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982B1 - 조립과 교체 시공이 우수한 안전 볼라드 - Google Patents
조립과 교체 시공이 우수한 안전 볼라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9982B1 KR101609982B1 KR1020150083070A KR20150083070A KR101609982B1 KR 101609982 B1 KR101609982 B1 KR 101609982B1 KR 1020150083070 A KR1020150083070 A KR 1020150083070A KR 20150083070 A KR20150083070 A KR 20150083070A KR 101609982 B1 KR101609982 B1 KR 1016099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nd
- elastic member
- support plate
- pressing
- colum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5—Subsoil means, e.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부와 기초부의 제반 구성을 개선하여 상호 조립에 따른 결합력 내지 해체 작업이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기둥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제기능이 상실될 우려를 불식시키고자 오뚝이와 같은 위치 보존성이 유도되는 관련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외부 충돌시 기둥부의 충격 흡수력이 극대화 유도됨에 따라 직립 상태로의 전환을 적극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립과 교체 시공이 우수한 안전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지면 상에 노출되어 보행자나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기둥부(100);와, 지면에 함몰 배치되면서 기둥부의 직립 상태를 보존할 수 있도록 지지력이 부여되는 기초부(200);로 구성하되, 상기 기초부(200)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지면에서의 함몰 고정이 유도되는 입설부재(80);와, 입설부재와 나사 결합되고 힌지 결합을 위한 결합축(71)이 형성되는 고정부재(70);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둥부(100)는 지면 상에 안착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60);와, 지지플레이트 상에 위치되고 상협하광의 원추 형상으로 구비되는 탄성부재(50);와, 탄성부재 상방에 위치되면서 해당 탄성부재를 하향 가압하는 가압부재(40);와, 고정부재의 결합축(71)과 힌지 타입으로 결속되어 탄성부재 및 가압부재의 중심을 경유하면서 입설 배치되는 유동부재(20);와, 유동부재의 상단에서 나사결합되는 너트(30);로 이루어짐에 따라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기인하여 기초부를 기점으로 한 기둥부의 입설 상태가 보존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설부재(80)는 고정부재(70)를 인입 수용하기 위하여 나사면으로 구비되는 중공부(81);와, 지면으로부터 역행하지 않도록 연속되는 쐐기 형상의 돌출날부(82);와, 지면으로의 함몰 진입이 유도되는 경사면(83);을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탄성부재의 내입으로 복원력이 동반되도록 구성한 안전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부와 기초부의 제반 구성을 개선하여 상호 조립에 따른 결합력 내지 해체 작업이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기둥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제기능이 상실될 우려를 불식시키고자 오뚝이와 같은 위치 보존성이 유도되는 관련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외부 충돌시 기둥부의 충격 흡수력이 극대화 유도됨에 따라 직립 상태로의 전환을 적극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립과 교체 시공이 우수한 안전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보행자나 자동차 진입을 인위적으로 통제하고자 수많은 형태의 볼라드(말뚝)가 지금까지 제공되고 있다.
그 일례로, 본 발명자에 의해 선 출원된바 있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3997호(2006. 7.21. 공개)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고려한 볼라드"가 개시되고 있다.
전술한 볼라드는 자동차의 진입을 억제하기 위해 설치될 장소의 지면에 파묻혀 기초가 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돌출되어 자동차의 진입을 억제하는 기둥 및 상기 기둥 내부에 형성되어 고정부재의 상단부에 볼트로 고정됨으로써 자동차의 충돌이나 보행자가 부딪칠 경우 기둥이 휘어지도록 하는 탄성체로 구성된다.
