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7680A - 백색 반사 필름 - Google Patents

백색 반사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7680A
KR20100017680A KR1020097025500A KR20097025500A KR20100017680A KR 20100017680 A KR20100017680 A KR 20100017680A KR 1020097025500 A KR1020097025500 A KR 1020097025500A KR 20097025500 A KR20097025500 A KR 20097025500A KR 20100017680 A KR20100017680 A KR 20100017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film
white reflective
white
spheric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5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0102B1 (ko
Inventor
요시히꼬 사까구찌
요시까즈 사또
오사무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7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색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구상 입자를 갖는 도포층을 적층한 백색 반사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액정 백 라이트의 휘도 향상 및 장기 사용에서의 휘도 유지를 도모하는 백색 반사 필름이 제공된다.
백색 반사 필름, 액정 백 라이트, 램프 반사경

Description

백색 반사 필름{WHITE REFLECTIVE FILM}
본 발명은 액정 백 라이트의 휘도 향상을 도모하는 백색 반사 필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 디스플레이용의 엣지라이트형 및 직하형의 액정 백 라이트의 반사판, 엣지라이트형의 액정 백 라이트의 램프 반사경, 추가로 태양 전지용 백 시트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백색 반사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액정셀을 비추는 백 라이트가 이용되고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따라서, 액정 모니터에서는 엣지라이트 방식의 백 라이트가, 액정 텔레비전에서는 직하형의 백 라이트가 채용되고 있다. 이들 백 라이트용 반사 필름으로는, 기포에 의해 형성된 다공질의 백색 필름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특허 문헌 1). 또한, 냉음극관으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한 필름의 황변색을 방지하기 위해서 자외선 흡수층을 적층한 백색 필름도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3).
직하형 백 라이트의 기본 구성으로는 도광판은 이용하지 않고, 화면 속에 직접 형광관을 배열한 구조가 특징이다. 화면 속에 선상 또는 일부 선상의 램프를 몇개 평행하게 병렬함으로써, 큰 화면에도 대응 가능하고, 또한 밝기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특징이기도 한 화면 속에 설치된 램프에 의한 화면 내의 밝 기 불균일(휘도 불균일)이 발생한다. 즉, 복수개 병렬되어 있는 램프의 바로 위는 밝고, 인접하는 램프 사이가 어두워진다. 이 때문에, 직하형 백 라이트에서는, 이 휘도 불균일을 해소하기 위해서, 매우 강한 광 확산성을 갖는 광 확산판(유백판,乳白板)을 형광관의 상측에 설치하여, 화면의 균일화를 도모하고 있다. 광 확산판은 미립자를 분산시킨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을 포함하는, 두께 약 2 mm의 판이다. 이 광 확산판에 의해 휘도 불균일이 해소되어 화면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지만, 강하게 확산시키기 위해서 전체 광선 투과율이 낮고 광 이용 효율이 악화되며, 또한 지나치게 강하게 확산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방향으로 광을 분산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필요로 하는 정면의 밝기가 불충분해진다. 따라서, 광 확산판 위에 광을 등방적으로 확산시키면서, 정면 방향으로 집광 효과를 나타내는 확산 시트나 집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리즘 시트로 대표되는 집광 시트, 또한 액정 패널 상에서의 휘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액정 패널 상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휘도 향상 시트 등이 삽입되고 있다.
직하형 백 라이트에 있어서의 반사 시트에 있어서, 광원측의 필름면의 확산성을 제어함으로써, 백 라이트에서의 휘도 불균일을 개선하는 방법도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4). 내광성 입자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응용은, 직하형 백 라이트에 이용되는 확산판 용도로 주로 개시되어 있고, 일부 코팅 용도에 대한 사용예도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5, 6).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8-26220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66295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0515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73546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2733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67592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액정 텔레비전용 반사 필름에 있어서는 저비용화가 강하게 요구되는 한편, 종래 이상으로 반사 필름의 내광성이나 반사율의 향상도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내광성에 대해서는, 액정 텔레비전의 대형화에 따라 냉음극관의 개수가 증가하고, 자외선량의 증가에 의한 황변이 현저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통상, 백색 반사 필름의 도포층에 있어서는, 수지 결합제와 입자를 포함하고, 통상 결합제만 내광성을 갖고 있었다. 이는 경제적으로 내광성을 갖지 않는 입자가 유리하다는 것도 선택 이유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백 라이트의 총비용을 낮추기 위해서, 고가의 프리즘 시트의 삭감이나 램프 개수의 삭감에 의해서 저하된 휘도를, 1개마다 램프의 고휘도화에 의해 보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들 백 라이트의 구성의 변경에 의해, 램프 간격이 커진 것에 더하여 램프가 고휘도화되어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던 광학 시트 구성(광 확산판이나 반사 필름)으로는 휘도 불균일을 해소할 수 없다는 문제가 현저해지고 있다.
이들 휘도 불균일을 해소하기 위해서, 반사 필름의 도포층에 광 확산 미립자 를 비교적 대량으로 첨가한다. 그러나 도포층 중 미립자가 지나치게 많으면, 백색 필름의 표층과의 접촉 면적이 적어지기 때문에, 백색 필름과 도포층과의 밀착성이 부족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미립자 자체에 자외선 흡수능이 없기 때문에, 미립자의 대량 첨가에 의해 확산 반사 성능을 향상시키면, 그에 따라 도포층의 내광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백색 필름의 광원측의 도포층을 연구함으로써, 백 라이트에 사용하는 백색 반사 필름의 도포층의 내광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백색 반사 필름의 도포층의 확산 반사성, 밀착성도 개선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하는 것이다. 즉, 백색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입자 도포층을 갖는 백색 반사 필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의 바람직한 형태는,
(1) 상기 도포층 전체에 대한 구상 입자의 함유량이 50 내지 85 중량%인 것.
