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2690A - 가스켓 및 상기 가스켓을 이용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켓 및 상기 가스켓을 이용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2690A
KR20100032690A KR1020080091677A KR20080091677A KR20100032690A KR 20100032690 A KR20100032690 A KR 20100032690A KR 1020080091677 A KR1020080091677 A KR 1020080091677A KR 20080091677 A KR20080091677 A KR 20080091677A KR 20100032690 A KR20100032690 A KR 20100032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polymer resin
acrylic monomer
acryl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9064B1 (ko
Inventor
김유훈
하성원
조도광
이하영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80091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064B1/ko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to EP09815199A priority patent/EP2335114A4/en
Priority to BRPI0913706A priority patent/BRPI0913706A2/pt
Priority to JP2011527963A priority patent/JP2012503863A/ja
Priority to US13/119,844 priority patent/US20110228460A1/en
Priority to PCT/US2009/057329 priority patent/WO2010033708A2/en
Priority to CN200980136751.3A priority patent/CN102159987B/zh
Priority to TW098131666A priority patent/TW201022030A/zh
Publication of KR20100032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690A/ko
Priority to JP2014224238A priority patent/JP5941121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6Sealing devices, e.g. packaging for pistons or pipe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09J2433/006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Gasket Seal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층; 상기 지지층의 일측면에 합지되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차단 패드층; 상기 지지층의 타측면에 합지되며 점착성 고분자 수지로 제조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가스켓으로서,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제1 아크릴계 모노머;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보다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제2 아크릴계 모노머; 및 충진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가스켓, 표시장치

Description

가스켓 및 상기 가스켓을 이용하는 표시장치{GASKE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사용 가능한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 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PC(Personal Computer), TV, 디지털광고판, 휴대폰, 디지털카메라, 전자계산기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 또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의 화상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각종 표시장치(ex. LCD, PDP, LED, CRT 등)의 위상도 큰 폭으로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모듈; 및 상기 화상표시모듈을 기구적·물리적으로 보호·지지하는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는 전방 프레임; 후방 프레임; 및 상기 상·하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화상표시모듈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후방 프레임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배치된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의 경우, 상기 전방 프레임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가스켓이 배치되어 있고/있거나, 상기 후방 프레임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가스켓이 배치되 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부 표면 또는 화상표시모듈의 일부 표면에 가스켓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켓은 화상표시모듈 등을 외부의 충격 및 진동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 외부 광선이 화상표시모듈 측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차단하는 기능, 외부의 힘에 의한 화상표시모듈이나 프레임 등의 휨 현상 발생시 빛 샘 현상을 차단하는 기능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가스켓으로서, 실리콘 가스켓이 사용되었다. 상기 실리콘 가스켓은 쿠션성(cushion property) 및 미끄럼 방지성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 및 진동으로부터 화상표시모듈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힘에 의한 화상표시모듈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실리콘 가스켓은 일반적인 감압성 접착제(ex. 아크릴계 접착제 등) 또는 양면 테이프(ex. 아크릴 양면 테이프 등)와의 접착력이 낮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실리콘 가스켓이 일반적인 감압성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서 상기 표시장치에 부착될 경우, 상기 실리콘 가스켓은 상기 표시장치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리콘/아크릴 양면 테이프(30)를 사용하여 실리콘 가스켓(20)을 표시장치(ex. 프레임 등)(100)에 적용시켰다.
그러나, 상기 실리콘/아크릴 양면 테이프는 일반적인 감압성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에 비해 접착력이 떨어졌으며, 그렇기 때문에 실리콘 가스켓의 박리 문제는 여전히 발생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실리콘 가스켓이나 실리콘/아크릴 양면 테 이프는 그 판매 가격은 비싸서, 표시장치의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종래에는 실리콘 가스켓 대신에, 일반적인 감압성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와의 접착력이 양호하면서 값이 싼 폴리우레탄 폼 가스켓으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폴리우레탄 폼 가스켓은 충격 및 진동 흡수를 위한 쿠션성(cushion property)이 우수하였지만 미끄럼 방지성이 좋지 못하였다.
