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743Y1 - 냉각용기 - Google Patents

냉각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743Y1
KR200240743Y1 KR2020000029280U KR20000029280U KR200240743Y1 KR 200240743 Y1 KR200240743 Y1 KR 200240743Y1 KR 2020000029280 U KR2020000029280 U KR 2020000029280U KR 20000029280 U KR20000029280 U KR 20000029280U KR 200240743 Y1 KR200240743 Y1 KR 200240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ntainer
beverage
beverage container
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일
Original Assignee
이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일 filed Critical 이강일
Priority to KR20200000292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7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74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냉각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음료가 충전된 음료용기(100)와; 음료용기(100) 내부에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음료용기 외측으로 냉매유입구(111)와 냉매유출구(112)가 형성된 증발관(110)과; 내부에 냉매가 충전된 냉매용기(200)와; 상기 냉매용기(200) 내부에 형성되고, 냉매용기(200) 내부의 충전냉매가 유동되며 상기 증발관(110)의 냉매유입구(111)와 결합되는 냉매배출구(211)가 형성된 모세관(210); 그리고, 상기 냉매용기(200)에 형성되며 상기 증발관(110)의 냉매유입구(111)측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모세관(210)의 냉매배출구(211)를 개방시키는 냉매스토퍼(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각용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음료가 충전된 음료용기(100) 내부에 증발관(110)이 형성되어 냉매용기(200) 내부에 형성된 모세관(210)의 연결에 의해 증발관(110) 내부로 냉매가 유동됨에 의해 음료용기(100) 내부에 충전된 음료와 냉매가 직접 열교환 하는 방식으로 음료가 냉각됨에 의해 냉각효과가 탁월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각용기{refrigeration container}
본 고안은 냉각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가 충전된 음료용기 내부에 냉각코일 즉, 증발관이 형성되어 냉매통 내부에 형성된 모세관의 연결에의해 증발관 내부로 냉매가 유동됨에 의해 음료용기 내부의 음료를 냉각시키는 냉각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명이 발달하고 우리의 생활이 점차 나아짐에 따라 생활용품 소비의 다양함이 상상을 초월하고 있다. 그 중에 인스탄트, 일회용품 등의 소비가 늘어가는 추세이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포장된 포장용품의 소비량이 가장 으뜸으로 손꼽힌다. 특히 음료와 맥주 등을 알미늄이나 스틸용기에 넣어 포장판매하는 캔 종류의 소비량은 선진국과 후진국을 막론하고 실로 엄청나다.
우리나라만 하더라도 과거에 비해 캔 음료의 소비량이 급증하고 있다. 예를들면 고속도로 휴게실의 음료는 100% 캔화 되어 있고, 직장단위의 야유회나 체육대회 등의 행사시에도 간편함을 위해 캔 음료를 선호한다. 그리고 독신자나 부유층도 캔의 일회성 및 간편성을 선호하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가 대부분의 가정으로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하절기에는 각종 야유회 등으로 인해 야외로의 이동이 빈번하게 되며 야유회 시에는 통상 각종음료 특히 캔음료를 휴대한다. 이 때 휴대하는 각종음료는 냉각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관계로 휴대용 아이스박스 등에 얼음을 충진시킨 상태에서 음료를 아이스 박스에 수납시켜 음료용기내의 내용물을 냉각시켜 야외에서 음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에는 아이스박스 및 얼음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야외 이동시 짐의 양이 많아지므로 이동이나 취급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음료의 냉각효율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95112에는 휴대용 냉각음료용기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냉각음료용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수납부 내벽으로 다수의 구획공간(2)(2a)(2b)(2c)이 형성되도록 돌환부(3)가 형성되며, 바닥부에는 냉매실(4)이 형성되고, 냉매실(4)의 바닥중앙이 돌출되어 지지봉(5)이 형성되고, 지지봉(5)과 냉매실상판(6)간을 받침봉(7)으로 지지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음료용기(8)가 수납된 케이스(1)의 바닥중심부에 위치하는 받침봉(7)을 음료용기(8)의 중심부로 타격을 가하게 되면 받침봉(7)상면의 지지봉(5)과 냉매실상판(6)이 함께 상승되어져 음료용기(8) 저부중심에 위치하는 천공바늘(9)에서 냉매실 상판(6)이 천공되어져 냉매실(4)의 액화가스가 천공지점을 통하여 분출되면서 음료용기(8) 외곽에 위치되는 케이스(10) 내벽의 구획공간(2)(2a)(2b)(2c)으로 확산되어져 액화가스가 기체가스로 변화되어 음료용기(8)내의 열원을 빼앗고 음료용기(8)는 급냉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후술하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첫째, 냉매가 음료용기의 측면부에 수용되어 음료를 냉각시킴에 의해 정작 음료수를 냉각시키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반면에 음료용기는 급냉되어 음료용기에 의한 피부의 손상 등을 당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냉매실이 음료용기와 일체로 구성되어 음료를 충전시키는 공간이 줄어듬에 의해 용량을 채우기 위해서는 음료용기가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또한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료가 충전된 음료용기 내부에 냉각코일 즉, 증발관이 형성되어 냉매통 내부에 형성된 모세관의 연결에 의해 증발관 내부로 냉매가 유동됨에 의해 음료용기 내부에 충전된 음료에 냉매의 증발에 의한 냉기가 전달되어 음료를 냉각시키는 냉각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 -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냉각음료용기의 종단면도
도2 - 본 발명에 따른 냉각용기의 사시도.
