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868B1 - 볼라드 - Google Patents
볼라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4868B1 KR101114868B1 KR1020110106228A KR20110106228A KR101114868B1 KR 101114868 B1 KR101114868 B1 KR 101114868B1 KR 1020110106228 A KR1020110106228 A KR 1020110106228A KR 20110106228 A KR20110106228 A KR 20110106228A KR 101114868 B1 KR101114868 B1 KR 1011148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lt hole
- pillar
- support
- bent
-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라드에 있어서, 지면에 매설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둥; 상기 지주의 상단 내부에 제1볼트구멍과,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돌출되어 제1경사면과, 스프링장착 공간이 형성된 제1돌출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압입된 하부지지구; 상기 기둥 하단 내부에 제2볼트구멍과, 상기 제1돌출부가 삽입되어 포개지도록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돌출되어 제2경사면이 형성된 제2돌출부가 내입되도록 압입된 상부지지구; 상기 스프링 장착 공간에 장착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하측을 받치며 제3볼트구멍이 형성된 받침부재와, 상기 제2돌출부의 상측에서 상기 제1볼트구멍, 제2볼트구멍, 스프링 및 제3볼트구멍에 삽입되는 장볼트 및 상기 장볼트의 하단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주와 기둥에 압입되어 고정된 하부지지구의 제1경사면과 상부지지구의 제2경사면이 서로 포개지도록 함으로써, 기둥에 외력이 가해지면 기둥이 한쪽으로 휘어지며 하부지지구와 상부지지구가 떨어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하부지지구에서 떨어진 상부지지구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포개져 기둥이 수직상태로 용이하게 복원되는 볼라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주와 기둥에 압입되어 고정된 하부지지구의 제1경사면과 상부지지구의 제2경사면이 서로 포개지도록 함으로써, 기둥에 외력이 가해지면 기둥이 한쪽으로 휘어지며 하부지지구와 상부지지구가 떨어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하부지지구에서 떨어진 상부지지구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포개져 기둥이 수직상태로 용이하게 복원되는 볼라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인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도와 인도의 경계부위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와 경계부위 중 횡단 보도가 설치된 구간은 보행 또는 자전거의 이용이 편리하게끔 높낮이의 구별이 거의 없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간은 차량 또한 진입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간을 이용하여 무분별하게 인도에 진입하여 주정차하는 차량이 많게 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공원 및 도로에서는 통행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다수의 볼라드를 고정하게 된다.
한편, 볼라드는 대리석을 기둥 형태로 하여 지면에 매립하는 형태가 있으나, 이는 무겁고 설치하기도 어려워 금속재질의 파이프 등을 설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경량의 파이프로 된 볼라드가 차량의 고의 또는 부주의로 부딪히는 경우에는 손상을 입게 되면서 폐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볼라드는 지주와 기둥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스프링에 의해 휘어지는 기둥을 수직으로 세워지는데 기둥에 외력이 가해진다. 이때, 스프링이 한쪽으로 휘어지면서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강선이 늘어나게 되므로 외력이 제거된 후에도 기둥이 수직으로 복원되지 않고 비스듬하게 서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주와 기둥에 압입되어 고정된 상부지지구의 제1경사면과 하부지지구의 제2경사면이 서로 포개지도록 함으로써, 기둥에 외력이 가해지면 기둥이 한쪽으로 휘어지며 상부지지구와 하부지지구가 떨어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하부지지구에서 떨어진 상부지지구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제1경사면이 제2경사면을 타고 제1돌출부가 제2돌출부에 내입되며 포개져 기둥이 수직상태로 용이하게 복원되는 볼라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지지구와 상부지지구의 끝단이 절곡되며 형성된 제1만곡부와 제2만곡부를 지주와 기둥의 끝단에 용접하되, 기둥의 하단 하측으로 제1돌출부만 돌출되고 지주의 상단 하측으로 상부지지구가 돌출되지 않도록 용접함으로써, 기둥에 외력이 가해질 때 지주와 기둥을 용이하게 분리되고 외력이 제거될 때 용이하게 기둥이 수직상태로 복원되는 볼라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볼트구멍과 제2볼트구멍의 직경이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게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제2볼트구멍의 직경이 장볼트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장볼트가 제2볼트구멍에 억지끼움됨으로써, 결합부재의 장볼트가 기둥과 함께 휘어질 때 용이하게 휘어지고, 스프링과 기둥의 파손시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한 볼라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볼라드에 