따라서, 현재,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는 실리콘 가스켓이나 폴리우레탄 폼 가스켓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가스켓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일측면에 점착층이 있는 지지 부재의 타측면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유리전이온도가 상이한 제1 및 제2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차단 패드층을 형성함으로써, 경제적이면서 쿠션성(chusion property) 및 택성(tack property)을 갖는 가스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지지층; 상기 지지층의 일측면에 합지되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차단 패드층; 상기 지지층의 타측면에 합지되며 점착성 고분자 수지로 제조된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제1 아크릴계 모노머;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보다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제2 아크릴계 모노머; 및 충진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가스켓, 및 상기 가스켓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지지층의 일측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지지층에 도포된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여 차단 패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일측면에 차단 패드층이 합지된 지지층의 타측면에 점착성 고분자 수지 시럽을 도포한 후 경화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경화 단계는 2 내지 10 mW/㎠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 단계; 및 30 내지 50 mW/㎠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 징인 가스켓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측면에 점착층이 있는 지지 부재의 타측면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유리전이온도가 상이한 제1 및 제2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차단 패드층을 형성함으로써, 경제적이면서 쿠션성(chusion property) 및 택성(tack property)을 갖는 가스켓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일반적으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가스켓의 사용 목적은 외부의 충격 및 진동으로부터 표시장치의 보호, 화상표시모듈 측으로의 외부 광선 유입 차단, 프레임 등의 휨 현상 발생시 내부의 광선 유출 방지 등이다. 이를 위해, 가스켓은 쿠션성 및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례는 가스켓의 차단 패드층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제1 아크릴계 모노머;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보다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제2 아크릴계 모노머; 및 충진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 제조함으로써, 상기 차단 패드층의 표면에 다수개의 연속 또는 불연속의 돌기 패턴이 형성되고, 동시에 상기 차단 패드층이 택성(tack property)을 가질 수 있어 최종 가스켓의 쿠션성 및 미끄럼 방지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가스켓은 표면에 다수 개의 연속 또는 불연속의 돌기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차단 패드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돌기 패턴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제1 아크릴계 모노머, 및 충진제의 함량과,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제1 아크릴계 모노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충진제 및 제1 아크릴계 모노머-충진제의 상호작용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 성분의 함량 및 상호작용에 따라 형성된 돌기 패턴은 차단 패드층에 높은 쿠션성을 부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가스켓은 외부의 충격 및 진동으로부터 표시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돌기 패턴으로 인해 차단 패드층의 표면적이 증가되어 상기 가스켓과 표시장치와의 밀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차단 패드층(1)은 택성(tack property)을 갖고 있다. 이러한 차단 패드층의 택성으로 인해서 최종 가스켓의 미끄럼 특성이 향상될 수 있고, 결국 최종 가스켓은 표시장치의 움직임을 억제시킬 수 있다. 상기 차단 패드층의 택성은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 내 유리전이온도가 상이한 아크릴계 모노머들의 혼합 비율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isooctylacrylate)와 같이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제1 아크릴계 모노머는 차단 패드층의 택성을 증가시키는 반면, 아크릴산(acrylic acid)과 같이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제2 아크릴계 모노머는 차단 패드층의 택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와 제2 아크릴계 모노머의 혼합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차단 패드층은 원하는 정도의 택성을 가질 수 있고, 결국 최종 가스켓은 원하는 정도의 미끄럼 방지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은 표시장치의 움직임을 억제 또는 최소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스켓은 지지층의 일측면에 합지된 점착성 고분자 수지로 제조된 점착층을 포함함으로써, 종래의 실리콘 가스켓과 달리 별도의 양면 테이프나 점착제 없이 표시장치에 배치·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스켓은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차단 패드층과 점착층을 포함함으로써, 쿠션성 및 미끄럼 방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가스켓은 외부의 충격 및 진동으로부터 표시장치를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외력에 의한 상기 표시장치의 움직임을 억제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가스켓은 화상표시모듈 측으로 외부 광선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프레임 등의 휨 현상 발생시 내부의 광선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가스켓(10)은 지지층(2); 상기 지지층(2)의 일측면에 합지되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차단 패드층(1); 상기 지지층(2)의 타측면에 합지되며 점착성 고분자 수지로 제조된 점착층(3)을 포함한다(도 2 참조). 경우에 따라서, 상기 가스켓(10)은 상기 점착층의 타측면에 합지된 이형필름(4)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가스켓(10)이 표시장치(100)에 배치되어 부착되었을 때, 차단 패드층(1)은 표시장치의 화상표시모듈, 회로모듈 등을 외부의 충격 및 진동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 외부 광선이 화상표시모듈 측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차단하는 기능, 외부의 힘에 의한 화상표시모듈이나 프레임 등의 휨 현상 발생시 빛 샘 현상을 차단하는 기능 등과 같은 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차단 패드층(1)의 두께는 표시장치의 규격에 따라, 대략 50 내지 1,000 ㎛ 범위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패드층의 두께는 약 350 ㎛ 이다.
상기 차단 패드층(1)은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다.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제1 아크릴계 모노머;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보다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제2 아크릴계 모노머; 및 충진제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반응기에서 혼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의해서 차단 패드층에 다수 개의 연속 또는 불연속의 돌기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 패턴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단 패드층의 쿠션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차단 패드층의 표면적이 증가되어 표시장치와의 밀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성질체,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라이신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비스-4'-프로판이소시아네이트, 6-이소프로필-1,3-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2-이소시아네이트에틸)-퓨마레이트, 1,6-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4,4-바이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디페닐메탄디이소 시아네이트,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다.
또, 상기 폴리올은 단분자 디올류로서,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4-사이클로헥산 디메타놀, 비스페놀A, 비스테놀F, 환원비스페놀A, 환원비스페놀F, 디사이클로펜타 디올, 트리사이클로데칸디올 등이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은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예컨대 글리세롤,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솔보스(sorbose), 솔비톨(sorbitol)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등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등을 상기 단분자 디올류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반응에 의해서 형성되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수평균분자량이 약 5,000 내지 100,00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수평균분자량이 5,000 미만이라면, 차단 패드층에 형성되는 돌기 패턴이 촘촘하게 형성되고, 적은 분자량으로 가교밀도가 높아져 상대적으로 딱딱한 패드층이 형성되어 쿠션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수평균분자량이 100,000 초과라면, 최 종 가스켓의 차단 패드층에 너무 팽창된 형태의 패턴이 생성되어 상기 차단 패드층의 표면이 거의 편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최종 가스켓이 표시장치와의 젖음성 또는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또한 높은 분자량으로 인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점도가 상승하여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에 따라 차단 패드층의 패턴 형성이 조절될 수 있어 결국 차단 패드층의 표면적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은 제1 아크릴계 모노머와 제2 아크릴계 모노머의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5 내지 80 중량부 범위인 것이 적절하다. 만약,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패턴 형성이 미비하고 접착력이 너무 강하여 가스켓으로 사용될 수 없고,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이 80 중량부 초과이면 패턴 형성이 지나치게 많고 딱딱한 패드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의해서, 상기 차단 패드층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개의 연속 또는 불연속적의 요철형 돌기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체적인 돌기 패턴의 형상은 오렌지나 귤 등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 패턴과 유사할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은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 상기 돌기 패턴의 높이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과 그 외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구성 성분 함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다만, 상 기 돌기 패턴의 높이에 따라 차단 패드층의 쿠션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상기 돌기 패턴의 높이는 약 0.3 ㎛ 내지 100 ㎛ 범위인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이 30 중량부인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돌기 패턴을 갖는 차단 패드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 패턴은 최대 높이(a)가 대략 40 ㎛ 이고, 최하 높이(b)가 대략 1 ㎛ 정도였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르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이 약 10 중량부인 경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돌기 패턴이 거의 형성되지 않은 차단 패드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 패턴의 높이(c)는 대략 0.5 ㎛ 정도였다.
