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4269A -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컴파트먼트를 구비한 건설 중장비 - Google Patents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컴파트먼트를 구비한 건설 중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269A
KR20100014269A KR1020097012318A KR20097012318A KR20100014269A KR 20100014269 A KR20100014269 A KR 20100014269A KR 1020097012318 A KR1020097012318 A KR 1020097012318A KR 20097012318 A KR20097012318 A KR 20097012318A KR 20100014269 A KR20100014269 A KR 20100014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upper frame
flap
heavy equipment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8978B1 (ko
Inventor
죄르그 리브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0001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4Superstructure sub-units with access or drainage openings having 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언더캐리지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1)을 포함하는 건설 중장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및/또는 컴파트먼트(3)는 상부 프레임(1)의 하측(2)에 어셈블리 유닛(5; 51, 52, 53 54; 55, 56, 57, 58)에 의해서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및/또는 컴파트먼트(3)는 개폐 위치에서 이동되거나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를 제공한다.
건설 중장비, 상부 프레임, 어셈블리 유닛, 컴파트먼트

Description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컴파트먼트를 구비한 건설 중장비{COMPARTMENT MOUNTED AT AN UNDERSIDE OF AN UPPER FRAME OF A CON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상부 캐리지 또는 상부 프레임이 설치되는 하부 캐리지 또는 언더캐리지를 포함하는 건설중장비와 관련된다. 많은 건설 중장비에서 상부 프레임은 언더캐리지에 장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은 특히 굴삭기, 크레인 또는 다른 건설 장비 형태의 건설 중장비와 관련된다.
건설 중장비를 설계할 때 작업자나 건설 중장비의 운전자가 쉽고 편리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건설 중장비의 일부 구성을 설치하는 것은 공간상의 제한으로 어렵다. 이러한 구성으로 연료 필터 펌프, 연료 석션 호스, 유압 또는 전기 장치, 공구를 보관하기 위한 컴파트먼트, 액서서리, 작업 밸브, 스페어 파트 등이 있다.
더욱이, 전술한 구성은 건설 중장비의 작업 동안 발생되는 손상이나 먼지, 물, 얼음, 눈 등과 같은 환경 요인에 의한 손상으로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문제들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대표적인 구성들에 쉽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동시에 손상이나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건설 중장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언더캐리지에 장착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청구항 1항의 건설 중장비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flap) 및/또는 컴파트먼트는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어셈블리 유닛에 의해서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및/또는 컴파트먼트는 개폐 위치 사이에서 이동 또는 작동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파트먼트 또는 플랩은 록커(locker)나 박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다음 실시예에서 컴파트먼트 또는 플랩이란 용어는 모든 가능한 대체물을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컴파트먼트 또는 플랩을 제공함으로써 언더캐리지 또는 지상에 서있는 작업자가 쉽게 컴파트먼트 등에 접근하거나 열수 있다. 이는 컴파트먼트 또는 플랩이 작업자나 건설 중장비의 길이에 비교시 낮은 위치에 있고, 작업자 등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낮기 때문이다. 더욱이,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서 컴파트먼트 또는 플랩은 손상이나 전술한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폭 넓게 보호될 수 있다.
다른 이점은 열린 상태에서도 컴파트먼트, 플랩 또는 이것의 내용물은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함으로서 비, 눈, 얼음, 먼지 등으로부터 폭 넓게 보호될 수 있다.
더욱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컴파트먼트 또는 플랩은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제공될 수 있으므로 상부 프레임의 여유 공간은 다양한 구성을 저장하거나 컴파트먼트를 제공하기 위해 컴파트먼트나 플랩의 크기에 맞게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플랩은 건설 중장비의 구성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의 하측의 적절한 장소에 위치될 수 있고, 플랩이 열렸을 때 어떤 구성의 정비는 빠르고 쉽게 행해질 수 있다.
