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051B1 - 탱크용 배플 및 그 탱크 - Google Patents

탱크용 배플 및 그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051B1
KR102187051B1 KR1020190081774A KR20190081774A KR102187051B1 KR 102187051 B1 KR102187051 B1 KR 102187051B1 KR 1020190081774 A KR1020190081774 A KR 1020190081774A KR 20190081774 A KR20190081774 A KR 20190081774A KR 102187051 B1 KR102187051 B1 KR 102187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affle
fused
fusion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세훈
기광택
전은준
최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190081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43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pumps, the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4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comprising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60K2015/07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in-tank reservoirs or baffles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fuel Tank

Abstract

본 발명은 배플의 구조 개선을 통해 연료탱크의 제조과정에서 배플의 회전 움직임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배플의 중단에 인서트핀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를 기준으로 배플의 양측에 탱크의 내면에 융착되는 융착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핀이 상기 삽입부 내에서 이탈되는 과정에서 인서트핀이 이탈되는 방향으로 배플이 함께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용 배플 및 그 탱크가 소개된다.

Description

탱크용 배플 및 그 탱크{THE TANK AND BAFFLE FOR TANK}
본 발명은 배플의 구조 개선을 통해 연료탱크의 제조과정에서 배플의 회전 움직임을 방지하는 탱크용 배플 및 그 탱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연료탱크를 성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인서트핀(2)에 배플(1)을 삽입 및 안착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핀(2)을 상승 이동시켜 연료탱크의 성형을 위한 양측 금형(3) 사이에 배플(1)을 위치시킨다.
이처럼, 상기 배플(1)을 금형(3)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료탱크의 성형재인 패리슨을 상기 배플(1)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배플(1)과 금형(3) 사이에 구비하고, 상기 배플(1)을 향해 양측의 금형(3)을 합형함으로써, 상기 배플(1)이 패리슨과 접촉되면서 금형(3)의 내면에 지지되는바, 배플(1)의 위치를 규제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인서트핀(2)을 하강 이동시켜 금형(3)의 외부로 이탈시키고, 이 후 금형의 하단에 위치한 슬라이드코어(4)를 닫은 후, 금형을 관통하여 패리슨 내부에 공기를 불어 넣음으로써, 패리슨이 연료탱크 모양으로 블로우 성형된다.
그런데, 상기 인서트핀의 하강 이동과정에서, 인서트핀이 배플을 잡아당기는 힘 또는 배플의 자중 등의 영향으로 인해 배플의 회전 움직임이 발생하여 배플이 연료탱크에 간섭되거나, 정해진 위치에 융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도 2와 같이 인서트핀이 삽입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배플의 일측만 금형에 편심되어 지지되는 경우, 인서트핀의 이탈시 금형에 지지되는 배플의 일측을 기준으로 배플의 타측이 회전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2018-0060772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배플의 구조 개선을 통해 연료탱크의 제조과정에서 배플의 회전 움직임을 방지하는 탱크용 배플 및 그 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배플의 중단에 인서트핀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를 기준으로 배플의 양측에 탱크의 내면에 융착되는 융착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핀이 상기 삽입부 내에서 이탈되는 과정에서 인서트핀이 이탈되는 방향으로 배플이 함께 움직이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융착부는,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핀이 이탈되는 직선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탱크의 상하부 내면에 각각 융착 및 지지되는 강성융착부; 상기 삽입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핀이 이탈되는 직선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어느 한쪽의 단부가 그와 마주하는 탱크의 내면에 융착 및 지지되는 회전방지융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함체 형상의 상부쉘과 하부쉘이 합쳐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탱크를 이루되, 상기 상부쉘과 하부쉘 사이에 상기 탱크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플이 구비되고; 상기 강성융착부의 양단이 상기 상부쉘의 내면과 하부쉘의 내면에 각각 융착 지지되며; 상기 회전방지융착부의 한쪽 단부가 상기 상부쉘의 내면 또는 하부쉘의 내면에 융착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가 판 형상의 플레이트부 중단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강성융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강성융착부의 양단이 탱크의 양측 내면에 각각 융착 및 지지되며; 상기 플레이트부 타측 상단에 회전방지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융착부의 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탱크의 내면에 융착 및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측 상단에는 상기 인서트핀이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부를 