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666A - 볼라드 - Google Patents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666A
KR20100025666A KR1020080084309A KR20080084309A KR20100025666A KR 20100025666 A KR20100025666 A KR 20100025666A KR 1020080084309 A KR1020080084309 A KR 1020080084309A KR 20080084309 A KR20080084309 A KR 20080084309A KR 20100025666 A KR20100025666 A KR 20100025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
tool
plat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3696B1 (ko
Inventor
유지현
Original Assignee
유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현 filed Critical 유지현
Priority to KR1020080084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696B1/ko
Publication of KR20100025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 노출되는 지주관과 지면에 매설되는 매설관의 내부에 조립수단과 연결수단 및 복원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지주관과 매설관의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고, 외부 충격에 의해 매설관에 대한 지주관의 유동을 흡수함과 동시에, 반복적인 탄성 진동없이 복원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여 충격 흡수성 및 복원성을 향상시키는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볼라드, 지주관, 매설관, 연결수단, 조립수단, 복원수단

Description

볼라드{BOLLARD}
본 발명은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의 왕래가 빈번한 지역의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되어 차량의 보도진입 및 중앙선 침범을 방지하는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라드(Bollard)는 보행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구획된 인도, 공원, 놀이터 등의 입구 또는 차도의 중앙선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 및 중앙선 침범을 방지함으로써, 보행자의 통행 및 안전을 확보하고, 중앙선 침범 사고를 방지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통상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기둥형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볼라드는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강도가 우수한 대리석이나 화강석 등의 석재 또는 콘크리트, 철재 등을 가공하여 제조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상기한 볼라드는 지면에 매설된 상태로 차량의 추돌과 같이, 큰 충격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보행자가 그 설치여부를 미처 확인하지 못하여 볼라드에 부딪힐 경우, 보행자에게 상해를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볼라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스프링을 이용하여 외부충격력을 흡수하면서 변형되어 원래의 위치로 다시 복원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작 동하는 볼라드가 소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프링을 이용한 종래의 볼라드는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는 타입이 주를 이루어 스프링 연결부의 부식 등에 의해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고, 보통 단일 스프링으로 제작되어 스프링에 의한 복원작동 중에, 탄성력에 의해 오히려 차량 및 보행자에게 충격이나 상해를 가중시킬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볼라드는 인도나 차도에 엥커볼트 등을 통하여 설치되거나 매설되는 타입으로 한번 설치된 후에는 필요에 따라 제거하거나 설치하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로 노출되는 지주관과 지면에 매설되는 매설관의 내부에 조립수단과 연결수단 및 복원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지주관과 매설관의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고, 외부 충격에 의해 매설관에 대한 지주관의 유동을 흡수함과 동시에, 반복적인 탄성 진동없이 복원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여 충격 흡수성 및 복원성을 향상시키는 볼라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는 원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매설되는 매설관; 반구홈으로 형성되는 지지면을 가지며, 상기 지지면의 중앙에는 하측으로 너트 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매설관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판; 원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중앙에 툴 삽입홀을 갖는 상판이 고정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지주관; 반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면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지며, 내부에는 디스크 형상의 고정격막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지주관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는 접촉판; 복원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슬라이드 판에 연결된 연결 와이어에 의해 상기 지주관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매설관의 내부에 구성되는 복원수단; 상기 복원수단의 연결 와이어와 연결되는 연결볼트가 상기 접촉판의 내부에 