도3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각용기의 요부단면도.
도4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각용기의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음료용기 101 : 결착홈부
110 : 증발관 111 : 냉매유입구
112 : 냉매유출구 120 : 개방덮개
200 : 냉매용기 201 : 결착돌기부
210 : 모세관 211 : 냉매배출구
220 : 냉매스토퍼 230 : 냉매충진콕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음료가 충전된 음료용기와;
음료용기 내부에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음료용기 외측으로 냉매유입구와 냉매유출구가 형성된 증발관과; 내부에 냉매가 충전된 냉매용기와; 상기 냉매용기 내부에 형성되고, 냉매용기 내부의 충전냉매가 유동되며 상기 증발관의 냉매유입구와 결합되는 냉매배출구가 형성된 모세관; 그리고, 상기 냉매용기에 형성되며 상기 증발관의 냉매유입구측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모세관의 냉매배출구를 개방시키는 냉매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각용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냉매용기는 상기 음료용기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음료용기는 외주면에 결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냉매용기에는 결착돌기부가 형성되어 결착홈부에 결착돌기부가 삽입결합됨에 의해 상기 냉매용기가 상기 음료용기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매유출구는 상기 냉매유출구의 단부에 개방덮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냉매용기의 냉매가 증발됨과 동시에 모세관의 냉매배출구를 통하여 증발관의 냉매유입구로 유입되어 증발관을 유동하면서 음료용기 내부에 충전된 음료수를 단시간내에 냉각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용기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각용기의 요부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각용기의 요부단면도이다.
< 제1실시예 >
제1실시예에서는 음료용기(100)와 냉매용기(200)가 분리결합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각용기는 크게 음료용기(100)와, 증발관(110)과, 냉매용기(200)와, 모세관(210) 그리고 냉매스토퍼(220)로 구성된다.
먼저 음료용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음료용기(100)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일반 음료 캔용기 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에 음료가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음료용기(100) 내부에는 후술하는 코일형상의 증발관(110)이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음료용기(100)의 하측단부 인접부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의 결착홈부(101)가 상기 음료용기(1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후술하는 냉매용기(200)에 형성된 결착돌기부(201)와 결합됨에 의해 상기 음료용기(100)에 후술하는 냉매용기(200)가 착탈되게 결합된다.
상기 증발관(110)은 상기 음료용기(100)의 하측에는 음료용기(100) 외측으로 돌출된 냉매유입구(111)가 형성되며 상기 음료용기(100)의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냉매유출구(11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모세관(210)을 통하여 유동된 냉매가 냉매유입구(111)로 유입되어 증발관(110) 내부를 유동하면서 상기 음료용기(100) 내부에 충전된 음료를 냉각시킨 후, 냉매유출구(1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증발관(110)은 냉각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코일형상으로 상기 음료용기(100)에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유출구(112)는 하측으로 소정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냉매유출구(112)를 통하여 배출된 냉매가 인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냉매유출구(112)를 상기 음료용기(100)에 측면에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음료용기(100)의 상측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상기 냉매용기(200)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액체용매가 소정량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용기(200)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결착돌기부(201)가 형성되어 상기 음료용기(100)에 형성된 결착홈부(101)에 상기 결착돌기부(201)가 삽입 결합됨에 의해 상기 음료용기(100)와 상기 냉매용기(200)가 착탈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냉매용기(200) 내부에는 대략 코일형상으로 구성된 모세관(210)이 형성되어 상기 냉매용기(200) 내부에 충전된 액체냉매가 모세관(210)을 따라 증발 유동된다.