상기 차단 패드층(1)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이외에, 유리전이온도가 상이한 2 종류의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제1 아크릴계 모노머, 및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보다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제2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리전이온도가 약 - 80 내지 0 ℃인 제1 아크릴계 모노머, 및 유리전이온도가 약 60 내지 120 ℃인 제2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는 차단 패드층에 높은 택성(tack property)을 부여할 수 있으며, 반면 상기 제2 아크릴계 모노머는 차단 패드층에 낮은 택성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차단 패드층의 택성 수준은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와 제2 아크릴계 모노머의 혼합비율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제1 아크릴계 모노머와 제2 아크릴계 모노머는 95~60 : 5~40 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혼합비율을 고려하여, 제1 아크릴계 모노머와 제2 아크릴계 모노머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제1 아크릴계 모노머는 약 60 ~ 95 중량부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또 제2 아크릴계 모노머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5 ~ 40 중량부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약 - 80 내지 0 ℃인 제1 아크릴계 모노머의 예로는 C6~C12의 아크릴계 모노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제1 아크릴계 모노머는 C7~C9의 아크릴계 모노머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제2 아크릴계 모노머는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에 비해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아크릴계 모노머로서, 예컨대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와 공중합이 가능한 극성 모노머 등이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등과 같이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모노머, 또는 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N-비닐 카프로락탐 등과 같이 질소를 함유한 모노머가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충진제로서 글래스 버블(glass bubble), 흄드 실리카(fumed silic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버블은 입자의 내부가 비어있는 버블 형태로서, 각 입자는 독립 기포를 갖고 있기 때문에, 차단 패드층 내 다공성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상기 차단 패드층의 쿠션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젖음성(wettability)도 증가시켜 최종 가스켓과 표시장치 사이의 밀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글래스 버블 이외에, 상기 글래스 버블과 유사한 형태, 물성을 갖는 물질, 예컨대 에폭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버블과 같은 수지 버블류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버블과 같은 충진제의 입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약 20 내지 500 ㎛ 범위인 것이 적당하다. 만약, 상기 충진제의 입경이 20 ㎛ 미만인 경우, 차단 패드층 내 다공성 구조가 형성되더라도 기공의 크기가 너무 작아 차단 패드층의 쿠션성이 증가될 수 없다. 또한, 상기 충진제의 입경이 500 ㎛ 초과인 경우, 최종 가스켓의 차단 패드층 내 형성된 기공의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에 상기 차단 패드층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글래스 버블과 같은 충진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제1 아크릴계 고분자와 제2 아크릴계 고분자의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5 내지 30 중량부 범위인 것이 적절하다. 만약, 상기 충진제의 함량이 0.5 중량부보다 적은 경우에는 차단 패드층에 쿠션 성질을 더 부여할 수 있는 다공성 구조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 상기 충진제의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되는 경우에는 너무 많은 기공의 형성으로 인해 차단 패드층의 강도 저하가 초래될 수 있다.
또, 상기 흄드 실리카(fumed silica)는 최종 가스켓의 차단 패드층에 보강 접착성을 부여하고, 또 전단력(shear force)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흄드 실리카 이외에, 상기 흄드 실리카와 유사한 물성의 물질, 예컨대 타이타늄옥사이드,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흄드 실리카와 같은 충진제의 입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약 50 ㎚ 내지 1 ㎛ 범위인 것이 적절하다. 만약, 상기 충진제의 입경이 50 ㎚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고 충진제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충진제의 입경이 1 ㎛ 초과인 경우에는 표면의 불량을 야기 할 수 있다.
이러한 흄드 실리카와 같은 충진제의 함량은 제1 아크릴계 모노머와 제2 아크릴계 모노머의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100 중량부 범위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상기 충진제의 함량이 0.1 중량부보다 적은 경우에는 보강 접착성을 제대로 부여할 수 없거나, 또는 전단력을 높일 수 없다. 한편, 상기 충진제의 함량이 100 중량부를 초과되는 경우에는 패드 절단시 절단면에 이물질이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차단 패드층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 이외에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안료가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최종 가스켓은 외부 광선이 화상표시모듈 측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차단하는 기능, 또는 외부의 힘에 의한 화상표시모듈이나 프레임 등의 휨 현상 발생시 빛 샘 현상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유기 안료 및 무기 안료로 나누어지는데, 안료의 색상에 따라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안료의 함량 및 물성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서 최종 가스켓의 광선 유입·유출 차단성이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알맞은 색상의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아크릴 고분자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흑색 안료(black pigment)를 사용하였다.
