의 메인 급수용기(410)의 장착을 위해서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용기연결부(600)가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와 결합되고, 상기 용기연결부(600)가 상기 하우징(500)에 장착된 상황에서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610)를 파지한 상태로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케이스(61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610)와 바텀플레이트(620) 및 홀더(800)는 상하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되어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가 고정되는 상부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연결부(600) 내측의 용기측유로(96)는 상기 유로가이드부(644)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케이스(610)의 관통홀(614)를 따라 간섭되지 않고 상대이동 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500) 상에 장착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용기측유로(96)의 고정 위치를 유지하면서, 상기 케이스(610)를 상하 이동시켜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10)의 상하이동시에는 상기 제 1 결합부(538)와 제 2 결합부(616)가 서로 이동을 가이드하여 상기 케이스(610)가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610)를 이동시켜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의 장착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는 상기 바스켓(53)에 의해 하방에서 지지되고, 상기 용기연결부(600)에 의해서 상부가 고정되어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급수용기(400)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술한 역순의 절차를 거쳐 분리할 수 있으며, 필요한 때 마다 상기 급수용기(400)의 재장착 및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와 서브 급수용기(420)는 하나의 바스켓(53)에서 동시 보관이 가능하며, 상기 서브 급수용기(420)는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의 물이 소진되는 경우에 사용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급수용기(400)의 장착이 완료되어 충분한 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빙장치(64) 또는 상기 디스펜서(68)에서 물공급을 위한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펌프(700)가 구동된다. 상기 펌프(700)의 구동으로 상기 급수용기(40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용기측유로(96)를 통해 흡입된다.
이때,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용기측유로(96)의 단부에 상기 필터부(93)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필터부(93)를 통과하면서 정수된 후 상기 용기측유로(96)를 통해 흡입된다. 상기 용기측유로(96)를 통해 흡입되는 물은 상기 급수유로(94) 및 상기 펌프(700)를 거쳐 상기 제빙장치(64) 및/또는 디스펜서(68)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급수유로(90)상에 절환밸브(92)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절환밸브(92)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빙장치(64)와 디스펜서(68)로의 물공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실시예3]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하우징 및 용기연결부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상기 제2실시예의 도면 부호와 설명을 원용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냉장실 도어(1052)의 내측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1500)에는 용기연결부(1600)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연결부(1600)는 상기 급수용기(400)가 선택적으로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홀더(800)에 의해 상기 급수용기(400)가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용기연결부(1600)는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와 서브 급수용기(420)의 선택적인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기연결부(1600)는 상기 하우징(1500)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상기 급수용기(400)와의 결합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용기(400)의 길이가 달라지는 경우 상기 급수용기(400)를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용기연결부(1600)의 하방에 지지부재(110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100)는 상기 바스켓(53)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 도어(52)의 양측에 제공되는 안내부재(1200)를 따라서 상하 이동되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지지부재(1100)는 상기 바스켓(53)과 같이 장착 위치를 조절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급수용기(400)의 장착시 상기 하우징(500)에 형성된 상기 용기연결부(600)에 상기 급수용기(400)를 장착한 후 상기 급수용기(40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100)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급수용기(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100)의 내측에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가변 지지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지지수단은 탄성부재에 의한 높이 조절 또는 나사방식에 의한 높이조절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할 것이며, 상기 지지부재(1100)의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급수용기(400)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실시예4]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하우징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상기 제2실시예의 도면 부호와 설명을 원용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냉장실 도어(2052)의 내측에는 탈착 가능한 하우징(2500)이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500)은 상기 홈바(54)와 바스켓(53) 사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냉장고(2)의 가로방향 폭 보다는 더 작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500)은 상기 냉장실 도어(2052)의 도어라이너(2056)에 밀착될 수 있도록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용기(400)가 필요하지 않은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모듈화 된다.
즉, 상기 하우징(2500)은 급수용기(400)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용기연결부(600)가 장착되는 안착부(2530)와 상기 펌프(700)가 장착되는 펌프수용부(2520) 그리고, 상기 급수용기(400)의 일부가 수용되는 용기 안착부(2510)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2530)는 상기 용기연결부(6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관통형성되는 상기 유로 삽입구(534)를 통해 상기 냉장실 도어(52)측으로 연장된 상기 급수유로(94)의 개구된 단부가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530)에는 상기 용기연결부(600)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구속부재(532)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연결부(600)와 선택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결합부(53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2510)는 상기 안착부(253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급수용기(400)를 길이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용기(400)의 장착시 상기 용기 안착부(2510)에 상기 급수용기(400)의 후반부가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급수용기(4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5]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하우징과 용기연결부 그리고 펌프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상기 제2실시예의 도면 부호와 설명을 원용한다.