향하여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의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브의 상단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측 하단이 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파여진 부분이 탱크 내에 연료를 유입시키는 연료유입구와 마주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탱크의 내부에 배플이 구비되고; 상기 배플의 중단에 인서트핀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를 기준으로 배플의 양측에 상기 탱크의 내면에 융착되는 융착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핀이 상기 삽입부 내에서 이탈되는 과정에서 인서트핀이 이탈되는 방향으로 배플이 함께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융착부는,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핀이 이탈되는 직선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탱크의 양측 내면에 각각 융착 및 지지되는 강성융착부; 상기 삽입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핀이 이탈되는 직선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어느 한쪽의 단부가 그와 마주하는 탱크의 내면에 융착 및 지지되는 회전방지융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가 판 형상의 플레이트부 중단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강성융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강성융착부의 양단이 탱크의 양측 내면에 각각 융착 및 지지되며; 상기 플레이트부 타측 상단에 회전방지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융착부의 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탱크의 내면에 융착 및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탱크에 연료유입구가 마련되어 탱크 내부에 연료가 유입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측 하단에 연료유입공간이 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료유입공간이 상기 연료유입구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탱크의 내면에 펌프가 융착 및 고정되는 펌프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펌프융착부의 테두리를 따라 탱크의 내부를 향해 펌프유동방지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단 중앙부분에 유동방지부회피공간이 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동방지부회피공간의 하부에 펌프유동방지부가 통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강성융착부를 기준으로 플레이트부와 직교하는 방향에 연장플레이트부의 일측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와 함께 펌프의 테두리 일부를 막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부의 타측에서 이어지는 방향에 다른 배플이 마련되어, 상기 다른 배플이 상기 펌프의 테두리 일부를 막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플레이트부의 타측과 다른 배플 사이가 떨어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가 융착되는 탱크의 내면에 오목한 홈 형상으로 지지홈이 형성되어 돌출부가 상기 지지홈의 내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의 내벽면이 홈의 바깥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지지홈의 내벽면에 끼워지면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배플의 양측에 융착부가 각각 형성되고, 양측의 융착부가 탱크의 내면에 각각 융착 및 지지됨으로써, 배플의 양측에서 배플을 지지하게 되는바, 탱크 성형과정에서 배플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배플이 탱크의 내면에 간섭되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 융착되어 탱크를 성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연료탱크의 블로우 성형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연툐탱크 성형과정에서 배플의 일측만 금형에 지지되는 경우 배플이 회전되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 내부에 배플을 위치시키는 인서트핀의 작동과, 탱크 내부에 고정되는 배플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플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배플이 융착된 상태의 탱크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배플이 융착된 상태의 탱크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배플에 형성된 돌출부가 탱크의 지지홈 내면에 삽입 및 융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탱크용 배플은 인서트핀(500)이 삽입되는 삽입부(212) 양측에 탱크(100)의 내면에 지지되는 융착부를 각각 형성하여 구성이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배플(200)의 중단에 인서트핀(500)이 삽입되는 삽입부(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212)를 기준으로 배플(200)의 양측에 탱크(100)의 내면에 융착되는 융착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핀(500)이 상기 삽입부(212) 내에서 이탈되는 과정에서 인서트핀(500)이 이탈되는 방향으로 배플(200)이 함께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즉, 상기 삽입부(212)의 양측에 융착부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일측의 융착부 및 타측의 융착부 각이 상기 탱크(100)의 내면에 융착 및 지지됨으로써, 배플(200)의 양측이 탱크(100)의 내면에 지지되는바, 상기 배플(200)의 성형과정에서 배플(200)이 어느 한쪽을 기준으로 다른 한쪽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부연하면, 탱크(100)의 블로우 성형과정에서, 배플(200)을 금형 사이에 위치시키는 역할의 인서트핀(500)을 하부로 이동하여 이탈시키게 되는데, 배플(200)의 양측에 융착부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배플(200)의 양측이 상기 탱크(100)의 양측 내면에 각각 지지된다.