독립항은 유리한 실시예와 본 발명의 더 개선된 사항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동반되는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되는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어떤 결합내에서 결합될 여지가 있음은 명백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특징이나 이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대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고,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수반되는 도면에서 밑줄 친 번호는 밑줄 친 번호가 위치한 항목을 나타낸다. 비 밑줄 친 번호는 비 밑줄 친 번호를 항목에 연결하는 라인에 의해서 특징되는 항목과 관련된다. 번호에 밑줄이 없고 화살표가 수반되었을 때 비 밑줄 친 번호는 화살표가 가리키는 일반적인 항목을 특징하는데 사용된다.
모든 도면의 같은 관련 번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일하거나 관련된 구성을 나타낸다.
도 1 은 건설 중장비의 상부 프레임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 는 개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컴파트먼트를 갖는 건설 중장비의 상부 프레임의 측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 은 도 2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4 는 개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컴파트먼트를 갖는 건설 중장비의 상부 프레임의 측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 는 도 4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6 은 개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인 컴파트먼트를 갖는 건설 중장비의 상부 프레임의 측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7 은 도 6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8 은 닫혀진 상태에서 컴파트먼트를 갖는 상부 프레임의 측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9 는 도 8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 은 건설 중장비의 상부 프레임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건설 기계로서 굴살기를 예로 들어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부 프레임(1)은 건설 중장비를 작동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운전자 캐빈(10), 연료 탱크(11), 붐, 엔진, 기어, 다른 구성을 포함하고, 대부분은 상부 프레임의 관련된 커버 뒤에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은 하부 캐리지 또는 언더캐리지에 설치되어 하부 캐리지 또는 언더캐리지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턴 또는 회전된다. 굴살기와 같은 건설 차량에서 언더캐리지는 차량을 구동, 이동 또는 분리시키기 위해 휠을 구비한다.
도 2의 확대된 측면 사시도에서 2개의 연료 탱크(11)를 갖는 도 1의 상부 프레임(1)의 일부분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연료 탱크(11) 대신에 커버가 다른 구성을 커버링하기 위해 이 장소에 제공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이 제공되며, 이 상부 프레임(1)의 하측에는 개방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피봇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컴파트먼트(3)가 구비된다. 상부 프레임(1)의 컴파트먼트(3)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닫혀진 위치에서 프리 공간이 컴파 트먼트(3)를 저장하기 위해 유용하거나, 상부 프레임(1)의 어떤 구성이 컴파트먼트(3)가 열렸을 때 접근 가능한가에 따라 선택된다.
컴파트먼트(3)의 형상이나 면적은 컴파트먼트(3)를 위한 상부 프레임(1) 내부에서 유용한 공간(4) 및/또는 컴파트먼트(3) 내부에 저장되거나 배열되는 구성이나 장비의 크기에 따라 선택된다.
도 2에서 컴파트먼트(3)는 대체로 평행육면체 형상이며, 바닥판(31)과 이 바닥판(31)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세개의 측벽(32,33,34)으로 구성된다. 컴파트먼트(3)의 제1실시예는 상부 프레임(1)의 하측(2)에 어셈블리 유닛에 의해서 회전 또는 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어셈블리 유닛은 에지(edge) 형태, 바람직하게는 컴파트먼트(3)의 리어(rear) 에지(5) 형태로 제공되며, 컴파트먼트(3)는 상부 프레임(1)의 하측(2)에 피봇되도록 설치되어 상측 또는 하측으로의 틸팅에 의해 개폐된다.
도 3은 도 2의 상부 프레임을 우측을 기준으로 절단한 상부프레임의 정면도로 개방된 상태에서 제1실시예인 컴파트먼트(3)의 일측벽(34)과 바닥판(31)을 나타낸다. 이 도면으로부터 컴파트먼트(3)를 개폐시키기 위해서는 리어 에지 주위에서 회전 경로로 가이드되거나, 상하로 틸팅되거나, 상하부로 턴 되는 것이 명백하다.
도 4는 또한 도 1의 상부프레임의 일부 형태인 도 2와 유사한 개략적인 측면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부 프레임(1)의 하측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컴파트먼트(3)가 개방된 상태로 제공된다.