구성되는 상부 너트관 또는 상기 지지판의 내부에 구성되는 하부 너트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지주관과 매설관을 조립 및 분해하는 연결수단; 상기 지주관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어 하측의 툴 스프링에 의해 상향 지지되는 툴 바를 통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너트관에 대한 상기 연결볼트의 체결위치를 조정하는 조립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매설관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판; 상기 슬라이드 판의 중앙에 회전 커넥터를 통하여 하단이 연결되고, 그 상단은 상기 연결볼트의 하측에 고정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되는 연결와이어; 상기 매설관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판과 상기 슬라이드 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드 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접촉판의 접촉면 중앙과 상기 고정격막의 중앙에 각각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각 관통홀 둘레의 상기 접촉판과 상기 고정격막 사이에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상부 너트관; 상기 상부 너트관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판의 너트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하부 너트관; 상기 연결 와이어의 상단과 고정 커넥터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부 너트관 또는 하부 너트관에 선택적으로 나사 체결되며, 상단면에는 툴 홈이 형성되는 연결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수단은 상기 지주관의 내부 상측에서 상기 상판의 툴 삽입홀에 대응하여 일체로 고정되는 상부 툴 가이더; 상기 지주관의 내부 중앙에 배치된 상태로, 상부가 상기 상부 툴 가이더에 의해 안내되며, 일측에는 리테이너가 고정 설치되고, 상단에는 툴 작동단을 형성하고, 하단에는 상기 연결볼트 상의 툴 홈에 끼워지는 툴 돌기가 형성되는 툴 바; 상기 툴 바의 하측에 끼워진 상태로, 상단은 상기 리테이너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고정격막에 지지되어 상기 툴 바를 상향 지지하는 툴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에 의하면, 외부로 노출되는 지주관과 지면에 매설되는 매설관의 내부에 조립수단과 연결수단 및 복원수단을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지주관과 매설관의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 충격에 의해 매설관에 대한 지주관의 유동을 흡수함과 동시에, 반복적인 탄성 진동없이 복원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여 충격 흡수성 및 복원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볼라드는 복원 스프링이 매설관 내부에 구성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프링 설치에 따른 부식을 최소화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적용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의 사시도 및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1)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매설관(3)과 지주관(5)으로 구비된다.
먼저, 상기 매설관(3)은 원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G)에 매설된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매설관(3)의 상단에는 지지판(11)이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판(11)은 반구홈으로 형성되는 지지면(F1)을 가지며, 상기 지지면(F1)의 중앙에는 하측으로 너트 하우징(13)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매설관(3)의 상부에는 지주관(5)이 설치되는데, 상기 지주관(5)은 원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단에는 중앙에 툴 삽입홀(H)을 갖는 상판(21)이 고정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주관(5)은 그 상부 둘레를 따라 시공자 혹은 제공자의 마크나 상표 등이 인쇄된 광고필름 혹은 반사지(23) 등을 부착하여 광고효과와 함께 시인성을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지주관(5)의 하단에는 접촉판(25)이 일체로 고정되는데, 상기 접촉판(25)은 반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면(F1)에 접촉되는 접촉면(F2)을 가지며, 그 내부에는 디스크 형상의 고정격막(27)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매설관(3)의 내부에는 복원 스프링(31)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슬라이드 판(33)에 연결된 연결 와이어(35)에 의해 상기 지주관(5)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복원수단(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접촉판(25)과 지지판(11)의 내부에는 상기 복원수단(30)의 연결와이어(35)와 연결되는 연결볼트(41)가 상기 접촉판(25)의 내부에 구성되는 상부 너트관(43) 또는 상기 지지판(11)의 내부에 구성되는 하부 너트관(45)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지주관(5)과 매설관(3)을 조립 및 분해하는 연결수단(40)이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복원수단(3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매설관(3)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슬라이드 판(33)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판(33)의 중앙에는 회전 커넥터(37)를 통하여 연결 와이어(35)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 와이어(35)의 상단은 상기 연결볼트(41)의 하측에 고정 커넥터(39)를 통하여 연결된다.