따라서, 인서트핀(500)의 이탈과 함께 인서트핀(500)에 의해 삽입부(212)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가해지거나 혹은 배플(200)의 자중에 의해 하부로 떨어지려는 힘이 발생하더라도 삽입부(212)의 양측에서 배플(200)을 지지하게 되는바, 배플(200)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배플(200)이 탱크(100)의 내면에 간섭되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 융착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융착부는 일측의 강성융착부(220)와, 타측의 회전방지융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먼저, 상기 강성융착부(220)는 상기 삽입부(212)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핀(500)이 이탈되는 직선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탱크(100)의 상하부 내면에 각각 융착 및 지지된다.
그리고, 회전방지융착부(230)는 상기 삽입부(212)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핀(500)이 이탈되는 직선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어느 한쪽의 단부가 그와 마주하는 탱크(100)의 내면에 융착 및 지지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탱크(100)와 배플(200)의 결합구조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함체 형상의 상부쉘(110)과 하부쉘(120)이 합쳐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탱크(100)를 이루되, 상기 상부쉘(110)과 하부쉘(120) 사이에 상기 탱크(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플(200)이 구비된다.
이때에, 상기 강성융착부(220)의 양단이 상기 상부쉘(110)의 내면과 하부쉘(120)의 내면에 각각 융착 지지되고, 상기 회전방지융착부(230)의 한쪽 단부가 상기 상부쉘(110)의 내면 또는 하부쉘(120)의 내면에 융착 지지된다.
예컨대, 상기 상부쉘(110)이 탱크(100)의 상부를 이루는 쉘이고, 하부쉘(120)이 탱크(100)의 하부를 이루는 쉘인 경우, 상기 강성융착부(220)의 상단이 상부쉘(110)의 천장면에 융착 및 지지되고 상기 강성융착부(220)의 하단이 상기 상부쉘(110)이 바닥면에 융착 및 지지된다.
이때에, 상기 강성융착부(220)는 상부쉘(110)의 내면과 하부쉘(120)의 내면 사이에 샤프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탱크(100)의 내면에 융착되어 배플(200)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역할은 물론, 탱크(100)의 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융착부(230)의 상단이 상기 상부쉘(110)의 천장면에 융착 및 지지된다.
즉, 상기 삽입부(212)의 일측에는 강성융착부(220)가 탱크(100)의 내면에 지지되고, 상기 삽입부(212)의 타측에는 회전방지융착부(230)가 탱크(100)의 내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탱크(100)의 성형과정에서 배플(20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배플(200)의 구성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삽입부(212)가 판 형상의 플레이트부(210) 중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210)의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강성융착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강성융착부(220)의 양단이 탱크(100)의 양측 내면에 각각 융착 및 지지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210) 타측 상단에 회전방지융착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융착부(230)의 단부에 돌출부(232)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32)가 탱크(100)의 내면에 융착 및 지지된다.
즉, 상기 상부쉘(110)의 천장면과 마주하는 회전방지융착부(230)에 돌출부(232)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32)가 상기 상부쉘(110)의 천장면에 융착 및 지지된다.
더불어, 도 4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부(210)의 타측 상단에는 상기 인서트핀(500)이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부를 향하여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의 리브(234)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브(234)의 상단에 돌출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서트핀(500)이 이탈되는 방향으로 리브(234)가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방지융착부(230)에 형성된 돌출부(232)가 상기 탱크(100)의 내면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이에 상기 인서트핀(500)이 이탈되는 과정에서 배플(200)의 회전방지융착부(230) 부분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6과 같이 상기 플레이트부(210)의 타측 하단에 연료유입공간(214)이 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파여진 연료유입공간(214)이 탱크(100) 내에 연료를 유입시키는 연료유입구(130)와 마주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배플(200)이 연료유입구(130) 앞을 막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연료유입구(130)를 통해 탱크(100) 내부에 연료 유입시, 연료가 배플(200)에 막혀 유동저항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탱크(100) 내에 연료가 원활하고 신속하게 유입되지 못하게 되어 연료주입성능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연료유입구(130)와 마주하는 배플(200) 부분에 연료유입공간(214)을 형성함으로써, 연료유입구(130)를 통해 유입되는 연료가 상기 연료유입공간(214)을 통해 탱크(100) 내부에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되는바, 연료주입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배플(200)이 구비된 탱크(100)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탱크(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탱크(100)의 내부에 배플(200)이 구비되고, 상기 배플(200)의 중단에 인서트핀(500)이 삽입되는 삽입부(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212)를 기준으로 배플(200)의 양측에 상기 탱크(100)의 내면에 융착되는 융착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핀(500)이 상기 삽입부(212) 내에서 이탈되는 과정에서 인서트핀(500)이 이탈되는 방향으로 배플(200)이 함께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즉, 탱크(100)의 블로우 성형과정에서, 배플(200)을 금형 사이에 위치시키는 역할의 인서트핀(500)을 하부로 이동하여 이탈시키게 되는데, 배플(200)의 양측에 융착부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배플(200)의 양측이 상기 탱크(100)의 양측 내면에 각각 지지된다.
