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869U - 골육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골육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869U
KR20100008869U KR2020090002291U KR20090002291U KR20100008869U KR 20100008869 U KR20100008869 U KR 20100008869U KR 2020090002291 U KR2020090002291 U KR 2020090002291U KR 20090002291 U KR20090002291 U KR 20090002291U KR 20100008869 U KR20100008869 U KR 201000088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th
bone
temperature
bone marrow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순
Original Assignee
김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순 filed Critical 김종순
Priority to KR2020090002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8869U/ko
Publication of KR201000088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8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30Mea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한 압력과 온도를 유지하면서 뼈를 끓여 줌으로써 소비자가 선호하는 우유 빛깔의 고품질 골육수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는 골육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골육수 제조장치(1)는, 골과 물을 포함한 육수재료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11)과 상부에 입구(12)가 구비된 통상의 통부(10); 상기 통부(10)의 입구(12)를 기밀하게 개폐가능하게 밀봉하는 뚜껑부(20); 상기 통부(10)에 설치되어 상기 통부(10)의 상기 육수재료를 110℃ 내지 125℃로 가열하는 히터(30); 상기 통부(10)의 압력이 1.5 내지 1.75 기압으로 유지되도록 밀폐된 상기 통부(10)로부터 과압의 증기를 배출시키고, 증기배출양 조절밸브(41), 안전밸브(42) 및 압력계(43)가 구비된 증기배출관(40); 상기 통부(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완성된 골육수를 배출하는 육수배출구(50); 상기 육수재료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60); 및 상기 육수재료의 온도와 상기 히터(30)의 작동시간을 세팅하기 위한 제어부(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육수 제조장치{Device for Producing Bone Soup}
본 고안은 골육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압력과 온도를 유지하면서 뼈를 끓여 줌으로써 소비자가 선호하는 우유 빛깔의 고품질 골육수를 제조할 수 있는 골육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널리 즐기는 음식 중에 각종 탕은 전문화된 음식점에서는 물론 일반 가정에서도 조리하여 즐기는 대표적인 음식 중에 하나이다.
탕은 주요 식재료와 부가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는 바, 그 중에서도 특히 사골, 꼬리, 우족 등 소뼈(우골)를 고아서 만든 육수를 기초로 한 탕들이, 곰탕, 설렁탕, 사골곰탕, 꼬리곰탕, 도가니탕 등 다양한 메뉴로 애용되고 있고, 이런 탕들의 맛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식재료는 우골을 장시간 고아서 만드는 우골육수이며, 이런 우골육수는 전통적인 곰탕의 육수로서 뿐만 아니라 찌개류 등 다른 음식들의 육수로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곰탕 등을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에서는, 우골(예, 사골)을 장시간 물에 담가서 피를 빼고, 피를 뺀 우골을 큰 가마솥에 넣어 오랜 시간(예, 24시간 내지 48시간) 끓임으로써 우유 빛깔의 고소한 우골육수를 제조하고, 제조된 우 골육수에 다른 양념을 더하여 목적하는 탕을 제조한다. 물론 보다 좋은 색깔의 우골육수를 얻기 위해 1차로 우골을 끓여 그 물을 버리고 2차로 다시 끓여 육수를 얻기도 한다.
일반 가정에서서는 찜통과 같은 조리기구를 사용하여 마찬가지의 과정으로 우골육수를 조리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서 사골곰탕과 같은 우골육수를 이용한 음식을 만드는 것은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전문음식점을 찾거나 가정에서 조리한다고 해도 우골육수만은 시중에서 구입하여 조리하는 경우가 흔히 있으며, 이런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일부 정육점에서는 우골육수를 제조하여 팩 포장으로 판매하기도 한다.
그러나 정육점은 우골육수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음식점이 아니기 때문에 가마솥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고, 따라서 정육점에서는 다른 장소에서 우골육수를 제조하여 오거나 일반가정에서와 같은 소규모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육수를 제조할 수밖에 없는 어려움이 있었다.
뼈를 고아 육수를 제조함에 있어서 전술한 문제점은 우골 이외에 돼지 뼈, 사슴 뼈, 산양 뼈 등 다른 각종 식용 뼈로 육수를 제조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골육수를 제조함에 있어서 수반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 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넓지 않은 공간에 비치하고 편리하고 신속하게 골육수를 제조할 수 있는 골육수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예를 들어 정육점과 같은 넓은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환경에 설치하여 골육수를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대형 음식점에서 가마솥을 사용하여 제조한 것과 같이 우유 빛깔의 고품질의 우골육수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는 골육수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골육수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골육수 제조장치는, 통부, 뚜껑부, 히터, 증기배출관, 육수배출구, 온도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부는, 골과 물을 포함한 육수재료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과 상부에 입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뚜껑부는 상기 통부의 입구를 기밀하게 개폐가능하게 밀봉한다.
