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173Y1 - 뚜껑형 냉각기 - Google Patents

뚜껑형 냉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173Y1
KR200264173Y1 KR2020010034411U KR20010034411U KR200264173Y1 KR 200264173 Y1 KR200264173 Y1 KR 200264173Y1 KR 2020010034411 U KR2020010034411 U KR 2020010034411U KR 20010034411 U KR20010034411 U KR 20010034411U KR 200264173 Y1 KR200264173 Y1 KR 2002641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ap
hole
lid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우
변수경
Original Assignee
박선우
변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우, 변수경 filed Critical 박선우
Priority to KR2020010034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1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1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173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뚜껑형 냉각기에 관한 것으로서, 냉매가 저장된 냉매실과, 이 냉매실과 체결되고 냉매 배출조절수단이 내부에 형성된 구조의 캡과, 냉각시킬 액체 내용물을 저장하고 있는 용기 내에 직접 삽입되어 열교환 작용을 수행하도록 상기 캡의 저부와 연결된 금속세관으로 구성하여, 상기 냉매실의 냉매가 냉매 배출조절수단을 경유하며 조절 배출되는 동시에 금속세관을 통하여 흘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용기내의 액체 내용물을 용이하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뚜껑형 냉각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뚜껑형 냉각기{Cap type portable refrigerator}
본 고안은 뚜껑형 냉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류, 물, 탄산수등 각종 음료수, 우유 등이나 순간 냉각을 요하는 산업용 액체등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각시킬 액체가 저장된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뚜껑형 냉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산음료, 청량음료, 차, 커피, 맥주 등과 같은 음료나 주류등을 냉각시킨 후, 시원한 상태로 마시기 위해서 일정시간 이상을 냉장고등에서 보관을 해야 한다.
냉장고가 갖추어져 있는 가정이나 사무실과는 달리 여행이나 운동등의 야외에서는 각종 음료수 및 주류 등을 신선하게 음용하기 위하여 얼음 등을 채워넣은 아이스박스를 많이 이용한다.
그러나, 아이스박스를 이용하는 경우 부피가 커서 이동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냉장상태의 장시간 유지에 곤란한 점이 있는 등 이용시 많은 제약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불편한 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어느 곳에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냉각수단들이 최근 많이 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냉각수단들은 대부분 용기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수용되는 구조를 하면서 별도의 조작수단을 이용한 압축냉매의 순간적인 기화작용을 통해 내용물을 냉각시키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한국 특허 제177381호에서는 용기의 한쪽에 압축냉매실을 구비한 음료용 캔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냉각수단들은 1회 사용 후 용기와 함께 그대로 폐기되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가 심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의 문제도 있는 등전반적으로 비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이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용기와 냉각수단을 함께 조합시켜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과정이 복잡하고 제작비용도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특히, 냉각성능의 측면에서 볼 때, 압축냉매가 용기의 어느 한쪽에 편중되면서 내용물을 냉각시키게 되므로, 내용물을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고, 또 한번의 조작으로 순식간에 압축냉매가 기화되면서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방식이므로, 압축냉매의 기화 후 일정시간이 경과된 뒤에는 냉각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취약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17934호에서는 압축냉매의 분출이 가능한 별도의 밀폐된 냉각용기 내에 음료수 용기나 캔을 집어넣고 냉각시켜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의 냉각수단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냉각수단은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큰 단점이 있고, 무엇보다도 압축냉매를 여러 번 분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상의 잇점은 있으나, 압축냉매를 전부 사용한 후에는 냉각용기 자체를 그대로 폐기해야 하므로, 위에서 언급한 1회용 제품이 갖는 문제점은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용기에 저장된 음료수를 순간적으로 빠르게 냉각시켜 시원한 상태의 음료수를 즉석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휴대가 간편한 냉각기에 대하여 안출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냉매가 저장된 냉매실과, 이 냉매실과 체결되고 냉매 배출 조절수단이 내부에 형성된 구조의 캡과, 냉각시킬 액체 내용물을 저장하고 있는 용기 내에 직접 삽입되어 열교환 작용을 수행하도록 상기 캡의 저부와 연결된 금속세관으로 구성하여, 상기 냉매실의 냉매가 캡를 경유하는 동시에 금속세관을 통하여 흘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용기내의 액체 내용물을 용이하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뚜껑형 냉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뚜껑형 냉각기는:
