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5646A - 일체형 힌지를 구비한 밸브 - Google Patents

일체형 힌지를 구비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5646A
KR20100015646A KR1020097021646A KR20097021646A KR20100015646A KR 20100015646 A KR20100015646 A KR 20100015646A KR 1020097021646 A KR1020097021646 A KR 1020097021646A KR 20097021646 A KR20097021646 A KR 20097021646A KR 20100015646 A KR20100015646 A KR 20100015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using
hinge
flapper door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3371B1 (ko
Inventor
케네쓰 엠 스핀크
폴 더글라스 왈코우스키
제임스 로버트 프리스
로널드 얼 섹스톤
Original Assignee
이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15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3Anti-siph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61Details of the tank inlet comprising a filler pipe shutter, e.g. trap, door or flap for fuel in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98Pivoted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05Valve or choke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10)를 제공한다. 밸브(10)는 캐비티(32)를 형성하는 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의 제 1 단부(20)는 플래퍼 도어(46)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개구(24)를 형성할 수 있다. 밸브(10)는 하우징(12)과 일체로 형성되는 힌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14)는 하우징(12)의 상측 부분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플래퍼 도어(46)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14)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24)를 지나 연장된다. 힌지(14)는 하우징(12)의 개구(24)에 또는 개구(24) 위에 있는 플래퍼 도어(46)를 위한 피봇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힌지를 구비한 밸브{VALVE WITH INTEGRAL HINGE}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플래퍼 도어(flapper door)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일체형 힌지를 갖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플래퍼 도어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개구 위로 힌지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는 플래퍼 도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일체형 힌지를 갖는 밸브를 포함한다.
인라인(in-line) 체크 밸브 및 플래퍼 타입 밸브는 다수의 적용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인라인 체크 밸브 및 플래퍼 타입 밸브는 재충전 노즐의 삽입을 수용하고 재충전 완료후 노즐의 제거시 필러 튜브(filler tube)의 폐쇄 및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연료 탱크 필러 튜브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인라인 체크 밸브는 고가이며, 인라인 피스톤은 유체의 유동을 방해하여, 연료 탱크를 급속하게 충전하는 경우 보다 큰 압력 강하와 조기 차단(shut-off)을 야기한다. 플래퍼 타입 밸브는 통상적으로 밸브 하우징과, 플래퍼 도어를 밸브 하우징에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힌지를 포함한다. 다수의 플래퍼 타입 밸브에서, 힌지는 밸브 하우징에 조립되어야 하는 개별 부품일 수 있다. 이것은 플래퍼 도어를 밸브 하우징에 보유시키기 위해 증가된 개수의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며, 복잡한 조립 프로세스를 야기한다. 또한, 별개의 힌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인해, 떨어짐, 충격, 스플래시(splash) 또는 충돌시에 힌지와 플래퍼 도어가 밸브 하우징으로부터 우연히 분리될 위험이 높아진다. 몇몇의 플래퍼 타입 밸브에서, 힌지는 조립시 플래퍼 도어를 삽입하기 위해 이동되어야 하는 편향가능한 핑거(deflectable finger)를 포함할 수 있다. 편향가능한 핑거는 진동 또는 열과 같은 외부 조건으로 인해 작동 환경에서 핑거의 소정의 고정점으로부터 의도치 않은 이동의 위험을 높게 한다. 다른 플래퍼 타입 밸브에서, 힌지는 플래퍼 도어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개구 아래로 연장될 수 있어서, 플래퍼 도어의 피봇점이 플래퍼 도어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개구 아래에 있게 된다.
이들 결함을 최소화 및/또는 제거하는 밸브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밸브를 제공한다. 밸브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의 제 1 단부는 플래퍼 도어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밸브는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는 하우징의 상측 부분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플래퍼 도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 위로 연장된다. 힌지는 하우징의 개구에 또는 개구 위에 있는 플래퍼 도어를 위한 피봇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수의 특징들이 비제한적 예시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특징들을 기술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의 방법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상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측단면도,
도 4는 플래퍼 도어를 추가로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사시도.