상기 안료의 평균 입자 크기(입경)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최종 가스켓이 광성의 유입·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약 10 ㎛ 이하인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안료의 함량은 제1 아크릴계 모노머와 제2 아크릴계 모노머의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3 내지 5 중량부의 범위인 것이 적절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안료의 함량이 0.3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빛 샘 현상의 발생을 제대로 방지할 수 없고, 안료의 함량이 5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자외선(UV) 조사에 의한 경화시 제대로 경화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제1 아크릴계 모노머와 제2 아크릴계 모노머를 혼합하여 부분중합시켜 시럽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럽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충진제를 혼합하는 단계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와 제2 아크릴계 모노머의 부분중합은 실질적으로 산소가 차단된 조건하에서 광 조사,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점도가 약 500 내지 20,000 cps 정도인 시럽을 얻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광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실질적으로 산소가 차단된 조건은 산소 농도가 약 100 ppm 이하이거 나, 및/또 아르곤 가스, 헬륨 가스, 크립톤 가스 또는 크세논 가스 등이 존재하는 불활성 분위기, 질소가스 분위기, 수소가스 분위기 등일 수 있다.
또, 상기 광 조사시, 광의 강도는 약 3 내지 10 mW/㎠ 범위인 것이 적절하다. 만약, 상기 광의 강도가 3 mW/㎠ 미만인 경우에는 모노머들의 반응이 개시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광의 강도가 10 mW/㎠ 초과인 경우에는 겔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자외선의 강도는 약 7 mW/㎠ 이었다.
또, 상기 부분중합의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약 17 내지 20 ℃ 범위일 수 있다.
또, 상기 광개시제의 예로는 벤질-디메틸케탈(benzyl-dimethylketal),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α,α-메톡시-α-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2-벤조일-2(디메틸아미노)-1-[4-(4-몰포닐)페닐]-1-부타논, 2,2-디메톡시 2-페닐 아세토페논 등이 있으며,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차단 패드층(1)은 지지층의 일측면에 합지되어 있다(도 2 참조). 상기 지지층(2)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PET film)으로서, 최종 가스켓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층(2)으로서 안료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PET film)을 사용하여, 최종 가스켓의 지지 역할 이외에, 외부 광선이 화상표시모듈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외부의 힘에 의한 화상표시모듈이나 프레임 등의 휨 현상 발생시 빛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지지층은 흑색 안료를 포함하는 PET 필름일 수 있다.
이러한 지지층(2)의 두께는 표시장치의 규격에 따라 약 25 ㎛ 내지 100 ㎛ 범위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지지층의 두께는 약 50 ㎛ 이다.
이와 같은 지지층(2)의 타측면에는 점착성 고분자 수지로 제조된 점착층(3)이 합지되어 있다(도 2 참조). 이렇게 점착층(3)이 상기 가스켓(10)에 포함됨으로써, 상기 가스켓(10)은 표시장치(100)에 적용될 때 별도의 테이프나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도 4 참조).
상기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성 고분자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점착성 고분자 수지로서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의 예로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와, 상기 모노머와 공중합이 가능한 극성 모노머가 공중합된 고분자가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의 예로는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와 공중합이 가능한 극성 모너머의 예로는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등과 같이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모노머, 또는 아크릴 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N-비닐 카프로락탐 등과 같이 질소를 함유한 모노머가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극성 모노머는 점착제에 응집력을 부여하고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점착성 고분자 수지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와 상기 극성 모노머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99~80 : 1~20의 중량비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범위에서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점착제로서 필요한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착성 고분자 수지로 제조된 점착층(3)은 그 두께가 약 1 ㎛ 내지 200 ㎛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데, 이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가스켓(1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면에 지지층(2)이 합지된 점착층(3)의 다른 측면에 배치된 이형필름(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필름(4)은 점착층(3)의 일면을 커버하여, 외부 공정환경으로부터 점착층(3)을 보호하면서, 추후 상기 가스켓(10)이 표시장치(100)에 적용시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상기 가스켓(10)이 표시장치에 정상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이형필름(4)은 표면에 이형층이 코팅된 필름이거나, 또는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필름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일 수 있다.
전술한 차단 패드층(1), 지지층(2), 및 점착층(3), 경우에 따라 이형층(4)을 포함하는 가스켓은 다양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가스켓(10)은 전술한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기(旣) 제작된 지지층(2)의 일측면에 도포한 후 경화하여 차단 패드층(1)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일측면에 차단 패드층이 합지된 지지층(2)의 타측면에 점착성 고분자 수지 시럽을 도포한 후 경화하여 점착층(3)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데, 이때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경화 단계는 약 2 내지 10 mW/㎠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 단계; 및 약 30 내지 50 mW/㎠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르면, 가스켓(10)은 전술한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기(旣) 제작된 지지층(2)의 일측면에 도포한 후 경화하여 차단 패드층(1)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일측면에 차단 패드층이 합지되어 있는 지지층(2)과 이형필름(4)의 사이에, 점착성 고분자 수지 시럽을 배치시킨 후 경화하여 점착층(3)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데, 이때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는 약 2 내지 10 mW/㎠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 단계; 및 약 30 내지 50 mW/㎠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먼저, 차단 패드층(1)은 전술한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기 제작된 지지층(2)의 일측면에 도포한 후 경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지지층에 도포된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는 방법은 당 업계에서 알려진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자외선 조사에 의한 경화 방법에 의해서, 지지층에 도포된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켰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경화는 약 2 내지 10 mW/㎠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 단계; 및 약 30 내지 50 mW/㎠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잔류 모노머를 제거하는 제2 단계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자외선 조사 단계는 약 2 내지 4 mW/㎠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 약 4 내지 6 mW/㎠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약 7 내지 9 mW/㎠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층에 도포된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약 3.1 mW/㎠의 자외선으로 약 30 초간 조사한 후 약 5 mW/㎠의 자외선으로 약 60 초간 조사하고 이어서 약 8 mW/㎠의 자외선으로 약 30 초간 조사한 후에 약 40 mW/㎠의 자외선으로 5초간 조사함으로써,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경화되어 차단 패드층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자외선 조사 조건은 최종 가스켓이 적용되는 표시장치의 종류 및 요구되는 물리적 성질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다.