(2) 상기 도포층을 형성하는 구상 입자와 결합제 수지와의 굴절률차의 절대값이 0.10 미만인 것.
(3) 상기 구상 입자의 변동계수 CV가 20 % 이상인 것.
(4) 상기 구상 입자에 함유되는 자외선 흡수제가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 계, 옥살산아닐리드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트리아진계,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및 산화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자외선 흡수제인 것.
(5) 상기 구상 입자에 함유되는 광 안정화제가 힌더드 아민계의 광 안정화제인 것.
(6) 상기 구상 입자가 상기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 안정화제를 공중합시킨 것.
(7) 상기 구상 입자가 아크릴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공중합체, 및 아크릴계 비닐 단량체와 스티렌계 비닐 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을 그의 도포층면을 광원측으로 향하도록 설치한 액정 백 라이트용 램프 반사경이고,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을 그의 도포층면을 광원측으로 향하도록 설치한 직하형 방식의 액정 백 라이트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백색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특정한 도포층을 설치한 백색 반사 필름으로 함으로써, 백 라이트에 이용했을 때에, 종래보다도 장기간 사용에 의한 휘도 저하가 적은 백 라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종래보다도 휘도 불균일이 적고, 휘도도 향상된 백 라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휘도 불균일 측정에 이용한 평가용 백 라이트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형광관
2: 중심 휘도 측정 위치(흑환 부분)
3: 휘도 측정 라인(굵은 점선 부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은 상기 과제, 즉 백색 필름의 광원측의 도포층을 연구함으로써, 종래 이상으로 장기간 사용에 의한 휘도 저하가 적은 백색 반사 필름에 대해서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백색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 안정화제를 갖는 구상 입자를 함유하는 도포층을 도포한 바, 도포층의 내광성 향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어, 이러한 과제를 일거에 해결하는 것을 구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백색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 안정화제를 갖는 구상 입자를 함유한 도포층을 적층한 것이다. 여기서 "구상"이란, 반드시 진구(眞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입자의 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거의 원형, 거의 타원형 등 곡면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입자는 특허 문헌 6에 일부 개시되어 있고, 일반적인 유기계 구상 입자인 아크릴계 수지 입자, 실리콘계 수지 입자, 나일론계 수지 입자, 스티렌계 수지 입자, 폴리에틸렌계 수지 입자, 벤조구아나민계 수지 입자, 우레탄계 수지 입자 등에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 안정화제가 첨가되는 경우나, 이들 수지를 제조할 때에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 안정화제와의 공중합에 의해 화학 결합시키는 경우가 있다. 상기 구상 입자로부터의 블리딩 아웃이 적다는 점에서는, 후자와 같이 화학 결합에 의해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 안정화제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상 입자에 함유되는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로는 무기계와 유기계로 크게 구별된다.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로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산화세륨 등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그 중에서도 산화아연이 경제성, 자외선 흡수성, 광 촉매 활성이라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옥살산아닐리드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트리아진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를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유기 라디칼을 포착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라디칼에 의해 연쇄적으로 기재가 되는 백색 필름이 열화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라디칼 등을 포착하기 위해서 광 안정화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여기서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 안정화제를 고정시키는 공중합 단량체로는 아크릴계, 스티렌계 등의 비닐계 단량체가 범용성이 높고,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비닐 단량체는 방향족환을 갖고 있고, 황변하기 쉽기 때문에, 내광성이라는 점에서는 아크릴계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이 가장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벤조트리아졸에 반응성 비닐 단량체가 치환된 것으로서, 2-(2'-히드록시-5'-메타크릴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상품명: 루바(RUVA)-93); 오오쓰카 가가꾸(주)제조)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광 안정화제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 반응성 비닐 단량체가 치환된 것으로서, 4-메타크릴로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아데카스터브 LA-82"; (주)아데카(ADEKA) 제조)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비닐 단량체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크릴 단량체, 메타크릴 단량체일 수도 있다. 예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스티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iso-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iso-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분지상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환상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등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과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과의 모노에스테르 및 락톤류와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과의 부가물과 같은 히드록실기 함유 비닐 화합물 등의 수산기 함유 화합물;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산 및 푸마르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상 입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비닐계 단량체와 특정한 힌더드 아민계 중합성 화합물과 특정한 벤조트리아졸계 중합성 화합물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이 공중합체가 가교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 구조를 갖지 않으면, 구상 입자와 결합제 수지를 용매에 혼합하여 코팅 도료를 조합할 때에, 구상 입자가 용매에 용해되기 시작하여 입자 형상이나 입경이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가교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1 분자 내에 복수개의 관능기를 갖는 비닐 화합물을 사용하여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본 발명에서는 1 분자 내에 복수개의 관능기를 갖는 비닐 화합물로서, 2관능성 아크릴계 화합물, 3관능 아크릴계 화합물, 4관능 이상의 중합성 아크릴계 화합물과 같은 다관능성 아크릴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도포층의 두께를 H, 구상 입자의 입경을 R로 했을 때, 도포층 표면으로부터 본 100H 사방당 "R>H"를 만족시키는 입자의 평균 개수가 10개 이상이면, 백 라이트에 조립했을 때의 휘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개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개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개 이상이다. 