이하, 그 예시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이 실시예와 관련하여 서술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구체화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변형, 수정 및 동등물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1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 1을 참조하면, 밸브(10)는 하우징(12)과 힌지(14)를 포함한다. 밸브(10)가 본 발명의 실시예 의 자동차의 연료 탱크 필러 튜브 또는 연료 탱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밸브(10)가 다양한 용도의 임의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밸브(10)는 수평, 수직 또는 경사진 배향으로 사용 및/또는 장착된다.
하우징(12)은 밸브(10)의 구성요소의 구조적 지지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밸브(10)의 하우징(12)은 종방향 축(13)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2)은 관형 몸체일 수 있으며, 원통형 또는 대체로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은 대체로 D자 형상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2)은 하우징(12)의 제 1 측부 상에 대체로 만곡된 벽 부분(16)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12)의 제 2 측부 상에 만곡된 벽 부분(16)에 대해 대체로 평평한 벽 부분(18)을 포함할 수 있다. D자 형상 단면이 상세하게 기술되고 있지만, 임의의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이 하우징(12)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하우징(12)은 제 1 단부(20) 및 제 2 단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부(20)는 개구(24)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24)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는 바와 같이 플래퍼 도어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은 플랜지(26)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26)는 대체로 평평한 벽 부분(18) 상의 하우징(12)의 외측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힌지(14)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플랜지(26)는 스프링(52)이 좌우로 움직이고 거꾸로 포개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 다. 하우징(12)은 예컨대 플라스틱으로부터 성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의 적어도 일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의 적어도 일부는 아세탈, 나일론 또는 아모델(amodel)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재료가 상세하게 기술되고 있지만, 다수의 다른 재료가 하우징(12)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은 균일한 벽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균일한 벽 두께는 임의의 하우징(12) 높이에서 하우징(12) 둘레의 원주방향 및 하우징(12)의 종방향 상하 양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은 가변의 벽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높이에서의 하우징(12)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두께(28)를 가질 수 있으며, 제 2 높이에서의 하우징(12)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두께(30)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 2 두께(30)는 제 1 두께(28)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제 2 두께(30)는 하우징(12)에 강성 지지부를 제공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하우징(12)이 작동 환경에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뒤틀림 또는 성형시의 플라스틱 수축을 보상하기 위해 제 1 두께(28)보다 클 수 있다. 제 2 두께(30)는 도 3의 배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의 바닥부에 또는 바닥부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하우징(12)은 캐비티(32)를 형성한다. 캐비티(32)는 하우징(12)의 내측 표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캐비티(32)는 하우징(12)의 제 1 높이에서 제 1 직경(34)을 가질 수 있으며, 하우징(12)의 제 2 높이에서 제 2 직경(36) 을 가질 수 있다. 제 1 직경(34)은 성형 작업시 제 1 성형 부재(mold piece)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12)의 일부에 대응하는 하우징(12)의 높이에 있을 수 있다. 제 2 직경(36)은 성형 작업시 제 2 성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12)의 일부에 대응하는 하우징(12)의 높이에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제 2 직경(36)은 제 1 직경(34)보다 클 수 있다.
하우징(12)은 제 1 단부(20) 및 제 2 단부(22) 사이에 위치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환형 플랜지(35)를 포함할 수 있다. 환형 플랜지(35)는 그 내에 탄성 시일 링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힌지(14)는 플래퍼 도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14)는 플래퍼 도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단독으로 형성할 수 있다. 힌지(14)는 하우징(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개별적인 힌지 핀(hinge pin) 및/또는 힌지 하우징은 밸브(10) 내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어서, 필요한 구성요소의 개수를 감소시키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힌지(14)는 하우징(1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하우징(12)의 상측 부분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힌지(14)는 하우징(12)의 상측의 1/3로부터 또는 상측의 약 1/3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예컨대, 힌지(14)는 하우징(12)의 제 1 단부(2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힌지(14)는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14)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24)를 지나[예컨대, 개구(24) 위로] 연장된다. 