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018Y1 -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 - Google Patents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018Y1
KR200201018Y1 KR2020000011495U KR20000011495U KR200201018Y1 KR 200201018 Y1 KR200201018 Y1 KR 200201018Y1 KR 2020000011495 U KR2020000011495 U KR 2020000011495U KR 20000011495 U KR20000011495 U KR 20000011495U KR 200201018 Y1 KR200201018 Y1 KR 200201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andle
lid
steam passage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만현
Original Assignee
권만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만현 filed Critical 권만현
Priority to KR2020000011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0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0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조리시 용기 내부의 온도 및 내용물의 온도를 정확히 체크하면서 필요시에는 내부의 압력 및 증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은 조리 용기의 뚜껑(60)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수직으로 소경의 증기 통로(11)를 형성하고, 서로 대응되는 양측면으로는 수평으로 관통하는 슬라이드 홈(12)을 형성한 손잡이부(10)와; 상기 손잡이부(10)의 상기 슬라이드 홈(12)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판면에는 상기 증기 통로(11)와 동일한 직경의 관통홀(2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1)과 대응되는 방향의 저면에는 증기 배출홀(22)이 일측의 끝단부까지 형성되도록 한 조절편(20)과; 상기의 증기 통로(11)와 관통홀(21)을 통해 상기 조리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는 감지봉(31)과, 상기 감지봉(31)으로부터 전달되는 온도 변화에 따라 온도가 표시되는 온도 표시판(32)이 일체로 형성되는 온도계(30); 및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홀(41)이 형성되고, 용기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부(10)의 저면으로 체결되는 로크 너트(40)로서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보다 안정한 음식물 조리와 조리시간의 단축 및 맛의 질적인 향상이 도모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Cover handle of cooking receptacle}
본 고안은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남비나 솥, 후라이팬 등의 조리 용기를 사용하여 조리할 때 용기 내부의 온도 및 내용물의 온도를 정확히 체크하면서 필요시에는 내부의 압력 및 증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비, 솥, 후라이팬, 주전자등의 조리 용기는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재료를 열로 가열하여 조리를 행하게 되는데, 조리 중에 음식물이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음식물에서 증기가 발생하게 되며, 이 증기는 용기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면 그 압력에 의해 뚜껑이 유동되거나 뚜겅을 열 때 순간적으로 내부의 증기가 한꺼번에 방출되면서 화상을 유발시키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있어서 특히 익혀야 하는 음식물의 경우에는 내용물의 익힘 정도에 따라 음식물의 맛에 차이가 나게 되며, 또한 내용물의 크기나 두께에 따라서 조리시간이 각각 다르다.
다시말해 음식물의 내용물이 연한 재질인 경우에는 조리시간이 매우 짧으나 딱딱하고 질긴 재질인 경우에는 조리시간이 대폭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조리시간의 조절은 대부분 통상의 경험에 의해서 대략적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러한 판단이 미숙하거나 잘못 판단되었을 때에는 내용물이 익지 않게 되거나 너무 익게 되는 사례가 발생하면서 큰 낭패를 보게 된다.
실제적으로 연한 재질의 내용물을 조리하게 되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대부분 감자나 고기와 같은 딱딱하고 질긴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 경우 장시간이 소요되면서 그 사이에 음식물의 상태를 확인하느라 용기 뚜껑을 수시로 열고 확인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한편 단순히 용기내의 음식물을 눈으로 확인하는 것만으로는 내용물의 익힘상태를 알 수가 없으므로 현재는 대개가 용기 뚜껑을 열고 젓가락등을 사용하여 내용물을 찔러보는 방법에 의해서 내용물의 익힘상태를 살피게 된다.
하지만 용기뚜껑을 자주 열게되면 용기내 압축 증기가 외부로 방출되면서 도리어 내용물을 익히는 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용기 내부의 뜨거운 기운이 신체에 접촉되면서 자칫 화상을 입게 되는 불상사를 초래하기도 한다.