백색 반사 필름의 반사율이 향상되면, 백 라이트로서의 휘도가 향상되고, 광원 상부에 사용하고 있는 고가의 시트를 삭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 텔레비전용 백 라이트의 구성의 일례로서, 광원측에서 확산판(두께 약 2 mm)/확산 필름(두께 약 200 ㎛ 내지 300 ㎛)/확산 필름(두께 약 200 ㎛ 내지 300 ㎛)/확산 필름(두께 약 200 ㎛ 내지 300 ㎛)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백 라이트 전체의 휘도가 2 내지 3 % 향상되면, 상기 구성에서 확산 필름을 1장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도포층의 두께 H"와 "구상 입자의 입경 R"의 구하는 방법은 후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층 중에서의 구상 입자의 함유량은, 반사율의 향상이 얻어지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포층 전체에 대하여 5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상이다. 구상 입자의 함유량이 5 중량%보다 적은 경우는 반사율의 향상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포층 중 구상 입자 이외의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0 중량부, 즉 도포층 전체의 75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도포층 중 구상 입자 이외의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0 중량부 이하, 즉 도포층 전체의 75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포층 중에서의 구상 입자의 함유량은 확산 반사성, 내광성, 백색 필름과의 밀착성의 향상의 관점으로 보아, 도포층 전체에 대하여 50 내지 8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8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 중량%이다. 구상 입자의 함유량이 50 중량%보다 적은 경우는 확산 반사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또한, 구상 입자의 함유량이 85 중량%보다 많은 경우는, 확산 반사성은 양호해져 백 라이트에 조립했을 때의 휘도 불균일이 개선되는 한편, 도막 강도가 약하고, 백색 필름과의 밀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층의 두께 H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 내지 15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 이다. 두께 H가 0.5 ㎛ 미만이면, 도포층의 내광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반대로 두께 H가 15 ㎛를 초과하면, 백 라이트에 조립했을 때의 휘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경제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도포층을 형성하는 결합제 수지와 상기 구상 입자와의 굴절률차의 절대값(이하, 굴절률차의 절대값을 "굴절률차"로 함)이 0.1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차가 0.10 미만이면, 결합제 수지와 구상 입자의 계면으로 반사·확산을 반복한 결과 정면에 전파하지 않는 광의 손실분이 감소한다고 생각된다. 즉, 도포층 내에서의 내부 확산 광 손실이 적어지고, 도포층 표면에 도달하는 광이 상대적으로 많아진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을 백 라이트로 조립한 경우, 추가로 휘도의 향상 효과가 얻어진다. 굴절률차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이다.
여기서 굴절률이란, 직진하는 파동이 상이한 매질의 경계에서 진행 방향의 각도를 변경하는 비율이고, 진공을 기준으로 한 물질 고유의 값 즉 절대 굴절률이다. 또한, 굴절률은 관측 파장 고유의 값이기 때문에, 굴절률차란 동일한 관측 파장으로 측정한 값의 차이다. 예를 들면 파장 589.3 nm의 광에 대하여, 대표적인 아크릴 수지인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의 굴절률은 1.49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상 입자의 입경은, 그의 변동계수 CV가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다. CV가 20 % 미만이면 입자의 균일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광 확산성이 약해지고, 백 라이트에 조립했을 때의 휘도 불균일 개선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CV값이 작은 단분산 입자는 일반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서, 변동계수 CV란 입경의 표준편차를 평균 입경으로 나눈 값이다. 이 변동계수 CV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층의 표면 조도 Ra는 400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0 nm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 nm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조도(Ra)란, 2차원 표면 조도계 SE-3400((주)고사카 겡뀨쇼 제조)을 이용하여, JIS B-0601(1982)에 준하여 컷오프 0.25 mm로 측정한 값을 말한다. 400 nm 미만이면, 백 라이트에 있어서 도포층과 접촉하는 부재인 광 확산판이나 램프를 고정시키는 램프 홀더 등과의 삐걱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00 nm를 초과하면 입자의 탈락 등의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재의 백색 필름은, 가시광선 반사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좋고, 이를 위해서는 내부에 기포를 함유하는 백색 필름이 사용된다. 이들 백색 필름으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공질의 미연신, 또는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다공질의 미연신 또는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예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들 제조 방법 등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8-262208의〔0034〕내지〔0057〕,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0515의〔0007〕내지〔0018〕,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38150의〔0008〕내지〔0034〕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0515 중에 개시되어 있는 다공질 백색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상술한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백색 필름으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재의 백색 필름의 구성은 사용하는 용도나 요구하는 특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1층 이상의 구성을 갖는 단층 및/또는 2층 이상의 복합 필름이 바람직하고, 그의 적어도 1층 이상으로 기포 및/또는 무기 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의 백색 필름의 확산 반사성이라는 점에서 무기 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층 구성(=1층)의 예로는, 예를 들면 단층인 A층만의 백색 필름이고, 상기 A층에 무기 입자 및/또는 기포를 함유시킨 구성의 것을 들 수 있으며, 그의 무기 입자의 함유율은 백색 필름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이다. 