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6590A - 천공 슬랫 트롤 도어 - Google Patents

천공 슬랫 트롤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6590A
KR20100016590A KR1020097023877A KR20097023877A KR20100016590A KR 20100016590 A KR20100016590 A KR 20100016590A KR 1020097023877 A KR1020097023877 A KR 1020097023877A KR 20097023877 A KR20097023877 A KR 20097023877A KR 20100016590 A KR20100016590 A KR 20100016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oll
main deflector
perforated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3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렌타인 가브릴로비치 페레보시치코브
세리프 아담 사프와트
Original Assignee
함피드얀 에이치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피드얀 에이치에프 filed Critical 함피드얀 에이치에프
Publication of KR20100016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4Devices for spreading or positioning, e.g. control thereof
    • A01K73/045Devices for spreading or positioning, e.g. control thereof for lateral sheering, e.g. trawl boar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주 전향체(22, 22U, 22L)를 구비하는 트롤 도어(20, 60) 또는 패러베인(120, 140)은 주 전향체(22, 22U, 22L)의 외측 표면(34)으로부터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투과성 구조체를 포함한다. 투과성 구조체는 주 전향체(22, 22U, 22L)의 뒷전(26, 26U, 26L) 근방으로부터 외측 표면(34)의 상방에 이격되어 주 전향체의 앞전(24, 24U, 24L)을 향해 뻗어 있다. 투과성 구조체의 한 실시 형태에서, 다수의 구멍(54, 56)이 천공 슬랫(52, 52U, 52L)에 천공되고 그에 따라 주 전향체(22, 22U, 22L)의 외측 표면(34) 근방에 다공성 표면을 형성한다. 투과성 구조체의 천공 슬랫(52, 52U, 52L)을 트롤 도어(20, 60)에 추가하면, 트롤 도어가 수중에서 견인될 때에 트롤 도어의 안정성이 증가하고, 고영각으로 작동 시에 트롤 도어의 항력이 감소한다.
트롤 도어, 천공 슬랫, 구멍, 전향체, 고영각, 항력, 양력

Description

천공 슬랫 트롤 도어{PERFORATED SLAT TRAWL DO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트롤 도어(trawl door)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고영각(high angle of attack)에서 안정적이고 더욱 효율적인 작업에 적합한 트롤 도어에 관한 것이다.
트롤은, 어류를 비롯한 해양 생물의 포획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수주(water column) 압력을 받으면서 견인되거나 해저를 따라 견인되는 원추대 형상의 대형 망이다. 이동하는 견인 선박의 후방에서 견인되는 트롤은 흔히 "트롤 도어"라고도 하며, 트롤을 전개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트롤 도어는 트롤 도어의 중간 지점에 또는 그 근방에서 트롤 도어에 고정된 하나의 주 견인 삭구(main towing warp)나 기타 견인 라인에 의해 견인 선박에 부착된다. 그런 다음, 트롤은 트롤 도어의 양단 또는 그 근방에서 트롤 도어에 고정된 한 쌍의 견인 계삭(towing bridle), 즉 상부 및 하부 계삭에 의해 트롤 도어에 부착된다. 트롤 도어는 다른 명칭으로도 불리는데, 주로 "오터 보드(otter board)" 또는 "도어"라고 불린다. 트롤 도어는 지진 탐사 업계에서 사용될 경우에 흔히 "전향체(deflector)"라고 불리며, 다수의 "날개(wing)", "주판(main plate)" 및/또는 "슬랫(slat)"을 구비할 수 있다.
견인 중의 특정 형상의 트롤 도어는 소정 범위의 영각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나, 수중에서 고영각으로 견인될 때에는, 대부분의 트롤 도어는 불안정성 및/또는 낮은 효율, 즉 높은 항력(drag)을 나타낸다. "고영각"이라는 용어의 사용 및 그 의미는 어업마다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특히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트롤 도어가 특정 영각을 위하여 달리 구성되어 선적될 경우에는, 트롤 도어에 연결된 계삭 및/또는 만곡부(sweep)의 각 길이에 따라서 궁극적으로 여러 영각으로 어업이 이루어진다. 유사하게, 트롤의 하측 로프(footrope)와 상측 로프(headrope)의 각각의 길이는 수중에서의 견인 중에 트롤 도어의 영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견인 선박의 기동성도 트롤 도어의 영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트롤 도어의 실제 영각에 영향을 미치는 전술한 요인들이 독립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러한 요인들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견인 중의 트롤 도어의 실제 작동의 영각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30°, 특히 35°를 초과하는 고영각에서, 대부분의 트롤 도어는 불안정성 및 낮은 효율, 즉 높은 항력을 나타낸다. 그러나, 트롤 도어는 통상적으로 그와 같은 고영각으로 작동하여 충분한 항력에 기인하는 방향력(directional force)을 트롤 도어에 생성함으로써, 트롤 도어 시스템에 충분한 안정성을 부여하고 그에 따라 트롤 도어를 조업 가능한 방향으로 유지한다. 예를 들면, 견인 선박이 선회할 때에, 내장형 트롤 도어는 물에 대하여 거의 안정화될 수 있다. 이미 밝혀져 있는 바와 같이, 트롤 도어가 감속되면, 물과의 관계에 있어서 트롤 도어의 전개력(spreading force), 즉 트롤 도어의 항력에 기인하는 방향력이 감소한다. 트 롤 도어가 강한 측류(side current)를 겪을 때에도 동일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트롤 도어에 불안정성을 일으킬 수 있는 또 다른 상황은 트롤의 일부가 해저와 접촉하는 경우이다. 이미 밝혀져 있는 바와 같이, 해저와 접촉하는 트롤은, 상측 견인 계삭을 통해 트롤 도어에 가해지는 힘에 비하여, 하측 견인 계삭을 통하여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황에서 트롤 도어가 작동할 때에, 트롤 도어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트롤 도어가 고영각으로 작동할 필요가 있다.
공지의 트롤 도어의 현저하게 불리한 점은, 알라스칸 폴락(Alaskan Pollock) 수산업계에서와 같이, 고영각으로 작동하는 트롤 도어를 사용하는 트롤 어선이 "저속" 선회(gear down turn)를 거의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오히려, 일부 트롤 작업자들은 효율적인 방향 변경 선회를 하기 전에 표면 또는 그 근방으로 트롤 도어를 인양한다. 선회 중에 트롤 도어들이 표면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지 않으면, 트롤 도어들은 실속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서로를 분리시켜 전개하고 유지하는 능력을 상실한다. 트롤 도어들이 전개 능력을 상실하면, 서로 교차하게 되어 "도어 교차(crossing the doors)"라고 알려진 현상이 발생한다. 교차된 트롤 도어를 보수하는 것은 위험할 뿐만 아니라 시간 소모적인 작업이므로, 일부 트롤 작업자들은 "도어 교차"의 위험을 감수하기보다는, 선회 전에 트롤 도어를 표면 또는 그 근방으로 인양하는 것을 선호한다.
일반적으로 특정 어종은 해양의 특정 깊이에 집중되어 있는 점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그러한 어종이 집중되어 있는 특정 깊이에서 어업을 하면, 의도하지 않은 어종이 상당량 포획되는 것, 즉 부수적 포획(by-catch)을 경감할 수 있다. 효 율적인 선회를 위한 트롤 도어의 인양과 관련된 단점은, 포획하고자 하는 어종이 집중되어 있는 특정 해양 깊이로부터 트롤이 상승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트롤 도어를 인양하게 되면, 트롤의 인양 중에 그리고 그 후에, 트롤이 여러 해양 깊이를 통과하여 승강하는 동안에, 의도하지 않은 어종의 포획(부수적 포획)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많은 트롤 작업자들은 선회를 위한 트롤 도어의 인양이 성가신 작업이라고 여긴다. 따라서, 그러한 작업자들은 흔히 선회를 하지 않고, 포획하고자 하는 어종이 덜 집중되어 있는 해양의 다른 영역으로 항로를 유지한다. 불행히도, 포획량이 적은 해양 영역에서 트롤을 견인하면 부수적 포획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에 의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트롤 도어, 예를 들면 30° 이상의 고영각에서 향상된 양력 상수(lift constant) "u"를 일반적으로 나타내고 그리고/또는 더욱 낮은 항력을 나타내는 트롤 도어에 대한 필요성이 오래전부터 존재하여 왔다.