도 20과 2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3052)의 내측면에는 하우징(3500)이 모듈로 구성되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3500)에는 상기 용기연결부(3600)가 장착되는 용기 안착부(3530)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 안착부(3530)에는 상기 유로 삽입구(534)와 제 1 결합부(538)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연결부(3600)의 장착시 상기 급수유로(94)와 용기측유로(96)가 연결되고, 상기 용기연결부(60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펌프(37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기연결부(3600)에 장착된다.
도 20에서와 같이, 상기 펌프(700)를 구성하는 임펠러와 모터가 일체로 구성 되어 상기 용기연결부(3600)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펌프(700)는 상기 용기측유로(96)와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안착부(3530)와 상기 용기연결부(3600)에는 각각 펌프 전원커넥터(3532)가 제공된다. 상기 펌프 전원커넥터(3602)는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장착시 상기 펌프(7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커넥터 또는 접촉 단자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1에서와 같이, 상기 펌프(4700)를 구성하는 임펠러(4710)는 상기 용기연결부(4600)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4720)는 상기 하우징(4500)의 내측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임펠러(4710)는 상기 용기연결부(4600)의 내측에서 상기 용기측유로(96)와 연결되며, 회전 중심에 상기 모터(4720)의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4720)는 상기 안착부(530)의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안착부(4530)의 외측으로 회전축이 노출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장착시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고정과 동시에 상기 급수유로(94)와 용기측유로(96)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모터(4720)의 회전축이 상기 임펠러(4710)의 회전 중심에 삽입되어 상기 임펠러(4710)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6]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하우징, 용기연결부 그리고 펌프의 구성 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상기 제2실시예의 도면 부호와 설명을 원용한다.
도 22와 2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냉장실 도어(5052)에는 상기 급수용기(400)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용기연결부(600)가 장착되기 위한 제 1 결합부(553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5052)의 도어라이너(5056)에는 상기 급수유로(94)의 단부가 노출되는 유로 삽입구(5534)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용기(400)로부터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700)는 상기 냉장실 도어(5052) 또는 상기 용기연결부(60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2에서와 같이, 상기 냉장실 도어(5052)의 내측에는 펌프(5700)가 내장되며, 상기 펌프(5700)는 상기 급수유로(94)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결합부(5538)에는 상기 용기연결부(600)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내측에는 상기 용기측유로(96)가 제공되며, 상기 용기측유로(96)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급수유로(94)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홀더(800)를 조작하여 상기 급수용기(400)를 상기 용기연결부(600)에 결합시킨 후에 상기 용기연결부(600)를 상기 냉장실 도어(5052)에 장착시키게 되면, 상기 용기측유로(96)와 급수유로(94)가 연결되고 상기 냉장실 도어(5052) 내측의 상기 펌프(7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급수용기(400) 내부의 물이 흡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3에서와 같이, 상기 펌프(6700)는 상기 용기연결부(66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펌프(6700)는 상기 용기측유로(96)와 연통되며, 상기 용기연결부(6600)의 외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라이너(56)에는 펌프 전원커넥터(5536,661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펌프 전원커넥터(5536)는 상기 펌프(67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반적인 커넥터 또는 접촉 단자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홀더(800)를 조작하여 상기 급수용기(400)를 상기 용기연결부(6600)에 결합시킨 후에 상기 용기연결부(6600)를 상기 냉장실 도어(52)에 장착시키게 되면, 상기 용기측유로(96)와 급수유로(94)가 연결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펌프 전원커넥터(5536,6610)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펌프(6700)로 전원의 인가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빙장치(64) 및/또는 디스펜서(68)로의 물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7]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하우징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상기 제2실시예의 도면 부호와 설명을 원용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50)의 내측에는 하우징(7500)이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7500)은 상기 급수용기(400)가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용기연결부(600)가 선택적으로 장착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장실(50)의 내부 적어도 일측 벽면과 접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7500)은 내부에 펌프가 구비되며, 모듈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급수용기(400)의 사용여부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냉장실(50)의 내부에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7500)의 전면에는 상기 급수유로(94)가 노출되는 유로 삽입구(534)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 삽입구(534)의 양측에는 상기 용기연결부(600)와 결합되기 위한 제 1 결합부(53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7500)에는 회동에 의해 상기 용기연결부(600)와 밀착되어 상기 용기연결부(600)를 고정하는 구속부재(532)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용기연결부(600)에는 상기 홀더(800)가 제공되어 상기 급수용기(400)의 장착이 가능하며, 내부를 통과하는 용기측유로(96)가 상기 용기연결부(600)의 장착시 상기 급수유로(94)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연결부(600)는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 외에도 상기 서브 급수용기(420)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용기연결부(600)에 상기 급수용기(400)를 장착한 후에 상기 하우징(7500)에 상기 용기연결부(600)를 결합함으로써 급수를 위한 준비를 완료하게 되고, 상기 펌프의 구동에 따라 상기 물공급유로(90)를 통해 상기 급수용 기(400)의 물이 상기 제빙장치(64) 및/또는 디스펜서(68)로 공급되며, 상기 절환밸브(92)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빙장치(64)와 디스펜서(68)로의 선택적인 물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87)