또한, 2층 구성의 예로는 상기 A층에 B층을 적층한, A층/B층의 2층 구성의 백색 필름이고, 이들 A, B층 중 적어도 어느 1층 중에 무기 입자 및/또는 기포를 함유시킨 구성의 것을 들 수 있으며, 그의 무기 입자의 함유율은 백색 필름의 전체 중량, 즉 2층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이다. 또한, 3층 구성의 예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A층/B층/A층 및/또는 A층/B층/C층의 3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3층 적층 구조의 백색 필름이고, 각 층 중 적어도 1층 중에, 무기 입자 및/또는 기포를 함유시킨 구성의 것을 들 수 있고, 그의 무기 입자의 함유율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백색 필름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이다. 3층 구성의 경우, 생산성의 관점에서 B층이 기포를 함유하는 층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백색 필름에 함유하는 무기 미립자의 수평균 입경은 0.3 내지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무기 입자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아연,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황화아연, 인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마이커, 운모 티탄, 탈크, 클레이, 카올린, 불화리튬, 불화칼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백색 필름의 예로는, 우선 단층 구성의 예로는 SY64(SKC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2층 구성의 백색 필름으로는 테플론(등록상표) 필름 UXZ1(데이진 듀퐁 필름(주)제조) 등을 들 수 있으며, 3층 구성의 백색 필름으로는 루미러(등록상표) E6SL, E6SR, E6Z, 테플론(등록상표) 필름 UX(데이진 듀퐁 필름(주)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백 라이트로서 사용 중에 냉음극관 등의 램프로부터 나오는 광, 특히 자외선에 의해서 기재의 백색 필름이 열화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예를 들면 황변 등의 광학적 열화, 또는 저분자화하는 분해 열화 등), 기재의 백색 필름의 한쪽면에 설치하는 도포층 중 결합제 수지에도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포층 중에 함유하는 결합제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기 성분을 주체로 하는 수지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로 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수지가 내열성, 입자 분산성, 도포성, 광택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포층의 내광성이라는 관점에서는 결합제 수지층 중에서도,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포층을 형성하는 결합제 수지와 구상 입자와의 굴절률차를 한없이 적게 하면 반사율이 향상되고, 또한 도포층의 내광성도 향상되기 때문에, 결합제 수지와 구상 입자의 공중합 성분, 단량체 조성,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단, 결합제 수지 성분은 도포 공정으로 용매에 희석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교 구조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의미로는, 결합제 수지 성분에는 다관능성 아크릴 화합물은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층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면 유기 및/또는 무기의 미립자, 형광 증백제, 가교제, 내열 안정제, 내산화 안정제, 유기의 윤활제, 핵제, 커플링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도포층을 설치한 면으로부터 측정한 400 내지 700 nm의 파장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8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7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다. 평균 반사율이 85 % 미만인 경우에는, 적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의해서는 휘도가 부족한 경우가 있다. 또한, 백색 필름의 양면에 도포층을 설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도포층으로부터 측정한 평균 반사율이 85 % 이상이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층을 기재의 백색 필름에 도포함에 있어서, 도포액은 임의의 방법으로 도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라비아 코팅, 롤 코팅, 스핀 코팅, 리버스 코팅, 바 코팅, 스크린 코팅, 블레이드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 디핑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포층의 형성을 위한 도포액은, 기재의 백색 필름 제조시에 도포(인라인 코팅)할 수도 있고, 결정 배향 완료 후의 백색 필름 상에 도포(오프 라인 코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을 엣지라이트형의 액정 백 라이트의 램프 반사경이나, 엣지라이트형 및 직하형의 액정 백 라이트의 반사판으로서, 도포층면을 광원측으로 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여도 반사율의 저하가 적은 액정 백 라이트가 얻어진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지금까지 이상으로 휘도 불균일이 개선되고, 휘도가 향상된 액정 백 라이트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액정 화면용의 엣지라이트형 및 직하형의 액정 백 라이트의 반사판 및 엣지라이트형의 액정 백 라이트의 램프 반사경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도, 각종 면광원의 반사판이나, 반사 특성이 요구되는 태양 전지 모듈의 밀봉 필름으로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1) 결합제 수지의 굴절률, 구상 입자의 굴절률
결합제 수지, 구상 입자의 굴절률의 값이 불명확한 경우는, 다음 수순으로 구한다.
(i) 백색 반사 필름의 도포층으로부터 유기 용제를 이용하여 결합제 수지를 추출하고, 유기 용제를 증류 제거한 후, 평관 분석법에 의해서 25 ℃에 있어서의 589.3 nm 파장의 광에 관해서 측정을 행한다. 이를 다른 5개소에서 실시하고, 5개소의 평균값을 "결합제 수지의 굴절률"로 한다.
(ii) 백색 반사 필름의 도포층을 유기 용제에 침지하여 백색 반사 필름으로부터 도포층을 박리 채취한 후, 슬라이드 유리에 압착·접동함으로써 구상 입자를 도포층으로부터 탈락시킨다. 여기서 얻어진 구상 입자를 베케선 검출법에 의해, 각 액체 유기 화합물의 굴절률 기지의 온도에 있어서, 입자의 윤곽이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확인하고, 이 때 이용한 액체 유기 화합물의 굴절률을 구한다. 이를 다른 5개소에서 실시하고, 5개소의 평균값을 "구상 입자의 굴절률"로 한다.
(2) 구상 입자의 부피 평균 입경, 구상 입자의 변동계수 CV
상기 (1)에서 채취한 다른 5개소의 구상 입자에 대해서, 부피 평균 입경 및 변동계수 CV를 측정한다. 측정에는 세공 전기 저항법을 이용한 입도 분포 측정 장치로서 콜터멀티사이저 III(벡맨 콜터(주)제조)을 이용한다. 입자가 세공을 통과할 때의 입자 부피에 상당하는 전해액분의 전기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입자의 수와 부피를 측정한다. 우선 미소량의 샘플을 옅은 계면활성제 수용액에 분산시키고, 이어서 모니터의 표시를 보면서 애퍼처(검지 부분의 세공) 통과율이 10 내지 20 %가 되는 양만큼 지정 전해액의 용기에 첨가한 후, 통과 입자수가 10만개가 될 때까지 입경의 계측을 계속하여 자동 계산시키고, 부피 평균 입경, 부피 평균 입경의 표준편차와 및 변동계수 CV를 구한다. 변동계수 CV의 값은 하기 수학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변동계수 CV(%)=부피 평균 입경의 표준편차(㎛)×100/부피 평균 입경(㎛)
(3) 황색미(黃色味)(b값)
SM 컬러 컴퓨터(스가 시켕키(주)제조)를 이용하고, C/2°광원에 의한 반사 측정법에 의해, 황색미를 나타내는 b값을 구한다. 3샘플에 대해서 b값을 산출하고, 이를 황색미로 한다.