저면 중앙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부의 바로 위쪽에 격막이 일체로 형성된 소정 체적의 냉매실;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냉매유입홀과, 일측면과 저면간을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냉매 배출홀와, 상기 냉매유입홀의 위쪽에 상기 냉매실의 암나사부와 체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숫나사부와, 오목하게 성형된 저면 내경면에 용기의 주둥이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캡; 상기 냉매실의 격막을 제거 가능하게 상기 캡의 냉매유입홀 내경면에 장착되는 냉매 배출조절수단; 상기 캡의 저면으로부터 냉매유입홀에 일측단이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냉매 배출홀에 끼워져 체결되는 금속세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냉매 배출조절수단은 상면 중앙부에서 위쪽으로 돌출된 찌름단이 형성되고, 이 찌름단의 주변에는 다수개의 냉매흐름공이 형성된 원판형 성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원판형 성형물의 저면에 동축을 이루며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한 개폐조절판이 더 부착되고, 이 개폐조절판에는 상기 냉매흐름공과 일치 또는 불일치되는 개폐홀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조절판에는 상기 캡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외부에 위치되는 조절손잡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개폐조절판을 회전시키는 조절손잡이가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캡에는 소정의 범위를 갖는 슬롯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형태로서의 뚜껑형 냉각기는:
저면 중앙부에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이 숫나사부의 바로 아래쪽에 격막이 일체로 형성된 소정 체적의 냉매실;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냉매유입홀과, 일측면과 저면간을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냉매 배출홀와, 상기 냉매실의 숫나사부와 체결되도록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오목하게 성형된 저면 내경면에 용기의 주둥이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캡; 상기 캡의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소정공간을 이루며 형성된 실린더에 누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캡의 냉매유입홀을 가로지르며 장착되고, 상기 냉매실의 격막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갖는 냉매 배출조절수단; 상기 캡의 저면으로부터 냉매유입홀에 일측단이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냉매 배출홀에 끼워져 체결되는 금속세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형 냉각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냉매실의 격막의 외주면에는 오목한 절개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냉매 배출조절수단은 상기 냉매실의 격막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바로 인접된 부분에 상하로 관통된 냉매흐름공이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실린더의 막힌 벽면과 상기 피스톤의 끝단면간에 장착된 압축스프링과, 상기 피스톤의 반대쪽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캡의 외측면으로 노출되어 위치되는 누름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형 냉각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단면 분리사시도,
도 2a,2b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형 냉각기의 일실시예로서, 용기와 체결되는 상태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3b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형 냉각기의 일실시예에 사용된 냉매 배출조절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형 냉각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단면 분리사시도,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형 냉각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용기와 체결되는 상태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 6b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형 냉각기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된 냉매 배출조절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사용상태 평면도,
도 7a,7b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형 냉각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사용된 냉매 배출조절수단과 그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매실 12 : 암나사부
14,15 : 격막 16 : 숫나사부
18 : 절개홈 20 : 캡(Cap)
22 : 냉매유입홀 24 : 냉매 배출홀
26 : 숫나사부 27 : 암나사부
28 : 체결용 암나사 29 : 슬롯홀
30 : 금속세관 32 : 냉각유도철판
40 : 용기 50 : 냉매 배출조절수단
52 : 찌름단 54 : 냉매흐름공
55 : 개폐조절판 56 : 개폐홀
58 : 조절손잡이 60 : 냉매 배출조절수단
62 : 실린더공간 64 : 피스톤
66 : 압축스프링 68 : 누름손잡이
70 : 삽입구 72 : 냉매흐름공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형 냉각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단면 분리사시도이고, 도 3a,3b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형 냉각기의 일실시예에 사용된 냉매 배출조절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단면도로서, 이를 참조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뚜껑형 냉각기의 구성은 크게 나누어서 냉매실(10)과, 캡(20)과, 금속세관(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실(10)은 내부에 압축 냉매가스와 같은 종류의 냉매가스가 저장된 소정 체적의 성형물로서, 그 저면 중앙부에 암나사부(12)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부(12)의 바로 위쪽에는 찢어짐 가능하도록 다른 곳보다 더욱 얇게 된 격막(14)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캡(20)의 전체적인 형상은 저면이 오목하게 성형된 구조의 원통형 구조물로서, 정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된 냉매유입홀(22)이 형성되고, 일측면과 저면간을 수직으로 관통하며 냉매 배출홀(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매유입홀(22) 위쪽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냉매실(10)의 암나사부(12)와 체결되도록 숫나사부(26)가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오목하게 성형된 저면 내경면에는 상기 용기(40)의 주둥이와 체결되도록 체결암나사(28)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캡(20)의 냉매유입홀(22)의 내경면에는 냉매 배출조절수단(50)이 장착되는데, 첨부한 도 3a,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매 배출조절수단(50)은 원판형의 성형 구조물로서, 상면 정중앙부에는 위쪽으로 돌출되며 끝단이 뾰족하게 된 찌름단(52)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찌름단(52)의 주변에는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냉매흐름공(54)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캡(20)의 냉매유입홀(22)의 내경면(상기 숫나사부의 내경면)에 요홈을 형성하고, 이 요홈에 상기 냉매 배출조절수단(50)을 억지끼움식으로 끼워넣게 된다.
