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590B1 - 냉장고 및 냉장고의 급수용기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의 급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590B1
KR101150590B1 KR1020090106755A KR20090106755A KR101150590B1 KR 101150590 B1 KR101150590 B1 KR 101150590B1 KR 1020090106755 A KR1020090106755 A KR 1020090106755A KR 20090106755 A KR20090106755 A KR 20090106755A KR 101150590 B1 KR101150590 B1 KR 101150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container
suction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9965A (ko
Inventor
김성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6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590B1/ko
Priority to US13/508,324 priority patent/US9267732B2/en
Priority to EP10828566.9A priority patent/EP2496899B1/en
Priority to PCT/KR2010/007842 priority patent/WO2011056031A2/en
Priority to CN201080050374.4A priority patent/CN102686961B/zh
Publication of KR20110049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급수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고내에 제공되어, 급수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에 장착되며, 상기 급수용기를 고내 일측에 탈착시키는 용기 연결부; 상기 급수용기와 아이스메이커 또는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급수유로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의 일측에 천공되어 급수 용기 내부의 물이 흡입되는 흡입구; 및 상기 흡입관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급수용기의 수위에 따라 상기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플로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급수, 흡입, 플로터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급수용기 { Refrigerator and water tank for ref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급수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세히, 상기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의하여 저온 저압 상태로 변화된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냉기에 의하여 저장 공간이 저온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음식물이 신선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편의장치 중 대표적인 것으로, 상기 냉장고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장치와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상기 제빙장치와 디스펜서는 사용자에게 얼음 또는 음용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고내와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빙장치는, 제빙용 트레이에 직접 물을 채우는 방식, 또는, 1회 제빙을 위한 용량을 가지는 급수용기에 물을 넣어 장착하고, 상기 급수용기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제빙용 트레이로 공급되도록 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1회분 만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으며, 만약 용량이 큰 급수용기를 사용하게 될 경우 냉동실의 온도 특성상 급수용기 내부의 물이 결빙되어 제빙작업의 지속적인 수행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도와 직접 연결되는 급수라인을 제공하여 제빙장치가 지속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급수라인이 디스펜서와도 연결되어 디스펜서를 통해 음용수를 취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가 개발되었다.
그리고, 고내에 제빙을 위한 물이 공급되는 급수용기가 제공되고, 펌프 및 급수유로를 통해서 제빙장치와 디스펜서로 물이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에서는 급수용기 내부의 물이 완전히 공급되어 급수용기 내에 물이 없거나 수위가 낮은 경우 급수유로를 통해 공기가 혼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급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급수용기 내의 물을 흡입하는 흡입관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플로터가 구비되고, 상기 플로터가 수위에 따라 이동되어 물이 흡입되는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여 공기의 혼입을 차단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급수용기를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고내에 제공되어, 급수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에 장착되며, 상기 급수용기를 고내 일측에 탈착시키는 용기 연결부; 상기 급수용기와 아이스메이커 또는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급수유로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의 일측에 천공되어 급수 용기 내부의 물이 흡입되는 흡입구; 및 상기 흡입관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급수용기의 수위에 따라 상기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플로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기 연결부는 냉장실 도어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이스메이커는 냉동실 또는 냉동실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관은 상기 용기 연결부의 내측에서 상기 급수유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는 상기 흡입관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용기는, 고내에 제공되어 물을 저장하며 급수유로에 의해 아이스메이커 또는 디스펜서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냉장고의 급수용기에 있어서, 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에 삽입되며, 수용된 물을 끌어올리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물이 상기 흡입관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유닛; 및 상기 흡입 유닛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흡입 유닛에 의해 관통되며, 수위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플로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흡입 유닛은 상기 흡입관의 개구된 하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 유닛의 내측에는 흡입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는 측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는 상기 흡입 유닛의 경사진 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플로터의 하면은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면과 대응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급수용기에서는, 급수용기 내부의 수위에 따라서 플로터가 상기 흡입관 또는 흡입 유닛을 따라서 상하 이동하게 되며, 상기 플로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흡입과 또는 흡입 유닛에 형성된 흡입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용기 내부의 수위가 흡입구의 수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플로터가 하방 이동되어 상기 흡입구를 차폐하게 되며, 상기 급수용기 내부의 수위가 흡입구의 수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플로터가 상방 이동되어 상기 흡입구를 개방하여 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용기 내부의 물이 없어지거나, 수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플로터가 상기 흡입구를 막아 물은 물론 공기도 흡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물과 공기가 혼입되거나 공기가 흡입되어 발생될 수 있는 급수불량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펜서를 통한 물 취출시 공기 혼입에 의해 물이 튀는 현상이나, 아이스메이커에 공기가 혼입된 물이 공급되어 제빙량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펌프의 내부로 공기가 혼입되어 펌프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펌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사이드바이사이드 타입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아이스메이커 또는 디스펜서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용기가 구비된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10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00)은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내부는 베리어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110)과 냉장실(12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10)과 냉장실(120)의 내부에는 다수의 선반과 서랍 등 식품의 수납을 위한 구성들이 제공된다.