상기 히터는 상기 통부에 설치되어 상기 통부의 상기 육수재료를 110℃ 내지 125℃로 가열한다.
상기 증기배출관은, 상기 통부의 압력이 1.5 내지 1.75 기압으로 유지되도록 밀폐된 상기 통부로부터 과압의 증기를 배출시키고, 증기배출양 조절밸브, 안전밸브 및 압력계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육수배출구는, 상기 통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완성된 골육수를 배출한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육수재료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육수재료의 온도와 상기 히터의 작동시간을 설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증기배출관에는 배출되는 수증기를 냉각시켜 물로 배출시키기 위한 냉각기가 부착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골육수 제조장치에 의하면, 상기 통부에 투입된 골과 물의 육수재료를 1.5 내지 1.75 기압의 압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115℃ 내지 125℃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육수재료가 상기 통부 내에서 대류를 일으키면서 고온 고압에 의해 과지도록 함으로써, 골육수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고, 결과로 제조된 골육수가 과도한 압력이나 온도로 인한 변색이 없는 우유 빛깔의 소비자가 선호하는 양호한 골육수가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골육수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골육수 제조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골육수 제조장치(1)는, 각종 식용의 뼈(예, 육수 제조에 적합하도록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수세하여 피를 뺀 사골 등)와 물을 포함한 육수재료를 정해진 압력과 온도로 일정시간 가열하여 골육수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바람직하게 정육점과 같이 골육수의 제조를 위해 가마솥과 같은 대형 조리기구를 설치하기에 부적합한 환경에서 많은 점유면적을 차지하지 아니하면서도 골육수 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하기 적합한 장치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골육수 제조장치(1)는, 크게 통부(10), 뚜껑부(20), 히터(30), 증기배출관(40), 온도센서(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통부(10)는 골과 물을 포함한 육수재료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11)과 상부에 입구(12)가 구비된, 예를 들어 압력솥의 본체와 유사한, 통 형상의 부재로서,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인 것을 예시한 것이나 그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통부(10)는 이중벽으로 형성되어 그 사이에 단열재(13)가 충전되어 있다.
통부(10)와 그 내부공간(10)의 크기는 1회의 가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골육수의 양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육점의 자투리 공간에 비치하고 골육수를 제조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예, 내부 높이 약 55cm, 내부 직경 42cm 내외)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뚜껑부(20)는 통부(10)의 입구(12)를 기밀하게 개폐가능하게 밀봉하는 뚜껑부재이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뚜껑부(20)는 예를 들어 그 일단에 통부(10)와의 사이에 힌지(21)가 설치되어 힌지(21)를 축으로 개폐된다. 또한 통부(10)와 뚜껑부(20)의 둘레를 따라 나사식 체결구(22)가 설치되고 통부(10)와 뚜껑부(20)의 접면에 패킹(23)이 매개됨으로써, 기밀하고 견고하게 통부(10)의 입구(12)를 뚜껑부(20)로 밀폐시킬 수 있다.
아울러 뚜껑부(20)에는 투명창(24)을 설치하여 뚜껑부(20)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통부(1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손잡이(25)를 부착하여 개폐시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히터(30)는 통부(10)에 설치되어 통부(10)의 투입된 육수재료를 가열하는 통상의 히터로서, 바람직하게 전열 히터가 사용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히터(30)는 통부(10)의 저면 아래에 설치되어 통부(10)를 저면으로부터 가열하며, 결과적으로 통부(10)에 수용된 육수재료를 가열한다. 히터(30)를 통부(10)의 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배제되지는 않지만, 육수재료를 아래로부터 가열함으로써 원활한 대류가 일어나도록 통부(10)의 저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히터(30)의 가열용량은 육수재료를 110℃ 내지 125℃의 범위로 가열할 수 있는 용량으로 선택된다. 따라서 히터(30)의 용량은 통부(10)의 크기와 여기에 투입되는 육수재료의 양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
히터(30)에 의해 가열되는 육수재료의 온도가 110℃ 보다 낮을 때에는 골육수를 제조하는 시간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가열이 미진하여 목적하는 품질의 골육수가 제조되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그 온도가 125℃를 초과하면 과도하게 골이 과져서 결과로 제조된 골육수의 색깔이 황변이라 갈변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증기배출관(40)은 통부(10)의 압력이 1.5 내지 1.75 기압으로 유지되도록 밀폐된 통부(10)로부터 과압의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골육수 제조장치(1)의 특징은, 그 온도와 압력을 정해진 범위내로 유지함으로써 황변이나 갈변이 없는 우유 빛깔의 소비자가 선호하는 골육수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것인바,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제조장치(1)는 통부(10)의 압력을 1.5 내지 1.75 기압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증기배출관(40)이 구비된다.