따라서, 힌지(14)는 하우징(12)의 개구(24)에 또는 개구(24) 위에 있는 플래퍼 도어를 위한 피봇점을 제공할 수 있다. 밸브(10)의 밀봉 은 [즉, 플래퍼 도어에 의한 개구(24)의 폐쇄를 통해] 플래퍼 도어를 위한 피봇점이 하우징(12)의 개구(24)에 또는 개구(24) 위에 있는 경우 개선될 수 있다. 힌지(14)는 하우징(12)의 제 2 측부 상의 대체로 평평한 벽 부분(18)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힌지(14)는 하우징(12)으로부터 외측으로(즉, 멀리) 연장될 수 있다. 힌지(14)는 대체로 J자 형상 또는 U자 형상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힌지(14)는 강체일 수 있다[즉, 하우징(12)으로부터 실질적인 편향 또는 힌지(14)의 분리 없이 플래퍼 도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14)는 플래퍼 도어가 하우징(1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힌지(14)의 일 단부에 성형부(formation)(36)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부(36)는 플래퍼 도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힌지(14)의 일부로부터 외측으로(즉, 멀리)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성형부(36)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가 상세하게 기술되고 있지만, 다양한 다른 성형부가 플래퍼 도어가 하우징(1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또한, 성형부(36)가 힌지(14)와 연결하는데 사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힌지(14)의 내측 표면(38)은 플래퍼 도어가 하우징(1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돌출부(40)는 조립의 용이함을 개선시킬 수 있는 테이퍼 형상의 선단(lead)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힌지(14)의 분리를 방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14)의 내측 표면(38)은 플래퍼 도어가 하우징(1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돌출부(40) 및 제 2 돌출부(42) 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40)는 제 2 돌출부(42)와 대향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돌출부(40, 4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돌출부(40, 42)가 상세하게 기술되고, 이들 돌출부에 대한 사다리꼴 형상이 상세하게 기술되고 있지만, 내측 표면(38)이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갖지 않을 수 있고 그리고/또는 임의의 다양한 형상의 돌출부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일 실시예에서, 밸브(10)는 밸브(10)의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한 슈라우드(44)를 포함할 수 있다. 슈라우드(44)는 하우징(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슈라우드(44)는 하우징(1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예컨대 하우징(12)의 제 1 측부 상의 대체로 만곡된 벽 부분(16)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슈라우드(44)는 하우징(12)의 제 1 단부(2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슈라우드(44)는 하우징(12)의 제 1 단부(20) 주위로 적어도 약 180°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12)의 제 1 단부(20) 주위로 대략 180°연장되는 슈라우드가 상세하게 기술되고 있지만, 밸브(10)가 슈라우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하우징(12)의 제 1 단부(20) 주위로 180°미만 또는 180°이상 연장되는 슈라우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플래퍼 도어(46)는 하우징(12)에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플래퍼 도어(46)는 플래퍼 또는 도어로서 지칭될 수 있다. 플래 퍼 도어(46)는 힌지(14)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컨대, 플래퍼 도어(46)는 힌지(14) 내로 스냅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래퍼 도어(46)는 하우징(12)의 개구(24)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밸브(10)의 하우징(12)의 종방향 축(13)에 대해 약 0°내지 약 90°사이에서 이동(예컨대, 회전)할 수 있다. 플래퍼 도어(46)는 그로부터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러그(lug)(48, 50)를 가질 수 있다. 러그(48, 50)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될 수 있으며, 플래퍼 도어(46)의 대향 측부 상에 있을 수 있다. 각각의 러그(48, 50)는 축방향으로 정렬된 관계로 그로부터 연장되고 러그(48, 50) 사이의 중심점을 향해 연장되는 트러니언(trunnion)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러그(48, 50)[예컨대, 하나의 러그(48, 50)의 트러니언]는 그 위에 수용되는 비틀림 스프링(52)의 코일을 갖는 감소된 직경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핀들 부분(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플래퍼 도어(46)는 플래퍼 도어(46)의 중심 구역에 위치되고 그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포스트(post)(53)를 가질 수 있다. 포스트(53)는 트러니언의 축에 수직이고 스핀들을 관통하는 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플래퍼 도어(46)는 플래퍼 도어(46)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55)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55)는 플래퍼 도어(46)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래퍼 도어(46)는 플래퍼 도어(46)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이격된 리브(55)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55)는 서로 대체로 평행하고 서로 대체로 등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리브(55)는 플래퍼 도어(46)와 접촉함으로써 사이펀(siphon)이 플래퍼 도어 시일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52)은 밸브(10)와 연관하여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52)의 적어도 일부는 힌지(14)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52)은 후크 형상부(54)로 형성되는 일 단부를 갖는다. 