고영각으로 작동하는 트롤 도어에 의해 나타나는 불안정성은 흔히 "동적 실적(dynamic stall)"이라고 불리는 현상에 기인할 수 있다. 날개(airfoil) 또는 수중익(hydrofoil)을 지나 유동하는 유체가 그로부터 분리될 경우에, 날개 또는 수중익은 실속된다. 실속은 유동이 날개 또는 수중익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에서 본질적으로 일정한 안정적인 유형일 수 있다. 또는, 유동 분리는 날개 또는 수중익에 대하여 분리 위치가 시간 및 유동 조건에 따라 변동되는 불안정한 유형일 수 있다. 유체 역학의 과학 문헌에서,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의 동적 실속과 축방향 압축기 블레이드의 회전 실속은, 불안정 유동 분리에 기인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에 관 하여 널리 알려진 예를 제공한다. 두 가지 실속에서 생성된 큰 진동력(oscillatory force)과 모멘트는, 검토되지 않을 경우에, 그와 같은 장치의 심각한 구조적 손상과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지. 알. 스리니바산(G. R. Srinivasan), 제이. 에이. 에카테리나리스(J. A. Ekaterinaris) 및 더블유. 제이. 맥크로스키(W. J. MaCroskey)의 "진동 날개의 불안정 유동에 대한 난류 모델의 평가(Evaluation of Turbulence Models for Unsteady Flows of an Oscillating Airfoil)"[컴퓨터즈 & 플루이드즈(Computers & Fluids), 24권, 7호, 833페이지 ~ 861페이지]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동적 실속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공기 역학적 본체 또는 양력 표면의 실속 현상과 불안정한 분리를 지칭한다. 미국 특허 공보 제6,267,331호('331 특허)에 기재된 바와 같이, 날개 또는 수중익 상에서의 동적 실속을 특정하는 주된 특징은, 앞전(leading edge) 근방에서 개시되어 확대된 후에 날개를 따라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강력한 선회류(vortical flow)이다. 날개 또는 수중익이 동적 실속 각도 한계를 지나 상당한 고영각에 이르게 되면, 그에 따른 불안정 유동장(flowfield)은 광범위한 분리와 대규모 선회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유동장 구조와 동적 실속에 의해 생성되는 유동장 구조의 중요한 한 가지 차이점은 불안정 분리와 재부착(reattachment) 과정의 대규모 이력 현상(hysteresis)이다. 동적 실속이 발생하면, 양력, 항력 및 피칭 모멘트 계수의 최대값은 그에 대응하는 정적인 값을 상당히 초과할 수 있고, 날개 또는 수중익 표면의 불안정 운동을 무시하면 이러한 상태의 정량적 거동조차도 재현될 수 없다.
전형적으로, 동적 실속의 문제는 몇 가지 유형의 날개 형상 수정(예를 들면, 앞전 슬랫) 또는 경계층 제어(예를 들면, 분출 또는 흡인)에 의해 해결되는데, 이와 같은 변경은 구체적으로는 선회류가 개시되는 앞전 영역에 이루어진다. '331 특허에는 이제까지 시도된 동적 실속 제어의 모든 방법이 만족스럽지 않았다고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비하여 날개와 수중익의 동적 실속 제어에 관한 만족스러운 방법이 필요하다는 점은 널리 인식되어 있고, 그러한 방법이 마련된다면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정의>
종횡비: 트롤 도어 높이와 트롤 도어 폭의 비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높이가 2m이고 폭이 1m인 트롤 도어는 종횡비가 2:1이다.
프로파일(profile): 트롤 도어의 연직 치수에 수직한 방향으로 향한 면에서 관찰한 트롤 도어 또는 트롤 도어 일부의 단면 형상을 의미한다.
트롤 도어: 견인 선박의 후방에서 수중에서의 전개(deployment)에 적합한 일반적인 강성 전향체(예를 들면, 연과 같은 접이식 구조로 형성되지는 않음)를 구비하고 본질적으로 강성인 다양한 모든 구조체를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트롤 도어는, 트롤과 같은 어망을 전개하거나, 예를 들면 해저와 해저 아래의 음파 관측에 사용되는 지진 관측 배열체(seismic surveillance array) 및/또는 지진 탐사 배열체를 전개하거나, 대기 또는 해양에서 견인되는 기타 물체를 분리하여 전개하는 일반적인 모든 날개 형상 및/또는 지느러미(fin) 형상의 장치를 의미한다. 트롤 도어는, 일반적으로 견인 선박에 연결된 주 견인 삭구 또는 기타 견인 라인의 말단에 전방 단부가 부착되고, 궁극적으로 또 다른 견인 물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라인에 후방 단부가 부착된다. 트롤 도어는 작동 시에, 트롤, 지진 관측 견인 배열 복합체, 패러베인(paravane) 라인 등을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전개하기 위한 목적으로, 견인 선박에 의해 부여된 전향 이동 및/또는 에너지의 일부를 수평 방향력으로 전환한다.
트롤 도어 높이: 트롤 도어의 높이는 트롤 도어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 사이의 최단 거리로 정의된다. 트롤 도어 높이 측정치는 일반적으로 중량 슈(weight shoe), 마모 판 등과 같은 부재를 포함하지 않으며, 양력 및/또는 추력(thrust)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트롤 도어 구조체의 부분과 관련이 있다.
트롤 도어 폭: 트롤 도어의 폭은 트롤 도어의 일부의 프로파일로부터 측정된 앞전과 뒷전(trailing edge) 사이의 최단 거리로 정의된다. 직선형 앞전과 뒷전을 구비하는 트롤 도어의 경우에, 트롤 도어의 수직 방향을 따라 모든 위치에서 폭은 동일하다. 굴곡(swept back) 형상의 트롤 도어의 경우에, 트롤 도어의 폭은 트롤 도어의 수직 방향을 따라 여러 장소에서의 여러 프로파일 위치에서 측정된 여러 트롤 도어 폭 측정치의 합의 평균치로서 표현될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그와 같은 트롤 도어는 전형적으로 중간보다는 양단에서 폭이 더 작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안정적인 트롤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를 들면 30°보다 크고, 특히 36°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40°보다 큰 고영각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트롤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간략히 표현하자면, 수중에서 견인되도록 구성된 개량형 트롤 도어는 적어도 하나의 주 전향체를 포함한다. 주 전향체는 내측 및 외측 표면에 의해 형성된 프로파일을 가진다. 주 전향체의 프로파일은 주 전향체의 앞전과 뒷전 사이의 거리의 시위(chord)를 길이로 하고, 최대 두께부(maximum thickness)를 구비한다. 개량형 트롤 도어는, 투과성 구조체가 존재하지 않는 트롤 도어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트롤 도어 효율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투과성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트롤 도어가 수중에서 고영각으로 견인될 때에 트롤 도어 안정성,
2. 트롤 도어 항력,
3. 개량형 트롤 도어에 대해 측정된 양력 계수(lift coefficient)를 개량형 트롤 도어에 대해 측정된 항력 계수(drag coefficient)로 나누어 얻은 수치,
4. 소음 발생.
개량형 트롤 도어의 투과성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는 주 전향체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되고, 주 전향체의 최대 두께부와 뒷전 사이에 배치된다.
한 실시 형태에서,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천공 슬랫이 투과성 구조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천공 슬랫 투과성 구조체는 주 전향체의 외측 표면에 이웃하는 다공성 표면을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종방향 간극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고상 재료의 세장형 스트립(elongated strip)이 투과성 구조체를 제공한다. 길이와 폭을 가진 세장형 고상 재료 스트립은, 견인되는 트롤 도어의 주 전향체를 지나 유동하는 수류에 주로 평행하게 배향된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세장형 고상 재료 스트립의 폭은, 견인되는 트롤 도어의 주 전향체를 지나 유동하는 수류에 주로 수직하게 배향된다.
본 발명에 따라 투과성 구조체를 채용하는 트롤 도어에 의해 제공되는 장점에 의하면, 예를 들어 30°보다, 특히 36°보다, 바람직하게는 40°보다 큰 고영각으로 작동할 때에, 트롤 도어 안정성이 증가하고, 트롤 도어 각도 작동 범위가 증가하고, 달성 가능한 트롤 도어 양력과 그에 따른 트롤 입구(trawl-mouth) 전개력이 증가하며, 이러한 특성들은 종래의 트롤 도어가 상응하는 고영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었을 경우에 나타나는 특성에 비하여 향상된다.
개량형 트롤 도어 구조체의 또 다른 장점은 종래의 트롤 도어에 비하여 작은 소음 발생이다. 개량형 트롤 도어 구조체는 종래의 트롤 도어 구조체에 비하여 후방 난류(wake turbulence)가 상당히 작다. 작은 후방 난류는 지진 관측 배열체 내에 견인 패러베인이 포함되었을 경우에 특히 바람직한 작은 소음 발생에 해당한다. 지진 관측에는, 음파 데이터를 수집하고 후속 처리하여 수중 구조체의 화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선박의 후방에 견인되는 마이크 배열체가 사용된다. 이미 밝혀져 있는 바와 같이, 패러베인 소음 발생은 수중 지진 관측 화상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특징, 목적 및 장점과 기타 특징, 목적 및 장점은, 여러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상세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거나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주 전향체를 포함하고 직선형 앞전과 뒷전을 구비하는 트롤 도어의 한 실시 형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며, 개시된 트롤 도어는 주 전향체로부터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되고 지지된 다공성 천공 슬랫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서의 선 2-2를 따라 절단하여 트롤 도어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3-3을 따라 일부를 절단하여 도 1에 도시된 트롤 도어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도시에 대응하는 단면도로서, 트롤 도어의 천공 슬랫과 주 전향체의 구체적 형상을 나타내고, 트롤 도어 내에 포함된 여러 만곡형 구성 요소에 대한 상대 크기에 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도 5는 도 3의 도시와 유사한 평면도로서, 천공된 다수의 세장형 직사각형 구멍을 구비하는 트롤 도어의 천공 슬랫에 대한 구체적인 형상을 나타내며, 구멍의 최장 치수는 주 전향체의 시위에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와 유사한 평면도로서, 천공된 다수의 세장형 직사각형 구멍을 구비하는 트롤 도어의 천공 슬랫의 또 다른 구체적인 형상을 나타내며, 천공 슬랫에 천공된 구멍의 최단 치수는 주 전향체의 시위에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다.
