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867B1 -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 - Google Patents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867B1
KR100307867B1 KR1019990033690A KR19990033690A KR100307867B1 KR 100307867 B1 KR100307867 B1 KR 100307867B1 KR 1019990033690 A KR1019990033690 A KR 1019990033690A KR 19990033690 A KR19990033690 A KR 19990033690A KR 100307867 B1 KR100307867 B1 KR 100307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frigerant
beverage
cooling
valv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7934A (ko
Inventor
김병하
Original Assignee
권성문
주식회사 미래와 사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성문, 주식회사 미래와 사람 filed Critical 권성문
Priority to KR1019990033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7867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1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 F25D3/107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5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가 냉각용기 내의 냉매와 음료캔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냉각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부에 구비된 분출관틀과, 상기 분출관틀의 외측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며 냉매를 분출가능한 버튼과, 내측에는 탄성수단이 내장되며 상기 버튼이 압입됨에 따라 상기 탄성수단을 가압 할 수 있는 슬라이딩수단이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연통된 상태로 하우징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냉매 외부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 조립체를 가지는 제 1용기를 구성하고, 상기 제 1용기의 내측에 상기 제 1용기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제 2용기를 수용시키므로서 상기 제 1용기와 제 2용기 사이에는 외부와 차단된 냉매수용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 2용기에 음료캔을 수용시켜 상기 제 1용기의 하부에 있는 밸브 조립체를 통하여 상기 냉매 수용부 내부의 냉매가 상기 밸브 조립체를 통하여 외부로 분출됨에 따라 상기 제 2용기의 내부의 음료캔이 증발잠열에 의하여 냉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를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A self-cooling container}
본 발명은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가 냉각용기 내의 냉매와 음료캔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냉각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 용기의 경우에는 음료를 시원한 상태로 마시기 위해서 냉장고나 자동판매기에 보관하여야 한다. 냉장고나 자동판매기가 없는 야외에서 시원한 음료수를 마시기 위해서는 캔을 아이스박스에 보관한다. 그러나 아이스 박스를 이용할 경우, 아이스 박스의 부피가 크고, 이로 인하여 이동하기가 불편하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어느 곳에서나 냉각된 음료를 마실 수 있는 냉각용기가 발명되기에 이르렇다. 이러한 냉각용기 중에서 기출원된 실용신안 제 99-1552호(냉매유출 조절용 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자가 냉각용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종래의 냉매유출 조절용 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자가 냉각용기 전단면도로서, 하부에 장착되는 냉각용기의 하부에 형성되며 개구를 가지는 분출관틀(21a)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버튼(22), 슬라이딩 수단(24), 하우징(26) 밸브 조립체(28), 역류방지수단(27), 냉매흡입수단(29)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각의 부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버튼의(22) 중앙에는 분출구(22b)가 형성됨과 동시에 분출구(22b)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버튼삽입부(22a)가 형성된다. 버튼삽입부(22a)는 상술한 분출관틀(21a)의 개구에 삽입된다. 분출관틀(21a)의 하부면에는 폐고리 형태의 패킹(23)이 장착된다. 패킹(23)과 접하여 하우징(26)이 수직으로 고정된다. 하우징(26)의 내부에는 슬라이딩 수단(24)이 상술한 버튼삽입부(22a)와 접하여 있다. 또한 하우징(26)의 내부에는 탄성수단(25)이 내장되어 있는데, 슬라이딩수단(24)은 탄성수단(25)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밸브 조립체(28)는 하우징(26)의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과 밸브 조립체(26,28)은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 조립체(28)의 내부에는 냉매 이동로(28a) 및 역류방지수단 이동로(27a)가 형성되어 있다. 역류방지수단 이동로(27a)에는 역류방지수단(27)이 내장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구성된다. 한편, 역류방지수단 이동로(27a)에는 제 1개구(28c) 및 제 2개구(28b)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조립체(28)의 단부에는 냉매흡입수단(29)이 수직으로 결합되는데, 냉매흡입수단(29)은 역류방지수단 이동로(27a)와 연통되는 파이프이다. 냉매흡입수단(29)은 밸브 조립체(28)이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기체냉매가 충진된 냉매통(21)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한편, 냉매흡입수단(29), 하우징(26), 밸브 조립체(28)는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일체형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길이 방향으로 금형을 반씩 나누어 두 개를 만든다. 이후에 각각 만들어진 역류방지수단(27)을 삽입하고 대칭형의 두 개의 부품을 결합하여 완성한다.