후크 형상부(54)는 스핀들 상에 스프링(52)의 코일을 위치시키기 위해 포스트(53)에 대해 미끄럼 가능하게 정합될 수 있다. 플래퍼 도어(46)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는 릿지(ridge)는 플래퍼 도어(46)의 전체 원주를 따라 시일을 압축하기 위해 플래퍼 도어(46)의 중심에 스프링 힘을 유지할 수 있다. 스프링(52)의 다른 단부(즉, 자유 단부)는, 예컨대 후크 형상부(54)에 대해 약 90°까지 회전될 수 있어서, 개구(24)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플래퍼 도어(46)를 바이어스(bias)하기 위해 플래퍼 도어(46) 상에 비틀림 예비하중(torsional preload)을 제공할 수 있다. 90°가 상세하게 기술되고 있지만, 스프링(52)의 자유 단부가 약 100°, 약 180° 또는 소정의 스프링 장력을 제공하기 위해 임의의 다른 크기까지 회전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스프링(52)은 플래퍼 도어(46)에 가해지는 바이어스 힘이 충분히 낮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힘은 스프링 바이어스를 극복하고 플래퍼 도어(46)를 하우징(12)의 개구(24)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기 위한 유동(예컨대, 연료 유동)의 힘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 스프링(52)을 위한 피봇점은 플래퍼 도어(46)를 위한 피봇점에 또는 피봇점 아래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플래퍼 도어(46)에 대한 힘의 크기는 플래퍼 도어(46)가 개방된 경우에 낮아질 수 있어서, 높은 유량에서 유동 배압(flow back pressure)을 작게 할 수 있다. 밸브(10)는 힌지 핀(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 핀의 적어도 일부는 힌지(14)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밸브(10)는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핀(fin)(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핀(56)은 밸브(10)에 의해 제어되는 액체의 사이펀 현상(siphoning)을 방해하기 위해 캐비티(32)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핀(56)은 밸브(10)가 사용되는 연료 탱크로부터의 연료의 사이펀 현상을 방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밸브(10)는 또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핀(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핀(56, 58, 6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3개의 핀(56, 58, 60)이 상세하게 기술되고 있지만, 보다 많거나 적은 수의 핀이 밸브(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핀(56, 58, 60)은 힌지(14)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핀(56, 58, 60)은 서로 대체로 동일하게 이격될 수 있으며, 모두 힌지(14)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다. 이들 구성이 상세하게 기술되고 있지만, 핀(56, 58, 60)의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핀(50)은 밸브(10)를 관통하는 유체(예컨대, 연료) 상에 가해지는 압력 강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핀(50)의 항력 계수를 낮추기 위한 대체로 물고기 형상(fish-shaped)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이것은 연료 충전시 조기 차단을 방지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물고기 형상의 단면에 따르면, 핀(50)은 핀(50)의 제 1 높이에서 제 1 폭(56)을 갖고 핀(50)의 제 2 높이에서 제 2 폭(58)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핀(50)의 측부는 제 1 폭으로부터 제 2 폭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10)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캐비티(32)를 형성하는 하우징(12)과, 하우징(12)과 일체로 형성되는 강체 힌지(14)를 갖는 밸브(1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의 제 1 단부(20)는 플래퍼 도어(46)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개구(24)를 형성할 수 있다. 힌지(14)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24)를 지나 연장될 수 있으며, 플래퍼 도어(46)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밸브(10)를 형성하는 방법은 분할선(parting line), 특히 밸브(10)의 하우징(12)의 종방향 축(13)에 대체로 수직인 분할선 평면에서 만나는 제 1 성형 부재 및 제 2 성형 부재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플래퍼 도어(46)와 힌지(14)를 결합시킴으로써 플래퍼 도어(46)를 밸브(10)의 하우징(12)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캐비티(32)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핀(56)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핀(56)을 형성하는 방법은 분할선, 특히 밸브(10)의 하우징(12)의 종방향 축(13)에 대체로 수직인 분할선 평면에서 만나는 제 1 코어 핀 및 제 2 코어 핀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코어 핀은 핀(56)의 제 1 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코어 핀은 핀(56)의 제 2 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핀(56)은 분할선 평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상술한 설명은 도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기술되었다. 이들은 총망라되거나 본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상기 개시의 관점에서 가능하다. 상기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제적인 적용을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고 설명됨으로써, 당업자가 본 발명 및 숙고된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수정을 갖는 다양한 실시예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동등물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8)

  1. 밸브(10)에 있어서,