상기 선출원의 볼라드는 외부 요인에 의한 충돌시 해당 기둥이 휘어진 다음 외력이 제거되면 원 상태로 즉각 되돌아오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파손이나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지만,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고정부재의 지지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제공되어야만 하는바 그럼에도 기존의 볼라드 구성에 따르면 대다수 지반이 연약하거나 충격량이 다소 클 경우 쉽게 쓰러지거나 솟구쳐 볼라드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고 미관을 해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무엇보다, 종래 구성에 의한 볼라드는 유지 보수시 해체 작업 또는 수리 작업이 원활하지 못하여 불가피하게 전면 철거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사용상 내지 관리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폐단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기둥부와 기초부로 구분 구성하면서 기초부를 기반으로 한 기둥부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복원력이 부여되도록 구성되는 볼라드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이를 위해 기초부의 제반 구성을 현저히 개선함으로써 기둥부와의 조립성이 보다 신속 간편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다른 해결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과 교체 시공이 우수한 안전 볼라드(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안전 볼라드(1)는 지면 상에 노출되어 보행자나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기둥부(100);와, 지면에 함몰 배치되면서 기둥부의 직립 상태를 보존할 수 있도록 지지력이 부여되는 기초부(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초부(200)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지면에서의 함몰 고정이 유도되는 입설부재(80);와, 입설부재와 나사 결합되고 힌지 결합을 위한 결합축(71)이 형성되는 고정부재(7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기둥부(100)는 지면 상에 안착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60);와, 지지플레이트 상에 위치되고 상협하광의 원추 형상으로 구비되는 탄성부재(50);와, 탄성부재 상방에 위치되면서 해당 탄성부재를 하향 가압하는 가압부재(40);와, 고정부재의 결합축(71)과 힌지 타입으로 결속되어 탄성부재 및 가압부재의 중심을 경유하면서 입설 배치되는 유동부재(20);와, 유동부재의 상단에서 나사결합되는 너트(30);로 이루어짐에 따라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기인하여 기초부를 기점으로 한 기둥부의 입설 상태가 보존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설부재(80)는 고정부재(70)를 인입 수용하기 위하여 나사면으로 구비되는 중공부(81);와, 지면으로부터 역행하지 않도록 연속되는 쐐기 형상의 돌출날부(82);와, 지면으로의 함몰 진입이 유도되는 경사면(83);을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가압부재(40)의 저면 및 지지플레이트(60)의 상면에서 일체형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반 구성요소인 기둥부와 기초부를 개선된 형태로 제공함에 따라 기초부를 기반으로 한 기둥부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복원력이 유도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및 훼손 등으로부터 적극 보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기초부의 관련 구조를 입설부재와 고정부재의 나사 결합으로 구현함으로써 보다 나은 지지력의 행사와 함께 기둥부와의 조립성이 더욱 신속 간편하게 유도될 수 있는 이점을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안전 볼라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안전 볼라드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안전 볼라드의 사용 상태 예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탄성부재(50)의 내입으로 복원력이 동반되도록 구성한 안전 볼라드(1)에 관하여 개시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기둥부(100)와 기초부(200)의 제반 구성을 개선하여 상호 조립에 따른 결합력 내지 해체 작업이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기둥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제기능이 상실될 우려를 불식시키고자 오뚝이와 같은 위치 보존성이 유도되는 관련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외부 충돌시 기둥부의 충격 흡수력이 극대화 유도됨에 따라 직립 상태로의 전환을 적극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립과 교체 시공이 우수한 안전 볼라드(1)에 관련됨을 주지하고, 또 이에 착안하여 주된 기술사상을 제시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안전 볼라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안전 볼라드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안전 볼라드는 지면 상에 노출되어 보행자나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기둥부(100);와, 지면에 함몰 배치되면서 기둥부의 직립 상태를 보존할 수 있도록 지지력이 부여되는 기초부(200);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기둥부(100)는 통상적으로 차도나 인도의 경계 지역 또는 기타 통행을 인위적으로 통제하고자 지면 상에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반사판이나 기타 식별력을 갖춘 대상물을 부착하여 사용상 효율성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고, 차량이나 보행자가 부딪힐 경우에 있어서 해당 충격량을 적절히 흡수함에 따라 인체 또는 차제에 위해가 가해지지 않도록 방지하고자 연질의 피복재 또는 고무재, 기타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무엇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능 달성을 위하여 소정의 탄성부재(50)를 채용함으로써 기둥부(100)의 입설 상태가 외력의 행사 방향에 의해 적절하게 가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견고한 입설 상태로부터 비롯되는 파손 내지 기타 안전상의 위험 요소를 철저히 배제하면서 보다 유연한 대처 기능을 보유하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하기에서 상세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기초부(200)는 기둥부(100)의 입설 상태를 도모하기 위하여 지면의 적정 깊이만큼 함몰된 상태로 위치되는 구성요소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초부와 기둥부의 상호 결합을 나사 결합으로 실시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초부(200)는 기둥부에 대한 일정 수준 이상의 지지력을 보장하기 위하여 목적으로 하는 위치를 선별한 후 터파기하여 기초부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콘크리트의 타설이 실시되는 방식을 취한다.