있어서, 지면에 돌출되는 기둥; 상기 기둥의 하부에 위치하며 지면에 매설되는 지주; 상기 기둥의 하단 내부에 제1볼트구멍과,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게 돌출되어 제1경사면과 스프링장착 공간이 형성된 제1돌출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압입된 상부지지구; 상기 지주의 상단 내부에 제2볼트구멍과, 상기 제1돌출부가 삽입되어 포개지도록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게 돌출되어 제2경사면이 형성된 제2돌출부가 내입되도록 압입된 하부지지구; 상기 스프링 장착 공간에 장착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상측을 받치며 제3볼트구멍이 형성된 받침부재와, 상기 제2돌출부에서 상기 제1볼트구멍, 제2볼트구멍, 스프링 및 제3볼트구멍에 삽입되는 장볼트 및 상기 장볼트의 끝단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구는, 끝단이 제1만곡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돌출부가 돌출된 반대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제1절곡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절곡부가 기둥의 하단에 압입되며 상기 제1만곡부가 기둥의 하단 테두리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부지지구는, 끝단이 제2만곡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돌출부가 돌출된 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제2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절곡부를 지주의 상단에 압입되며 상기 제2만곡부가 지주의 상단 테두리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볼트구멍과 제2볼트구멍의 내주면은,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게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볼트구멍의 직경은, 상기 제2볼트구멍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볼트구멍의 직경은, 상기 장볼트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장볼트가 상기 제2볼트구멍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주와 기둥에 압입되어 고정된 상부지지구의 제1경사면과 하부지지구의 제2경사면이 서로 포개지도록 함으로써, 기둥에 외력이 가해지면 기둥이 한쪽으로 휘어지며 상부지지구와 하부지지구가 떨어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하부지지구에서 떨어진 상부지지구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포개져 기둥이 수직상태로 용이하게 복원되는 볼라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지지구와 상부지지구의 끝단이 절곡되며 형성된 제1만곡부와 제2만곡부를 지주와 기둥의 끝단에 용접하되, 기둥의 하단 하측으로 제1돌출부만 돌출되고 지주의 상단 하측으로 상부지지구가 돌출되지 않도록 용접함으로써, 기둥에 외력이 가해질 때 지주와 기둥을 용이하게 분리되고 외력이 제거될 때 용이하게 기둥이 수직상태로 복원되는 볼라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볼트구멍과 제2볼트구멍의 직경이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게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제2볼트구멍의 직경이 장볼트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장볼트가 제2볼트구멍에 억지끼움됨으로써, 결합부재의 장볼트가 기둥과 함께 휘어질 때 용이하게 휘어지고, 스프링과 기둥의 파손시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한 볼라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볼라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는 기둥(110), 지주(130), 상부지지구(120), 하부지지구(140), 스프링(150) 및 결합부재(160)를 포함한다.
지주(130)는 지면에 매설되고, 일정 높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기둥(110)은 지주(13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위치하며, 후술할 결합부재(160)에 의해 결합되고, 스프링(150)에 의해 외력으로 휘어지면 수직으로 복원된다.
또한, 기둥(110)의 외주면에는 우레탄 또는 고무 재질로 된 소정 두께의 완충부재(180)가 압입 방식으로 끼워져 외력을 흡수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부지지구(120)는 기둥(110)의 하단 내부에 제1볼트구멍(121)과,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게 돌출되어 제1경사면(122) 및 스프링장착 공간(123)이 형성된 제1돌출부(124)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압입된다.
이때, 상부지지구(120)는 끝단이 절곡되되, 제1돌출부(124)가 돌출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절곡부(125)가 형성된다. 또한, 제1절곡부(125)가 절곡될 때, 절곡된 외측 모서리가 만곡되어 제1만곡부(126)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지지구(120)는 제1절곡부(125)만 지주(130)의 상단에 압입되며 제1만곡부(126)가 지주(130)의 상단 테두리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즉, 상부지지구(120)는 제1만곡부(126)가 연장되는 수평면이 기둥(110)의 하단면과 수평이 되도록 기둥(110)의 하단 내부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지지구(140)는 지주(130) 상단 내부에 제2볼트구멍(141)과, 상부지지구(120)의 제1돌출부(124)가 삽입되어 포개지도록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게 돌출되어 제2경사면(142)이 형성된 제2돌출부(143)가 내입되도록 압입된다.