2) 이후, 점착층(3)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a)일측면에 차단 패드층이 합지된 지지층(2)의 타측면에 점착성 고분자 수지 시럽을 도포한 후 경화하는 방법; (b) 일측면에 차단 패드층이 합지되어 있는 지지층(2)과 이형필름(4)의 사이에, 점착성 고분자 수지 시럽을 배치시킨 후 경화하는 방법 등이 있다.
다만, 상기 (a)방법에 의해서 점착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일측면이 보강 기재가 합지된 점착층의 다른 측면에 이형필름(4)을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형필름의 합지 방법은 합지 롤러법 등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표면에 배치·고정된 전술한 가스켓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전방 프레임(101); 후방 프레임(102); 및 상기 상·하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화상표시모듈(103)을 포함하는 표시장치(100)에서, 상기 전방 프레임(101)의 가장자리부 표면 및/또는 상기 후방 프레임(102)의 가장자리부 표면에 전술한 가스켓(10)이 배치·고정될 수 있다(도 4 참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상·후방 프레임(101, 102) 이외, 상기 화상표시모듈(103)의 가장자리부 표면에도 전술한 가스켓(10)이 배치·고정될 수 있다(미도시됨). 또는, 상기 후방 프레임(102)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가이드 프레임(104)가 포함되어 있는 표시장치의 경우, 상기 가이드 프레임(104)의 표면에 전술한 가스켓(10)이 배치·고정될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 표시장치(100)는 전자기기의 화상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LCD, PDP, LED, CRT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전술한 가스켓(10)이 표시장치(100)에 적용됨으로써, 표시장치는 외부의 충격 및 진동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또한 외부 광선은 화상표시모듈 측으로 유입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외부의 힘에 의한 화상표시모듈이나 프레임 등의 휨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표시장치 내부에서 발생되는 빛이 외부로 유출될 수 없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1.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제조
유리 반응기에 제1 아크릴계 모노머로서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isooctylacrylate, IOA)(IOA monomer, 3M) 약 90 중량부와 제2 아크릴계 모노머로서 아크릴산(acrylic acid, AA)(AA monomer, LG화학) 약 10 중량부를 넣었다. 여기에. 광개시제로서 벤질디메틸케탈(benzyl dimethylketal, BDK)(Irgacure 651, Ciba specialty Chemical) 약 0.04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이후, 질소가스 분위기(함유된 산소의 농도: 100 ppm) 및 약 17 ℃의 온도에서, 상기 모노머들과 광개시제의 혼합물에 약 7 mW/㎠ 강도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모노머들을 부분중합시켜 점도가 약 2,000 cps인 시럽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점도가 2,000 cps인 시럽 약 100 중량부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1600, ToaGosei company) 약 30 중량부,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IOA, 3M company) 약 10 중량부, 글래스 버블(glass bubble)(G15K, 3M) 약 4 중량부, 흄드 실리카(fumed silica)(R-972, Daeguas) 약 2 중량부, 및 아크릴 고분자 수지로 된 흑색 안료 분말(GR-800BK, Negami chemical industrial) 약 1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교반하여 균일한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 였다.
1-2. 가스켓의 제조
블랙 폴리에스터 필름(SB00, SKC) 의 일측면에 상기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두께가 약 350 ㎛이 되도록 코팅한 후, 하기와 같이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상기 필름 상에 차단 패드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블랙 폴리에스터 필름의 타측면에 아크릴 접착제(A74010, 3M)를 약 100 ㎛의 두께로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가스켓은 도 6의 (a)에 나타내었다.
