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993A -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993A
KR20210013993A KR1020190091953A KR20190091953A KR20210013993A KR 20210013993 A KR20210013993 A KR 20210013993A KR 1020190091953 A KR1020190091953 A KR 1020190091953A KR 20190091953 A KR20190091953 A KR 20190091953A KR 20210013993 A KR20210013993 A KR 20210013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water supply
mak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신계영
임동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90091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3993A/ko
Priority to PCT/KR2019/018257 priority patent/WO2021020664A1/ko
Priority to US17/629,411 priority patent/US20220260296A1/en
Publication of KR2021001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제빙홈 내에 수용되는 제빙수의 만수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은, 제빙수가 수용되는 제빙홈이 형성된 아이스 트레이와, 상기 제빙홈에 상기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제빙홈에 수용된 상기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면에 센서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빙홈 및 상기 센서삽입홈을 연통시키는 수위측정홀이 일측면에 형성된 센서하우징과, 상기 센서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수위측정홀을 통해 상기 센서삽입홈으로로 유입되는 제빙수와 접촉되어 상기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ICE MAKER,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 및 음식물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구비하는 캐비닛을 구비하며, 상기 캐비닛 내의 후방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열교환기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팬에 의해 냉장실이나 냉동실 내부로 공급되고 냉장실이나 냉동실을 순환하여 온도가 상승된 공기는 다시 열교환기를 거쳐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보관 중인 식품을 항상 신선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과거에는 제빙기로서 단순히 냉동실에 수납이 가능하며 일정한 용적을 가지는 용기가 사용되었지만, 근래에 들어와서는 정수의 공급에서 얼음의 보관 및 취출/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제빙기가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설치된다.
이러한 냉장고에 구비되는 제빙기는 제빙수를 아이스 트레이에 형성된 제빙홈에 자동으로 공급받은 후, 냉장고의 냉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빙홈에 수용된 제빙수를 얼리거나,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상기 냉장고의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을 설치하여 상기 제빙홈에 수용된 제빙수를 얼릴 수 있다. 상기 제빙수의 제빙이 완료되면, 제빙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자동으로 이탈시켜 상기 냉장고에 설치된 얼음보관용기에 적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빙기는 제빙동작을 위한 사용자의 별도 조작이 없이 얼음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제빙기는 상기 제빙홈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급수부는 급수밸브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물을 급수하거나 중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급수 제어 방법은 단순히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상기 제빙홈에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뿐 다른 요소가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트레이에 정확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없다. 즉, 트레이 내에 급수되는 물이 너무 적어서 얼음의 크기가 너무 작게 되거나 너무 많아서 트레이로부터 오버플로우(over-flow)하여 얼음보관용기나 기타 냉장고의 공간으로 물이 흐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9908호(2009.09.23. 공개일)(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제빙홈에 두 개의 전극이 설치되어 상기 두 개의 전극이 통전되는 경우 상기 제빙홈이 만수라고 판단하는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제빙홈에 급수되는 도중에, 사용자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만지거나 상기 제빙기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빙홈에 급수되는 물의 출렁임 또는 튕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가정마다 냉장고로 유입되는 수압의 차이가 다르기 때문에, 수압이 높은 가정에서는 상기 물의 출렁임 또는 튕김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물의 출렁임 또는 튕김 현상으로 인해, 상기 두 개의 전극이 통전되어서 상기 제빙홈에 제빙수가 만수된 것으로 오인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9908호(2009.09.23. 공개일)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제빙홈 내에 수용되는 제빙수의 만수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정전용량센서가 감지하는 정전용량값의 리미트값을 이용하지 않고, 제빙홈에 급수를 시작한 후 설정시간까지의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빙홈 내에 수용되는 제빙수의 만수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는 아이스 트레이, 급수부 및 감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는 제빙수가 수용되는 제빙홈이 형성된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빙홈에 상기 제빙수를 공급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빙홈에 수용된 상기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부는 센서하우징 및 정전용량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하우징의 상면에는 센서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센서하우징의 일측면에는 수위측정홀이 형성된다. 상기 수위측정홀은 상기 제빙홈 및 상기 센서삽입홈을 연통시킨다. 상기 정전용량센서는 상기 센서삽입홈에 삽입된다. 