이때, 하부지지구(140)는 끝단이 절곡되되, 제2돌출부(143)가 돌출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2절곡부(144)가 형성된다. 또한, 제2절곡부(144)가 절곡될 때, 절곡된 외측 모서리가 만곡되어 제2만곡부(145)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지지구(140)는 제2절곡부(144)가 지주(130)의 상단에 압입되며 제2만곡부(145)가 지주(130)의 하단 테두리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즉, 하부지지구(140)는 지주(130)의 상단에 모두 삽입되되 하부지지구(140)의 상측면이 기둥(110)의 상단면과 수평이 되도록 지주(130)의 하단 내부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둥(110)과 지주(130)가 분리되고, 상부지지구(120)의 하측면과 하부지지구(140)의 상측면이 서로 포개지도록 함으로써, 기둥(110)에 외력이 가해지면 기둥(110)이 한쪽으로 휘어지며 상부지지구(120)와 하부지지구(140)가 떨어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부지지구(120)에서 떨어진 하부지지구(140)는 스프링(150)의 힘에 의해 제1경사면(122)이 제2경사면(142)을 타고 제1돌출부(124)가 제2돌출부(143)에 내입되며 포개져 기둥(110)이 수직상태로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다.
여기서, 지주(130)와 기둥(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주름관(170)이 구비되어 지주(130)와 기둥(110)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제1볼트구멍(121)과 제2볼트구멍(141)의 직경은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게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제1볼트구멍(121)의 직경이 상기 제2볼트구멍(141)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결합부재(160)의 장볼트(163)가 기둥(110)과 함께 휘어질 때, 용이하게 휘어지게 할 수 있으며 장볼트(16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볼트구멍(141)의 직경이 장볼트(16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장볼트(163)가 제2볼트구멍(141)에 억지끼움됨으로써, 너트(164)를 풀고 스프링(150)과 기둥(11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스프링(150)은 제1돌출부(124)가 형성되면서 상부에 형성되는 스프링(150) 장착 공간에 장착된다.
결합부재(160)는 받침부재(162), 장볼트(163) 및 너트(164)를 포함한다.
받침부재(162)는 스프링(150)의 상측을 받치며 제3볼트구멍(161)이 형성된다.
또한, 장볼트(163)는 제2돌출부(143)의 하측에서 제1볼트구멍(121), 제2볼트구멍(141), 스프링(150) 및 제3볼트구멍(161)에 차례대로 삽입된다.
그리고, 너트(164)는 장볼트(163)의 끝단에 나사결합된다.
이때, 장볼트(163)와 너트(164)는 나사결합되면서 받침부재(162)와 너트(164) 사이에 와셔(16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너트(164)가 장볼트(163)에 나사결합되는 깊이에 따라 상부지지구(120)와 받침부재(162)의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15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 조절을 통해 기둥(110)의 휘어짐의 각도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기둥(110)의 복원력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기둥 120: 상부지지구
121: 제1볼트구멍 122: 제1경사면
123: 스프링장착 공간 124: 제1돌출부
125: 제1절곡부 126: 제1만곡부
130: 지주 140: 하부지지구
141: 제2볼트구멍 142: 제2경사면
143: 제2돌출부 144: 제2절곡부
145: 제2만곡부 150: 스프링
160: 결합부재 161: 제3볼트구멍
162: 받침부재 163: 장볼트
164: 너트 165: 와셔
170: 주름관 180: 완충부재
121: 제1볼트구멍 122: 제1경사면
123: 스프링장착 공간 124: 제1돌출부
125: 제1절곡부 126: 제1만곡부
130: 지주 140: 하부지지구
141: 제2볼트구멍 142: 제2경사면
143: 제2돌출부 144: 제2절곡부
145: 제2만곡부 150: 스프링
160: 결합부재 161: 제3볼트구멍
162: 받침부재 163: 장볼트
164: 너트 165: 와셔
170: 주름관 180: 완충부재
Claims (3)
- 지면에 돌출되는 기둥;
상기 기둥의 하부에 위치하며 지면에 매설되는 지주;
상기 기둥의 하단 내부에 제1볼트구멍과,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게 돌출되어 제1경사면과 스프링장착 공간이 형성된 제1돌출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압입된 상부지지구;
상기 지주의 상단 내부에 제2볼트구멍과, 상기 제1돌출부가 삽입되어 포개지도록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게 돌출되어 제2경사면이 형성된 제2돌출부가 내입되도록 압입된 하부지지구;