상부 프레임(1)의 컴파트먼트(3)의 위치나 형상이나 면적은 제1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컴파트먼트(3)의 제2실시예는 적어도 평행육면체 형상이며, 바닥판(31)과, 제1,2,3측벽(32,33,34)과, 바닥판(31)에서 수직 연장되어 컴파트먼트(3)의 뒤측에 있는 제4측벽을 구비한다.
그러나, 제1실시예에서 벗어나 컴파트먼트(3)의 제2실시예는 4개의 로드(51,52,53,54) 형태의 어셈블리 유닛을 포함하며, 제1,2로드(51,52)는 컴파트먼트(3)의 제2측벽(33)과 상부 프레임(1)의 하측(2)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3,4로드(53,54)는 제3측벽(34)과 상부 프레임(1)의 하측(2)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1,2,3,4로드(51,52,53,54)는 상부 프레임(1)의 하측(2)의 제2,3측벽(33,34) 양측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5는 도 4의 상부 프레임을 화살표인 A 방향에서 바라본 상부 프레임의 정면도로, 개방된 제2실시예의 컴파트먼트(3)의 제3측벽(34)과 바닥판(31)이 개시되 어 있다.
더욱이, 제3,4로드(53,54)가 도시되어 있다. 로드(51,52,53,54)를 상부 프레임(1)의 하측과 컴파트먼트(3)의 측벽(33,34) 양측에 피봇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컴파트먼트(3)는 곡선 이동 경로 또는 합성된 병진 및 회전 경로로 평행하게 이동되어 도 5의 화살표인 B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개폐된다.
도 6은 또한 도 1의 상부프레임의 일부 형태인 도 4와 유사한 개략적인 측면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부 프레임(1)의 하측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인 컴파트먼트(3)가 개방된 상태로 제공된다.
상부 프레임(1)의 컴파트먼트(3)의 위치나 형상이나 면적은 제1,2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컴파트먼트(3)의 제3실시예는 적어도 평행육면체 형상이며, 바닥판(31)과, 제1,2,3측벽(32,33,34)과, 바닥판(31)에서 수직 연장되어 컴파트먼트(3)의 뒤측에 있는 제4측벽을 구비한다.
컴파트먼트(3)의 제3실시예는 컴파트먼트(3)를 직선 또는 선형 이동 경로로 평행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제1,2실시예와 반대로 인출 및 인입 형태의 어셈블리 유 닛을 제공하며, 어셈블리 유닛은 컴파트먼트(3)을 회전하거나 평행하게 이동시켜 컴파트먼트(3)가 곡선 이동 경로를 따라 개폐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어셈블리 유닛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개의 로드(55,56,57,58)를 포함하며, 제1,2로드(55,56)는 컴파트먼트(3)의 제2측벽(33)과 상부 프레임(1)의 하측(2) 사이에 고정되고, 제3,4로드(57,58)는 제3측벽(34)과 상부 프레임(1)의 하측(2) 사이에 고정된다.
더욱이, 제2측벽(33)은 제1,2가이딩 또는 레일로 제공되며, 제3측벽(34)은 제3,4 가이딩 또는 레일로 제공되고, 각각은 가이딩되면서 로드(55,56,57,58)를 컴파트먼트(3)에 고정하며, 컴파트먼트(3)를 개폐하기 위해 직선 또는 선형 이동 경로를 따라 평행하게 이동된다.
도 7은 도 6의 상부 프레임을 화살표인 A 방향에서 바라본 상부 프레임의 정면도로 개방된 제3실시예의 컴파트먼트(3)의 제3측벽(34)과 바닥판(31)이 개시되어 있다. 더욱이, 제3로드(57), 제3가이딩(343),제4로드(58)와 제4가이딩(344)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4가이딩(343,344)과 모든 가이딩은 관련된 로드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같은 레일(slit-like rail) 형상으로 제공되고, 여기서 관련된 로드의 롤은 가이드되어 컴파트먼트(3)는 도 7의 화살표 C 처럼 직선 또는 선형 이동 경로를 따라 평행하게 이동되어 개폐된다. 롤 대신에 관련된 로드(55-58)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가이딩 또는 레일 안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실린더 형상의 핀이 사용될 수 있다.