따라서, 인서트핀(500)의 이탈과 함께 인서트핀(500)에 의해 삽입부(212)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가해지거나 혹은 배플(200)의 자중에 의해 하부로 떨어지려는 힘이 발생하더라도 삽입부(212)의 양측에서 배플(200)을 지지하게 되는바, 배플(200)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배플(200)이 탱크(100)의 내면에 간섭되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 안정적으로 융착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6과 같이, 상기 탱크(100)의 내면에는 펌프(400)가 융착 및 고정되는 펌프융착부(140)가 형성되고, 상기 펌프융착부(140)의 테두리 일부를 따라 탱크(100)의 내부를 향해 비드 형상의 펌프유동방지부(15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210)의 하단 중앙부분에 유동방지부회피공간(216)이 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동방지부회피공간(216)의 하부에 펌프유동방지부(150)가 통과하도록 구성이 된다.
즉, 상기 펌프융착부(140)가 형성된 상기 하부쉘(120)의 바닥면 중 상기 펌프(400)의 테두리를 따라 펌프(400)의 유동 방지를 위해 펌프유동방지부(15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유동방지부(150)의 형상 반영을 위해 상기 회전방지융착부(230)가 상기 배플(200)의 상단에만 형성되고, 배플(200)의 하단에는 형성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도 3과 같이 상기 강성융착부(220)를 기준으로 플레이트부(210)와 직교하는 방향에 연장플레이트부(240)의 일측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부(210)와 함께 펌프(400)의 테두리 일부를 막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플레이트부(240)의 타측에서 이어지는 방향에 다른 배플(300)이 마련되어, 상기 다른 배플(300)이 상기 펌프(400)의 테두리 일부를 막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부(240)의 타측과 다른 배플(300) 사이가 떨어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배플(200)의 플레이트부(210) 및 연장플레이트부(240)와, 상기 다른 배플(300)이 상기 펌프(400)의 측면 둘레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배플(200)의 연장플레이트부(240)는 탱크(100) 내면과 펌프(400)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협소한 부분에 배치된다.
이에, 상기 연장플레이트부(240)와 다른 배플(300)이 연결되는 구조를 생각해 볼때에, 상기 연장플레이트부(240)와 다른 배플(300)이 상기 협소한 간격 부분에서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가 됨으로써, 이 연결부분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고, 얇은 연결구조는 강성 부족으로 인해 그 연결된 부분이 접힐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연장플레이트와 다른 배플(300)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떨어진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배플(200)과 다른 배플(300)이 개별적으로 탱크(100) 내부에 융착 및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플(200)의 양측에 융착부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탱크(100)의 성형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배플(200)의 회전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돌출부(232)가 융착되는 탱크(100)의 내면에 오목한 홈 형상으로 지지홈(160)이 형성되어 돌출부(232)가 상기 지지홈(160)의 내면에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232)가 상기 지지홈(160)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돌출부(232)가 지지홈(160)에 걸려지게 되고, 이에 상기 배플(200)의 회전 움직임을 확실하게 규제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홈(160)의 내벽면이 홈의 바깥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32)가 상기 지지홈(160)의 내벽면에 끼워지면서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232)가 상기 지지홈(160)의 내벽면에 끼워진 상태로 융착 및 지지됨으로써, 돌출부(232)가 지지홈(16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상기 배플(200)의 회전 움직임을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규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플(200)의 양측에 융착부가 각각 형성되고, 양측의 융착부가 탱크(100)의 내면에 각각 융착 및 지지됨으로써, 탱크(100)의 성형과정에서 인서트핀(500)의 이탈과 함께 배플(200)이 하부로 떨어지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배플(200)의 양측에서 배플(200)을 지지하게 되는바, 배플(200)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배플(200)이 탱크(100)의 내면에 간섭되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 융착되어 탱크(100)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탱크
110 : 상부쉘
120 : 하부쉘
130 : 연료유입구
140 : 펌프융착부
150 : 펌프유동방지부
160 : 지지홈
200 : 배플
210 : 플레이트부
212 : 삽입부
214 : 연료유입공간
216 : 유동방지부회피공간
220 : 강성융착부
230 : 회전방지융착부
232 : 돌출부
234 : 리브
240 : 연장플레이트부
300 : 다른 배플
400 : 펌프
500 : 인서트핀

Claims (14)