  1. 냉장실 및 냉동실이 형성되는 본체;
    적어도 상기 냉동실 도어로 연장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물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유닛은,
    상기 급수유로와 연결되는 연결유로;
    상기 급수유로와 연결유로 사이에 개재되는 펌프;
    냉장실 도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급수 또는 배수를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의 개구부가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용기연결부; 및
    상기 연결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급수용기 내부로 삽입되는 흡입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연결부는 나사결합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유닛은, 냉장실 도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용기연결 부와 급수용기 및 펌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용기연결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용기는 상기 용기연결부의 하방에서 상기 용기연결부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유닛은,
    상기 연결유로상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물이 모이는 집수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유닛은, 상기 흡입유로를 따라 흐르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흡입유로의 단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의 내경은 휴대 가능한 생수병의 개구부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로는 적어도 제빙장치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냉장고.
  1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에 형성되는 용기연결부;
    상기 용기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주입을 위한 개구부를 가지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
    상기 급수용기와 제빙장치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급수용기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물공급유로;
    상기 물공급유로상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상기 제빙장치로 공급 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는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의 내측 벽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냉장고.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에 내장되는 냉장고.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는 상기 급수용기의 상방에 형성되는 냉장고.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는 상기 급수용기에서 물이 출입 되는 개구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용기는 상방으로 개구된 생수병으로 구성되는 냉장고.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유로는 상기 도어에 제공되는 디스펜서와 유동적으로 더 연결되는 냉장고.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에는 상기 급수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하 장착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급수용기의 높이에 따라 가변되어 상기 급수용기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가변 지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냉장고.
  2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연결부;
    상기 용기연결부에 연결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
    상기 급수용기의 내측에서부터 상기 제빙장치까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물공 급유로;
    상기 물공급유로상에 제공되어 물을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는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에서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탈착되는 냉장고.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는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탈착되는 냉장고.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는 상기 급수용기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에는 상기 용기연결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재가 더 구비되는 냉장고.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유로는,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에서 상기 제빙장치 측으로 연장되는 급수유로와,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에서 상기 급수용기 측으로 연장되는 용기측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유로와 용기측유로는 상기 용기연결부의 탈착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냉장고.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로와 용기측유로가 연결되는 지점에 제공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는 냉장고.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는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용기의 길이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의 배면에는 상기 물공급유로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용기연결부가 상기 물공급유로와 간섭되지 않고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의 내측에는, 상기 물공급유로를 안내하는 유로가이드부가 제공되는 냉장고.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부에는,
    상기 용기연결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물공급유로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개구되는 후방안내부와,
    상기 물공급유로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개구되는 측방안내부가 더 형성되는 냉장고.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부의 내측에는,
    상기 물공급유로 상단과 상기 용기연결부의 천장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용기연결부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제공되는 냉장고.