도 7은 도 3의 도시와 유사한 평면도로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직사각형 구멍과는 달리, 천공된 다수의 원형 구멍을 구비하는 트롤 도어의 천공 슬랫의 또 다른 구체적인 형상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3의 도시와 유사한 평면도로서, 천공된 다수의 세장형 직사각형 구멍을 구비하는 트롤 도어의 천공 슬랫에 대한 또 다른 구체적인 형상을 나타내며, 구멍들 중 일부는 최장 치수가 주 전향체의 시위에 평행하게 배향되고, 구멍들 중 나머지는 최단 치수가 주 전향체의 시위에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3,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천공 슬랫에 천공된 세장형 직사각형 구멍의 선택적인 만곡 형상, 갈퀴 형상 및 첨두 형상을 나타내는 천공 슬랫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라 트롤 도어의 중간에서 서로 결합되어 접하는 2개의 주 전향체 본체를 포함하는 V 형상(2면 형상) 트롤 도어의 상측 표면과 하측 표면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트롤 도어는 주 전향체 본체 각각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이웃하게 각각 배치된 2개의 천공 슬랫을 또한 포함한다.
도 11은 도 11a, 도 11b, 도 11c 및 도 11d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도 11a 내지 도 11d는 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트롤 도어를 구성하는 데에 유용한 상세 기술 정보를 제공하는 스프레드시트를 형성한다.
도 12는 지진 관측 배열체에 포함되도록 구성되고 4개의 주 전향체를 포함하는 패러베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주 전향체들 중 하나만이 천공 시트를 포함한다.
도 13은 도 12의 선 13-13을 따라 절단하여 패러베인의 프로파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지진 관측 배열체에 포함되도록 구성되고 4개의 주 전향체를 포함하는 패러베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각각의 주 전향체는 천공 슬랫을 포함한다.
도 15는 도 14에서의 선 15-15를 따라 절단하여 패러베인의 프로파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의 사시도는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따라 개선된 트롤 도어를 예시하며, 전체가 도면 부호 20으로 표시되어 있다. 트롤 도어(20)는 앞전(24)과 뒷전(26)을 구비하는 주 전향체(22)를 포함하며, 도 2에 도시된 트롤 도어(20)의 프로파일에 의해 가장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트롤 도어(20)의 실시 형태에서, 만곡형 강판(cambered steel plate)이 주전향체(22)를 형성한다. 도 2에 예시된 특정 프로파일에 있어서, 주 전향체(22)는 앞전(24)과 뒷전(26) 사이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는 최대 두께부(28)를 구비한다. 주 전향체(22)를 형성하는 강판은, 앞전(24)과 뒷전(26) 사이에 뻗어 있는 주 전향체(22)의 시위(36)를 길이로 하여 만곡형 내측 표면(32)과 만곡형 외측 표면(34)을 구비한다. 트롤 도어(20)는 주 전향체(22)와 유사하게 만곡형 강판으로 형성된 한 쌍의 만곡형 앞전 슬랫(42A, 42B)으로 이루어진 앞전 양력 증진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주 전향체(22)의 앞전(24)으로부터 최외측에 배치된 앞전 슬랫(42B)의 앞전(44B)은 트롤 도어(20)의 앞전을 형성한다. 앞전 슬랫(42)의 앞전(44A)은 앞전(44B)과 앞전(24) 사이에 배치된다.
트롤 도어(20)는, 주 전향체(22) 및 앞전 슬랫(42A, 42B)과 함께, 하측 및 상측 단부 판(48A, 48B)을 또한 포함한다. 주 전향체(22)와 앞전 슬랫(42A, 42B)의 양 단부는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하여 하측 및 상측 단부 판(48A, 48B)에 각각 고정되어, 트롤 도어(20)의 여러 부재들 사이의 연결 관계를 안정화하고 유지한다. 개시 내용 중에서 투과성 구조에 관한 설명을 제외한 트롤 도어(20)의 구조는 일반적인 것으로서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개량형 트롤 도어(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전향체(22)의 외측 표면(34) 근방에 이격되어 배치된 천공 슬랫(52)인 투과성 구조체를 또한 포함한다. 천공 슬랫(52)은, 주 전향체(22)의 뒷전(26) 근방에 위치하는 뒷전(58)부터, 외측 표면(34)의 상방에 이격되어 주 전향체(22)의 앞전(24)을 향하여, 앞전(59)까지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천공 슬랫(52)의 적어도 일부는, 주 전향체(22)의 최대 두께부(28)와 뒷전(26) 사이에서, 주 전향체(22)의 외측 표면(34) 근방에 이격되어 위치한다. 도 2와 도 4에 도시된 특정 트롤 도어(20)의 프로파일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문자 파라미터 "f"는 주 전향체(22)의 시위(36)로부터 주 전향체(22)까지의 최대 두께부(28)의 치수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천공 슬랫(52)은 주 전향체(22) 및 앞전 슬랫(42A, 42B)과 유사하게, 만곡형 강판으로 형성된다. 또한, 주 전향체(22) 및 앞전 슬랫(42A, 42B)과 유사하게, 천공 슬랫(52)의 양 단부는,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하여 하측 및 상측 단부 판(48A, 48B)에 각각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천공 슬랫(52)은 다수의 세장형 직사각형 구멍(54)이 천공되어 있다는 점에 의해 주 전향체(22)와 앞전 슬랫(42A, 42B)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천공 슬랫(52)의 시트 재료에 직사각형 구멍(54)이 천공되어 있기 때문에, 트롤 도어(20)를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천공 슬랫(52)은 길이를 따라서 선정된 여러 위치에 용접된 지지 구조체에 의하여 주 전향체(22)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천공 슬랫(52)의 특정 실시 형태에서, 직사각형 구멍(54)은 평행한 열로 배치되고, 구멍의 길이 방향은 주 전향체(22)의 시위(36)에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30° 이내로, 바람직하게는 20° 이내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내로 배향된다.
도 4의 단면도는 천공 슬랫(52)과 주 전향체(22)의 구체적 형상을 나타내며, 트롤 도어(20) 내에 포함된 여러 만곡형 구성 요소의 상대적 크기에 관한 상세 기술 정보를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주 전향체(22)와 천공 슬랫(52)의 구체적인 설계 정보는 만곡형 주 전향체(22)의 원호의 시위(36)의 길이("L")에 기초하여 크기가 조정된다. 도 4와 그 이후의 도면들에서 수식 내의 2개의 수치 사이에 기재된 기호 "÷"는 첫 번째 수치부터 두 번째 수치까지의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도 4 내의 하나의 별표("*")는, 도 4에 도시된 구조 관계를 가진 주 전향체(22)와 천공 슬랫(52)에 대한 양력(lift)에 있어서 최상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실험적으로 결정된 특정 파라미터의 값(별표로 표시된 값)을 나타낸다. 원호형 주 전향체(22)의 시위(36)에 대한 높이의 비가 0.23 내지 0.25의 범위일 경우에, 특정 파라미터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된 최적의 값은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Lw = (0.70 내지 0.80)L, 여기서 L은 시위(36)의 길이
h1 = (0.045 내지 0.075)L
h2 = (0.040 내지 0.075)L
h4 ≥ h2
ΔL = (0.24 내지 0.33)L
도 4에서 두 개의 별표("**")는 천공 슬랫(52)에 대한 최대 허용 두께를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8의 평면도는 도 4의 단면도에 도시된 트롤 도어(20)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하여 천공 슬롯(52)에 형성된 구멍들의 다양한 배치를 나타낸다. 도 5의 평면도는 직사각형 구멍(54)의 구체적 형상에 대한 파라미터 값을 제공하며, 직사각형 구멍(54)의 최장 치수의 방향은 주 전향체(22)의 시위(36)와 평행하다. 도 6의 평면도는, 최단 치수의 방향이 주 전향체(22)의 시위(36)와 평행한 직사각형 구멍(54)의 구체적 형상에 대한 파라미터 값을 제공한다. 도 7의 평면도는 시트 재료에 형성된 원형 구멍을 구비하는 천공 슬랫(52)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며, 그와 같은 원형 개구부의 파라미터 값을 제공한다. 도 8의 평면도는 사각형 구멍(54)의 구체적인 형상의 파라미터 값을 제공하며, 직사각형 구멍(54)의 일부는 그 최장 치수의 방향이 주 전향체(22)의 시위(36)와 평행하고, 나머지는 최단 치수의 방향이 시위(36)와 평행하다.