상기 정전용량센서는 상기 수위측정홀을 통해 상기 센서삽입홈으로로 유입되는 제빙수와 접촉되어 상기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상기 센서하우징에는 상기 정전용량센서의 하단과 대응되는 부분에 제빙수출입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수출입홀은 상기 센서삽입홈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하우징은 하우징 본체 및 마운팅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상기 센서삽입홈 및 상기 수위측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센서삽입홈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센서삽입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는 상기 정전용량센서와 연결되는 커넥터 전선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전선 중 상기 정전용량센서와 연결되는 끝단부는 상기 센서삽입가이드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의 상기 일측면에는 상기 센서삽입가이드홈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고 상기 커넥터 전선의 일부가 수용되는 전선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는 제어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감지하는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급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시작하여 설정시간까지의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감지한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빙홈에 상기 제빙수의 만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만수여부를 판단한 결과, 만수이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중단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만수여부를 판단한 결과, 만수가 아니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추가 급수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만수여부 판단과, 상기 급수중단 또는 상기 추가 급수를, 설정된 횟수만큼 재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시작한 후 상기 설정시간 후에,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중단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시작한 후 상기 설정시간 후에,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빙홈에 추가 급수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상기 추가 급수한 후 상기 설정시간 후에,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큰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빙홈에 상기 추가 급수를 중단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상기 추가 급수한 후 상기 설정시간 후에,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2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빙홈에 추가 급수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는 아이스 트레이, 급수부, 정전용량센서 및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는 제빙수가 수용되는 제빙홈이 형성된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빙홈에 상기 제빙수를 공급한다. 상기 정전용량센서는 상기 제빙홈에 수용된 상기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시작하여 설정시간까지의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감지한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빙홈에 상기 제빙수의 만수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만수여부를 판단한 결과, 만수이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중단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만수여부를 판단한 결과, 만수가 아니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추가 급수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빙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아이스 트레이, 급수부 및 정전용량센서로 구성된 제빙기의 제어방법이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는 제빙수가 수용되는 제빙홈이 형성된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빙홈에 상기 제빙수를 공급한다. 상기 정전용량센서는 상기 제빙홈에 수용된 상기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급수단계와, 만수여부판단단계와, 추가급수 또는 급수중단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급수단계에서는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시작한다. 상기 만수여부판단단계에서는 상기 급수단계 후 설정시간 후에, 상기 급수단계에서 상기 설정시간까지의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감지한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빙홈에 상기 제빙수의 만수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추가급수 또는 급수중단단계에서는 상기 만수여부판단단계 결과, 만수이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중단하고, 만수가 아니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추가 급수한다.
상기 만수여부판단단계와, 상기 추가급수 또는 급수중단단계는 설정된 횟수만큼 재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가급수 또는 급수중단단계에서는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추가급수 또는 급수중단단계에서는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추가 급수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급수를 시작한 후 상기 설정시간 후에,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큰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추가 급수를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급수를 시작한 후 상기 설정시간 후에,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2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추가 급수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은,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하여 아이스 트레이의 제빙홈에 수용된 제빙수의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빙홈에 급수가 시작되어 설정시간까지의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감지한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빙홈에 수용된 제빙수의 만수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가 설치된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빙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빙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감지부가 제어박스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감지부를 나타내는 정면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센서하우징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센서하우징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센서하우징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의 제어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의 제어방법에 따른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가 설치된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제빙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전면이 개구된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8, 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식품을 냉장 상태로 저장하는 냉장실과, 식품을 냉동 상태로 저장하는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1)는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한 것으로서, 상기 냉장실이 상기 냉동실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어(8, 9)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8)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9)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 도어(8)는 서로 좌우로 배치된 두 개로 구비되어, 좌측 냉장실 도어(8)는 상기 냉장실의 일부인 좌측을 개폐할 수 있고, 우측 냉장실 도어(8)는 상기 냉장실의 나머지부인 우측을 개폐할 수 있다.