    캐비티(32)를 형성하는 하우징(12)으로서, 상기 하우징(12)의 제 1 단부(20)는 플래퍼 도어(flapper door)(46)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된 개구(24)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과 일체로 형성된 힌지(14)로서, 상기 하우징(12)의 상측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래퍼 도어(4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기 힌지(14)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1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24) 위로 연장되는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14)는 강체(rigid)인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플래퍼 도어(46)를 더 포함하는
    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퍼 도어(46)는 상기 밸브(10)의 종방향 축(13)에 대해 약 0°내지 약 90°사이에서 회전하는
    밸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2)의 제 1 단부(20) 주위로 적어도 약 180°연장되는 슈라우드(44)를 더 포함하는
    밸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14)는 상기 하우징(1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밸브.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14)는 대체로 J자 형상 또는 U자 형상 단면을 갖는
    밸브.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14)는 상기 플래퍼 도어(46)가 상기 하우징(1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 단부에 성형부(formation)를 포함하는
    밸브.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14)의 내측 표면(38)은 상기 플래퍼 도어(46)가 상기 하우징(1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40)를 포함하는
    밸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0)는 대체로 사다리꼴 형상인
    밸브.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14)의 내측 표면(38)은 상기 플래퍼 도어(46)가 상기 하우징(1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돌출부(40) 및 제 2 돌출부(42)를 포함하는
    밸브.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40)는 상기 제 2 돌출부(42)와 대향하는
    밸브.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퍼 도어(46)는 상기 힌지(14) 내로 스냅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밸브.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14) 아래의 상기 하우징(12)의 외측 표면 상에 위치되는 플랜지(26)를 더 포함하는
    밸브.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10)에 의해 제어되는 액체의 사이펀 현상(siphoning)을 방해하기 위해 상기 캐비티(32)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핀(fin)(56)을 더 포함하는
    밸브.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32)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핀(56, 58, 60)을 포함하는
    밸브.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핀(56)은 상기 힌지(14)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밸브.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핀(56)은 제 1 높이에서 제 1 폭을 갖고 제 2 높이에서 제 2 폭을 가지며, 상기 제 2 폭은 상기 제 1 폭보다 큰
    밸브.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10)는 제 1 높이에서 제 1 내경(34)을 갖고 제 2 높이에서 제 2 내경(36)을 가지며, 상기 제 2 내경(36)은 상기 제 1 내경(34)보다 큰
    밸브.
  20.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높이에서의 상기 하우징(12)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두께(28)를 갖고, 제 2 높이에서의 상기 하우징(12)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두께(30)를 가지며, 상기 제 2 두께(30)는 상기 제 1 두께(28)보다 큰
    밸브.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10)는 제 1 성형 부재(mold piece)와 제 2 성형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1 성형 부재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는 상기 밸브(10)의 상기 종방향 축(13)에 대해 수평인 평면에서 만나며, 상기 핀(5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수평 평면에 있는
    밸브.
  2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14)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스프링(52)을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14)는, 상기 하우징(12)의 상기 개구(24)에 또는 상기 개구(24) 위에 있으며 상기 스프링(52)을 위한 피봇점에 또는 피봇점 위에 있는 상기 플래퍼 도어(46)를 위한 피봇점을 제공하는
    밸브.
  2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퍼 도어(46)는 상기 플래퍼 도어(46)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55)를 포함하는
    밸브.
  24. 자동차의 연료 탱크에 사용하기 위한 체크 밸브(10)에 있어서,
    캐비티(32)를 형성하는 밸브 하우징(12)으로서, 상기 하우징(12)의 제 1 단부(20)는 플래퍼 도어(46)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된 개구(24)를 형성하는, 상기 밸브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과 일체로 형성된 힌지(14)로서, 상기 하우징(12)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래퍼 도어(4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기 힌지(14)와,
    자동차의 연료 탱크로부터의 연료의 사이펀 현상을 방해하기 위해 상기 캐비티(32)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핀(56)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1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24) 위로 연장되는
    자동차 연료 탱크용 체크 밸브.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핀(56)은 제 1 높이에서 제 1 폭을 갖고 제 2 높이에서 제 2 폭을 가지며, 상기 제 2 폭은 상기 제 1 폭보다 큰
    자동차 연료 탱크용 체크 밸브.