도 1 내지 도 8은, 주 전향체(22)의 외측 표면(34) 근방에 배치된 다공성 표면을 제공하도록, 평행한 열로 배치된 직사각형 구멍(54) 또는 원형 구멍(56)을 나 타낸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와 폭의 비가 10:1 내지 15:1의 범위인 직사각형 구멍(5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개시 내용에 따르면, 천공 슬랫(52)에 형성된 구멍은 직사각형 구멍(54) 및/또는 원형 구멍(56) 이외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주 전향체(22)의 시위(36) 및/또는 앞전(24)과 뒷전(26)에 대하여 크기, 방향 및 배치가 다를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의 평면도는 천공 슬랫(52)의 일부를 나타내며, 형성된 직사각형 구멍(54)의 단변측 단부의 대안적 형상을 각각 나타낸다. 도 9a는 만곡 형상(round-shape)(112)으로 형성된 단변측 단부를 구비하는 직사각형 구멍(54)을 나타낸다. 도 9b는 갈퀴 형상(prong-shape)(114)으로 형성된 단변측 단부를 구비하는 직사각형 구멍(54)을 나타낸다. 도 9c는 첨두 형상(pointed-shape)(116)으로 형성된 단변측 단부를 구비하는 직사각형 구멍(54)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주 전향체(22)와 천공 슬랫(52)을 포함하는 트롤 도어(20) 및 천공 슬랫(52)을 다공화하는 구멍의 특정 실시 형태에 대해 선정된 구성은 실험적으로 결정되어야 하며, 수로 탱크(flume tank) 내에서 트롤 도어(20)의 모형을 실험적으로 테스트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a와 도 10b의 사시도는 본 발명에 따라 개량된 V 형상(2면 형상)의 트롤 도어[Vee-shaped (dihedral) trawl door]를 나타내며, 그 전체가 도면 부호 60으로 도시되어 있다. 트롤 도어(60)는 상측 트롤 도어 구획부(62)와 하측 트롤 도어 구획부(64)를 포함한다. 도 10a와 도 10b에 도시된 상측 트롤 도어 구획부(62)와 하측 트롤 도어 구획부(64) 각각은 구조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트롤 도 어(20)와 매우 유사하다. 상측 및 하측 트롤 도어 구획부(62, 64)는 중심 판(72)을 따라서 하측 트롤 도어 구획부(4)의 상측 가장자리(64UE)와 대향하는 상측 트롤 도어 구획부(62)의 하측 가장자리(62LE)를 따라서 서로 인접한다. 도 1에 도시된 트롤 도어(20)와 유사하게, 트롤 도어(60)는 하측 단부 판(48A)과 상측 단부 판(48B)을 포함한다. 상측 트롤 도어 구획부(62)와 하측 트롤 도어 구획부(64)의 서로 대응하는 외측 표면들은 각각 다른 면에 존재하고, 그에 따라 트롤 도어(60)에 2면 형상의 V 형상을 제공한다. 트롤 도어(60)의 앞전 및 뒷전은 굴곡형이 아닌 직선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 트롤 도어 구획부(62)는, 만곡형 강판으로 형성되고 상측 앞전(24U)과 상측 뒷전(26U)을 구비하는 상측 주 전향체(22U)를 포함한다. 상측 트롤 도어 구획부(62)는, 한 쌍의 상측 앞전 슬랫(42AU, 42BU)으로 이루어지고 상측 주 전향체(22U)와 마찬가지로 만곡형 강판으로 형성된 앞전 양력 증진 구조체를 또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 앞전 슬랫(42BU)은 상측 주 전향체(22U)의 상측 앞전(24U)으로부터 최외측에 배치된 상측 앞전(44BU)을 구비한다.
하측 트롤 도어 구획부(64)는, 만곡형 강판으로 형성되고 하측 앞전(24L)과 하측 뒷전(26L)을 구비하는 하측 주 전향체(22L)를 포함한다. 하측 트롤 도어 구획부(64)는, 한 쌍의 하측 앞전 슬랫(42AL, 42BL)으로 이루어지고 하측 주 전향체(22L)와 마찬가지로 만곡형 강판으로 형성된 앞전 양력 증진 구조체를 또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측 앞전 슬랫(42BL)은 하측 주 전향체(22L)의 하측 앞전(24L)으로부터 최외측에 배치된 하측 앞전(44BL)을 구비한다. 상측 앞전 슬 랫(42BU)의 상측 앞전(44BU)과 하측 앞전 슬랫(42BL)의 하측 앞전(44BL)은 조합되어 트롤 도어(60)의 앞전(44')를 형성한다. 유사하게, 상측 주 전향체(22U)의 상측 뒷전(26U)과 하측 주 전향체(22L)의 하측 뒷전(26L)은 조합되어 트롤 도어(60)의 뒷전(26')를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0a와 도 10b에 도시되어 있는 트롤 도어(60)는, 천공 슬랫에 관한 모든 설명 이외에는, 일반적으로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도 10a와 도 10b에 도시되어 있는 트롤 도어(60)의 중앙 판(72)은, 견인 선박으로부터 견인 중의 트롤 또는 기타 물체로 견인 하중을 전달하는 하중 지지 프레임의 일부이다. 따라서, 트롤 도어(60)가 트롤 시스템 내에 조립될 때에, 트롤 도어(60)에는 중앙 판(72)을 따라서 전방 및 후방의 다수의 여러 위치들 중 하나에 주 견인 삭구(74)가 부착된다. 유사하게, 트롤 도어(60)의 하부 단부 판(48A)에 천공된 다수의 후방 삭환 구멍(backstrop hole)(78) 중 하나에 하측 견인 계삭(76L)이 부착되고, 상측 단부 판(48B)에 유사하게 천공된 다수의 후방 삭환 구멍(78) 중 하나에는 상측 견인 계삭(76U)이 부착된다.
도 1에서의 트롤 도어(20)의 도면에는 주 견인 삭구(74)가 생략되어 있고, 하측 견인 계삭(76L)과 상측 견인 계삭(76U)만이 도시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측 단부 판(48A)에 부착된 하측 견인 계삭(76L)과 상측 단부 판(48B)에 부착된 상측 견인 계삭(76U) 대신에, 도 1에 도시된 트롤 도어(20)에 있어서는, 하측 견인 계삭(76L)과 상측 견인 계삭(76U) 모두는, 주 전향체(22)의 외측 표면(34)으로부터 천공 슬롯(52)의 양 단부 근방을 각각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 출한 판에 형성된 후방 삭환 구멍(78)에 부착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트롤 도어(20)와 유사하게, 트롤 도어(60)의 상측 트롤 도어 구획부(62)는, 상측 주 전향체(22U)의 외측 표면(34) 근방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천공되어 있는 상측 천공 슬랫(52U)과, 하측 주 전향체(22L)의 외측 표면(34) 근방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천공되어 있는 하측 천공 슬랫(52L)을 또한 포함한다. 상측 천공 슬랫(52U)과 하측 천공 슬랫(52L)은, 트롤 도어(60)의 뒷전(26')의 근방에서부터 상측 주 전향체(22U)와 하측 주 전향체(22L) 각각의 외측 표면(34)의 상방에 이격되어 상측 앞전(24U)과 하측 앞전(24L)을 향하여 연장된다. 상측 주 전향체(22U), 하측 주 전향체(22L), 상측 앞전 슬랫(42AU, 42BU) 및 하측 앞전 슬랫(42AL, 42BL)과 유사하게, 도 10a와 도 10b에 도시된 하측 천공 슬랫(52l)과 상측 천공 슬랫(52L)은 만곡형 강판으로 형성된다. 또한, 하측 천공 슬랫(52L)과 상측 천공 슬랫(52U)의 시트 재료에 구멍이 천공되어 있기 때문에, 트롤 도어(60)를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하측 천공 슬랫(52L)과 상측 천공 슬랫(52U)은 하측 주 전향체(22L)와 상측 주 전향체(22U)에 각 길이를 따라서 선정된 위치(82)에서 고정된다. 천공 처리된 하측 천공 슬랫(52l)과 상측 천공 슬랫(52U)은 하측 주 전향체(22L)와 상측 주 전향체(22U) 각각의 외측 표면(34) 근방에 다공성 표면을 제공한다.
트롤 도어의 통상의 사용 중에, 특별한 V 형상(2면 형상)의 트롤 도어가 해저 절벽의 협곡 벽의 측면에 접촉하거나 부적절한 장착 또는 상당히 강한 측류(side current)에 의해 기울어지면, 거의 모든 충격 손상은 트롤 도어의 앞전의 선단 근방에서 발생한다. 도 10a의 사시도는, 트롤 도어에 포함될 수 있고 트롤 도 어(60)의 하측 및 상측 단부 판(48A, 48B)에 내측에 인접하는 앞전 마모 판(86)을 가장 명확히 나타낸다. 마모 판(86)은 상측 앞전 슬랫(42AU, 42BU)과 하측 앞전 슬랫(42AL, 42BL)을 형성하는 재료 상에 적층된 제2 층의 강으로 형성된다. 트롤 도어(60) 및/또는 트롤 도어(20)의 하측 및 상측 단부 판(48A, 48B)에 인접한 말단부에 마모 판(86)이 갖추어지면, 트롤 도어의 사용 수명이 증가한다.
트롤 도어(20, 60)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하측 단부 판(48A)에 부착된 질량 가중 판(mass weight plate)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질량 가중 판의 추가는, 트롤 도어(20, 60)의 실제 조업(field operation) 중에 수주 내에서 의도된 트롤 도어의 위치(altitude)에 대하여 적절한 정도의 중량을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따르면, 트롤 도어(20 또는 60)는 수중에서 고영각으로 견인될 때에, 천공 슬랫(52)을 구비하지 않는 트롤 도어(20) 또는 상측 천공 슬랫(52U)과 하측 천공 슬랫(52L)을 구비하지 않은 트롤 도어(60)에 비하여, 더욱 작은 항력을 나타내고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도 11에 도시된 방식으로 도 11a 내지 도 11d를 병치하여 조합한 스프레드시트는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따라 트롤 도어를 구성하는 데에 유용한 기술적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도 11a 내지 도 11d를 병치하여 형성한 스프레드시트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1 내지 22의 번호가 부여된 수직 칼럼을 포함한다. 스프레드시트의 좌측의 칼럼 1의 하부에는, 트롤 도어(20)의 천공 슬랫(52)에 형성되거나 트롤 도 어(60)의 상측 천공 슬랫(52U)과 하측 천공 슬랫(52L)에 형성된 구멍의 2가지 선택적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천공 슬랫(52, 52U 또는 52L)에 형성된 구멍에 대한 이러한 형상의 예시는, 추가 상세 구조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스프레드시트 내의 다른 부분에서 사용되는 특별한 형상에 관한 기술적 세부 사항을 포함한다. 스프레드시트의 칼럼 2는 트롤 도어(20)의 주 전향체(22) 또는 트롤 도어(60)의 상측 주 전향체(22U)와 하측 주 전향체(22L)에 사용될 수 있는 여러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칼럼 1에서의 예시와 마찬가지로,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에 대한 이러한 예시는, 추가 상세 구조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스프레드시트 내의 다른 부분에서 사용되는 특별한 형상에 관한 기술적 세부 사항을 포함한다.