통부(10)의 압력이 1,5기압 미만인 경우 골육수를 제조하는 시간이 더 길게 소요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로 압력이 1.75를 초과하면 결과로 제조된 골육수의 색깔이 황변이라 갈변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증기배출관(40)은 뚜껑부(20)에 구멍을 뚫고 여기에 관을 연결한 구조이며, 증기배출관(40)에는 증기배출양 조절밸브(41), 안전밸브(42) 및 압력계(43)가 구비되어 있다.
증기배출관(40)의 직경은, 육수재료를 110℃ 내지 125℃의 범위로 가열할 때, 지나치게 수증기가 배출되어 통부(10)의 압력이 1.5기압 아래로 떨어지게 되거나 배출되는 수증기의 양이 적어서 통부(10)의 압력이 1.75 기압을 초과되지 않을 정도의 직경이다.
이런 증기배출관(40)의 직경은 다양한 크기의 통부(10)에 대해 적당한 육수재료를 넣고 육수재료를 110℃ 내지 125℃의 범위로 가열한 상태에서 증기배출관(40)의 직경을 가변 시켜가면서 그 압력이 1.5 내지 1.75 기압으로 되는 직경을 찾아내는 방법을 통해 알 수 있으며, 전술한 크기(높이 55cm, 직경 42cm)의 통부(10)의 경우에 증기배출관(40)의 직경으로서는 1.2mm가 적합하다.
상기 증기배출양 조절밸브(41)는 통부(10)의 압력이 적정압력으로 유지되지 않을 때 증기배출관(40)을 통하는 증기배출량을 조절함으로써 적정압력으로 맞추기 위한 밸브이며, 안전밸브(42)는 의도하지 않게 통부(10)의 압력이 과도하게 올라갈 경우나 통부(10)로부터 수증기를 배출시킬 필요가 있을 때 수증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밸브이며, 압력계(43)는 통부(10)의 현재 압력을 측정하는 계기이다.
상기 육수배출구(50)는, 통부(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완성된 골육수를 통부(10)의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단속밸브(51)가 부착되어 있다. 육수배출구(50)로부터 배출된 골육수는 포장기계 등에 의해 포장된다.
상기 온도센서(60)는 육수재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통상의 센서로서, 통부(10)의 온도를 110℃ 내지 125℃의 범위로 설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70)는 육수재료의 가열 온도를 목적하는 온도로 설정하고, 히터(30)의 작동시간과 작동예약시각 등을 세팅하며, 온도센서(60)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70)의 구성은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을 본 고안에 맞게 적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골육수 제조장치(1)는, 통부(10)에 육수재료를 투입하여 골육수를 제조함에 있어서, 통부(10)의 압력을 1.5 내지 1.75 기압의 압력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육수재료의 온도를 115℃ 내지 125℃의 온도로 가열하여 골육수를 제조함에 따라, 육수재료가 상기 압력을 받으면서 통부(10) 내에서 대류를 일으키면서 상기 온도로 과지게 되는 바, 위와 같은 조건으로 약 12시간 내지 15시간 동안 육수재료를 가열하면, 황변이나 갈변 없는 우유 빛깔의 우수한 골육수 가 제조된다.