제빙기(100)는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1)는 상기 냉장실의 좌측 상부에 제빙기(1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빙기(100)는 냉장고(1)로부터 제빙수를 공급받을 수 있고, 냉장고(1)의 냉동사이클회로로부터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상기 제빙수를 얼음으로 변하게 하여서, 상기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냉장고(1)의 상기 저장실에는 제빙기(100)의 하측에 아이스 박스가 배치될 수 있다. 제빙기(100)에서 완성된 얼음은 이빙되어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빙기(100)는, 아이스 트레이의 제빙홈에서 완성된 얼음을 상기 제빙홈으로부터 이빙시키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빙기(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120)를 포함하는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100)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100)는 이젝터(120)가 둘레방향으로 회전될 시 이젝터(120)의 둘레면에 형성된 이젝트 핀(125)이 얼음을 밀어서 이빙시키는 방식이고, 상기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는 아이스 트레이에서 얼음의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비틀어서 얼음을 이빙시키는 방식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100)는 상기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100)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겠으나, 상기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빙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빙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100)는, 아이스 트레이(110)와, 이젝터(120)와, 제어박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10)의 상면에는 제빙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빙홈(115)은 제빙수가 채워진 후 얼음이 되는 공간일 수 있다. 제빙홈(115)은 아이스 트레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빙홈(11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10)의 상면 일부가 오목하고 아이스 트레이(110)의 하면 일부는 볼록하게, 아이스 트레이(110)를 프레스 가공하면, 아이스 트레이(110)의 오목한 상면 일부는 제빙홈(115)이 될 수 있다.
제빙홈(115)에는 아이스 트레이(110)의 일측에 설치된 급수부(140)로부터 제빙수가 공급될 수 있다. 급수부(140)는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급수밸브가 후술하는 제어부(131)에 의해 개폐되도록 제어됨으로써, 급수부(140)는 제빙홈(115)으로 물을 공급하거나 물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제어부(131)가 급수부(140)를 제어한다는 의미는 제어부(131)가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한다는 의미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제빙홈(115)에 상기 제빙수가 공급된 후, 냉장고(1)의 저장실에 냉기가 공급되면, 상기 제빙홈(115)으로 공급된 제빙수는 냉장고(1)의 저장실의 냉기와 열교환되어서 얼음이 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10)는 제어박스(130)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10)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어박스(130)의 일측에는 아이스 트레이(110)의 길이방향의 일단이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10)의 길이방향의 일단은 제어박스(13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슬릿으로 삽입되어 제어박스(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젝터(120)는 제빙홈(115)에서 제빙된 얼음을 제빙홈(115)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10)의 제빙홈(115)에서 얼음이 제빙된 후, 이젝터(120)는 제빙홈(115)에 있는 얼음을 제빙홈(115)에서 이빙시킬 수 있다.
이젝터(120)는 제어박스(130)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긴 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젝터(120)는 아이스 트레이(11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젝터(120)의 둘레면에는 이젝트 핀(125)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젝트 핀(125)은 이젝터(12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젝터(120)가 둘레방향으로 회전될 때, 이젝트 핀(125)의 끝단은 제빙홈(115)으로 삽입되어서, 제빙홈(115)에 있는 얼음을 제빙홈(115)으로부터 이빙시킬 수 있다. 이젝트 핀(125)은 이젝터(120)의 회전 시 제빙홈(115)에 있는 얼음을 밀어서 제빙홈(115)으로부터 이빙시킬 수 있다.
이젝트 핀(125)은 이젝터(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이젝트 핀(12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젝트 핀(125)은 아이스 트레이(110)에 형성된 제빙홈(115)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이젝트 핀(125)은 복수개의 제빙홈(115)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아이스 트레이(110)의 제빙홈(115)에서 제빙된 얼음은 제빙홈(115)에 고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젝트 핀(125)이 제빙홈(115)에서 제빙된 얼음을 제빙홈(115)에서 이빙시킬 때, 상기 얼음이 제빙홈(115)으로부터 쉽게 이빙되지 않을 수 있다.