한편, 상기 캡(20)의 저면으로 노출된 냉매유입홀(22)과 냉매 배출홀(24)에는 금속세관(30)이 끼워져 결합되는 바, 이 금속세관의 일측단은 상기 캡(10)의 냉매유입홀(22)에 끼워져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냉매 배출홀(24)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상기 금속세관(30)은 냉각시킬 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용기(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것으로서, 이중 절곡된 형상 또는 여러번의 파형으로 절곡된 형상등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그 절곡된 형상이 용기의 내부에 걸쳐 퍼지면서 절곡된 형상도 적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용기(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되는 금속세관(30)의 표면에 서로 일체로 연결된 다수개의 냉각유도철판(32)을 더 부착하여, 냉각면적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첨부한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20)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암나사(28)를 냉각시킬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의 주둥이에 형성된 숫나사부에 체결시킨 후, 첨부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실(10)의 암나사부(12)를 상기 캡(20)의 숫나사부(26)에 체결시키게 되면, 냉매실(10)의 격막(14)이 상기 냉매 배출조절수단(50)의 찌름단(52)에 점차 닿으면서 관통되어 찢어지게 된다.
이에따라, 냉매실(1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냉매가스가 상기 격막(14)을 빠져나가 냉매 배출조절수단(50)의 냉매흐름공(54)을 흐르게 되고, 동시에 냉매는 캡(20)의 냉매유입홀(22)을 지나 그 아래에 체결되어 있는 금속세관(30)의 내부를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금속세관(30)을 통과하며 순환하는 압축 냉매가스의 냉매가 기화되면서 발휘하는 증발 잠열의 원리로 인하여, 용기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내용물과 열교환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내용물을 순간적으로 급속 냉각시킨 후, 상기 캡(20)의 냉매 배출홀(24)로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상기 금속세관(30)의 표면에 일체로 연결되며 부착된 다수개의 냉각유도철판(32)에 의하여, 냉각면적이 넓어진 상태이므로, 냉각시간과 효과를 더욱 빠르게 얻어낼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냉각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형 냉각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단면 분리사시도이고,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형 냉각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용기와 체결되는 상태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a, 6b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형 냉각기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된 냉매 배출조절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유사하고, 단지 냉매 배출조절수단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원판형 성형물로 된 냉매 배출조절수단(50)의 저면에 동축을 이루며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한 개폐조절판(55)이 더 부착된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개폐조절판(55)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냉매 배출조절수단(50)의 냉매흐름공(54)과 일치 또는 불일치되는 개폐홀(56)이 동일한 수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조절판(55)의 외주면에는 상기 캡(2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외부에 위치되는 조절손잡이(58)가 부착된다.
이때, 상기 개폐조절판(55)을 회전시키는 조절손잡이(58)가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캡(20)에는 소정의 범위를 갖는 슬롯홀(29)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손잡이(58)를 잡고 캡(20)의 슬롯홀(29)을 따라 좌우로 회전시키면, 상기 냉매 배출조절수단(50)의 냉매흐름공(54)과 상기 개폐조절판(55)의 개폐홀(56)이 일치 또는 불일치되는 바, 이렇게 냉매의 흐름을 차단 또는 허가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7a,7b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형 냉각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사용된 냉매 배출조절수단과 그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뚜껑형 냉각기는 일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냉매실과 캡의 체결구조가 다르고, 냉매 배출조절수단의 구조가 다른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냉매실(10)은 저면 중앙부에 숫나사부(16)가 형성되고, 이 숫나사부(16)의 바로 아래쪽에 격막(15)이 돌출되며 일체로 형성되는 바, 상기 격막(15)이 절단되면서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그 외주면에는 오목하게 절개된 형태의 절개홈(18)이 더 형성된다.