냉매분출장치가 하부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기체냉매(H)는 냉매흡입수단(29)을 통하여 밸브 조립체(28)의 역류방지수단 이동로(27a), 냉매이동로(28a), 하우징(26)의 내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슬라이딩수단(24)의 하부까지 이동된 상태가 된다. 이때, 제 1개구(28c)는 개방된 상태이고, 제 2개구(28b)는 역류방지수단(27)에 의하여 밀패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액체의 냉매와 접하여 있는 제 2개구(28b)는 역류방지수단(27)에 의하여 막혀 있고, 기체냉매(H)와 접하여 있는 제 1개구(28c)는 오픈된다.
냉각용기 내의 음료수를 냉각시키고자 할 경우는 버튼(22)을 누른다. 이때, 버튼 삽입부(22a)는 슬라이딩수단(24)을 가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탄성수단(25)이 슬라이딩수단(24)에 의하여 가압된다. 이때, 슬라이딩수단(24)의 'D' 부와패킹(23)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냉매는 슬라이딩수단(24)와 패킹(23)사이에 틈을 통하여 이동된 후, 분출구(22b)를 통하여 대기로 방출된다.
이때, 냉매가 기화됨과 동시에 증발잠열 원리에 의하여 음료캔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를 차갑게 한다. 냉매분출장치가 하부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체상태의 냉매를 분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냉각용기이 놓여 있는 위치와 무관하게 어떤 위치에서도 기화된 냉매의 분출이 가능하다.
도 1(b)는 도 1(a)의 냉각용기의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역류방지수단(볼: 27)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여 제 1개구(28c)를 막게 됨과 동시에 막혀 있던 제 2개구(28b)는 오픈된다. 이때, 제 2개구(28b)의 외부에는 기체형태의 냉매가 충진된 상태이다. 따라서 액체냉매(I)는 역류방지수단(27)에 의하여 밀폐되고, 냉매흡입수단(29)의 내부까지만 이동되며, 하우징 및 밸브 조립체(26,28)의 내부까지는 유입되지 못한다. 이런 상태에서 버튼(22)을 누르게 되면 슬라이딩수단(24)이 탄성수단(25)을 누르게 됨과 동시에 슬라이딩수단(24)과 패킹(23)사이에 틈(D)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에 기체냉매(H)는 제 2개구(28b)를 통하여 밸브 조립체(28)의 내부로 흡입된후, 냉매 이동로(28a), 하우징(26), 분출구(22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밸브 조립체(28)는 바닥부의 위치가 상부로 향하고 있을 때는 상기 밸브 조립체(28)의 제 2개구(28b)가 개방되어 기체상태의 냉매가 밸브 조립체(28)내로 흡입되어지고, 바닥부의 위치가 하부로 향하고 있을 때는 상기 밸브 조립체(28)의 제 1개구(28c)가 개방되어 기체 냉매((H)가 밸브 조립체(28)내로 흡입되어 지도록 구성된다.
도 2(a)는 종래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단면도로서, 종래에 자가 냉각용기 중 밸브 조립체의 구성을 달리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밸브 조립체(48)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가 냉각용기는 버튼(42), 슬라이딩수단(44), 하우징(46), 탄성수단(45), 밸브 조립체(48)로 이루어 져 있다.
한편, 밸브 조립체(48)는, 측벽면에 마주하는 한쌍의 개구(47b)가 형성되고 하우징(46)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역류방지수단 이동로(47a)와, 역류방지수단 이동로(47a)에서 슬라이딩되며 상기 역류방지수단 이동로(47a)를 통하여 하우징(46)으로 공급되는 냉매를 단속가능한 역류방지수단(47)으로 이루어져 있다.
