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559A - 당질 저감 밥솥 - Google Patents
당질 저감 밥솥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8559A KR20200118559A KR1020190040606A KR20190040606A KR20200118559A KR 20200118559 A KR20200118559 A KR 20200118559A KR 1020190040606 A KR1020190040606 A KR 1020190040606A KR 20190040606 A KR20190040606 A KR 20190040606A KR 20200118559 A KR20200118559 A KR 202001185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er pot
- pot
- water
- filled
- sugar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title abstract 2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title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497 healthy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85 electric 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질 저감 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일면이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의 일면을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공간부 내에 안착되는 외솥; 및 바닥면이 상기 외솥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하도록 상기 외솥 내에 안착되며,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내솥;을 포함하되, 상기 외솥에 물이 채워지고, 상기 내솥에 조리대상물이 수용될 때 당질 저감을 위하여 상기 외솥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표시부가 상기 외솥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당질 저감을 위한 정확한 물의 양을 외솥에 넣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당질 저감을 위한 정확한 물의 양을 외솥에 넣을 수 있는 당질 저감 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밥솥은 전기를 가열원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조리를 수행하는 전기기구로써, 전기조리기라고도 한다. 전기압력밥솥은 조리물(예를 들면, 대표적으로 쌀 등)이 수용되는 외솥과, 외솥이 수용되는 본체와,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과, 뚜껑에 장착되어 외솥을 밀폐하는 외솥커버와, 외솥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가열장치 등을 구비하여, 쌀과 같은 조리물을 밥과 같이 취식 가능한 형태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일정온도로 보온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전기압력밥솥'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8-0060656호(2018.6.7)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밥솥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최근 들어 건강식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맛있는 밥을 먹으면서도 날씬해지고 싶은 소비자의 욕구에 발맞춰 당질을 저감하면서 밥을 취사할 수 있는 당질 저감 밥솥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솥에 물이 채워지고, 내솥에 조리대상물이 수용될 때 당질 저감을 위하여 외솥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표시부가 외솥에 마련되어 있어, 당질 저감을 위한 정확한 물의 양을 외솥에 넣을 수 있는 당질 저감 밥솥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면이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의 일면을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공간부 내에 안착되는 외솥; 및 바닥면이 상기 외솥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하도록 상기 외솥 내에 안착되며,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내솥;을 포함하되, 상기 외솥에 물이 채워지고, 상기 내솥에 조리대상물이 수용될 때 당질 저감을 위하여 상기 외솥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표시부가 상기 외솥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솥 내에 채워지는 물의 높이가, 상기 외솥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내솥 내에 수용되는 조리대상물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도록 상기 표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맞춰 상기 외솥에 물이 채워진 다음, 조리대상물이 수용된 상기 내솥이 상기 안착부 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당질 저감 밥솥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외솥에 물이 채워지고, 내솥에 조리대상물이 수용될 때 당질 저감을 위하여 외솥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표시부가 외솥에 마련되어 있어, 당질 저감을 위한 정확한 물의 양을 외솥에 넣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표시부에 맞춰 외솥에 물이 채워진 다음, 조리대상물이 수용된 내솥이 외솥 내에 안착되는데, 이때, 당질 저감을 위하여 외솥 내에 채워지는 물의 높이는 내솥 내에 수용되는 조리대상물의 높이보다 낮으므로 종래에는 정확한 양의 물을 넣기 힘든 반면, 본 발명에서는 외솥에 당질 저감 취사를 위한 표시부가 마련되어 있어, 당질 저감을 위한 정확한 물의 양을 외솥에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표시부는 당질 저감을 위하여 필요한 물의 양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일반 밥의 취사시 필요한 물의 양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표시부는 당질 저감 취사와 일반 취사시 필요한 물의 양을 각각 표시함으로써,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알맞은 밥을 조리할 수 있고, 다양한 소비자의 기대에 부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질 저감 밥솥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질 저감 밥솥의 외솥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질 저감 밥솥의 사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질 저감 밥솥의 외솥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질 저감 밥솥의 사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당질 저감 밥솥은 전기밥솥, 전기 압력 밥솥, 전기 오븐 등 전기를 이용하여 조리를 하는 조리기기에 두루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당질 저감 밥솥을 이용하여 취사를 할 경우 쌀밥의 당질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질 저감 밥솥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미도시)와 외솥(100)과 내솥(200)을 포함한다.
본체(미도시)는 밥솥의 외관을 이루며, 상면이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개방된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뚜껑이 힌지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에 의해 공간부의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하다.