* 자외선 조사 조건 *
약 3 mW/㎠의 자외선을 30초간 조사 → 약 5 mW/㎠의 자외선을 60초간 조사 → 약 8 mW/㎠의 자외선을 30초간 조사 → 약 40 mW/㎠의 자외선을 10초간 조사
실시예 2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점도 약 2,000 cps인 시럽 약 100 중량부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1600, ToaGosei company) 약 10 중량부,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IOA, 3M company) 약 10 중량부, 글래스 버블(glass bubble)(G15K, 3M) 약 7 중량부, 흄드 실리카(fumed silica)(R-972, Daeguas) 약 2 중량부, 및 아크릴 고분자 수지로 된 흑색 안료 분말(GR-800BK, Negami chemical industrial) 약 1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가스켓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가스켓은 도 6의 (b)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점도 약 2,000 cps인 시럽 약 100 중량부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1600, ToaGosei company) 약 20 중량부,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IOA, 3M company) 약 30 중량부, 글래스 버블(glass bubble)(G15K, 3M) 약 5.5 중량부, 흄드 실리카(fumed silica)(R-972, Daeguas) 약 2 중량부, 및 아크릴 고분자 수지로 된 흑색 안료 분말(GR-800BK, Negami chemical industrial) 약 1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가스켓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가스켓은 도 6의 (c)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점도 약 2,000 cps인 시럽 약 100 중량부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1600, ToaGosei company) 약 30 중량부,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IOA, 3M company) 약 50 중량부, 글래스 버블(glass bubble)(G15K, 3M) 약 7 중량부, 흄드 실리카(fumed silica)(R-972, Daeguas) 약 2 중량부 및 아크릴 고분자 수지로 된 흑색 안료 분말(GR-800BK, Negami chemical industrial) 약 1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가스켓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가스켓은 도 6의 (d)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점도 약 2,000 cps인 시럽 100 중량부에, 우레탄 아 크릴레이트 올리고머(M-1600, ToaGosei company) 약 10 중량부,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IOA, 3M company) 약 50 중량부, 글래스 버블(glass bubble)(G15K, 3M) 약 4 중량부, 흄드 실리카(fumed silica)(R-972, Daeguas) 약 2 중량부 및 아크릴 고분자 수지로 된 흑색 안료 분말(GR-800BK, Negami chemical industrial) 약 1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가스켓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가스켓은 도 6의 (e)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의 미끄럼 방지성을 측정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습니다.
1)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가스켓을 약 2 ㎜의 폭(width) 및 약 40 ㎜의 길이(length)로 컷트하여 스트립을 만들었다. 상기 스트립을 지면에 대향하여 수평하게 경사도 조절장치의 표면에 부착하였는데, 이때 상기 스트립의 점착층이 경사도 조절장치의 표면에 맞닿았다. 이후, 상기 스트립의 표면에 무게가 약 80 g인 유리판을 배치하였다. 이어서, 상기 경사도 조절장치의 경사도를 0 °→ 40 °로 변화시켜서, 상기 유리판의 미끄럼 여부를 측정하였다.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가스켓을 약 2 ㎜의 폭(width) 및 약 40 ㎜의 길이(length)로 컷트하여 스트립을 만들었다. 상기 스트립을 지면에 대향하여 수평하게 경사도 조절장치의 표면에 부착하였는데, 이때 상기 스트립의 점착층이 경사도 조절장치의 표면에 맞닿았다. 이후, 상기 스트립의 표면에 무게가 약 80 g인 유리판을 배치하였다. 이어서, 상기 경사도 조절장치의 경사도가 90 °일 때, 상 기 유리판의 미끄럼 여부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도 9 및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판의 미끄럼이 없었다. 이로써, 본 발명의 가스켓은 우수한 미끄럼 방지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당 업계에 알려진 실리콘계 가스켓이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가스켓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가스켓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가스켓을 적용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전방 프레임, 화상표시모듈 및 후방 프레임을 합착하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제1 아크릴계 모노머 및 충진제의 함량 변화에 따라 패드층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 수준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가스켓들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 4에서 제조된 가스켓을 A-A'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5에서 제조된 가스켓을 B-B'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실험예 1의 (1)에 따라 유리판의 미끄럼 여부를 측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실험예 1의 (2)에 따라 유리판의 미끄럼 여부를 측정하는 예시도이다.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차단 패드층, 2 : 지지층,
3 : 점착층, 4 : 이형필름,
10 : 가스켓, 20 : 실리콘 가스켓,
30 : 실리콘/아크릴 양면 테이프, 100 : 표시장치,
101 : 전방 프레임, 102 : 후방 프레임,
103 : 화면표시모듈, 104 : 가이드 프레임

Claims (17)

  1. 지지층;
    상기 지지층의 일측면에 합지되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차단 패드층;
    상기 지지층의 타측면에 합지되며 점착성 고분자 수지로 제조된 점착층
    을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제1 아크릴계 모노머;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보다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제2 아크릴계 모노머; 및 충진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가스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패드층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연속 또는 불연속의 요철형의 돌기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가스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패턴은 그 높이가 0.3 내지 100 ㎛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접착력은, 면적 2 ㎜×40 ㎜의 스트립에 의하여 무게가 80 g인 유리판을 고정시킬 경우, 경사도 0 ° 내지 90 °범위에서 상기 유리판이 움직임이 없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가스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수평균분자량이 5,000내지 100,000 범위인 것이 특징인 가스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는 C6~C12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인 것이 특징인 가스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의 유리전이온도는 - 80 내지 0 ℃ 범위이고, 상기 제2 아크릴계 모노머의 유리전이온도는 60 내지 120 ℃ 범위인 것이 특징인 가스켓.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와 제2 아크릴계 모노머는 95~60 : 5~40 의 중량비율로 포함된 것이 특징인 가스켓.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와 제2 아크릴계 모노머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은 5 내지 80 중량부 범위이고,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의 함량은 60 내지 95 중량부 범위이며,
    상기 제2 아크릴계 모노머의 함량은 5 내지 40 중량부 범위이고,
    상기 충진제의 함량은 0.1 내지 100 중량부 범위인 것이 특징인 가스켓.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것이 특징인 가스켓.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흑색 안료(black pigment)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가스켓.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고분자 수지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인 것이 특징인 가스켓.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타측면에 합지되는 이형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이형필름은 상기 가스켓이 표시장치에 부착시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특징인 가스켓.