(4) 내광성(황색미 변화)
자외선 열화 촉진 시험기 아이스퍼 UV 테스터 SUV-W131(이와사끼 덴끼(주)제조)을 이용하고, 하기 조건으로 강제 자외선 조사 시험을 행한 후, b값을 구한다. 3샘플에 대해서 촉진 시험을 실시하고, 각각 시험 전후의 b값을 측정하고, 그 차의 평균값을 내광성(황색미 변화량)으로 한다.
"자외선 조사 조건"
조도: 100 mW/㎠
온도: 60 ℃
상대습도: 50 % RH
조사 시간: 120 시간
그리고, 내광성 평가 결과를 하기에 의해 판정하고, A급 또는 B급을 합격으로 한다.
A급: 황색미 변화량이 5 이하
B급: 황색미 변화량이 6 이상 10 이하
C급: 황색미 변화량이 11 이상
(5) 도포층의 두께 H, 구상 입자의 입경 R, R>H의 구상 입자의 평균 개수
백색 반사 필름을 닛본 마이크트롬 겡뀨쇼(주)제조 로터리식 마이크로톰을 사용하고, 나이프 경사 각도 3°로 필름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한다. 얻어진 필름 단면을 탑콘사 제조 주사형 전자 현미경 ABT-32를 이용하여 관찰하고, 도포층의 표면에 구상 입자가 보이고 있는 부분이 아닌, 도포층의 표면이 결합제 수지로 되어 있는 부분 5개소의 도포층의 두께를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을 도포층의 두께 H로 한다.
이어서, 도포층 표면을 코니카 제조 광학 현미경 옵티포토(OPTIPHOTO) 200으로 관찰하고, 100H 사방(세로: 100 H, 가로: 100 H의 정방형)의 범위를 5개소 임의로 선택한다. 이 100H 사방 범위 중에 존재하는 구상 입자를 취출하고, 광학 현미 경으로 관찰하여, 구상 입자의 최장 직경 L 및 최단 직경 S를 측정한다. R=(L+S)/2를 구상 입자의 입경 R로 한다.
이 5개소의 100H 사방 범위 중에 존재하는 "R>H"를 만족시키는 구상 입자의 개수를 세어 1개소당 평균값을 구하고, 그 값을 100H 사방당 "R>H"를 만족시키는 구상 입자의 평균 개수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관찰한 구상 입자 중으로부터 임의로 5개를 선택하고, 이들의 입경 R의 평균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6) 도포층 중 구상 입자의 함유율
도포층 중 구상 입자의 함유율이 불명확한 경우는, 이하의 절차에 의해 구한다.
(i) 백색 반사 필름의 도포층을 예리한 절삭날로 깎아내어 백색 반사 필름으로부터 도포층을 0.05 g 채취하고, 유기 용제를 이용하여 결합제 수지 성분을 추출한다.
(ii) 유기 용제에 용해하지 않은 것을 구상 입자로 하고, 구상 입자의 중량 A(g)를 칭량하고, 하기 수학식으로부터 구상 입자의 함유율을 산출한다.
(iii) 임의의 3샘플로부터 동일한 작업을 실시하고, 그의 평균값을 "구상 입자의 함유율"로 한다.
·구상 입자의 함유율(중량%)=구상 입자의 중량 A(g)/0.05(g)×100
(7) 평균 휘도
21인치 직하형 백 라이트(램프관 직경: 3 mmΦ, 램프 개수: 12개, 램프간 거리: 25 mm, 반사 필름과 램프 중심간 거리: 4.5 mm, 확산판과 램프 중심간 거리: 13.5 mm)를 사용하고, 하기 2모델에서의 광학 시트 구성으로 휘도 측정을 행한다.
·모델 1: 확산판 RM803(스미또모 가가꾸(주)제조, 두께 2 mm)/확산 시트 GM3((주)기모토 제조, 두께 100 ㎛) 2매
·모델 2: 확산판 RM803(스미또모 가가꾸(주)제조, 두께 2 mm)/확산 시트 GM3((주)기모토 제조, 두께 100 ㎛)/프리즘 시트 BEF-II(3M사 제조, 두께 130 ㎛)/편광 분리 시트 DBEF(3M사 제조, 두께 400 ㎛)
휘도 측정으로는, 냉음극선관 램프를 60 분간 점등하여 광원을 안정시킨 후에, 색채 휘도계 BM-7고속(가부시끼가이샤 탑콘 제조)를 이용하여 휘도(cd/㎡)를 측정한다. 3샘플에 대해서 평균값을 산출하고, 이를 평균 휘도로 한다.
(8) 휘도 불균일
평가용 15인치(330 mm×250 mm: 상대각 400 mm) 직하형 백 라이트(케이스,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 광 확산판("클라렉스"(상표 등록) 아크릴 수지판, 니혼 쥬시 고교(주)제조, 투과율 85 %))을 12 V로 점등시키고, 1 시간 경과 후에 (주)아이 시스템 제조, 휘도 불균일 해석 장치 아이-스케일(Eye-Scale) 3을 이용하여,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휘도 측정 라인 상의 정면 방향에서의 휘도 불균일(균제도)을 측정한다.