여기서, 상기 기초부(200)에 관한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지면에서의 함몰 고정이 유도되는 입설부재(80);와, 입설부재와 나사 결합되고 힌지 결합을 위한 결합축(71)이 형성되는 고정부재(7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입설부재(80)는 최초 터파기 실시된 영역으로 위치 배열되는 통상의 앵커볼트일 수 있으며, 이의 고정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도록 전술한 것과 같이 입설부재의 외주 영역(터파기 영역)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입설부재(80)가 제공하는 내부 공간으로 고정부재(70)의 단부를 인입되게 하는 방식에 기인하여 이들의 상호 결속 및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부재(70)는 입설부재(80)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됨에 있어 진입되는 정도에 따라 입설부재의 내면을 외측 방향으로 팽창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더욱 견고한 결합이 실시될 수 있다.
아울러, 보다 효율적인 결합을 위하여 상기 입설부재(80) 상으로 소정의 절개면(미도시함)을 더 형성할 수 있는바, 이러한 절개면으로 인해 고정부재(70)의 내부 진입을 실행함에 있어 더욱 유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70)는 입설부재(80)와의 나사 결합이 실시되는 제반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것처럼 유동부재(20)와의 힌지 결합이 유도되는 결합축(71);과, 결합축의 저부로 하향 연장되면서 외주면에 대해 나사산이 연속되는 인입부(72);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입부(72)는 입설부재의 중공부(81)로 안내되면서 나사 결합되므로 입설부재와의 일체화가 이루어지는 반면 상기 결합축(71)은 유동부재(20)의 거치부(21)와 힌지 타입의 결속이 이루어짐에 따라 서로 상하 결부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입설부재(80)는 고정부재(70)를 인입 수용하기 위하여 나사면으로 구비되는 중공부(81);와, 지면으로부터 역행하지 않도록 연속되는 쐐기 형상의 돌출날부(82);와, 지면으로의 함몰 진입이 유도되는 경사면(83);을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터파기가 선행되지 않은 위치이거나 외부로의 역배출이 의심되는 설치 공간에서 기능을 발휘하는바, 상기 경사면(83)은 도면에서와 같이 단부가 뾰족한 형태의 구조를 취함에 따라 지면으로의 진입을 보다 쉽게 유도할 수 있는 한편, 특정 방향의 쐐기로 이루어진 돌출날부(82)의 작용에 기인하여 지상으로의 인출 또한 적극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기둥부(100)는 지면 상에 안착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60);와, 지지플레이트 상에 위치되고 상협하광의 원추 형상으로 구비되는 탄성부재(50);와, 탄성부재 상방에 위치되면서 해당 탄성부재를 하향 가압하는 가압부재(40);와, 고정부재의 결합축(71)과 힌지 타입으로 결속되어 탄성부재 및 가압부재의 중심을 경유하면서 입설 배치되는 유동부재(20);와, 유동부재의 상단에서 나사결합되는 너트(30);로 이루어짐에 따라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기인하여 기초부를 기점으로 한 기둥부의 입설 상태가 보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0)는 기둥부(100)의 저부를 커버하면서 탄성부재(50)의 수용을 유도하는 구성요소로, 중심 영역에는 고정부재(70)의 결합축(71)이 상향 돌출될 수 있도록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50)는 통상의 스프링과 같은 탄성 및 복원력이 동반되는 제반 요소로, 다만 도면에서와 같이 상부는 하부에 비해 협소한 형태로 제공하여 외부 이탈을 적극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탄성부재(50)는 해당 상단과 하단을 각각 가압부재(40)의 저면 및 지지플레이트(60)의 상면에서 일체형으로 고정 결합함으로써 위치 고정을 유도함과 아울러 탄성부재의 형상적 특성에 기인한 위치 보존이 유도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50)는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르는 경로를 완만한 기울기로 형성하였는바, 이는 가압부재(40)와 지지플레이트(60)가 제공하는 해당 공간 내에서 상호 작용이 발휘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기둥부(100)의 입설 상태 또한 보다 안정감 있게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의 