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8745A - 냉장고의 생수 디스펜서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생수 디스펜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8745A
KR20060068745A KR1020040107594A KR20040107594A KR20060068745A KR 20060068745 A KR20060068745 A KR 20060068745A KR 1020040107594 A KR1020040107594 A KR 1020040107594A KR 20040107594 A KR20040107594 A KR 20040107594A KR 20060068745 A KR20060068745 A KR 20060068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d water
dispenser
bottle
refrigerator
refrigera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107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8745A/ko
Publication of KR20060068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9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생수 디스펜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시판중인 생수병을 냉장실에서 사용하는 디스펜서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냉장실도어에는, 생수병(31)이 안착되기 위한 병안착부(32)가 형성되며, 내부에 생수병(31)의 마개를 뚫기 위한 침봉(34)이 형성되며, 생수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39)가 형성되어 있는 물통(33)과, 상기 물통(33)을 냉장실도어(23)에 고정안착시키기 위하여 냉장실도어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탄력성있는 재질의 고정구(36)와, 상기 물통(33)의 토출구(39)로부터 유출되는 생수를 받아 냉장실도어(23)외부로 보내며, 하단에 생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40)의 위쪽으로 생수를 차단 또는 배출되게 하는 밸브(43)가 형성되어 있는 디스펜서(37)와, 상기 디스펜서(37)와 밀봉 형성되며 컵(41)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인 디스펜서부(42)를 형성하는 포밍(38)이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생수병을 삽입 하기위한 물통과 상기 물통으로부터 생수를 냉장실도어 외부로 배출하는 디스펜서가 구성됨으로써 일정온도가 유지되는 생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냉장고, 디스펜서, 생수병, 생수, 페트병

Description

냉장고의 생수 디스펜서구조{Dispenser structure for supplying spring water in the refrigerator}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냉장고를 절단한 측면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수용 디스펜서구조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서 X-X'축으로 절단한 디스펜서구조의 절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서 A-A'축으로 절단한 물통의 횡절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 설명 ******
20 : 냉장실, 21 : 냉동실도어
22 : 선반, 23 : 냉장실도어
24 : 포켓, 31 : 생수병
32 : 병안착부, 33 : 물통
34 : 침봉, 35 : 내통
36 : 고정구, 37 : 디스펜서
38 : 포밍, 39 : 토출구
40 : 배출구, 41 : 컵
42 : 디스펜서부, 43 : 밸브
본 발명은 냉장고의 생수 디스펜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실도어에 생수페트병을 삽입하여 생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구조에 대한 것이다.
냉장고의 주요한 기능은 음식물을 일정온도로 유지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냉장실과 냉동실이 구비되게 되며, 보통 하단에 냉장실 상단에 냉동실로 이루어지는 1냉장1냉동실의 냉장고가 보편적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 1에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냉장실(2)과 냉동실(4)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냉동실(4)의 후방에는 열교환챔버(6)가 마련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증발기(8) 및 송풍팬(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증발기(8)와의 접촉에 의하여 생성되는 냉기는, 송풍팬(9)을 통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에 있어서, 냉장고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은 냉동실을 기준으로 하거나, 냉장실을 기준으로 한다. 즉 냉동실의 온도에 따라서 냉동싸이클을 동작시키면서 냉기를 생성하고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여 냉기를 공급하기도 하고(냉동실 기준), 냉장실의 온도에 따라서 송풍팬을 구동하여 냉기를 공급하기도 한 다(냉장실 기준).
냉장실을 기준으로 하여 냉기를 공급하는 방법에 의하면, 냉장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온도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으면 냉동싸이클 및 상기 송풍팬을 동시에 구동시켜 냉기를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냉장실을 기준으로 냉기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냉장고의 외부온도가 낮은 경우(예를 들면 10℃ 이하)에는, 냉동싸이클의 구동시간이 많지 않아도, 냉장실의 온도는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냉장고의 운전시간이 짧아도 냉장실의 기준온도는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과부하나 도어개폐시에는 고내온도가 상승하게 됨으로 이를 상쇄하기 위한 냉각작용을 위해서콤프레샤(미도시)와 송풍팬에 의한 급속냉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의 종래냉장고에는 냉수를 공급하는 장치가 따로 구비되지 않는다. 즉 디스펜서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사용자가 냉수를 마시기 위해서는 냉장실도어쪽에 생수를 넣어 두었다가 사용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착안된 것으로써, 시판중인 생수병을 냉장실에서 사용하는 디스펜서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과제에서 제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냉장실도어에 생수병을 안착시키기 위한 물통을 설치하고 이 물통으로부터 생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디스펜서를 도어에 형성시켜 외부에서 생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냉장실도어에는, 생수병이 안착되기 위한 병안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생수병의 마개를 뚫기 위한 침봉이 형성되며, 생수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물통과, 상기물통을 냉장실도어에 고정안착시키기 위하여 냉장실도어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탄력성있는 재질의 고정구와, 상기물통의 토출구로부터 유출되는 생수를 받아 냉장실도어외부로 보내며, 하단에 생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배출구의 위쪽으로 생수를 차단 또는 배출되게하는 밸브가 형성되어 있는 디스펜서와, 상기 디스펜서와 밀봉형성되며 컵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인 디스펜서부를 형성하는 포밍이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수용 디스펜서구조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로써, 냉장실도어내측에 형성되는 물통(33), 상기 물통과 연결되어 생수를 공급하는 디스펜서부(42) 등이 구성된다.