상기 도어(200)는 상기 냉장실(120)과 냉동실(110)을 각각 차폐할 수 있도록 냉장실 도어(220)와 냉동실 도어(210)로 구성되며, 상기 캐비닛(100)에 힌지(130)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120)과 냉동실(110)은 상기 냉장실 도어(220)와 냉동실 도어(210)의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 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20)와 냉동실 도어(210)에는 각각 도어 핸들(230)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20)에는 홈바(2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도어(21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펜서(212) 및 아이스메이커 어셈블리(300)와 같이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는 워터디바이스(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동실 도어(210)의 전면에는 음용수 및/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한 디스펜서(21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210)의 배면에는 아이스메이커 어셈블리(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메이커 어셈블리(300)는 아래에서 설명할 급수용기(400)로부터 공급되는 물로 얼음을 만드는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212)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아이스메이커 어셈블리(300)는 필요에 따라 상기 냉동실(110)의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아이스메이커 어셈블리(300)가 상기 냉동실 도어(210)에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아이스메이커 어셈블리(300)는 급수되는 물을 얼려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메이커(310)와, 상기 아이스메이커(310)의 하방에 구비되며, 제빙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뱅크(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메이커(310)는 자동으로 제빙을 위한 물이 급수되고, 상기 냉동실(110)의 냉기에 의해 얼음이 만들어진 후에는 상기 아이스 뱅크(320) 측으로 자동으로 이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일반적인 아이스메이커(310)와 동일한 구성 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아이스메이커(310)에서 제빙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뱅크(320)에 저장되며, 상기 디스펜서(212)의 조작시, 상기 아이스 뱅크(320)와 상기 디스펜서(212)를 연결하는 아이스 슈트(330)를 통해서 상기 아이스메이커(31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는 급수용기(400)가 제공된다. 상기 급수용기(400)는 상기 아이스메이커(310) 및/또는 디스펜서(212)로 공급되는 제빙용수 및/또는 음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 도어(220)에서 급수용기(400)를 분리한 후 상기 급수용기(400)에 직접 물을 급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수용기(400)는 상기 워터디바이스 즉, 상기 아이스메이커(310) 및 디스펜서(212)보다 더 낮은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내부에 저수된 물은 아래에서 설명할 펌프(600)에 의해 상기 워터디바이스(25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수용기(400)는 필요에 따라 상기 냉장실(120)의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도 상기 워터디바이스(250)의 장착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용기(400)는 상기 냉장실 도어(220)에 탈착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용 용기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용기(400)는 시판되고 있는 생수병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바스켓(224)이 구비되며, 상기 바스켓(224)은 탈착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바스켓(224)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급수용기(400)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는 상기 급수용기(400)와 결합되는 용기 연결부(222)가 제공된다. 상기 용기 연결부(222)는 상기 급수용기(400) 상단의 입구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연결부(222)는 상기 냉장실 도어(220)와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급수용기(400)는 상기 용기 연결부(222)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연결부(222)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급수용기(400)와 결합된 후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급수용기(400)와 상기 아이스메이커(310) 및 디스펜서(212)는 급수유로(5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급수용기(400)의 물이 상기 아이스메이커(310)와 디스펜서(212)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급수유로(500)에는 상기 펌프(600)와 밸브(700)가 구비된다. 상기 급수용기(400)의 물은 상기 펌프(600)에 의해 상기 아이스메이커(310)와 디스펜서(212)로 강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700)에 의해 분지되어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아이스메이커(310)와 디스펜서(212)로 각각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펌프(600)와 밸브(700)는 고외측 보다 상세하게는 아래에서 설명할 기계실(140)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캐비닛(100)의 하면 또는 상기 냉장실 도어(220) 또는 상기 냉장실(12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급수용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흡입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급수용기(400)는 용기 본체(4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410)로 상기 용기 연결부(222)와 결합가능한 페트병 또는 용기 연결부(222)와 결합 가능하도록 제작된 용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용기(400)는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개구된 면이 상기 용기 연결부(222)와 결합된다.