이젝트 핀(125)이 제빙홈(115)에서 제빙된 얼음을 제빙홈(115)에서 이빙시킬 때, 상기 얼음이 제빙홈(115)으로부터 쉽게 이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아이스 트레이(110)의 하면에는 이빙히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빙히터는 이젝트 핀(125)이 제빙홈(115)에서 제빙된 얼음을 제빙홈(115)에서 이빙시키기 전에 발열될 수 있다. 상기 이빙히터는 제빙홈(115)에 열을 공급하여 제빙홈(115)에 있는 얼음을 살짝 녹일 수 있다. 상기 이빙히터는 제빙홈(115)에 있는 얼음을 살짝 녹여서, 제빙홈(115)에서 제빙된 얼음이 이젝트 핀(125)에 의해 쉽게 이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박스(130) 내부에는 제어부(13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박스(130)의 내부에는 이젝터(120)를 이젝터(120)의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이빙모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싱기 이빙히터 및 상기 이빙모터는 제어부(13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31)는 제빙홈(115)에서 얼음이 제빙된 후에, 상기 이빙히터를 발열되도록 제어하여서, 제빙홈(115)에 고착되어 있는 얼음을 살짝 녹일 수 있다. 이후에, 제어부(131)는 상기 이빙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이빙모터가 이젝터(120)를 회전시키도록 하여서, 이젝트 핀(125)이 제빙홈(115)에서 얼음을 이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빙모터의 회전축은 이젝터(120)와 커플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젝터(120)는 상기 이빙모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젝터(120)는 상기 이빙모터의 회전축과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빙모터의 회전축은 복수개의 기어를 통해 이젝터(120)와 연결되어서, 상기 이빙모터의 회전축의 회전력은 상기 복수개의 기어를 통해 이젝터(120)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젝터(120)는 상기 이빙모터의 회전축과 상이한 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빙히터는 상기 이빙히터의 내부를 흐르는 핫가스에 의해 발열되는 U형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1)는 상기 이빙히터 내로 상기 핫가스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핫가스밸브를 제어하여서, 상기 이빙히터의 내부로 핫가스가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빙히터는 상기 이빙히터로 입력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되는 열선 또는 면상히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1)는 상기 이빙히터로 상기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류공급스위치를 제어하여서, 상기 이빙히터로 상기 전기가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1)는 제빙기(100)에 구비될 수도 있고, 냉장고(1)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제빙기(100) 및 냉장고(1)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31)는 냉장고(1) 및 제빙기(10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31)는 냉장고(1)에 구비된 냉장고 제어부와, 제빙기(100)에 구비된 제빙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기(100)는 상기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동작될 수도 있고, 상기 제빙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통해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제빙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이빙신호를 전달받아 이빙모터(135)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 제어부의 제어전원은 상기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100)는 감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50)는 제빙홈(115)에 수용된 상기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50)는 아이스 트레이(110)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급수부(140)는 아이스 트레이(110)의 길이방향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감지부(150)는 복수개의 제빙홈(115) 중 급수부(140)로부터 가장 먼 곳에 위치하는 제빙홈(115)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 배치되어, 그 제빙홈(115) 내에 수용된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급수부(140)는 복수개의 제빙홈(115) 중 감지부(150)로부터 가장 먼 곳에 위치하는 제빙홈(115)에 급수할 수 있고, 이렇게 급수부(140)로부터 급수된 제빙수는 복수개의 제빙홈(115)을 연결하는 유로(미도시)를 따라 이웃하는 제빙홈(115)으로 이동되어서, 감지부(150)가 위치하는 제빙홈(115)인 급수부(140)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제빙홈(115)까지 이동될 수 있다. 감지부(150)는 복수개의 제빙홈(115) 중에서 급수부(140)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제빙홈(115)내에 수용된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함으로써, 복수개의 제빙홈(115) 내에 수용된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 감지부(15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감지부가 제어박스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감지부를 나타내는 정면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센서하우징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센서하우징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센서하우징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감지부(150)는 센서하우징(10) 및 정전용량센서(2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하우징(10)의 상면에는 센서삽입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정전용량센서(20)는 센서삽입홈(11)에 삽입될 수 있다. 센서삽입홈(11) 및 정전용량센서(2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센서삽입홈(11)의 상하 길이는 정전용량센서(20)의 상하 길이보다 약간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정전용량센서(20)가 센서삽입홈(11)에 삽입된 상태일 때, 정전용량센서(20)의 상단은 센서삽입홈(11)의 상단으로부터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센서하우징(10)의 일측면에는 수위측정홀(1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위측정홀(12)은 센서하우징(10)의 정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수위측정홀(12)은 후술하는 하우징 본체(14)의 정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수위측정홀(12)은 제빙홈(115) 및 센서삽입홈(11)을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빙홈(115) 내의 제빙수는 수위측정홀(12)을 통해 센서삽입홈(11) 내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센서삽입홈(11) 내에 배치된 정전용량센서(20)는 제빙홈(115) 내에 수용된 제빙수와 접촉되어 상기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하우징(10)에는 정전용량센서(20)의 하단과 대응되는 부분에 제빙수출입홀(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제빙수출입홀(13)은 센서삽입홈(11)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각 가정의 건물에 설치된 급수배관은 가정마다 수압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배관의 수압이 높은 가정에서는 급수부(140)가 아이스 트레이(110)의 제빙홈(115)으로 공급하는 수압이 높기 때문에, 급수부(140)로부터 제빙홈(115) 내로 공급되는 제빙수는, 상기 수압에 의해 출렁임이 발생되거나, 제빙홈(115)으로 급수되는 제빙수가 정전용량센서(20)로 튕길 수 있다.