  33. 냉장실 및 냉동실이 제공되는 본체;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수용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
    상기 제빙장치로 공급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에서 상기 제빙장치까지 물공급을 안내하는 물공급유로;
    상기 물공급유로상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냉장실 또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개구부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는 냉장고.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내부에 펌프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되는 펌프 수용부가 더 형성되는 냉장고.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냉장실 도어의 내측면 폭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냉장고.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좌우 양측과 상기 냉장실 도어의 내측면에는 각각 안착돌기와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분리시 상기 안착홈 또는 안착돌기에는 바스켓이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9.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급수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함몰되는 용기 안착부가 더 형성되는 냉장고.
  40.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급수용기의 상방에 배치되는 냉장고.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는 상기 하우징과 한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2. 냉장실 및 냉동실이 제공되는 본체;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수용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
    상기 제빙장치로 공급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에서 상기 제빙장치까지 물공급을 안내하는 물공급유로;
    상기 물공급유로상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냉장실 또는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개구부가 연결되는 용기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용기연결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구속부재가 더 구비되는 냉장고.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는 상하방향의 이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탈착되는 냉장고.
  45.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는 상기 하우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탈착되는 냉장고.
  46.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는 상기 급수용기의 물이 출입되는 개구부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탈착되는 냉장고.
  47.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와 하우징 중 어느 일측에 제공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용기연결부와 하우징 중 다른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결합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는 상기 용기연결부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냉장고.
  49.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유로는 상기 용기연결부의 탈착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유로상에는 상기 물공급유로의 선택적인 분리 결합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는 냉장고.
  51.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적어도 제빙장치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며, 물이 출입되는 개구부가 상방에 형성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와 상기 제빙장치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물공급유로;
    상기 물공급유로상에 제공되어 급수용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개구부가 삽입되기 위한 용기 삽입구가 제공되는 용기연결부;
    상기 용기연결부에 제공되어 상기 급수용기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개구부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개구부에 접촉하는 부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가변 홀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3.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며, 단부가 상기 개구부와 접촉하는 탈착레버와,
    상기 탈착레버의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탈착레버가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레버는,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조작부와, 상기 용기의 개구부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용기 삽입구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구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부와 상기 구속부 사이의 어느 지점에 상기 탈착레버의 회전 중심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5. 제 54 항에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용기연결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56.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에는 상기 급수용기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7.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레버는 상기 용기연결부의 내측에 다수개 구비되며,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8.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는,
    하방으로 개구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되는 부분을 차폐하고, 상기 홀더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텀플레이트와;
    상기 바텀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개구부를 수용하는 용기 수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59.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유로는 상기 용기 삽입구를 지나 상기 급수용기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냉장고.
  60.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적어도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제빙장치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며, 휴대 가능한 생수병 형태의 메인 급수용기와, 상기 메인 급수용기와 교체가능하게 제공되는 서브 급수용기를 포함하는 급수용기;
    상기 메인 급수용기 또는 서브 급수용기와 상기 제빙장치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물공급유로;
    상기 물공급유로상에 제공되어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에 제공되며, 상기 메인 급수용기의 장착을 위 한 구조와 서브 급수용기의 장착을 위한 구조가 별도로 제공되는 용기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의 하방에는,
    상기 메인 급수용기와 서브 급수용기가 동시에 수납 가능한 지지바스켓이 제공되는 냉장고.
  62.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급수용기의 장착을 위한 구조는, 상기 메인 급수용기의 개구부가 삽입되는 용기 삽입구이고,
    상기 서브 급수용기의 장착을 위한 구조는, 상기 용기 연결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용기 결합홀과, 상기 서브 급수용기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상기 용기 결합홀과 결합되는 용기 결합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에는 상기 메인 급수용기의 개구부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급수용기의 개구부에 접촉하는 부분의 간격이 조절 가능한 가변 홀더가 제공되는 냉장고.
  64.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결합돌기가 상기 용기 결합홀에 삽입되면, 상기 용기연결부의 용기 삽입구에 일치하는 위치의 상기 서브 급수용기 상면에 물 주입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5.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결합홀은 소정 곡률로 만곡되는 형상이고, 상기 용기 결합돌기가 상기 용기 결합홀에 삽입된 후 회전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서브 급수용기가 상기 용기연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6.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급수용기는,
    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와;
    상면에 상기 용기 결합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씌워지는 용기커버와;
    상기 용기본체에 돌출되는 용기핸들을 포함하는 냉장고.