상기 용기 본체(410)의 내측에는 흡입관(420)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관(420)은 상기 용기 본체(410) 내부에 수용된 물을 흡입하기 위한 관으로 상기 용기 본체(410)의 바닥 또는 바닥과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 형성된다.
상기 흡입관(420)은 상기 용기 연결부(222) 내부의 연결관(510)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510)은 상기 용기 연결부(222)가 상기 냉장실 도어(220)에 탈착될 때 상기 냉장실 도어(220) 내측의 급수유로(50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관(42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510)은 상기 흡입관(420)과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급수용기(400)의 장착시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흡입관(420)과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흡입관(420)의 하단에는 흡입 유닛(430)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 유닛(430)은 상기 용기 본체(410) 내부의 물이 상기 흡입관(420)으로 선택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흡입관(42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관(420)과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흡입 유닛(430)은 관상으로 형성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32)와, 상기 연장부(432)의 하단에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플로터(440)가 안착되는 안착부(43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32)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플로터(4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432)의 상단은 상기 흡입관(420)과 결합되어 상기 흡입 유닛(430)과 상기 흡입관(420)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434)는 상기 흡입관(420)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432)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측에 아래에서 설명할 플로터(44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434)의 외측에는 용기 본체 내부의 물이 유입되는 흡입구(43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434)의 내측에는 흡입되는 물을 상기 흡입관(420)으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436)는 상기 안착부(434)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아래에서 설명할 플로터(440)가 가장 하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접하게 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436)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흡입구(436)가 상기 안착부(434)의 상면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유닛(430)의 내측에는 필터(438)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438)는 상기 흡입 유닛(430)에 유입된 물을 정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흡입 유닛(430) 내부의 유로상에 제공되며, 상기 흡입관(420)으로 정수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흡입 유닛(430)의 일측에는 플로터(440)가 구비된다. 상기 플로터(440)는 물에 뜰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거나, 내부에 공기 등이 충진되어 물에 뜰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432)에 의해 중앙이 관통되어 상기 연장부(432)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로터(440)의 중앙에는 관통구(442)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442)의 내경은 상기 연장부(432)의 외경과 대응하는 상기 플로터(440)가 상기 용기 본체(410) 내부의 수위에 따라서 상기 연장부(432)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관(420)의 외경이 상기 연장부(432)의 외경과 대응하거나 상기 관통구(442)의 내경보다 작은 경우 상기 플로터(440)는 상기 연장부(432)와 흡입관(42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420)의 외경이 상기 관통구(442)의 내경보다 더 큰 경우에는 상기 플로터(440)는 상기 연장부(432)를 따라서만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플로터(440)는 상기 안착부(434)의 횡단면과 대응하는 횡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플로터(440)가 상기 안착부(434)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흡입구(436)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 본체(410) 내부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플로터(440)가 상기 안착부(434)에 안착되어 상기 흡입구(436)를 차폐하게 됨으로써 상기 흡입관(420)을 통해 물은 물론 공기 또한 흡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흡입 유닛(430)은 상기 흡입관(42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흡입관(420)의 하단의 형상에 상기 연장부(432) 및 안착부(434)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로터(440)는 상기 흡입관(420)의 상단에서 관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물공급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물공급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제빙용수 및 음용수의 사용을 위해서는 상기 급수용기(400)의 용기 본체에 물을 채워 넣고 상기 용기 연결부(222)와 상기 급수용기(400)를 결합한 후 상기 급수용기(400)가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급수용기(400)는 생수병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급수과정 없이 시판되는 생수를 개방하여 상기 용기 연결부(222)와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급수용기(400)와 용기 연결부(222)의 결합에 의해 상기 흡입관(420)은 상기 급수유로(5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펌프(600)의 구동시 상기 아이스메이커(310) 및 디스펜서(212)로의 물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빙을 위해 상기 아이스메이커(310)로의 물공급 신호가 전달되거나, 상기 디스펜서(212)를 통해 음용수를 취출하기 위한 조작을 하게 되는 경우 상기 펌프(600)가 구동된다.