  26. 밸브(10)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분할선(parting line) 평면에서 만나는 제 1 성형 부재 및 제 2 성형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밸브(10)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10)는 캐비티(32)를 형성하는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과 일 체로 형성되는 힌지(14)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2)의 제 1 단부(20)는 플래퍼 도어(46)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된 개구(24)를 형성하며, 상기 힌지(1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24) 위로 상기 하우징(12)의 상측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플래퍼 도어(46)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형성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퍼 도어(46)와 상기 힌지(14)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플래퍼 도어(46)를 상기 하우징(12)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밸브 형성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제 1 코어 핀 및 제 2 코어 핀을 사용하여 상기 캐비티(32)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핀(56)을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어 핀은 상기 핀(56)의 제 1 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코어 핀은 상기 핀(56)의 제 2 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코어 핀 및 상기 제 2 코어 핀은 상기 분할선 평면에서 만나는
    밸브 형성 방법.
KR1020097021646A 2007-04-19 2008-04-17 일체형 힌지를 구비한 밸브 KR101503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37,337 US20080257426A1 (en) 2007-04-19 2007-04-19 Integral hinge
US11/737,337 2007-04-19
PCT/IB2008/000942 WO2008129394A1 (en) 2007-04-19 2008-04-17 Valve with integral hin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646A true KR20100015646A (ko) 2010-02-12
KR101503371B1 KR101503371B1 (ko) 2015-03-18

Family

ID=3968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646A KR101503371B1 (ko) 2007-04-19 2008-04-17 일체형 힌지를 구비한 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257426A1 (ko)
JP (1) JP2010525248A (ko)
KR (1) KR101503371B1 (ko)
CN (1) CN101678761B (ko)
DE (1) DE112008000996T5 (ko)
MX (1) MX2009011306A (ko)
WO (1) WO20081293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18896D0 (en) * 2008-10-15 2008-11-19 Tiss Ltd Fuel Tank Inlet Device
WO2010055315A2 (en) * 2008-11-17 2010-05-20 Truckprotect Limited Anti-siphon device
US8550279B2 (en) * 2009-03-09 2013-10-08 Gregory K. Avakian Anti-siphoning fuel device, system, and method
US8794468B2 (en) * 2009-04-21 2014-08-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filler tube anti-siphon device
US8281947B2 (en) * 2009-05-11 2012-10-09 Eaton Corporation Anti-siphon device
JP5436398B2 (ja) * 2010-03-26 2014-03-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燃料タンク
US9279509B2 (en) 2013-09-09 2016-03-08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Valve with precision mounted hinge pin posts
EP3183138A4 (en) * 2014-08-19 2018-04-18 Eaton Corporation Extension tube internal check valve
CN107076322B (zh) * 2014-09-26 2019-11-29 百乐仕株式会社 瓣阀装置
KR101822911B1 (ko) * 2016-06-17 2018-01-30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JP7149039B2 (ja) * 2018-09-11 2022-10-06 株式会社Fts 車両の燃料タンクの逆流防止装置およびその取付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99057A (en) * 1922-05-25 1926-09-07 George S Mcfarland Cap for fill pipes for tanks or containers
US1931335A (en) * 1932-08-22 1933-10-17 Floyd E Terry Antisiphon device for fuel tanks
US2677479A (en) * 1951-07-17 1954-05-04 Continental Plastics Corp Hinge structure, especially for molded boxes
US4039004A (en) * 1975-10-14 1977-08-02 West American Rubber Co. Backflow valve mounting and sealing device
CA1138376A (en) * 1979-07-20 1982-12-28 Stephen I. Clayman Cap for gasoline tank