  67. 제빙장치가 구비되는 본체;
    적어도 상기 제빙장치로의 공급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와 상기 제빙장치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물공급유로;
    상기 물공급유로상에 제공되어 급수용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개구부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유로는,
    상기 제빙장치로부터 상기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로 연장되는 급수유로와,
    상기 용기연결부에서 상기 급수용기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흡입유로와,
    상기 급수유로와 상기 흡입유로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68.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와 흡입유로는 일체로 형성되는 냉장고.
  69.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로는 상기 연결유로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장고.
  70.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는 상기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용기연결부의 탈착에 따라 상기 급수유로가 상기 연결유로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냉장고.
  71.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의 일측은 상기 용기연결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급수유로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냉장고.
  72.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로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냉장고.
  73.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로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74.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로는 적어도 일부가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냉장고.
  75.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로는 상기 용기연결부의 내측에서 다단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76.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유로는 상기 저장공간을 차폐하는 도어의 힌지를 통해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로 안내되는 냉장고.
  77.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유로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을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78.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냉동실측에 배치되는 상기 물공급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 및 도어 내측의 단열재에 매립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79.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유로는 고외측에서 물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와 더 연결되는 냉장고.
  80. 제 79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로상에는 상기 급수용기의 물이 상기 제빙장치 또는 디스펜서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개폐조작되는 절환밸브가 더 구비되는 냉장고.
  81.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적어도 제빙장치 측으로 공급되기 위한 물이 저장되며, 고내에서 탈착 가능 한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와 제빙장치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물공급유로;
    상기 본체의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개구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연결부;
    상기 용기연결부에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며, 상기 급수용기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공급유로로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82. 제 8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연결부는 상기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3. 제 82 항에 잇어서,
    상기 용기연결부가 상기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용기연결부 및 상기 용기연결부가 장착되는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 전원커넥터가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4. 제 8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용기연결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임펠러와,
    상기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 장착되는 모터가 포함되고,
    상기 용기연결부가 상기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임펠러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5. 제 8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는,
    상기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의 내벽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용기연결부가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하우징이 더 구비되는 냉장고.
  86. 제 85 항에 잇어서,
    상기 용기연결부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용기연결부 및 상기 용기연결부가 장착되는 하우징에 전원커넥터가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7. 제 85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용기연결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임펠러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모터가 포함되고,
    상기 용기연결부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임펠러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97027423A 2007-11-05 2008-11-04 냉장고 KR101188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11951 2007-11-05
KR1020070111951 2007-11-05
PCT/KR2008/006497 WO2009061118A2 (en) 2007-11-05 2008-11-04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494A true KR20100033494A (ko) 2010-03-30
KR101188513B1 KR101188513B1 (ko) 2012-10-05

Family

ID=406263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695A KR101166640B1 (ko) 2007-11-05 2008-11-04 냉장고의 급수 제어 방법