한편, 상기 용기 본체(410) 내부에 물이 충분히 수용된 상태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수위가 상기 흡입 유닛(430)의 흡입구(436) 보다 더 높아지게 되고, 상기 플로터(440)는 최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흡입구(436)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펌프(600)가 구동되면, 상기 용기 본체(0) 내부의 물은 상기 흡입구(436)를 통해 상기 흡입 유닛(4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438)를 지나면서 정수되고 상기 흡입관(4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입관(420)을 통해 흡입된 물은 상기 연결관(510)을 지나 상기 급수유로(500)를 따라 유동하게 되며, 상기 펌프(600) 및 밸브(700)를 지나 상기 아이스메이커(310) 또는 상기 디스펜서(212)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메이커(310)와 디스펜서(212)를 통한 지속적인 물 공급을 통해 상기 용기 본체(410)의 물을 거의 모두 사용하게 되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410) 내부의 수위는 상기 흡입관(420)의 수위보다 더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플로터(440)가 최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안착부(434)에 안착되는 상태가 되며, 상기 플로터(440)에 의해 상기 흡입 유닛(430)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436)가 닫히게 된다.
즉, 상기 플로터(440)가 상기 안착부(434)에 안착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플로터(440)의 하면이 상기 안착부(434)의 상면과 접하게 되며, 상기 안착부(434)의 상면에 형성된 흡입구(436)가 상기 플로터(440)의 하면에 의해 덮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600)의 동작시에도 상기 흡입구(436)를 통해서 물 뿐만 아니라 공기의 흡입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용기 본체(410) 내부의 수위가 낮아 물과 공기의 혼입이 가능한 상황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흡입 유닛에 형성되는 흡입구의 위치가 측방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흡입 유닛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흡입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흡입 유닛(450)은 상기 흡입관(420)과 연결되는 연장부(452)와, 상기 연장부(452)의 하단에서 상기 플로터(440)가 안착되는 안착부(454)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452)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452)의 하단 둘레에는 흡입구(456)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456)는 상기 용기 본체(410) 내부 의 물이 유입되는 통로로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로터(440) 상하 높이보다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플로터(4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관(420)의 내측에는 흡입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458)가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458)는 상기 흡입구(456)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52)의 외경은 상기 플로터(440)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플로터(440)는 상기 연장부(452)를 따라서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착부(454)는 상기 연장부(452)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플로터(440)가 가장 하방에 위치할 때 접하여 상기 플로터(440)가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플로터(440)가 상기 안착부(454)와 접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플로터(440)가 상기 흡입구(456)를 차폐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 본체(410)의 수위가 상기 흡입구(456)보다 높을 때에는 상기 플로터(440)가 상기 흡입구(456) 상방의 상기 연장부(452) 상에 위치하여 상기 흡입구(456)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410) 내부의 물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410)의 수위가 상기 흡입구(456)보다 낮을 때에는 상기 플로터(440)가 상기 플로터(440)가 상기 안착부(454)에 안착되어 상기 연장부(452)에 형성된 흡입구(456)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흡입 유닛에 형성되는 안착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진 면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흡입 유닛과 플로터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흡입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흡입 유닛(460)은 상기 흡입관(420)의 하단에 연결되는 연장부(462)와 상기 연장부(462)의 하단에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플로터(470)가 안착되는 안착부(46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62)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플로터(470)를 관통하게 되며, 물에 뜰 수 있도록 형성된 플로터(470)는 상기 연장부(46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464)는 상기 연장부(462)보다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462)의 하단에서 점차 외경이 커지는 경사면(46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부(464)는 원뿔의 둘레와 같은 경사면(466)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466) 상에 상기 용기 본체(410)의 물이 유입되는 흡입구(46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468)는 상기 경사면(466) 상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 유닛(460) 내측의 유로상에는 상기 필터(469)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플로터(470)는 상기 연장부(462)에 의해 관통되며,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구(472)의 내경이 상기 연장부(462)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464)와 접하는 상기 플로터(470)의 하면은 대응하는 경사면(466)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플로터(470)의 하면 또한 원뿔의 둘레면과 대응하는 경사면(466)을 가지게 되어 상기 플로터(470)가 최하방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플로터(470)의 하면이 상기 안착부(464)의 경사면(466)과 서로 접하게 되며, 상기 흡입구(468)가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 본체(410) 내부의 수위가 상기 흡입구(468)의 위치보다 더 높게 되면, 상기 플로터(470)는 상기 흡입구(468)보다 더 높은 위치의 상기 연장부(462) 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흡입구(468)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흡입구(468)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600)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용기 본체(410) 내부의 물은 상기 흡입구(468)를 통해서 유입되어 상기 흡입관(420)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용기 본체(410) 내부의 수위가 상기 흡입구(468)의 위치보다 더 낮게 되면, 상기 플로터(470)는 최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플로터(470)의 하면이 상기 경사면(466)과 접한 상태가 되어 상기 흡입구(468)가 차폐된다.