상기 캡(20)은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냉매유입홀(22)과, 일측면과 저면간을 수직으로 관통된 냉매 배출홀(24)이 형성된 점은 일실시예와 동일하나, 상기 냉매실(10)의 숫나사부(16)와 체결되도록 상면 중앙부에 암나사부(27)가 형성된 점에서 다르다.
물론, 상기 캡(20)의 저면 내경면에 용기의 주둥이와 체결되도록 체결용 암나사(28)가 형성되고, 상기 캡(20)의 저면으로부터 냉매유입홀(22)에 상기 금속세관(30)의 일측단이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냉매 배출홀(24)에 끼워져 체결된다.
특히, 상기 캡(20)의 내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소정공간을 이루며 형성된 실린더공간(62)이 형성되고, 이 실린더 공간(62)에 다른 형태의 냉매 배출조절수단(60)이 장착된다.
다른 형태로서의 냉매 배출조절수단(60)은 상기 캡(20)의 냉매유입홀(22)을 가로지르며 장착되는 피스톤(64)과, 상기 실린더공간(62)의 막힌 벽면과 상기 피스톤(64)의 끝단면간에 장착된 압축스프링(66)과, 상기 피스톤(64)의 반대쪽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캡(20)의 외측면으로 노출되어 위치되는 누름 손잡이(68)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피스톤(64)에는 상기 냉매실(10)의 격막(15)이 삽입되는 오목한삽입구(70)가 형성되고, 바로 인접한 부분에는 상하로 관통된 냉매흐름공(7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손잡이(68)를 누르면, 상기 피스톤(64)은 압축스프링(66)을 압축하며 내부로 이동하고, 피스톤(64)의 삽입구(70)에 삽입되어 있던 상기 냉매실(10)의 격막(15)은 순간적인 힘에 의하여 용이하게 절단되어진다.
더욱이, 상기 냉매실(10)의 격막(15)의 외주면에는 절개홈(1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격막(15)은 보다 손쉽게 절단되어진다.
결국, 상기 피스톤(64)의 이동으로 피스톤(64)의 냉매흐름공(72)과 상기 캡의 냉매유입홀(22)은 서로 일치된 상태가 된다.
이에따라, 상기 냉매실(10)의 냉매는 상기 캡(20)의 냉매유입홀(22)을 지나서, 금속세관(30)을 따라 흐른 후, 냉매 배출홀(24)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금속세관(30)을 통과하며 순환하는 압축 냉매가스의 냉매가 기화되면서 발휘하는 증발잠열의 원리로 인하여, 용기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내용물과열교환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내용물을 순간적으로 급속 냉각시키게 되고, 금속세관(30)의 표면에 일체로 연결된 다수개의 냉각유도철판(32)에 의하여, 냉각면적이 넓어진 상태이므로, 냉각시간과 효과를 더욱 빠르게 얻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시킬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에 본 고안의 뚜껑형 냉각기를 체결하여, 냉매가스의 배출을 조절해가면서, 내용물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캡의 부착부 형태는 페트병을 위한 나사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병이나 기타 용기들의 입구 형태를 감안하여 비나사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뚜껑형 냉각기에 의하면, 용기의 내부에 채워진 각종 음료수, 산업용 액체등을 취음 또는 실험등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신속하게 냉각시켜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특히, 냉매실의 내부에 저장된 냉매가스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용도에 따라 냉각시간과 냉각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에 얼음 또는 드라이 아이스등의 사용등이 배제되고, 이동시 냉각기의 휴대가 매우 간편한 잇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용 냉각의 캡과 금속세관은 버리지 않고, 계속 사용할 수 있어서, 환경친화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7)

  1. 저면 중앙부에 암나사부(12)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부(12)의 바로 위쪽에 격막(14)이 일체로 형성된 소정 체적의 냉매실(10);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냉매유입홀(22)과, 일측면과 저면간을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냉매 배출홀(24)와, 상기 냉매유입홀(22)의 위쪽에 상기 냉매실(10)의 암나사부(12)와 체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숫나사부(26)와, 오목하게 성형된 저면 내경면에 용기의 주둥이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용 암나사(28)를 포함하는 캡(20);
    상기 냉매실(10)의 격막(14)을 제거 가능하게 상기 캡(20)의 냉매유입홀(22) 내경면에 장착되는 냉매 배출조절수단(50);