휘도는 상기 측정 위치의 최대값으로서 평가하였다. 휘도 불균일은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중심 휘도 측정 위치 2로부터 가장 가까운 휘도 최대값을 Cmax, 가장 가까운 휘도 최소값을 C분, 휘도 측정 라인 3 상의 휘도 평균값을 Cave로 하여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휘도 불균일(균제도)(%)=100×(Cmax-Cmin)÷Cave
평가용 백 라이트 구성은 다음 것을 사용한다.
(형광관)
직경: 3 mm
개수: 8개
인접 간격(피치): 28 mm
관중심과 반사판과의 거리(하측): 5 mm
관중심과 광 확산판과의 거리(상측): 10 mm
휘도 불균일 결과를 하기에 의해 판정하고, A급 또는 B급을 합격으로 한다.
A급: 휘도 불균일이 43 % 미만
B급: 휘도 불균일이 43 % 이상 46 % 미만
C급: 휘도 불균일이 46 % 이상
(9) 도포층의 밀착성
"셀로판 테이프"(등록상표) CT-405(니치반(주)제조, 18 mm 폭)를 백색 반사 필름의 도포층측에 접착하고, 셀로판 테이프 상부로부터 지우개로 문질러 비밀착 부분을 없애고, 90도 방향으로 박리시킨다. 각 백색 반사 필름에 대해서 3매의 샘플을 측정하고, 평가 결과를 하기에 의해 판정하였다.
A급: 3매의 샘플 모두 도포층이 박리하지 않는다.
B급: 어느 하나의 샘플에서 점상으로 박리하는 부분이 있다.
C급: 밀착 부분의 면적의 50 % 이상이 박리한다.
(실시예 1)
"구상 입자 A의 제조 방법"
교반 장치와 온도계와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용량 1 ℓ의 4구 플라스크에 메타크릴산메틸 70 중량부,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다관능 단량체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힌더드 아민계 중합성 화합물로서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3 중량부, 벤조트리아졸계 중합성 화합물로서 2-(2'-히드록시-5'-메타크릴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10 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시드 1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또한 이 용액의 분산 안정제로서 폴리비닐알코올(PVA-224, 구라레(주)제조) 1 중량부 및 물 200 중량부를 가하였다. 이들을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9000 rpm의 회전수로 3 분간 교반하여, 중합성 화합물을 물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이 분산액을 75 ℃로 가열하여 2 시간, 이 온도로 유지하여 반응시키고, 추가로 90 ℃로 승온하여 3 시간 동안 공중합 반응시켰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반응시킨 후, 분산액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이 분산액을 메쉬 40 ㎛의 메쉬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응집물 등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분산액에는 응집물은 없어, 이 분산액의 여과성은 매우 양호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여과한 분산액 중에 분산되어 있는 수지 입자의 평균 입경은 6.4 ㎛이고, 이 수지 입자는 진구상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수지 입자의 분산액을 통상법에 따라서 세정한 후, 여과하여 수지 입자와 분산매를 분리하고, 분리한 수지 입자를 건조시켰다. 이어서 분급을 거쳐 구상 입자 A를 얻었다(변동계수 28 %).
"백색 반사 필름의 제조 방법"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13(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 %의 용액, 굴절률 1.49, (주)닛본 쇼꾸바이 제조): 10.0 g, 아세트산에틸: 5.0 g, 구상 입자 A(굴절률 1.49): 0.3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포액을 준비하였다. 250 ㎛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L)의 한쪽면에, 마쓰오 산교(주)제조 바코터 번수 12를 사용하여 이 도포액을 도포하고, 120 ℃, 1 분간의 건조 조건으로 도포층을 설치하였다.
(실시예 2)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13(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 %의 용액, 굴절률 1.49, (주)닛본 쇼꾸바이 제조): 10.0 g, 아세트산에틸: 5.5 g, 구상 입자 A(굴절률 1.49): 0.6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포액을 준비하였다. 250 ㎛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L)의 한쪽면에, 마쓰오 산교(주)제조 바코터 번수 12를 사용하여 이 도포액을 도포하고, 120 ℃, 1 분간의 건조 조건으로 도포층을 설치하였다.
(실시예 3)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13(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 %의 용액, 굴절률 1.49, (주)닛본 쇼꾸바이 제조): 10.0 g, 아세트산에틸: 6.5 g, 구상 입자 A(굴절률 1.49): 1.0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포액을 준비하였다. 250 ㎛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L)의 한쪽면에, 마쓰오 산교(주)제조 바코터 번수 12를 사용하여 이 도포액을 도포하고, 120 ℃, 1 분간의 건조 조건으로 도포층을 설치하였다.
(실시예 4)
"구상 입자 B의 제조 방법"
메타크릴산메틸 70 중량부를 메타크릴산메틸: 30 중량부, 스티렌: 40 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구상 입자 A와 마찬가지로 하여 구상 입자 B를 얻었다. 얻어진 구상 입자의 평균 입경은 6.5 ㎛였다.
"백색 반사 필름의 제조 방법"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13(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 %의 용액, 굴절률 1.49, (주)닛본 쇼꾸바이 제조): 10.0 g, 아세트산에틸: 5.0 g, 구상 입자 B(굴절률 1.49): 1.0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포액을 준비하였다. 250 ㎛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L)의 한쪽면에 마쓰오 산교(주)제조 바코터 번수 12를 사용하여 이 도포액을 도포하고, 120 ℃, 1 분간의 건조 조건으로 도포층을 설치하였다.