냉장고는 상기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냉장실(20)과 냉동실(미도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냉장실(20)에는 음식을 놓을 수 있는 선반(22)이 다수개 구성되며, 탈착이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냉장고에는 상기 냉장실(20)과 냉동실에는 각각 냉장실도어(23)와 냉동실도어(21)가 구성되어 있게 된다. 냉장실도어(23)안쪽에는 음료수병이나 조미료통 등을 놓기 위한 포켓(24)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함께 본 발명을 위한 물통(3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36)가 안쪽에 형성되고, 이 고정구(36)에 의하여 고정된 물통(33)이 구성된다. 고정구(36)는 물통(33)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로 냉장실도어(23)의 내측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 물통(33)과 연결되어 생수를 냉장실도어(23)의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디스펜서부(42)가 냉장실도어(23)의 일측에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물통(33)이 고정구(36)에 안착되면 상기 물통(33)에 생수병(31)을 삽입시키게 되면 생수병(31)으로부터 흘러내린물이 디스펜서부(42)에 공급되게 된다.
상기 물통(33)과 디스펜서부(42)가 어떻게 연결되는 지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은 상기 도 2에서 냉장실도어(23)를 X-X'축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우선 물통(33)구조를 보면, 물통(33)에는 생수병(31)이 삽입되면 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병안착부(32)가 형성되게 된다. 병안착부(32)의 하단으로는 상기 생수병(31)으로부터 떨어진물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공간인 내통(35)이 형성되며, 내통(35)의 일측에는 생수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토출구(39)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내통(35)에는 생수병(31)이 병안착부(32)에 삽입되면 삽입되는 힘으로 생수병(31)의 뚜껑에 홀이 생겨 생수병(31)의 생수가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침봉(34)이 형성된다. 침봉(34)은 말단끝이 뽀족한 형태를 가져 생수병(31)의 뚜껑에 쉽게 구멍을 낼 수 있다.
상기 물통(33)은 전술한 바와같이 냉장실도어(23)의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구(36)에 의하여 고정체결되게 된다. 즉 탄력성있는 재질로 구성되므로 물통(33)이 삽입되면 뒤로 휘어지면서 물통(33)을 고정하게 된다. 물론 물통(33)을 빼면 고정구(36)는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상기 고정구(36)에 의하여 고정된 물통(33)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냉장실도어(23)의 외부로 배출하기위한 디스펜서(37)가 냉장실도어(23)에 형성된다.
디스펜서(37)는 냉장실(20)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정구(36)의 하단에 연결되며, 물통(33)의 토출구(39)가 디스펜서(37)의 상단에 삽입되는 구조를 띠게 된다.
물론 디스펜서(37)의 하단에는 생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40)가 형성되어 있어, 물통(33)에 있던 생수가 자연스럽게 배출되어 디스펜서부(42)에 안착되어 있는 컵(41)에 담아지게 된다.
디스펜서(37)에는 생수의 유출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43)가 배출구(40)의 상단에 설치되게 된다.
즉 밸브(43)가 구비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흘러내리는 생수를 조절할 수 없게 되므로 컵(41)에 유입되는 생수가 흘러넘치게 되므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밸브(43)를 사용하여 적정량의 생수가 컵(41)에 담기도록 하는 것이 다.
물론 컵(41)을 놓기 위한 공간인 디스펜서부(42)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형성하기 위해 포밍(38)이 냉장실도어(23)내측에 형성된다. 디스펜서부(42)는 냉장실도어(23)안쪽으로 형성되어 디스펜서(37)와 밀봉연결되게 된다.
왜냐하면 냉장실(20)의 냉기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연결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펜서(37)와 디스펜서부(42)는 밀봉상태로 냉장실의 냉기가 냉장실도어(23)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도 4는 상기 도 2에서 A-A'축으로 절단한 물통의 횡절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즉 냉장실도어(23)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36)에 안착되는 물통을 절개한 단면도로써, 생수병(31)이 물통(33)에 형성된 병안착부(32)에 안착되는 모습이다.
생수병(31)은 보통 PET병이 많이 사용되게 되는데 보통 병마개도 플라스틱재질이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물통(33)의 내부안쪽에 상기 기술한 바와같이 상단이 날카로운 침봉(34)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 침봉(34)에 의하여 생수병(31)의 병마개가 펀칭되게 된다.