외솥(100)은 본체 내부, 즉 공간부 내에 안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외솥(100)은 도 3과 같이 일면이 개방되어 내솥(200)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형태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면이 개방된 안착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외솥(100)은 중간부분에서 바닥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적어지도록 마련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이는 변경 가능하다.
외솥(100)에는, 도 2와 같이, 외측면 상단 양측에 이동의 편리함을 위한 외솥용 손잡이(11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외솥(100)의 상단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돌출부(13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외솥(100)에는 외솥(100)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표시부(150)가 마련되어 있다. 즉, 외솥(100)에 물이 채워지고, 내솥(200)에 쌀과 같은 조리대상물이 수용될 때 당질 저감을 위하여 외솥(100)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표시부(150)가 외솥(100) 상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부(150)는 당질 저감을 위하여 필요한 물의 양을 표시(예를 들어, 당질 저감 취사)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일반 밥의 취사시 필요한 물의 양도 함께 표시(예를 들어, 일반 취사)할 수 있다. 이렇게, 표시부(150)는 당질 저감 취사와 일반 취사시 필요한 물의 양을 각각 표시함으로써, 소비자의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150)는, 도 2와 같이 외솥(100)의 내벽면에 눈금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외솥(100)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형태이면 되므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내솥(2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조리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면이 개방된 안착부(20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솥(200)의 상단에는, 도 1과 같이 이동의 편리함을 위한 내솥용 손잡이(230)가 마련되어 있는데, 내솥용 손잡이(230)는 내솥(200) 상단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며, 내솥(200) 상단에 힌지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내솥(200)은 외솥(100) 내 즉, 안착부(101)에 안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내솥(200)은 도 1과 같이 외솥(100)보다 크기가 작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내솥(200)이 외솥(100) 내에 안착될 때, 내솥(200)의 외측면 둘레는 외솥(100)의 내측면 둘레와 이격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솥(100)의 하부에 위치한 물의 스팀이 내솥(200) 외측면과 외솥(100)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타고 하부로부터 상부로 올라와서 내솥(200) 전체에 고루 열이 전달될 수 있다.
나아가, 내솥(200)이 외솥(100) 내에 안착될 때 내솥(200)의 바닥면이 외솥(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이격수단(30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이격수단(300)은 도 1과 같이 마련되어 있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이격수단(300)은 내솥(200) 바닥면의 외측과 외솥(100) 바닥면의 내측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실리콘과 같이 열이 가해져도 변형이 없고 인체에 무해한 안전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격수단(300)은 내솥(200)의 바닥면이 외솥(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수단이면 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이격수단(300) 이외에도 실시예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나아가, 내솥(200)에는, 도 3과 같이 다수의 홀(21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내솥(200)의 바닥면 상에만 홀(210)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홀(210)은 내솥(200)의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솥(200)에 형성되는 홀(210)은, 내솥(200)에 수용되는 쌀알이 홀(210)의 통하여 내솥(200)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면서 취사중에는 당질을 포함한 물이 홀을 통하여 내솥(200)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내솥(200)에 다수의 홀(210)이 형성되어 있어, 외솥(100)에 채워진 물이 내솥(200)에 형성된 홀(210)을 통하여 내솥(200)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취사시 당질을 포함한 물이 홀(210)을 통하여 내솥(200) 외부 즉, 외솥(100)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당질 저감 밥솥의 사용 상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솥(100)의 표시부(150)에 맞춰 외솥(100)에 물을 채운다. 즉, 표시부(150)의 당질 저감 취사시 필요한 물의 양에 맞게 외솥(100)에 물을 채운다.
그런 다음, 내솥(200)에 씻은 쌀을 넣고, 내솥(200)을 외솥(100) 내에 안착시킨다.
외솥(100) 내에 내솥(200)이 안착된 상태는 도 1과 같다. 이때, 당질 저감을 위하여 필요한 물의 양을 표시한 표시부(150)에 따라 외솥(100) 내에 채워지는 물의 최상단은, 내솥(200) 내에 수용된 쌀의 최상단보다 낮은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당질 저감을 위하여 외솥(100)에 표시된 표시부(150) 대로 물을 넣을 경우 도 1과 같이 외솥(100) 내에 채워지는 물의 높이(h, 외솥(10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하여 외솥(100) 바닥면으로부터 측정된 물의 높이)는 내솥(200) 내에 수용된 쌀의 높이(H, 외솥(10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여 외솥(100) 바닥면으로부터 측정된 쌀의 높이)보다 낮다.