칼럼 3부터 시작하여 스프레드시트 전체에 걸쳐서 수평으로 칼럼 22까지에는, 도 11a의 칼럼 3의 하방으로 그리고 도 11b 내지 도 11d의 좌측 가장자리 근방에 하방으로 각각 1, 2 및 3이 부여되어 서로 상하로 구분된 3개의 행이 존재한다. 칼럼 3 내지 칼럼 22에서 이러한 3개의 행은 칼럼 2에 도시된 프로파일의 2가지 다른 유형에 대하여 칼럼 1에서 예시된 선택적 천공 형상에 관한 기술적 세부 사항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칼럼 3부터 칼럼 22에서의 수평 방향의 행 1과 행 2는 칼럼 2의 중간에 도시된 만곡형 판 프로파일의 2가지 다른 형상에 대하여 칼럼 1에 예시된 선택적 천공 형상에 관한 기술적 세부 사항을 제공한다. 칼럼 3 내지 칼럼 22에서 수평 방향의 행 3은 칼럼 2의 하부에 도시된 복합형 프로파일에 대하여 칼럼 1에 예시된 선택적 천공 형상에 관한 기술적 세부 사항을 제공한다.
칼럼 4 내지 칼럼 11은 행 1 내지 행 3에서,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의 캠버(camber) 및 시위(36)와 관련하여, 트롤 도어(20)의 천공 슬랫(52)에 형성되거나 트롤 도어(60)의 상측 천공 슬랫(52U)과 하측 천공 슬랫(52L)에 형성된 구멍의 바람직한 길이와 바람직한 폭의 관계에 대한 범위를 제공한다. 도 11a의 칼럼 4와 칼럼 5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구멍(54)의 길이와 폭의 비를 20:3 내지 50:3으로 형성하면 바람직할 수 있다. 칼럼 9와 칼럼 11에 기재된 "NP"라는 표시는 그러한 특정 파라미터에 대하여 확정적인 값이 아직 확인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도 11b의 칼럼 12는 행 1 내지 행 3에서,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의 각 만곡형 표면의 면적에 대한 트롤 도어(20)의 천공 슬랫(52) 또는 트롤 도어(60)의 상측 천공 슬랫(52U)과 하측 천공 슬랫(52L)의 바람직한 천공률(porosity)의 범위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트롤 도어(20)의 천공 슬랫(52) 또는 트롤 도어(60)의 상측 천공 슬랫(52U) 또는 하측 천공 슬랫(52l)에 형성된 직사각형 구멍(54) 및/또는 원형 구멍(556)의 전체 면적은, 트롤 도어(20)의 천공 슬랫(52) 또는 트롤 도어(60)의 상측 천공 슬랫(52U) 또는 하측 천공 슬랫(52)의 전체 면적의 20% 내지 40%이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장점을 제공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직사각형 구멍(54) 및/또는 원형 구멍(56)의 전체 면적이 천공 슬랫(52), 상측 천공 슬랫(52U) 또는 하측 천공 슬랫(52L)의 전체 면적의 20% 내지 30%일 경우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그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칼럼 12와 유사하게, 칼럼 13은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 각각의 만곡형 표면의 면적과 관련하여, 주 전향체(22)와 앞전 슬랫(42A, 42B)을 포함하는 트롤 도어(20)의 면적과, 상측 주 전향체(22U), 상측 앞전 슬랫(42AU, 42BU), 하측 주 전향체(22L) 및 하측 앞전 슬랫(42AL, 42BL)을 포함하는 트롤 도어(60)의 면적에 대하여, 트롤 도어(20)의 천공 슬랫(52) 또는 트롤 도어(60)의 상측 천공 슬랫(52U)과 하측 천공 슬랫(52L)의 천공률의 바람직한 범위를 제공한다.
도 11b에서의 칼럼 14와 도 11c에서의 칼럼 16은,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의 앞전(24)부터 천공 슬랫(52, 52U 또는 52L)의 앞전(59)까지 시위(36)와 평행한 거리의 바람직한 범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 각각의 앞전(24)과 천공 슬랫(52, 52U 또는 52l) 각각의 앞전(59) 사이의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의 시위(36)와 평행한 거리는,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 각각의 시위(36)의 길이의 15% 내지 65%일 경우에, 본 발명의 본 발명에 개시된 목적을 달성하고 장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스프레드시트의 행 1에 규정된 특징을 가진 만곡형 판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 각각의 앞전(24)과 천공 슬랫(52, 52U 또는 52L) 각각의 앞전(59) 사이의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의 시위(36)와 평행한 거리는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 각각의 시위(36)의 길이의 25% 내지 30%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스프레드시트의 행 2에 규정된 특징을 가진 만곡형 판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 각각의 앞전(24)과 천공 슬랫(52, 52U 또는 52L) 각각의 앞전(59) 사이의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의 시위(36)와 평행한 거리는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 각각의 시위(36)의 길이의 20% 내지 35%인 것이 특히 바람직 하다.
스프레드시트의 행 3에 규정된 특징을 가진 복합 프로파일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 각각의 앞전(24)과 천공 슬랫(52, 52U 또는 52L) 각각의 앞전(59) 사이의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의 시위(36)와 평행한 거리는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 각각의 시위(36)의 길이의 30% 내지 6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칼럼 14와 칼럼 16과 유사하게, 도 11b의 칼럼 15와 도 11c의 칼럼 17은 앞전 슬랫(42B, 42BU 또는 42BL)의 앞전(44B)부터 천공 슬랫(52, 52U 또는 52L)까지 시위(36)에 평행한 거리의 바람직한 범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칼럼 18 내지 칼럼 20의 행 1 내지 행 3은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와 천공 슬랫(52, 52U 또는 52L) 사이의 분리 거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칼럼 18은 행 1 내지 행 3에서 그러한 분리 거리의 바람직한 범위를 제공한다. 칼럼 19는 영각이 35° 미만인 경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천공 슬랫(52, 52U 또는 52L)과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의 외측 표면(34) 사이의 분리 거리가 천공 슬랫(52, 52U 또는 52L)의 앞전(59)과 뒷전(58)에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칼럼 20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영각이 35°이거나 35°를 초과하는 경우에, 천공 슬랫(52, 52U 또는 52L)과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의 외측 표면(34) 사이의 거리는,
1. 천공 슬랫(52, 52U 또는 52L)의 앞전(59)과 뒷전(58)에서 동일할 수 있거나,
2. 앞전(59)에서의 거리가 뒷전(58)에서의 거리를 초과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천공 슬랫(52, 52U 또는 52L)의 뒷전(58)에서의 내측 표면(92)부터 바로 이웃하는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의 외측 표면(34)까지의 거리는, 천공 슬랫(52, 52U 또는 52L)의 앞전(58)에서의 내측 표면(92)부터 바로 이웃하는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의 외측 표면(34)까지의 거리의 75% 내지 115%이면, 본 발명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고 장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칼럼 21은 트롤 도어(20) 또는 트롤 도어(60)의 만곡형 표면의 전체 면적에 대한 천공 슬랫(52, 52U 또는 52L)의 만곡형 표면의 면적의 바람직한 범위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칼럼 22는 주 전향체(22, 22U 또는 22L)의 만곡형 표면의 면적에 대한 천공 슬랫(52, 52U 또는 52L)의 만곡형 표면의 면적의 바람직한 범위를 제공한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모든 상세 기술 정보 및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된 스프레드시트는 참조되어 본 명세서에 포함되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모든 상세 기술 정보 및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된 스프레드시트는 여기에서 본 출원에 기재되고 그에 따라 그러한 정보에 관한 포괄적인 개시 내용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를 보충하기 위한 트롤 도어(20 또는 60)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 천공 슬랫(52, 52U, 52L)에 천공된 구멍(54, 56)의 특징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천공 슬랫(52, 52U, 52L)의 고형 재료(solid material)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천공 슬랫(52, 52U, 52L)의 이러한 보충 설명은, 도 2와 도 5에 예시된 구성 에 대하여, 앞전(59)부터 뒷전(58)까지 서로 이웃하는 직사각형 구멍(54)의 열들 사이에 존재하는 다수의 고형 재료의 세장형 스트립(102)에 중점을 둔다. 이러한 천공 슬랫(52, 52U, 52L)을 특정함에 있어서, 스트립(102)은,
1. 주 전향체(22)의 외측 표면(34)에 이웃하게 배치되고 이격되어 있고,
2. 길이와 폭을 가진다.
도 5의 예시에 있어서, 수중에서 트롤 도어(20, 60)가 견인될 때에, 스트립(102)의 길이는 주 전향체(22)를 지나 유동하는 물과 주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스트립(102)의 폭은 그러한 물의 흐름에 주로 수직하게 배향된다. 이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스트립(102)을 고려하면, 스트립(102)은 스트립들을 분리하는 다음과 같은 종방향 간극, 길이 및 폭을 가진다.