또한, 상기 매설관(3)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판(11)과 상기 슬라이드 판(33)사이에 복원 스프링(31)이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드 판(3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 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4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촉판(25)의 접촉면 중앙과 상기 고정격막(27)의 중앙에 각각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각 관통홀 둘레의 상기 접촉판(25)과 상기 고정격막(27) 사이에 상부 너트관(43)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 너트관(43)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판(11)의 너트 하우징(13)내부에는 하부 너트관(45)이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너트관(43)과 상기 하부 너트관(45)의 각 내주면에는 동일방향의 나사산(N)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너트관(43) 또는 하부 너트관(45) 내에는 연결볼트(41)가 선택적으로 나사 체결되는데, 상기 연결볼트(41)는 그 하측이 상기 연결 와이어(35)의 상단과 고정 커넥터(39)를 통하여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볼트(41)의 상단면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툴 홈(47)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주관(5)의 내부 중앙에는 하측의 툴 스프링(51)에 의해 상향지지되는 툴 바(53)가 배치되어 이를 통하여 상기 상부 너트관(43) 및 하부 너트관(45)에 대한 상기 연결볼트(41)의 체결위치를 조정하는 조립수단(50)이 구성된다.
즉, 상기 조립수단(5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지주관(5)의 내부 상측에서 상기 상판(21)의 툴 삽입홀(H)에 대응하여 상부 툴 가이더(57)가 일체로 고정 설치 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관(5)의 내부 중앙에는 툴 바(53)가 배치되는데, 상기 툴 바(53)는 그 상부가 상기 상부 툴 가이더(57)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며, 상기 툴 바(53)의 하부 일측에는 리테이너(55)가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툴 바(53)는 그 상단에는 툴 작동단(59)을 형성하고, 그 하단에는 상기 연결볼트(41) 상의 툴 홈(47)에 끼워지는 툴 돌기(6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툴 바(53)의 하측에는 상기한 툴 스프링(51)이 끼워지는데, 상기 툴 스프링(51)은 그 상단이 상기 리테이너(55)에 지지되고, 그 하단이 상기 고정격막(27)에 지지되어 상기 툴 바(53)를 상향 지지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볼라드(1)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매설관(3)이 지면(G)에 매설된 상태로, 상기 매설관(3)에 지주관(5)이 조립되어 보행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구획된 인도, 공원, 놀이터 등의 입구나 차도의 중앙선 등에 설치된 상태로, 차량의 중앙선 침범 및 진입을 방지하고 보행자의 통행 및 안전을 확보하여 주게 된다.
즉, 상기 매설관(3)에 대하여 지주관(5)의 조립은 상기 연결 와이어(35)와 연결된 연결볼트(41)가 상부 너트관(43)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드 판(33)에 작용하는 복원 스프링(31)의 탄성력이 상기 연결 와이어(35)와 연결볼트(41)를 통하여 상기 지주관(5)에 작용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매설관(3)과 지주관(5)이 조립된 상태의 볼라드(1)는,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주관(5)에 외부 충격력(F)이 작용하면, 상기 상부 너트관(43)에 체결된 연결볼트(41)가 연결 와이어(35)를 통하여 상기 복원 스프링(31)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슬라이드 판(33)을 상부로 당기면서 외부 충격력(F)의 작용 반대방향으로 거동하여 그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이러한 지주관(5)의 거동 시에는 상기 매설관(3) 상단의 지지판(11)과, 이에 접촉된 상기 지주관(5) 하단의 접촉판(25) 사이에 반구홈과 반구면의 특성을 이용하여 슬립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부 충격력(F)이 제거되면, 상기 복원 스프링(3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판(33)은 다시 하부로 이동하면서, 연결 와이어(35)를 통하여 상기 상부 너트관(43)에 체결된 연결볼트(41)를 당겨, 상기 지주관(5)이 매설관(3)에 대하여 최초 자세로 세워지도록 거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매설관(3)에 대하여 거동하는 지주관(5)은 다시 복원 스프링(3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반복적인 진동없이 원상태로 복원되어 외부 충격력(F)을 제공한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다시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복원 작동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1)를 필요에 따라 설치된 지면(G)으로부터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매설관(3)에 대하여 지주관(5)만을 분리하여 제거하게 된다.