특히 고기와 같은 내용물은 젓가락등을 사용하게 되더라도 익힘상태를 정확히 확인하기가 곤란하고, 실제적으로 일부의 내용물을 용기에서 꺼내 칼로 썰어 보므로서 확인하게 되므로 조리가 매우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내용물에 직접 감지봉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감지봉으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외부에서 손쉽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내용물의 익힘정도를 손쉽고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뚜껑을 열지 않고도 안전하게 용기 내부의 압축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부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손잡이부에 조절편을 결합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계의 일부 절결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손잡이부 11 : 증기 통로
20 : 조절편 21 : 관통홀
22 : 증기 배출홀 30 : 온도계
31 : 감지봉 32 : 온도 표시부
40 : 로크 너트 60 : 용기 뚜껑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조리 용기의 뚜껑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수직으로 소경의 증기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증기 통로를 지나면서 서로 대응되는 양측면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슬라이드 홈을 형성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슬라이드 홈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증기 통로를 지나는 판면에는 상기 증기 통로와 동일한 직경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는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방향의 저면으로 증기 배출홀이 일측의 끝단부까지 형성되도록 한 조절편과; 상기 조절편의 관통홀이 상기 손잡이부의 증기 통로와 동심원상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상기의 증기 통로를 통해 상기 조리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는 감지봉과, 상기 감지봉으로부터 전달되는 온도 변화에 따라 온도가 표시되는 온도 표시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온도계; 및 중앙에는 수직으로 상기 증기 통로와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를 용기 뚜껑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용기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저면으로 체결되는 로크 너트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크게 손잡이부(10)와 조절편(20)과 온도계(30) 및 로크 너트(4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손잡이부(1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용기의 뚜껑 중앙 상부에 위치되면서 파지가 용이하게 저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한 형상이며, 도 2에서와 같이 중앙에는 수직으로 소경의 증기 통로(11)를 관통되게 형성되도록 하되 증기 통로(11)의 상단부는 보다 내경을 확장시켜 안착홈(12)이 형성되도록 한 구성이다.
또한 손잡이부(10)에는 서로 대응되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슬라이드 홀(13)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슬라이드 홀(13)은 반드시 증기 통로(11)를 지나도록 한다.
특히 슬라이드 홀(13)은 증기 통로(11)의 내경보다는 큰 폭으로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절편(20)은 손잡이부(10)의 슬라이드 홀(13)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도 3에서와 같이 판면에는 일측으로 손잡이부(10)의 증기 통로(11)와 연통되는 동일한 내경의 관통홀(21)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관통홀(21)의 일측에는 저면으로 관통홀(21)과 대응되는 방향의 끝단부에까지 판면을 요입시킨 증기 배출홀(22)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조절편(20)은 슬라이드 홀(13)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양끝단부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절곡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드 홀(13)에 삽입되는 조절편(20)의 상부면에는 관통홀(21)외의 증기 배출홀(22)과 이들 사이를 표시하는 표식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은데 이는 증기 통로(11)를 폐쇄하는 위치와 증기 배출홀(22)의 위치를 증기 통로(11)를 통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상기한 손잡이부(10)에 조절편(20)을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조절편(20)의 관통홀(21)과 증기 배출홀(22)간에는 최소한 손잡이부(10)의 증기 통로(11)의 직경보다는 큰 폭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온도계(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감지봉(31)과 온도 표시부(32)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감지봉(31)은 손잡이부(10)에 형성된 증기 통로(11)보다는 크지 않은 외경을 갖는 내부가 빈 통형부재로서,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관통공(31a)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바이메탈(31b)이 내장되도록 한 구성이다.
특히 감지봉(31)은 끝단이 송곳과 같이 뾰족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감지봉(31)의 상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온도 표시부(32)는 저부가 손잡이부(10)의 상부면으로 형성한 안착홈(12)에 안착되도록 하는 구성을 이루며, 상부면은 내부의 온도 표시판(32a)과 바늘(32b)이 보일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32c)으로 커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온도 표시부(32)의 바늘(32b)은 감지봉(31)의 내부에 내장시킨 바이메탈(31b)과 연결되면서 바이메탈(31b)의 신축작용에 따라 바늘(32b)이 회전하면서 변화되는 온도에 따라 회전하는 각도가 변하게 되는 구성이다.
한편 로크 너트(40)는 중앙에 손잡이부(10)의 증기 통로(11)와 연통되도록 수직의 관통홀(41)이 형성되도록 하고, 손잡이부(10)의 저면으로 나사체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뚜껑 손잡이의 적용 구조와 그에 따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에서와 같이 용기 뚜껑(60)의 상면에는 받침판(50)을 깔고, 그 위로 본 발명의 손잡이부(10)를 얹는다.
이때 손잡이부(10)에는 이미 조절편(20)이 조립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와같은 상태에서 용기 뚜껑(60)의 저면으로부터 로크 너트(40)를 관통시켜 손잡이부(10)의 저면에 체결되도록 한다.