물론 생수병(31)은 위아래로 자유롭게 삽입 또는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생수병(31)의 물이 바닥나면 다른 생수병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생수병(31)에서 흘러나온 물은 토출구(39)를 통하여 아랫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도3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디스펜서(37)에 고이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실시예와 도면을 가지고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 종사하고 있거나 통상의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 자라면 본 발명의 내용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수많은 변형과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거하여 정해짐이 바람직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생수병을 삽입하기위한 물통과 상기 물통으로부터 생수를 냉장실도어외부로 배출하는 디스펜서가 구성됨으로써 일정온도가 유지되는 생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냉장고에 디스펜서를 장착하므로 냉장고에서 생수병의 뚜껑을 열지않고서도 냉장실도어외부에서 컵을 사용하여 식음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생수병(31)이 안착되기 위한 병안착부(32)가 형성되며, 내부에 생수병(31)의 마개를 뚫기 위한 침봉(34)이 형성되며, 생수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39)가 형성되어 있는 물통(33)과,
    상기 물통(33)을 냉장실도어(23)에 고정안착시키기 위하여 냉장실도어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탄력성있는 재질의 고정구(36)와,
    상기 물통(33)의 토출구(39)로부터 유출되는 생수를 받아 냉장실도어(23) 외부로 보내며, 하단에 생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40)의 위쪽으로 생수를 차단 또는 배출 되게하는 밸브(43)가 형성되어 있는 디스펜서(37)와,
    상기 디스펜서(37)와 밀봉 형성되며 컵(41)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인 디스펜서부(42)를 형성하는 포밍(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장고의 생수 디스펜서구조.
KR1020040107594A 2004-12-17 2004-12-17 냉장고의 생수 디스펜서구조 KR20060068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594A KR20060068745A (ko) 2004-12-17 2004-12-17 냉장고의 생수 디스펜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594A KR20060068745A (ko) 2004-12-17 2004-12-17 냉장고의 생수 디스펜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745A true KR20060068745A (ko) 2006-06-21

Family

ID=37163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594A KR20060068745A (ko) 2004-12-17 2004-12-17 냉장고의 생수 디스펜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874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1118A2 (en) 2007-11-05 2009-05-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0900984B1 (ko) * 2007-08-30 2009-06-04 장수진 분유 및 분말 디스펜서
KR100911283B1 (ko) * 2008-01-28 2009-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CN101479547B (zh) * 2006-07-12 2012-10-31 Lg电子株式会社 冰箱
KR101470732B1 (ko) * 2013-05-09 2014-12-08 신태호 냉장고 및 냉온수기 겸용 생수공급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79547B (zh) * 2006-07-12 2012-10-31 Lg电子株式会社 冰箱
KR100900984B1 (ko) * 2007-08-30 2009-06-04 장수진 분유 및 분말 디스펜서
WO2009061118A2 (en) 2007-11-05 2009-05-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09061119A2 (en) 2007-11-05 2009-05-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194348A2 (en) 2007-11-05 2010-06-09 LG Electronics Refrigerator
US8434318B2 (en) 2007-11-05 2013-05-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567209B2 (en) 2007-11-05 2013-10-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613203B2 (en) 2007-11-05 2013-12-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11283B1 (ko) * 2008-01-28 2009-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1470732B1 (ko) * 2013-05-09 2014-12-08 신태호 냉장고 및 냉온수기 겸용 생수공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6849B2 (en) Cooler and method for cooling beverage containers such as bottles and cans
BR112016021850B1 (pt) Aparelho para dispensar uma bebida
KR20060068745A (ko) 냉장고의 생수 디스펜서구조
KR101474013B1 (ko) 냉장고의 물공급 장치
KR20140075302A (ko) 냉장고
KR100848918B1 (ko) 냉장고
KR100840436B1 (ko) 탄산가스 주입용 압력용기 일체형 냉장고
EP1580503B1 (en)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a carbonator of a refrigerator
KR100517720B1 (ko) 탄산수 공급장치를 가진 냉장고
KR20070111629A (ko) 냉장고
US20220364785A1 (en) Seal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JP7455370B2 (ja) 容器接続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KR200277502Y1 (ko) 냉각수단을 갖는 아이스박스
KR0122421Y1 (ko) 잔수제거기능을 가진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KR20120039913A (ko) 냉장고
KR100430217B1 (ko) 냉장고의 디스팬서용 물통
KR20080114457A (ko) 음료수보냉용 얼음통
KR100783212B1 (ko) 홈바를 갖는 냉장고
KR100307867B1 (ko)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
KR100545424B1 (ko) 냉장고용 탄산수 제조기 냉각장치
KR0117193Y1 (ko) 잔수제거기능을 가진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KR0117192Y1 (ko) 잔수제거기능을 가진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KR101156255B1 (ko) 냉장고의 홈바 냉기공급장치
JP2000270778A (ja) 冷菓注出装置の注出部構造
KR20050097599A (ko) 외장형 탄산수기를 갖는 가정용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