상기 스프링 장착 공간에 장착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상측을 받치며 제3볼트구멍이 형성된 받침부재와, 상기 제2돌출부에서 상기 제1볼트구멍, 제2볼트구멍, 스프링 및 제3볼트구멍에 삽입되는 장볼트 및 상기 장볼트의 끝단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볼라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구는, 끝단이 제1만곡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돌출부가 돌출된 반대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제1절곡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절곡부가 기둥의 하단에 압입되며 상기 제1만곡부가 기둥의 하단 테두리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부지지구는, 끝단이 제2만곡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돌출부가 돌출된 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제2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절곡부를 지주의 상단에 압입되며 상기 제2만곡부가 지주의 상단 테두리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볼트구멍과 제2볼트구멍의 내주면은,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게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볼트구멍의 직경은, 상기 제2볼트구멍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볼트구멍의 직경은, 상기 장볼트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장볼트가 상기 제2볼트구멍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6228A KR101114868B1 (ko) | 2011-10-18 | 2011-10-18 | 볼라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6228A KR101114868B1 (ko) | 2011-10-18 | 2011-10-18 | 볼라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14868B1 true KR101114868B1 (ko) | 2012-03-06 |
Family
ID=4614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6228A KR101114868B1 (ko) | 2011-10-18 | 2011-10-18 | 볼라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486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78052A (zh) * | 2017-05-31 | 2017-09-19 | 青岛澳波泰克安全设备有限责任公司 | 一种自恢复型防撞护栏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7141U (ko) * | 1989-06-09 | 1991-01-23 | ||
JP3007141U (ja) | 1994-07-25 | 1995-02-07 | 有限会社▲今▼岡製作所 | 車止め用支柱 |
KR200381723Y1 (ko) * | 2005-01-13 | 2005-04-14 | 임덕희 | 도로용 차선 규제봉 |
EP2103741A1 (en) * | 2008-03-20 | 2009-09-23 | Andrea Trombetta | Road delineator |
KR20110001808U (ko) * | 2009-08-17 | 2011-02-23 | 주식회사 태관 | 와이어 탄성에 의해 가변성을 갖는 볼라드 |
-
2011
- 2011-10-18 KR KR1020110106228A patent/KR10111486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7141U (ko) * | 1989-06-09 | 1991-01-23 | ||
JP3007141U (ja) | 1994-07-25 | 1995-02-07 | 有限会社▲今▼岡製作所 | 車止め用支柱 |
KR200381723Y1 (ko) * | 2005-01-13 | 2005-04-14 | 임덕희 | 도로용 차선 규제봉 |
EP2103741A1 (en) * | 2008-03-20 | 2009-09-23 | Andrea Trombetta | Road delineator |
KR20110001808U (ko) * | 2009-08-17 | 2011-02-23 | 주식회사 태관 | 와이어 탄성에 의해 가변성을 갖는 볼라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78052A (zh) * | 2017-05-31 | 2017-09-19 | 青岛澳波泰克安全设备有限责任公司 | 一种自恢复型防撞护栏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183452A1 (en) | Delineator mounting system | |
KR101271450B1 (ko) |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 휀스 | |
KR101213761B1 (ko) | 충격 완화용 보행자 방호 울타리 | |
KR100993696B1 (ko) | 볼라드 | |
KR101081793B1 (ko) | 파손 방지 및 신속한 복원력을 갖는 차선규제봉 | |
KR101546524B1 (ko) | 유지관리 효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가로등 지주 | |
KR101114868B1 (ko) | 볼라드 | |
KR200460100Y1 (ko) | 와이어 탄성에 의해 가변성을 갖는 볼라드 | |
KR101742292B1 (ko) | 지주용 지지장치 | |
KR101196702B1 (ko) | 충격흡수형 표지판 | |
ES2928139T3 (es) | Módulo de soporte elástico de poste | |
KR200467526Y1 (ko) | 도로용 볼라드 조립구조 | |
JP2011026915A (ja) |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備えた防護柵 | |
KR101645706B1 (ko) | 볼라드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370309B1 (ko) | 차량의 진입규제 탄성볼라드와 그 설치방법 | |
KR102243192B1 (ko) | 무볼트 매립식 차선 규제봉 | |
KR101197144B1 (ko) | 충격 흡수형 회동식 교통표지판 | |
KR102504725B1 (ko) | 조립식 와이어리스 신호등주 | |
KR20120014397A (ko) | 분리대 | |
KR200471855Y1 (ko) | 신축 밴드를 이용한 탄성 볼라드 | |
KR200468918Y1 (ko) | 표지판 결속구 | |
KR200453629Y1 (ko) | 도로용 볼라드 조립구조 | |
KR20120008771A (ko) | 도로용 중앙분리대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92575B1 (ko) | 충돌에 대한 인성을 향상시킨 알루미늄 가로등 등주와 기초 접합부 구조 | |
KR200378366Y1 (ko) | 지주용 보강 파이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