상기 흡입구(468)가 차폐된 상태에서는 상기 펌프(600)의 구동에도 상기 용기 본체(410)의 물과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 지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급수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흡입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물공급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흡입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흡입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Claims (12)

  1. 고내에 제공되어, 급수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에 장착되며, 상기 급수용기를 고내 일측에 탈착시키는 용기 연결부;
    상기 급수용기와 아이스메이커 또는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급수유로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과 연결괴며, 상기 급수용기 내부의 물이 상기 흡입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유닛; 및
    상기 흡입관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급수용기의 수위에 따라 상기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플로터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연결부는 냉장실 도어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메이커는 냉동실 또는 냉동실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상기 용기 연결부의 내측에서 상기 급수유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측방을 항하여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고내에 제공되어 물을 저장하며 급수유로에 의해 아이스메이커 또는 디스펜서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냉장고의 급수용기에 있어서,
    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에 삽입되며, 수용된 물을 끌어올리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물이 상기 흡입관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유닛; 및
    상기 흡입 유닛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흡입 유닛에 의해 관통되며, 수위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플로터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급수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닛은 상기 흡입관의 개구된 하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급수용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닛의 내측에는 흡입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급수용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측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급수용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급수용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흡입 유닛의 경사진 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플로터의 하면은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면과 대응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급수용기.
KR1020090106755A 2009-11-06 2009-11-06 냉장고 및 냉장고의 급수용기 KR101150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755A KR101150590B1 (ko) 2009-11-06 2009-11-06 냉장고 및 냉장고의 급수용기
US13/508,324 US9267732B2 (en) 2009-11-06 2010-11-08 Refrigerator
EP10828566.9A EP2496899B1 (en) 2009-11-06 2010-11-08 Refrigerator and water tank for refrigerator
PCT/KR2010/007842 WO2011056031A2 (en) 2009-11-06 2010-11-08 Refrigerator and water tank for refrigerator
CN201080050374.4A CN102686961B (zh) 2009-11-06 2010-11-08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755A KR101150590B1 (ko) 2009-11-06 2009-11-06 냉장고 및 냉장고의 급수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965A KR20110049965A (ko) 2011-05-13
KR101150590B1 true KR101150590B1 (ko) 2012-06-12

Family

ID=4436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755A KR101150590B1 (ko) 2009-11-06 2009-11-06 냉장고 및 냉장고의 급수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5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135A (ko) * 2004-04-06 2005-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제빙실의 냉기 유로 구조
KR20060040293A (ko) * 2004-11-05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저장용기 결합구조
KR20060124942A (ko) * 2005-06-01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실도어에 구비된 제빙실의 제빙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135A (ko) * 2004-04-06 2005-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제빙실의 냉기 유로 구조
KR20060040293A (ko) * 2004-11-05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저장용기 결합구조
KR20060124942A (ko) * 2005-06-01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실도어에 구비된 제빙실의 제빙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965A (ko) 201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513B1 (ko) 냉장고
KR101096994B1 (ko) 냉장고
KR101713327B1 (ko) 냉장고
KR101997259B1 (ko) 냉장고
KR101067219B1 (ko) 냉장고
KR20120069686A (ko) 냉장고
US20120297814A1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KR20110117115A (ko) 냉장고
KR20110112377A (ko) 냉장고
KR20120026853A (ko) 냉장고
KR20110138777A (ko) 냉장고
KR20080025237A (ko) 냉장고 제빙수단
JP2005351624A (ja) 冷蔵庫
KR101150590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급수용기
CN102686961B (zh) 冰箱
KR100983136B1 (ko) 디스펜서를 갖는 냉장고
KR100991543B1 (ko) 냉장고의 얼음 또는 물 취출장치
KR20070059507A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20200014707A (ko) 냉장고
CN215447024U (zh) 冰箱
KR101079469B1 (ko) 냉장고
KR20130046043A (ko) 냉장고
CN217686097U (zh) 一种冰箱
JPH10220944A (ja) 冷蔵庫
KR20110009344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