또한, 제빙기(10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제빙홈(115)에 수용된 제빙수는 출렁임이 발생되거나, 제빙홈(115)으로 급수되는 제빙수가 정전용량센서(20)로 튕길 수 있다.
상기 제빙홈(115)에 수용된 제빙수의 출렁임 또는 정전용량센서(20)로 제빙수가 튕기는 현상으로 인해, 정전용량센서(20)는 제빙홈(115)의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센서삽입홈(11)으로 유입된 제빙수는 제빙수출입홀(13)을 통해 제빙홈(115)으로 배출함으로써, 정전용량센서(20)가 감지하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센서하우징(10)은 하우징 본체(14) 및 마운팅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4)에는 센서삽입홈(11) 및 수위측정홀(12)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4)의 하면에는 제빙수출입홀(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마운팅부(15)는 하우징 본체(14)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마운팅부(15)는 하우징 본체(14)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마운팅부(15)는 제어박스(130)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박스(130)의 일측면은 아이스 트레이(110)가 수평방향으로 돌출 배치되는면일 수 있다. 제어박스(130)의 일측면은 개구될 수 있고, 마운팅부(15)는 제어박스(130)의 개구된 일측면을 덮을 수 있다.
마운팅부(15)의 일측면에는 센서삽입홈(14)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센서삽입가이드홈(16)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삽입가이드홈(16)은 센서하우징(10)의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센서삽입가이드홈(16)은 마운팅부(15)의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정전용량센서(20)를 센서삽입홈(11)에 삽입할 시 센서삽입가이드홈(16)을 통해 센서삽입홈(11)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100)는 정전용량센서(20)와 연결되는 커넥터 전선(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전선(30)은 복수개의 전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전선(30)의 일단은 정전용량센서(20)와 연결될 수 있고, 커넥터 전선(30)의 타단은 커넥터(40)와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40)는 제어부(131)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정전용량센서(20)가 감지하는 신호는 커넥터 전선(30) 및 커넥터(40)를 통해 제어부(131)로 입력될 수 있다.