    상기 캡(20)의 저면으로부터 냉매유입홀(22)에 일측단이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냉매 배출홀(24)에 끼워져 체결되는 금속세관(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형 냉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배출조절수단(50)은 상면 중앙부에서 위쪽으로 돌출된 찌름단(52)이 형성되고, 상기 찌름단(52)의 주변으로 다수개의 냉매흐름공(54)이 형성된 원판형 성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형 냉각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 성형물의 저면에 동축을 이루며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한 개폐조절판(55)이 더 부착되고, 이 개폐조절판(55)에는 상기 냉매흐름공(54)과 일치 또는 불일치되는 개폐홀(56)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조절판(55)에는 상기 캡(2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외부에 위치되는 조절손잡이(58)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형 냉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절판(55)을 회전시키는 조절손잡이(58)가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캡(20)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범위를 갖는 슬롯홀(29)이 관톤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저면 중앙부에 숫나사부(16)가 형성되고, 이 숫나사부(16)의 바로 아래쪽에 격막(15)이 일체로 형성된 소정 체적의 냉매실(10);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냉매유입홀(22)과, 일측면과 저면간을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냉매 배출홀(24)와, 상기 냉매실(10)의 숫나사부(16)와 체결되도록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 암나사부(27)와, 오목하게 성형된 저면 내경면에 용기의 주둥이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용 암나사(28)를 포함하는 캡(20);
    상기 캡(20)의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소정공간을 이루며 형성된 실린더 공간(62)에 누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캡(20)의 냉매유입홀(22)을 가로지르며 장착되고, 상기 냉매실(10)의 격막(15)이 삽입되는 삽입구(70)를 갖는 냉매 배출조절수단(60);
    상기 캡(20)의 저면으로부터 냉매유입홀(22)에 일측단이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냉매 배출홀(24)에 끼워져 체결되는 금속세관(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형 냉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실(10)의 격막(15)의 외주면 둘레에는 오목한 절개홈(18)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형 냉각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배출조절수단(60)은 상기 냉매실(10)의 격막(15)이 삽입되는 삽입구(70)가 형성되고, 바로 인접된 부분에 상하로 관통된 냉매흐름공(72)이 형성된 피스톤(64)과,
    상기 실린더 공간(62)의 막힌 벽면과 상기 피스톤(64)의 끝단면간에 장착된 압축스프링(66)과,
    상기 피스톤(64)의 반대쪽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캡(20)의 외측면으로 노출되어 위치되는 누름 손잡이(6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형 냉각기.
KR2020010034411U 2001-11-09 2001-11-09 뚜껑형 냉각기 KR2002641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411U KR200264173Y1 (ko) 2001-11-09 2001-11-09 뚜껑형 냉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411U KR200264173Y1 (ko) 2001-11-09 2001-11-09 뚜껑형 냉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173Y1 true KR200264173Y1 (ko) 2002-02-19

Family

ID=7311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411U KR200264173Y1 (ko) 2001-11-09 2001-11-09 뚜껑형 냉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1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0230B2 (en) Self-cooling fluid container
US5943875A (en) Self-cooling fluid container with nested refrigerant and fluid chambers
US6101838A (en) Beverage chiller and holder
US5299433A (en) Pitcher having means for keeping beverage cold
KR200426553Y1 (ko) 음료용 냉각컵
KR200264173Y1 (ko) 뚜껑형 냉각기
KR200264185Y1 (ko) 휴대용 냉각기
KR100930045B1 (ko) 음료용 냉각컵
US20160370104A1 (en) Refrigerator and beverage supply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80022470A (ko) 냉장고
KR200344346Y1 (ko) 이중 용기
KR200240743Y1 (ko) 냉각용기
KR100307867B1 (ko) 삽입형 자가 냉각용기
JPH02187583A (ja) 携帯用冷却装置
JP3028335U (ja) 容器内飲料の冷却、注出装置
KR200285165Y1 (ko) 음료용기의 순간 냉각장치
CN212474612U (zh) 一种可调节温度的饮料罐
KR200328344Y1 (ko) 이동형 음료 및 주류 냉각장치
KR100325037B1 (ko) 냉각컵
CN210871099U (zh) 一种饮料机
KR20020023834A (ko) 직접 삽입식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
KR200241650Y1 (ko) 컵의 냉각장치
KR200286314Y1 (ko) 냉매가 저장된 냉각용 이중용기
KR100307868B1 (ko) 냉매유출 조절용 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자가 냉각용기
KR200285175Y1 (ko) 음료용기의 순간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