버튼(42)의 중앙에는 분출구(47)가 형성됨과 동시에 버튼삽입부(42a)가 형성된다. 버튼삽입부(42a)는 상술한 분출관틀(41a)의 개구에 삽입된다. 분출관틀(41a)의 하부면에는 폐고리 형태의 패킹(43)이 장착된다. 패킹(43)과 접하여 하우징(46)이 수직으로 고정된다. 하우징(46)의 내부에는 슬라이딩 수단(44)이 상술한 버튼 삽입부(42a)와 접하여 있다. 또한 하우징(46)의 내부에는 탄성수단(45)이 내장되어 있는데, 슬라이딩수단(44)은 탄성수단(45)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기체냉매는 개구(47b)를 통하여 하우징(46)까지 이동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버튼(42)을 누르면, 슬라이딩수단(44)과 패킹(43)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된다. 틈을 통하여 기체냉매는 분출구(42b)로 분출된다.
도 2(b)는 도 2(a)의 냉각용기의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역류방지수단(47)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여 개구(47c)를 막게 된다. 이때, 개구(47b)의 외측에는 액체냉매가 충진되어 있는 상태이다. 액체냉매는 역류방지수단(47)에 의하여 차단되고, 하우징(46)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난 발명은 버튼이 하부로 향하고 있을 경우에는 냉매의 분출이 안되고, 버튼이 상부로 향하고 있을 경우에만 냉매의 분출이 가능한 구조이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냉매유출 조절용 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자가 냉각용기는 냉매통의 외측에 음료가 위치하고 있으며, 냉각효과를 최대화 하기 위해서는 냉매통과 음료의 접촉면적을 최대화 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냉매통의 크기를 크게 하여야 한다. 그러나, 냉매통의 크기를 크게하여 접촉면적을 크게 할 경우에는 음료의 주입량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냉매유출 조절용 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자가 냉각용기를 개량하여 음료와 냉매통의 접촉면적을 최대화 하는 발명을 하게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가 냉각용기 내의 냉매와 음료캔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고, 이를 통하여 음료의 냉각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바닥부에 구비된 분출관틀과, 상기 분출관틀의 외측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며 냉매를 분출가능한 버튼과, 내측에는 탄성수단이 내장되며상기 버튼이 압입됨에 따라 상기 탄성수단을 가압 할 수 있는 슬라이딩수단이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연통된 상태로 하우징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냉매 외부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 조립체를 가지는 제 1용기를 구성하고, 상기 제 1용기의 내측에 상기 제 1용기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제 2용기를 수용시키므로서 상기 제 1용기와 제 2용기 사이에는 외부와 차단된 냉매수용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 2용기에 음료캔을 수용시켜 상기 제 1용기의 하부에 있는 밸브 조립체를 통하여 상기 냉매 수용부 내부의 냉매가 상기 밸브 조립체를 통하여 외부로 분출됨에 따라 상기 제 2용기의 내부의 음료캔이 증발잠열에 의하여 냉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a)는 종래의 냉매유출 조절용 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자가 냉각용기 전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냉각용기의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종래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냉각용기의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에서 음료캔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c)는 도 3(a)의 B-B'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d)는 도 3(a)의 'A'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냉각용기 21: 냉매통
22,42: 버튼 22a,42a: 버튼 삽입부
22b,42b: 분출구 23,43: 패킹
24,44: 스라이딩수단 25,45: 탄성수단
26: 하우징 27,47: 역류방지수단
27a,47a: 역류방지수단 이동로 28,48: 밸브 조립체
H: 기체냉매 I: 액체냉매
50: 제 1용기 51: 키핑 필름
52: 제 2용기 52a: 밀폐부
53: 음료캔 54: 버텀 커버
54a: 탑 커버 55: 버텀 엔드
60: 냉매 수용부 61: 음료캔 수용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에서 음료캔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c)는 도 3(a)의 B-B'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d)는 도 3(a)의 'A'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는 버튼(42), 슬라이딩수단(44), 하우징(46), 탄성수단(45), 밸브 조립체(48) 제 1용기(50), 제 2용기(52), 탑 커버((54a), 버텀 커버(54), 음료캔(53)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밸브 조립체(48), 버튼(42), 슬라이딩수단(44), 하우징(46)은 상술되어있으므로 설명하지 않으며, 여기에서는 제 1용기(50), 제 2용기(52)와 음료캔(53), 탑 커버(54a), 버텀 커버(54)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용기(5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 1용기(50) 내부에 제 1용기(50)와 이격된 상태로 제 2용기(53)가 수용되며, 제 1용기(50)와 제 2용기 사이에는 냉매 수용부(60)가 형성되어 냉매가 충진된다. 한편, 제 1용기(50)와 제 2용기(52)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 1용기(50)와 제 2용기(52)의 상단부는 밀폐부(52a)에 의하여 밀폐된다. 한편,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제 1용기(50)와 제 2용기(52)를 합하여 냉매 카트리지라 칭한다.