간극: d = (0.010 ÷ 0.015)L, 여기서 L은 주 전향체(22)의 시위(36)의 길이
길이: 천공 슬랫(52, 52U, 52L)의 앞전(59)과 뒷전(58) 사이의 거리
폭: Δd = (1.5 ÷ 2.0)d, 여기서 d = (0.01 ÷ 0.015)L
폭: Δd = (0.015 ÷ 0.030)L
천공 슬랫(52, 52U, 52L)에 원형 구멍(56)이 천공되어 있는 도 7에 대해서도, 위에 대응하는 보충 설명이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스트립(102)에 대한 그와 같은 설명에 있어서, 스트립의 폭은 편의상 바로 이웃하는 원형 구멍(56)들 사이의 거리에 의해 특정될 수 있고, 바로 이웃하는 스트립(102)들 사이의 종방향 간극은 원형 구멍(56)의 직경이다.
간극: d = (0.015 ÷ 0.025)L, 여기서 L은 주 전향체(22)의 시위(36)의 길이
길이: 천공 슬랫(52, 52U, 52L)의 앞전(59)과 뒷전(58) 사이의 거리
폭: Δd = d, 여기서 d = (0.015 ÷ 0.025)L
폭: Δd = (0.015 ÷ 0.025)L
그에 따라, 도 11a 내지 도 11에 의해 형성된 스프레드시트 내에 기재된 상세 기술 정보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개량형 트롤 도어(20, 60)의 이러한 보충 설명에서 스트립(102)의 다른 특성을 특정한다.
트롤 도어(20, 60)에 스트립(102)이 갖추어지면, 수중에서의 견인 시에 개량형 트롤 도어(20, 60)에 대해 측정된 양력 계수를 개량형 트롤 도어(20, 60)에 대해 동시에 측정된 항력 계수로 나누어 얻은 수치는 적어도 아래와 같은 트롤 도어에 경우에 얻은 대응 수치에 비하여 향상한다.
a. 개량형 트롤 도어(20, 60)의 주 전향체와 동일한 형상의 주 전향체를 구비하고,
b. 스트립(102)이 존재 않은 트롤 도어.
천공 슬랫(52, 52U, 52L)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보충적인 관점에서, 스트립(102)은 바로 이웃하는 스트립(102)의 쌍들 사이를 연결하는 고형 재료(104)의 상호 연결편(interconnecting piece)들과 함께 망(mesh)을 형성한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8,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투과성 구조체를 천공 슬랫(52)으로 설명하는 대신에, 이를 망으로 설명하는 것도 적절할 것이며 동일한 설명이 될 것이다.
도 12와 도 13의 쌍과 도 14와 도 15의 쌍은 전체가 도면 부호 120과 140으 로 각각 도시되어 있는 전개형 지진 관측 배열체에 사용되도록 구성된 패러베인의 2가지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패러베인(120, 140)의 요소들 중에서, 도 1 내지 도 8,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트롤 도어(20, 60)와 공통적인 요소들은 프라임(') 표시에 의하여 구별되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진다. 도 12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계삭(124A)은 패러베인(120, 140) 각각의 상측 단부 판(48B')의 전방과 후방 위치를 주 견인 삭구(74')에 연결한다. 유사하게, 한 쌍의 계삭(124B)은 패러베인(120, 140) 각각의 중앙 판(72')의 전방과 후방 위치를 주 견인 삭구(74')에 연결한다. 또한, 한 쌍의 계삭(124C)은 패러베인(120, 140) 각각의 하측 단부 판(48A')의 전방과 후방 위치를 주 견인 삭구(74')에 연결한다.
도 12와 도 13에서, 패러베인(120)은 상측 단부 판(48B')과 중앙 판(72') 사이에 위치하는 4개의 상측 주 전향체(22UA', 22UB', 22UC', 22UD')를 포함한다. 패러베인(120)은 중앙 판(72')과 하측 단부 판(48A') 사이에 위치하는 4개의 하측 주 전향체(22LA', 22LB', 22LC', 22LD')를 또한 포함한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러베인(120)의 상측 주 전향체(22UD)와 하측 주 전향체(22LD)만이 상측 주 전향체(22UD)와 하측 주 전향체(22LD) 각각의 외측 표면(34')에 이웃하게 위치하고 이격되어 있는 천공 슬랫(52UD')과 천공 슬랫(52LD')을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러베인(140)에 포함된 각각의 상측 주 전향체(22UA', 22UB', 22UC', 22UD')는 상측 주 전향체(22UA', 22UB', 22UC', 22UD')의 외측 표면(34')에 각각 이웃하게 배치되고 이격되어 있는 천공 슬 랫(52UA', 52UB', 52UC', 52UD')을 구비한다. 유사하게, 패러베인(140)에 포함된 각각의 하측 주 전향체(22LA', 22LB', 22LC', 22LD')는 하측 주 전향체(22LA', 22LB', 22LC', 22LD')의 외측 표면(34')에 각각 이웃하게 배치되고 이격되어 있는 천공 슬랫(52LA', 52LB', 52LC', 52LD')을 구비한다. 트롤 도어(20, 60)는 일반적으로 단일 주 전향체(22, 22U, 22L)만을 구비하지만, 이론적으로 트롤 도어(20)는 패러베인(120, 140)에 대하여 도시된 바와 유사한 다수의 주 전향체(22, 24U, 24L)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해 설명되어 있으나, 그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제한적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및 도 10a와 도 10b에 각각 예시된 트롤 도어(20)는 해양 (수중) 트롤 도어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트롤 도어는 해저 트롤 도어, 또는 지진 관측에 사용되는 전향체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통상적으로 트롤 도어 또는 전향체의 영각은 크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트롤 도어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트롤 도어 구조체와 유사할 수 있고 천공 슬랫(52, 52U, 52L)이 추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트롤 도어는 V 형상이거나 직선형일 수 있고, 앞전 슬랫(42A, 42B)들 중 하나 또는 모두 포함하거나 생략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앞전 슬랫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트롤 도어의 주 전향체(22)는 날개 형상의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고, 질량 가중 판 등을 포함하거나 생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개량형 트롤 도어(20, 60)는 종래의 트롤 도어보다도 외장 중량(outboard weight)이 더 크다. 더 큰 외장 중량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트롤 도 어(20, 60)는 더욱 경량의 질량 가중 판에 의해 직립을 유지하도록, 중앙 판(72)을 따라 종래의 트롤 도어와는 다르게 배치된 주 견인 삭구(74)를 위한 연결 지점을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트롤 도어(20, 60)가 일반적으로 대략 37° 내지 40°의 바람직한 영각으로 작동하도록, 후방 삭환 구멍(78)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트롤 도어(20, 60)는 고영각으로 작동하면, 종래의 트롤 도어가 나타내는 동일 특성과 비교하여 트롤 입구 전개력을 증가시키므로, 그에 따라 증가한 트롤 입구의 개방도는 견인 계삭(76L, 76U)을 통해 후방 삭환 구멍(78)에 더욱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영각으로 작동하도록 트롤 도어(20, 60)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후방 삭환 구멍(78)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견인 계삭(76L, 76U)을 통해 트롤 도어(20, 60)에 가해지는 큰 힘을 보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전술한 개시 내용을 검토한 후에,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형태, 수정 형태 및/또는 대안적 발명을 틀림없이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의 실질적 기술 사상과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형 형태, 수정 형태 및 대안적 발명을 포괄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36)

  1. 수중에서 견인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주 전향체(22, 22U, 22L)를 포함하며,
    주 전향체(22, 22U, 22L)는 내측 표면(32)과 외측 표면(34)에 의해 형성된 프로파일을 구비하고,
    주 전향체(22, 22U, 22L)의 프로파일은
    a. 주 전향체(22, 22U, 22L)의 앞전(24, 24U, 24L)과 뒷전(26, 26U, 26L) 사이에 뻗어 있는 시위(chord)(36)를 길이로 하고,
    b. 최대 두께부(maximum thickness)(28)를 구비하는
    개량형 트롤 도어(20, 60)에 있어서,
    투과성 구조체가 결여된 트롤 도어(20, 60)에 비하여,
    a. 트롤 도어(20, 60)가 수중에서 고영각으로 견인될 때의 트롤 도어 안정성,
    b. 트롤 도어 항력,
    c. 개량형 트롤 도어(20, 60)에 대해 측정된 양력 계수(lift coefficient)를 개량형 트롤 도어(20, 60)에 대해 측정된 항력 계수(drag coefficient)로 나누어 얻은 수치, 및
    d. 소음 발생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트롤 도어 효율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 한 투과성 구조체를 포함하며,
    투과성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는,
    a. 주 전향체(22, 22U, 22L)의 외측 표면에 이웃하여 이격되고,
    b. 주 전향체(22, 22U, 22L)의 최대 두께부(28)와 뒷전(26, 26U, 26L)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투과성 구조체는 천공된 다수의 구멍(54, 56)을 구비하는 천공 슬랫(perforated slat)(52, 52U, 52L)에 의해 형성되고,
    천공 슬랫(52, 52U, 52L)은 주 전향체(22, 22U, 22L)의 외측 표면(34)에 이웃하는 다공성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천공 슬랫(52, 52U, 52L)은 주 전향체(22, 22U, 22L)의 양 단부들 사이에 뒷전(26, 26U, 26L)을 따라서 종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고영각은 30°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고영각은 35°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공 슬랫(52, 52U, 52L)을 형성하는 시트 재료에 천공된 직사각형 구멍(54)이 천공 슬랫(52, 52U, 52L)을 다공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7. 제6항에 있어서,