  14. 제1항에 있어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것이 특징인 가스켓.
  15. 화상표시모듈; 프레임; 및 상기 화상표시모듈의 일부 표면 또는 프레임의 일부 표면에 배치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스켓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지지층의 일측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지지층에 도포된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여 차단 패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일측면에 차단 패드층이 합지된 지지층의 타측면에 점착성 고분자 수지 시럽을 도포한 후 경화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경화 단계는 2 내지 10 mW/㎠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 단계; 및 30 내지 50 mW/㎠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가스켓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외선 조사 단계는 2 내지 4 mW/㎠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 4 내지 6 mW/㎠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7 내지 9 mW/㎠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가스켓의 제조방법.
KR1020080091677A 2008-09-18 2008-09-18 가스켓 및 상기 가스켓을 이용하는 표시장치 KR101599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677A KR101599064B1 (ko) 2008-09-18 2008-09-18 가스켓 및 상기 가스켓을 이용하는 표시장치
BRPI0913706A BRPI0913706A2 (pt) 2008-09-18 2009-09-17 guarnição e aparelho de exibição que utiliza a mesma
JP2011527963A JP2012503863A (ja) 2008-09-18 2009-09-17 ガス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US13/119,844 US20110228460A1 (en) 2008-09-18 2009-09-17 Gaske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EP09815199A EP2335114A4 (en) 2008-09-18 2009-09-17 SEALING AND DISPLAY DEVICE THEREFOR
PCT/US2009/057329 WO2010033708A2 (en) 2008-09-18 2009-09-17 Gaske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CN200980136751.3A CN102159987B (zh) 2008-09-18 2009-09-17 衬垫和使用该衬垫的显示设备
TW098131666A TW201022030A (en) 2008-09-18 2009-09-18 Gaske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4224238A JP5941121B2 (ja) 2008-09-18 2014-11-04 ガス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677A KR101599064B1 (ko) 2008-09-18 2008-09-18 가스켓 및 상기 가스켓을 이용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690A true KR20100032690A (ko) 2010-03-26
KR101599064B1 KR101599064B1 (ko) 2016-03-02

Family

ID=4204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677A KR101599064B1 (ko) 2008-09-18 2008-09-18 가스켓 및 상기 가스켓을 이용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10228460A1 (ko)
EP (1) EP2335114A4 (ko)
JP (2) JP2012503863A (ko)
KR (1) KR101599064B1 (ko)
CN (1) CN102159987B (ko)
BR (1) BRPI0913706A2 (ko)
TW (1) TW201022030A (ko)
WO (1) WO201003370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8777B2 (en) 2008-05-23 2012-08-21 Apple Inc. Viscoelastic material for shock prote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US8965458B2 (en) 2009-08-21 2015-02-24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ushion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8305744B2 (en) 2010-05-14 2012-11-06 Apple Inc. Shock mounting cover glass in consumer electronics devices
CN103756600B (zh) * 2010-09-06 2017-06-23 三菱树脂株式会社 图像显示装置构成用叠层体的制造方法、及图像显示装置
US9549598B2 (en) 2010-10-12 2017-01-24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AU2011316590C1 (en) 2010-10-12 2016-05-19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US9615476B2 (en) 2011-06-13 2017-04-04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 mobile device
CA2838333C (en) 2011-06-13 2021-07-20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 tablet computer
US9342108B2 (en) 2011-09-16 2016-05-17 Apple Inc. Protecting an electronic device
US9129659B2 (en) * 2011-10-25 2015-09-08 Apple Inc. Buckling shock mounting
CN103135271B (zh) * 2011-12-02 2015-12-02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贴合结构、具有贴合结构之触控显示器及其贴合方法
EP2796023B1 (en) 2011-12-22 2018-10-10 TreeFrog Developments, Inc. Accessories for use with housing for an electronic device
US9469469B2 (en) 2012-06-01 2016-10-18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n object having a thin profile
US9241551B2 (en) 2012-06-13 2016-01-2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with compartment
US8862182B2 (en) 2012-08-31 2014-10-14 Apple Inc. Coupling reduction for electromechanical actuator
TWI495933B (zh) * 2012-10-17 2015-08-11 Au Optronics Corp 顯示裝置
CN103809305B (zh) * 2012-11-12 2016-08-03 苏州新宏博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屏面板固定结构
KR101955912B1 (ko) * 2012-12-24 2019-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432492B2 (en) 2013-03-11 2016-08-30 Apple Inc. Drop countermeasures for electronic device
US9505032B2 (en) 2013-03-14 2016-11-29 Apple Inc. Dynamic mass reconfiguration
EP2996513B1 (en) 2013-05-18 2018-03-28 Otter Products, LLC Waterproof protective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300078B2 (en) 2013-08-23 2016-03-29 Otter Products, Llc Waterproof housing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waterproof adapter for accessory device
US10640046B1 (en) * 2013-09-24 2020-05-05 Rosco, Inc. Convex rearview mirror and monitor with reversible back/socket mount
EP2899578A1 (en) * 2014-01-27 2015-07-29 Barco NV Display for special environments
JP2017511771A (ja) * 2014-02-18 2017-04-27 ミラダ・リサーチ・アンド・ディベロップメン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ーヒーのプロセッシング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9715257B2 (en) 2014-04-18 2017-07-25 Apple Inc. Active screen protection for electronic device
US9612622B2 (en) 2014-05-13 2017-04-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ousing