KR1020097027423A KR101188513B1 (ko) 2007-11-05 2008-11-04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695A KR101166640B1 (ko) 2007-11-05 2008-11-04 냉장고의 급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8613203B2 (ko)
EP (4) EP2205913B1 (ko)
KR (2) KR101166640B1 (ko)
CN (3) CN101849150B (ko)
WO (2) WO2009061118A2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00085A2 (en) 2011-11-29 2013-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EP2600086A2 (en) 2011-11-29 2013-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EP2600084A2 (en) 2011-11-29 2013-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1348829B1 (ko) * 2013-04-24 2014-01-08 주식회사 엠씨엠 냉장고용 일체형 정수모듈
KR20180129259A (ko) * 2017-05-26 201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25126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제빙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10584908B2 (en) 2015-05-20 2020-03-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21256783A1 (en) * 2020-06-17 2021-1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8086B2 (en) * 2009-07-13 2012-08-21 General Electric Company Capacitive proximity detection system for an appliance
US20120111048A1 (en) * 2009-07-14 2012-05-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110011318A (ko) * 2009-07-28 2011-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096994B1 (ko) * 2009-08-11 2011-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26602A (ko) * 2009-09-08 2011-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2686961B (zh) * 2009-11-06 2016-01-13 Lg电子株式会社 冰箱
KR101733241B1 (ko) * 2010-03-15 2017-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13227B1 (ko) 2010-06-22 201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8464549B2 (en) * 2010-10-11 2013-06-18 General Electric Company Airway seal apparatus and method, and refrigerator apparatus using the seal
CN102243001B (zh) * 2011-07-26 2013-08-14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
US9890029B2 (en) 2011-12-09 2018-02-1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utomatic liquid dispenser
CN103162502B (zh) * 2011-12-16 2017-02-15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制冷器具
KR20140075291A (ko) * 2012-12-11 2014-06-19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2938939B1 (en) * 2012-12-31 2017-11-08 Arç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n adaptor
KR101601391B1 (ko) 2014-02-12 2016-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필터장치
CN104075533B (zh) * 2014-07-22 2019-09-20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供水系统控制方法
KR102279393B1 (ko) * 2014-08-22 2021-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170284722A1 (en) * 2016-03-31 2017-10-05 General Electric Company Filters for Non-Plumbed Appliances
CN106766457B (zh) * 2016-12-27 2018-04-2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制冰机
CN106802041B (zh) * 2016-12-27 2018-03-1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制冰机
CN109813037A (zh) * 2017-11-22 2019-05-28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供水组件
US11131494B2 (en) * 2018-01-08 2021-09-28 Ram Prakash Sharma Ice-machine rotatable assembly and housing, an ice-machine rotatable assembly, an ice-machine, and associated methods
US11009167B2 (en) * 2018-08-06 2021-05-18 Compagnie Plastic Omnium Connecting device for a fluid supply system
CN109695992B (zh) * 2018-08-24 2021-06-22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冰箱
KR20210013993A (ko) * 2019-07-29 2021-02-08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11441835B1 (en) 2021-02-24 2022-09-13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appliance and containment system for contents of refrigerator appliance
US20230304717A1 (en) * 2022-03-22 2023-09-28 Whirlpool Corporation Water fill tube with thermally conductive filled polymer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0266A (en) * 1969-06-02 1971-03-16 Gen Electric Refrigerator including ice maker water reservoir
IT1198360B (it) * 1982-03-09 1988-12-21 Eurodomestici Ind Riunite Apparecchio produttore di ghiaccio con pompetta alimentatrice,particolarmente per frigoriferi domestici a piu' vani di conservazione
US4700892A (en) * 1986-10-10 1987-10-20 Blue Mountain Products, Inc. Misting and watering can
JPH01234772A (ja) * 1988-03-12 1989-09-20 Toshiba Corp 自動製氷機付冷蔵庫
US4848097A (en) * 1988-07-18 1989-07-18 Roberts Mark J Apparatus for transferring water from a container to a refrigerator ice maker
JPH0776659B2 (ja) * 1989-10-24 1995-08-16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H0611221A (ja) 1992-04-30 1994-01-21 Toshiba Corp 自動製氷機
JPH07218069A (ja) * 1994-01-31 1995-08-18 Toshiba Corp 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KR0182126B1 (ko) * 1995-10-31 1999-05-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급수장치 및 물탱크 수량부족검출방법