상단과 하단을 가압부재 및 지지플레이트와 고정 결합시킴에 따라 기둥부의 외부 충격에 기인한 유동시에도 제자리 위치 보존됨은 물론 복원력 작용시 회귀 기능을 더욱 효율적으로 행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동부재(20)는 고정부재의 결합축(71)과 힌지 결합되는 거치부(21);와, 제반 구성요소들의 위치 배열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너트(30)와의 나사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산(22);으로 구분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반 구성요소인 기둥부(100)와 기초부(200)를 개선된 형태로 제공함에 따라 기초부를 기반으로 한 기둥부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복원력이 유도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및 훼손 등으로부터 적극 보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기초부(200)의 관련 구조를 입설부재(80)와 고정부재(70)의 나사 결합으로 구현함으로써 보다 나은 지지력의 행사와 함께 기둥부(100)와의 조립성이 더욱 신속 간편하게 유도될 수 있는 이점을 발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볼라드
20. 유동부재 21. 거치부
22. 나사산 30. 너트
40. 가압부재 50. 탄성부재
60. 지지플레이트 70. 고정부재
71. 결합축 72. 인입부
80. 입설부재 81. 중공부
82. 돌출날부 83. 경사면
100. 기둥부 200. 기초부
20. 유동부재 21. 거치부
22. 나사산 30. 너트
40. 가압부재 50. 탄성부재
60. 지지플레이트 70. 고정부재
71. 결합축 72. 인입부
80. 입설부재 81. 중공부
82. 돌출날부 83. 경사면
100. 기둥부 200. 기초부
Claims (3)
- 지면 상에 노출되어 보행자나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기둥부(100);와, 지면에 함몰 배치되면서 기둥부의 직립 상태를 보존할 수 있도록 지지력이 부여되는 기초부(200);로 구성되는 볼라드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200)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지면에서의 함몰 고정이 유도되는 입설부재(80);와, 입설부재와 나사 결합되고 힌지 결합을 위한 결합축(71)이 형성되는 고정부재(70);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둥부(100)는 지면 상에 안착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60);와, 지지플레이트 상에 위치되고 상협하광의 원추 형상으로 구비되는 탄성부재(50);와, 탄성부재 상방에 위치되면서 해당 탄성부재를 하향 가압하는 가압부재(40);와, 고정부재의 결합축(71)과 힌지 타입으로 결속되어 탄성부재 및 가압부재의 중심을 경유하면서 입설 배치되는 유동부재(20);와, 유동부재의 상단에서 나사결합되는 너트(30);로 이루어짐에 따라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기인하여 기초부를 기점으로 한 기둥부의 입설 상태가 보존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설부재(80)는 고정부재(70)를 인입 수용하기 위하여 나사면으로 구비되는 중공부(81);와, 지면으로부터 역행하지 않도록 연속되는 쐐기 형상의 돌출날부(82);와, 지면으로의 함몰 진입이 유도되는 경사면(83);을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조립과 교체 시공이 우수한 안전 볼라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가압부재(40)의 저면 및 지지플레이트(60)의 상면에서 일체형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과 교체 시공이 우수한 안전 볼라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3070A KR101609982B1 (ko) | 2015-06-12 | 2015-06-12 | 조립과 교체 시공이 우수한 안전 볼라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3070A KR101609982B1 (ko) | 2015-06-12 | 2015-06-12 | 조립과 교체 시공이 우수한 안전 볼라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9982B1 true KR101609982B1 (ko) | 2016-04-06 |
Family