상기 모세관(210)의 상단부에는 상기 냉매용기(200)의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는 냉매배출구(211)가 형성되는 바, 상기 냉매배출구(211)는 냉매스토퍼(220)에 의해 개방된다.
상기 냉매스토퍼(220)는 상기 냉매용기(200)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모세관(210)의 냉매배출구(211)측에 형성되어 상기 냉매배출구(211)를 밀폐시키는 형태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냉매용기(200) 내부에 충전된 냉매의 무단 외부누출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음료용기(100)와 냉매용기(20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증발관(110)의 냉매유입구(111)는 상기 냉매스토퍼(220)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바, 상기 압력에 의해 상기 냉매스토퍼(220)가 하측으로 소정유동되고, 상기 모세관(210)의 냉매배출구(211)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냉매배출구(211)가 상기 증발관(110)의 냉매유입구(111)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냉매용기(200) 내부에 충전된 액체냉매는 기화됨과 동시에 상기 모세관(210)의 냉매배출구(211)를 통과한 다음 증발관(110)의 냉매유입구(111)로 유입되어 증발관(110)을 거쳐 증발관(110)의 냉매유출구(1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음료용기(100) 내부에 충전된 음료는 냉각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음료를 마시기 위해 음료를 냉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음료용기(100)와 냉매용기(200)를 결합시킨다. 상기의 결합은 음료용기(100)의 결착홈부(101)와 냉매용기(200)의 결착돌기부(201)가 결합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음료용기(100)와 냉매용기(200)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증발관(110)의 냉매유입구(111)가 상기 냉매스토퍼(220)의 상부면에 하측방향의 압력을 가하게 된다.상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냉매스토퍼(220)가 하측으로 유동되어 모세관(210)의 냉매배출구(211)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증발관(110)의 냉매유입구(111)와 모세관(210)의 냉매배출구(211)가 연통되어 냉매용기(200) 내부의 냉매가 냉매배출구(211)를 통하여 증발관(110) 내부로 유입 된 후, 냉매유출관(11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동안 음료용기(100) 내부에 충전된 음료와 열교환 하는 방식으로 음료를 냉각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료가 냉각되면 음료를 마시면 된다.
< 제2실시예 >
제2실시예는 음료용기(100)와 냉매용기(200)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각용기는 크게 음료용기(100)와, 증발관(110)과, 냉매용기(200)와, 모세관(210) 그리고 냉매스토퍼(220)로 구성된다.
상기 음료용기(100)는 상기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며,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음료용기(100)의 외주면에 결착홈부(101)가 없다는 점이다.
상기 증발관(110)은 상기 제1실시예와 똑같은 형상으로 구성되며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상기 증발관(110)의 냉매유출구(112)에 개방덮개(120)가 설치되어 냉매유출구(112)를 막고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용기(200)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냉매용기(200)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며 냉매용기(200) 내부에 냉매가 충전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달리 냉매용기(200) 상단부 내주면에 결착돌기부가 형성되지 않는 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즉, 상기 음료용기(100)와 냉매용기(200)가 일체로 형성된 관계로 상기 음료용기(100)와 냉매용기(200)를 따로 결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결착홈부 및 결착돌기부는 필요치 않다.
제1실시예와 다른점이라면 상기 냉매용기(200) 하부면에 외부에서 냉매를 강제주입시키는 냉매충진콕(230)이 형성되어 필요시 상기 냉매충진콕(230)을 통하여 냉매용기(200) 내부에 냉매를 강제로 주입 시킬 수 있다.