  1. 배플의 중단에 인서트핀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를 기준으로 배플의 양측에 탱크의 내면에 융착되는 융착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핀이 상기 삽입부 내에서 이탈되는 과정에서 인서트핀이 이탈되는 방향으로 배플이 함께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며;
    상기 융착부는,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핀이 이탈되는 직선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탱크의 상하부 내면에 각각 융착 및 지지되는 강성융착부;
    상기 삽입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핀이 이탈되는 직선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어느 한쪽의 단부가 그와 마주하는 탱크의 내면에 융착 및 지지되는 회전방지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용 배플.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함체 형상의 상부쉘과 하부쉘이 합쳐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탱크를 이루되, 상기 상부쉘과 하부쉘 사이에 상기 탱크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플이 구비되고;
    상기 강성융착부의 양단이 상기 상부쉘의 내면과 하부쉘의 내면에 각각 융착 지지되며;
    상기 회전방지융착부의 한쪽 단부가 상기 상부쉘의 내면 또는 하부쉘의 내면에 융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용 배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가 판 형상의 플레이트부 중단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강성융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강성융착부의 양단이 탱크의 양측 내면에 각각 융착 및 지지되며;
    상기 플레이트부 타측 상단에 회전방지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융착부의 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탱크의 내면에 융착 및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용 배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측 상단에는 상기 인서트핀이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부를 향하여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의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브의 상단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용 배플.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측 하단이 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파여진 부분이 탱크 내에 연료를 유입시키는 연료유입구와 마주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용 배플.
  7. 탱크의 내부에 배플이 구비되고;
    상기 배플의 중단에 인서트핀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를 기준으로 배플의 양측에 상기 탱크의 내면에 융착되는 융착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핀이 상기 삽입부 내에서 이탈되는 과정에서 인서트핀이 이탈되는 방향으로 배플이 함께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융착부는,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핀이 이탈되는 직선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탱크의 양측 내면에 각각 융착 및 지지되는 강성융착부;
    상기 삽입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핀이 이탈되는 직선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어느 한쪽의 단부가 그와 마주하는 탱크의 내면에 융착 및 지지되는 회전방지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가 판 형상의 플레이트부 중단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강성융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강성융착부의 양단이 탱크의 양측 내면에 각각 융착 및 지지되며;
    상기 플레이트부 타측 상단에 회전방지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융착부의 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탱크의 내면에 융착 및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탱크에 연료유입구가 마련되어 탱크 내부에 연료가 유입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측 하단에 연료유입공간이 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료유입공간이 상기 연료유입구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내면에 펌프가 융착 및 고정되는 펌프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펌프융착부의 테두리를 따라 탱크의 내부를 향해 펌프유동방지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단 중앙부분에 유동방지부회피공간이 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동방지부회피공간의 하부에 펌프유동방지부가 통과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강성융착부를 기준으로 플레이트부와 직교하는 방향에 연장플레이트부의 일측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와 함께 펌프의 테두리 일부를 막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부의 타측에서 이어지는 방향에 다른 배플이 마련되어, 상기 다른 배플이 상기 펌프의 테두리 일부를 막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플레이트부의 타측과 다른 배플 사이가 떨어진 