    천공 슬랫(52, 52U, 52L)에 형성된 직사각형 구멍(54)은 길이와 폭의 비가 10:1 내지 1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8. 제6항에 있어서,
    천공 슬랫(52, 52U, 52L)에 형성된 직사각형 구멍(54)은 길이와 폭의 비가 20:3 내지 5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9. 제6항에 있어서,
    천공 슬랫(52, 52U, 52L)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직사각형 구멍(54)은 만곡 형상(112)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변측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10. 제6항에 있어서,
    천공 슬랫(52, 52U, 52L)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직사각형 구멍(54)은 갈퀴 형상(prong-shape)(114)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변측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11. 제6항에 있어서,
    천공 슬랫(52, 52U, 52L)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직사각형 구멍(54)은 첨두 형상(pointed-shape)(116)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변측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12.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공 슬랫(52, 52U, 52L)을 형성하는 시트 재료에 천공된 원형 구멍(56)이 천공 슬랫(52, 52U, 52L)을 다공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13.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 전향체(22, 22U, 22L)의 외측 표면(34)에 바로 이웃하는 천공 슬랫(52, 52U, 52L)의 내측 표면(32)이 주 전향체(22, 22U, 22L)의 외측 표면(3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캠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14.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공 슬랫(52, 52U, 52L)의 앞전(58)에서의 내측 표면(92)부터 바로 이웃하는 주 전향체(22, 22U, 22L)의 외측 표면까지의 거리는 천공 슬랫(52, 52U, 52L)의 앞전(59)에서의 내측 표면(92)부터 바로 이웃하는 주 전향체(22, 22U, 22L)의 외측 표면(34)까지의 거리의 85% 내지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15.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공 슬랫(52, 52U, 52L)의 앞전(58)에서의 내측 표면(92)부터 바로 이웃하는 주 전향체(22, 22U, 22L)의 외측 표면까지의 거리는 천공 슬랫(52, 52U, 52L)의 앞전(59)에서의 내측 표면(92)부터 바로 이웃하는 주 전향체(22, 22U, 22L)의 외측 표면(34)까지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1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공 슬랫(52, 52U, 52L)에 형성된 구멍(54, 56)의 전체 면적이 천공 슬랫(52, 52U, 52L)의 전체 면적의 2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17. 제16항에 있어서,
    천공 슬랫(52, 52U, 52L)에 형성된 구멍(54, 56)의 전체 면적이 천공 슬랫(52, 52U, 52L)의 전체 면적의 20%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18.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 전향체(22, 22U, 22L)의 앞전(24, 24U, 24L)과 천공 슬랫(52, 52U, 52L)의 앞전(59) 사이의 주 전향체(22, 22U, 22L)의 시위(36)에 평행한 거리는 주 전향체(22, 22U, 22L)의 시위(36)의 길이의 15%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19. 제18항에 있어서,
    주 전향체(22, 22U, 22L)의 앞전(24, 24U, 24L)과 천공 슬랫(52, 52U, 52L)의 앞전(59) 사이의 거리는 주 전향체(22, 22U, 22L)의 시위(36)의 길이의 25%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20. 제18항에 있어서,
    주 전향체(22, 22U, 22L)의 앞전(24, 24U, 24L)과 천공 슬랫(52, 52U, 52L)의 앞전(59) 사이의 거리는 주 전향체(22, 22U, 22L)의 시위(36)의 길이의 20% 내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21. 제18항에 있어서,
    주 전향체(22, 22U, 22L)의 앞전(24, 24U, 24L)과 천공 슬랫(52, 52U, 52L)의 앞전(59) 사이의 거리는 주 전향체(22, 22U, 22L)의 시위(36)의 길이의 3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22. 제1항에 있어서,
    투과성 구조체는 종방향 간극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고형 재료의 세장형 스트립(strip)(102)으로 형성되고, 세장형 고형 재료 스트립(102)은 길이와 폭을 가지며, 각 세장형 고형 재료 스트립(102)의 길이는 수중에서 개량형 트롤 도어(20, 60)의 견인 시에 주 전향체(22, 22U, 22L)를 지나 유동하는 수류에 주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각 세장형 고형 재료 스트립(102)의 폭은 수중에서 개량형 트롤 도어(20, 60)의 견인 시에 주 전향체(22, 22U, 22L)를 지나 유동하는 수류에 주로 수직하게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23. 제22항에 있어서,
    다수의 세장형 고형 재료 스트립(102)은 주 전향체(22, 22U, 22L)의 양 단부들 사이에서 뒷전(26, 26U, 26L)을 따라 종방향으로 뻗은 위치들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고영각은 30°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25.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고영각은 35°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장형 고형 재료 스트립(102)은 폭이 주 전향체(22, 22U, 22L)의 시위(36)의 길이의 0.030배 이하이고 주 전향체(22, 22U, 22L)의 시위(36)의 길이의 0.015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27.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고형 재료 스트립(102)의 쌍은, 주 전향체(22, 22U, 22L)의 시위(36)의 길이의 0.025배 이하이고 주 전향체(22, 22U, 22L)의 시위(36)의 길이의 0.010배 이상인 종방향 간극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28.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 전향체(22, 22U, 22L)의 외측 표면(34)에 바로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고형 재료 스트립(102)의 내측 표면(32)은 주 전향체(22, 22U, 22L)의 외측 표면(3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캠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29.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고형 재료 스트립(102)의 뒷전(58)에서의 내측 표면(92)부터 바로 이웃하는 주 전향체(22, 22U, 22L)의 외측 표면(34)까지의 거리는 세장형 고형 재료 스트립(102)의 앞전(59)에서의 내측 표면(92)부터 바로 이웃하는 주 전향체(22, 22U, 22L)의 외측 표면(34)까지의 거리의 85% 내지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30.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고형 재료 스트립(102)의 뒷전(58)에서의 내측 표면(92)부터 바로 이웃하는 주 전향체(22, 22U, 22L)의 외측 표면(34)까지의 거리는 세장형 고형 재료 스트립(102)의 앞전(59)에서의 내측 표면(92)부터 바로 이웃하는 주 전향체(22, 22U, 22L)의 외측 표면(34)까지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31.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 전향체(22, 22U, 22L)의 외측 표면(34)으로부터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세장형 고형 재료 스트립(102)의 전체 면적은 모든 세장형 고형 재료 스트립(102)의 누적 면적의 6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32. 제31항에 있어서,
    주 전향체(22, 22U, 22L)의 외측 표면(34)으로부터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세장형 고형 재료 스트립(102)의 전체 면적은 모든 세장형 고형 재료 스트립(102)의 누적 면적의 7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33.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 전향체(22, 22U, 22L)의 앞전(24, 24U, 24L)과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고형 재료 스트립(102)의 앞전(59) 사이의 주 전향체(22, 22U, 22L)의 시위(36)에 평행한 거리는 주 전향체(22, 22U, 22L)의 시위(36)의 길이의 15%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34. 제33항에 있어서,
    주 전향체(22, 22U, 22L)의 앞전(24, 24U, 24L)과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고형 재료 스트립(102)의 앞전(59) 사이의 거리는 주 전향체(22, 22U, 22L)의 시위(36)의 길이의 25%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35. 제33항에 있어서,
    주 전향체(22, 22U, 22L)의 앞전(24, 24U, 24L)과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고형 재료 스트립(102)의 앞전(59) 사이의 거리는 주 전향체(22, 22U, 22L)의 시위(36)의 길이의 20% 내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36. 제33항에 있어서,
    주 전향체(22, 22U, 22L)의 앞전(24, 24U, 24L)과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고형 재료 스트립(102)의 앞전(59) 사이의 거리는 주 전향체(22, 22U, 22L)의 시위(36)의 길이의 3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 도어.