US9571150B2 (en) 2014-05-21 2017-02-14 Apple Inc. Screen protection using actuated bumpers
US10310602B2 (en) 2014-07-11 2019-06-04 Apple Inc. Controlled gyroscopic torque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60046612A (ko) * 2014-10-21 2016-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내부에 전기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
US9577697B2 (en) 2015-05-27 2017-02-2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with stylus access feature
US20170215290A1 (en) * 2016-01-22 2017-07-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duced bezel display device
US9960521B2 (en) 2016-02-24 2018-05-01 Otter Products, Llc Connector for fluidly sealing an aperture of a protective case
US10159320B2 (en) 2016-09-07 2018-12-2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US10827809B2 (en) 2018-04-05 2020-11-10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10222837B1 (en) 2018-04-24 2019-03-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module having a removably fixed retention member
US20210063608A1 (en) * 2019-09-04 2021-03-04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Unibody optical grade plastic monitor for in-flight entertainment system
KR20210132772A (ko) * 2020-04-27 2021-1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198A (ja) * 1994-05-31 1995-12-19 Sony Chem Corp 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77521A (ja) * 2006-03-15 2007-10-25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5099A (en) * 1995-11-06 1999-05-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eat-activatable adhesive composition
JP3621230B2 (ja) * 1997-06-12 2005-02-16 内山工業株式会社 ガスケット材
JPH11143396A (ja) * 1997-11-14 1999-05-28 Advanced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とこれに用いられるガスケ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139930A (ja) * 1999-11-16 2001-05-22 Bridgestone Corp ガスケット材
JP2002344187A (ja) * 2001-05-17 2002-11-29 Nippon Mektron Ltd 電子機器用ガスケットの製造方法
JP2003056710A (ja) * 2001-08-10 2003-02-26 Nhk Spring Co Ltd ガスケット
JP3886121B2 (ja) * 2002-07-29 2007-02-2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WO2004031316A1 (ja) * 2002-10-04 2004-04-15 Nok Corporation 金属または樹脂一体型ガスケット
JP2005060435A (ja) * 2003-08-14 2005-03-10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両面粘着シート
JP4235070B2 (ja) * 2003-09-17 2009-03-04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4645074B2 (ja) * 2004-06-24 2011-03-09 Dic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と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モジュールユニット
JP4761428B2 (ja) * 2004-07-20 2011-08-3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類
JP5219359B2 (ja) * 2006-02-21 2013-06-26 日東電工株式会社 反射性及び/又は遮光性を有する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1037574A (zh) * 2006-03-15 2007-09-19 日东电工株式会社 双面压敏粘着带或片和液晶显示器
KR101269741B1 (ko) * 2006-07-04 2013-05-3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탄성 및 접착성을 갖는 전자기파 차단용 가스켓
JP5408640B2 (ja) * 2006-09-04 2014-02-05 日東電工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粘着剤組成物、紫外線硬化型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90673B1 (ko) * 2006-11-01 2010-10-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 개시제기를 함유하는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198A (ja) * 1994-05-31 1995-12-19 Sony Chem Corp 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77521A (ja) * 2006-03-15 2007-10-25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28460A1 (en) 2011-09-22
WO2010033708A2 (en) 2010-03-25
KR101599064B1 (ko) 2016-03-02
EP2335114A4 (en) 2012-03-28
EP2335114A2 (en) 2011-06-22
JP2015057571A (ja) 2015-03-26
JP2012503863A (ja) 2012-02-09
CN102159987A (zh) 2011-08-17
BRPI0913706A2 (pt) 2015-10-13
WO2010033708A3 (en) 2010-07-01
CN102159987B (zh) 2015-11-25
TW201022030A (en) 2010-06-16
JP5941121B2 (ja)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2690A (ko) 가스켓 및 상기 가스켓을 이용하는 표시장치
TWI643756B (zh) Image display device
JP5171332B2 (ja) 剥離シート、剥離シート付き偏光板、及び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KR102271568B1 (ko) 점착 시트, 표시체 및 그들의 제조 방법
JP2017075281A (ja)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JP2009104002A (ja) 画像表示装置用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KR20130045854A (ko) 디스플레이 패널을 접합하기 위한 열 활성화 광학 투명 접착제
JP2011093957A (ja) 光学用粘着剤組成物、光学用粘着剤及び光学フィルム
JP6525726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KR20190092263A (ko) 점착 시트, 구성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19044023A (ja) 粘着シート、表示体および表示体の製造方法
JP2017088663A (ja) 無溶剤型粘着性組成物、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US20210139754A1 (en) Photocurable adhesive sheet, laminate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70020344A (ko) 터치 패널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첩합 방법 및 물품
CN112384587B (zh) 光固化性粘合片、粘合片层叠体、图像显示装置用层叠体和图像显示装置
JP6325481B2 (ja) 粘着シート
KR101983296B1 (ko)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318106B1 (ko) 점착 시트, 표시체 및 그들의 제조 방법
US20240052210A1 (en) Adhesive sheet and display body
JP2009015129A (ja) 液晶シール剤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セル
JP2019042965A (ja) 構成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表示体、ならびに光学用粘着シート
JP2021066771A (ja) 粘着剤、粘着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表示装置
JP6256664B6 (ja) 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の製造方法
JP2020105360A (ja) 粘着性組成物、粘着剤、粘着シート、構成体および構成体の製造方法
TW202330832A (zh) 黏著片及黏著片的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