로크 너트(40)를 견고히 체결시키게 되면 손잡이부(10)는 더 이상 용기 뚜껑(60)에서 전혀 유동하지 않게 되면서 통상의 뚜껑 손잡이로서 사용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로크 너트(40)의 손잡이부(10)에 체결되는 부위의 하단에는 기밀 유지용 실리콘 링(41)이 구비되게 하므로서 손잡이부(10)에 체결시 실리콘 링(42)이 용기 뚜껑(60)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기밀성이 증대되도록 한다.
한편 일상적으로 내용물을 끓이거나 데우게 될 때에는 충분한 시간동안 밀폐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이때에는 본 발명의 조절편(2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증기 통로(11)가 완전히 막혀지도록 한다.
그러면 유일한 증기 배출 통로가 막혀지면서 용기내에서는 대단히 빠른 속도로 내용물이 끓거나 데워지게 되며,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후 재차 조절편(2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손잡이부(10)의 증기 통로(11)와 조절편(20)의 저면으로 요입시킨 증기 배출홀(22)이 연통되게 하면 용기 내부의 증기가 증기 통로(11)와 증기 배출홀(22)을 따라 서서히 배출되면서 내부의 압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용기 내부의 압력을 저하시킨 상태에서 용기 뚜껑(60)을 열게 되면 이미 용기내의 압축 증기는 거의 제거된 상태이므로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게 된다.
한편 조리 용기내에서 조리하게 되는 음식물이 감자나 고기와 같은 잘 익지 않는 것일 때에는 손잡이부(10)에 온도계(30)를 결합시킨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손잡이부(10)에서 조절편(20)을 증기 통로(11)와 관통홀(21)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킨 후 증기 통로(11)에 온도계(30)의 감지봉(31)이 관통하면서 삽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온도계(30)를 조립하게 되면 온도 표시부(32)의 저부가 손잡이부(10)의 상측면으로 형성한 안착홈(12)에 안착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용기 뚜껑(60)을 닫으면서 조리용기내로 돌출되는 감지봉(31)의 하단부를 감자나 고기와 같은 내용물에 직접 삽입시킨 후 열을 가하게 되면 내용물이 익는 정도에 따라서 내용물내의 온도가 감지봉(31)을 통해 온도 표시부(32)에 전달되면서 온도 표시부(32)에서는 바늘(32b)이 움직이면서 내용물의 익는 온도를 표시하게 된다.
즉 내용물에 삽입된 감지봉(31)의 삽입 단부에는 외주면으로 형성한 다수의 관통공(31a)을 통해 열기가 바이메탈(31b)에 전달되고, 이 바이메탈(31b)의 신축작용에 의해 온도 표시부(32)의 바늘(32b)이 회전하면서 온도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에서 특히 로크 너트(40)의 수직으로 형성한 관통홀(41)내에는 손잡이부(10)에 결합되는 체결단부에 구비되는 기밀 유지용 실리콘 링(42)과 동일한 실리콘 링(43)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로크 너트(40)의 관통홀(41)에 기밀 유지용 실리콘 링(43)을 삽입시키게 되면 온도계(30)를 결합시 감지봉(31)의 외주면이 실리콘 링(43)과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로크 너트(40)의 관통홀(41)로 유도되는 내부의 가열 증기가 외부로 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같이 로크 너트(40)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실리콘 링(42)(43)을 구비시키게 되면 비록 온도계(30)를 사용하게 되더라도 용기의 내부를 완벽하게 밀폐시킬 수가 있게 되므로 안정된 기밀성 유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조리를 하는 사람은 단순히 온도 표시부(32)의 투명창(32c)을 통해 바늘(32b)이 가리키는 온도를 체크하기만 하면 되므로 내용물이 익는 정도를 손쉽게 알 수가 있게 된다.