KR1020097023877A 2007-04-24 2008-04-23 천공 슬랫 트롤 도어 KR201000165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2603407P 2007-04-24 2007-04-24
US60/926,034 2007-04-24
IS8691 2007-11-20
IS8691A IS2635B (is) 2007-11-20 2007-11-20 Endurbættur toghleri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590A true KR20100016590A (ko) 2010-02-12

Family

ID=39539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877A KR20100016590A (ko) 2007-04-24 2008-04-23 천공 슬랫 트롤 도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00115820A1 (ko)
EP (1) EP2141986A1 (ko)
JP (1) JP2010524484A (ko)
KR (1) KR20100016590A (ko)
CN (1) CN101686657A (ko)
CA (1) CA2684522A1 (ko)
DK (1) DK200901153A (ko)
IS (1) IS2635B (ko)
MX (1) MX2009011262A (ko)
NZ (1) NZ580489A (ko)
RU (1) RU2009143329A (ko)
WO (1) WO2008129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182797T3 (en) * 2007-07-31 2017-07-10 Thyborøn Skibssmedie As High-efficiency trawl bucket with high stability
JP5679398B2 (ja) * 2009-02-12 2015-03-04 国立大学法人東京海洋大学 高揚力オッターボード
US20120174464A1 (en) * 2009-09-14 2012-07-12 Sherif Safwat High efficiency, high stability, multi-elevation trawl door and methods
WO2011135006A1 (en) 2010-04-27 2011-11-03 Hampidjan Hf Perforated trawl door and methods
EP2644497B1 (en) * 2012-03-29 2016-01-20 Airbus Operations GmbH Wing for an aircraft, aircraft and method for reducing aerodynamic drag and improving maximum lift
EP2644496B1 (en) 2012-03-29 2015-07-01 Airbus Operations GmbH Surface element for an aircraft, aircraft and method for improving high-lift generation on a surface element
US10928839B2 (en) * 2013-02-06 2021-02-23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active fluidic bleed control
CN103340186B (zh) * 2013-06-13 2016-03-02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大展弦比双弧面拖网网板及其浮沉比调节方法
CN103283691B (zh) * 2013-06-13 2014-12-10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小展弦比矩形双弧面表中层网板及其浮沉力调节方法
CN104304200B (zh) * 2014-09-23 2017-06-06 浙江海洋学院 一种柔性扩网装置
JP6040483B2 (ja) * 2014-10-27 2016-12-07 国立大学法人東京海洋大学 高揚力オッターボード
CN104920312B (zh) * 2015-05-21 2018-01-05 山东大学(威海) 一种直立栅格式网板
PT3376858T (pt) * 2015-11-18 2023-01-19 Mld Aps Porta de arrasto com meio de regulação
JP6476435B2 (ja) * 2016-09-01 2019-03-06 国立大学法人東京海洋大学 高揚力オッターボード
DK179265B1 (en) * 2016-12-29 2018-03-19 Mld Aps TRAWL BOWL TO TOUCH AFTER A SHIP
JP7061743B2 (ja) * 2017-11-30 2022-05-16 国立大学法人東京海洋大学 補助翼付オッターボード
CA2988743A1 (en) * 2017-12-13 2019-06-13 Fisheries And Marine Institute Of The Memorial University Multi-kite apparatus for use with bottom trawls
WO2020084643A1 (en) 2018-10-26 2020-04-30 Ny Toghlerahonnun Ehf. Connection for a trawl door
KR102230725B1 (ko) * 2019-06-28 2021-03-2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롤 전개판 및 그 제어 방법
CN110476904B (zh) * 2019-09-30 2021-08-10 浙江海洋大学 一种翼型形状拖网网板
CN112106740B (zh) * 2020-09-08 2022-08-16 西藏瑞华资本管理有限公司 一种浅海捕捞用底拖网装置
CN113545322B (zh) * 2021-08-19 2022-08-09 山东中林东平湖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渔船拖网捕捞的防磨损托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82710A (en) * 1922-02-08 1926-04-27 Vigneron Jean-Baptiste-Joseph Trawling gear
US1635294A (en) * 1924-04-29 1927-07-12 Templer John Francis Harvey Trawling gear
US1842634A (en) * 1925-12-26 1932-01-26 Ralph F Symonds Trawl door
US1785236A (en) * 1928-05-16 1930-12-16 Vd Ltd London Trawling gear
US2066519A (en) * 1935-04-02 1937-01-05 Linen Thread Co Inc Trawl board and the like
US2960960A (en) * 1954-07-27 1960-11-22 Leo F Fehlner Paravane
US2942371A (en) * 1957-10-04 1960-06-28 Canadian Patents Dev Dual-purpose midwater-bottom otterboard
US3007273A (en) * 1959-06-15 1961-11-07 Grimur K Eggertsson Float for fishing nets and the like
US3281980A (en) * 1962-08-24 1966-11-01 Frank J Luketa Progressively flooding trawl doors
US3162967A (en) * 1963-01-17 1964-12-29 Frank J Luketa Trawl net suspension
US3231998A (en) * 1963-04-01 1966-02-01 Frank J Luketa Invertible trawl door with resilient edge and adjustable ballasting
US3225483A (en) * 1963-06-18 1965-12-28 Frank J Luketa Trawl door construction involving universal and interchangeable components
US3190025A (en) * 1963-07-05 1965-06-22 Burney Charles Dennistoun Trawling otters
US3247612A (en) * 1964-08-31 1966-04-26 Frank J Luketa Trawl door with longitudinal anterior vanes
US3269048A (en) * 1965-04-23 1966-08-30 Frank J Luketa Trawl door and bridle apparatus for same
US3299560A (en) * 1965-12-30 1967-01-24 Frank J Luketa Sectional trawl doors
US3315398A (en) * 1966-01-17 1967-04-25 Frank J Luketa Trawl doors
US3308568A (en) * 1966-06-29 1967-03-14 Frank J Luketa Polyhedral trawl door
US3353293A (en) * 1966-12-19 1967-11-21 Frank J Luketa Try net trawl doors
US3372507A (en) * 1967-01-30 1968-03-12 Frank J. Luketa Self-uprighting trawl doors
US3353292A (en) * 1967-01-30 1967-11-21 Frank J Luketa Ballast and buoyancy attachments for trawl doors
JPS4879788U (ko) * 1971-12-31 1973-09-29
US4045901A (en) * 1976-09-29 1977-09-06 Augusto Prudenzi Trawler doors
US4180935A (en) * 1977-08-29 1980-01-0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Hydrofoil trawl door
US4207829A (en) * 1978-07-24 1980-06-17 Robert L. Meister Towable swimmer-controlled aquatic plane device
CA1199791A (en) * 1982-03-02 1986-01-28 John F.H. Ashworth Trawl doors
FR2523542B1 (fr) * 1982-03-17 1988-08-26 Inst Francais Du Petrole Element profile destine a deporter lateralement un ensemble remorque par rapport a la trajectoire du remorqueur
US4597214A (en) * 1983-11-11 1986-07-01 Collins Clifford W Trawling apparatus
US4653213A (en) * 1985-03-27 1987-03-31 May Billy D Low resistance net-supporting frame assembly
US4967984A (en) * 1987-07-20 1990-11-06 Allen Edward H Slaved tandem freewing (STF) and device
US4882870A (en) * 1988-11-03 1989-11-28 Andreasen Peter S Trawler door
US4879830A (en) * 1988-12-16 1989-11-14 Quick Freddie W Trawl door
JPH0337861U (ko) * 1989-08-25 1991-04-12
JPH0488260U (ko) * 1990-12-06 1992-07-31
US5265367A (en) * 1991-11-13 1993-11-30 Nichimo Co., Ltd. Otter board
US5267408A (en) * 1991-11-13 1993-12-07 Nichimo Co., Ltd. Otter board
JP2533384Y2 (ja) * 1991-11-29 1997-04-23 ニチモウ株式会社 オッターボード
US5395071A (en) * 1993-09-09 1995-03-07 Felix; Frederick L. Airfoil with bicambered surface
DK0900003T3 (da) * 1996-04-30 2003-05-26 Helgi Larsen Trawlskovl
US5961080A (en) * 1996-11-15 1999-10-05 The University Of Mississippi System for efficient control of flow separation using a driven flexible wall
IL121164A (en) * 1997-06-26 2002-03-10 Univ Ramot Airfoil with dynamic stall control by oscillatory forcing
DE20004499U1 (de) * 2000-03-14 2000-12-07 Daimler Chrysler Ag Aerodynamisches Strömungsprofil mit Vorderkantenklappe
US20020062778A1 (en) * 2000-11-29 2002-05-30 Barker Glen P. Dimpled marine seismic cables
GB0030743D0 (en) * 2000-12-16 2001-01-31 Geco As Deflector devices
US7234914B2 (en) * 2002-11-12 2007-06-26 Continum Dynam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lift produced by an airfoil
CA2573419A1 (en) * 2004-07-26 2006-02-02 Candis Ehf. High speed, increased hydrodynamic efficiency, light-weight molded trawl door and methods for use and manufacture
ES2370504T3 (es) * 2004-11-04 2011-12-19 Hampidjan Hf. Construcción y método de puerta de arrastre pelágica.
DK2182797T3 (en) * 2007-07-31 2017-07-10 Thyborøn Skibssmedie As High-efficiency trawl bucket with high st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29068A1 (en) 2008-10-30
NZ580489A (en) 2011-12-22
DK200901153A (da) 2010-01-12
US20100115820A1 (en) 2010-05-13
EP2141986A1 (en) 2010-01-13
JP2010524484A (ja) 2010-07-22
CN101686657A (zh) 2010-03-31
IS2635B (is) 2010-06-15
IS8691A (is) 2009-05-21
MX2009011262A (es) 2010-03-25
WO2008129068A8 (en) 2009-11-26
CA2684522A1 (en) 2008-10-30
RU2009143329A (ru) 201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6590A (ko) 천공 슬랫 트롤 도어
EP2182797B1 (en) High stability, high efficiency trawl door
JP5679398B2 (ja) 高揚力オッターボード
EP2210484A2 (en) Higher efficiency pelagic trawl door construction employing universally available materials and methods
RU2727058C2 (ru) Траловая доска с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им профилем
WO2011135006A1 (en) Perforated trawl door and methods
US5201137A (en) Hydrodynamic trawl opening device
KR100991372B1 (ko) 트롤어구
US4782779A (en) Barge lattice skegs
JP4980403B2 (ja) 拡網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トロール漁具
JP6476435B2 (ja) 高揚力オッターボード
JP6040483B2 (ja) 高揚力オッターボード
JP3840643B2 (ja) 湧昇流発生人工礁
RU2176874C1 (ru) Трал для лова рыбы
KR20220057083A (ko) 전개장치
RU2176446C1 (ru) Невод
JPS5921111Y2 (ja) シ−アンカ−
KR20210059964A (ko) 전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