즉, 본 고안의 골육수 제조장치(1)는, 증기배출관(40)을 통해 증발된 수증기를 밖으로 배출하면서 통부(10)의 압력을 1.5 내지 1.75 기압으로 유지한 상태로 통부(10)의 아래로부터 육수재료를 115℃ 내지 125℃의 온도로 가열함에 따라, 육수재료가 일정 압력을 받으면서도 자유롭게 대류하면서 정적 온도로 과지게 되므로, 편리하고 신속하게 양호한 품질의 골육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1)는 증기배출관(40)을 통해 수증기가 배출되는 특성이 있는바, 정육점과 같은 제한된 공간에서 본 고안의 장치(1)가 사용될 경우 배출된 수증기로 인하여 매우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기배출관(40)에는 냉각기(80)를 부착함으로써 배출되는 수증기를 냉각시켜 물로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골육수 제조장치(1)는, 통부(10)의 아래에 받침대(90)를 설치함으로써 안정감 있게 지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골육수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2는 뚜껑부를 개방한 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골육수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골육수 제조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골육수 제조장치
10: 통부 11: 내부공간
12: 입구 20: 뚜껑부
21: 힌지 22: 체결구
23: 패킹 24: 투명창
25: 손잡이 30: 히터
40: 증기배출관 41: 증기배출양 조절밸브
42: 안전밸브 43: 압력계
50: 육수배출구 60: 온도센서
70: 제어부 80: 냉각기
90: 받침대

Claims (2)

  1. 골과 물을 포함한 육수재료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11)과 상부에 입구(12)가 구비된 통상의 통부(10);
    상기 통부(10)의 입구(12)를 기밀하게 개폐가능하게 밀봉하는 뚜껑부(20);
    상기 통부(10)에 설치되어 상기 통부(10)의 상기 육수재료를 110℃ 내지 125℃로 가열하는 히터(30);
    상기 통부(10)의 압력이 1.5 내지 1.75 기압으로 유지되도록 밀폐된 상기 통부(10)로부터 과압의 증기를 배출시키고, 증기배출양 조절밸브(41), 안전밸브(42) 및 압력계(43)가 구비된 증기배출관(40);
    상기 통부(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완성된 골육수를 배출하는 육수배출구(50);
    상기 육수재료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60); 및
    상기 육수재료의 온도와 상기 히터(30)의 작동시간을 세팅하기 위한 제어부(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육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관(40)에는 배출되는 수증기를 냉각시켜 물로 배출시키기 위한 냉각기(8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육수 제조장치.
KR2020090002291U 2009-03-02 2009-03-02 골육수 제조장치 KR201000088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291U KR20100008869U (ko) 2009-03-02 2009-03-02 골육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291U KR20100008869U (ko) 2009-03-02 2009-03-02 골육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869U true KR20100008869U (ko) 2010-09-10

Family

ID=44199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291U KR20100008869U (ko) 2009-03-02 2009-03-02 골육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8869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519B1 (ko) * 2012-12-28 2013-06-05 주식회사 우향우 곰탕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308067B1 (ko) * 2012-02-29 2013-09-12 이장우 곰탕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349818B1 (ko) * 2012-02-07 2014-01-10 차세일 곰탕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곰탕 제조방법
KR101602210B1 (ko) * 2015-07-14 2016-03-10 (주)아이비스글로벌 돼지족발 조리 장치
KR102204069B1 (ko) * 2020-07-03 2021-01-19 팜트리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닭곰탕 육수의 제조장치
KR102646281B1 (ko) * 2023-02-01 2024-03-08 박기훈 곰탕 육수 생산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818B1 (ko) * 2012-02-07 2014-01-10 차세일 곰탕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곰탕 제조방법
KR101308067B1 (ko) * 2012-02-29 2013-09-12 이장우 곰탕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271519B1 (ko) * 2012-12-28 2013-06-05 주식회사 우향우 곰탕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602210B1 (ko) * 2015-07-14 2016-03-10 (주)아이비스글로벌 돼지족발 조리 장치
KR102204069B1 (ko) * 2020-07-03 2021-01-19 팜트리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닭곰탕 육수의 제조장치
KR102646281B1 (ko) * 2023-02-01 2024-03-08 박기훈 곰탕 육수 생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1711B2 (en) Low-pressure cooking method and cookware vessel adapted for the same
KR20100008869U (ko) 골육수 제조장치
KR101106590B1 (ko) 다기능 전기압력 중탕기
WO2016077360A1 (en) Low-pressure cooking method and cookware vessel adapted for the same
MXPA03006861A (es) Aparato para cocer carne y metodos de cocer la misma.
KR101390912B1 (ko) 순대찜기
US8911812B2 (en) Apparatus for cooking
KR20090004397A (ko) 다기능 찜 용기
US4316447A (en) Steam cooking apparatus
KR200464703Y1 (ko) 가정용 멀티 중탕기
KR20160140096A (ko) 고압 스팀 조리 용기
US20170049257A1 (en) Steam cooker
KR101712731B1 (ko) 김치찌개용 통조림의 제조방법
KR20170056733A (ko) 이동형 복합 가열방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CN110604463A (zh) 用于运行烹饪设备的方法和烹饪设备
KR200201018Y1 (ko)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
KR101544367B1 (ko)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
US11690470B1 (en) Methods, cookware, and cooking appliances for the preparation of small portions of lasagna
TWM493953U (zh) 蒸煮電鍋
KR200476012Y1 (ko) 행거형 찜기
CN106535719A (zh) 一种低压烹饪食物的方法及可实施此方法的砂锅类烹饪盛器或其相似物
KR200232889Y1 (ko) 닭 조리기구
KR101159238B1 (ko) 조리기구
Dalton Plot to Plate: Full Steam Ahead!
TWM503858U (zh) 蒸煮電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