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융착되는 탱크의 내면에 오목한 홈 형상으로 지지홈이 형성되어 돌출부가 상기 지지홈의 내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의 내벽면이 홈의 바깥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지지홈의 내벽면에 끼워지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KR1020190081774A 2019-07-08 2019-07-08 탱크용 배플 및 그 탱크 KR102187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774A KR102187051B1 (ko) 2019-07-08 2019-07-08 탱크용 배플 및 그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774A KR102187051B1 (ko) 2019-07-08 2019-07-08 탱크용 배플 및 그 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051B1 true KR102187051B1 (ko) 2020-12-04

Family

ID=7377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774A KR102187051B1 (ko) 2019-07-08 2019-07-08 탱크용 배플 및 그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0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809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KR20220095808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485754U (zh) * 2013-10-17 2014-03-19 亚普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低应力防浪板装置
KR101512932B1 (ko) * 2014-02-25 2015-04-16 주식회사 동희산업 배플 조립체
JP2015089771A (ja) * 2013-11-07 2015-05-11 株式会社Fts 自動車用燃料タンク
KR101592364B1 (ko) * 2010-09-29 2016-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탱크용 배플유닛
KR101690027B1 (ko) * 2015-06-29 2016-12-28 (주)동희산업 플라스틱 연료탱크 조립체 및 이의 성형장치
EP3284625A1 (en) * 2015-04-15 2018-02-21 Yachiyo Industry Co., Ltd. Fuel tank
KR20180060772A (ko)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동희산업 플라스틱 연료탱크의 성형장치 및 이의 장치를 이용해서 제작된 차량용 플라스틱 연료탱크
KR101965433B1 (ko) * 2017-11-28 2019-04-03 (주)동희산업 차량용 요소수 탱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3658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동희산업 지지대 조립형 배플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364B1 (ko) * 2010-09-29 2016-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탱크용 배플유닛
CN203485754U (zh) * 2013-10-17 2014-03-19 亚普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低应力防浪板装置
JP2015089771A (ja) * 2013-11-07 2015-05-11 株式会社Fts 自動車用燃料タンク
KR101512932B1 (ko) * 2014-02-25 2015-04-16 주식회사 동희산업 배플 조립체
EP3284625A1 (en) * 2015-04-15 2018-02-21 Yachiyo Industry Co., Ltd. Fuel tank
KR101690027B1 (ko) * 2015-06-29 2016-12-28 (주)동희산업 플라스틱 연료탱크 조립체 및 이의 성형장치
KR20180060772A (ko)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동희산업 플라스틱 연료탱크의 성형장치 및 이의 장치를 이용해서 제작된 차량용 플라스틱 연료탱크
KR101965433B1 (ko) * 2017-11-28 2019-04-03 (주)동희산업 차량용 요소수 탱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3658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동희산업 지지대 조립형 배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809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KR20220095808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051B1 (ko) 탱크용 배플 및 그 탱크
KR20100015646A (ko) 일체형 힌지를 구비한 밸브
US20110045758A1 (en) Ventilation nozzle
WO2012132708A1 (ja) 風向調整用バレル、風向調整用バレルの成形方法、風向調整用バレルの成形装置
JP2020080918A (ja) 洗濯機
CN105089402A (zh) 洗碗机
JP6536307B2 (ja) 送風装置
JP6255365B2 (ja) グリルシャッタ
CN106458015B (zh) 燃油进口装置
CN104791532A (zh) 注塑成型的塑料截止阀阀体
JP7070377B2 (ja) ダクト付きカバー及びダクト付きカバーの製造方法
JP5055199B2 (ja) 振り出しキャップ
JP6602296B2 (ja) 金型
KR102525460B1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US2789326A (en) Vents for sand blowing in core boxes and cast iron moulds
JP7082754B2 (ja) フラップ
JP7338320B2 (ja) スパウト用の射出成形金型、スパウト製造方法、およびスパウト
JP4609937B2 (ja) 扉取付構造及び扉取付部材
JP3293690B2 (ja) 射出成形用金型
KR20220095808A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JP5413975B2 (ja) 搬送容器の壁構造
JP2018135914A (ja) 弁装置
JP4743558B2 (ja) 水容器付き給水器の製造方法
JP2023157304A (ja) 車両用空調装置ケース
TWM596321U (zh) 自動注水加濕室結構改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