(실시예 5)
"구상 입자 C의 제조 방법"
메타크릴산메틸 70 중량부를 메타크릴산메틸: 5 중량부, 스티렌: 65 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구상 입자 A와 마찬가지로 하여 구상 입자 C를 얻었다. 얻어진 구상 입자의 평균 입경은 6.2 ㎛였다.
"백색 반사 필름의 제조 방법"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13(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 %의 용액, 굴절률 1.49, (주)닛본 쇼꾸바이 제조): 10.0 g, 아세트산에틸: 5.0 g, 구상 입자 C(굴절률 1.49): 1.0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포액을 준비하였다. 250 ㎛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L)의 한쪽면에 마쓰오 산교(주)제조 바코터 번수 12를 사용하여 도포액을 도포하고, 120 ℃, 1 분간의 건조 조건으로 도포층을 설치하였다.
(실시예 6)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 %의 용액, 굴절률 1.49, (주)닛본 쇼꾸바이 제조): 10.0 g, 아세트산에틸: 7.0 g, 구상 입자 A(굴절률 1.49): 1.7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포액을 준비하였다. 225 ㎛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R)의 한쪽면에 마쓰오 산교(주)제조 바코터 번수 12를 사용하여 이 도포액을 도포하고, 120 ℃, 1 분간의 건조 조건으로 도포층을 설치하였다.
(실시예 7)
도포층을 형성하는 도포액 중 아세트산에틸의 양을 10 g, 구상 입자 A의 양을 2.7 g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층을 설치하여 백색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8)
도포층을 형성하는 도포액 중 아세트산에틸의 양을 15 g, 구상 입자 A의 양을 4.8 g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층을 설치하여 백색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9)
도포층을 형성하는 도포액 중 아세트산에틸의 양을 25 g, 구상 입자 A의 양을 9.2 g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층을 설치하여 백색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0)
도포층을 형성하는 도포액 중 아세트산에틸의 양을 40 g, 구상 입자 A의 양을 16 g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층을 설치하여 백색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1)
도포층을 형성하는 도포액 중 아세트산에틸의 양을 90 g, 구상 입자 A의 양을 36 g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층을 설치하여 백색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13(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 %의 용액, 굴절률 1.49, (주)닛본 쇼꾸바이 제조): 10.0 g, 아세트산에틸: 10.0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포액을 준비하였다. 250 ㎛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L)의 한쪽면에 마쓰오 산교(주)제조 바코터 번수 12를 사용하여 이 도포액을 도포하고, 120 ℃, 1 분간의 건조 조건으로 도포층을 설치하였다.
(비교예 2)
구상 입자를 아크릴 입자(세키스이 플라스틱(주)제조 테크폴리머(TECHPOLYMER)(상표 등록) MBX 시리즈, MB30X-8, 굴절률 1.49, 평균 입경 8.0 ㎛, 변동계수 CV 32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제조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구상 입자를 폴리스티렌 입자(세키스이 플라스틱(주)제조 테크폴리머(상표 등록) SBX 시리즈, SBX-8, 굴절률 1.59, 평균 입경 8.0 ㎛, 변동계수 CV 37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제조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
구상 입자를 무공질 벤조구아나민·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입자((주)닛본 쇼꾸바이 제조 에포스타(상표 등록), 에포스타 M05, 굴절률 1.66, 평균 입경 5.2 ㎛, 변동계수 CV 35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제조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5)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 %의 용액, 굴절률 1.49, (주)닛본 쇼꾸바이 제조): 10.0 g, 아세트산에틸: 25 g, 실리콘 입자(GE 도시바 실리콘(주)제조 토스팔(등록상표), 토스팔 125, 굴절률 1.42): 9.2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포액을 준비하였다. 225 ㎛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R)의 한쪽면에 마쓰오 산교(주)제조 바코터 번수 12를 사용하여 이 도포액을 도포하고, 120 ℃, 1 분간의 건조 조건으로 도포층을 설치하였다.
Figure 112009075309591-PCT00001
Figure 112009075309591-PCT00002
각 실시예, 비교예의 대비에 의해 이하의 것을 알 수 있다.
(내광성)
·도포층 중 구상 입자가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화제를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1 내지 11은, 도포층 중에 구상 입자가 없는 비교예 1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내광성이다. 도포층 중에 구상 입자를 넣었다고 해도, 그의 구상 입자가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화제를 함유하고 있으면 내광성을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공중합 단량체로서 스티렌을 포함하지 않는 구상 입자 A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3, 6 내지 11은, 공중합 단량체로서 스티렌을 포함하는 구상 입자 B, C를 사용한 실시예 4, 5 및 구상 입자가 없는 비교예 1보다도 내광성이 양호하다. 구상 입자의 단량체 조성의 선택에 의해, 도포층 중에 구상 입자를 넣었어도 내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포층 중 구상 입자가 자외선 흡수제도 광 안정화제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2 내지 4는, 도포층 중에 구상 입자가 없는 비교예 1보다도 내광성이 떨어진다.