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21)의 툴 삽입홀(H)을 통하여 툴바(53)의 상단에 형성되는 툴 작동단(59)에 툴(70)을 끼워 툴 바(53)를 하부로 밀 면, 상기 툴 바(53)의 하단에 형성되는 툴 돌기(61)가 연결볼트(41)의 상단에 형성되는 툴 홀(47)에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상기 연결볼트(41)를 푸는 방향으로 툴(70)을 돌리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볼트(41)는 상부 너트관(43)으로부터 하부 너트관(45)으로 이동하여 체결되며, 상기 지주관(5)은 매설관(3)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매설관(3)으로부터 분리된 지주관(5)을 다시 조립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 6에서와 같이, 매설관(3) 상단의 지지판(11)에 지주관(5) 하단의 접촉판(25)을 수직으로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상판(21)의 툴 삽입홀(H)을 통하여 툴 바(53)의 상단에 형성되는 툴 작동단(59)에 툴(70)을 끼워 툴 바(53)를 하부로 밀어 상기 툴 바(53)의 하단에 형성되는 툴 돌기(61)가 연결볼트(41)의 상단에 형성되는 툴 홀(47)에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볼트(41)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툴(70)을 돌리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볼트(41)는 하부 너트관(45)으로부터 다시 상부 너트관(43)으로 이동하여 체결되며, 이로써 상기 지주관(5)은 매설관(3)에 조립이 완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에 적용되는 연결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에 외부 충격력이 작용할 경우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의 매설관으로부터 지주관을 분리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Claims (4)

  1. 볼라드에 있어서,
    원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매설되는 매설관;
    반구홈으로 형성되는 지지면을 가지며, 상기 지지면의 중앙에는 하측으로 너트 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매설관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판;
    원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중앙에 툴 삽입홀을 갖는 상판이 고정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지주관;
    반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면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지며, 내부에는 디스크 형상의 고정격막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지주관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는 접촉판;
    복원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슬라이드 판에 연결된 연결 와이어에 의해 상기 지주관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매설관의 내부에 구성되는 복원수단;
    상기 복원수단의 연결 와이어와 연결되는 연결볼트가 상기 접촉판의 내부에 구성되는 상부 너트관 또는 상기 지지판의 내부에 구성되는 하부 너트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지주관과 매설관을 조립 및 분해하는 연결수단;
    상기 지주관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어 하측의 툴 스프링에 의해 상향 지지되는 툴 바를 통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너트관에 대한 상기 연결볼트의 체결위치를 조정하는 조립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2. 제1항에서,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매설관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판;
    상기 슬라이드 판의 중앙에 회전 커넥터를 통하여 하단이 연결되고, 그 상단은 상기 연결볼트의 하측에 고정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되는 연결 와이어;
    상기 매설관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판과 상기 슬라이드 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드 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3. 제1항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접촉판의 접촉면 중앙과 상기 고정격막의 중앙에 각각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각 관통홀 둘레의 상기 접촉판과 상기 고정격막 사이에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상부 너트관;
    상기 상부 너트관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판의 너트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하부 너트관;