제 2용기(52)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바닥부(52b)에 의하여 밀페된 원통형의 구조로서, 제 2용기(52)의 내경은 음료캔(53)이 슬라이딩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음료캔(53)의 외경보다 크게 구성된다. 제 2용기(52)의 내경은 예를 들어 음료캔(53)의 외경보다 0.5mm∼1mm 더 크다. 제 2용기(52)의 내측에는 음료캔 수용부(61)이 형성되며, 음료캔 수용부(61)에는 음료캔(53)이 수용된다.
제 1용기(50)의 하부는 버텀 엔드(55)와 버텀 커버(54)에 의하여 밀페되며, 버텀 엔드(55)에는 상술한 버튼(42), 밸브 조립체(48)가 장착된다. 한편, 제 1용기(50)의 외측벽에는 키핑 필름(51: keeping film)이 부착된다. 예를 들어 키핑 필름(51)의 소재는 우래판 등의 단열재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버텀 엔드(55)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 1용기(50)에서 이탈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 1용기(50)와 제 2용기(52) 상단부는 밀봉 되어지며, 음료캔수용부(61)에 음료캔(53)이 수용된 이후에 음료캔(53)의 상부는 탑 커버(54a)에 의하여 밀폐된다. 탑 커버(54a)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 1용기(50)에서 이탈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탑 커버(54a)를 좌우로 돌리면 탑 커버(54a)가 제 1용기(50)에서 탈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 2용기(52)의 바닥부(52b)와 제 1용기(50)의 버텀 엔드(54) 사이에는 밸브 조립체(48)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제 1용기(50), 제 2용기(52)가 일체로 제공되고, 제 2용기(52)의 음료캔 수용부(61)에 음료캔(53)을 삽입한다. 이후에 탑커버(54a) 및 버텀 커버(54)를 씌워서 제품을 유통시키게 된다. 유통된 삽입형 음료캔을 소비자들이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 소비자는 탑 커버(54a) 및 버텀 커버(54)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려서 제 1용기(50)에서 이탈시킨다. 이후에 버튼(42)이 상부로 오게하고, 버튼(42)을 가압하면 냉매는 개구(47b)로 유입되어 진후, 분출구(42b)로 분출되어 진다. 이때, 개구(47b)를 통하여 유입되어 분출구(42b)로 분출되어지는 과정은 상술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냉매수용부(60)에서 냉매가 일시에 분출됨과 동시에 냉매가 기화 된다. 이때 증발잠열 원리에 의하여 음료캔(53)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를 차갑게 한다. 음료캔(53)의 외측벽 전면에 걸쳐서 냉매가 작용하므로 냉각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다.