닫혀진 상태에서 제3실시예인 컴파트먼트(3)가 완전히 상부 프레임(1)의 하측(2)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로드(55~58)는 상부 프레임(1) 내부에 설치된 가이딩 또는 레일을 따라 각각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컴파트먼트(3)에 설치된 가이딩(343)과 레일(344)은 필요하지 않고, 반면에 상부 프레임(1)의 내부에 설치된 가이딩과 레일은 컴파트먼트(3)를 하측(2)으로 완전히 삽입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물론, 양쪽 타입의 가이딩 또는 레일은 상부 프레임(1)에 설치된 가이딩 또는 레일이 상부 프레임(1)의 내부 공간 및/또는 컴파트먼트(3)가 개방된 상태에서 컴파트먼트와 상부 프레임 사이에서 유용한 접근 공간으로 지나치게 연장되는 것을 피하게 한다.
상부 프레임(1) 내부에 설치된 가이딩 또는 레일의 대체물로서, 도 6과 7에 따른 로드(55-58)는 제2실시예와 연결되어 설명된 상부 프레임(1)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컴파트먼트(3)는 전술한 직선 또는 선형 이동 경로와 조화를 이루는 곡선 이동 경로를 따라 도 5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개폐된다.(도 7의 화살표 C)
인출 가능한 어셈블리 유닛은 인출 가능한 로드 수단에 의해 제공되므로 컴파트먼트(3)의 제2,3측벽(33,34) 및/또는 상프 프레임(1)의 내부에 가이딩과 레일이 필요없다.
도 8은 또한 도 1의 상부프레임의 일부 형태인 도 2,4 및 6과 유사한 개략적인 측면 확대 사시도를 나타내고, 컴파트먼트(3)는 접어 올려서 닫혀진다. 이 도면으로부터 닫혀진 컴파트먼트(3)의 바닥판(31)은 상부 프레임(1)의 하측(2)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하고, 여기서 이것은 상부 프레임(1)의 하측(2) 주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등한 평면을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서, 컴파트먼트(3)는 닫혀진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의 하측(2)에 완전히 삽입된다.
컴파트먼트(3)는 상부 프레임(1)의 하측(2)에 위치됨으로서 건설 중장비의 작업 동안 발생되는 손상뿐만 아니라 비, 눈, 얼음, 먼지 등으로부터 폭 넓게 보호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화살표인 A 방향에서 바라본 도 8의 상부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으로부터 컴파트먼트(3)는 닫혀진 위치에서 상부 프레임(1)의 하측(2) 주위로 돌출되지 않음은 명백하지만, 상부 프레임(1)의 하측(2)에 삽입되거나 하측(2)과 적어도 동일면을 이룬다.
컴파트먼트(3)는 바람직하게는 권한 없는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 스냅 클로져(snap closure) 또는 록 상태로 제공되거나 스크류 수단에 의해서 닫혀진 상태가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은 수반되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는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을 설명 및 주장하기 위해 사용된 "including", "comprising", "incorpprating", "consisting of", "have", "is"와 같은 표현은 양립 가능한 방법, 현재 명백히 설명되지 않은 아이템, 구성 또는 요소를 의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최종적으로, 청구항에 수반되는 괄호 안의 번호는 청구항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된 것이므로 청구항에서 주장되는 관련 문제를 제한하는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컴파트먼트를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설 치함으로서 건설 중장비의 작업 동안 발생되는 손상뿐만 아니라 비, 눈, 얼음, 먼지 등으로부터 컴파트먼트를 폭 넓게 보호할 수 있다.