커넥터 전선(30) 중 정전용량센서(20)와 연결되는 일단부는 센서삽입가이드홈(1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마운팅부(15)의 상기 일측면에는 센서삽입가이드홈(16)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커넥터 전선(30)의 일부가 수용되는 전선수용홈(17)이 형성될 수 있다. 전선수용홈(17)은 센서하우징(10)의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선수용홈(17)은 마운팅부(15)의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센서삽입가이드홈(16) 및 전선수용홈(17)은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마운팅부(15) 중 센서삽입가이드홈(16) 및 전선수용홈(17)의 하측경계면(18)과, 센서삽입가이드홈(16)에서 연장되는 일측경계면(19)은 하우징 본체(14)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이 돌출된 경계면들(18, 19) 중 적어도 일부는 아이스 트레이(110)의 상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31)는 정전용량센서(20)가 감지하는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급수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정전용량센서(20)는 제빙홈(115)에 급수되는 제빙수에 의한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31)로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131)는 정전용량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급수부(140)가 제빙홈(115)에 급수하거나 급수를 중단하도록 급수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1)는 정전용량센서(20)가 감지하는 정전용량값의 리미트값이 설정되지 않고, 급수부(140)가 제빙홈(115)에 급수를 시작하여 설정시간까지의 정전용량센서(20)가 감지한 정전용량값의 변화값과 비교하기 위한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제어부(131)가 상기 설정된 리미트값을 이용하여 제빙홈(115)에 급수되는 제빙수의 만수여부를 판단하게 된다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빙수의 출렁임 또는 상기 제빙수의 튕김 현상으로 인해 정전용량센서(20)에 제빙수가 유입되는 경우, 정전용량센서(20)는 제빙홈(115)의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131)는 급수부(140)가 제빙홈(115)에 급수를 시작하여 설정시간까지의 정전용량센서(20)가 감지한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제빙홈(115)에 상기 제빙수의 만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1)는 상기 만수여부를 판단한 결과, 만수이면 급수부(140)가 제빙홈(115)에 급수를 중단하도록 급수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1)는 상기 만수여부를 판단한 결과, 만수가 아니면 급수부(140)가 제빙홈(115)에 추가 급수하도록 급수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1)는 상기 만수여부 판단과, 상기 급수중단 또는 상기 추가 급수를, 설정된 횟수만큼 재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된 횟수는 2번일 수 있으나, 2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의 제어방법에 따른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의 동작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급수단계(S1)와, 만수여부판단단계(S2)와, 추가급수 또는 급수중단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단계(S1)에서 정전용량센서(20)는 감지되는 정전용량값을 제어부로 입력할 수 있다(S10).
급수단계(S1)에서 제어부(131)는 정전용량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정전용량값이 설정값 이하이면 급수부(140)가 제빙홈(115)에 급수를 시작하도록 급수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급수단계(S1)에서 제어부(131)는 정전용량센서(20)로부터 입력된 상기 정전용량값이 설정값 이하이면, 급수부(140)를 제어하여 급수를 시작할 수 있다(S20).
만수여부판단단계(S2)에서 제어부(131)는 급수부(140)가 급수를 시작한지 설정시간이 지났는지 판단할 수 있다(S30).
만수여부판단단계(S2)에서 제어부(131)는 급수부(140)가 급수를 시작한지 상기 설정시간이 지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추가 급수를 할 수 있다(S20).
만수여부판단단계(S2)에서 제어부(131)는 급수단계(S1) 후 상기 설정시간 후에, 급수단계(S1)에서 상기 설정시간까지의 정전용량센서(20)가 감지한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제빙홈(115)에 상기 제빙수의 만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만수여부판단단계(S2)에서 제어부(131)는 급수부(140)가 급수를 시작한지 상기 설정시간이 지났다고 판단되면, 급수부(140)가 급수를 시작하여 상기 설정시간까지의 정전용량센서(20)가 감지한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40).
추가급수 또는 급수중단단계(S3)에서 제어부(131)는 만수여부판단단계(S2) 결과, 만수이면 급수부(140)가 제빙홈(115)에 급수를 중단하고, 만수가 아니면 급수부(140)가 제빙홈(115)에 추가 급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추가급수 또는 급수중단단계(S3)에서 제어부(131)는 급수부(140)가 급수를 시작하여 상기 설정시간까지의 정전용량센서(20)가 감지한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1 설정값 이상이면 급수를 중단할 수 있다(S50).
또한, 추가급수 또는 급수중단단계(S3)에서 제어부(131)는 급수부(140)가 급수를 시작하여 상기 설정시간까지의 정전용량센서(20)가 감지한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으면 추가 급수를 시작할 수 있다(S20).
만수여부판단단계(S2)와, 추가급수 또는 급수중단단계(S3)는 설정된 횟수만큼 재수행될 수 있다. 즉, 추가급수 또는 급수중단단계(S3)에서 제어부(131)는 급수부(140)가 급수를 시작하여 상기 설정시간까지의 정전용량센서(20)가 감지한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 설정값이 설정횟수의 설정값인지 판단할 수 있다(S60).
추가급수 또는 급수중단단계(S3)에서 제어부(131)는 상기 제1 설정값이 설정횟수의 설정값이 아니면 추가 급수를 시작할 수 있다(S20).