한편, 음료캔(53)을 음료캔 수용부에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용기(50)와 제 2용기(52)만을 일체로 한 제품으로 판매 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제1용기(50)와 제 2용기(52)로 이루어진 냉매 카트리지와 음료캔(53)을 따로 구입한 후에 음료캔(53)을 음료캔 수용부(61) 삽입하고, 버튼(42)을 눌러서 냉매를 분출시키므로서 냉각된 음료를 마실 수 있다. 음료캔 수용부(61)에 음료캔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판매 할 경우에 소비자들은 원하는 음료를 선택하여 음료캔 수용부(61)에 삽입하여 음료캔을 냉각하여 마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삽입형 자가냉각용기에 의하여 냉매와 음료캔의 외측벽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고, 이를 통하여 음료가 냉각되는 시간이 단축되며, 음료가 종래기술에 비하여 낮은 온도까지 냉각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바닥부에 구비된 분출관틀과, 상기 분출관틀의 외측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며 냉매를 분출가능한 버튼과, 내측에는 탄성수단이 내장되며 상기 버튼이 압입됨에 따라 상기 탄성수단을 가압 할 수 있는 슬라이딩수단이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연통된 상태로 하우징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냉매 외부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 조립체를 가지는 제 1용기를 구성하고,
    상기 제 1용기의 내측에 상기 제 1용기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제 2용기를 수용시키므로서 상기 제 1용기와 제 2용기 사이에는 외부와 차단된 냉매수용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 2용기에 음료캔을 수용시켜 상기 제 1용기의 하부에 있는 밸브 조립체를 통하여 상기 냉매 수용부 내부의 냉매가 상기 밸브 조립체를 통하여 외부로 분출됨에 따라 상기 제 2용기의 내부의 음료캔이 증발잠열에 의하여 냉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용기의 외측에 부착되어 열 방출을 방지하는 키핑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용기의 상부에 씌워지는 탑 커버와, 상기 제 1용기의 하부에 씌워지는 버텀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용기의 상단부와 상기 제 2용기의 상단부를 씸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
KR1019990033690A 1999-08-16 1999-08-16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 KR100307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690A KR100307867B1 (ko) 1999-08-16 1999-08-16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690A KR100307867B1 (ko) 1999-08-16 1999-08-16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934A KR20010017934A (ko) 2001-03-05
KR100307867B1 true KR100307867B1 (ko) 2001-09-24

Family

ID=1960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690A KR100307867B1 (ko) 1999-08-16 1999-08-16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7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834A (ko) * 2001-09-26 2002-03-29 박선우 직접 삽입식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834A (ko) * 2001-09-26 2002-03-29 박선우 직접 삽입식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934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1585B1 (en) Beverage maker
US8516849B2 (en) Cooler and method for cooling beverage containers such as bottles and cans
US8985395B2 (en) Beverage maker
CN101146737B (zh) 饮料分配器
JPS58500553A (ja) 炭酸液製造装置
KR101474013B1 (ko) 냉장고의 물공급 장치
KR100307867B1 (ko)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
KR100307868B1 (ko) 냉매유출 조절용 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자가 냉각용기
US20160370104A1 (en) Refrigerator and beverage supplying method using the same
EP08324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of liquids
KR100930045B1 (ko) 음료용 냉각컵
KR200305763Y1 (ko) 냉각용기
US20100139499A1 (en) Milk holder for a beverage making machine
KR100746820B1 (ko) 냉각용기
KR200240743Y1 (ko) 냉각용기
KR200285165Y1 (ko) 음료용기의 순간 냉각장치
KR200245327Y1 (ko)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자가냉각용기
KR20020023834A (ko) 직접 삽입식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
KR200231415Y1 (ko) 음료용 캔의 내부에 구비되는 냉매용기
KR102150375B1 (ko) 얼음 맥주 제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그릇 준비 장치
CN212474612U (zh) 一种可调节温度的饮料罐
JP2003028552A (ja) ビール等の清涼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ー
KR200285209Y1 (ko) 냉각캔
KR200328344Y1 (ko) 이동형 음료 및 주류 냉각장치
KR200286314Y1 (ko) 냉매가 저장된 냉각용 이중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