    상기 연결 와이어의 상단과 고정 커넥터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부 너트관 또는 하부 너트관에 선택적으로 나사 체결되며, 상단면에는 툴 홈이 형성되는 연결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4. 제1항에서,
    상기 조립수단은
    상기 지주관의 내부 상측에서 상기 상판의 툴 삽입홀에 대응하여 일체로 고정되는 상부 툴 가이더;
    상기 지주관의 내부 중앙에 배치된 상태로, 상부가 상기 상부 툴 가이더에 의해 안내되며, 일측에는 리테이너가 고정 설치되고, 상단에는 툴 작동단을 형성하고, 하단에는 상기 연결볼트 상의 툴 홈에 끼워지는 툴 돌기가 형성되는 툴 바;
    상기 툴 바의 하측에 끼워진 상태로, 상단은 상기 리테이너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고정격막에 지지되어 상기 툴 바를 상향 지지하는 툴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KR1020080084309A 2008-08-28 2008-08-28 볼라드 KR100993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309A KR100993696B1 (ko) 2008-08-28 2008-08-28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309A KR100993696B1 (ko) 2008-08-28 2008-08-28 볼라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666A true KR20100025666A (ko) 2010-03-10
KR100993696B1 KR100993696B1 (ko) 2010-11-10

Family

ID=4217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309A KR100993696B1 (ko) 2008-08-28 2008-08-28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6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0569B (zh) * 2012-03-06 2017-11-03 沙特基础全球技术有限公司 用于电动车充电站的能量吸收系统及其制造和使用方法
CN108086185A (zh) * 2017-12-24 2018-05-29 中山市得高行知识产权中心(有限合伙) 一种基于太阳能和风能的路标指示装置
CN109371880A (zh) * 2018-11-30 2019-02-22 北京博纳菲德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安全交通防护栏
KR102590239B1 (ko) * 2023-04-20 2023-10-16 장정은 랙 보호를 위한 탄성 볼라드
KR102595296B1 (ko) * 2023-03-21 2023-10-26 장정은 바닥설치용 볼라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533Y1 (ko) 2005-09-02 2005-11-21 박대근 차량진입방지대
KR100896717B1 (ko) 2008-04-10 2009-05-12 류지현 볼라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0569B (zh) * 2012-03-06 2017-11-03 沙特基础全球技术有限公司 用于电动车充电站的能量吸收系统及其制造和使用方法
CN108086185A (zh) * 2017-12-24 2018-05-29 中山市得高行知识产权中心(有限合伙) 一种基于太阳能和风能的路标指示装置
CN109371880A (zh) * 2018-11-30 2019-02-22 北京博纳菲德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安全交通防护栏
CN109371880B (zh) * 2018-11-30 2021-01-08 广东中博交通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组合式安全交通防护栏
KR102595296B1 (ko) * 2023-03-21 2023-10-26 장정은 바닥설치용 볼라드
KR102590239B1 (ko) * 2023-04-20 2023-10-16 장정은 랙 보호를 위한 탄성 볼라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696B1 (ko) 201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2286B2 (en) Delineator mounting system
KR100993696B1 (ko) 볼라드
KR100896717B1 (ko) 볼라드
KR101609982B1 (ko) 조립과 교체 시공이 우수한 안전 볼라드
KR20110003169U (ko) 차량 진입 방지용 지주
KR101213761B1 (ko) 충격 완화용 보행자 방호 울타리
KR100873011B1 (ko) 다기능 탄성 볼라드
KR200460100Y1 (ko) 와이어 탄성에 의해 가변성을 갖는 볼라드
KR101113140B1 (ko) 볼라드
KR101370309B1 (ko) 차량의 진입규제 탄성볼라드와 그 설치방법
KR101065860B1 (ko) 차량진입 방지용 볼라드
ES2238902B1 (es) Bolardo amortiguador.
KR102243192B1 (ko) 무볼트 매립식 차선 규제봉
KR200467526Y1 (ko) 도로용 볼라드 조립구조
KR101645706B1 (ko) 볼라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81752Y1 (ko)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고려한 볼라드
KR200394458Y1 (ko) 차로표시체
KR100969451B1 (ko) 도로용 차선규제봉
KR200351160Y1 (ko) 충격흡수형 도로 시설물 설치구조
KR101090128B1 (ko) 볼라드
KR101197144B1 (ko) 충격 흡수형 회동식 교통표지판
KR101114868B1 (ko) 볼라드
KR200351163Y1 (ko) 도로용 보도 진입방지 시설물
KR102335635B1 (ko) 상면에 패드층이 구비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
KR101035980B1 (ko) 횡단보도용 수신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