또한, 추가급수 또는 급수중단단계(S3)에서 제어부(131)는 상기 제1 설정값이 상기 설정횟수가 아니면 급수를 중단할 수 있다(S50).
상기 추가 급수를 시작한 후 제어부(131)는 상기 설정시간이 지났는지 다시 판단할 수 있다(S30). 판단결과, 상기 설정시간이 지나지 않았으면, 추가 급수를 계속할 수 있다(S20).
또한, 판단결과, 상기 설정시간이 지났다면, 제어부(131)는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제2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40). 즉, 제어부(131)는 상기 추가 급수를 시작한 후 상기 설정시간 후에,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2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제어부(131)는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2 설정값 이상이면 급수부(140)가 제빙홈(115)에 추가 급수를 중단하도록 급수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설정값은 상기 제1 설정값보다 큰 값일 수 있다. 즉, 급수부(140)가 제빙홈(115)에 급수를 시작한 후 정전용량센서(20)가 감지하는 정전용량값은 시간이 지날수록 높게 감지될 수 있다. 이는, 제빙홈(115)에 제빙수가 채워질수록, 제빙홈(115)에 수용된 제빙수가 정전용량센서(20)와 접촉되는 면적은 증가되는데, 정전용량센서(20)가 감지하는 정전용량값은 제빙수와의 접촉면적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급수부(140)가 제빙홈(115)에 급수를 시작한 후 시간이 지날수록, 제어부(131)는 정전용량센서(20)가 감지하는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을 높은 설정값과 비교하여서, 제빙홈(115)에 제빙수의 만수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131)는 상기 추가 급수를 시작한 후 상기 설정시간 후에,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2 설정값보다 작으면, 급수부(140)가 제빙홈(115)에 추가 급수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은, 정전용량센서(20)를 이용하여 아이스 트레이(110)의 제빙홈(115)에 수용된 제빙수의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빙홈(115)에 급수가 시작되어 상기 설정시간까지의 정전용량센서(20)가 감지한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제빙홈(115)에 수용된 제빙수의 만수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냉장고 10 : 센서하우징
11 : 센서삽입홈 12 : 수위측정홀
13 : 제빙수출입홀 14 : 하우징 본체
15 : 마운팅부 16 : 센서삽입가이드홈
17 : 전선수용홈 20 : 정전용량센서
30 :커넥터 전선 100 : 제빙기
110 : 아이스 트레이 115 : 제빙홈
131 : 제어부 140 : 급수부
150 : 감지부

Claims (25)

  1. 제빙수가 수용되는 제빙홈이 형성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제빙홈에 상기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제빙홈에 수용된 상기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면에 센서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빙홈 및 상기 센서삽입홈을 연통시키는 수위측정홀이 일측면에 형성된 센서하우징; 및
    상기 센서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수위측정홀을 통해 상기 센서삽입홈으로로 유입되는 제빙수와 접촉되어 상기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를 포함하는 제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에는 상기 정전용량센서의 하단과 대응되는 부분에 제빙수출입홀이 더 형성되는 제빙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빙수출입홀은 상기 센서삽입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빙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은,
    상기 센서삽입홈 및 상기 수위측정홀이 형성된 하우징 본체;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운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센서삽입홈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센서삽입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빙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센서와 연결되는 커넥터 전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전선 중 상기 정전용량센서와 연결되는 일단부는 상기 센서삽입가이드홈에 배치되는 제빙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의 상기 일측면에는 상기 센서삽입가이드홈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 전선의 일부가 수용되는 전선수용홈이 형성되는 제빙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감지하는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시작하여 설정시간까지의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감지한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빙홈에 상기 제빙수의 만수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만수여부를 판단한 결과, 만수이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중단하고, 만수가 아니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추가 급수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제빙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만수여부 판단과, 상기 급수중단 또는 상기 추가 급수를, 설정된 횟수만큼 재수행하는 제빙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시작한 후 상기 설정시간 후에,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중단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제빙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시작한 후 상기 설정시간 후에,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빙홈에 추가 급수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제빙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상기 추가 급수한 후 상기 설정시간 후에,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큰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빙홈에 상기 추가 급수를 중단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제빙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상기 추가 급수한 후 상기 설정시간 후에,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2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빙홈에 추가 급수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제빙기.