ID=55790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3070A KR101609982B1 (ko) | 2015-06-12 | 2015-06-12 | 조립과 교체 시공이 우수한 안전 볼라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9982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4191B1 (ko) | 2017-08-08 | 2018-08-01 | 왕의열 | 탄성 볼라드 |
KR101884192B1 (ko) | 2017-08-08 | 2018-08-29 | 왕의열 | 탄성 볼라드 |
KR101898690B1 (ko) | 2017-12-08 | 2018-09-14 | 주식회사 킹스틸 | 유지보수가 쉬운 탈부착식 탄성 볼라드 |
KR20180115132A (ko) | 2017-04-12 | 2018-10-22 | 왕의열 | 조립 및 해체가 편리한 탄성 볼라드 |
KR102285053B1 (ko) | 2021-04-02 | 2021-08-03 | 주식회사 정산업 | 스프링을 이용한 차선규제봉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7592B1 (ko) * | 2007-03-06 | 2007-10-17 | 송명자 | 자동차 진입억제용 볼라드 시공방법 |
KR101370309B1 (ko) * | 2013-07-31 | 2014-03-05 | 트인로드 주식회사 | 차량의 진입규제 탄성볼라드와 그 설치방법 |
KR101420062B1 (ko) * | 2013-12-20 | 2014-07-17 | 채종현 | 볼라드 |
-
2015
- 2015-06-12 KR KR1020150083070A patent/KR1016099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7592B1 (ko) * | 2007-03-06 | 2007-10-17 | 송명자 | 자동차 진입억제용 볼라드 시공방법 |
KR101370309B1 (ko) * | 2013-07-31 | 2014-03-05 | 트인로드 주식회사 | 차량의 진입규제 탄성볼라드와 그 설치방법 |
KR101420062B1 (ko) * | 2013-12-20 | 2014-07-17 | 채종현 | 볼라드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5132A (ko) | 2017-04-12 | 2018-10-22 | 왕의열 | 조립 및 해체가 편리한 탄성 볼라드 |
KR101884191B1 (ko) | 2017-08-08 | 2018-08-01 | 왕의열 | 탄성 볼라드 |
KR101884192B1 (ko) | 2017-08-08 | 2018-08-29 | 왕의열 | 탄성 볼라드 |
KR101898690B1 (ko) | 2017-12-08 | 2018-09-14 | 주식회사 킹스틸 | 유지보수가 쉬운 탈부착식 탄성 볼라드 |
KR102285053B1 (ko) | 2021-04-02 | 2021-08-03 | 주식회사 정산업 | 스프링을 이용한 차선규제봉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9982B1 (ko) | 조립과 교체 시공이 우수한 안전 볼라드 | |
JP2015094100A (ja) | ガードレール端末部緩衝袖ビーム | |
KR100734220B1 (ko) |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 |
KR101213761B1 (ko) | 충격 완화용 보행자 방호 울타리 | |
KR101935522B1 (ko) | 진동 완충형 구조물 | |
KR101033309B1 (ko) | 차량 진입규제 볼라드와 그 설치방법 | |
KR20110003169U (ko) | 차량 진입 방지용 지주 | |
KR101081793B1 (ko) | 파손 방지 및 신속한 복원력을 갖는 차선규제봉 | |
KR100804095B1 (ko) | 슬림 타입 탄력 볼라드 | |
KR100804094B1 (ko) | 탄력 볼라드 | |
KR20100025666A (ko) | 볼라드 | |
KR200460100Y1 (ko) | 와이어 탄성에 의해 가변성을 갖는 볼라드 | |
KR100915423B1 (ko) | 도로변 시설물용 지주 | |
KR101129958B1 (ko) | 차선규제봉 및 차선분리대 기능을 갖는 도로 안전가이드 | |
KR200437211Y1 (ko) | 충격흡수 볼라드 | |
KR101101357B1 (ko) | 충격 보호대 | |
ES2928139T3 (es) | Módulo de soporte elástico de poste | |
KR101950178B1 (ko) | 조립 및 해체가 편리한 탄성 볼라드 | |
KR101113140B1 (ko) | 볼라드 | |
EA025553B1 (ru) | Съемное основание для вертика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малых архитектурных форм | |
KR101884192B1 (ko) | 탄성 볼라드 | |
JP2003328328A (ja) | ポール支持装置 | |
KR102298570B1 (ko) | 펜스와 지주의 순차적 충격흡수가 가능한 탄성 펜스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0796930B1 (ko) | 자동차 진입억제용 볼라드 | |
KR101687164B1 (ko) | 도로의 안전을 위한 충격 흡수 및 복원이 우수한 포스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