Claims (12)

  1. 언더캐리지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1)을 포함하는 건설 중장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및/또는 컴파트먼트(3)는 상부 프레임(1)의 하측(2)에 어셈블리 유닛(5; 51, 52, 53 54; 55, 56, 57, 58)에 의해서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및/또는 컴파트먼트(3)는 개폐 위치에서 이동되거나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 유닛(5; 51, 52, 53, 54; 55, 56, 57, 58)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또는 컴파트먼트가 닫혀진 위치에서 삽입되거나 적어도 상부 프레임(1)에 삽입되며, 상기 플랩 또는 컴파트먼트(3)의 바닥판(31)은 평면 또는 적어도 상부 프레임(1)의 하측(2) 주변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 유닛(5; 51, 52, 53, 54; 55, 56, 57, 58)은 병진, 회전, 병진 및 회전되는 복합된 이동 경로 중의 어느 하나의 경로를 따라 개폐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또는 컴파트먼트(3)를 이동시키거나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 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또는 컴파트먼트(3)의 원 에지(5)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컴파트먼트(3)는 상부 프레임(1)의 하측(2)에 피봇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컴파트먼트(3)는 개폐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거나 턴 되며, 상기 플랩 또는 컴파트먼트(3)는 회전 이동 경로를 따라 하측으로 틸팅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건설 중장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 유닛은 상부 프레임(1)의 하측(2)과 컴파트먼트(3) 사이에 설치되어 피봇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빔 또는 로드(51, 52, 53, 54)이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또는 컴파트먼트(3)는 개폐 위치 사이에서 병합된 병진 및 회전 이동 경로의 형태로 곡선 이동 경로를 따라 평행하게 이동되어 하측으로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 유닛은 컴파트먼트(3) 및/또는 상부 프레임(1)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빔 또는 로드(55,56,57,58),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 또는 가이딩(343,344)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빔 또는 로드(55,56,57,58))는 관련된 빔 또는 로드(55,56,57,58)의 수직 방향으로 컴파트먼트(3) 및/또는 상부 프레임(1)의 내부에서 상기 레일 또는 가이딩(343,344)의 단부에서 가이드되면서 상기 컴파트먼트(3)를 개폐 위치에서 선형, 직선 또는 병진 이동 경로를 따라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및 인입 유닛은 상부 프레임(1)의 하측(2)과 컴파트먼트(3) 사이에 설치되는 인출 및 인입 빔 또는 로드의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또는 컴파트먼트(3)는 개폐 위치 사이에서 선형, 직선 또는 병진 이동 경로를 따라 평형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컴파트먼트는 바닥판(31)과, 상기 바닥판(31)으로부터 적어도 수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세개의 측벽(32,33,34)을 포함하며, 적어도 평형육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또는 컴파트먼트(3)는 면적의 변경이 가능하고 하측(2)에 위치하여 건설 중장비의 하나 이상의 구성이 플랩 또는 컴파트먼트(3)가 열렸을 때 작동, 접근,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컴파트먼트(3)는 기하학적 면적에 따른 변경이 가능하여 상기 컴파트먼트(3)에는 연료 필러 펌프, 연료 석션 호스, 공구, 액서서리 및/또는 스페어 부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또는 컴파트먼트(3)는 록 될 수 있거나 스냅 클로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중장비는 굴삭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
KR1020097012318A 2006-12-21 2006-12-21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컴파트먼트를 구비한 건설 중장비 KR101358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SE2006/001478 WO2008076016A1 (en) 2006-12-21 2006-12-21 Compartment mounted at an underside of an upper frame of a construction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269A true KR20100014269A (ko) 2010-02-10
KR101358978B1 KR101358978B1 (ko) 2014-02-06

Family

ID=39536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318A KR101358978B1 (ko) 2006-12-21 2006-12-21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컴파트먼트를 구비한 건설 중장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02336B2 (ko)
EP (1) EP2097588B1 (ko)
JP (1) JP5017373B2 (ko)
KR (1) KR101358978B1 (ko)
CN (1) CN101652520B (ko)