특히 내용물에 따라서는 익는 온도가 각각 다르고, 그에 따라 맛에도 차이가 나므로 그에 적절한 온도로서 내용물을 익히는 것이 대단히 중요한데 본 발명의 온도계(30)를 사용하여 정확한 내용물의 온도를 체크하게 되면 음식물의 맛을 극대화시킬 수가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적절한 온도로서 음식물이 익게 되면 손잡이부(10)로부터 일단 온도계(30)를 분리시키고, 전술한 바와같이 조절편(20)을 조작하여 용기내 압축된 증기를 방출시키게 되면 조리가 완료된 뒤에 뚜껑을 열게 되더라도 일단 뜨거운 열기가 갑자기 방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보다 안전한 음식물 조리를 할 수가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음식물을 끓이거나 데우는 경우 뚜껑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용기 내부의 압축된 증기를 미연에 방출시킬 수가 있도록 하므로서 보다 안정한 음식물 조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감자나 고기와 같은 장시간의 조리 시간이 요구되는 음식물의 익는 온도를 간편하게 외부에서 정확히 체크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조리시간의 단축과 맛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5)

  1. 조리 용기의 뚜껑(60)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수직으로 소경의 증기 통로(11)를 형성하고, 상기 증기 통로(11)를 지나면서 서로 대응되는 양측면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슬라이드 홈(12)을 형성한 손잡이부(10)와;
    상기 손잡이부(10)의 상기 슬라이드 홈(12)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증기 통로(11)를 지나는 판면에는 상기 증기 통로(11)와 동일한 직경의 관통홀(2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1)의 일측에는 상기 관통홀(21)과 대응되는 방향의 저면으로 증기 배출홀(22)이 일측의 끝단부까지 형성되도록 한 조절편(20)과;
    상기 조절편(20)의 관통홀(21)이 상기 손잡이부(10)의 증기 통로(11)와 동심원상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상기의 증기 통로(11)를 통해 상기 조리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는 감지봉(31)과, 상기 감지봉(31)으로부터 전달되는 온도 변화에 따라 온도가 표시되는 온도 표시판(32)이 일체로 형성되는 온도계(30); 및
    중앙에는 수직으로 상기 증기 통로(11)와 연통되는 관통홀(41)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0)를 용기 뚜껑(6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용기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부(10)의 저면으로 체결되는 로크 너트(40);
    로서 이루어지는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편(20)은 상기 손잡이부(10)로부터 돌출되게 한 양끝단부가 절곡되게 하여 상기의 증기 통로(11)에 관통홀(21) 또는 증기 배출홀(22)이 연통되게 하거나 막혀지게 하는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계(30)는 상기한 감지봉(31)의 내부로 바이메탈(31b)이 내장되고, 상기 감지봉(31)의 하단부 외주면으로 형성한 다수의 관통공(31a)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열에 의해 상기 바이메탈(31b)이 신축되면서 상기 온도 표시판(32)의 바늘(32b)이 축회전하여 온도를 표시하게 되는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계(30)의 감지봉(31)은 끝단이 송곳과 같이 뾰족한 형상인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로크 너트(40)에는 상기 손잡이부(10)에 나사체결되면서 용기 뚜껑(60)에 밀착되는 체결단부에 기밀 유지용 실리콘 링(42)이 구비되도록 하는 동시에 수직으로 관통시킨 관통홀(41)의 내부에도 기밀 유지용 실리콘 링(43)이 삽입되도록 하는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
KR2020000011495U 2000-04-22 2000-04-22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 KR200201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495U KR200201018Y1 (ko) 2000-04-22 2000-04-22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495U KR200201018Y1 (ko) 2000-04-22 2000-04-22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018Y1 true KR200201018Y1 (ko) 2000-11-01

Family

ID=1965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495U KR200201018Y1 (ko) 2000-04-22 2000-04-22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0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362B1 (ko) * 2009-12-31 2012-05-17 주식회사 락앤락 조리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362B1 (ko) * 2009-12-31 2012-05-17 주식회사 락앤락 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1711B2 (en) Low-pressure cooking method and cookware vessel adapted for the same
AU2002237996B2 (en) Apparatus for cooking meat and methods of cooking same
US9474413B2 (en) Kitchen appliance with an improved temperature probe jack receiver cover
US20200121124A1 (en) Container and method for heat treatment of foodstuffs
KR20100008869U (ko) 골육수 제조장치
KR100818224B1 (ko) 라면전용 압력냄비
KR200201018Y1 (ko)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
US4238996A (en) Two-staged pressure cooker
KR200464703Y1 (ko) 가정용 멀티 중탕기
US3736917A (en) Venting means for cooking utensil
CN207477372U (zh) 一种智能感温的电热养生壶
KR100473282B1 (ko) 자동압력 중탕기
KR20080006168U (ko)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KR200287436Y1 (ko) 찜용 받침판
KR200388261Y1 (ko) 전기 밥솥의 찜 요리를 위한 이중 조리용기
US20030189970A1 (en) Baking thermometer
KR200318987Y1 (ko) 조리용기
WO2013065145A1 (ja) 両面魚焼器
KR102372427B1 (ko) 일회용 컵설기
KR200275732Y1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WO2008104882A2 (en) Silicone warmer
KR200190007Y1 (ko) 수육조리기
JP2001321270A (ja) 自動煮物機器
KR20030038363A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KR20200118559A (ko) 당질 저감 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