  13. 제빙수가 수용되는 제빙홈이 형성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제빙홈에 상기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제빙홈에 수용된 상기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 및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시작하여 설정시간까지의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감지한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빙홈에 상기 제빙수의 만수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만수여부를 판단한 결과, 만수이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중단하고, 만수가 아니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추가 급수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빙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만수여부 판단과, 상기 급수중단 또는 상기 추가 급수를, 설정된 횟수만큼 재수행하는 제빙기.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시작한 후 상기 설정시간 후에,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중단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제빙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시작한 후 상기 설정시간 후에,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빙홈에 추가 급수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제빙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상기 추가 급수한 후 상기 설정시간 후에,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큰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빙홈에 상기 추가 급수를 중단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제빙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상기 추가 급수한 후 상기 설정시간 후에,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2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빙홈에 추가 급수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제빙기.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20. 제빙수가 수용되는 제빙홈이 형성된 아이스 트레이와, 상기 제빙홈에 상기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제빙홈에 수용된 상기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시작하는 급수단계;
    상기 급수단계 후 설정시간 후에, 상기 급수단계에서 상기 설정시간까지의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감지한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빙홈에 상기 제빙수의 만수여부를 판단하는 만수여부판단단계; 및
    상기 만수여부판단단계 결과, 만수이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중단하고, 만수가 아니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추가 급수하는 추가급수 또는 급수중단단계;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만수여부판단단계와, 상기 추가급수 또는 급수중단단계는 설정된 횟수만큼 재수행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추가급수 또는 급수중단단계에서는,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급수를 중단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추가급수 또는 급수장단단계에서는,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추가 급수를 시작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추가 급수를 시작한 후 상기 설정시간 후에,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큰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추가 급수를 중단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추가 급수를 시작한 후 상기 설정시간 후에,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이 상기 제2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홈에 추가 급수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
KR1020190091953A 2019-07-29 2019-07-29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13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953A KR20210013993A (ko) 2019-07-29 2019-07-29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9/018257 WO2021020664A1 (ko) 2019-07-29 2019-12-20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17/629,411 US20220260296A1 (en) 2019-07-29 2019-12-20 Ice maker,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953A KR20210013993A (ko) 2019-07-29 2019-07-29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993A true KR20210013993A (ko) 2021-02-08

Family

ID=7422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953A KR20210013993A (ko) 2019-07-29 2019-07-29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60296A1 (ko)
KR (1) KR20210013993A (ko)
WO (1) WO202102066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908A (ko) 2008-03-19 2009-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1467B1 (en) * 2000-05-01 2002-06-11 Technology Licensing Corporation Ice thickness control system and sensor probe for ice-making machines
EP2181297B1 (en) * 2007-11-05 2022-06-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062350B1 (ko) * 2008-11-14 2011-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409775B1 (ko) * 2015-09-14 2022-06-17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KR102674196B1 (ko) * 2017-01-03 202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908A (ko) 2008-03-19 2009-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0664A1 (ko) 2021-02-04
US20220260296A1 (en) 2022-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7217B2 (en)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87790B1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 및 제빙 어셈블리의 수위 감지방법
EP3540342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US7100379B2 (en) Water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ice maker
US9879895B2 (en) Ice maker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80052285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050102993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1741A (ko)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EP2096385B1 (en)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756993B1 (ko) 자동 제빙기의 급수 제어장치 및 급수 제어방법
KR101161123B1 (ko) 냉장고용 제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13993A (ko)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409775B1 (ko) 제빙기
KR20200001701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636553B1 (ko) 자동 제빙기의 급수 제어 장치 및 급수 제어 방법
KR102687947B1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389674B1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빙 완료 판단 방법
KR20110040582A (ko) 급수장치의 유량센서 이상 여부 판단방법 및 그를 이용한 급수장치의 제어방법
KR100408573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제어방법
KR20200105738A (ko)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20240263863A1 (en) Ice maker,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500732B1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빙 완료 판단 방법
KR20090006518A (ko) 결빙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14430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278449B1 (ko) 제빙기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