WO (1) WO20080760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4378A (ja) * 2012-03-29 2013-10-07 Yanmar Co Ltd 旋回作業車の工具等収容部構造
US9404238B1 (en) * 2015-01-10 2016-08-02 Bauer Maschinen Gmbh Construction machine
DE102018202077A1 (de) 2018-02-09 2019-08-14 Wirtgen Gmbh Bodenbearbeitungsmaschine mit Stauraum bietender Wartungsklappe
JP6810085B2 (ja) * 2018-03-28 2021-01-06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
US20220242325A1 (en) * 2021-02-03 2022-08-04 Trailer Pros, LLC Foldable Picnic Table Carrier for use on Recreational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3362A (en) * 1922-03-24 1923-05-01 Emmett O Loveland Tool-box attachment for motor vehicles
US2936918A (en) * 1958-01-29 1960-05-17 Joseph F Vais Spare tire rack
US3464606A (en) * 1967-10-04 1969-09-02 Melvin A Nordeen Pistol safe
US3764048A (en) * 1971-03-24 1973-10-09 I Gore Undercarriage container
US4087032A (en) * 1977-05-12 1978-05-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Spare tire stowage assembly
US4576319A (en) * 1984-10-05 1986-03-18 Brown Bill G Block storage
JPH0724443Y2 (ja) * 1989-07-10 1995-06-05 油谷重工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サイドデッキ
US4948169A (en) * 1989-09-06 1990-08-14 Amundson Lloyd A Storage apparatus for flatbed trailers
JPH08100444A (ja) * 1994-09-30 1996-04-16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工具箱装置
JPH09125455A (ja) * 1995-11-06 1997-05-13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工具収納装置
JP2000064346A (ja) * 1998-08-20 2000-02-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バッテリ収納構造
JP2000154560A (ja) * 1998-11-20 2000-06-0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ステップ兼用工具箱装置
JP4343412B2 (ja) 2000-08-30 2009-10-14 東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気集塵機
JP2002070071A (ja) * 2000-09-04 2002-03-0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旋回体底部カバーの取付構造
JP4587254B2 (ja) * 2001-03-12 2010-11-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DE602004027611D1 (de) * 2003-03-04 2010-07-22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Baustellenmaschine
JP2005155070A (ja) 2003-11-21 2005-06-16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土木・建設機械の収納庫
JP4390198B2 (ja) * 2004-07-13 2009-12-24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建設機械におけるバンダリズムガードの収納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97588B1 (en) 2013-02-27
KR101358978B1 (ko) 2014-02-06
US8002336B2 (en) 2011-08-23
EP2097588A1 (en) 2009-09-09
CN101652520A (zh) 2010-02-17
WO2008076016A1 (en) 2008-06-26
US20100289297A1 (en) 2010-11-18
JP5017373B2 (ja) 2012-09-05
JP2010513139A (ja) 2010-04-30
EP2097588A4 (en) 2010-10-13
CN101652520B (zh)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6101B2 (en) Working machine
US6615942B2 (en) Swivel type working vehicle
KR101358978B1 (ko)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컴파트먼트를 구비한 건설 중장비
JP7275022B2 (ja) 旋回作業機
US20090230710A1 (en) Rear accessible service hatch
JP6461990B2 (ja) 作業車両
JP2013177119A (ja) 作業車両
JP3980912B2 (ja) 旋回型作業機械
CN112442940A (zh) 用于机器的操作员界面的安装结构
JP2001279714A (ja) 油圧ショベルのカバーと取っ手とステップ
JP5785128B2 (ja) 旋回作業機の運転部におけるマニュアル収納部構造
JP3980911B2 (ja) 旋回型作業機械
JPH06320968A (ja) 旋回作業車
JP2018035671A (ja) 作業車両
JP2001260947A (ja)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装置
JP7051744B2 (ja) 作業機
US8905172B2 (en) Integrated service center
WO2020203569A1 (ja) 旋回作業機
JP2009235797A (ja) 作業機の操縦部構造
JP3659468B2 (ja) 建設機械の作業灯取付構造
JP2020165226A (ja) 排気構造と、当該排気構造を備えている作業機
JP2001003386A (ja) 土木・建設機械のカバー構造
JP2001323500A (ja) 旋回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