이처럼, 내솥(200) 내에 수용된 쌀의 일부분만 물에 잠기므로 외솥(100) 내에 수용된 적은 양의 물로만 쌀을 조리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내솥(200) 내의 쌀은 수증기에 의해 쪄서 조리가 되고, 당질을 포함한 물은 내솥(200)의 홀(210)을 통하여 내솥(200)의 외부 즉, 내솥(200) 하부에 위치한 외솥(100)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당질 저감 밥솥에 의해 조리된 밥은 당질이 저감되고, 이에 따라 저당질의 건강식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질 저감 밥솥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외솥(100)에 물이 채워지고, 내솥(200)에 조리대상물이 수용될 때 당질 저감을 위하여 외솥(100)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표시부(150)가 외솥(100)에 마련되어 있어, 당질 저감을 위한 정확한 물의 양을 외솥(100)에 넣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표시부(150)에 맞춰 외솥(100)에 물이 채워진 다음, 조리대상물이 수용된 내솥(200)이 외솥(100) 내에 안착되는데, 이때, 당질 저감을 위하여 외솥(100) 내에 채워지는 물의 높이는 내솥(200) 내에 수용되는 조리대상물의 높이보다 낮으므로 종래에는 정확한 양의 물을 넣기 힘든 반면, 본 발명에서는 외솥(100)에 당질 저감 취사를 위한 표시부(150)가 마련되어 있어, 당질 저감을 위한 정확한 물의 양을 외솥(100)에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표시부(150)는 당질 저감을 위하여 필요한 물의 양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일반 밥의 취사시 필요한 물의 양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표시부(150)는 당질 저감 취사와 일반 취사시 필요한 물의 양을 각각 표시함으로써,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알맞은 밥을 조리할 수 있고, 다양한 소비자의 기대에 부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외솥
150 : 표시부
200 : 내솥 210 : 홀
200 : 내솥 210 : 홀
Claims (3)
- 일면이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의 일면을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공간부 내에 안착되는 외솥; 및
바닥면이 상기 외솥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하도록 상기 외솥 내에 안착되며,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내솥;을 포함하되,
상기 외솥에 물이 채워지고, 상기 내솥에 조리대상물이 수용될 때 당질 저감을 위하여 상기 외솥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표시부가 상기 외솥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질 저감 밥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솥 내에 채워지는 물의 높이가, 상기 외솥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내솥 내에 수용되는 조리대상물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도록 상기 표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질 저감 밥솥.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맞춰 상기 외솥에 물이 채워진 다음, 조리대상물이 수용된 상기 내솥이 상기 안착부 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질 저감 밥솥.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0606A KR20200118559A (ko) | 2019-04-08 | 2019-04-08 | 당질 저감 밥솥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0606A KR20200118559A (ko) | 2019-04-08 | 2019-04-08 | 당질 저감 밥솥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8559A true KR20200118559A (ko) | 2020-10-16 |
Family
ID=7303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0606A KR20200118559A (ko) | 2019-04-08 | 2019-04-08 | 당질 저감 밥솥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18559A (ko) |
-
2019
- 2019-04-08 KR KR1020190040606A patent/KR2020011855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98726U (ja) | 電子レンジ用湿り気閉じ込めカバー | |
ES2271093T3 (es) | Olla de coccion rapida. | |
KR20140018709A (ko) | 순대찜기 | |
KR20200123629A (ko) | 당질 저감 밥솥 | |
KR200398917Y1 (ko) | 증기 찜 장치 | |
KR20130059171A (ko) | 라면용 조리용기 | |
KR20090004397A (ko) | 다기능 찜 용기 | |
KR20200118559A (ko) | 당질 저감 밥솥 | |
KR20200118560A (ko) | 당질 저감 밥솥 | |
KR20200118561A (ko) | 당질 저감 밥솥 | |
KR100473282B1 (ko) | 자동압력 중탕기 | |
KR20200118770A (ko) | 당질 저감 밥솥 | |
JP2017166763A (ja) | 加熱調理器 | |
KR20200118557A (ko) | 당질 저감 밥솥 | |
KR20200118558A (ko) | 당질 저감 밥솥 | |
US3837270A (en) | Portable electrically heated combination oven boiler and open grate cooking unit | |
CN109527965A (zh) | 电热锅 | |
EP1974637A1 (en) | Food cooking appliance | |
JP7016390B2 (ja) | Ih適用糖質低減炊飯器の制御方法 | |
KR100763338B1 (ko) | 스팀배출 조절가능 조리용기 | |
KR102372427B1 (ko) | 일회용 컵설기 | |
KR102233147B1 (ko) | 저 탄수화물 취사용 전기밥솥의 물 배출장치 | |
KR20220012592A (ko) | 전기밥솥의 내솥 | |
JP3118752U (ja) | 簡易調理器 | |
KR101227248B1 (ko) | 다용도 압력 조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