US5737932A (en) 1995-10-31 1998-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controller for supplying water from a reservoir to either an ice maker or an outside dispenser
KR0168184B1 (ko) 1995-11-06 1999-01-15 김광호 냉장고의 물분배기
KR0126939Y1 (ko) * 1995-11-10 1998-11-02 김광호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펌프 승강장치
KR970028324A (ko) 1995-11-24 1997-06-24 김광호 냉장고의 디스펜서
US5813246A (en) * 1995-12-05 1998-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dispenser for a refrigerator
KR0153209B1 (ko) 1995-12-08 1999-01-15 김광호 자동제빙장치
KR0126839Y1 (ko) 1995-12-19 1999-10-01 배순훈 가습기의 수위 감지장치
JPH09250852A (ja) * 1996-03-19 1997-09-22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KR0180818B1 (ko) 1996-04-25 1999-05-01 구자홍 냉장고의 급수용기 지지구조
KR200150318Y1 (ko) 1996-09-25 1999-07-01 전주범 냉장고 자동 제빙기의 급수조절장치
US5813238A (en) * 1996-10-07 1998-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ice production apparatus
KR19990034645A (ko) 1997-10-30 1999-05-15 전주범 자동 제빙기의 수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제빙기의 제어방법
JPH11304323A (ja) 1998-04-20 1999-11-05 Fujitsu General Ltd 自動製氷機の給水装置
KR100276739B1 (ko) * 1998-10-31 2001-02-01 전주범 자동제빙기용 급수장치
JP3541147B2 (ja) 1999-08-03 2004-07-07 株式会社東芝 製氷装置の給水装置
JP4479120B2 (ja) 2001-03-30 2010-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製氷機
FR2829219B1 (fr) * 2001-09-04 2004-12-17 Hutchinson Raccord d'etancheite pre-assemble
CN2539113Y (zh) 2002-03-26 2003-03-05 海尔集团公司 电冰箱
ITPR20020036A1 (it) * 2002-06-24 2003-12-24 Ferrari Group Srl Attacco rapido per sistemi di irrigazione, in particolare domestica
US7293846B2 (en) * 2004-10-15 2007-11-13 Whirlpool Corporation Storage bin assembly for a refrigerator
KR20060060447A (ko) * 2004-11-30 2006-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자동급수 제빙기
KR20060068745A (ko) 2004-12-17 2006-06-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생수 디스펜서구조
US20060186278A1 (en) * 2005-02-08 2006-08-24 Tjerrild James W Sanitary pipe mounting system
SI22104A (sl) * 2005-07-01 2007-02-28 Gorenje Gospodinjski Aparati, D.D. Naprava za tocenje vode
DE202005011360U1 (de) * 2005-07-19 2006-11-23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US7475555B2 (en) * 2005-10-26 2009-01-13 General Electric Company Water dispense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7827811B2 (en) 2006-01-09 2010-11-09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control including a hidden features menu
JP4293560B2 (ja) 2006-07-12 2009-07-08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00085A2 (en) 2011-11-29 2013-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EP2600086A2 (en) 2011-11-29 2013-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EP2600084A2 (en) 2011-11-29 2013-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1348829B1 (ko) * 2013-04-24 2014-01-08 주식회사 엠씨엠 냉장고용 일체형 정수모듈
US10584908B2 (en) 2015-05-20 2020-03-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079157B2 (en) 2015-05-20 2021-08-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2013169B2 (en) 2015-05-20 2024-06-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180129259A (ko) * 2017-05-26 201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25126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제빙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WO2021256783A1 (en) * 2020-06-17 2021-1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982488B2 (en) 2020-06-17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34318B2 (en) 2013-05-07
CN101849149A (zh) 2010-09-29
CN102997549B (zh) 2015-01-28
EP2181297A2 (en) 2010-05-05
EP2192364A3 (en) 2014-03-05
CN101849150A (zh) 2010-09-29
EP2205913A4 (en) 2014-03-05
KR20100087114A (ko) 2010-08-03
US20100257875A1 (en) 2010-10-14
US8567209B2 (en) 2013-10-29
EP2181297A4 (en) 2014-03-05
CN101849150B (zh) 2012-04-25
EP2194348A3 (en) 2014-03-05
US8613203B2 (en) 2013-12-24
US20100251745A1 (en) 2010-10-07
KR101166640B1 (ko) 2012-07-18
US20100218541A1 (en) 2010-09-02
WO2009061118A3 (en) 2009-07-16
EP2194348B1 (en) 2022-07-27
EP2192364A2 (en) 2010-06-02
KR101188513B1 (ko) 2012-10-05
WO2009061119A3 (en) 2009-07-30
WO2009061118A2 (en) 2009-05-14
CN102997549A (zh) 2013-03-27
EP2205913B1 (en) 2020-12-30
EP2192364B1 (en) 2018-10-31
WO2009061119A2 (en) 2009-05-14
EP2194348A2 (en) 2010-06-09
EP2181297B1 (en) 2022-06-01
EP2205913A2 (en) 201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513B1 (ko) 냉장고
US10690398B2 (en) Refrigerator
KR101997259B1 (ko) 냉장고
US9222722B2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KR20110117115A (ko) 냉장고
KR20100102048A (ko) 냉장고
KR20110138777A (ko) 냉장고
CN105890274B (zh) 电冰箱
KR102497702B1 (ko) 냉장고
JP2006275347A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KR101085612B1 (ko) 냉장고
KR101150590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급수용기
JP2005233555A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JP2006250490A (ja) 冷蔵庫の製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