(휘도 향상)
·도포층 중 구상 입자와 결합제 수지와의 굴절률차가 동일한 실시예 1 내지 3을 대비하면, R>H를 만족시키는 구상 입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휘도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R>H를 만족시키는 구상 입자의 수가 거의 동일한 실시예 3 내지 5를 대비하면, 구상 입자와 결합제 수지와의 굴절률차가 작을수록 휘도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R>H를 만족시키는 구상 입자의 수가 거의 동일한 실시예 5와 비교예 4를 대비하면, 굴절률차가 0.10 미만이면 휘도에 유의차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교예 4는 도포층 중에 구상 입자가 없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휘도가 떨어지고, 단순히 R>H를 만족시키는 구상 입자가 있는 한 휘도가 향상되지 않으며, 굴절률차가 0.10 미만으로 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R>H를 만족시키는 구상 입자의 수가 거의 동일한 비교예 2와 비교예 3을 대비하여도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휘도 불균일 개선, 밀착성)
·도포층 중 구상 입자의 함유량만을 변경한 실시예 6 내지 11을 대비하면,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휘도 불균일은 개선되지만, 밀착성은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9로부터, 함유량이 특히 바람직한 65 내지 75 중량%의 범위 내에 있으면, 휘도 불균일 개선과 밀착성이 모두 양호해져 균형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포층 중 구상 입자의 함유량이 동일한 실시예 9와 비교예 5를 대비하면, 변동계수 CV가 20 % 미만인 비교예 5는, 20 % 이상인 실시예 9에 비하여 휘도 불균일 개선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백색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구상 입자를 갖는 도포층을 적층한 백색 반사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층 전체에 대한 구상 입자의 함유량이 50 내지 85 중량%인 백색 반사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층을 형성하는 구상 입자와 결합제 수지와의 굴절률차의 절대값이 0.10 미만인 백색 반사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입자의 변동계수 CV가 20 % 이상인 백색 반사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입자에 함유되는 자외선 흡수제가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옥살산아닐리드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트리아진계,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및 산화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자외선 흡수제인 백색 반사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입자에 함유되는 광 안정화제가 힌더드 아민계의 광 안정화제인 백색 반사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입자가 상기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 안정화제를 공중합시킨 구상 입자인 백색 반사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입자가 아크릴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공중합체, 및 아크릴계 비닐 단량체와 스티렌계 비닐 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구성되어 있는 백색 반사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을 그의 도포층면을 광원측으로 향하도록 설치한 엣지라이트형의 액정 백 라이트.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을 그의 도포층면을 광원측으로 향하도록 설치한 직하형의 액정 백 라이트.
KR1020097025500A 2007-05-08 2008-04-17 백색 반사 필름 KR101260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23064 2007-05-08
JPJP-P-2007-123064 2007-05-08
JP2008001982 2008-01-09
JPJP-P-2008-001982 2008-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680A true KR20100017680A (ko) 2010-02-16
KR101260102B1 KR101260102B1 (ko) 2013-05-02

Family

ID=40002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500A KR101260102B1 (ko) 2007-05-08 2008-04-17 백색 반사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262715B2 (ko)
KR (1) KR101260102B1 (ko)
CN (1) CN101646962B (ko)
TW (1) TWI459045B (ko)
WO (1) WO20081398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7267A (ja) * 2013-06-07 2014-12-1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発泡シート、光反射板、バックライトパネル、及び発泡シートを作製するための樹脂シート、並びに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
CN107272091A (zh) * 2013-08-07 2017-10-20 帝人杜邦薄膜日本有限公司 白色反射膜
US10743412B2 (en) 2014-02-27 2020-08-11 Shin-Etsu Chemical Co., Ltd. Substrate and semiconductor apparatus
CN107111014B (zh) * 2015-01-05 2020-05-19 帝人薄膜解决方案有限公司 直下型面光源用白色反射膜及使用该膜的直下型面光源
EP3282290B1 (en) * 2016-08-09 2018-10-17 Essilor International Composition for the manufacture of an ophtalmic lens comprising an encapsulated light-absorbing additiv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2501B2 (ja) * 2000-07-12 2012-02-08 東レ株式会社 面光源反射部材用白色フィルム
JP4727851B2 (ja) * 2001-06-27 2011-07-20 株式会社日本触媒 耐光性に優れたスチレン系微粒子集合体、該集合体を用いた光拡散剤および該集合体の製造方法
JP4681791B2 (ja) * 2002-08-22 2011-05-11 恵和株式会社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4226604A (ja) * 2003-01-22 2004-08-12 Sekisui Plastics Co Ltd 合成樹脂粒子、光拡散板、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5070253A (ja) * 2003-08-22 2005-03-17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装置背面光源用反射シート
JP4423924B2 (ja) * 2003-10-16 2010-03-03 凸版印刷株式会社 反射シート
JP4574978B2 (ja) * 2003-11-28 2010-11-04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複合粒子及び分散体
JP2006023422A (ja) 2004-07-07 2006-01-26 Panac Co Ltd 積層反射板
JP4777638B2 (ja) 2004-11-19 2011-09-21 三菱樹脂株式会社 反射フィルム
JP2006243084A (ja) * 2005-03-01 2006-09-14 Denki Kagaku Kogyo Kk 光拡散板
JP2006267592A (ja) * 2005-03-24 2006-10-05 Soken Chem & Eng Co Ltd 光拡散板
JP2007041441A (ja) * 2005-08-05 2007-02-15 Toray Ind Inc 面光源反射部材用白色フィルム
JP2007086417A (ja) * 2005-09-22 2007-04-05 Mitsubishi Gas Chem Co Inc 光拡散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46962A (zh) 2010-02-10
JP5262715B2 (ja) 2013-08-14
TWI459045B (zh) 2014-11-01
CN101646962B (zh) 2012-03-07
WO2008139824A1 (ja) 2008-11-20
TW200900748A (en) 2009-01-01
KR101260102B1 (ko) 2013-05-02
JPWO2008139824A1 (ja)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1443B (zh) 白色反射薄膜
JP5292812B2 (ja) 光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117147B1 (ko) 백색 반사 필름
KR101260102B1 (ko) 백색 반사 필름
JP5098834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5532799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2008286907A (ja) 反射用積層体
JP5749005B2 (ja) 直下型バックライ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