상기 모세관(210)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냉매용기(200) 내부에 코일형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세관(210)의 냉매배출구(211)에는 실시예1과 유사한 형태의 냉매스토퍼(2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스토퍼(220)가 상기 모세관(210)의 냉매배출구(211)를 밀폐시킨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음료를 마시기 위해 음료를 냉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냉매유출구(112)의 단부에 형성된 개방덮개(120)를 제거한다.
개방덮개(120)가 제거되면 상기 냉매스토퍼(220)는 상기 냉매용기(200) 내부에 충전된 냉매의 가압력에 의해 소정유동됨과 동시에 모세관(210)의 냉매배출구(211)가 개방되어 상기 냉매배출구(211)와 증발관(110)의 냉매유입구(111)는 연통된다.
따라서 냉매용기(200) 내부에 충전된 냉매는 모세관(210)을 통하여 증발관(110)으로 유입되어 음료용기(100) 내부에 충전된 음료와 열교환하는 방식으로 음료를 냉각시킨 후 냉매유출구(1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음료가 충전된 음료용기 내부에 증발관이 형성되어 냉매용기 내부에 형성된 모세관의 연결에 의해 증발관 내부로 냉매가 유동됨에 의해 음료용기 내부에 충전된 음료와 냉매가 직접 열교환 하는 방식으로 음료가 냉각됨에 의해 냉각효과가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부에 음료가 충전된 음료용기(100)와;
    음료용기(100) 내부에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음료용기(100) 외측으로 냉매유입구(111)와 냉매유출구(112)가 형성된 증발관(110)과;
    내부에 냉매가 충전된 냉매용기(200)와;
    상기 냉매용기(200) 내부에 형성되고, 냉매용기(200) 내부의 충전냉매가 유동되며 상기 증발관(110)의 냉매유입구(111)와 결합되는 냉매배출구(211)가 형성된 모세관(210); 그리고,
    상기 냉매용기(200)에 형성되며 상기 증발관(110)의 냉매유입구(111)측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모세관(210)의 냉매배출구(211)를 개방시키는 냉매스토퍼(2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100)는 외주면에 결착홈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냉매용기(200)에는 결착돌기부(201)가 형성되어 결착홈부(101)에 결착돌기부(201)가 삽입결합됨에 의해 상기 냉매용기(200)가 상기 음료용기(100)에 착탈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기.
KR2020000029280U 2000-10-20 2000-10-20 냉각용기 KR200240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280U KR200240743Y1 (ko) 2000-10-20 2000-10-20 냉각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280U KR200240743Y1 (ko) 2000-10-20 2000-10-20 냉각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743Y1 true KR200240743Y1 (ko) 2001-10-25

Family

ID=73090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280U KR200240743Y1 (ko) 2000-10-20 2000-10-20 냉각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7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414A (ko) * 2002-09-04 2004-03-10 이상화 자가 냉각 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414A (ko) * 2002-09-04 2004-03-10 이상화 자가 냉각 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5746A (en) Two liter insulated cooler containers
EP3421585A1 (en) Beverage maker
EP0815023B1 (en) Beverage container with heating or cooling insert
EP0931998A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oling containers of beverages
KR200426553Y1 (ko) 음료용 냉각컵
KR200240743Y1 (ko) 냉각용기
KR100930045B1 (ko) 음료용 냉각컵
US20120017631A1 (en) Refrigerator
CN201014881Y (zh) 啤酒快速制冷机
CN201032323Y (zh) 啤酒快速制冷机
KR200393926Y1 (ko) 냉장기능을 지닌 용기
KR200298023Y1 (ko) 휴대용 냉장병
EP1213227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means to keep the contents warm or cold
KR100307867B1 (ko)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
KR200264185Y1 (ko) 휴대용 냉각기
CN103026153B (zh) 用于自冷却和自分配液体的桶式装置
KR200264512Y1 (ko) 보냉통
KR200264173Y1 (ko) 뚜껑형 냉각기
KR200285175Y1 (ko) 음료용기의 순간 냉각장치
KR100325037B1 (ko) 냉각컵
KR100833206B1 (ko) 주류병의 온도강하용 용기
KR200225883Y1 (ko) 냉각/보온기능을 갖춘 식음료 용기
KR200385836Y1 (ko) 냉장기능을 지닌 주류용기
KR200404349Y1 (ko) 음료용 냉장컵
GB2434432A (en) Refrigeration unit for packaged bever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