US4825902A (en) * 1988-01-11 1989-05-02 Halliburton Company Flapper valve with protective hinge pin sleeve
US5143113A (en) * 1991-09-18 1992-09-01 Scaramucci John P Top-entry check valve with cartridge secured by projections
US5275213A (en) * 1993-01-22 1994-01-04 Perko, Inc. Fuel filling and venting device
JP3383168B2 (ja) * 1996-09-27 2003-03-04 オーエム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逆流防止弁
US6234195B1 (en) * 1998-07-20 2001-05-22 Saturn Electronics & Engineering, Inc. Check valve for fuel tank fill pipe
JP4276727B2 (ja) * 1999-03-03 2009-06-10 株式会社ニフコ バルブ
DE19911069A1 (de) * 1999-03-12 2000-09-2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schluß an einem Einfüllstutzen eines Behälters, insbesondere an einem Kraftfahrzeug
JP3853122B2 (ja) * 1999-11-30 2006-12-0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給油管の逆流防止装置
JP2002039161A (ja) * 2000-07-31 2002-02-06 Nifco Inc ヒンジユニット及びヒンジ構造
US7458391B2 (en) * 2001-12-21 2008-12-02 Eaton Corporation Assembling a siphonable filler tube with a check valve on a fuel tank
CN2541686Y (zh) * 2002-04-04 2003-03-26 何相华 直通式浮球阀
US7503343B2 (en) * 2002-04-30 2009-03-17 Eaton Corporation Siphonable check valv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932100B2 (en) * 2003-05-23 2005-08-23 Eaton Corporation Flapper type fill tube check valve
US7146729B2 (en) * 2003-09-15 2006-12-12 Eaton Corporation Fuel vapor vent valve and method of attaching same to a tank
US7147001B2 (en) * 2004-03-26 2006-12-12 Stant Manufacturing Inc. Fuel-transfer system
JP2005299876A (ja) * 2004-04-15 2005-10-27 Nifco Inc フリーストップ型ヒンジ装置
US7163023B2 (en) * 2004-07-15 2007-01-16 Eaton Corporation Fuel vapor vent valve float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6046359A (ja) * 2004-07-30 2006-02-16 Nifco Inc ヒンジ構造、該ヒンジ構造を具備するヒンジユニット、及び該ヒンジ構造により蓋体を取り付けた容器
JP4504772B2 (ja) * 2004-09-27 2010-07-14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の給油管
US20060070667A1 (en) * 2004-10-06 2006-04-06 Gaynor Scott C Anti-siphonable inlet check valve
US7165583B1 (en) * 2005-01-31 2007-01-23 Eaton Corporation Door latch for capless filler neck
JP4621084B2 (ja) * 2005-07-13 2011-01-2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燃料逆流防止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8000996T5 (de) 2010-04-08
JP2010525248A (ja) 2010-07-22
CN101678761B (zh) 2013-09-18
MX2009011306A (es) 2009-11-05
US20080257426A1 (en) 2008-10-23
WO2008129394A1 (en) 2008-10-30
CN101678761A (zh) 2010-03-24
KR101503371B1 (ko)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5646A (ko) 일체형 힌지를 구비한 밸브
US20060108000A1 (en) Fuel cut off valve
US4724868A (en) Cap with valve
JP6213412B2 (ja)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JP5027225B2 (ja) 乗物のタンクにディーゼル燃料を注入するための燃料注入口組立体
JPWO2013069532A1 (ja) 弁装置
WO2013069240A1 (ja) 燃料タンクの排気弁装置
US20130140480A1 (en) Fluid control valve
JP5939767B2 (ja) 改善されたシール座を有する比例弁
KR102187051B1 (ko) 탱크용 배플 및 그 탱크
EP3187356B1 (en) Fuel tank check valve
EP2872347A1 (en) Textured closure surface for fuel vapor valve
KR101388293B1 (ko) 곡관교정금형장치
JP5125929B2 (ja) 燃料遮断弁
US20160250920A1 (en) Open-close device for fuel tank
US10017052B2 (en) Fuel inlet
JP6432301B2 (ja) ウォッシャタンク
JP2008062435A (ja) 筒状芯体付成形品の製造方法
JP2022538006A (ja) 弁棒ロック機構
CN220102183U (zh) 一种单向阀及流体控制组件
JP4207875B2 (ja) 燃料遮断弁
US11338486B2 (en) Injection-moulding tool for producing a plastics component
US11578806B2 (en) Seal and regulator valve
CN220185962U (zh) 排水阀
US20220194216A1 (en) Over-fueling prevention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